KR102521850B1 -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850B1
KR102521850B1 KR1020160062969A KR20160062969A KR102521850B1 KR 102521850 B1 KR102521850 B1 KR 102521850B1 KR 1020160062969 A KR1020160062969 A KR 1020160062969A KR 20160062969 A KR20160062969 A KR 20160062969A KR 102521850 B1 KR102521850 B1 KR 102521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internet
mobile terminal
things
gat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2019A (ko
Inventor
박신영
하윤
강민정
이준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2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850B1/ko
Publication of KR20170132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telemeter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사물인터넷(IoT)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항목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 화면 내의 게이트웨이 항목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선택 입력이 수신된 게이트웨이 항목에 대응하는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사물인터넷(IoT) 기기 항목들을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메인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FOR ARTIFCIAL INTELLIGENCE IoT SYSTEM}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기와 연결되어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 주변의 사물들에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지능화함으로써 그 사물의 가치를 증대시키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IoT)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라 사물인터넷 기능을 지원하는 센서, 전자기기들도 증가하고 있다.
사물인터넷(IoT)은 사물에 센서를 부착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주고받는 기술이나 환경을 의미하고, 사물인터넷 환경에서는 사람, 사물, 공간 등 모든 것이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되어, 정보가 생성, 수집, 공유,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사물인터넷(IoT) 환경에 포함되는 사물은, 인간의 명령에 따라 또는 특정 이벤트에 반응하여 특정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기기가 포함되는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성하고, 사용자가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최근의 건물 내에 배치되는 홈 어플라이언스(home appliance)에는 홈 어플라이언스 본래의 기능 외의 다양한 스마트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통신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은 홈 어플라이언스는 다양한 스마트 기능을 납부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은 홈 어플라이언스들도 스마트 기능을 이용할 수 있고, 홈 어플라이언스들을 사물인터넷(IoT) 시스템과 연동하여 이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기기가 포함되는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성하고 이용할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는 홈 어플라이언스들도 사물인터넷(IoT) 시스템과 연동하여 스마트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 홈(smart home)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사물인터넷(IoT)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항목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 화면 내의 게이트웨이 항목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선택 입력이 수신된 게이트웨이 항목에 대응하는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사물인터넷(IoT) 기기 항목들을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메인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기기가 포함되는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성하고 이용할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는 홈 어플라이언스들도 사물인터넷(IoT) 시스템과 연동하여 스마트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 홈(smart home)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스마트 홈 및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와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및 사물인터넷(IoT)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 도 2a, 도 2b의 게이트웨이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4는 도 1, 도 2a, 도 2b의 이동 단말기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5는 도 1, 도 2a, 도 2b의 서버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17은 도 6의 제어방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스마트 홈(smart home) 및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홈 및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은,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다른 기기, 서버와 통신하거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스마트 홈 어플라이언스(smart home appliance, 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어플라이언스(10)에는 통신 모듈을 구비한 냉장고(11), 세탁기(12), 로봇 청소기(13), 공기 조화기, 공기청정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홈 어플라이언스(10)가 구비하는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또는, 스마트 홈 어플라이언스(10)는 다른 종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거나 복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어플라이언스(10)는 NFC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홈 어플라이언스(10)는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등을 통해 소정 서버와 연결 가능하고, 원격 모니터링, 원격 제어 등 스마트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홈 및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은 복수의 사물인터넷(IoT) 기기(20, 40)와 게이트웨이(Gateway, 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IoT) 기기(20, 40)들은,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자체적으로 인터넷 접속, 서버와 연결 가능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0)와 게이트웨이(30)를 통하여 인터넷 접속, 서버와 연결되는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0)에는 IP 카메라(21), 온도조절기(22) 등이 해당될 수 있고, 게이트웨이(30)를 통하지 않고 서버에 연결 가능하다.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에는 스마트 조명(41), 스마트 플러그(42), 먼지 센서(43), 모션 센서(44), 다용도 센서(45)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는 적어도 게이트웨이(3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는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30)는 제1 통신 방식에 의해서 서버나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고, 제2 통신 방식에 의해서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i) 통신 방식일 수 있고,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는 상기 게이트웨이(30)를 통하여 서버로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 등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 조명(41)을 원하는 시간에 켜고 끌 수 있고, 상기 스마트 플러그(42)의 전력 사용량 등 사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먼지 센서(43), 모션 센서(44), 다용도 센서(45) 등에서 측정되는 센싱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용도 센서(45)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는 홈 어플라이언스도 다양한 스마트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된다.
상기 다용도 센서(45)가 부착될 수 있는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냉장고, 세탁 장치, 공기 조화기, 로봇 청소기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 장치는, 의류 등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 등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식기 세척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다용도 센서(45)는 특정 홈 어플라이언스에 추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다용도 센서(45)는 특정 홈 어플라이언스로 작동과 관련한 명령을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다용도 센서(45)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작동과 무관하게 다용도 센서(45)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다용도 센서(45)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부착되어 사용되거나, 실내 벽 또는 창문이나 도어(door) 등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조명(41), 스마트 플러그(42), 먼지 센서(43), 모션 센서(44), 다용도 센서(45) 등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는,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배터리의 상태, 외부 기기(서버나 이동 단말기 등)와의 통신 연결 여부, 에러 상태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광의 색상은, 상기 배터리의 상태, 외부 기기(서버나 이동 단말기 등)와의 통신 연결 여부, 에러 상태에 따라서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부는, 복수의 색상 광원을 포함하여, 각 상황에 대응하는 색상 광원에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가 정상 작동 중 일때는 청색광을 출력하고, 이상 발생 시 적색광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특정 동작 수행 전에 사용자가 곧 특정 동작이 수행된다는 사실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소정 시간 동안 황색광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 등 서버에 연결 가능한 통신 모듈 구비 여부에 따라 사물인터넷(IoT) 기기(20, 40)들을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0)와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로 구분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0)와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로 예시된 기기들도 사양에 따라 다른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기기가 여러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허브 게이트웨이(25)는 게이트웨이로써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과 통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자체가 센서, 제어 기능 등을 구비하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0)로써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스마트 허브 게이트웨이(25)는 디스플레이, 오디오 출력부 등 출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홈 및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을 세분화하여 상기 사물인터넷(IoT) 기기(20, 40)와 상기 게이트웨이(30)를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으로 명명하고, 상기 사물인터넷(IoT) 기기(20, 40). 상기 게이트웨이(30) 및 상기 스마트 홈 어플라이언스(10)를 스마트 홈 시스템으로 명명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홈 및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은, 상기 게이트웨이(30)를 대체하여 상기 스마트 허브 게이트웨이(25)를 포함하거나, 상기 게이트웨이(30) 및 상기 스마트 허브 게이트웨이(25)를 함게 포함할 수 있다.
도 2a와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및 사물인터넷(IoT)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및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은, 가정(home) 내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와 게이트웨이(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홈 및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20), 스마트 허브 게이트웨이(25), 스마트 홈 어플라이언스(1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는 소정 전자 기기와 통신할 수 있고, 게이트웨이(30)와 통신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는 게이트웨이(30)와 소정 방식, 예를 들어 지그비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30)는 유/무선 공유기(60)에 의해서 서버(70)나 이동 단말기(5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는 게이트웨이(30)를 통하여 서버(70)에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30)는 소정 방식, 예를 들어 지그비 통신 방식에 의해서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와 통신하고, 다른 통신 방식,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에 의해서 상기 서버(70)나 이동 단말기(50)와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는 상기 서버(70), 상기 이동 단말기(50)와 통신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서버(70)는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서버(7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조사 또는 각종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의 제조사에서 운영하는 서버, 또는 제조사가 서비스를 위탁한 회사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에서 센싱된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50)로 전송될 수 있고, 상기 이동 단말기(50)는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는 상기 이동 단말기(50)로부터 정보를 전달받거나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는 상기 서버(70)로 각종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서버(70)가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이동 단말기(5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70)는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로부터 수신한 정보 그 자체 또는 수신한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5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가 수신한 명령이 특정 홈 어플라이언스의 작동 명령인 경우에는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는 홈 어플라이언스로 작동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도 2a에서는 상기 서버(70)가 하나인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다른 시스템은 2개 이상의 서버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2b는 2개의 서버(71, 72)와 연결되는 시스템을 예시한 것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게이트웨이(30)는 유/무선 공유기(60)를 경유하여 제1 서버(71)나 이동 단말기(5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30)는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50)를 통하여 상기 게이트웨이(30) 및/또는 상기 제1 서버(71)에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를 등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서버(71)는 상기 게이트웨이(30),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의 정보, 이동 단말기(50)의 정보 및 이동 단말기(50)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50)를 통하여 제2 서버(72)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버(72)는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버(72)는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스마트 홈 어플라이언스에 관한 정보,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에 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버(72)는 상기 사물인터넷(IoT)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스마트 홈 및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들을 통합 모니터링, 제어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서버(71)와 상기 제2 서버(72)는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고,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의 정보를 동기화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1 서버(71)와 상기 제2 서버(72)는 하나의 통합 서버로 구성되거나 3개 이상의 서버로 정보, 기능이 분산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 도 2a, 도 2b의 게이트웨이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통신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기기들 간에 동작 제어 또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 준다.
도 3을 참조하면, 게이트웨이(30)는 제1 통신 방식(361)에 의해서 서버나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고, 제2 통신 방식(362)에 의해서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게이트웨이(30)는 제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1 통신 모듈(310)과 제2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i) 통신 방식일 수 있고,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30)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웨이(30)는 지그비(Zigbee) 외에도 블루투스(Bluetooth), 초광대역 통신(UWB), 무선랜 표준(WLAN), 이더넷(Ethernet) 등 다양한 통신 기술에 따른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30)는 지그비 통신 방식에 의해서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와 통신하고, 이더넷(Ethernet)에 의해서 서버나 이동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30)는 유/무선 공유기를 경유하여 서버나 이동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지그비 통신 가능한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는 상기 게이트웨이(30)를 경유하여 이더넷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에서부터 감지, 생성된 데이터는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30)에서 수신한 데이터는, 이더넷을 통해 서버(70, 71, 72)로 전송되어 저장, 가공 처리 된 후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는 게이트웨이(30)를 통하여 서버(70)에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는 상기 서버, 상기 이동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된다.
상기 게이트웨이(30)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330), 동작 실행을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340)는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30)는 현재 자신과 연결을 이루고 있는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 및 기타 전자기기에 대한 기기 목록을 각각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340)에 저장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30)가 생성한 기기 목록은 각 통신상에 연결된 기기의 개수와 각 기기들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 도 2a, 도 2b의 이동 단말기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50)는, 무선 통신부(410), A/V(Audio/Video) 입력부(420), 사용자 입력부(430), 센싱부(440), 출력부(450), 메모리(460), 인터페이스부(470), 제어부(480), 및 전원 공급부(4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410)는, 방송 수신 모듈(411), 이동통신 모듈(413), 무선 인터넷 모듈(415), 근거리 통신 모듈(417), 및 GPS 모듈(4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4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4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4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4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4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415)은 이동 단말기(5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모듈(415)은, 와이파이(WiFi) 기반의 무선 통신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기반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417)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417)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5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50)와 다른 이동 단말기(5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50)와 다른 이동 단말기,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4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410)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405)를 포함할 수 있고,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4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421)와 마이크(4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4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4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440)는 이동 단말기(5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5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5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센싱부(440)는, 감지 센서(441), 압력 센서(443), 및 모션 센서(4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4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50)의 움직임이나 위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각도)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디스플레이(451), 음향출력 모듈(453), 알람부(455), 및 햅틱(haptic) 모듈(45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51)는 이동 단말기(5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한편, 디스플레이(4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4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453)은 무선 통신부(4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4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4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455)는 이동 단말기(5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
햅틱 모듈(4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4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메모리(460)는 제어부(4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470)는 이동 단말기(5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4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5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5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4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481)은 제어부(4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4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490)는,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5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5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5는 도 1, 도 2a, 도 2b의 서버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버(70, 71, 72)는, 통신 모듈(520), 메모리(530), 및 프로세서(510)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 모듈(520)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사물인터넷(IoT)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모듈(520)은, 수신되는 사물인터넷(IoT)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결과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모듈(520)은, 인터넷 모듈 또는 이동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530)는, 수신되는 사물인터넷(IoT)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사물인터넷(IoT)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결과 정보 생성을 위한, 데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물인터넷(IoT) 관련 정보가, 사물인터넷(IoT),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인 경우, 메모리(530)는, 사물인터넷(IoT),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을 위해, 수신되는 제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서버(70, 71, 7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510)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사물인터넷(IoT)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사물인터넷(IoT)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결과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결과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서버(70, 71, 72)는, 홈 어플라이언스, 사물인터넷(IoT) 액세서리,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 제조자가 운영하는 서버 또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운영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7 내지 도 17은 도 6의 제어방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50)는, 사물인터넷(IoT) 관련 애플리케이션 실행 입력이 있으면, 사물인터넷(IoT)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610),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항목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부(451)에 표시할 수 있다(S620).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이동 단말기(50)에서, 사물인터넷(IoT) 관련 애플리케이션 실행 입력이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50)의 제어부(480)는, 기 설치된 사물인터넷(IoT)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물인터넷(IoT)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이동 단말기(50)는 서버(70, 71, 72)에 접속하여, 사물인터넷(IoT)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download)하고, 이동 단말기(50) 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애플리케이션 화면은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5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 내의 게이트웨이 항목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S630), 상기 선택 입력이 수신된 게이트웨이 항목에 대응하는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사물인터넷(IoT) 기기 항목들을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메인 화면을 디스플레이부(451)에 표시할 수 있다(S640).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 메인 화면은, 센서 항목들을 포함하는 센서 영역, 및, 가정 내 조명을 구역별로 제어할 수 있는 구역별 조명 항목들을 포함하는 조명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30)는 사물인터넷(IoT) 기기(20, 40)와 연결될 수 있고, 스마트 플러그, 먼지 센서, 모션 센서 등 사물인터넷(IoT) 액세서리(4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30)는 지그비 통신 방식으로 사물인터넷(IoT) 기기(20, 40), 특히 사물인터넷(IoT) 액세서리(4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이동 단말기(50)의 디스플레이부(451)에 표시되는 게이트웨이 메인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7의 (a)와 같이 게이트웨이 메인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하측 방향 스크롤 입력에 따라, 도 7의 (b)와 같이 게이트웨이 메인 화면의 나머지 영역이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의 (a)와 (b)를 참조하면, 게이트웨이 메인 화면은 모션 센서 항목(750), 온도습도조도센서 항목(760), 먼지 센서 항목(7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 메인 화면은 스마트 플러그(42) 항목(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7의 (a)와 (b)는, 게이트웨이 메인 화면에 도 1에서 설명한 다용도 센서(45)에 관한 항목들이 가장 앞에 배치되고, 스마트 조명(41), 먼지 센서(43), 모션 센서(44) 순서로 항목들이 배치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항목들의 배치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게이트웨이 메인 화면은, 선택된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스마트 플러그(42) 항목들을 포함하는 스마트 플러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플러그(42)는 전력 사용량 등을 센싱하며, 센싱된 데이터를 게이트웨이(30)를 경유하여 서버(70, 71, 72)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 메인 화면에 포함되는 상기 사물인터넷(IoT) 기기 항목들은 사물인터넷(IoT) 기기의 명칭 및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a)와 (b)를 참조하면, 게이트웨이 메인 화면은, 선택된 게이트웨이를 나타내는 정보 영역(710), 선택된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센서 항목들(721, 722, 723, 724, 725, 726)을 포함하는 센서 영역(720), 및, 선택된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조명 항목들(732, 733)을 포함하는 조명 영역(7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영역(710)은 제조사 및 제품명을 제공하고, 제품 이미지 또는 브랜드 아이덴티티(identity) 표현이 가능한 콘텐츠 활용이 가능하다.
상기 정보 영역(710)은 홈(home)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시 이전의 애플리케이션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home)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항목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영역(710)에 표시되는 제품명은 사용자 편집이 가능하고, 미설정 시 게이트웨이 기본 제품 명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제품 명은 도 7의 (a)와 같이 ‘Smart ThinQ 허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영역(710)은 선택 시 제품관련 설정이 가능한 팝업 메뉴를 제공하는 사이드 메뉴 항목(79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영역(720)은 게이트웨이에 등록되어 연결된 센서 항목들(721, 722, 723, 724, 725, 7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영역(720)은 등록된 센서에 대해 리스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센서 항목들(721, 722, 723, 724, 725, 726)은 등록 순서에 따라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센서 영역(720)은 센서 항목들을 등록한 사용자별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센서 항목들(721, 722, 723, 724, 725, 726)은 센서의 명칭(721a, 722a) 및 상태 정보(721b, 72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721b, 722b)는 해당되는 센서의 알림, 제어(제품 연동 포함),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 영역(720)에 표시되는 센서들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다용도 센서(45)일 수 있다. 상기 다용도 센서는 세탁기, 냉장고 등 홈 어플라이언스, 기타 특정 장소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는 등록시 부착된 기기 명, 닉네임을 포함하는 명칭으로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 영역(730)은 각 조명들을 단순히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가정 내 조명을 구역별로 제어할 수 있는 구역별 조명 항목들(732, 7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역별 조명 항목들(732, 733)도 등록 순서에 따라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구역별 조명 항목들(732, 733)은 구역의 명칭 및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에는 해당 조명이 켜져 있는지, 꺼져 있는지 여부, 특정 모드의 설정 여부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구역별 조명 항목들(732, 733)은 조명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상기 구역별 조명 항목들(732, 733)은 구역 명칭과 온(ON)/오프(OFF) 설정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구역별 조명 항목들(732, 733)은 온(ON)/오프(OFF) 설정 상태 정보를 탭(tap)하면 온(on) 상태인 구역의 조명들은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고, 오프(off) 상태인 구역의 조명들은 온(on)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 영역(730)은 가정 내 전체 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 항목(7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뉴 항목(731)은 등록된 모든 스마트 조명을 동시에 온(ON)/오프(OFF)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미설정 항목(734)을 선택하여 소정 구역을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미설정 항목(734)은 어느 구역에도 속하지 않은 조명이 있는 경우 노출될 수 있으며, 모든 조명이 어느 구역에 속한 경우는 비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설정 항목(734)에는 온(ON)/오프(OFF) 설정이 미제공될 수 있다.
한편, 센서나 스마트 조명 등이 게이트웨이에 신규 등록되면 상기 게이트웨이 메인 화면에는 신규 등록을 알리는 메시지가 팝업될 수 있고, 팝업된 메시지는 소정 시간 경과 후 사라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 메인 화면은, 상기 센서 항목들과 상기 구역별 조명 항목들 중 소정 기간 범위 내에 신규 등록된 항목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규 등록된 항목들에는‘New’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New’아이콘은 소정 시간 경과 후나 다른 화면 진입 후 사라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7의 (b)를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웨이 메인 화면은, 신규 사물인터넷 기기를 등록할 수 있는 메뉴(7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 메인 화면은, 사물인터넷 기기를 등록한 사용자별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웨이 메인 화면의 센서 영역은 상기 센서 항목들을 등록한 사용자별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하단 방향으로 화면을 스크롤하면 도 7의 (b)와 같이 하단에 위치하던 게이트웨이 메인 화면의 나머지 영역들이 표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스마트 플러그(42), 상기 사물인터넷(IoT) 기기 항목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S650), 선택된 사물인터넷(IoT) 기기 항목의 상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660).
예를 들어, 스마트 플러그(42), 먼지 센서(43), 모션 센서(44) 등 사물인터넷(IoT) 액세서리(40) 항목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S650), 선택된 사물인터넷(IoT) 액세서리(40) 항목의 상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660).
또한, 게이트웨이 메인 화면의 상기 센서 영역에 포함되는 센서 항목들, 조명 항목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센서 항목 또는 조명 항목의 상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스마트 플러그 영역(810)을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메인 화면(800) 및 스마트 플러그(42) 관련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게이트웨이 메인 화면(800)은 해당 게이트웨이(3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마트 플러그 항목(811, 8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게이트웨이 메인 화면은 정보 영역, 신규 사물인터넷 기기를 등록할 수 있는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스마트 플러그 항목(811, 812) 중 어느 하나의 항목(811)을 탭(tap)하여 선택하면, 선택된 스마트 플러그 항목(811)에 대응하는 상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스마트 플러그 상세 화면은, 소비 전력량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정보 영역(820) 및, 전원 제어 설정 항목과 대기전력차단 설정 항목을 포함하는 설정 영역(830)을 포함 수 있다.
상기 사용 정보 영역(820)은, 당월 누적 소비 전력량, 월별 누적 소비 전력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당월 누적 소비 전력량은,
상기 사용 정보 영역(820)은, 서브타이틀(Subtitle) 영역에서 사용자가 정보를 확인하는 현재 날짜(YYYY.MM.DD)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 정보 영역(820)은, 사용 이력이 없는 경우, “사용 이력이 없습니다”등 이력 부재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사용하던 제품을 재 사용하는 경우, 상기 사용 정보 영역(820)은, 기존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고, 그래프는“0”부터 시작할 수 있다.
당월 누적 소비 전력량 정보는 해당월의 매월 1일을 기준으로 현재(오늘)까지 누적된 전력량을 텍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
당월 누적 소비 전력량 정보는 소정 시간을 주기로 업데이트되거나 소비 전력량을 기준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스마트 플러그의 소비 전력량이 100Wh 증가하면 당월 누적 소비 전력량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월별 누적 소비 전력량 정보는, 당월 포함 소정 기간, 예를 들어, 최근 6개월 동안의 월별 누적 전력량을 막대 그래프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막대 그래프의 X축은 1개월 단위로, 연도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되는 연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막대 그래프의 Y축은 월간 전력 사용량(kWh)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6개월 미만의 정보만 있을 경우, X축(월) 정보는 표기하되 그래프는 제공되지 않을수도 있다.
상기 설정 영역(830)은, 전원 제어 설정, 대기전력차단 설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b에서는 상기 설정 영역(830)은, 전원 제어 설정 항목만 보이지만 화면을 하단으로 스크롤하면 대기전력차단 설정 항목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설정 영역(830)은, 플러그와 연결된 제품의 설정을 입력, 전환하는 영역으로 온(ON)/오프(OFF) 토글로 설정 가능하다.
한편, 도 8b를 참조하면, 스마트 플러그 상세 화면은, 연결 제품의 전원 상태, 플러그 타입을 포함하는 플러그 속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8b를 참조하면, 스마트 플러그 상세 화면은, 플러그 사용 가이드 항목(84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플러그 사용 가이드 항목(840)을 탭(tap)하면, 도 8c와 같이‘스마트플러그 사용 가이드’화면(85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플러그 사용 가이드 화면(850)은 플러그 활용 및, 설치, 오류 시상기 대처 방법 등이 안내 정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플러그 사용 가이드 화면(850)은 선택시 대응하는 항목의 상세 설명 화면으로 전환되는 스마트 플러그 활용 방법, 플러그 설치 방법, 플러그 안전수칙, 플러그 주의사항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스마트 플러그 상세 화면은, 스마트 플러그의 명칭 또는 닉네임 정보, 이전 화면인 게이트웨이 메인 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는 백 키(Back key)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 플러그의 명칭 또는 닉네임을 변경할 수 있다.
도 9a와 도 9b는 세탁기에 연결된 스마트 플러그의 닉네임을 세탁기 플러그로 설정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 9a와 도 9b를 참조하면, 스마트플러그 상세 화면(900)은 사용 정보 영역(910)과 설정 영역(9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 영역(920)은 전원 제어 설정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제어 설정 항목은, 스마트 플러그와 연결된 제품의 전원 제어 기능으로 온(ON)/오프(OFF) 토글로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온(ON) 상태의 토글(921)을 탭하면 세탁기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고, 전원이 커졌다는 안내 메시지(930)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글(922)도 오프(OFF)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50)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제품의 전원을 즉시 제어 가능하며, 제어 시 ‘원격 제어 완료‘ 토스트(Toast)를 N초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에 따라 스마트플러그 상세 화면(900) 최상단의 전원 상태도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오류 장애 등으로 인하여 전원 제어 실패 시,‘전원 제어 실패‘ 토스트(Toast)를 N초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플러그 상세 화면은 사용 정보 영역과 설정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설정 영역은 대기전력차단 설정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a와 도 10b를 참조하면, 스마트플러그 상세 화면(1000)을 하측 방향으로 스크롤하면 전원 제어 설정 항목 아래에 표시되는 대기전력차단 설정 항목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0a와 도 10b를 참조하면, 대기전력차단 설정 항목은, 스마트 플러그에서 측정된 대기전력이 설정된 전력량을 초과하는 경우, 전력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기능으로 온(ON)/오프(OFF) 토글(1010, 1011)로 설정 가능하다.
한편, 도 10b와 같이, 대기전력차단 설정 항목의 사용 설정을 온(on) 상태인 경우에, 하단 영역에서 설정 전력 영역(1020)을 제공할 수 있다.
설정 전력 영역(1020)은 차단을 위해 설정된 값을 표시하고, 전력 자동 차단 설정 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대기전력차단을 위해 설정되 값은 제품의 순시전력의 10%를 더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대기전력차단 설정 항목이 오프(off) 상태로 전환후에 온(on) 상태로 재전환되는 경우에, 기존 설정 값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1과 도 12는 선택된 사물인터넷(IoT) 기기 항목이 모션 센서 항목인 경우에 표시되는 모션 센서 상세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사용자는 도 7의 (b)에서 예시된 모션 센서 항목(750)을 선택하여 모션 센서 상세 화면을 호출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모션 센서 상세 화면은, 센서 속성 영역(1110)과 사용 정보 영역(1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속성 영역(1110)은, 모션 센서 속성, 사용 현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센서 속성 영역(1110) 내 정보는 설정 및 변경이 불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모션 센서 속성은 센서의 건전지 교체 알림, 배터리 현재 용량 등을 포함하는 배터리 상태 정보, 센서에 설정된 타입을 표시하는 센서 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를 교체할 시기에는 애?R리케이션 푸시(Push)를 통해 1회 알릴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 현황 정보는 가장 최근 사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가장 최근에 센싱한 최신 모션 감지 정보(1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 정보 영역(1120)은 움직임을 감지한 최신 이력 하나를 아이콘 + 텍스트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아이콘은 움직임 감지를 인지 가능한 메타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사용 이력이 없는 경우에, 상기 사용 정보 영역(1120)은 이력 부재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먼지 센서 상세 화면은, 센싱한 이력이 복수개인 경우에 모션 감지 이력 정보를 볼 수 있는 이력 보기 메뉴(1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력 보기 메뉴(1121)는 다이어리 보기 등 다른 명칭을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이력 보기 메뉴(1121)를 탭(tap)하여 선택하면, 복수의 모션 감지 이력을 날짜별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모션 감지 이력을 날짜별로 구분하여 표시한 다이어리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2는 복수의 모션 감지 이력을 날짜별로 구분하여 표시한 다이어리 화면(1200)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다이어리 화면(1200)은, 상기 복수의 모션 감지 이력을 시간 순서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션 감지 이력은 각각 발생 시간과 이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다이어리 화면(1200)은, 모션 센서의 움직임 감지 이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이력은 최근 20개까지 제공하며 추가 발생 시 가장 시간이 빠른 기록을 지우고 추가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이력은 이동 단말기가 변경되거나 사물인터넷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삭제 후 재설치된 경우, 사용자의 초기화 명령시 초기화될 수 있다.
한편, 전체 다이어리 정보는 서버(70, 71,72)에 저장되나, 사용자 개별 삭제된 정보는 개인 이동 단말기(50)에서 관리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7의 (b)에서 예시된 먼지 센서 항목(770)을 선택하여 먼지 센서 상세 화면을 호출할 수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게이트웨이 메인 화면(1300)은 게이트웨이(30)에 연결된 먼지 센서 항목(131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먼지 센서 항목(1310)은 감지하는 구역별로 분류된 항목(1311)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항목(1311)을 선택하면, 도 13b와 같이, 대응하는 먼지 센서 상세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먼지 센서 상세 화면(1320)은, 센서 속성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속성 영역은, 먼지 센서 속성, 사용 현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센서 속성 영역 내 정보는 설정 및 변경이 불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먼지 센서 속성은 센서의 건전지 교체 알림, 배터리 현재 용량 등을 포함하는 배터리 상태 정보, 센서에 설정된 타입을 표시하는 센서 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상태 정보는, 센서 배터리 잔량 및 충전 상태를 아이콘으로 제공할 수 있고, 센서의 배터리 잔량은 많음(100~70%), 중간(69~40%), 적음(39~15%), 부족(14~0%)의 4단계로 분류되어 아이콘 및 텍스트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먼지 센서 상세 화면(1320)은, 사용 정보 영역(13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먼지 센서 상세 화면(1320)은, 감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탭(tab) 메뉴 항목들(1321, 13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 정보 영역(1330)에는 상기 탭(tab) 메뉴 항목들(1321, 1322) 중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여,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사용 현황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 정보 영역(1330)의 서브타이틀 영역에는 오염도 측정 일자(YYYY.MM.DD)와 시간(오전/오후 HH시)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 정보 영역(1330)은 실내/실외 공기 오염도를 제공하며, 좌/우 탭(1321, 1322)으로 실내 또는 실외 오염도 확인이 가능하다.
도 13b는 실내 탭(1321)이 선택되어 실내의 오염도 센싱 결과를 상기 사용 정보 영역(1330)에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3c는 실외 탭(1322)이 선택되어 실내의 오염도 센싱 결과를 상기 사용 정보 영역(1331)에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사용 현황 정보는 가장 최근 사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정보 영역(1330, 1331)은 가장 최근에 먼지 등 공기 오염도를 센싱한 최신 감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 정보 영역(1330, 1331)의 구성은 해당 구역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실내 오염도 사용 정보 영역(1330)은, 각각 좋음/보통/나쁨/매우나쁨 4단계로 구분되는 오염도/극초미세/초미세/미세먼지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정보는 수치를 포함하고, 해당되는 단계에 해당하는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3c를 참조하면, 실외 오염도 사용 정보 영역(1331)은, 현재 초미세먼지 단계, 초미세먼지 예보 정보, 측정 지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현재 초미세먼지 단계는 좋음/보통/나쁨/매우나쁨 4단계로 구분되는 오염도 단계와 해당하는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초미세먼지 예보 정보: 오늘 오전/오후, 내일 오전/오후의 초미세먼지단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지역은 현재 초미세먼지 및 예보 정보가 측정된 지역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 정보 영역(실내/실외 오염도)의 오염도, 극초미세/초미세/ 미세먼지 정보 등을 사용자가 탭(tab)한 경우에, 도 14와 같이, 오염도 측정 기준 정보(141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오염도 측정 기준 정보(1410)는 전체 오염도 단계와 현재 위치한 오염 단계를 표시할 수 있고, 오염도 항목 별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먼지 센서 상세 화면은, 센싱한 이력이 복수개인 경우에 먼지 감지 이력 정보를 볼 수 있는 이력 보기 메뉴(1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력 보기 메뉴(1340)는 다이어리 보기 등 다른 명칭을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이력 보기 메뉴(1340)를 탭(tap)하여 선택하면, 복수의 먼지(오염도) 감지 이력을 날짜,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먼지(오염도) 감지 이력을 그래프 형태로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먼지(오염도) 감지 이력을 날짜별로 구분하여 표시한 다이어리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복수의 먼지(오염도) 감지 이력을 표시한 다이어리 화면(1500)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다이어리 화면(1500)은 일/주/월/년 단위로 그래프 출력 기준일을 선택할 수 있는 기준 선택 영역(1510)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한 기준에 따라 그래프(1520) 구성은 상이하며, 누적된 이력이 없는 경우에는 기준일 선택 메뉴 중 적어도 일부가 비활성될 수 있다.
한편 기준 선택 영역(1510)은 좌/우 탭으로 이동 가능한 데이터 피커(Date Picker)가 있어, 선택한 기준에 따라, 1일, 1주일, 1개월, 1년 단위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이어리 화면(1500)은 측정 그래프 영역(1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 그래프 영역(1520)은 상단의 기준 선택 영역(1510)에서 선택한 측정 기준에 따라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측정 그래프 영역(1520)의 그래프는 X축은 일/월 등 기준에 따라 제공되고, Y축은 초미세먼지 농도(㎍/㎥) 등을 제공할 수 있다. Y축의 최대값은 측정 최대값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다이어리 화면(1500)을 아래 방향으로 스크롤하면 오염도 상태 및 측정 기준 영역(1530)이 표시될 수 있다. 오염도 측정 기준은 오염도 4단계 및 수치를 표시할 수 있고다.
한편, 다이어리 화면(1500)을 좌,우 방향으로 스크롤하면, 그래프에 표시되는 정보가 좌.우 방향으로 스크롤될 수 있다.
도 15c를 참조하면, 탭 시, 그래프의 상세 수치가 말풍선(1540) 형태로 제공되며 해당 그래프 또는 이외의 영역 탭 시 말풍선(1540)은 사라질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e, 및 도 17은 스마트 플러그의 페어링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먼지 센서, 모션 센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페어링할 수 있다.
도 22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스마트 플러그, 먼지 센서, 모션 센서 등의 게이트웨이 등록을 위해서, 게이트웨이 메인 화면(1600)의 IoT 기기 등록 메뉴(1610)를 선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50)가 표시하는 화면은 서버(70, 71, 72)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할 수 있고, 상기 이동 단말기(50)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서버(70, 71, 72)에 접속하여 스마트 플러그, 먼지 센서, 모션 센서 등을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16b와 같은 IoT 기기 선택 화면에서 등록할 IoT 기기 항목(1620)을 선택하면, 기기 등록 가이드 과정으로 진행할 수 있다.
스마트 플러그가 선택된 경우를 예로 들면, 상기 기기 이 등록 가이드 과정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50)에 표시되는 가이드 화면을 보면서 소정 스마트 플러그의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이다.
도 16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스마트 플러그 연결 안내(1630)에 따라 스마트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고, 다음(1635)을 선택하면, 스마트플러그 확인 안내(도 16d의 1640), 스마트플러그 등록 안내(도 16e의 1650)에 따라 스마트 플러그 등록을 위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플러그 등록 가이드 과정이 끝나면, 스마트 플러그 가 검색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스마트 플러그만 검색된다면, 검색된 스마트 플러그가 바로 등록될 수 있다.
또는, 도 17을 참조하면, 검색된 스마트 플러그가 복수개(1710, 1720, 1730)인 경우, 사용자의 선택 후 스마트 플러그가 등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기기가 포함되는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성하고 이용할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는 홈 어플라이언스들도 사물인터넷(IoT) 시스템과 연동하여 스마트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 홈(smart home)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서버,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은, 각각, 이동 단말기, 서버, 게이트웨이 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홈 어플라이언스: 10
IoT 디바이스: 20
게이트웨이: 30
IoT 액세서리: 40
이동 단말기: 50
서버: 70

Claims (14)

  1.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항목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 내의 게이트웨이 항목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 입력이 수신된 게이트웨이 항목에 대응하는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사물인터넷(IoT) 기기 항목들을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메인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물인터넷(IoT) 기기 항목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사물인터넷(IoT) 기기 항목의 상세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사물인터넷(IoT) 기기 항목이 먼지 센서 항목인 경우, 상기 상세 화면은, 가장 최근에 센싱한 최신 먼지 감지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상세 화면은, 센싱한 이력이 복수개인 경우에 먼지 감지 이력 정보를 볼 수 있는 이력 보기 메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IoT) 기기 항목들은 사물인터넷(IoT) 기기의 명칭 및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스마트 플러그, 먼지 센서, 모션 센서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지그비 통신 방식으로 사물인터넷(IoT) 기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사물인터넷(IoT) 기기 항목이 스마트 플러그 항목인 경우, 상기 상세 화면은, 소비 전력량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정보 영역, 및, 전원 제어 설정 항목과 대기전력차단 설정 항목을 포함하는 설정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사물인터넷(IoT) 기기 항목이 모션 센서 항목인 경우, 상기 상세 화면은, 가장 최근에 센싱한 최신 모션 감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화면은, 센싱한 이력이 복수개인 경우에 모션 감지 이력 정보를 볼 수 있는 이력 보기 메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보기 메뉴가 선택되면, 복수의 모션 감지 이력을 날짜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션 감지 이력을 시간 순서로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보기 메뉴가 선택되면, 복수의 먼지 감지 이력을 설정된 구간을 기준으로 그래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화면은, 감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탭(tab) 메뉴 항목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160062969A 2016-05-23 2016-05-23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521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969A KR102521850B1 (ko) 2016-05-23 2016-05-23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969A KR102521850B1 (ko) 2016-05-23 2016-05-23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019A KR20170132019A (ko) 2017-12-01
KR102521850B1 true KR102521850B1 (ko) 2023-04-13

Family

ID=60921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969A KR102521850B1 (ko) 2016-05-23 2016-05-23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8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63340B2 (en) 2021-09-14 2024-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736B1 (ko) * 2017-12-27 2020-08-05 기민전자주식회사 근거리 통신 무선 중계기 및 이를 이용한 기기 제어방법
KR102494874B1 (ko) * 2020-06-15 2023-02-06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일상생활 능력정보 기반 치매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236B1 (ko) * 2012-10-16 2015-10-12 전자부품연구원 IoT 브라우징 방법 및 장치
KR20160020763A (ko) * 2014-08-14 2016-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63340B2 (en) 2021-09-14 2024-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019A (ko) 2017-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59707C (en) Home automation control using context sensitive menus
US10785051B2 (en) Mobile terminal, serv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1334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mart home automation using a multifunction status and entry point icon
US10437206B2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program and system
US9353965B1 (en) Automated display adjustment for smart-home device based on viewer location or other sensed viewer-related parameters
US20160245538A1 (en) Smart ac controller with engery measurement capability
US9909777B2 (en) Thermostat with multiple sensing systems including presence detection systems integrated therein
US8897897B2 (en) Companion control interface for smart devices
US20170060150A1 (en) Thermostat with multiple sensing systems integrated therein
US11557186B2 (en) Connection to legacy panel and self-configuration
KR20150028008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59081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장치
JP6425000B2 (ja) 遠隔制御システム
CN108369021A (zh) 其中集成有多个感测系统的恒温器
KR102521850B1 (ko)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CN102474292A (zh) 反映用户环境的便携式终端和用于操作该终端的方法
JP2015204510A (ja) 家電機器制御方法およびシステム、サーバ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6371329A (zh) 智能家电关联方法和装置
KR20170132020A (ko)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JP6181486B2 (ja) 通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携帯端末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7369611B2 (ja) 遠隔操作端末、プログラム、遠隔制御装置及び遠隔操作システム
CN107852340B (zh) 集线器装置及其提供服务的方法
US20150066232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display system
KR20170132017A (ko)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180016022A (ko)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