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680B1 -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680B1
KR102521680B1 KR1020200119321A KR20200119321A KR102521680B1 KR 102521680 B1 KR102521680 B1 KR 102521680B1 KR 1020200119321 A KR1020200119321 A KR 1020200119321A KR 20200119321 A KR20200119321 A KR 20200119321A KR 102521680 B1 KR102521680 B1 KR 102521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injection
housing
push rod
injec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6758A (ko
Inventor
박순형
백성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퀘어메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퀘어메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퀘어메딕스
Priority to KR1020200119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680B1/ko
Publication of KR20220036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0Syringes for injection by jet action, without needle, e.g. for use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 A61M5/3007Syringes for injection by jet action, without needle, e.g. for use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with specially designed jet passages at the injector's distal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61M3/0283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with at least two inner passageways, a first one for irrigating and a second for evacu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21Hydraulic massage
    • A61H9/0028Hand-held devices for spraying and removing liquid while moved on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6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7Suction-irrigation systems
    • A61M1/774Handpieces specially adapted for providing suction as well as irrigation, either simultaneously or independent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5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with gas or fluid supply means, e.g. for supplying rinsing fluids or anticoag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61H2201/105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with means for delivering media, e.g. drugs or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2037/0007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having means for enhancing the permeation of substances through the epidermis, e.g. using suction or depression, electric or magnetic fields, sound wav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4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에 영양제를 주입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하우징의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약물이 주입될 부위의 피부를 눌러 확장시키기 위한 누름봉; 하우징의 하부 내벽에 형성되어 피부에 약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 분사노즐에 약물을 공급하기 위한 주입공 및 주입관; 및 분사노즐을 통해 피부에 분사된 약물 중에서 확장된 피부의 땀구멍으로 주입되지 않고 남아 있는 약물을 회수하기 위한 배출공 및 배출관;을 구비하여, 피부를 눌러서 땀구멍을 확장시킨 상태에서 약물을 분사하여 피부에 주입되도록 한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의 구동 방법{DRUG INJECTION TUBE FOR NON-INVASIVE PROCEDURES,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을 이용하여 피부를 통해 영양제를 주입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누름봉으로 피부를 눌러 땀구멍이나 모공을 확장시킨 상태에서 약물을 분사하여 피부에 주입되도록 한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소득증가에 힘입어 피부미용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피부에 영양제 등의 약물을 주입하는 약물 주입장치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피부주름, 각질, 흉터, 기미, 튼살 및 탈모를 방지하거나 피부미용을 위해 피부에 약물을 주입하는 약물 주입장치는 주사기를 사용하여 피부 속으로 직접 약물을 주입하는 주사방식의 약물 주입장치와, 핸드피스(handpiece)와 결합된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으로 구성되어 피부의 표면에 약물을 분사하는 방식으로 약물을 주입하는 분사방식의 약물 주입장치가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분사방식의 약물 주입 장치는 피부의 표면에 강한 압력으로 약물을 분사하여 땀구멍이나 모공을 통해 약물이 주입되도록 하였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의한 약물 주입 장치중에서, 주사기를 사용하여 넓은 범위의 피부에 약물을 주입하는 장치는 사용자가 아픔을 느끼거나 공포감을 갖게 되어 시술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분사 방식으로 땀구멍이나 모공을 통해 약물을 주입하는 장치는 분사된 약물 중에서 일부만 피부 속으로 주입되고 대부분은 버려지므로 시술 시간이 오래 걸리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17703호 (2017.03.17.) 등록특허공보 제10-1608179호 (2016.03.3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을 이용하여 피부에 약물을 주입할 때, 약물을 주입하고자 하는 부분의 피부를 누름봉으로 눌러서 땀구멍이나 모공을 확장시킨 상태에서 약물을 분사하여 주입율이 향상되도록 한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약물이 주입될 부위의 피부를 눌러 확장시키는 누름봉; 상기 하우징의 하부 내벽에 형성된 분사노즐; 및 상기 분사노즐에 약물을 공급하기 위한 주입공 및 주입관;을 포함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피부에 분사된 약물 중에서 상기 확장된 피부의 땀구멍으로 주입되지 않고 남아 있는 약물을 회수하기 위한 배출공 및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을 핸드피스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볼트와 너트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배출공은 상기 체결부 상에 대향지게 쌍으로 형성된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배출관은 상기 분사노즐의 주변에 형성된 흡입공간과 상기 배출공을 연결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주입공은 상기 체결부 상에 서로 대향지게 쌍으로 형성된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누름봉은 일측 종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타측 종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타측 종단부는 라운드 형상을 갖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누름봉의 일측 종단부는 볼트 및 너트 중에서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누름봉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 내벽에 서로 대향지게 쌍으로 형성된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분사되는 약물이 상기 누름봉의 타측 종단부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분사반경의 내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누름봉에 의해 확장된 피부의 경사 각도와 직각을 이루게 설치된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주입관은 상기 주입공과 상기 분사노즐 간에 연결된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약물은 피부영양제를 포함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약물이 주입될 부위의 피부를 눌러 확장시키는 누름봉; 및 상기 누름봉의 하부에 형성되어 피부의 내측에 약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에 약물을 공급하기 위한 주입공 및 주입관;을 포함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을 핸드피스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볼트와 너트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누름봉의 하부 양측에 서로 대향지게 쌍으로 형성된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누름봉에 의해 확장된 피부의 경사 각도와 직각을 이루게 설치된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누름봉은 일측 종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타측 종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타측 종단부는 라운드 형상을 갖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약물이 주입될 부위의 피부를 눌러 확장시키기 위하여 하우징의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게 누름봉이 설치되는 누름봉 설치단계; 상기 피부에 상기 약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이 형성되는 분사노즐 형성단계; 상기 분사노즐에 약물을 공급하기 위한 주입공과 주입관이 형성되는 주입공 및 주입관 형성단계;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피부에 분사된 약물 중에서 상기 확장된 피부의 땀구멍으로 주입되지 않고 남아 있는 약물을 회수하기 위한 배출공과 배출관이 형성되는 배출공 및 배출관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상기 핸드피스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는 체결부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누름봉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 내벽에 서로 대향지게 쌍으로 형성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누름봉의 하부 양측에 서로 대향지게 쌍으로 형성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이 회전되는 하우징 회전단계; 상기 하우징의 하측 내벽에 구비된 분사노즐을 통하여 피부에 약물이 분사되는 약물 분사단계; 및 상기 하우징의 배출공을 통하여 상기 약물이 흡입되는 약물 흡입단계;를 포함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이 회전되는 단계 이전에, 누름봉이 상기 피부를 누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이 회전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하우징의 주입구를 통해 약물이 주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배출공을 통해 상기 약물이 흡입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약물이 배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이의 제작 방법 및 사용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약물을 주입하고자 하는 부분의 피부를 누름봉으로 눌러서 땀구멍이나 모공이 자연스럽게 확장된 상태에서 약물을 분사하여 주입되게 함으로써, 약물 주입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약물을 주입하고자 하는 부분의 피부를 누름봉으로 눌러서 땀구멍이나 모공을 확장시킨 상태에서 약물을 압력으로 분사하여 주입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약물을 주입하고자 하는 부분의 피부를 누름봉으로 눌러서 땀구멍이나 모공을 확장시킨 상태에서 약물을 압력으로 분사하여 주입함으로써, 아픔이 없고, 피부의 자극이 적으며, 별다른 추가비용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누름봉을 이용한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6의 (a),(b)는 누름봉에 의해 땀샘이 확장되기 전후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누름봉을 이용한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의 제작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구동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것이며, 어떠한 의미를 한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포함 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이 핸드피스와 결합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은 핸드피스(100)와 결합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핸드피스(100)는 피부의 내측으로 주입할 약물(예: 피부 영양제)이 담겨져 있는 앰플(ampoule)이나 약물 공급통, 상기 약물을 소정의 압력으로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200)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펌프 및 피부에 분사된 후 피부의 내측으로 주입되지 않은 약물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200)은 약물을 주입하고자 하는 부위의 피부를 누름봉으로 눌러서 땀샘(또는 모공)을 확장시킨 후 핸드피스(100)로부터 공급되는 약물을 노즐을 통해 분사하고, 분사 후 피부의 내측으로 주입되지 않은 약물을 흡입하여 핸드피스 또는 외부로 배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사용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누름봉을 이용한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사용 예시도이고, 도 6은 누름봉에 의해 땀샘이 확장되기 전후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200)은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의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약물이 주입될 부위의 피부를 누르기 위한 누름봉(212), 상기 누름봉(212)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 내벽(211)에 서로 대향지게 형성되어 피부에 약물을 분사하는 한 쌍의 분사노즐(213A,213B),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핸드피스(100)와 체결되는 체결부(220), 상기 체결부(2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링(221), 상기 체결부(220) 상에 각기 대향지게 형성된 한 쌍의 주입공(222A,222B) 및 배출공(223A,223B), 상기 주입공(222A,222B)과 상기 분사노즐(213A,213B) 간에 연결된 한 쌍의 주입관(224A,224B) 및 상기 분사노즐(213A,213B)에서 분사된 후 피부의 내측(예: 땀구멍)으로 주입되지 않은 약물을 회수하기 위해 상기 배출공(223A,223B)에 공통으로 연결된 배출관(225)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220)는 하우징(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핸드피스(100)와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200)을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 개의 체결링(221)들은 상기 체결부(220) 상에 각기 형성된 한 쌍의 주입공(222A,222B)과 배출공(223A,223B)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200)이 핸드피스(100)와 안정된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복수 개의 체결링(221)들은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를 위해 체결링(221)들은 일정치 이상의 탄성도를 갖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체결부(220)는 나사 체결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즉, 핸드피스(100)의 종단부에 마련된 너트 또는 볼트와 체결되는 볼트 또는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누름봉(212)의 일측 종단부는 하우징(210)의 하부 측에 고정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억지 끼움 방식이 사용되거나, 나사 체결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을 이용하여 시술 대상자의 피부에 약물을 주입하고자 하는 경우, 도 2에서와 같이 핸드피스(100)를 파지하고 누름봉(212)의 타측 종단부를 피부와 접촉시키고 가볍게 누른 상태에서 스캔하듯이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또는 지그재그로 이동시킨다. 이때, 하우징(210)은 핸드피스(10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누름봉(212)의 타측 종단부는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피부와 부드러운 접촉을 위해 라운드 형상을 갖도록 하였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땀구멍(301)의 크기는 도 6의 (a)와 같이 머리카락의 1/50 정도로 작으므로 그대로 약물을 주입하는 경우 약물이 잘 주입되지 않는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누름봉(212)의 타측 종단부를 상기와 같이 피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가볍게 누르면 피부가 함몰되면서 늘어나 누름봉(212)의 주변에 위치한 땀구멍(301)이 도 6의 (b)와 같이 확장된다.
핸드피스(100)의 내부에 마련된 앰플이나 약물 공급통에 저장되어 있는 약물은 공급펌프에 의해 펌핑된다. 이렇게 펌핑되는 약물은 주입공(222A,222B), 주입관(224A,224B) 및 분사노즐(213A,213B)을 연속적으로 통해 누름봉(212)의 주변에 위치한 피부에 분사된다. 이때, 분사되는 약물의 범위는 도 3에서와 같이 누름봉(212)의 타측 종단부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분사반경 이내가 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누름봉(212)의 주변에 위치한 땀구멍(301)들은 누름봉(212)에 의해 확장된 상태이므로 약물의 주입율이 땀구멍(301)을 확장시키지 않고 그대로 분사하는 것에 비하여 상당히 높아지게 된다.
여기서, 하우징(210)의 하부 내벽(211)에 서로 대향지게 형성된 분사노즐(213A,213B)을 통해 피부에 약물을 분사할 때, 피부의 경사각도와 직각을 이루게 분사하는 경우 약물의 주입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분사노즐(213A,213B)이 도 3에서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누름봉(212)에 의해 눌려진 피부에 분사된 약물 중에서 일부는 상기와 같이 누름봉(212)에 의해 확장된 땀구멍(301)들에 주입되고, 주입되지 않은 나머지는 피부 위에 남아 있게 된다. 하지만, 회수펌프가 구동되어 상기 피부 위에 남아 있는 약물이 배출관(225) 및 배출공(223A,223B)을 통해 회수되어 핸드피스(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된 회수통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회수펌프는 진공펌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약물의 분사동작과 회수동작은 동시에 수행되므로, 피부의 땀구멍(301)에 주입되지 않고 남아 있는 약물의 양이 계속해서 증가되지 않고 항상 일정치 이하로 유지된다.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약물을 주입하고자 하는 부분의 피부를 누름봉(212)으로 눌러서 땀구멍을 확장시킨 상태에서 확장된 땀구멍에 약물을 분사시켜 주입되게 함으로써, 약물의 주입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누름봉을 이용한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200)은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의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약물이 주입될 부위의 피부를 누르기 위한 누름봉(212), 상기 누름봉(212)의 하부 양측에 서로 대향지게 형성되어 피부의 내측에 약물을 분사하는 한 쌍의 분사노즐(214A,214B),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핸드피스(100)와 체결되는 체결부(220), 상기 체결부(2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링(221), 상기 체결부(220) 상에 각기 대향지게 형성된 한 쌍의 주입공(222A,222B) 및 배출공(223A,223B), 상기 주입공(222A,222B)과 상기 분사노즐(213A,213B) 간에 공통으로 연결된 주입관(224) 및 상기 분사노즐(214A,214B)에서 분사된 후 피부의 내측(예: 땀구멍)으로 주입되지 않은 약물을 회수하기 위해 상기 배출공(223A,223B)에 공통으로 연결된 배출관(225)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220)는 하우징(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핸드피스(100)와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200)을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 개의 체결링(221)들은 상기 체결부(220) 상에 각기 형성된 한 쌍의 주입공(222A,222B)과 배출공(223A,223B)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200)이 핸드피스(100)와 안정된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복수 개의 체결링(221)들은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를 위해 체결링(221)들은 일정치 이상의 탄성도를 갖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체결부(220)는 나사 체결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즉, 체결부(220)는 핸드피스(100)의 종단부에 마련된 너트 또는 볼트와 체결되는 볼트 또는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누름봉(212)의 일측 종단부는 하우징(210)의 하부 측에 고정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억지 끼움 방식이 사용되거나, 나사 체결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상기 제1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1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분사노즐(213A,213B)이 누름봉(212)을 사이에 두고 하우징(210)의 하부 내벽(211)에 서로 대향지게 형성되어 피부에 약물을 분사하는 구조를 갖는 것에 비하여, 제2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분사노즐(214A,214B)이 누름봉(212)의 하부 양측에 서로 대향지게 형성되어 피부에 약물을 분사하는 구조를 갖는 차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서는 주입관(224A,224B)의 일측이 하우징(210)의 하부 내벽(211)에 서로 대향지게 형성된 분사노즐(213A,213B)과 연결되는 것에 비하여, 제2실시예에서는 주입관(224)의 일측이 누름봉(212)의 하부 양측에 서로 대향지게 형성된 한 쌍의 분사노즐(214A,214B)에 공통으로 연결된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작용설명 중에서 피부에 주입되지 않고 피부 위에 남아 있는 약물을 회수처리하는 것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다음에서는 약물을 피부에 분사하는 것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핸드피스(100)의 내부에 마련된 앰플이나 약물 공급통에 저장되어 있는 약물은 공급펌프에 의해 펌핑된다. 이렇게 펌핑되는 약물은 주입공(222A,222B), 주입관(224) 및 누름봉(212)에 형성된 분사노즐(214,214B)을 연속적으로 통해 누름봉(212)의 주변에 위치한 피부에 분사된다. 그런데,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누름봉(212)의 주변에 위치한 땀구멍(301)들은 누름봉(212)에 의해 확장된 상태이므로 약물의 주입율이 땀구멍(301)을 확장시키지 않고 그대로 분사하는 것에 비하여 높아지게 된다.
여기서, 분사노즐(214,214B)을 통해 피부에 약물을 분사할 때 확장된 땀구멍의 각도와 분사노즐(214,214B)의 각도를 일치시키거나 유사하게 함으로써 약물의 주입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분사노즐(214,214B)이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누름봉(212)에 의해 눌려진 피부에 분사된 약물의 일부는 상기와 같이 누름봉(212)에 의해 확장된 땀구멍(301)들에 주입되고, 주입되지 않은 나머지는 피부 위에 남아 있게 된다. 하지만, 회수펌프가 구동되어 상기 피부 위에 남아 있는 약물이 배출관(225) 및 배출공(223A,223B)을 통해 회수되어 핸드피스(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된 회수통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약물의 분사동작과 회수동작은 동시에 수행되므로, 피부의 땀구멍(301)에 주입되지 않은 약물의 양이 계속해서 증가되지 않고 일정치 이하로 유지된다.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약물을 주입하고자 하는 부분의 피부를 누름봉(212)으로 눌러서 땀구멍을 확장시킨 상태에서 누름봉(212)을 통해 확장된 땀구멍에 약물을 분사시켜 주입되게 함으로써, 약물의 주입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종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200)은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에서 내벽(211)으로 둘러싸인 흡입공간(215)을 사이에 두고 내벽(211)의 양측에 서로 대향지게 형성되어 피부에 약물을 분사하는 한 쌍의 분사노즐(213A,213B),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핸드피스(100)와 체결되는 체결부(220), 상기 체결부(2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링(221), 상기 체결부(220) 상에 각기 대향지게 형성된 한 쌍의 주입공(222A,222B) 및 배출공(223A,223B), 상기 주입공(222A,222B)과 상기 분사노즐(213A,213B) 간에 각기 연결된 주입관(224A,224B) 및 상기 분사노즐(213A,213B)에서 분사된 후 피부의 내측(예: 땀구멍)으로 주입되지 않은 약물을 회수하기 위해 상기 배출공(223A,223B)에 공통으로 연결된 배출관(225)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220)는 하우징(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핸드피스(100)와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200)을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 개의 체결링(221)들은 상기 체결부(220) 상에 각기 형성된 한 쌍의 주입공(222A,222B)과 배출공(223A,223B)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200)이 핸드피스(100)와 안정된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체결링(221)들은 일정치 이상의 탄성도를 갖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체결부(220)는 나사 체결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즉, 핸드피스(100)의 종단부에 마련된 너트 또는 볼트와 체결되는 볼트 또는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제1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누름봉(212)을 사용하지 않고 흡입공간(215)을 통해 피부를 흡입하여 확장시킨 상태에서 확장된 피부 내의 확장된 땀구멍을 통해 약물을 피부 내측으로 주입하는 것이 차이점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한 작용설명 중에서 상기 제1실시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부분의 작용을 설명한다.
배출공(223A,223B), 배출관(225)은 피부에 분사된 약물 중에서 땀구멍(301)들에 주입되지 않은 약물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피부를 소정의 압력으로 흡입(suction)하여 확장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핸드피스(100)를 파지하고 하우징(200)의 바닥면을 피부와 접촉시키고 가볍게 누른 상태에서 핸드피스(100)를 동작시킨다. 이때, 핸드피스(100) 내부의 회수펌프 모터가 상기 제1실시예에서의 회전수(RPM)에 비하여 높은 회전수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흡입공간(215), 배출관(225) 및 배출공(223A,223B)을 통해 석션작용이 이루어져 피부가 도 12에서와 같이 볼록하게 확장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핸드피스(100)의 공급펌프가 구동되어 핸드피스(100)의 내부에 마련된 앰플이나 약물 공급통에 저장되어 있는 약물이 펌핑되고, 이렇게 펌핑되는 약물은 주입공(222A,222B), 주입관(224A,224B) 및 분사노즐(213A,213B)을 연속적으로 통해 상기와 같이 확장된 피부에 분사된다.
이렇게 분사된 약물의 일부는 상기와 같이 확장된 땀구멍(301)들에 주입되고, 주입되지 않은 나머지는 피부 위에 남아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석션경로 즉, 흡입공간(215), 배출관(225) 및 배출공(223A,223B)을 통해 회수되어 핸드피스(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된 회수통에 배출된다. 따라서, 피부를 통해 주입되지 않고 피부 위에 남아 있는 약물의 양은 일정치 이하로 유지된다.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약물을 주입하고자 하는 부분의 피부를 석션하여 확장시킨 상태에서 확장된 땀구멍에 약물을 분사시켜 주입되게 함으로써, 약물의 주입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제작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제작 방법은 하우징의 상부에 핸드피스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는 체결부 형성단계(S1), 약물이 주입될 부위의 피부를 눌러 확장시키기 위하여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하우징의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게 누름봉이 설치되는 누름봉 설치단계(S2), 상기 피부에 상기 약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이 형성되는 분사노즐 형성단계(S3), 상기 분사노즐에 약물을 공급하기 위한 주입공과 주입관이 형성되는 주입공 및 주입관 형성단계(S4),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피부에 분사된 약물 중에서 상기 확장된 피부의 땀구멍으로 주입되지 않고 남아 있는 약물을 회수하기 위한 배출공과 배출관이 형성되는 배출공 및 배출관 형성단계(S5)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 형성단계(S1)에서는 하우징(210)의 상부에 체결부(220)가 형성된다. 체결부(220)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200)을 핸드피스(100)의 일측 종단부와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체결부(220)는 핸드피스(100)와의 체결을 위해 일정치 이상의 탄성도를 갖고 주입공(222A,222B)과 배출공(223A,223B)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링(221)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체결부(220)는 핸드피스(100)의 종단부에 마련된 너트 또는 볼트와 체결되는 볼트 또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누름봉 설치단계(S2)에서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200)의 하우징(210)의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게 누름봉(212)이 설치된다. 사용자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200)과 결합된 핸드피스(100)를 파지하고 누름봉(212)의 종단부를 피부와 접촉시킨 상태에서 가볍게 누르면서 스캔하듯이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또는 지그재그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누름봉(212)의 종단부와 접촉된 부위의 피부가 눌려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눌려진 부위의 피부에 있는 땀구멍들이 확장된다. 누름봉(212)의 종단부는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피부와 부드러운 접촉을 위해 라운드 형상을 갖도록 하였다.
분사노즐 형성단계(S3)에서는 누름봉(212)을 사이에 두고 하우징(210)의 하부 내벽(211)에 서로 대향지게 한 쌍의 분사노즐(213A,213B)이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로써, 한 쌍의 분사노즐(214A,214B)은 상기 누름봉(212)의 하부 양측에 서로 대향지게 형성될 수 있다.
주입공 및 주입관 형성단계(S4)에서는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공(222A,222B)이 상기 체결부(220) 상에 형성되고, 주입관(224A,224B)은 상기 주입공(222A,222B)과 상기 분사노즐(213A,213B)을 연결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주입공(222A,222B)은 체결부(220) 이외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공 및 배출관 형성단계(S5)에서는 상기 체결부(220) 상에 대향지게 배출공(223A,223B)이 형성되고, 하우징(210)의 하부에서 내벽(211)으로 둘러싸인 흡입공간(215)과 배출공(223A,223B)을 연결하는 배출관(22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단계 즉, 체결부 형성단계(S1), 누름봉 설치단계(S2), 분사노즐 형성단계(S3), 주입공 및 주입관 형성단계(S4), 배출공 및 배출관 형성단계(S5)는 순서에 관계없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200)을 제작하고, 이렇게 제작된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200)을 핸드피스(100)와 결합하여 상기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피부를 확장시켜 약물을 주입함으로써, 약물의 주입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구동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구동 방법은 하우징이 회전되는 하우징 회전단계(S11), 상기 하우징의 하측 내벽에 구비된 분사노즐을 통하여 약물이 분사되는 약물 분사단계(S12) 및 상기 하우징의 배출공을 통하여 상기 약물이 흡입되는 약물 흡입단계(S1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회전단계(S11)에서는 핸드피스(10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하우징(210)이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하우징 회전단계(S11)가 수행되기 이전에 누름봉(212)이 피부를 누르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 회전단계(S11)가 수행되기 이전에 주입공(222A,222B)을 통하여 약물이 주입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약물 분사단계(S12)에서는 하우징(210)의 하측 내벽에 구비된 분사노즐(213A,213B)을 통하여 피부에 약물이 분사된다.
약물 흡입단계(S13)에서는 하우징(210)의 분사노즐(213A,213B)을 통하여 피부에 분사된 후 피부에 주입되지 않고 남아 있는 약물이 흡입된다. 이렇게 흡입된 약물은 배출공(223A,223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핸드피스
200 :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210 : 하우징
212 : 누름봉
213A,213B : 분사노즐
220 : 체결부
221 : 체결링
222A, 222B : 주입공
223A, 223B : 배출공
224A, 224B : 주입관
225 : 배출관

Claims (30)

  1.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흡입공간;
    상기 하우징(housing)의 내벽에 형성되며 흡입공간을 향하는 분사노즐(nozzle);
    상기 하우징의 외벽에 형성된 주입공;
    상기 분사노즐과 상기 주입공 사이를 연결하는 주입관;
    상기 하우징의 외벽에 형성된 배출공;
    상기 흡입공간과 상기 배출공을 연결하는 배출관;
    타측 종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흡입 공간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흡입공간의 중앙에 배치된 누름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핸드피스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상기 체결부 상에 대향지게 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공은
    상기 체결부 상에 서로 대향지게 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봉의 일측 종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봉의 타측 종단부는 라운드(round)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봉의 일측 종단부는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누름봉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서 흡입공간을 향하여 서로 대향지게 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분사되는 약물이 상기 누름봉의 타측 종단부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분사반경의 내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누름봉에 의해 확장된 피부의 경사 각도와 직각을 이루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을 통하여 분사되는 약물에는 피부영양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13.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흡입공간;
    타측 종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흡입공간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흡입공간의 중앙에 배치된 누름봉;
    상기 누름봉의 타측 종단부에 형성되며 흡입공간을 향하는 분사노즐;
    상기 하우징의 외벽에 형성된 주입공;
    상기 분사노즐과 상기 주입공 사이를 연결하는 주입관;
    상기 하우징의 외벽에 형성된 배출공;
    상기 흡입공간과 상기 배출공을 연결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핸드피스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누름봉의 타측 종단부 양측에 서로 대향지게 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누름봉에 의해 확장된 피부의 경사 각도와 직각을 이루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봉은 일측 종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봉의 타측 종단부는 라운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20. 하우징의 흡입공간의 외부로 타측 종단부가 돌출되게, 누름봉이 상기 흡입공간의 중앙에 설치되는 누름봉 설치단계;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상기 흡입공간을 향하도록 분사노즐이 형성되는 분사노즐 형성단계;
    상기 하우징의 외벽에 주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분사노즐과 상기 주입공이 연결되도록 주입관을 형성하는 주입공 및 주입관 형성단계;
    상기 하우징의 외벽에 배출공을 형성하고, 상기 흡입공간과 상기 배출공이 연결되도록 배출관을 형성하는 배출공 및 배출관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제작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핸드피스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는 체결부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제작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누름봉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 내벽에 서로 대향지게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제작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누름봉의 하부 양측에 서로 대향지게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제작 방법.
  24. 하우징의 외벽에 형성된 주입공를 통해 약물이 주입되는 단계;
    상기 하우징이 회전되는 하우징 회전단계;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형성되며 흡입공간을 향하는 분사노즐을 통하여 상기 주입공과 주입관을 통하여 도입된 약물이 분사되는 약물 분사단계; 및
    상기 흡입공간과 연결된 배출관을 통하여 약물이 흡입되는 약물 흡입단계;
    상기 하우징의 외벽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하여 약물이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타측 종단부가 상기 흡입공간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흡입공간의 중앙에 배치된 누름봉을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의 구동 방법.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200119321A 2020-09-16 2020-09-16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521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321A KR102521680B1 (ko) 2020-09-16 2020-09-16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321A KR102521680B1 (ko) 2020-09-16 2020-09-16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758A KR20220036758A (ko) 2022-03-23
KR102521680B1 true KR102521680B1 (ko) 2023-04-13

Family

ID=80963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321A KR102521680B1 (ko) 2020-09-16 2020-09-16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6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106B1 (ko) 2012-12-13 2014-05-27 주식회사 유니온 메디칼 회전분사식 팁이 구비된 핸드피스
KR101483559B1 (ko) 2014-01-16 2015-01-16 주식회사 클라인 핸드피스 팁
KR101608179B1 (ko) * 2015-11-24 2016-03-31 지승구 피부용 약물주입장치
KR101717703B1 (ko) * 2015-04-07 2017-03-17 주식회사 벤디슨 분사 및 흡입이 가능한 핸드피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137B1 (ko) * 2015-04-30 2017-01-17 (주)휴레브 피부 건강 관리장치
KR20170004428A (ko) * 2015-07-02 2017-01-11 주식회사 아쿠아비스 피부관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106B1 (ko) 2012-12-13 2014-05-27 주식회사 유니온 메디칼 회전분사식 팁이 구비된 핸드피스
KR101483559B1 (ko) 2014-01-16 2015-01-16 주식회사 클라인 핸드피스 팁
KR101717703B1 (ko) * 2015-04-07 2017-03-17 주식회사 벤디슨 분사 및 흡입이 가능한 핸드피스
KR101608179B1 (ko) * 2015-11-24 2016-03-31 지승구 피부용 약물주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758A (ko)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970243U (zh) 一种妇产科雾化熏蒸护理机
CN102046135B (zh) 气雾压浴系统
KR102521680B1 (ko) 비침습 시술용 약물 분사관,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의 구동 방법
CN205598423U (zh) 麻醉装置
CN102046137B (zh) 气雾压浴系统
KR20220036773A (ko) 약물 분사관,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0266170Y1 (ko) 콧물흡입기 겸용 비염치료기
KR101398106B1 (ko) 회전분사식 팁이 구비된 핸드피스
US20150057578A1 (en) Suction opening for vacuum absorption type massage machine
CN108325067A (zh) 一种用于改善药理活性化合物给药的方法和装置
JPWO2018203392A1 (ja) 皮膚吸引ヘッド及びそれを備えた吸引装置
CN2478555Y (zh) 多功能囊肿穿刺针
CN111544284A (zh) 一种医用祛痘水氧机及其使用方法
CN206587244U (zh) 呼吸科用药装置
CN218793193U (zh) 一种传染病防治装置
CN218280098U (zh) 一种便携式针灸康复推拿器
CN205672205U (zh) 一种保健用按摩装置
CN214074239U (zh) 足疗按摩装置
CN103212145A (zh) 药物雾化供药器
CN211214957U (zh) 一种微导触渗装置
CN209392511U (zh) 一种微量注射泵的加长件
CN116869799A (zh) 一种可熏蒸的按摩型毛囊上药系统
CN215780664U (zh) 一种注射式鼻腔喷雾组件
CN219847696U (zh) 一种一次性鼻腔气雾给药器
CN219251251U (zh) 一种按压式鼻腔喷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