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574B1 - 다목적 테이블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목적 테이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574B1
KR102521574B1 KR1020210091916A KR20210091916A KR102521574B1 KR 102521574 B1 KR102521574 B1 KR 102521574B1 KR 1020210091916 A KR1020210091916 A KR 1020210091916A KR 20210091916 A KR20210091916 A KR 20210091916A KR 102521574 B1 KR102521574 B1 KR 102521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plate
guide plate
lifting
vertica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1559A (ko
Inventor
이호석
Original Assignee
이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석 filed Critical 이호석
Priority to KR1020210091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574B1/ko
Publication of KR20230011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toothed r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20Telescopic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6Doors; Covers for open-top cabi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toothed rack
    • A47B2009/065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toothed rack having rack and pin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테이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판의 각 모서리부위를 안정적으로 균일하게 승강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강부의 랙바에 잔재하는 기름 등의 이물질이 사용자의 손 등의 신체부위에 묻을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사용자의 부주의로 상판의 하부방향의 식탁부위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신체부위가 위치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주의를 줄 수 있어 하강하는 상기 상판으로 인해 사용자가 손가락 부위 등의 신체부위에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테이블 시스템{Versatile table system}
본 발명은 상판의 각 모서리부위를 안정적으로 균일하게 승강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강부의 랙바에 잔재하는 기름 등의 이물질이 사용자의 손 등의 신체부위에 묻을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사용자의 부주의로 상판의 하부방향의 식탁부위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신체부위가 위치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주의를 줄 수 있어 하강하는 상기 상판으로 인해 사용자가 손가락 부위 등의 신체부위에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다목적 테이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국에서의 식탁은 방바닥이나 마루에 앉아서 먹도록 낮게 만들었으며 상 또는 소반이라 한다.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천판(天板)의 모양, 상 다리의 모양, 생산지, 크기, 칠, 재질 등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되며, 원래의 한국의 식탁은 좌식의 낮은 것이 아니라 의자에 걸터앉아서 먹는 입식이었다.
한편, 온 가족이 모여 정성 가득한 식사를 할 수 있는 식탁(Table)이 요구되며, 특히 대기업 및 백화점은 원테이블' 출시를 위해 가정 간편식의 주 타켓층인 30~40대 주부 고객과 전문가 등 20여명으로 구성된 '원테이블 맛 평가단'을 꾸리는 등 1년여의 준비를 한다.
그리고, "가정 간편식 시장 규모가 빠르게 확대되는데다 기존 간편식보다 고급스러우면서도 품질이 우수한 상품에 대한 수요 역시 늘어나고 있다"며 "고급 식재료를 활용한 고품격 식탁테이블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테이블은 무역센터점 등 전국 백화점에서 판매되며 향후 아울렛·온라인몰·홈쇼핑 등으로 판매처를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테이블과 관련하여 본 발명자는 보관대상물을 시원한 상태로 바로 꺼내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대상물을 꺼내는 과정 중에 상기 보관대상물이 식탁에 충돌하여 찌그러지거나 깨지면서 파손될 우려가 없는 다목적 콜드 테이블 시스템을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118323호로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118323호의 경우,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상판의 하부방향의 식탁부위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신체부위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판이 하강하게 되면 하강하는 상판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신체부위를 가압하게 되면서 사용자가 손가락 부위에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11832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상판의 각 모서리부위를 안정적으로 균일하게 승강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강부의 랙바에 잔재하는 기름 등의 이물질이 사용자의 손 등의 신체부위에 묻을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사용자의 부주의로 상판의 하부방향의 식탁부위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신체부위가 위치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주의를 줄 수 있어 하강하는 상기 상판으로 인해 사용자가 손가락 부위 등의 신체부위에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다목적 테이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에 냉장실이 구비되는 식탁과; 상기 식탁의 냉장실의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측에 상기 냉장실에 보관하고자 하는 보관대상물이 보관되며, 상기 상판을 따라 승강운동하여 상기 냉장실의 내부로 인입 및 상기 냉장실의 외부로 인출되는 보관부와; 상기 상판의 하부 각 모서리부위에 수직구비되어 상기 상판과 함께 승강하는 랙바와, 상기 랙바와 각각 치합되고 상기 랙바를 승강시키기 위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냉장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일측구동부재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냉장실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기어를 따라 회전하는 일측스프로켓 및 타측스프로켓과, 상기 일측스프로켓과 상기 타측스프로켓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감겨지고 중심부가 X자로 교차하는 엔드리스체인으로 구성되는 승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테이블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냉장실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일측구동부재와 함께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타측구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의 랙바가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랙바의 승강에 따라 상하길이가 신축되는 텔레스코픽 지주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부의 엔드리스체인의 상부 중심부와 하부 중심부가 X자로 교차하도록 상기 엔드리스체인의 상부는 상기 일측스프로켓의 상부에서 상기 타측스프로켓의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고, 상기 엔드리스체인의 하부는 상기 일측스프로켓의 하부에서 상기 타측스프로켓의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며, 상기 엔드리스체인의 상부 중심부 부위가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엔드리스체인의 상부를 따라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엔드리스체인의 상부의 순환이동을 안내하는 전측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전측가이드프레임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엔드리스체인의 하부 중심부 부위가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엔드리스체인의 하부를 따라 상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엔드리스체인의 하부의 순환이동을 안내하는 후측가이드프레임;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측가이드프레임은 제 1수직가이드판 및 제 2수직가이드판과, 상기 제 1수직가이드판의 하부와 상기 제 2수직가이드판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 1수평가이드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수직가이드판과 상기 제 2수직가이드판 사이에 상기 엔드리스체인의 상부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 1수직가이드판 및 제 2수직가이드판과 상기 제 1수평가이드판이 상기 엔드리스체인의 상부를 따라 하향경사지며, 상기 후측가이드프레임은 제 3수직가이드판 및 제 4수직가이드판과, 상기 제 3수직가이드판의 하부와 상기 제 4수직가이드판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 2수평가이드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3수직가이드판과 상기 제 4수직가이드판 사이에 상기 엔드리스체인의 하부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 3수직가이드판 및 상기 제 4수직가이드판과 상기 제 2수평가이드판이 상기 엔드리스체인의 하부를 따라 상향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수직가이드판의 일측과 상기 제 3수직가이드판의 일측에서 각각 상기 제 1수직가이드판의 전측 외부방향 및 상기 제 3수직가이드판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경사지게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제 1일측보조가이드경사판과, 상기 제 2수직가이드판의 일측과 상기 제 4수직가이드판의 일측에서 각각 상기 제 2수직가이드판의 후측 외부방향 및 상기 제 4수직가이드판의 후측 외부방향으로 경사지게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제 2일측보조가이드경사판과, 상기 제 1수평가이드판의 일측과 상기 제 2수평가이드판의 일측에서 각각 상기 제 1수평가이드판의 일측 하부방향 및 상기 제 2수평가이드판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경사지게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제 3일측보조가이드경사판으로 구성되는 일측보조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제 1수직가이드판의 타측과 상기 제 3수직가이드판의 타측에서 각각 상기 제 1일측보조가이드경사판과 좌우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제 1타측보조가이드경사판과, 상기 제 2수직가이드판의 타측과 상기 제 4수직가이드판의 타측에서 각각 상기 제 2일측보조가이드경사판과 좌우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제 2타측보조가이드경사판과, 상기 제 1수평가이드판의 타측과 상기 제 2수평가이드판의 타측에서 각각 상기 제 3일측보조가이드경사판과 좌우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제 3타측보조가이드경사판으로 구성되는 타측보조가이드프레임;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상판의 하부 일측에 상기 상판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상부가 고정되는 복수의 일측고정브라켓과, 복수의 상기 일측고정브라켓의 하부에 타측이 각각 축결합되는 복수의 일측연결링크와, 복수의 상기 일측연결링크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연결링크의 타측에서 상기 상판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는 일측승강판과, 복수의 상기 일측연결링크의 일측에 수평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일측연결링크의 일측과 함께 승강운동하는 일측승강축과, 상기 일측승강판이 하강된 상태를 감지하는 일측감지부재로 구성되는 일측감지부와; 상기 상판의 하부 타측에 상기 상판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상부가 고정되는 복수의 타측고정브라켓과, 복수의 상기 타측고정브라켓의 하부에 일측이 각각 축결합되는 복수의 타측연결링크와, 복수의 상기 타측연결링크 중 어느 하나의 타측연결링크의 일측에서 상기 상판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는 타측승강판과, 복수의 상기 타측연결링크의 타측에 수평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타측연결링크의 타측과 함께 승강운동하는 타측승강축과, 상기 타측승강판이 하강된 상태를 감지하는 타측감지부재로 구성되는 타측감지부와; 상기 상판의 하부 전측에 상기 상판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상부가 고정되는 복수의 전측고정브라켓과, 복수의 상기 전측고정브라켓의 하부에 후측이 각각 축결합되는 복수의 전측연결링크와, 복수의 상기 전측연결링크 중 어느 하나의 전측연결링크의 후측에서 상기 상판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는 후측승강판과, 복수의 상기 전측연결링크의 전측에 수평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전측연결링크의 전측과 함께 승강운동하는 전측승강축과, 상기 후측승강판이 하강된 상태를 감지하는 전측감지부재로 구성되는 전측감지부와; 상기 상판의 하부 후측에 상기 상판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상부가 고정되는 복수의 후측고정브라켓과, 복수의 상기 후측고정브라켓의 하부에 전측이 각각 축결합되는 복수의 후측연결링크와, 복수의 상기 후측연결링크 중 어느 하나의 후측연결링크의 전측에서 상기 상판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는 전측승강판과, 복수의 상기 후측연결링크의 후측에 수평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후측연결링크의 후측과 함께 승강운동하는 후측승강축과, 상기 전측승강판이 하강된 상태를 감지하는 후측감지부재로 구성되는 후측감지부와; 상기 일측감지부재의 감지신호, 상기 타측감지부재의 감지심호, 상기 전측감지부재의 감지신호 및 상기 후측감지부재의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경보부와; 상기 일측감지부재의 감지신호, 상기 타측감지부재의 감지심호, 상기 전측감지부재의 감지신호 및 상기 후측감지부재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경보부와 상기 승강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보관부는 상기 상판의 하부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상판의 전측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전측보관몸체와; 상기 전측보관몸체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상판의 하부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상판의 후측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후측보관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판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전측보관몸체의 상부와 상기 후측보관몸체의 상부가 각각 축결합되는 일측고정브라켓 및 타측고정브라켓과, 상기 일측고정브라켓의 하부 방향 및 상기 타측고정브라켓의 하부방향에 각각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일측승강몸체 및 타측승강몸체와, 상기 일측고정브라켓과 일측승강몸체 사이 및 상기 타측고정브라켓과 상기 타측승강몸체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일측승강몸체와 상기 타측승강몸체를 승강시키는 일측승강실린더 및 타측승강실린더와, 상기 일측승강몸체의 전측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전측보관몸체의 일측면 하부에 축결합되는 제 1전측연결링크와, 상기 타측승강몸체의 전측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전측보관몸체의 타측면 하부에 축결합되는 제 2전측연결링크와, 상기 일측승강몸체의 후측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후측보관몸체의 일측면 하부에 축결합되는 제 1후측연결링크와, 상기 타측승강몸체의 후측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후측보관몸체의 타측면 하부에 축결합되는 제 2후측연결링크로 구성되어 상기 전측보관몸체의 하부와 상기 후측보관몸체의 하부를 각각 상기 상판의 전측상하방향 및 후측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냉장실의 타측에 온장실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하부 일측에 상기 보관부가 구비되며, 상기 상판의 하부 타측에 구비 및 내측에 상기 온장실에 보관하고자 하는 보관대상물이 보관되고 상기 상판을 따라 승강운동하여 상기 온장실의 내부로 인입 및 온장실의 외부로 인출되는 보조보관부;가 구비되고, 상기 보관부는 상기 상판의 하부 일측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상판의 전측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전측보관몸체와; 상기 전측보관몸체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상판의 하부 일측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상판의 후측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후측보관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판의 하부 일측에 상기 상판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전측보관몸체의 상부와 상기 후측보관몸체의 상부가 각각 축결합되는 일측고정브라켓 및 타측고정브라켓과, 상기 일측고정브라켓의 하부 방향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일측승강몸체와, 상기 일측고정브라켓과 일측승강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일측승강몸체를 승강시키는 일측승강실린더와, 상기 일측승강몸체의 전측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전측보관몸체의 일측면 하부에 축결합되는 제 1전측연결링크와, 상기 일측승강몸체의 후측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후측보관몸체의 일측면 하부에 축결합되는 제 1후측연결링크로 구성되어 상기 전측보관몸체의 하부와 상기 후측보관몸체의 하부를 각각 상기 상판의 전측상하방향 및 후측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승강부를 통해 상판의 각 모서리부위를 안정적으로 균일하게 승강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승강부의 랙바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하길이가 신축되는 텔레스코픽 지주를 통해 상기 랙바에 잔재하는 기름 등의 이물질이 사용자의 손 등의 신체부위에 묻을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사용자의 부주의로 상판의 하부방향의 식탁부위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신체부위가 위치할 경우, 일측감지부, 타측감지부, 전측감지부 및 후측감지부를 통해 이를 감지하여 경보부를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주의를 줄 수 있어 하강하는 상기 상판으로 인해 사용자가 손가락 등의 신체부위에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목적 테이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상판이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일예의 승강부의 랙바로부터 텔레스코픽 지주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다른예의 승강부의 랙바로부터 텔레스코픽 지주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승강부의 엔드리스체인으로부터 전측가이드프레임과 후측가이드프레임이 각각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일부확대결합사시도이고,
도 10은 상판이 하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상판의 하부에 일측감지부, 전측감지부 및 후측감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상판의 하부에 일측감지부, 타측감지부, 전측감지부 및 후측감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일측감지부가 식탁과 상판 사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신체부위를 감지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배면도이고,
도 14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15는 보관부로부터 일예의 액추에이터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일예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보관부의 하부가 승강운동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9는 보조보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냉장실의 타측에 온장실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보관부 및 보조보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목적 테이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상판이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목적 테이블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식탁(10), 상판(20), 보관부(30) 및 승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식탁(10)의 하부에 냉장실(110)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판(20)은 상기 식탁(10)의 냉장실(110)의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보관부(30)는 상기 상판(20)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보관부(30)의 내측에는 상기 냉장실에 보관하고자 하는 냉동식품, 음료, 과일 등 다양한 종류의 보관대상물이 보관된다.
상기 보관부(30)는 상기 상판(20)을 따라 승강운동하여 상기 냉장실(110)의 내부로 인입 및 상기 냉장실(110)의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보관부(30)는 상기 상판(20)의 하부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상판(20)의 전측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전측보관몸체(310)와; 상기 전측보관몸체(3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상판(20)의 하부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상판(20)의 후측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후측보관몸체(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식탁(10), 상기 상판(20) 및 상기 보관부(30)는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118323호를 통해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일예의 승강부의 랙바로부터 텔레스코픽 지주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부(40)는 일예로, 도 4,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랙바(410), 피니언기어(420), 일측구동부재(430), 타측구동부재(440), 일측스프로켓(450), 타측스프로켓(460) 및 엔드리스체인(470)으로 구성된다.
상기 랙바(410)의 상부가 상기 상판(20)의 하부 각 모서리부위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상기 랙바(410)는 상기 상판(20)의 하부 각 모서리부위에 수직구비되어 상기 상판(20)과 함께 승강하게 된다.
상기 냉장실(110)의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에 가이드몸체(111)가 상기 냉장실(1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몸체(111)의 중심부 내측에 각각 상기 랙바(410)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직으로 수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몸체(111)는 안정적으로 정밀하게 상기 랙바(410)의 승강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420)는 상기 랙바(410)와 각각 치합된다.
상기 피니언기어(420)는 상기 랙바(410)를 승강시키기 위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피니언기어(420)는 제 1, 2, 3, 4피니언기어(420a, 420b, 420c, 420d)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2피니언기어(420a, 420b)는 상기 상판(20)의 하부 각 모서리부위에 수직구비된 상기 랙바(410) 중 상기 상판(20)의 일측 하부에 상기 상판(2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랙바(410)와 각각 치합될 수 있다.
상기 제 3, 4피니언기어(420c, 420d)는 상기 상판(20)의 하부 각 모서리부위에 수직구비된 상기 랙바(410) 중 상기 상판(20)의 타측 하부에 상기 상판(2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랙바(410)와 각각 치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구동부재(43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냉장실(110)의 일측면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수직구비되는 양축감속기어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구동부재(430)를 이룰 수 있는 양축감속기어모터의 전측구동축(430a)과 후측구동축(430b)에는 상기 전측구동축(430a) 및 상기 후측구동축(430b)을 따라 회전하는 상기 피니언기어(420)의 제 1, 2피니언기어(420a, 420b)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구동부재(43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냉장실(110)의 타측면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수직구비되는 양축감속기어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타측구동부재(430)를 이룰 수 있는 양축감속기어모터의 전측구동축(440a)과 후측구동축(440b)에는 상기 전측구동축(440a)과 후측구동축(440b)을 따라 회전하는 상기 피니언기어(420)의 제 3, 4피니언기어(420c, 420d)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스프로켓(450)은 상기 피니언기어(420)의 제 1피니언기어(420a)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구동부재(430)의 전측구동축(430a)에 결합되어 상기 일측구동부재(430)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피니언기어(420)의 제 1피니언기어(420a)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타측스프로켓(460)은 상기 피니언기어(420)의 제 3피니언기어(420c)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구동부재(440)의 전측구동축(440a)에 결합되어 상기 타측구동부재(440)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피니언기어(420)의 제 3피니언기어(420c)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엔드리스체인(470)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일측스프로켓(450)과 상기 타측스프로켓(460)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 엔드리스체인(470)의 중심부는 X자로 교차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구동부재(430)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420)의 제 1, 2피니언기어(420a, 420b)와 함께 일측스프로켓(45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타측구동부재(440)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420)의 제 3, 4피니언기어(420c, 420d)와 함께 상기 타측스프로켓(46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상기 랙바(410)와 함께 상기 상판(20)이 상기 냉장실(110)의 상부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엔드리스체인(470)의 중심부가 X자로 교차되어 있으므로, 상기 엔드리스체인(470)의 일측 부위는 상기 일측스프로켓(450)을 따라 원활하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엔드리스체인(470)의 타측부위는 상기 타측스프로켓(460)을 따라 원활하게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40)의 엔드리스체인(470)의 중심부가 X자로 교차되어 있으므로, 상기 일측스프로켓(450)과 상기 타측스프로켓(460)의 회전방향이 서로 상이하더라도 상기 승강부(40)에 의해 상기 상판(20)의 각 모서리부위가 안정적으로 균일하게 승강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부(40)의 랙바(410)의 승강에 따라 상하길이가 신축되는 텔레스코픽 지주(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텔레스코픽 지주(41)의 내측에 상기 랙바(41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텔레스코픽 지주(41)의 상부는 상기 상판(20)의 하부 각 모서리부위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각각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텔레스코픽 지주(41)의 하부는 상기 냉장실(110)의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에 상기 냉장실(1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상기 가이드몸체(111)의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40)의 랙바(410)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하길이가 신축되는 상기 텔레스코픽 지주(41)를 통해 상기 랙바(410)에 잔재하는 기름 등의 이물질이 사용자의 손 등의 신체부위에 묻을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부(40)의 엔드리스체인(470)의 상부 중심부와 하부 중심부가 X자로 교차하도록 상기 엔드리스체인(470)의 상부는 상기 일측스프로켓(450)의 상부에서 상기 타측스프로켓(460)의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엔드리스체인(470)의 하부는 상기 일측스프로켓(450)의 하부에서 상기 타측스프로켓(460)의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엔드리스체인(470)이 상기 일측스프로켓(450)과 상기 타측스프로켓(460)의 회전방향으로 순환이동하는 과정 중에 X자로 교차되어 있는 상기 엔드리스체인(470)의 상부 중심부와 하부 중심부가 서로 마찰되어 마모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X자로 교차되어 있는 상기 엔드리스체인(470)의 상부 중심부와 하부 중심부가 서로 간섭없이 원활히 순환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엔드리스체인(470)의 상부 중심부와 하부 중심부의 원활한 순환이동을 안내하는 전측가이드프레임(50) 및 후측가이드프레임(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가이드프레임(50)의 내측에 상기 엔드리스체인(470)의 상부 중심부 부위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전측가이드프레임(50)의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전측가이드프레임(50)은 상기 엔드리스체인(470)의 상부를 따라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엔드리스체인(470)의 상부의 순환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후측가이드프레임(60)은 상기 전측가이드프레임(5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가이드프레임(60)의 내측에 상기 엔드리스체인(470)의 하부 중심부 부위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후측가이드프레임(60)의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후측가이드프레임(60)은 상기 엔드리스체인(470)의 하부를 따라 상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엔드리스체인(470)의 하부의 순환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도 7은 다른예의 승강부의 랙바로부터 텔레스코픽 지주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다른예로, 상기 승강부(4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랙바(410), 상기 피니언기어(420), 상기 일측구동부재(430), 상기 일측스프로켓(450), 상기 타측스프로켓(460) 및 상기 엔드리스체인(47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냉장실(110)의 타측 상부에 상기 냉장실(1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회전축(440c)이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440)의 전측과 후측에 상기 피니언기어(420)의 제 3, 4피니언기어(420c, 420d)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스프로켓(460)은 상기 피니언기어(420)의 제 3피니언기어(420c)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440)의 전측에 결합되어 상기 일측스프로켓(45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도 8은 승강부의 엔드리스체인으로부터 전측가이드프레임과 후측가이드프레임이 각각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일부확대결합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측가이드프레임(6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과 상기 냉장실(110)의 전측면 상부 중심부 사이에 상기 후측가이드프레임(60)을 일정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112)이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12)의 상부는 상기 냉장실(110)의 전측면 상부 중심부 방향으로 수평절곡되어 상기 냉장실(110)의 전측면 상부 중심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12)의 전측에 상기 후측가이드프레임(60)이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측가이드프레임(50)은 일예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제 1수직가이드판(510), 제 2수직가이드판(520) 및 제 1수평가이드판(5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수직가이드판(5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상기 제 2수직가이드판(520)이 상기 제 1수직가이드판(51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수평가이드판(530)은 상기 제 1수직가이드판(510)의 하부와 상기 제 2수직가이드판(520)의 하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수직가이드판(510)과 상기 제 2수직가이드판(520) 사이에 상기 엔드리스체인(470)의 상부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 1수직가이드판(510) 및 제 2수직가이드판(520)과 상기 제 1수평가이드판(530)이 상기 엔드리스체인(470)의 상부를 따라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후측가이드프레임(60)은 일예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제 3수직가이드판(610), 제 4수직가이드판(620)및 제 2수평가이드판(6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수직가이드판(610)의 전측에 상기 제 2수직가이드판(520)이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4수직가이드판(620)은 상기 제 3수직가이드판(61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3수직가이드판(610)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수직가이드판(620)은 상기 지지판(112)의 전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수평가이드판(630)은 상기 제 3수직가이드판(610)의 하부와 상기 제 4수직가이드판(620)의 하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수직가이드판(610)과 상기 제 4수직가이드판(620) 사이에 상기 엔드리스체인(470)의 하부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 3수직가이드판(610) 및 상기 제 4수직가이드판(620)과 상기 제 2수평가이드판(630)이 상기 엔드리스체인(470)의 하부를 따라 상향경사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엔드리스체인(470)의 상부와 하부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가이드프레임(50)의 내측과 상기 후측가이드프레임(60)의 내측을 각각 걸림현상없이 원활히 통과하면서 순환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전측가이드프레임(50)의 일측과 상기 후측가이드프레임(60)의 일측에 일측보조가이드프레임(70)이 형성 및 상기 전측가이드프레임(50)의 타측과 상기 후측가이드프레임(60)의 타측에 타측보조가이드프레임(8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보조가이드프레임(70)은 일예로, 크게, 제 1일측보조가이드경사판(710), 제 2일측보조가이드경사판(720) 및 제 3일측보조가이드경사판(7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보조가이드경사판(710)은 상기 제 1수직가이드판(510)의 일측에서 상기 제 1수직가이드판(510)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사선(/)으로 경사지게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일측보조가이드경사판(710)은 상기 제 3수직가이드판(610)의 일측에서 상기 제 3수직가이드판(610)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사선(/)으로 경사지게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보조가이드경사판(720)은 상기 제 2수직가이드판(520)의 일측에서 상기 제 2수직가이드판(52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외부방향으로 사선(\)으로 경사지게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일측보조가이드경사판(720)은 상기 제 4수직가이드판(620)의 일측에서 상기 제 4수직가이드판(620)의 후측 외부방향으로 사선(\)으로 경사지게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일측보조가이드경사판(730)은 상기 제 1수평가이드판(530)의 일측에서 상기 제 1수평가이드판(530)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사선(/)으로 경사지게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일측보조가이드경사판(730)은 상기 제 2수평가이드판(630)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사선(/)으로 경사지게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보조가이드프레임(80)은 일예로, 크게, 제 1타측보조가이드경사판(810), 제 2타측보조가이드경사판(820) 및 제 3타측보조가이드경사판(8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보조가이드경사판(810)은 상기 제 1수직가이드판(510)의 타측에 상기 제 1일측보조가이드경사판(710)과 좌우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타측보조가이드경사판(810)은 상기 제 3수직가이드판(610)의 타측에 상기 제 1일측보조가이드경사판(710)과 좌우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보조가이드경사판(820)은 상기 제 2수직가이드판(520)의 타측에 상기 제 2일측보조가이드경사판(720)과 좌우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타측보조가이드경사판(820)은 상기 제 4수직가이드판(620)의 타측에 상기 제 2일측보조가이드경사판(720)과 좌우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타측보조가이드경사판(830)은 상기 제 1수평가이드판(530)의 타측에 상기 제 3일측보조가이드경사판(730)과 좌우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타측보조가이드경사판(830)은 상기 제 2수평가이드판(630)의 타측에 상기 제 3일측보조가이드경사판(730)과 좌우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상판이 하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의 상기 승강부(40)의 일측구동부재(430)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420)의 제 1, 2피니언기어(420a, 420b)와 함께 일측스프로켓(45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타측구동부재(440)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420)의 제 3, 4피니언기어(420c, 420d)와 함께 상기 타측스프로켓(46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상기 랙바(410)와 함께 상기 상판(20)이 상기 상판(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냉장실(110)의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또는, 다른예의 상기 승강부(40)의 일측구동부재(430)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420)의 제 1, 2피니언기어(420a, 420b)와 함께 일측스프로켓(45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기어(420)의 제 3, 4피니언기어(420c, 420d)와 함께 상기 타측스프로켓(46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상기 랙바(410)와 함께 상기 상판(20)이 상기 상판(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냉장실(110)의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엔드리스체인(470)의 중심부가 X자로 교차되어 있으므로, 상기 엔드리스체인(470)의 일측 부위는 상기 일측스프로켓(450)을 따라 원활하게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엔드리스체인(470)의 타측부위는 상기 타측스프로켓(460)을 따라 원활하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1은 상판의 하부에 일측감지부, 전측감지부 및 후측감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상판의 하부에 일측감지부, 타측감지부, 전측감지부 및 후측감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판(20)의 하부 일측, 하부 타측, 하부 전측 및 하부 후측에 각각 일측감지부(90), 타측감지부(100), 전측감지부(200) 및 후측감지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감지부(90)는 일예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복수의 일측고정브라켓(910), 복수의 일측연결링크(920), 일측승강판(930), 일측승강축(940) 및 일측감지부재(950)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일측고정브라켓(910)의 상부는 상기 상판(20)의 하부 일측에 상기 상판(2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일측연결링크(920)의 타측은 복수의 상기 일측고정브라켓(910)의 하부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승강판(930)은 복수의 상기 일측연결링크(92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연결링크(920)의 타측에서 상기 상판(2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승강축(940)은 상기 상판(2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승강축(940)은 복수의 상기 일측연결링크(920)의 일측 중심부를 각각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한 상태로 복수의 상기 일측연결링크(920)의 일측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승강축(940)은 복수의 상기 일측연결링크(920)의 일측과 함께 승강운동할 수 있다.
상기 일측감지부재(950)는 상기 일측승강판(930)이 하강된 상태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감지부재(950)의 일측 상부 방향에 상기 일측승강판(930)이 일정높이로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감지부재(950)는 상기 상판(2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감지부재(950)의 타측 상부에는 상기 일측감지부재(950)의 타측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상판(20)의 하부 일측방향으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상판(20)의 하부 일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되는 연결대(9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감지부(100)는 일예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복수의 타측고정브라켓(101), 복수의 타측연결링크(102), 타측승강판(103), 타측승강축(104) 및 타측감지부재(105)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타측고정브라켓(101)의 상부는 상기 상판(20)의 하부 타측에 상기 상판(2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타측연결링크(102)의 일측은 복수의 상기 타측고정브라켓(101)의 하부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승강판(103)은 복수의 상기 타측연결링크(102) 중 어느 하나의 타측연결링크(102)의 일측에서 상기 상판(20)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승강축(104)은 상기 상판(2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승강축(104)은 복수의 상기 타측연결링크(102)의 타측 중심부를 각각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한 상태로 복수의 상기 타측연결링크(102)의 타측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승강축(104)은 복수의 상기 타측연결링크(102)의 타측과 함께 승강운동할 수 있다.
상기 타측감지부재(105)는 상기 타측승강판(103)이 하강된 상태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타측감지부재(105)의 타측 상부 방향에 상기 타측승강판(103)이 일정높이로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감지부재(105)는 상기 상판(20)의 하부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감지부재(105)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타측감지부재(105)의 일측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상판(20)의 하부 타측방향으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상판(20)의 하부 타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되는 연결대(10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감지부(200)는 일예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복수의 전측고정브라켓(201), 복수의 전측연결링크(202), 후측승강판(203), 전측승강축(204) 및 전측감지부재(205)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전측고정브라켓(201)의 상부는 상기 상판(20)의 하부 전측에 상기 상판(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전측연결링크(202)의 후측은 복수의 상기 전측고정브라켓(201)의 하부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측승강판(203)은 복수의 상기 전측연결링크(202) 중 어느 하나의 전측연결링크(202)의 후측에서 상기 상판(2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승강축(204)은 상기 상판(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승강축(204)은 복수의 상기 전측연결링크(202)의 전측 중심부를 각각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한 상태로 복수의 상기 전측연결링크(202)의 전측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승강축(204)은 복수의 상기 전측연결링크(202)의 전측과 함께 승강운동할 수 있다.
상기 전측감지부재(205)는 상기 후측승강판(203)이 하강된 상태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측감지부재(205)의 전측 상부 방향에 상기 후측승강판(203)이 일정높이로 위치하도록 상기 전측감지부재(205)은 상기 상판(20)의 하부 전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감지부재(205)의 후측 상부에는 상기 전측감지부재(205)의 후측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상판(20)의 하부 전측방향으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상판(20)의 하부 전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되는 연결대(20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감지부(300)는 일예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복수의 후측고정브라켓(301), 복수의 후측연결링크(302), 전측승강판(303), 후측승강축(304) 및 후측감지부재(305)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후측고정브라켓(301)의 상부는 상기 상판(20)의 하부 후측에 상기 상판(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후측연결링크(302)의 전측은 복수의 상기 후측고정브라켓(301)의 하부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측승강판(303)은 복수의 상기 후측연결링크(302) 중 어느 하나의 후측연결링크(302)의 전측에서 상기 상판(20)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승강축(304)은 상기 상판(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승강축(304)은 복수의 상기 후측연결링크(302)의 후측 중심부를 각각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한 상태로 복수의 상기 후측연결링크(302)의 후측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승강축(304)은 복수의 상기 후측연결링크(302)의 후측과 함께 승강운동할 수 있다.
상기 후측감지부재(305)는 상기 전측승강판(303)이 하강된 상태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측감지부재(305)의 후측 상부방향에 상기 전측승강판(303)이 일정높이로 위치하도록 상기 후측감지부재(305)는 상기 상판(20)의 하부 후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감지부재(305)의 전측 상부에는 상기 후측감지부재(305)의 전측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상판(20)의 하부 후측방향으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상판(20)의 하부 후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되는 연결대(306)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일측감지부가 식탁과 상판 사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신체부위를 감지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배면도이다.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부주의로 상기 상판(20)의 가장자리 하부방향의 상기 식탁(10) 부위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신체부위가 위치할 경우 하강 중인 상기 상판(20)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신체부위를 가압하게 되어 사용자가 손가락 등의 신체부위에 상해를 입을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하강 중인 상기 상판(20)으로 인해 사용자가 손가락 등의 신체부위에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하강 중인 상기 상판(20)의 가장자리 하부방향의 상기 식탁(10) 부위에 부주의로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신체부위가 위치하였음을 상기 일측감지부(90), 상기 타측감지부(100), 상기 전측감지부(200) 및 상기 후측감지부재(305)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감지한 경우, 경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주의를 주는 것이 좋다.
도 14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상기 경보부(40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감지부재(950)의 감지신호, 상기 타측감지부재(105)의 감지심호, 상기 전측감지부재(205)의 감지신호 및 상기 후측감지부재(305)의 감지신호에 따라 빛을 발광하도록 작동하는 LED 등의 발광부재 또는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발광부재와 스피커 모두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측감지부재(950)의 감지신호, 상기 타측감지부재(105)의 감지심호, 상기 전측감지부재(205)의 감지신호 및 상기 후측감지부재(305)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경보부(400)와 상기 승강부(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보부(400)와 상기 제어부(500)는 일예로, 상기 식탁(10)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하강 중인 상기 상판(20)의 하부에 각각 구비된 상기 일측승강축(940), 타측승강축(104), 전측승강축(204) 및 후측 승강축(205)이 평상시 자중에 의해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승강축(940), 타측승강축(104), 전측승강축(204) 및 후측 승강축(205)이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판(20)의 가장자리 하부방향의 상기 식탁(10) 부위에 부주의로 위치한 사용자의 손가락(F) 등의 신체부위와 접할 경우, 상기 일측승강축(940), 타측승강축(104), 전측승강축(204) 및 후측 승강축(205)이 각각 상승됨과 더불어 상기 일측승강판(930), 타측승강판(103), 후측승강판(203) 및 전측승강판(303)이 점차 하강하여 각각 상기 일측감지부재(950), 타측감지부재(105), 전측감지부재(205) 및 후측감지부재(305)와 접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일측감지부재(950), 타측감지부재(105), 전측감지부재(205) 및 후측감지부재(305)는 각각 상기 일측승강판(930), 타측승강판(103), 후측승강판(203) 및 전측승강판(303)을 감지할 수 있게 되고, 이때,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전원공급부(50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상기 경보부(400)의 발광부재가 빛을 발광 및 스피커가 경보음을 출력함과 더불어 전원공급부(501)에서 상기 승강부(40)의 일측구동부재(430) 및 타측구동부재(440)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승강부(40)의 일측구동부재(430) 및 타측구동부재(440)의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상기 일측감지부재(950), 타측감지부재(105), 전측감지부재(205) 및 후측감지부재(305)가 각각 상기 일측승강판(930), 타측승강판(103), 후측승강판(203) 및 전측승강판(303)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상판(20)의 가장자리 하부방향의 상기 식탁(10) 부위에 사용자의 손가락(F) 등의 신체부위가 위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경보부(400)의 작동이 중지 및 상기 승강부(40)가 상기 상판(20)을 하강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보관부로부터 일예의 액추에이터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결합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관부(30)의 전측보관몸체(310)의 하부와 상기 후측보관몸체(320)의 하부를 각각 상기 상판(20)의 전측상하방향 및 후측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6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600)는 일예로, 크게, 일측고정브라켓(600a), 타측고정브라켓(600b), 일측승강몸체(600c), 타측승강몸체(600d), 일측승강실린더(600e), 타측승강실린더(600f), 제 1전측연결링크(600g), 제 2전측연결링크(600h), 제 1후측연결링크(600i) 및 제 2후측연결링크(600j)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브라켓(600a)의 상부는 상기 상판(20)의 하부 일측 중간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고정브라켓(600b)의 상부는 상기 일측고정브라켓(600a)의 상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상판(20)의 하부 타측 중간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측보관몸체(310)의 일측면 상부 후측은 상기 일측고정브라켓(600a)의 전측 중간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측보관몸체(310)의 타측면 상부 후측은 상기 타측고정브라켓(600b)의 전측 중간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측보관몸체(320)의 일측면 상부 전측은 상기 일측고정브라켓(600a)의 후측 중간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측보관몸체(320)의 타측면 상부 전측은 상기 타측고정브라켓(600b)의 후측 중간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승강몸체(600c)는 상기 일측고정브라켓(600a)의 하부 방향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승강몸체(600d)는 상기 타측고정브라켓(600b)의 하부방향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승강실린더(600e)는 상기 일측고정브라켓(600a)과 상기 일측승강몸체(600c) 사이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승강실린더(600e)의 상부는 상기 일측고정브라켓(600a)의 하부에 볼트고정 또는 축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측승강실린더(600e)의 하부는 상기 일측승강몸체(600c)의 상부에 볼트고정, 축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승강실린더(600f)는 상기 타측고정브라켓(600b)과 상기 타측승강몸체(600d) 사이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승강실린더(600f)의 상부는 상기 타츠곡정브라켓(600b)의 하부에 볼트고정, 축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승강실린더(600f)의 하부는 상기 타측승강몸체(600d)의 상부에 볼트고정, 축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전측연결링크(600g)의 상부는 상기 일측승강몸체(600c)의 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전측연결링크(600g)의 하부는 상기 전측보관몸체(310)의 일측면 하부 중심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측연결링크(600h)의 상부는 상기 타측승강몸체(600d)의 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측연결링크(600h)의 하부는 상기 전측보관몸체(310)의 타측면 하부 중심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후측연결링크(600i)의 상부는 상기 일측승강몸체(600c)의 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후측연결링크(600i)의 하부는 상기 후측보관몸체(320)의 일측면 하부 중심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후측연결링크(600j)의 상부는 상기 타측승강몸체(600d)의 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후측연결링크(600j)의 하부는 상기 후측보관몸체(320)의 타측면 하부 중심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일예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보관부의 하부가 승강운동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승강실린더(600e)의 상하길이 및 상기 타측승강실린더(600f)의 상하길이가 신축됨에 따라 상기 일측승강몸체(600c)와 타측승강몸체(600d)가 승강운동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보관부(30)의 전측보관몸체(310)의 하부와 상기 후측보관몸체(320)의 하부가 각각 상기 상판(20)의 전측상하방향 및 후측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다.
도 19는 보조보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냉장실의 타측에 온장실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110)의 내부에는 상기 냉장실(110)의 내부를 구획하기 위한 구획판(140)이 수직으로 편심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140)을 기준으로 상기 냉장실(1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내부에 온장실(120)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냉장실(110)의 타측 내부에 사각틀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보온재(13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판(20)의 하부 일측에 상기 보관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판(20)의 하부 타측에는 상기 상판(20)을 따라 승강운동하여 상기 온장실(120)의 내부로 인입 및 상기 온장실(120)의 외부로 인출되는 보조보관부(31)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보관부(31)의 내측에는 상기 온장실(120)에 보관하고자 하는 국, 밥 등의 음식물이 담긴 그릇 등 다양한 종류의 보관대상물이 보관될 수 있다.
스티로폼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보온재(130)를 통해 상기 냉장실(110)의 일측 내부와 타측 내부에 온도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110)과 별개로 상기 온장실(120)은 상온에 노출되어 따뜻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1은 보관부 및 보조보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한편, 상기 액추에이터(600)는 다른예로서,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일측고정브라켓(600a), 상기 타측고정브라켓(600b), 상기 일측승강몸체(600c), 상기 일측승강실린더(600e), 상기 제 1전측연결링크(600g) 및 제 1후측연결링크(600i)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브라켓(600a)과 상기 타측고정브라켓(600b)가 상기 보조보관부(31)의 일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고정브라켓(600a)과 상기 타측고정브라켓(600b)은 상기 상판(20)의 하부 일측에 상기 상판(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10; 식탁, 20; 상판,
30; 보관부, 40; 승강부.

Claims (9)

  1. 하부에 냉장실이 구비되는 식탁과;
    상기 식탁의 냉장실의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측에 상기 냉장실에 보관하고자 하는 보관대상물이 보관되며, 상기 상판을 따라 승강운동하여 상기 냉장실의 내부로 인입 및 상기 냉장실의 외부로 인출되는 보관부와;
    상기 상판의 하부 각 모서리부위에 수직구비되어 상기 상판과 함께 승강하는 랙바와, 상기 랙바와 각각 치합되고 상기 랙바를 승강시키기 위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냉장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일측구동부재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냉장실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기어를 따라 회전하는 일측스프로켓 및 타측스프로켓과, 상기 일측스프로켓과 상기 타측스프로켓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감겨지고 중심부가 X자로 교차하는 엔드리스체인으로 구성되고, 상기 엔드리스체인의 상부 중심부와 하부 중심부가 X자로 교차하도록 상기 엔드리스체인의 상부는 상기 일측스프로켓의 상부에서 상기 타측스프로켓의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며, 상기 엔드리스체인의 하부는 상기 일측스프로켓의 하부에서 상기 타측스프로켓의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승강부와;
    상기 엔드리스체인의 상부 중심부 부위가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엔드리스체인의 상부를 따라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엔드리스체인의 상부의 순환이동을 안내하는 전측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전측가이드프레임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엔드리스체인의 하부 중심부 부위가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엔드리스체인의 하부를 따라 상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엔드리스체인의 하부의 순환이동을 안내하는 후측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테이블 시스템.
  2. 하부에 냉장실이 구비되는 식탁과;
    상기 식탁의 냉장실의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측에 상기 냉장실에 보관하고자 하는 보관대상물이 보관되며, 상기 상판을 따라 승강운동하여 상기 냉장실의 내부로 인입 및 상기 냉장실의 외부로 인출되는 보관부와;
    상기 상판의 하부 각 모서리부위에 수직구비되어 상기 상판과 함께 승강하는 랙바와, 상기 랙바와 각각 치합되고 상기 랙바를 승강시키기 위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냉장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일측구동부재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냉장실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기어를 따라 회전하는 일측스프로켓 및 타측스프로켓과, 상기 일측스프로켓과 상기 타측스프로켓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감겨지고 중심부가 X자로 교차하는 엔드리스체인으로 구성되는 승강부와;
    상기 상판의 하부 일측에 상기 상판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상부가 고정되는 복수의 일측고정브라켓과, 복수의 상기 일측고정브라켓의 하부에 타측이 각각 축결합되는 복수의 일측연결링크와, 복수의 상기 일측연결링크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연결링크의 타측에서 상기 상판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는 일측승강판과, 복수의 상기 일측연결링크의 일측에 수평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일측연결링크의 일측과 함께 승강운동하는 일측승강축과, 상기 일측승강판이 하강된 상태를 감지하는 일측감지부재로 구성되는 일측감지부와;
    상기 상판의 하부 타측에 상기 상판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상부가 고정되는 복수의 타측고정브라켓과, 복수의 상기 타측고정브라켓의 하부에 일측이 각각 축결합되는 복수의 타측연결링크와, 복수의 상기 타측연결링크 중 어느 하나의 타측연결링크의 일측에서 상기 상판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는 타측승강판과, 복수의 상기 타측연결링크의 타측에 수평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타측연결링크의 타측과 함께 승강운동하는 타측승강축과, 상기 타측승강판이 하강된 상태를 감지하는 타측감지부재로 구성되는 타측감지부와;
    상기 상판의 하부 전측에 상기 상판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상부가 고정되는 복수의 전측고정브라켓과, 복수의 상기 전측고정브라켓의 하부에 후측이 각각 축결합되는 복수의 전측연결링크와, 복수의 상기 전측연결링크 중 어느 하나의 전측연결링크의 후측에서 상기 상판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는 후측승강판과, 복수의 상기 전측연결링크의 전측에 수평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전측연결링크의 전측과 함께 승강운동하는 전측승강축과, 상기 후측승강판이 하강된 상태를 감지하는 전측감지부재로 구성되는 전측감지부와;
    상기 상판의 하부 후측에 상기 상판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상부가 고정되는 복수의 후측고정브라켓과, 복수의 상기 후측고정브라켓의 하부에 전측이 각각 축결합되는 복수의 후측연결링크와, 복수의 상기 후측연결링크 중 어느 하나의 후측연결링크의 전측에서 상기 상판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는 전측승강판과, 복수의 상기 후측연결링크의 후측에 수평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후측연결링크의 후측과 함께 승강운동하는 후측승강축과, 상기 전측승강판이 하강된 상태를 감지하는 후측감지부재로 구성되는 후측감지부와;
    상기 일측감지부재의 감지신호, 상기 타측감지부재의 감지심호, 상기 전측감지부재의 감지신호 및 상기 후측감지부재의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경보부와;
    상기 일측감지부재의 감지신호, 상기 타측감지부재의 감지심호, 상기 전측감지부재의 감지신호 및 상기 후측감지부재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경보부와 상기 승강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테이블 시스템.
  3. 하부에 냉장실이 구비되는 식탁과;
    상기 식탁의 냉장실의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상판의 전측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전측보관몸체와, 상기 전측보관몸체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상판의 하부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상판의 후측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후측보관몸체로 구성되고, 내측에 상기 냉장실에 보관하고자 하는 보관대상물이 보관되며, 상기 상판을 따라 승강운동하여 상기 냉장실의 내부로 인입 및 상기 냉장실의 외부로 인출되는 보관부와;
    상기 상판의 하부 각 모서리부위에 수직구비되어 상기 상판과 함께 승강하는 랙바와, 상기 랙바와 각각 치합되고 상기 랙바를 승강시키기 위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냉장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일측구동부재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냉장실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기어를 따라 회전하는 일측스프로켓 및 타측스프로켓과, 상기 일측스프로켓과 상기 타측스프로켓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감겨지고 중심부가 X자로 교차하는 엔드리스체인으로 구성되는 승강부와;
    상기 상판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전측보관몸체의 상부와 상기 후측보관몸체의 상부가 각각 축결합되는 일측고정브라켓 및 타측고정브라켓과, 상기 일측고정브라켓의 하부 방향 및 상기 타측고정브라켓의 하부방향에 각각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일측승강몸체 및 타측승강몸체와, 상기 일측고정브라켓과 일측승강몸체 사이 및 상기 타측고정브라켓과 상기 타측승강몸체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일측승강몸체와 상기 타측승강몸체를 승강시키는 일측승강실린더 및 타측승강실린더와, 상기 일측승강몸체의 전측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전측보관몸체의 일측면 하부에 축결합되는 제 1전측연결링크와, 상기 타측승강몸체의 전측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전측보관몸체의 타측면 하부에 축결합되는 제 2전측연결링크와, 상기 일측승강몸체의 후측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후측보관몸체의 일측면 하부에 축결합되는 제 1후측연결링크와, 상기 타측승강몸체의 후측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후측보관몸체의 타측면 하부에 축결합되는 제 2후측연결링크로 구성되어 상기 전측보관몸체의 하부와 상기 후측보관몸체의 하부를 각각 상기 상판의 전측상하방향 및 후측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테이블 시스템.
  4. 하부에 냉장실이 구비되고, 상기 냉장실의 타측에 온장실이 형성되는 식탁과;
    상기 식탁의 냉장실의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 일측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상판의 전측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전측보관몸체와, 상기 전측보관몸체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상판의 하부 일측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상판의 후측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후측보관몸체로 구성되고, 내측에 상기 냉장실에 보관하고자 하는 보관대상물이 보관되며, 상기 상판을 따라 승강운동하여 상기 냉장실의 내부로 인입 및 상기 냉장실의 외부로 인출되는 보관부와;
    상기 상판의 하부 타측에 구비 및 내측에 상기 온장실에 보관하고자 하는 보관대상물이 보관되고 상기 상판을 따라 승강운동하여 상기 온장실의 내부로 인입 및 온장실의 외부로 인출되는 보조보관부와;
    상기 상판의 하부 각 모서리부위에 수직구비되어 상기 상판과 함께 승강하는 랙바와, 상기 랙바와 각각 치합되고 상기 랙바를 승강시키기 위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냉장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일측구동부재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냉장실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기어를 따라 회전하는 일측스프로켓 및 타측스프로켓과, 상기 일측스프로켓과 상기 타측스프로켓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감겨지고 중심부가 X자로 교차하는 엔드리스체인으로 구성되는 승강부와;
    상기 상판의 하부 일측에 상기 상판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전측보관몸체의 상부와 상기 후측보관몸체의 상부가 각각 축결합되는 일측고정브라켓 및 타측고정브라켓과, 상기 일측고정브라켓의 하부 방향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일측승강몸체와, 상기 일측고정브라켓과 일측승강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일측승강몸체를 승강시키는 일측승강실린더와, 상기 일측승강몸체의 전측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전측보관몸체의 일측면 하부에 축결합되는 제 1전측연결링크와, 상기 일측승강몸체의 후측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후측보관몸체의 일측면 하부에 축결합되는 제 1후측연결링크로 구성되어 상기 전측보관몸체의 하부와 상기 후측보관몸체의 하부를 각각 상기 상판의 전측상하방향 및 후측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테이블 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냉장실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일측구동부재와 함께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타측구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테이블 시스템.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의 랙바가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랙바의 승강에 따라 상하길이가 신축되는 텔레스코픽 지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테이블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가이드프레임은 제 1수직가이드판 및 제 2수직가이드판과, 상기 제 1수직가이드판의 하부와 상기 제 2수직가이드판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 1수평가이드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수직가이드판과 상기 제 2수직가이드판 사이에 상기 엔드리스체인의 상부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 1수직가이드판 및 제 2수직가이드판과 상기 제 1수평가이드판이 상기 엔드리스체인의 상부를 따라 하향경사지며,
    상기 후측가이드프레임은 제 2수직가이드판이 전측에 고정되는 제 3수직가이드판 및 상기 제 3수직가이드판의 후측에 배치되는 제 4수직가이드판과, 상기 제 3수직가이드판의 하부와 상기 제 4수직가이드판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 2수평가이드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3수직가이드판과 상기 제 4수직가이드판 사이에 상기 엔드리스체인의 하부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 3수직가이드판 및 상기 제 4수직가이드판과 상기 제 2수평가이드판이 상기 엔드리스체인의 하부를 따라 상향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테이블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수직가이드판의 일측과 상기 제 3수직가이드판의 일측에서 각각 상기 제 1수직가이드판의 전측 외부방향 및 상기 제 3수직가이드판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경사지게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제 1일측보조가이드경사판과, 상기 제 2수직가이드판의 일측과 상기 제 4수직가이드판의 일측에서 각각 상기 제 2수직가이드판의 후측 외부방향 및 상기 제 4수직가이드판의 후측 외부방향으로 경사지게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제 2일측보조가이드경사판과, 상기 제 1수평가이드판의 일측과 상기 제 2수평가이드판의 일측에서 각각 상기 제 1수평가이드판의 일측 하부방향 및 상기 제 2수평가이드판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경사지게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제 3일측보조가이드경사판으로 구성되는 일측보조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제 1수직가이드판의 타측과 상기 제 3수직가이드판의 타측에서 각각 상기 제 1일측보조가이드경사판과 좌우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제 1타측보조가이드경사판과, 상기 제 2수직가이드판의 타측과 상기 제 4수직가이드판의 타측에서 각각 상기 제 2일측보조가이드경사판과 좌우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제 2타측보조가이드경사판과, 상기 제 1수평가이드판의 타측과 상기 제 2수평가이드판의 타측에서 각각 상기 제 3일측보조가이드경사판과 좌우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제 3타측보조가이드경사판으로 구성되는 타측보조가이드프레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테이블 시스템.
  9. 삭제
KR1020210091916A 2021-07-14 2021-07-14 다목적 테이블 시스템 KR102521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916A KR102521574B1 (ko) 2021-07-14 2021-07-14 다목적 테이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916A KR102521574B1 (ko) 2021-07-14 2021-07-14 다목적 테이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559A KR20230011559A (ko) 2023-01-25
KR102521574B1 true KR102521574B1 (ko) 2023-04-12

Family

ID=85109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916A KR102521574B1 (ko) 2021-07-14 2021-07-14 다목적 테이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5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823Y1 (ko) * 2005-04-11 2005-07-14 최정섭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작업대
US20110023758A1 (en) * 2006-02-10 2011-02-03 Michael Overgaard Telescopic lifting column for height adjustment of elevatable tabl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770A (ko) * 2017-03-08 2018-09-18 이호석 냉장식탁
KR102118323B1 (ko) 2018-12-03 2020-06-03 우석대학교산학협력단 다목적 콜드 테이블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823Y1 (ko) * 2005-04-11 2005-07-14 최정섭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작업대
US20110023758A1 (en) * 2006-02-10 2011-02-03 Michael Overgaard Telescopic lifting column for height adjustment of elevatable tab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559A (ko) 2023-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8905B1 (e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8303233B2 (e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20130241384A1 (en) Motorized Upper and Lower Storage Shelves
JP3920574B2 (ja) 商品の動揺を最小にする自動販売機
US20190119049A1 (en) Bakery tray stacker
JPH04297657A (ja) 格納システム
EP2470458B1 (en) An arrangement for conditioning the temperature of goods items, method of operating the arrangement
KR102521574B1 (ko) 다목적 테이블 시스템
CA3041074A1 (en) Shelving system having stowable shelves
CN110293585A (zh) 自主避障机器人
EP3573452B1 (en) Laying nest with rack drive floor expulsion system
US682517A (en) Adjustable shelving.
EP1749461A1 (en) Refrigerator with back-sided door and turning device
KR102118323B1 (ko) 다목적 콜드 테이블 시스템
US5924720A (en) Wheelchair with elevatable seat
KR20100088116A (ko) 진열대의 가변구조
US8061788B2 (en) Convertible refrigerated display case
US905163A (en) Display-rack for chairs.
KR102463263B1 (ko) 엘리베이션 플랫폼 및 이를 구비한 이동식 식당 시스템
EP2185380B1 (en) Counter for vending vans, vending van and related system
CN214127851U (zh) 一种多功能货架
US20110079567A1 (en) Rotatable Shelf
KR20180102770A (ko) 냉장식탁
IL288792A (en) Shelving system and stacking method
US540315A (en) Kitchen-cabi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