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195B1 - Scriber assembly for traditional architecture - Google Patents

Scriber assembly for traditional archite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195B1
KR102521195B1 KR1020210063325A KR20210063325A KR102521195B1 KR 102521195 B1 KR102521195 B1 KR 102521195B1 KR 1020210063325 A KR1020210063325 A KR 1020210063325A KR 20210063325 A KR20210063325 A KR 20210063325A KR 102521195 B1 KR102521195 B1 KR 102521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writing instrument
base
scriber
slid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3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55733A (en
Inventor
장지연
정지완
Original Assignee
장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지연 filed Critical 장지연
Priority to KR1020210063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195B1/en
Publication of KR20220155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7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1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7/00Marking-out or setting-out work
    • B25H7/04Devices, e.g. scribers, for marking
    • B25H7/045Devices, e.g. scribers, for mark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arking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02Details
    • G01B3/004Scales; Gradu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옥 건축에서 주초석과 기둥이 닿는 부분에 대해 보다 정밀한 스크라이브(그랭이)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전통 건축용 스크라이버 조립체 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파지를 위한 손잡이 몸체를 구비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 몸체의 말단에 연결축을 매개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 가이드부재가 마련되며, 몸체 상에 수평계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일부에 필기구가 장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필기구의 표시촉이 이동하도록 슬롯공이 형성되고 슬롯공의 주변에는 눈금부가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슬라이드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raditional architectural scriber assembly that enables more precise scribing (graining) work on the part where the foundation stone and the column contact in the construction of a hanok.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portion having a handle body for gripping; a base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n end of the handle body via a connecting shaft, a guide member provided at the other end, a leveler provided on the body, and a writing instrument mounted on a part of the body; and a slot hole formed to move the display tip of the writing instrument, a graduation part provided around the slot hole, and a slide guide part connected to the guide member of the base part to be movable up and down.

Description

전통 건축용 스크라이버 조립체{Scriber assembly for traditional architecture}Scriber assembly for traditional architecture}

본 발명은 스크라이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옥 건축과 같은 전통 건축에 사용되는 스크라이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iber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criber assembly used in traditional construction such as hanok construction.

일반적으로, 전통 건축에서 사용되는 스크라이버(그랭이)는 얇은 대나무로 만든 집게 모양의 연장으로 집게의 한쪽 다리에 먹을 찍어 선을 그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1의 (a) 참조). 그랭이를 사용하여 부재(대상물)의 울퉁불퉁하고 불규칙한 모양을 그대로 다른 부재에 옮겨 그리는 일을 전통 건축에서는 그랭이질 또는 그래질이라고 하는데, 이는 기둥을 초석 위에 세울 때, 벽이나 문설주가 배흘림 기둥과 만날 때, 도리에 추녀를 앉힐 때와 같이 한 부재(대상물)의 모양에 따라 다른 부재의 면을 가공해주어야 할 때 필요한 작업이다. In general, the scriber (Graengi) used in traditional architecture is a tong-shaped tool made of thin bamboo and is designed to draw a line by dipping one leg of the tong in ink (see Fig. 1 (a)).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rugged and irregular shape of a member (object) to another member using graining is called graining or grazing in traditional architecture. This is a necessary work when the surface of another member needs to be processed according to the shape of one member (object), such as when an elongated girl is seated on a purlin.

예를 들어, 기둥을 초석 위에 수직으로 세우고 그랭이의 두 다리 가운데 먹물을 묻힌 쪽은 기둥 밑둥에, 나머지 한쪽은 초석의 윗면에 닿게 하여 초석의 높낮이를 따라 상하로 오르내리면서 기둥을 한바퀴 돌면 기둥 밑둥에 초석의 요철에 따른 선이 그려진다. 이를 그랭이 선이라 하는데 기둥을 다시 뉘어 그랭이선 아랫 부분을 끌로 따내고 다시 기둥을 세우면 기둥 밑면과 초석이 밀착되어 기둥이 기울어지지 않는다.For example, if you set the pillar vertically on the foundation stone, the side of the two legs coated with ink touches the base of the pillar, and the other side touches the upper surface of the cornerstone. A line is drawn along the irregularities of the cornerstone at the base. This is called the grain line, and if the pillar is laid again, the lower part of the grain line is pulled out with a chisel, and the pillar is erected again, the base of the pillar and the foundation stone are closely adhered to each other so that the pillar does not tilt.

근래에는 서양의 스크라이버를 전통 건축에 사용하기도 하는데, 서양식 스크라이버도 마찬가지로 전통 방식의 스크라이버(그랭이)처럼 컴퍼스 모양으로 되어 있다. 또한 그의 일측 선단에는 필기도구가 달려 있고, 타측 말단에는 송곳처럼 뾰족한 쇠가 장착된 구성으로 제공된다. 반면 스크라이브 작업 시 수평 및 수직을 볼 수 있게 한옥 스크라이브 기구에는 없는 수평계가 추가로 제공되어 있다(도 1의 (b) 참조).Recently, Western scribers are also used in traditional construction, and Western-style scribers are similarly shaped like a compass like the traditional scriber. In addition, it is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in which a writing tool is attached to one end and a sharp iron like an awl is attached to the other end. On the other hand, a level that is not found in the Hanok scribing mechanism is additionally provided so that you can se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uring scribing (see Fig. 1 (b)).

이러한 서양식 스크라이버도 스크라이브 작업시 컴퍼스처럼 소정의 원하는 폭으로 벌리고 수평계를 보며, 뽀족한 쇠가 달려 있는 곳으로 주초석 윗면의 요철 모양을 따라 가면 주초석의 윗면의 요철 모양이 필기구에 의해 기둥면에 그대로 그려지게 된다.This Western-style scriber also spreads to a certain desired width like a compass when scribing, looks at the level, and follows the concave-convex shape of the top of the cornerstone to the place where the pointed iron is attached. will lose

그러나 상술한 전통방식의 스크라이버(그랭이)는 수평계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서양식 스크라이버는 수평계가 구비되어 있어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느나 손목의 흔들림 없이 스크라이버를 수직 및 수평 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특히 경사나 함몰정도가 심한 부재(주초석)의 경우는 스크라이브 정확성이 떨어지고, 협소한 장소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도 스크라이브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제기된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traditional scriber (grainy) has a problem of low accuracy because it is not equipped with a leveling system. In addition, Western-style scribers are equipped with a leveler to ensure accuracy, but it is difficult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scriber vertically and horizontally without shaking the wris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member (main cornerstone) with a severe inclination or depression, scribing accuracy is low, and scribing work is difficult even when working in a narrow place.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1995-0020301호(공개일: 1995.07.26)<Prior Document 1>: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5-0020301 (published date: 1995.07.2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한옥 건축에서 주초석과 기둥이 닿는 부분에 대해 보다 정밀한 스크라이브(그랭이)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전통 건축용 스크라이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providing a traditional architectural scriber assembly that enables more precise scribing (graining) work on the part where the foundation stone and the pillar touch in hanok construction do.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파지를 위한 손잡이 몸체를 구비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 몸체의 말단에 연결축을 매개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 가이드부재가 마련되며, 몸체 상에 수평계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일부에 필기구가 장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필기구의 표시촉이 이동하도록 슬롯공이 형성되고 슬롯공의 주변에는 눈금부가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슬라이드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통 건축용 스크라이버 조립체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handle portion having a handle body for gripping; a base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n end of the handle body via a connecting shaft, a guide member provided at the other end, a leveler provided on the body, and a writing instrument mounted on a part of the body; And a slot hole is formed to move the display tip of the writing instrument, a scale portion is provided around the slot hole, and a slide guide portion connected to the guide member of the base portion to be movable up and down is provided. .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연결축이 연결되는 연결공이 일단에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수평계가 마련된 베이스 몸체, 상기 베이스 몸체의 타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필기구가 삽입되는 필기구 장착공이 형성된 가이드 연결단, 및 상기 가이드 연결단에서 연장된 제1 가이드 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The base part includes a base body in which a connection hole to which the connecting shaft is connected is formed at one end and the level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a guide connection end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base body and a writing instrument mounting hole into which the writing instrument is inserted, and the guide It may be made including a first guide member and a second guide member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end.

상기 베이스 몸체의 타단면과, 상기 가이드 연결단의 전후면, 및 상기 제1, 2 가이드부재의 인접면은,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부가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사다리꼴 형상으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base body,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guide connection end, and the adjacen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may be arranged in a trapezoidal shape so that the slide guide part is inserted and moved.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핀이 장착된 것일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may be equipped with a fixing pin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slide guide unit.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부의 양측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배치된 상기 베이스 몸체의 타단면과 상기 제1, 2 가이드부재의 인접면에 대면하는 가이드 경사면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Guide slope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lide guide unit, facing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base body arranged in a trapezoidal shape and the adjacen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 공간이 나오지 않거나 경사가 심한 장소에서 작업할 시에는 손잡이부를 돌리면서 용이하게 스크라이브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요철이 깊은 곳은 슬라이드 가이드를 조정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working in a place where there is no work space or a steep slope, scribing can be easily performed by turning the handle, and the slide guide can be adjusted to improve workability in areas with deep irregularities. there is

또한 기존의 스크라이버는 컴퍼스 구조의 형태로서 스크라이브 작업 시 손의 흔들림이 심하여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는 반면, 본 발명의 스크라이버 조립체는 스크라이브 작업시 슬라이드 가이드부를 대상물에 밀착시켜 손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ile the conventional scriber has a compass structure and has a difficult hand shake during scribing, the scribe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hand shake by closely adhering the slide guide to the object during scribing.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workability and accuracy.

도 1은 종래의 건축용 스크라이버(그랭이)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통 건축용 스크라이버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통 건축용 스크라이버 조립의 베이스부의 사시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통 건축용 스크라이버 조립의 사용 상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of a conventional architectural scriber (Grang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riber assembly for traditional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portion of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scrib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a traditional building scrib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갖는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uses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unless there is another definition in the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they have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provided as examples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Also,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like elements in the drawings are indicated by like numerals wherever possibl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크라이버 조립체는 손잡이부(10), 베이스부(60), 슬라이드 가이드부(40), 및 표시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2, the scribe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part 10, a base part 60, a slide guide part 40, and a display part 70.

구체적으로, 손잡이부(10)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긴 막대 형상의 손잡이 몸체(11)로 이루어진다. Specifically, the handle portion 10 is made of a long bar-shaped handle body 11 to facilitate gripping.

베이스부(60)는 손잡이 몸체(11)의 말단에 연결축(20a)을 매개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1 및 2 가이드부재(51,52)가 형성된다. 여기서 베이스 몸체(66) 상에 저장된 물로 수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일정깊이의 홈(물수평 홈)으로 형성된 수평계(65)가 마련된다. 또한 베이스 몸체(66)의 일부에는 표시부(70)로서 필기구 몸체(71)가 장착된다. One end of the base part 60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handle body 11 via a connecting shaft 20a, and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51 and 52 are formed at the other end. Here, a leveler 65 formed of a groove (water horizontal groove) having a certain depth is provided so that water stored on the base body 66 can be leveled. In addition, a writing instrument body 71 as a display unit 70 is mounted on a part of the base body 66.

슬라이드 가이드부(40)는 필기구 몸체(71)의 표시촉(72)이 이동하도록 슬롯공(72)이 형성된다. 또한 슬롯공(72)의 주변에는 눈금부(42)가 마련되며, 베이스부(60)의 제1 및 2 가이드 부재(51,52)가 슬라이드 가이드부(40)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The slide guide part 40 is formed with a slot hole 72 so that the display tip 72 of the writing instrument body 71 moves. In addition, a graduation part 42 is provided around the slot hole 72, and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51 and 52 of the base part 60 are connect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slide guide part 40. .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부(60)는, 연결축(20a)이 연결되는 연결공(67h)이 q베이스 몸체(66)의 일단에 형성되고, 베이스 몸체(66)의 상면에는 수평계(65)가 마련된다. 여기서 수평계(65)로서는 베이스 몸체(66)의 상면에 일정깊이와 길이로 물수평 홈이 형성되고, 이 물수평 홈에 물이 저장되어 육안으로 수평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in the base part 60, a connecting hole 67h to which the connecting shaft 20a is connecte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q base body 66, and a leveler 65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body 66. ) is provided. Here, as the leveler 65, a water horizontal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body 66 with a predetermined depth and length, and water is stored in the water horizontal groove, so that the level can be checked with the naked eye.

또한 베이스 몸체(66)의 타단에서 가이드 연결단(55)이 연장되는데, 이 가이드 연결단(55)에는 필기구 몸체(71)가 장착되는 필기구 장착공(61h)이 형성되는데, 이 필기구 장착공(61h)의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필기구 몸체(71)가 나사체결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연결단(55)에는 제1 가이드부재(51)와 제2 가이드부재(52)가 서로 대칭하는 형상으로 각각 연장형성된다. In addition, a guide connecting end 55 extends from the other end of the base body 66, and a writing instrument mounting hole 61h to which the writing instrument body 71 is mounted is formed at the guide connecting end 55. The writing instrument mounting hole ( A screw thread is formed inside 61h) so that the writing instrument body 71 can be fixed in a screw fastening method. On the other hand, the first guide member 51 and the second guide member 52 are each extended in a shape symmetrical to each other at the guide connecting end 55.

이때, 가이드 연결단(55)의 전후방에는 사다꼴 형상의 장착 홈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몸체(66)의 타단면과, 가이드 연결단(55)의 전후면, 및 제1, 2 가이드부재(51,52)의 인접면은, 슬라이드 가이드부(40)가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은 가능하되 수평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사다리꼴 형상의 장착 홈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At this time, trapezoidal mount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guide connecting end 55. Specifically,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base body 66,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guide connection end 55, and the adjacen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51 and 52, the slide guide portion 40 is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arranged to form a trapezoidal mounting groove so that it can be moved to but not fal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여기서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51,52)에는 중 슬라이드 가이드부(40)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핀(61,62)이 장착되는 고정핀 장착공(62h)이 형성된다.Here, fixing pin mounting holes 62h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51 and 52 to which fixing pins 61 and 62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slide guide part 40 are mounted.

또한 슬라이드 가이드부(40)의 양측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장착 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가이드 경사면(41)이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드 가이드부(40)의 전방에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롯공(41h)이 형성된다. 여기서 슬롯공(41h)에는 필기구 몸체(71)의 표시촉(72)이 위치하여 슬롯공(41h)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슬롯공(41h)의 주변으로는 길이 측정을 위한 눈금부(42)가 마련된다. 또한 슬라이드 가이드(40)의 최하단에는 뾰족한 형태의 안내 끝단(43)이 형성된다. In addition, guide slopes 4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lide guide unit 40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rapezoidal mounting groove. In addition, a slot hole 41h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in front of the slide guide part 40 . Here, the display nib 72 of the writing instrument body 71 is positioned in the slot hole 41h and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slot hole 41h. In addition, a scale 42 for measuring the length is provided around the slot hole 41h. In addition, a guide end 43 having a pointed shape is form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slide guide 40 .

한편 손잡이부(10), 베이스부(60), 슬라이드 가이드(40)는 수평 및 수직이 정확하고 평활하게 다듬어진 정반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베이스부(60)에는 물수평 홈이 형성되어 스크라이버 작업시 수평 및 수직을 육안으로 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andle part 10, the base part 60, and the slide guide 40 are formed in the form of a surface plate whose horizontal and vertical sides are accurately and smoothly trimmed. In addition, a water horizontal groove is formed in the base part 60 so that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can be seen with the naked eye during scriber operation.

또한 슬라이드 가이드부(40)는 베이스(60)의 위면과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고, 이 슬라이드 가이드부(40)은 고정핀(61,62)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슬라이드 가이드(40)의 눈금부(42)는 정밀한 스크라이브를 할 수 있게 하며, 슬롯공(41h)으로는 표시촉(72)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lide guide part 40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60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lide guide part 40 is fixed in position by fixing pins 61 and 62. The scale part 42 of the slide guide 40 enables precise scribing, and the display nib 72 can be easily moved through the slot hole 41h.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스크라이브 하는 방향이 반대 방향이거나, 스크라이브 할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하거나, 또는 작업자가 왼손잡이인 경우에 슬라이드 가이드부(40)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is configuration, the direction of the slide guide unit 40 can be changed when the scribing direction is the opposite direction, the scribing space is narrow, or the operator is left-handed.

또한 슬라이드 가이드부(40)의 뾰족한 형상의 안내 끝단(43)은 스크라이브할 대상물의 요철 영역에 닿는 부분이다. In addition, the guide end 43 of the pointed shape of the slide guide part 40 This is the part that touches the concavo-convex area of the object to be scribed.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스크라이브 조립체는 베이스부(60)의 고정핀(61,62)을 돌려(잠금해제), 슬라이드 가이드부(40)를 소정이 길이에 맞게 조정한 후, 고정핀(50)을 다시 돌려(잠금), 슬라이드 가이드부(40)를 고정하고 베이스부(60)의 필기구 장착공(61h)에 필기구 몸체(71)를 장착하고, 표시촉(72)이 슬롯공(41h)을 통해 외부로 나오게 한 후, 베이스부(60)의 수평계(65)를 통해 수평을 유지한다. As shown in FIG. 4, the scribing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urns (unlocks) the fixing pins 61 and 62 of the base part 60, adjusts the slide guide part 40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n fixes the fixing pin 50 ) is turned (locked) again to fix the slide guide part 40, and the writing instrument body 71 is mounted in the writing instrument mounting hole 61h of the base part 60, and the display nib 72 is inserted into the slot hole 41h After bringing it out to the outside through, it is leveled through the leveler 65 of the base part 60.

다음으로 눈금부(42)의 전체면이 스크라이브 대상물에 밀착되게 한 후, 작업자가 손잡이(10)을 잡아 주초석 윗면의 주초석(150)의 요철 형상을 따라 기둥부재(100)의 측면에 스크라이브 표시선(155)을 표시할 수 있다.Next, aft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cale part 4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scribed, the operator grabs the handle 10 and follows the concave-convex shape of the main corner stone 15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corner stone to the side of the pillar member 100 along the scribing mark line ( 155) can be displayed.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라이브 작업 시 작업 공간이 좁아 공간이 나오지 않거나, 대상물에 경사 또는 함몰이 심하더라도 스크라이버 조립체의 손잡이부(10)를 앞이나 좌,우로 돌리면서 스크라이브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ibing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by turning the handle 10 of the scriber assembly forward or left or right, even if the working space is narrow during the scribing operation, or the object has a severe inclination or depression. there will b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find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10: 손잡이부
11: 손잡이 몸체
20: 연결부
20a: 연결축
21: 상단 고정부재
22: 하단 고정부재
23: 연결부재
40: 슬라이드 가이부
41: 슬라이드 경사면
42: 눈금부
43: 안내 끝단
51: 제1 가이드부재
52: 제2 가이드부재
55: 가이드 연결단
60: 베이스부
61,62: 고정핀
65: 수평계
66: 베이스 몸체
67: 연결단
70: 표시부
71: 필기구 몸체
72: 표시촉
10: handle part
11: handle body
20: connection part
20a: connecting shaft
21: upper fixing member
22: lower fixing member
23: connecting member
40: slide guy
41: slide slope
42: graduation part
43: guide end
51: first guide member
52: second guide member
55: guide connection end
60: base part
61,62: fixing pin
65: level
66: base body
67: connecting end
70: display unit
71: writing instrument body
72: indicator tip

Claims (5)

파지를 위한 손잡이 몸체를 구비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 몸체의 말단에 연결축을 매개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 가이드부재가 마련되며, 몸체 상에 수평계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일부에 필기구가 장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필기구의 표시촉이 이동하도록 슬롯공이 형성되고 슬롯공의 주변에는 눈금부가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슬라이드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건축용 스크라이버 조립체.
a handle portion having a handle body for gripping;
a base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n end of the handle body via a connecting shaft, a guide member provided at the other end, a leveler provided on the body, and a writing instrument mounted on a part of the body; and
Scriber assembly for traditional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slot hole is formed to move the display tip of the writing instrument, a scale is provided around the slot hole, and a slide guide portion connected to the guide member of the base portion is movable up and down.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연결축이 연결되는 연결공이 일단에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수평계가 마련된 베이스 몸체,
상기 베이스 몸체의 타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필기구가 삽입되는 필기구 장착공이 형성된 가이드 연결단, 및
상기 가이드 연결단에서 연장된 제1 가이드 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건축용 스크라이버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part,
A base body having a connecting hole to which the connecting shaft is connected is formed at one end and the leveling system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 guide connection end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base body and having a writing instrument mounting hole into which the writing instrument is inserted, and
A traditional architectural scribe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guide member and a second guide member extending from the guide connection en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의 타단면, 상기 가이드 연결단의 전후면, 및 상기 제1, 2 가이드부재의 인접면은,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부가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사다리꼴 형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건축용 스크라이버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2,
Scriber assembly for traditional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base body,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guide connection end, and the adjacen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are arranged in a trapezoidal shape so that the slide guide unit is inserted and moved.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핀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건축용 스크라이버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3,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is a traditional construction scribe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a fixing pin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slide guide is moun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부의 양측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배치된 상기 베이스 몸체의 타단면과 상기 제1, 2 가이드부재의 인접면에 대면하는 가이드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건축용 스크라이버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3,
Scriber assembly for traditional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on both sides of the slide guide portion, guide inclined surfaces facing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base body arranged in a trapezoidal shape and the adjacen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are formed.
KR1020210063325A 2021-05-17 2021-05-17 Scriber assembly for traditional architecture KR1025211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325A KR102521195B1 (en) 2021-05-17 2021-05-17 Scriber assembly for traditional archite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325A KR102521195B1 (en) 2021-05-17 2021-05-17 Scriber assembly for traditional archite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733A KR20220155733A (en) 2022-11-24
KR102521195B1 true KR102521195B1 (en) 2023-04-13

Family

ID=84235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325A KR102521195B1 (en) 2021-05-17 2021-05-17 Scriber assembly for traditional archite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195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503A (en) * 1996-09-09 1998-06-25 박병재 Marking Fixtures
KR20140002588U (en) * 2012-10-24 2014-05-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Assisting device for drawing a line during the ship painting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733A (en)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25667B (en) Auxiliary scribing tool and scribing method for outer plate
CN211764528U (en) Angle square convenient to location
KR102521195B1 (en) Scriber assembly for traditional architecture
KR102163709B1 (en) Woodwork triangular ruler
CN2854083Y (en) Slop shothole drilling field positioning instrument
CN212903209U (en) Supporting mechanism for geographic information measuring instrument
CN101143441A (en) Marking copying gauge
CN205637514U (en) Multi -functional darby of plastering
CN218875449U (en) Foundry goods marking device
US8117758B1 (en) Scribe tool
CN211291266U (en) Multi-functional mining engineering dipperstick
CN105818128A (en) Portable quick scribing device
US7207363B1 (en) Cutting machine
CN210831214U (en) Tripod for mapping engineering
CN2696859Y (en) Multi-function drawing instrument
CN219640842U (en) Template ruler for space decoration design
CN212794926U (en) Wall marking device for architectural decoration
CN206520385U (en) Model For The Bush-axle Type Parts figure efficient drawing scale
KR20070097686A (en) Jig for measuring member of vessel
CN206627045U (en) Size management and control tool
CN217231397U (en) Increase auxiliary assembly of precision of mating formation in gardens
CN217710197U (en) Multifunctional small stone paving construction control tool
CN220287044U (en) Auxiliary tool for leveling measurement
CN213631978U (en) Adjusting device for measuring apparatu convenient to three-dimensional location
CN212228061U (en) Guarantee to build laser level appearance seat of wall body quality and convenience by laying bricks or st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