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119B1 - Folding baby room - Google Patents

Folding baby ro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119B1
KR102521119B1 KR1020200138218A KR20200138218A KR102521119B1 KR 102521119 B1 KR102521119 B1 KR 102521119B1 KR 1020200138218 A KR1020200138218 A KR 1020200138218A KR 20200138218 A KR20200138218 A KR 20200138218A KR 102521119 B1 KR102521119 B1 KR 102521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wall plate
bracket
shaf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2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53900A (en
Inventor
박해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엔씨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엔씨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엔씨엔
Priority to KR1020200138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119B1/en
Publication of KR20220053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9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1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 A47D13/061Children's play- pen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52Panels
    • A47B2220/0055Furniture made of several parallel slats, hinged together by transverse rods passed through respective ends of sl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Landscapes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비 룸을 구성하는 벽체를 분리하지 않고도 원터치 방식으로 접이식으로 접어서 보관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복수의 벽체판이 구비되고, 벽체판의 측변에는 서로 인접한 벽체판을 연결수단으로 조립하여 울타리 형태로 연결 설치가 이루어지는 베이비 룸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벽체판의 양측에 구비되는 브라켓과, 벽체판을 인접시킨 상태에서 두 개의 브라켓을 조립하여 벽체를 연장할 수 있게 하는 연결가드를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연결가드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축 결합부를 형성하되, 각각의 축 결합부에 브라켓이 락킹축에 의하여 축결합되도록 하여 벽체판의 회동가능한 가변각도를 확보하면서 서로 인접한 벽체판을 수평상태로 펼치거나 서로 포개어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락킹축은 제1,2락킹부를 형성하고, 브라켓과 연결가드에는 제1,2락킹부가 각각 걸림되도록 걸림부를 형성하며, 락킹축이 탄성요소에 의하여 탄성복원력을 부여받아 왕복 작동하면서 제1,2락킹부를 걸림부에 걸어 고정하거나 걸림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베이비 룸을 설치한 상태에서 울타리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접이식으로 간편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접이구조가 원터치로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storage volume by folding and folding in a one-touch method without separating the walls constituting the baby room, a plurality of wall plates are provided, and wall plates adjacent to each other are assembled by means of connecting means In the baby room in which the connection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fence, the connecting means is a bracke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wall plate and a connection guard that allows the wall to be extended by assembling the two brackets in a state in which the wall plate is adjacent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guard forms two shaft coupling parts that are spaced apart, but the brackets are shaft-coupled to each shaft coupling part by the locking shaft to ensure a variable angle that allows the wall plate to rotate, while wall plates adjacent to each other. The locking shafts form first and second locking parts, and the bracket and the connection guard form a hooking part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arts are hooked, respectively, and the locking shaft is an elastic element. It is given an elastic restoring force by it and works reciprocally so that the 1st and 2nd locking parts can be fixed by hanging on the hanging part or released, so that the baby room can be easily folded and stored without removing the fence while the baby room is installed. Of course, the folding structure is made simple with one touch.

Description

폴딩구조의 베이비 룸{Folding baby room}Baby room with folding structure {Folding baby room}

본 발명은 폴딩구조의 베이비 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비 룸을 구성하는 벽체를 분리하지 않고도 원터치 방식으로 접이식으로 접어서 보관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room having a fold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minimize storage volume by folding and folding in a one-touch manner without separating walls constituting the baby room.

일반적으로 기어다니거나 막 걸음마를 배운 유아는 사고 능력이 약하기 때문에 보호자가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방심하는 사이에 여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In general, because infants who are crawling or who have just learned to walk have a weak thinking ability, various safety accidents can occur while their guardians are not paying attention and are vigilant.

따라서 이러한 영,유아를 위하여 안전이 확보된 놀이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베이비 룸이 사용되는 것으로, 베이비 룸은 여러 개의 벽체를 서로 결합하여 울타리 형태로 조립함으로써 하나의 울타리를 형성하면서 놀이공간을 확보하게 되는 구조이다.Therefore, the baby room is used to provide a safe play space for these infants and toddlers, and the baby room secures a play space while forming a fence by combining several walls and assembling them in the form of a fence. It is a structure that becomes

즉, 울타리 자체로는 부피가 너무 커서 운송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분리구성된 여러 부속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현장에서 직접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That is, since the fence itself is too bulky to be transported, it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assemble and use it at the site where the user wants to install it using several separately configured parts.

그런데 종래의 베이비룸은 벽체의 설치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설치하고 해체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특히 가정에서 영,유아를 돌보는 보호자는 여성이나 노약자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여러 부속들을 조립하고 설치하기에 어려움이 많은 것이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baby room, it is difficult for users to install and dismantle because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wall is complicated. It's a lot of difficulties.

따라서 최근에는 그 조립구조를 축으로 끼워서 조립하는 등 누구나 쉽게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설치구조를 단순화한 제품들이 제안되었고, 이러한 단순 끼움 구조의 제품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Therefore, recently, products with a simplified installation structure have been proposed so that anyone can easily and simply assemble the assembly structure by inserting the assembly structure into a shaft, and products with such a simple fitting structure are mainly used.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정에서 혼자서 설치하는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고, 분해하는 시간도 설치하는 시간만큼 오래 걸리기 때문에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한 번 설치하면 영,유아가 어느정도 성장할때까지 베이비 룸의 설치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However, despite thi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takes quite a long time to install alone at home, and disassembly takes as long as installation time. The installed state will remain as is.

그런데 베이비룸은 영,유아의 활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는 공간을 최대한 많이 확보하여야 하는 것이고, 이로 인하여 실내 공간에서 베이비 룸이 차지하는 공간의 비중이 지나치게 커지기 때문에 실내공간의 활용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baby room needs to secure as much space as possible in order to freely engage in the activitie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because of this, the proportion of the space occupied by the baby room in the indoor space is excessively large,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tilization of the indoor space is very poor.

또한, 손님이 방문하거나 집안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 어쩔 수 없이 공간확보를 위해서 베이비 룸을 치워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 베이비 룸을 분리하기가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분해하여 보관하기가 매우 번거롭고 사용의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re are cases in which a baby room must be removed to secure space when a guest visits or works in the house. In this case, it is very cumbersome and takes a long time to separate the baby room. It is very cumbersome to store and inconvenient to u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비 룸을 설치한 상태에서 울타리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접이식으로 간편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접이구조가 원터치로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so that the fence can be easily folded and stored without separating the fence in the state where the baby room is installed, as well as the folding structure is made simple with one touch.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복수의 벽체판이 구비되고, 벽체판의 측변에는 서로 인접한 벽체판을 연결수단으로 조립하여 울타리 형태로 연결 설치가 이루어지는 베이비 룸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벽체판의 양측에 구비되는 브라켓과, 벽체판을 인접시킨 상태에서 두 개의 브라켓을 조립하여 벽체를 연장할 수 있게 하는 연결가드를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연결가드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축 결합부를 형성하되, 각각의 축 결합부에 브라켓이 락킹축에 의하여 축결합되도록 하여 벽체판의 회동가능한 가변각도를 확보하면서 서로 인접한 벽체판을 수평상태로 펼치거나 서로 포개어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락킹축은 제1,2락킹부를 형성하고, 브라켓과 연결가드에는 제1,2락킹부가 각각 걸림되도록 걸림부를 형성하며, 락킹축이 탄성요소에 의하여 탄성복원력을 부여받아 왕복 작동하면서 제1,2락킹부를 걸림부에 걸어 고정하거나 걸림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ical idea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in a baby room in which a plurality of wall plates are provided, and wall plates adjacent to each other are assembled at the side of the wall plates as connecting means to be connected and installed in the form of a fence, the connecting means It includes bracket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wall plate and a connection guard that allows the wall to be extended by assembling the two brackets in a state where the wall plate is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guar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arts are formed, but the brackets are shaft-coupled to each shaft coupling part by the locking shaft so that the wall plates adjacent to each other can be unfolded in a horizontal state or folded over each other while securing a rotatable variable angle of the wall plate, and the locking The shaft forms first and second locking parts, and the bracket and the connection guard form a locking part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arts are respectively engaged, and the locking shaft receives elastic restoring force by the elastic element to reciprocate while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arts. It is designed so that it can be fixed by hanging on the hook or released.

본 발명의 베이비 룸에 의하면, 울타리의 조립구조가 간단하고, 베이비 룸을 펼치거나 접을 때 울타리를 분리하지 않고도 원터치 버튼 방식으로 쉽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According to the baby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fence is simple, and it is very convenient to use because it can be easily expanded or folded using a one-touch button method without separating the fence when unfolding or folding the baby room.

또한, 접어서 보관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수납가방이나 박스가 필요없이 간편하게 보관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it can be folded and stored, space can be efficiently utilized and, of course, it can be stored conveniently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storage bag or box.

또한, 벽체를 분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분해,조립 및 보관하는 과정에서 조립부속이 분실되는 것으로 방지할 수 있고, 제품 출고시 이미 조립이 완료된 상태로 소비자에게 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포장에 필요한 절차를 간소화하고 유통과정에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소비자가 베이비 룸을 별도로 조립할 필요가 없이 간편하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separate the wall, assembly part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st in the process of disassembly, assembly, and storage. It is possible to reduce logistics costs by simplifying and minimizing the volume in the distribution process, and consumers can easily unfold and use the baby room without having to assemble it separately.

또한, 벽체의 기울기 각도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 각도조절이 매우 용이하고 견고하게 각도조절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최대 360°까지 벽체회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다양한 형태로 벽체를 전개시켜 베이비 룸의 울타리를 독특한 형상으로 변형 사용하거나 실내공간 구조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로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t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wall in various ways, it is very easy to adjust the angle,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angle adjustment state firmly. It can be used by transforming the fence of the room into a unique shape or changing it into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indoor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베이비 룸이 설치된 외관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벽체판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상세 조립구조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베이비 룸의 폴딩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벽체판의 또 다른 연결구조도
도 9는 도 8의 저면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결합구조도
도 11은 도 8의 작동상태도
도 12는 도 8의 연결수단의 장착구조도
도 13은 본 발명의 벽체판의 걸림 해제 구조를 나타낸 락킹핀 작동 구조도
도 14는 본 발명의 벽체판의 걸림 구조를 나타낸 락킹핀 작동 구조도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installed baby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etailed assembly structure show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wall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FIG. 2
Figure 6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Figure 1
7 is a folding structure diagram of the baby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other connection structure diagram of the wall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ure 8
Figure 10 is a coupling structure diagram of Figure 8
11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FIG. 8
Figure 12 is a mounting structure diagram of the connecting means of Figure 8
Figure 13 is a locking pin operating structure showing the locking release structure of the wall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locking pin operating structure showing the locking structure of the wall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베이비 룸은 여러 개의 벽체판(100)을 서로 조립하여 울타리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일정한 크기의 놀이공간을 구획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벽체판(100)이 연결수단(200)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서로 인접한 벽체판(100) 들을 연결하여 복수의 벽체판을 하나의 울타리로 연결 설치할 수 있게 한 것이며, 베이비 룸을 설치한 상태에서 울타리를 구성하는 벽체판(100)을 서로 분리하지 않고도 접이식으로 간편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The baby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vide a play space of a certain size by assembling several wall plates 100 and connecting them in the form of a fence. It is possible to connect a plurality of wall plates (100) adjacent to each other to connect and install a plurality of wall plates as one fence, and easily foldable without separating the wall plates (100) constituting the fence in the state where the baby room is installed. It is unique in that it can be folded and stored.

벽체판(100)의 형태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대략적인 판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벽체판(100)의 형상을 변형하거나 무늬를 구현하는 등 그밖에 다양한 형상과 디자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wall plate 100 may be made of a square or rectangular plate-like structure,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other shapes and designs, such as changing the shape of the wall plate 100 or implementing a pattern.

그리고 벽체판의 크기(폭)을 달리하도록 구성하여 벽체판을 조립할 때 다양한 옵션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여러 개의 벽체판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출입을 위하여 개폐되는 도어(D)가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size (width) of the wall plate to be different, it is possible to assemble it with various options when assembling the wall plate. It can be.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살펴본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베이비 룸이 설치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베이비 룸의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연결수단(200)의 작동구조를, 도 7은 본 발명의 베이비 룸의 접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베이비 룸은 여러 개의 벽체판(100)을 서로 연결 조립할 수 있도록 벽체판(100)의 양측에 연결수단(200)을 구비하고, 그 연결수단(200)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벽체판(100)을 서로 인접한 벽체판(100)끼리 병렬로 연결하여 울타리 형태를 구성하게 된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baby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FIGS. 2 to 5 are views show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baby room, FIG. 6 is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connecting means 200, FIG. 7 is the present invention A drawing showing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baby room,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aby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connecting means 200 on both sides of the wall plate 100 so that several wall plates 100 can be connected and assembled together , By using the connecting means 200, several wall plates 100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djacent wall plates 100 to form a fence shape.

상기 연결수단(200)은 벽체판(100)을 축 구조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연결각도를 조절하거나 선택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수단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The connecting means 200 is to be able to adjust or select the connection angle by assembling the wall plate 100 in an axial structure, and look at these connecting means in detail.

연결수단(200)은 벽체판(100)의 양측에 각각 브라켓(220)이 형성되고, 그 브라켓(22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가드(2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connection means 200 may include brackets 22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wall plate 100, and a connection guard 240 for connecting the brackets 220.

연결가드(240)는 벽체판(100)이 병렬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맞대응되게 배치되는 두 개의 브라켓(220)을 연결가드(240)를 이용하여 맞결합하여 이웃하는 벽체판(100)이 서로 연결된다.The connection guard 240 connects the two brackets 220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wall plates 10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parallel using the connection guard 240, and the adjacent wall plate 100 )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이를 위하여 브라켓(220)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축 결합부(22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가드(240)는 브라켓(220)의 축 결합부(222)와 대응되는 위치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축 결합부(242)가 형성되며, 이격된 두 개의 축 결합부(242)에 브라켓(220)의 축 결합부(222)가 락킹축(260)에 의하여 축결합되어 벽체판(100)의 회동가능한 가변각도를 확보하면서 서로 인접한 벽체판(100)을 수평상태로 펼치거나 서로 포개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To this end, a shaft coupling portion 222 penetrating up and down is formed in the bracket 220, and the connection guard 240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haft coupling portion 222 of the bracket 220. Two shaft coupling parts 242 are formed, and the shaft coupling portion 222 of the bracket 220 is shaft-coupled to the two spaced apart shaft coupling parts 242 by the locking shaft 260 to form the wall plate 100.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wall plates 100 adjacent to each other can be unfolded in a horizontal state or folded over each other while securing a variable rotational angle.

이때, 상기 브라켓(220)과 연결가드(240)가 서로 조립되어 공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락킹축(260)이 승하강함에 따라서 브라켓(220)과 연결가드(240) 간의 회동작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회동작동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브라켓(220)과 연결가드(240)가 공회전 조립하기 위한 구조로써 브라켓(220)의 상부에 실린더 형태로 돌출되게 체결부(226)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연결가드(240)의 하부에도 상기 체결부(226)와 맞물림되는 끼움부(246)를 마련하여 체결부(226)의 외주연과 끼움부(246)의 내주연에 각각 홈과 돌기 구조로 강제 끼움으로 맞물려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맞물림부에 의하여 간단하게 조립되어 별도의 체결부속이 필요없이도 브라켓(220)과 연결가드(240)가 공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racket 220 and the connection guard 240 are assembled together to enable idle rotation so that the rotation operation between the bracket 220 and the connection guard 240 is enabled as the locking shaft 260 moves up and down, o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rotation operation, and as a structure for assembling the bracket 220 and the connection guard 240 in idle rotation, the fastening part 226 is formed to protrude in a cylindrical shape on the top of the bracket 220, and corresponds to this. A fitting part 246 engaged with the fastening part 226 is also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guard 240 to have a groove and protrusion structur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astening part 226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fitting part 246, respectively. By being assembled by interlocking by force fitting, it is simply assembled by the interlocking part, so that the bracket 220 and the connection guard 240 can be configured to idle without the need for separate fastening parts.

이때, 상기 체결부(226)를 홈으로 구성하고, 끼움부(246)를 돌기로 형성함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246)를 구성하는 돌기를 내주면 전체에 형성하지 않고 일부분에만 형성하면 연결가드(240)에 브라켓(220)을 가압방식으로 끼울 때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브라켓(220)과 연결가드(24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돌기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을 기울여 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부속의 분리세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configuring the fastening part 226 as a groove and forming the fitting part 246 as a protrusion, as shown in FIG. 3, the protrusion constituting the fitting part 246 is not formed on the entir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but a part thereof. If formed only on the bracket 240, it can be easily assembled when the bracket 22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uard 240 in a pressurized manner. By enabling it,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wash the assembly parts.

그리고 이 끼움부(246)를 구성하는 돌기를 내주면의 일부만 형성함에 있어서, 내경의 절반 즉 반원을 초과하는 길이로 형성함으로써 공회전시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forming only a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constituting the fitting portion 246, by forming a length exceeding half of the inner diameter, that is, a semicir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it from falling arbitrarily during idling and to facilitate assembly and separation.

또한, 상기 락킹축(260)은 제1,2락킹부(262,264)가 형성되고, 브라켓(220)과 연결가드(240)에는 제1,2락킹부가 각각 걸림되도록 걸림부(224,244)가 형성되며, 상기 락킹축(260)은 탄성요소(280)에 의하여 탄성복원력을 부여받아 왕복 작동하면서 제1,2락킹부(262,264)를 걸림부(224,244)에 걸어 고정하거나 걸림 상태를 해제하면서 베이비 룸을 설치한 상태에서 벽체판을 분리하지 않더라도 접이식으로 간편하게 설치상태를 해제하여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locking shaft 260 is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locking parts 262 and 264, and the bracket 220 and the connection guard 240 are formed with hooking parts 224 and 244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arts are respectively engaged. The locking shaft 260 receives elastic restoring force by the elastic element 280 and operates reciprocally, fixing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arts 262 and 264 to the locking parts 224 and 244 or releasing the locking state to open the baby room. Even if the wall plate is not separated in the installed state, the installation state can be released easily by folding, so that the indoor space can be efficiently used.

이때, 상기 브라켓(220)에 형성된 걸림부(224)는 상,하로 절개되어진 슬롯홀(225)로 구성되고, 상기 제1락킹부(262)는 슬롯홀(225)에 끼워져 상하 슬라이드 작동하는 돌부(264a)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슬롯홀(225)과 돌부(264a)는 락킹축(260)의 외주연을 따라서 방사상으로 복수의 슬롯홀(225)과 돌부(262a)가 형성되어 걸림상태를 견고하게 하면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oking part 224 formed in the bracket 220 is composed of a slot hole 225 cut up and down, and the first locking part 262 is a protrus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slot hole 225 and slides up and down. (264a), the slot hole 225 and the protruding part 264a are formed radially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cking shaft 260, and a plurality of slot holes 225 and the protruding part 262a are engaged in a locked state. It is possible to make the slide work stably while making it solid.

또한, 상기 연결가드(240)에 형성된 걸림부(244)는 축 결합부(242)의 내경에 복수의 치산구조로 요철면(245)이 형성되고, 상기 제2락킹부(264)는 그 요철면(245)에 맞물리도록 복수의 치산구조로 요철면(264a)을 형성함으로써 치산이 맞물려 회전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cking part 244 formed on the connection guard 240 has a concave-convex surface 245 formed in a plurality of toothed structures on the inner diameter of the shaft coupling part 242, and the second locking part 264 has the concave-convex surface. By forming the concave-convex surface 264a with a plurality of tooth teeth structure to engage with the face 245, the tooth teeth are engaged to block rotation.

즉, 연결가드(240)의 요철면(245)에 락킹축(260)의 요철면(264a)이 맞물리면 브라켓(220)과 연결가드(240)와 락킹축(260)이 서로간에 맞물려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울타리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고, 반대로 연결가드(240)의 요철면(245)에 락킹축(260)의 요철면(264a)이 맞물림된 상태가 해제되면 브라켓(220)과 락킹축(260)만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고 연결가드(240)는 자유롭게 회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벽체판(100)을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concave-convex surface 264a of the locking shaft 260 is engaged with the concave-convex surface 245 of the connection guard 240, the bracket 220, the connection guard 240, and the locking shaft 26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rotated arbitrarily. To prevent this, the fence is firmly fixed, and on the contrary, when the state in which the concave-convex surface 264a of the locking shaft 260 is engaged with the concave-convex surface 245 of the connection guard 240 is released, the bracket 220 and the locking shaft ( Since only 260 maintains an engaged state and the connection guard 240 rotates freely,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wall plate 100.

따라서 180°로 수평상태로 펼치거나, 90°인 직각으로 벽체 모서리를 구성하거나, 360°로 서로 포개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베이비 룸을 설치한 상태에서 벽체판(100)을 서로 분리하지 않더라도 연결가드(240)에 의하여 벽체판(100)을 다단으로 포개어 접을 수 있게 된다.Therefore, since it is configured to unfold horizontally at 180 °, configure the wall edge at a right angle of 90 °, or overlap and fold each other at 360 °, even if the wall plates 100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le the baby room is installed, the connection guard By (240), the wall plate 100 can be stacked and folded in multiple stages.

그리고 벽체판(100)을 펼쳐사 사용할 때 벽체판(100)이 절첩되는 각도는 락킹축(260)의 제2락킹부(262)와 연결가드(240)의 축 결합부(242)의 맞물림 구조에 의하여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180°로 펼쳐 설치하거나 또는 최대 360°까지 접힘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범위 내에서 매우 다양한 각도로 벽체판(100) 설치각도의 가변폭의 확장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제2락킹부(264)와 결합부(242)의 요철면(264a,245)의 피치가 방사상으로 배열될 때 그 수량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각도를 설정하여 설정된 각도로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nd when the wall plate 100 is unfolded and used, the angle at which the wall plate 100 is folded is the meshing structure of the second locking part 262 of the locking shaft 260 and the shaft coupling part 242 of the connection guard 240. As can be implemented by, since it can be installed at 180 ° or folded up to 360 °, the expansion of the variable width of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wall plate 100 is made at very various angles within that range. 2. When the pitches of the concave-convex surfaces 264a and 245 of the locking part 264 and the coupling part 242 are radially arranged, various angles can be set by adjusting the quantity so that the adjustment can be made at the set angle.

예를 들어, 요철면을 방사형으로 36개의 맞물림되는 치산구조로 형성하면 10°씩 설정이 가능하고, 그 치산수량을 조절하여 90°, 135°,180°, 225°,270°등으로 몇 가지의 특정 설치각도를 설정하게 하거나, 설치각도가 등각의 각도를 30°,60°, 90°… 등으로 등각으로 분할되게 배치되도록 하면, 그 각도에 대응하게 각도조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락킹축(260)이 맞물려 고정되면서 각도설정된 상태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벽체판(100)의 결합각도가 설정된 상태에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베이비 룸의 울타리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oncavo-convex surface is formed with 36 teeth meshing structures radially, it is possible to set it by 10 degrees, and by adjusting the number of teeth, several angles such as 90 degrees, 135 degrees, 180 degrees, 225 degrees, 270 degrees, etc. set a specific installation angle, or the installation angle is equivalent to 30°, 60°, 90°... If it is arranged to be divided into equal angles, etc., the angle set state can be firmly fixed while the locking shaft 260 is engaged and fixed in a state where the angle is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angle, and the coupling angle of the wall plate 100 Even if an external force acts in the set state, it can prevent the shape of the fence of the baby room from being deformed.

이때, 상기 제2락킹부(264)의 상,하 락킹 해제되는 구간의 길이가 제1락킹부(262)의 상,하 락킹 해제되는 구간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구성되어 락킹축(260)이 브라켓(220)에 걸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브라켓(220)과 연결가드(240) 간 회동이 이루어지면서 벽체판(100)의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upper and lower unlocking section of the second locking part 264 is relatively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upper and lower unlocking section of the first locking part 262, so that the locking shaft 26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of the wall plate 100 while rotating between the bracket 220 and the connection guard 240 while maintaining the fixed state of the bracket 220 .

즉, 상기 제2락킹부(264)의 상,하 락킹 해제되는 구간의 길이를 제1락킹부(262)의 상,하 락킹 해제되는 구간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구성하면 락킹부의 조립 및 작동구조를 더 간소화하면서도 락킹축이 이탈되지 않고 설정된 구간 내에서만 안정적으로 상,하 슬라이드 작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제2락킹부(264)의 락킹 해제구간을 상대적으로 짧게 구성함으로써 제2락킹부(264)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더라고 제1락킹부(262)의 걸림 상태는 그대로 유지되고, 그 상태에서 벽체판(100)의 각도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벽체판을 접거나 펼친 후 락킹축(260)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제1,2락킹부가 동시에 다시 걸림상태가 되면서 벽체판의 절첩 움직임이 제한된다.That is, if the length of the upper and lower unlocking section of the second locking part 264 is relatively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upper and lower unlocking section of the first locking part 262, the assembly and operation structure of the locking part The second locking unit ( Even if the locking state of 264) is released, the locking state of the first locking part 262 is maintained as it is, and since the angle of the wall plate 100 can be adjusted in that state, after folding or unfolding the wall plate, the locking shaft 260 )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arts are simultaneously engaged again, limiting the folding movement of the wall plate.

따라서 벽체판을 펼치거나 접는 과정에서 제1락킹부(262)의 걸림상태가 빠지지 않고, 슬롯홀(225) 내에서만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작동부위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ocess of unfolding or folding the wall plate, the locking state of the first locking part 262 is not lost, and since the lifting operation is performed only within the slot hole 225, it can be used stably and prevent malfunction of the operating part. .

그리고 상기 브라켓(220)은 벽체판(1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베이비룸을 경량구조로 제작하면서도 충격흡수가 가능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벽체판(100)을 블로워 성형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한데, 브라켓(220)을 벽체판(100)과 일체로 성형하는 경우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브라켓(220)은 벽체판(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브라켓(220)만을 별도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racket 22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wall plate 100, but in order to produce a baby room with a lightweight structure, shock absorption and low cost, the wall plate 100 is manufactured by blower molding This is preferable, since durability may be reduced when the bracket 220 is integrally molded with the wall plate 100, the bracket 220 is made of a structure separated from the wall plate 100 so that only the bracket 220 is separately It is preferable to manufacture by injection molding.

즉, 브라켓(220)을 분리형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벽체판(100)에는 장착부(120)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 장착부(120)는 벽체판(100)의 상단 양측변으로부터 내입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브라켓(220)에 장착된 락킹축(260)을 벽체판(100)의 양측 최외곽에 근접하도록 선단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연결가드(240)에 의한 회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브라켓(220)의 하부측으로 락킹축(260)과 탄성요소(280)를 순차적으로 끼워 브라켓(220)을 벽체판(100)의 장착부(120)에 피스 고정하여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지고 연결가드(240)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브라켓(220)이 회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at is, in order to configure the bracket 220 as a separate type, a mounting portion 120 may be formed in the wall plate 100, and the mounting portion 120 is formed to be inserted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wall plate 100 so that the bracket The locking shaft 260 mounted on the 220 can be mounted so that it can be rotated by the connection guard 240 by positioning it at the front end so as to be close to the outermost sides of both sides of the wall plate 100. At this time, the bracket 220 ) By inserting the locking shaft 260 and the elastic element 280 sequentially into the lower side of the wall plate 100, the bracket 220 is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120 of the wall plate 100, and the assembly is simply performed, and the connection guard 240 The bracket 220 may be rotated from both sides toward the center.

그리고 브라켓(220)이 장착부(120)에 견고하게 장착되고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변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장착부(120)에는 내입 형성된 장착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끼움부(121)를 마련하고, 브라켓(220)에는 그 끼움부(121)의 횡단면에 맞물려 측방향에서 끼워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홀더(221)를 형성하여 블로워 성형물인 벽체판(100)에 사출 성형물인 브라켓(220)을 장착함에도 더욱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ensure that the bracket 220 is firmly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20 and is not deformed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 fitting portion 121 is provided in the mounting portion 120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mounting portion formed inside the mounting portion 120, and the bracket 220 In this case, a holder 221 is formed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cross section of the fitting part 121 to support the edge by fitting it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even when the bracket 220, which is an injection molding product, is mounted on the wall plate 100, which is a blow molding product, it is more firmly fixed. be able to do

이때, 연결수단(200)은 벽체판(100)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브라켓(220)에 락킹축(260)과 탄성요소(280)를 순차적으로 끼운 후 장착부(120)에 조립하고, 두 개의 벽체판(100)을 인접하게 배치시킨 상태에서 연결가드(240)를 끼워서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벽체판(100)이 직립상태로 병렬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means 200 may be provided on one or more of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wall plate 100, and preferably, the locking shaft 260 and the elastic element 280 are sequentially attached to the bracket 220. After fitting, it is assembled to the mounting part 120, and the wall plates 100 are placed in an upright state in parallel by inserting the connection guard 240 in a state where the two wall plates 100 are placed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assembly can be easily performed. can be made

또한, 상기 연결수단(200)이 상부측에 형성되는 경우 벽체판(100)의 양측변 하단에는 벽체판(100)이 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회동가이드(300)가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회동가이드(300)는 상기 락킹축(260)과 동일 축상에 위치되게 힌지축(320)을 형성하여 벽체판(100)이 직립된 상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각도조절을 하거나 폴딩구조로 접을 경우에 비틀림을 방지하도록 상,하부에서 축으로 지지되어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necting means 20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 rotation guide 300 can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both sides of the wall plate 100 so that the wall plate 100 can rotate around an axis, The rotation guide 300 forms a hinge axis 320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axis as the locking axis 260, and adjusts the angle while the wall plate 100 is installed in an upright state or twists when folded into a folding structure To prevent this, it can be supported by shafts at the top and bottom to make rotation.

이때, 상기와 같이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벽체판(100)의 힌지축(320)이 이격되게 안착된 상태에서 벽체판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받침가드(340)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a support guard 340 may be provided to enable rotation of the wall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 hinge shafts 320 of the two adjacent wall plates 100 are seated apart from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즉, 받침가드(340)에는 이격된 간격으로 홀 또는 홈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축끼움부(342)가 형성되어 힌지축(320)을 끼워 축회전이 이루어지면서 벽체판(100)의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shaft fitting parts 342 formed in the form of holes or grooves are formed in the support guard 340 at spaced intervals, so that the rotation of the wall plate 100 is possible while the shaft rotation is made by inserting the hinge shaft 320 do.

이때, 상기 받침가드(340)에 형성되는 축 끼움부(342)는 하부측에 받침면이 형성된 홈의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면 벽체판(100)이 받침가드(340)에 안착된 상태에서 하부측으로 하중이 발생되므로 받침가드(340)가 바닥에 긴밀이 안착된다.At this time, if the shaft fitting portion 342 formed on the supporting guard 340 is made in the form of a groove with a supporting surface formed on the lower side, the wall plate 100 is seated on the supporting guard 340 to the lower side Since the load is generated, the support guard 340 is closely seated on the floor.

이 받침가드(340)는 벽체판(100)이 설치된 상태를 정위치 고정하기 위하여 논슬립요소(3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support guard 34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non-slip element 360 to fix the state in which the wall plate 100 is installed.

논슬립요소(360)는 받침가드(340)의 하단에 고무나 실리콘 등의 패드가 덧대어 구성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흡착식 고무패드가 장착되어 벽체판(100)의 하중에 의하여 하부측으로 가압될 때 흡착식 고무패드가 바닥면에 흡착되어 유동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non-slip element 360 may be configured by attaching a pad such as rubber or silicone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guard 340, and more preferably, a suction-type rubber pad is mounted and pressed to the lower side by the load of the wall plate 100 When the suction type rubber pad is adsorbed on the bottom surface, it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그리고 이 흡착식 고무패드는 벽체판(100)의 유동을 방지함은 물론, 벽체판(100)의 각도조절된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서로 맞물리는 결합각도에 따라 이웃하여 연결된 벽체판(100)의 연결각도가 조절, 선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이들을 연결하여 베이비 룸을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is adsorbent rubber pad can prevent the flow of the wall plate 100 as well as adjust the angle-adjusted state of the wall plate 100, and the wall plate 100 connected next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angle of engagement. By allowing the connection angle to be adjusted and selected, the baby room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by connecting them at an angle desired by the user.

한편,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연결수단(200)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립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상기 락킹축(260)의 움직임을 유도하기 위한 위치유도구(2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FIGS. 8 to 10 are diagrams showing an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means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 positioning guide 270 for inducing the movement of the locking shaft 260. can be configured.

이를 위하여 상기 브라켓(220)에 형성된 걸림부(224)는 상,하 높낮이를 달리하는 제1슬롯홀(225a)과 제2슬롯홀(225b)이 이 축 결합부(222)의 원주를 따라서 반복 배열되도록 하고, 상기 락킹축(260)은 하단에 락킹축을 누를 때마다 락킹축을 회전시켜 상,하 높낮이 위치를 전환하는 위치유도구(270)가 장착되되, 위치유도구(270)는 돌부(272)가 형성되어 돌부가 제1슬롯홀(225a) 또는 제2슬롯홀(225b)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면서 락킹축(260)이 상부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여 락킹축(260)에 형성된 제2락킹부(264)가 연결가드(240)의 걸림부(244)에 걸림되게하거나 걸림 해제되도록 하여 원터치로 벽체판(100)에 장착된 브라켓(220)의 각도조절 상태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first slot hole 225a and the second slot hole 225b of the hooking part 224 formed on the bracket 220 have different heights, and repea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haft coupling part 222. Arranged, and the locking shaft 260 is equipped with a position guide 270 that rotates the locking shaft every time the locking shaft is pressed to switch the upper and lower height positions, and the position guide 270 is a protruding part 272 ) is formed and the protrusion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first slot hole 225a or the second slot hole 225b to limit the depth at which the locking shaft 260 is inserted upward, thereby forming the second locking shaft formed on the locking shaft 26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ngle adjustment state of the bracket 220 mounted on the wall plate 100 with one touch by allowing the part 264 to be caught or released from the hooking part 244 of the connection guard 240.

그리고 상기 위치유도구(270)가 회전하면서 돌부(272)가 제1,2슬롯홀(225a,225b)에 번갈아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락킹축(260)과 위치유도구(270)가 상,하로 맞물리게 경사면이 형성된 회동유도부(266,276)가 형성될 수 있다. And, while the position guide 270 rotates, the locking shaft 260 and the position guide 270 move up and down so that the protrusions 272 are alternately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slot holes 225a and 225b. Rotation guide parts 266 and 276 having inclined surfaces engaged therein may be formed.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축(260)을 눌러서 벽체판(10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또는 회동이 불가능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1, the rotation of the wall plate 100 may be possible by pressing the locking shaft 260, or the rotation may be restricted so as not to be possible.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축(160)을 누르면 락킹축(260)과 위치유도구(270)가 탄성요소(280)에 지지된 상태에서 하강하면서 위치유도구(270)의 돌부(272)가 제1슬롯홀(225a)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이때 탄성요소(28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회동유도부(266,276)가 작용하여 미세하게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위치유도구(270)의 돌부(272)를 제2슬롯홀(225b)로 안내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13, when the locking shaft 160 is pressed, the locking shaft 260 and the positioning tool 270 descen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elastic element 280, and the protrusion of the positioning tool 270 ( 272) escapes from the first slotted hole 225a, and at this time, the rotation guide parts 266 and 276 act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element 280, and the protruding part 272 of the positioning guide 270 is finely rotated. is guided to the second slot hole 225b.

이때, 돌부(272)가 제2슬롯홀(225b)에 안착되면 탄성요소(280)의 탄성복원력이 더이상 락킹축(260)에 미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락킹축(260)의 제2락킹부(264)가 연결가드(240)의 걸림부(244)에 결착되지 않으며, 벽체판(100)을 자유롭게 회동시킬 수 있게 되어 벽체판(100)을 접거나 필요한 각도로 펼쳐지도록 조작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element 280 no longer reaches the locking shaft 260 when the protrusion 272 is seated in the second slot hole 225b, the second locking portion 264 of the locking shaft 260 It is not bound to the hooking part 244 of the connection guard 240, and the wall plate 100 can be freely rotated so that the wall plate 100 can be folded or unfolded at a required angle.

그리고 벽체판(100)의 각도 조절을 완료한 상태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축(160)을 다시 한 번 누르면 위치유도구(270)가 제2슬롯홀(225b)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이때 탄성요소(28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회동유도부(266,276)가 작용하여 미세하게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위치유도구(270)의 돌부(272)를 제2슬롯홀(225a)로 안내하게 된다.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angle adjustment of the wall plate 100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4, pressing the locking shaft 160 once again causes the position guide 270 to escape from the second slot hole 225b, At this time, the rotation inducing parts 266 and 276 act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element 280 to guide the protruding part 272 of the positioning guide 270 to the second slot hole 225a while being rotated minutely.

이때, 돌부(272)가 제1슬롯홀(225a)에 삽입되면 탄성요소(28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락킹축(260)을 상부측으로 깊숙히 삽입할 수 있게 되고, 락킹축(260)의 제2락킹부(264)가 연결가드(240)의 걸림부(244)에 결착되면서 벽체판(100)의 회동 작동이 제한되며 각도조절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protrusion 272 is inserted into the first slotted hole 225a,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element 280 enables the locking shaft 260 to be deeply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and the second As the locking part 264 is bound to the hooking part 244 of the connection guard 240,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wall plate 100 is limited, and the angle-adjusted state can be firmly maintained.

따라서 사용자가 벽체판(100)을 펼치거나 접을 때 락킹축(260)을 한 번 누른 후 벽체판을 회동시켜 서로 인접한 벽체판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고, 다시 한 번 누르면 벽체판의 회동을 제한하고 회동된 상태의 각도를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원터치 동작에 의하여 간편하게 베이비 룸을 펼치고 접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unfolds or folds the wall plate 100, after pressing the locking shaft 260 once, the wall plate is rotated to adjust the angle between the adjacent wall plates, and when pressed again, the rotation of the wall plate is limited Since the angle of the rotated state can be fixed, the baby room can be easily unfolded and folded by a one-touch operation.

한편, 상기 벽체판(100)은 복수의 벽체판 중 다른 벽체판들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넓게 구성되는 소수의 특수벽체판(100a)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ll plate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mall number of special wall plates 100a having a relatively wider width than other wall plates among a plurality of wall plates.

예를 들어 베이비 룸을 특수벽체판(100a)을 배치하고, 특수벽체판(100a)에 도어(D)를 장착하여 출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a special wall plate (100a) is placed in the baby room, and a door (D) is mounted on the special wall plate (100a) to enable entry and exit.

이때, 특수벽체판(100a)을 복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특수벽체판 중 하나 이상의 특수벽체판에 도어(D)를 장착하여 출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special wall plates 100a may be configured, and in this case, one or more of the special wall plates may be equipped with a door D to enable entry and exit.

또한, 상기 베이비 룸을 사각형 또는 원형의 울타리 형태과 같이 베이비 룸을 좌,우 대칭형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베이비 룸을 의 전,후방벽에 특수벽체판(100a)을 배치시키면 좌,우측의 벽체판(100) 구성이 동일하도록 형성되므로 좌,우측의 벽체판(100)이 전,후방벽의 사이에 접어서 수용되기 때문에 베이비 룸의 폴딩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baby room is to be installed in a left and right symmetrical shape, such as a rectangular or circular fence, when a special wall plate 100a is placed on the front and rear walls of the baby room, the left and right wall plates (100) Since the configuration is formed to be the same, the left and right wall plates 100 are folded and accommodat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walls, so the folding volume of the baby room can be minimized.

특히, 측벽을 구성하는 벽체판은 특수벽체판의 좌,우폭의 절반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베이비 룸을 좌,우 대칭형으로 전개한 상태에서 접을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을 구성하는 벽체판이 전,후방벽체 사이에서 중첩되게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wall plate constituting the side wall is formed relatively smaller than half of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special wall plate, so that when the baby room is folded in a left and right symmetrical state, the wall constituting the side wall as shown in FIG. The plate can be folded so that it overlaps between the front and rear walls.

100: 벽체판
120: 장착부 121: 끼움부
200: 연결수단
220: 브라켓 222: 축 결합부 224: 걸림부
225: 슬롯홀
240: 연결가드 242: 축 결합부 244: 걸림부
245: 요철면
260: 락킹축 262: 제1락킹부 262a: 돌부
264: 제2락킹부 264a: 요철면 266: 회동유도부
270: 위치유도구 272: 돌부 276: 회동유도부
300: 회동가이드
320: 힌지축
340: 받침가드 342: 축끼움부
360: 논슬립요소
100: wall plate
120: mounting part 121: fitting part
200: connecting means
220: bracket 222: shaft coupling part 224: hooking part
225: slot hole
240: connection guard 242: shaft coupling part 244: hooking part
245: uneven surface
260: locking shaft 262: first locking part 262a: protrusion
264: second locking part 264a: uneven surface 266: rotation guide part
270: position guidance tool 272: protrusion 276: rotation guidance unit
300: rotation guide
320: hinge axis
340: support guard 342: shaft fitting
360: non-slip element

Claims (5)

복수의 벽체판(100)이 구비되고, 벽체판(100)의 측변에는 서로 인접한 벽체판을 연결수단(200)으로 조립하여 울타리 형태로 연결 설치가 이루어지는 베이비 룸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200)은,
벽체판의 양측에 구비되는 브라켓(220)과,
벽체판을 인접시킨 상태에서 두 개의 브라켓(220)을 조립하여 벽체를 연장할 수 있게 하는 연결가드(24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가드(240)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축 결합부(242)가 형성되되, 각각의 축 결합부(242)에 브라켓(220)이 락킹축(260)에 의하여 축결합되어 벽체판(100)의 회동가능한 가변각도를 확보하면서 서로 인접한 벽체판(100)을 수평상태로 펼치거나 서로 포개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락킹축(260)은 제1,2락킹부(262,264)가 형성되고, 브라켓(220)과 연결가드(240)에는 제1,2락킹부가 각각 걸림되도록 걸림부(224,244)가 형성되며, 상기 락킹축(260)은 탄성요소(280)에 의하여 탄성복원력을 부여받아 왕복 작동하면서 제1,2락킹부(262,264)를 걸림부(224,244)에 걸어 고정하거나 걸림 상태를 해제하면서 베이비 룸을 설치한 상태에서 벽체판을 분리하지 않더라도 접이식으로 간편하게 설치상태를 해제하여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구조의 베이비 룸.
In the baby room, which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ll plates 100 and is connected and installed in the form of a fence by assembling wall plates adjacent to each other with connecting means 200 on the side of the wall plate 100,
The connecting means 200,
Brackets 22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wall plate,
It includes a connection guard 240 that allows the wall to be extended by assembling the two brackets 220 in a state where the wall plat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guard 240 is formed with two shaft coupling parts 242 spaced apart, and the bracket 220 is shaft-coupled to each shaft coupling unit 242 by the locking shaft 260, so that the wall plate ( 100) is configured to unfold the wall plates 100 adjacent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state or fold them over each other while securing a rotatable variable angle,
The locking shaft 260 is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locking parts 262 and 264, and the bracket 220 and the connection guard 240 are formed with hooking parts 224 and 244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arts are hooked, respectively. The locking shaft 260 receives elastic restoring force by the elastic element 280 and operates reciprocally, fixing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arts 262 and 264 to the hooking parts 224 and 244 or releasing the hooking state to install a baby room. A baby room with a fold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ior space can be efficiently used by easily releasing the installation state by folding even if the wall plate is not separated in the st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락킹부(264)의 상,하 락킹 해제되는 구간의 길이가 제1락킹부(262)의 상,하 락킹 해제되는 구간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구성되어 락킹축(260)이 브라켓(220)에 걸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브라켓(220)과 연결가드(240) 간 회동이 이루어지면서 벽체판(100)의 각도조절이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구조의 베이비 룸.The locking shaft of claim 1, wherein the length of the upper and lower unlocking section of the second locking part 264 is relatively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upper and lower unlocking section of the first locking part 262. 260 is rotated between the bracket 220 and the connection guard 240 while maintaining a fixed state of the bracket 220, and the angle of the wall plate 100 is adjus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baby of the folding structure room.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20)에 형성된 걸림부(224)는 상,하 높낮이를 달리하는 제1슬롯홀(225a)과 제2슬롯홀(225b)이 이 축 결합부(222)의 원주를 따라서 반복 배열되고,
상기 락킹축(260)은 하단에 락킹축을 누를 때마다 락킹축을 회전시켜 상,하 높낮이 위치를 전환하는 위치유도구(270)가 장착되되, 위치유도구(270)는 돌부(272)가 형성되어 돌부가 제1슬롯홀(225a) 또는 제2슬롯홀(225b)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면서 락킹축(260)이 상부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여 락킹축(260)에 형성된 제2락킹부(264)가 연결가드(240)의 걸림부(244)에 걸림되게하거나 걸림 해제되도록 하여 원터치로 벽체판(100)에 장착된 브라켓(220)의 각도조절 상태를 제어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구조의 베이비 룸.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hooking part 224 formed in the bracket 220 has a first slot hole 225a and a second slot hole 225b having different heights and heights of the shaft coupling part 222. Arranged repeatedly along the circumference,
The locking shaft 260 is equipped with a positioning guide 270 that rotates the locking shaft every time the locking shaft is pressed at the bottom to switch the up and down position, and the position guide 270 is formed with a protrusion 272 A second locking part 264 formed on the locking shaft 260 by limiting the depth at which the locking shaft 260 is inserted upward while the protrusion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first slot hole 225a or the second slot hole 225b A baby room with a fold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adjustment state of the bracket 220 mounted on the wall plate 100 is controlled with one touch by allowing the hooking part 244 of the connection guard 240 to be hooked or released.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20)은 벽체판(100)의 양측변에 형성된 장착부(120)에 장착되고,
브라켓(220)과 연결가드(240)는 강제 끼움으로 조립되는 맞물림부에 의하여 공회전이 가능하도록 조립되며,
상기 브라켓(220)의 하부측으로 락킹축(260)과 탄성요소(280)를 순차적으로 끼워 브라켓(220)을 벽체판(100)의 장착부(120)에 피스 고정하여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지고 연결가드(240)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브라켓(220)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구조의 베이비 룸.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bracket 22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2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wall plate 100,
The bracket 220 and the connection guard 240 are assembled so that idle rotation is possible by the engaging portion assembled by forced fitting,
The bracket 220 is simply assembled by fixing the bracket 220 to the mounting portion 120 of the wall plate 100 by sequentially inserting the locking shaft 260 and the elastic element 280 to the lower side of the bracket 220, and the connection guard A baby room with a fold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ckets 220 are rotatably mounted on both sides around (24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판(100)의 양측 하단에는 회동가이드(300)가 장착되고, 상기 회동가이드(300)는 상기 락킹축(260)과 동일 축상에 위치되게 힌지축(320)이 형성되고,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벽체판(100)의 힌지축이 이격되게 안착된 상태에서 벽체판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받침가드(340)가 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구조의 베이비 룸.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otation guide 300 is mounted on both lower ends of the wall plate 100, and the rotation guide 300 has a hinge shaft 320 positioned on the same axis as the locking shaft 260 Formed, the baby room of the fold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guard 340 is axis-coupled so that the rotation of the wall plate is possible in a state in which the hinge axes of the two adjacent wall plates 100 are seated apart from each other.
KR1020200138218A 2020-10-23 2020-10-23 Folding baby room KR1025211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218A KR102521119B1 (en) 2020-10-23 2020-10-23 Folding baby ro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218A KR102521119B1 (en) 2020-10-23 2020-10-23 Folding baby roo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900A KR20220053900A (en) 2022-05-02
KR102521119B1 true KR102521119B1 (en) 2023-04-13

Family

ID=8159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218A KR102521119B1 (en) 2020-10-23 2020-10-23 Folding baby ro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11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4110A1 (en) 2003-05-29 2004-12-09 Simplicity, Inc. Foldable crib and method for using same
WO2010139387A1 (en) 2009-06-04 2010-12-09 Indowoods Sa Barrier fence
KR101077744B1 (en) 2011-05-09 2011-10-27 양승규 Slides using screw block
KR200490846Y1 (en) 2019-04-09 2020-01-13 이대호 Angle adjustable bracket
KR102153940B1 (en) 2019-09-24 2020-09-09 주식회사 야야 Assembly fence for infant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7997A (en) * 2007-12-21 2009-06-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Method for forming resist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KR200482267Y1 (en) * 2015-04-17 2017-01-05 진양산업 주식회사 Mats fence of assemble typ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4110A1 (en) 2003-05-29 2004-12-09 Simplicity, Inc. Foldable crib and method for using same
WO2010139387A1 (en) 2009-06-04 2010-12-09 Indowoods Sa Barrier fence
KR101077744B1 (en) 2011-05-09 2011-10-27 양승규 Slides using screw block
KR200490846Y1 (en) 2019-04-09 2020-01-13 이대호 Angle adjustable bracket
KR102153940B1 (en) 2019-09-24 2020-09-09 주식회사 야야 Assembly fence for infant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 URL: https://blog.naver.com/mick0914/221740121819 >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 URL: https://blog.naver.com/pgs3996/22177114707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900A (en) 202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89526B1 (en) Foldable playyard and hub thereof
US5544870A (en) Play enclosure apparatus
US7617550B2 (en) Playard
US11330900B2 (en) Auto-locking adjustable bar and structure having same
KR920007466B1 (en) Foldable playyard
CA2250847C (en) Foldable playyard with latch locking hub system
US9078530B2 (en) Infant playpen capable of receiving the installation of multiple removable accessories
US20030061657A1 (en) Hub lock for playard
EP3787442A1 (en) A children&#39;s play-yard apparatus
KR102521119B1 (en) Folding baby room
US20230329451A1 (en) Topper accessories for a playard
KR102519310B1 (en) Folding baby room
US20230043971A1 (en) Bassinet accessory for a playard
CN204876807U (en) Locking piece and rail
US20230010207A1 (en) Foldable playard having x-frame assemblies, oval-shaped leg assemblies, and canopy cover
CN209152841U (en) Connecting piece for rail
KR102519102B1 (en) Tranformable babyroom
JP6527116B2 (en) Infant circle
US20230049901A1 (en) Playard with compact folded configuration and storage latch
KR200491269Y1 (en) A slide soap dish which is easy to control the height and having bending function
JPH08187392A (en) Clothing drying tool
JP5658551B2 (en) Home jungle gym
KR20160094352A (en) Playing ma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