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030B1 - 초음파 의료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의료 장치 - Google Patents

초음파 의료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030B1
KR102521030B1 KR1020200115236A KR20200115236A KR102521030B1 KR 102521030 B1 KR102521030 B1 KR 102521030B1 KR 1020200115236 A KR1020200115236 A KR 1020200115236A KR 20200115236 A KR20200115236 A KR 20200115236A KR 102521030 B1 KR102521030 B1 KR 102521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screw
magnetic member
moving nut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3175A (ko
Inventor
김균태
강동환
이원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시스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시스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시스메디칼
Priority to KR1020200115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030B1/ko
Priority to EP21193191.0A priority patent/EP3967368A1/en
Priority to CN202110988426.2A priority patent/CN114225241A/zh
Priority to US17/459,660 priority patent/US20220072337A1/en
Priority to IL286177A priority patent/IL286177A/en
Priority to JP2021145984A priority patent/JP7273423B2/ja
Publication of KR20220033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175A/ko
Priority to KR1020230044018A priority patent/KR20230051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030B1/ko
Priority to JP2023070111A priority patent/JP2023083503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7/0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84Moving parts
    • A61B2018/0019Moving parts vibr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84Moving parts
    • A61B2018/00202Moving parts rotating
    • A61B2018/00208Moving parts rotating actively driven, e.g.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8Destruction of fat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34Skin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56Beam shap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86Beam steering
    • A61N2007/0091Beam steering with moving parts, e.g. transducers, lenses,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003Screw mechanisms with arrangements for taking up backlas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 발생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너트 및 스크류 사이의 백래쉬를 제거함으로써, 초음파 발생부를 정밀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초음파 의료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초음파 의료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의료 장치{ULTRASONIC MEDICAL CARTRIDGE AND ULTRASOUND MED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드 스크류 방식으로 초음파 발생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너트 및 스크류 사이의 백래쉬를 제거함으로써, 초음파 발생부를 정밀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초음파 의료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학적 미용 분야에서는 지방 제거와 같은 피부 개선을 위하여, 고강도 집속 초음파(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 HIFU)를 이용한 피부 개선 시술을 할 수 있는 초음파 의료 장치가 개발되었다.
초음파 의료 장치는 초음파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의 초점을 피부 심부의 목표 부위로 타게팅하여 지방 세포의 응고 괴사를 유도한다. 응고 괴사가 일어난 지방 세포는 인체의 손상 복구 메커니즘에 의해 자연스럽게 제거된다.
한편, 피부 심부의 목표 부위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초음파 발생부를 이동시켜야 한다.
이러한 초음파 발생부를 이동시키는 방식 중의 하나는 리드 스크류 방식이 있다.
리드 스크류 방식은 스크류에 나사 결합되고 스크류의 회동에 의해 스크류의 나사산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너트를 매개로 초음파 발생부를 이동시키는 방식이다.
그런데, 기존의 리드 스크류 방식으로 초음파 발생부를 이동시키는 경우, 이동너트 및 스크류 사이의 백래쉬(Backlash)로 인하여 이동너트의 이동거리에 오차가 발생하고 이러한 이동너트를 매개로 이동되는 초음파 발생부의 이동 거리에도 오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기존의 리드 스크류 방식은 초음파 발생부의 정밀한 이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리드 스크류 방식은 초음파 발생부를 설정 구간을 따라 연속적이나 간헐적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초음파 발생부의 이동 시작점을 설정 구간의 시작점과 정확하게 정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43885호(2016.07.2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초음파 발생부의 정밀한 이동이 가능한 초음파 의료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의료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의료용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하우징;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에 수용되는 초음파 발생부; 상기 초음파 발생부와 결합되는 이동너트와, 상기 이동너트와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의 회동시 상기 이동너트가 상기 스크류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너트 및 상기 스크류가 상호 밀착되도록 상기 이동너트로 압력을 가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스크류에 인접하는 상기 이동너트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자성부재; 및 상기 제1자성부재로부터 상기 이동너트의 이동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자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자성부재와 상기 제2자성부재의 상호 척력에 의해 상기 이동너트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자성부재와 상기 제2자성부재는 상호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의료 장치는 핸드피스; 상기 핸드피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리지 하우징;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에 수용되는 초음파 발생부; 상기 초음파 발생부와 결합되는 이동너트와, 상기 이동너트와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의 회동시 상기 이동너트가 상기 스크류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너트 및 상기 스크류가 상호 밀착되도록 상기 이동너트로 압력을 가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스크류에 인접하는 상기 이동너트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자성부재; 및 상기 제1자성부재로부터 상기 이동너트의 이동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자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자성부재와 상기 제2자성부재의 상호 척력에 의해 상기 이동너트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드피스에 수용되고 상기 스크류를 회동시키는 구동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축과 상기 스크류를 연결하는 커플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자성부재에 대향하는 상기 커플러의 대향면에는, 상기 제2자성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래쉬 방지 장치는 이동너트, 상기 이동너트와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의 회동시 상기 이동너트가 상기 스크류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너트 및 상기 스크류가 상호 밀착되도록 상기 이동너트로 압력을 가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스크류에 인접하는 상기 이동너트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자성부재; 및 상기 제1자성부재로부터 상기 이동너트의 이동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자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자성부재와 상기 제2자성부재의 상호 척력에 의해 상기 이동너트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의료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의료 장치는 리드 스크류 방식으로 초음파 발생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의 이동너트 및 스크류 사이의 백래쉬가 가압수단에 의해 제거됨으로써, 초음파 발생부의 정밀한 이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의료 장치의 카트리지 하우징과 핸드피스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의료 장치를 수직방향으로 절개한 절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의료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의료 장치의 제1자성부재와 제2자성부재를 나타낸 확대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의료 장치의 카트리지 하우징과 핸드피스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의료 장치를 수직방향으로 절개한 절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의료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의료 장치는 핸드피스(10), 카트리지 하우징(20), 초음파 발생부(30), 이동부(40) 및 가압수단(50)을 포함한다.
핸드피스(10)는 기본 몸체로서,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로 활용될 수 있으며, 핸드피스(10)의 일측에는 초음파 발생부(30)가 수용된 카트리지 하우징(2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핸드피스(10)를 파지하고 카트리지 하우징(20)이 피부 표면과 밀착되도록 핸드피스(10)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초음파 발생부(30)에서 발생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피부 심부의 특정 깊이로 조사시키는 방식으로, 초음파 의료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핸드피스(10)의 내부에는 구동장치(60)와 초음파 발생부(30)로 RF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RF보드가 마련될 수 있다. RF보드는 구동장치(60)와 초음파 발생부(30)로 RF 전류를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카트리지 하우징(20)은 초음파 발생부(30)를 수용하는 일종의 케이스로서, 핸드피스(10)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카트리지 하우징(20)의 내부에는 초음파 발생부(30)에서 발생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의 매질인 탈기액이 수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탈기액은 기체가 제거된 수분일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한다.
카트리지 하우징(20)의 말단에는 초음파 발생부(30)에서 발생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가 투과할 수 있는 투과창(21)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들면, 투과창(21)은 고강도 집촉 초음파의 투과가 가능한 초음파 투과 필름이 사용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한다.
초음파 발생부(30)는 카트리지 하우징(20)에 수용되고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트랜스듀서일 수 있다. 이러한 트랜스듀서는 핸드피스(10)의 RF보드로부터 RF 전류를 인가받아서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초음파 발생부(30)에서 발생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는 카트리지 하우징(20)의 말단의 투과창(21)을 투과하여 피부 심부의 특정 깊이로 조사될 수 있다.
초음파 발생부(30)는 스크류(42)와 나사 결합되고 스크류(42)의 회동에 의해 스크류(42)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너트(41)를 매개로 이동된다. 이 때, 이동너트(41)와 초음파 발생부(30)가 일체로 결합됨에 따라, 이동너트(41)와 초음파 발생부(30)가 일체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초음파 발생부(30)를 이동시키는 방식을 리드 스크류 방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동부(40)는 초음파 발생부(30)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초음파 발생부(30)와 일체로 결합되는 이동너트(41)와, 이동너트(41)와 나사 결합되고 구동장치(60)에 의해 회동되는 스크류(42)를 포함한다.
이동너트(41)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스크류(42)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됨에 따라, 이동너트(41)와 스크류(42)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42)의 회동시 이동너트(41)가 스크류(42)의 나사산을 따라 스크류(4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예로, 스크류(42)가 일방향으로 회동되면 이동너트(41)가 스크류(42)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될 수 있고, 스크류(42)가 타방향으로 회동되면 이동너트(41)가 스크류(42)의 길이방향 타단에서 일단로 이동될 수 있다.
다른예로, 스크류(42)가 일방향으로 회동되면 이동너트(41)가 스크류(42)의 길이방향 타단에서 일단으로 이동될 수 있고, 스크류(42)가 타방향으로 회동되면 이동너트(41)가 스크류(42)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이동너트(41)의 이동방향은 스크류(42)의 길이방향일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너트(41)의 이동방향은 스크류(42)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는 방향과, 스크류(42)의 길이방향 타단에서 일단을 향하는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스크류(42)의 배치방향이 수평방향일 경우 이동너트(41)의 이동방향은 수평방향이 되고, 스크류(42)의 배치방향이 수직방향일 경우 이동너트(41)의 이동방향은 수직방향이 된다. 단,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은 각각 기하학적인 수직과 수평의 의미로 한정되지 않고, 수직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고, 수평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수평방향이 수직방향과 상호 수직하는 방향으로 정의되지만, 엄밀한 의미의 기하학적인 수직 방향으로 정의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수평방향보다는 수직하는 방향에 보다 가까운 것으로 보여지는 경우 수직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스크류(42)와 이동너트(41)를 핸드피스(10)에 수용될 수 있으며, 이동너트(41)와 초음파 발생부(30) 사이에는 이동축(43)과 지지축(44)이 설치될 수 있다.
이동축(43)과 지지축(44)은 이동너트(41)와 초음파 발생부(30)를 연결하는 것으로, 이동축(43)은 핸드피스(10)에 수용될 수 있고, 지지축(44)은 카트리지 하우징(20)에 수용될 수 있다.
이동축(43)은 이동너트(41)와 지지축(44)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축(43)의 일단은 이동너트(41)와 일체로 결합된다. 이동축(43)의 타단은 핸드피스(10)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되고 핸드피스(10)와 카트리지 하우징(20)의 체결시 카트리지 하우징(20)에 수용될 수 있다.
이동축(43)은 이동너트(41)와 일체로 결합되는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중공된 중공부(43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공부(43a)에는 스크류(42)가 삽입될 수 있으며, 중공부(43a)는 스크류(42)의 삽입시나 회동시에 스크류(42)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스크류(42)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지지축(44)은 이동축(43)과 초음파 발생부(3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축(44)의 일단은 이동축(43)의 타단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들어 지지축(44)의 일단은 이동축(43)의 타단이 관통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지지축(44)의 타단은 초음파 발생부(30)와 결합된다.
나아가, 스크류(42)의 회동에 의해 이동너트(41)가 스크류(42)를 따라 이동할 경우, 이동너트(41), 이동축(43), 지지축(44) 및 초음파 발생부(30)가 일체로 이동너트(41)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카트리지 하우징(20)에는 이동축(43)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축(22)이 수용될 수 있으며, 지지축(44)에는 가이드축(22)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되는 마운터(44a)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축(22)의 양단은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 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는 압축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가압수단(50)은 이동너트(41) 및 스크류(42)가 상호 밀착되도록 이동너트(41)로 압력을 가하여, 이동너트(41) 및 스크류(42) 사이의 백래쉬를 제거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의료 장치는 리드 스크류 방식으로 초음파 발생부(3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40)의 이동너트(41) 및 스크류(42) 사이의 백래쉬가 가압수단(50)에 제거됨으로써, 초음파 발생부(30)의 정밀한 이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의료 장치는 초음파 발생부(30)의 정밀한 이동이 가능하므로, 초음파 발생부(30)를 설정 구간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시키거나 간헐적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초음파 발생부(30)의 이동 시작점이 설정 구간에서의 시작점과 정확하게 정렬된다. 그 결과, 초음파 발생부(30)는 설정 구간의 시작점부터 설정 구간의 최종점을 따라 정확하게 이동될 수 있다.
구동장치(60)는 핸드피스(10)에 마련되며, 스크류(42)를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동장치(60)는 핸드피스(10)의 RF보드로부터 RF전류를 인가받아서 스크류(42)를 회동시킬 수 있다. 일예로, 구동장치(60)는 정역모터, 유압모터, 공압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동장치(60)의 구동축(61)은 커플러(70)를 매개로 스크류(42)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커플러(70)는 구동장치(60)의 구동축(61)과 스크류(42)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장치(60)와 이동부(40)는 조절부(미도시)에 의해 이동너트(41)의 이동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장치(60)와 이동축(43)은 핸드피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동 플레이트(9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가동 플레이트(90)는 핸드피스(10)의 내부에 이동너트(41)의 이동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조절부(미도시)는 가동 플레이트(90)를 이동너트(41)의 이동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그로 인해, 가동 플레이트(90)에 고정된 구동장치(60)와 이동부(40)가 이동너트(41)의 이동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예로, 조절부(미도시)는 아우터 로터(미도시)와, 일측은 가동 플레이트(90)를 지지하고 타측은 아우터 로터(미도시)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너 로터(미도시)를 포함하고, 이너 로터(미도시)는 아우터 로터(미도시)의 회전에 의해 아우터 로터(미도시)에서 가동 플레이트(90)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이너 로터(미도시)가 아우터 로터(미도시)에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가동 플레이트(90)를 이동너트(41)의 이동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의료 장치의 제1자성부재와 제2자성부재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수단(50)은 제1자성부재(51) 및 제2자성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자성부재(51)는 스크류(42)에 인접하는 이동너트(41)의 일단에 결합되고 제2자성부재(52)는 제1자성부재(51)로부터 이동너트(41)의 이동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제2자성부재(52)는 제1자성부재(51)에 대향하는 커플러(70)의 대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자성부재(51)와 제2자성부재(52)는 상호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자성부재(51)와 제2자성부재(52) 간에는 상호 척력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이동너트(41)에 결합된 제2자성부재(52)가 이동너트(41)의 이동 방향(즉, 제1자성부재(5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서 이동너트(41)로 압력이 가해진다. 그 결과, 이동너트(41) 및 스크류(42)가 상호 밀착됨에 따라 이동너트(41) 및 스크류(42) 사이의 백래쉬가 제거된다.
이러한 제1자성부재(51)와 제2자성부재(52)는 상호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자성부재(51)와 제2자성부재(52)는 상호 대응하는 내경과 외경을 갖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자성부재(51)의 회전시에도 제1자성부재(51)에서 제2자성부재(52)로 작용하는 자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제1자성부재(51)와 제2자성부재(52)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자성부재(51)와 제2자성부재(52) 각각은 단수로 구성되거나, 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자성부재(51)와 제2자성부재(52)는 상호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자성부재(51)와 제2자성부재(52)는 각자의 내경과 각자의 외경이 모두 상호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자성부재(51)의 중심축과, 제2자성부재(52)의 중심축과, 구동모터의 구동축(61)의 중심축이 모두 일렬로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자성부재(51)의 회전시에도, 제1자성부재(51) 및 제2자성부재(52) 간에 상호 척력이 작용하는 높이가 유지되므로, 제1자성부재(51)와 제2자성부재(52)의 상호 척력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는 이동너트(41)의 편향을 방지할 수 있다.
일예로, 제1자성부재(51)와 제2자성부재(52)는 영구자석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자성부재(51)와 제2자성부재(52)에 별다른 전력 공급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전력 소모를 저감할 수 있다.
일예로, 제1자성부재(51)와 제2자성부재(52)는 전자석이 사용될 수 있다. 이경우 제1자성부재(51)와 제2자성부재(52)는 핸드피스(10)의 RF보드로부터 RF전류를 인가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핸드피스(10)는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미도시)는 이동부(4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일예로 홀센서, 포토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카트리지 하우징(20)도 센서(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센서(미도시)는 초음파 발생부(3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일예로 홀센서, 포토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의료용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하우징(20), 초음파 발생부(30), 이동부(40) 및 가압수단(50)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의료 장치의 카트리지 하우징(20), 초음파 발생부(30), 이동부(40) 및 가압수단(50)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래쉬 방지 장치는 이동부(40) 및 가압수단(50)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의료 장치의 이동부(40) 및 가압수단(50)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핸드피스
20 : 카트리지 하우징
21 : 투과창
22 : 가이드축
30 : 초음파 발생부
40 : 이동부
41 : 이동너트
42 : 스크류
43 : 이동축
44 : 지지축
44a : 마운터
50 : 가압수단
51 : 제1자성부재
52 : 제2자성부재
60 : 구동장치
61 : 구동축
70 : 커플러
90 : 가동 플레이트

Claims (11)

  1. 카트리지 하우징;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에 수용되는 초음파 발생부;
    상기 초음파 발생부와 결합되는 이동너트와, 상기 이동너트와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의 회동시 상기 이동너트가 상기 스크류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너트 및 상기 스크류가 상호 밀착되도록 상기 이동너트로 압력을 가하는 가압수단;
    상기 스크류를 회동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축과 상기 스크류를 연결하는 커플러;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에 마련되는 가이드축; 및
    상기 가이드축의 양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가이드축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의료용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스크류에 인접하는 상기 이동너트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자성부재; 및
    상기 제1자성부재로부터 상기 이동너트의 이동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자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의료용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성부재와 상기 제2자성부재의 상호 척력에 의해 상기 이동너트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의료용 카트리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성부재와 상기 제2자성부재는,
    상호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의료용 카트리지.
  5. 핸드피스;
    상기 핸드피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리지 하우징;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에 수용되는 초음파 발생부;
    상기 초음파 발생부와 결합되는 이동너트와, 상기 이동너트와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의 회동시 상기 이동너트가 상기 스크류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너트 및 상기 스크류가 상호 밀착되도록 상기 이동너트로 압력을 가하는 가압수단;
    상기 스크류를 회동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축과 상기 스크류를 연결하는 커플러;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에 마련되는 가이드축; 및
    상기 가이드축의 양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가이드축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의료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스크류에 인접하는 상기 이동너트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자성부재; 및
    상기 제1자성부재로부터 상기 이동너트의 이동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자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의료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성부재와 상기 제2자성부재의 상호 척력에 의해 상기 이동너트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의료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성부재에 대향하는 상기 커플러의 대향면에는,
    상기 제2자성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의료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00115236A 2020-09-09 2020-09-09 초음파 의료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의료 장치 KR102521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236A KR102521030B1 (ko) 2020-09-09 2020-09-09 초음파 의료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의료 장치
EP21193191.0A EP3967368A1 (en) 2020-09-09 2021-08-26 Ultrasonic medical cartridge and ultrasonic med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2110988426.2A CN114225241A (zh) 2020-09-09 2021-08-26 超声波医疗用盒、超声波医疗装置及防齿隙装置
US17/459,660 US20220072337A1 (en) 2020-09-09 2021-08-27 Ultrasonic medical cartridge and ultrasonic med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IL286177A IL286177A (en) 2020-09-09 2021-09-05 An ultrasonic medical cartridge and an ultrasonic med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2021145984A JP7273423B2 (ja) 2020-09-09 2021-09-08 超音波医療用カートリッジ、これを含む超音波医療装置およびバックラッシュ防止装置
KR1020230044018A KR20230051447A (ko) 2020-09-09 2023-04-04 초음파 의료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의료 장치
JP2023070111A JP2023083503A (ja) 2020-09-09 2023-04-21 超音波医療用カートリッジ、これを含む超音波医療装置およびバックラッシュ防止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236A KR102521030B1 (ko) 2020-09-09 2020-09-09 초음파 의료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의료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018A Division KR20230051447A (ko) 2020-09-09 2023-04-04 초음파 의료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의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175A KR20220033175A (ko) 2022-03-16
KR102521030B1 true KR102521030B1 (ko) 2023-04-12

Family

ID=778014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236A KR102521030B1 (ko) 2020-09-09 2020-09-09 초음파 의료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의료 장치
KR1020230044018A KR20230051447A (ko) 2020-09-09 2023-04-04 초음파 의료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의료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018A KR20230051447A (ko) 2020-09-09 2023-04-04 초음파 의료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의료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72337A1 (ko)
EP (1) EP3967368A1 (ko)
JP (2) JP7273423B2 (ko)
KR (2) KR102521030B1 (ko)
CN (1) CN114225241A (ko)
IL (1) IL28617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5324A (ko) 2022-07-05 2024-01-12 주식회사 셀라메디칼 초음파 의료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74224A1 (en) * 2012-12-24 2014-06-26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Transmission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1861A (en) * 1990-06-04 1994-07-26 Benjamin Joffe Rotating drive magnetically coupled for producing linear motion
JP3707805B2 (ja) * 1993-05-31 2005-10-19 ソニー株式会社 位置決め装置
US6467362B2 (en) * 1997-04-17 2002-10-22 Kerk Motion Products, Inc. Reinforced lead screw with spring biased anti-backlash nut
KR100426071B1 (ko) * 2001-11-20 2004-04-06 광주과학기술원 백래쉬없는 선형 스크류장치
JP2009127751A (ja) * 2007-11-26 2009-06-11 Tama Tlo Kk ゼンマイバネ付勢ユニット、及びボールネジ駆動ステージ
KR101191347B1 (ko) * 2010-10-20 2012-10-15 (주)클래시스 고강도집속초음파장치용 3차원이송식 핸드피스
EP2671093B1 (en) * 2011-01-31 2019-01-16 Sunnybrook Health Sciences Centre Ultrasonic probe with ultrasonic transducers addressable on common electrical channel
KR101487497B1 (ko) * 2014-01-24 2015-01-29 주식회사 엘림텍 초음파를 이용한 피부 미용장치
JP2015182521A (ja) * 2014-03-21 2015-10-2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AU2014409333B2 (en) * 2014-10-24 2017-11-09 Classys Inc. Ultrasonic cartridge and ultrasonic treatment head using same
KR101643885B1 (ko) 2015-12-14 2016-07-29 (주)클래시스 초음파 카트리지
KR102117301B1 (ko) * 2019-01-09 2020-06-01 (주)클래시스 초음파 치료용 핸드피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74224A1 (en) * 2012-12-24 2014-06-26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Transmission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67368A1 (en) 2022-03-16
JP2023083503A (ja) 2023-06-15
KR20220033175A (ko) 2022-03-16
JP7273423B2 (ja) 2023-05-15
CN114225241A (zh) 2022-03-25
KR20230051447A (ko) 2023-04-18
US20220072337A1 (en) 2022-03-10
IL286177A (en) 2022-04-01
JP2022045919A (ja)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618B1 (ko) 초음파 시술 장치
KR102256560B1 (ko) 초음파 집속 깊이 조절이 가능한 초음파 발생 장치
KR20230008267A (ko) 초음파 의료 장치
KR101893584B1 (ko) 초음파 시술 장치
KR102111103B1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압전구동장치의 제어방법
KR102118017B1 (ko) 압전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핸드피스 장치
KR20230051447A (ko) 초음파 의료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의료 장치
US20240066555A1 (en) Ultrasonic wave generating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focusing depth of ultrasonic waves
US20230321461A1 (en) Ultrasound generation device capable of adjusting ultrasound focus depth
KR101791550B1 (ko) 초음파 치료용 헤드
JP2024519489A (ja) 超音波の集束深さの調節が可能な超音波発生装置
EP4316585A1 (en) Ultrasound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ultrasound focusing depth
KR20220147019A (ko) 초음파 발생 장치
KR102544256B1 (ko) 집속점 깊이 조절이 가능한 초음파 핸드피스 장치
KR20240005324A (ko) 초음파 의료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10806B1 (ko) 초음파 발생 장치
KR101779604B1 (ko) 시술용 의료장비의 거치장치
KR20230077214A (ko) 초음파 핸드피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