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866B1 - 토크부하 저감형 선형밸브 - Google Patents

토크부하 저감형 선형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866B1
KR102520866B1 KR1020220143366A KR20220143366A KR102520866B1 KR 102520866 B1 KR102520866 B1 KR 102520866B1 KR 1020220143366 A KR1020220143366 A KR 1020220143366A KR 20220143366 A KR20220143366 A KR 20220143366A KR 102520866 B1 KR102520866 B1 KR 102520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opening
valve
closing
out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용
Original Assignee
박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용 filed Critical 박호용
Priority to KR1020220143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8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58Optical means, e.g. light transmission, observation 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토크부하 저감형 선형밸브는: 원통형의 외관을 이루도록 구비된 밸브 바디; 상기 밸브 바디로 유체가 유입되는 배관에 연결되도록 상기 밸브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는 유입측 케이싱; 상기 밸브 바디에서 유체가 유출되는 배관에 연결되도록 상기 밸브 바디의 타측에 결합되되, 상기 유입측 케이싱과 함께 일직선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유출측 케이싱; 및, 상기 밸브 바디의 내부에서 원통 형상을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유입측 케이싱과 상기 유출측 케이싱의 사이에서 전후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유체 흐름에 가로방향으로 상기 밸브 바디의 전후로 주입되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상기 유출측 케이싱에 밀착시 유체의 흐름이 차단되도록 하거나 상기 유출측 케이싱으로부터 이격시 유체의 흐름이 차단 해제되도록 하며 유체의 흐름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방 또는 폐쇄 동작이 이뤄지도록 하는 개폐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밸브 내부의 유로가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와류 현상이나 유속 저하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고, 배관을 따라서 유동 되는 유체의 흐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밸브가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밸브에 가해지는 토크 부하가 저감 되어 밸브의 작동이 원활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밸브가 개폐되도록 구동되는 액추에이터가 밸브의 외부가 아닌 밸브의 몸통 내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구동력의 손실은 최소화되도록 하면서도 잔고장의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협소한 공간에서도 배관에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는 토크부하 저감형 선형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토크부하 저감형 선형밸브 {torque reducing type linear valve}
본 발명은 토크부하 저감형 선형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 내부의 유로가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와류 현상이나 유속 저하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고, 배관을 따라서 유동 되는 유체의 흐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밸브가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밸브에 가해지는 토크 부하가 저감 되어 밸브의 작동이 원활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밸브가 개폐되도록 구동되는 액추에이터가 밸브의 외부가 아닌 밸브의 몸통 내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구동력의 손실은 최소화되도록 하면서도 잔고장의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협소한 공간에서도 배관에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는 토크부하 저감형 선형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분말, 가스 등의 유체를 운송하는 배관에는 배관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 또는 유동시키기 위하여 배관을 폐쇄 또는 개방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개폐 밸브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개폐 밸브는 내부에서 작동되는 구조, 예컨대 배관을 밀폐 또는 개방시키는 것을 구현하는 디스크 또는 볼 등이 내장되는 형태에 따라서, 게이트 밸브, 버터플라이 밸브, 볼 밸브, 디스크 밸브 등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개폐 밸브는, 디스크 또는 볼 등이 밀착되는 밸브시트를 포함하고, 따라서 상기 디스크 또는 볼 등이 밸브시트의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한 배관의 폐쇄가 이루어진다.
이때, 유체 즉, 분말, 가스 또는 분말 등의 차단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디스크 등이 밸브시트에 매우 긴밀하게 밀착 유지되어야 한다.
한편, 이와 같은 밸브시트는 배관의 개폐에 따라, 디스크 등이 반복적으로 마찰 되면서 쉽게 마모되고, 따라서 정기적으로 밸브시트를 교체하여도 마모된 밸브시트로 인하여, 배관의 폐쇄시 유체의 차단이 완벽하게 이뤄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고, 특히 밸브시트의 마모에 따른 교체 등으로 설비 유지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개폐 밸브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865567호(2018년06월01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개폐 밸브는 밸브의 개폐가 유체 흐름을 가로막는 가로방향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와류 현상이나 유속 저하 등의 현상이 발생하게 될 수 있고, 토크 부하가 많이 걸리게 되어 밸브 작동에 문제가 생기며 사용수명이 짧아지게 되는 등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밸브가 개폐되도록 구동되는 액추에이터가 밸브에 가로방향으로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기 때문에 구동력의 전달 과정에서 손실이 발생하게 될 수 있고 잔고장도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며 배관에 설치할 때에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설치 작업이 까다로워지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865567호(2018년06월01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 내부의 유로가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와류 현상이나 유속 저하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고, 배관을 따라서 유동 되는 유체의 흐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밸브가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밸브에 가해지는 토크 부하가 저감 되어 밸브의 작동이 원활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밸브가 개폐되도록 구동되는 액추에이터가 밸브의 외부가 아닌 밸브의 몸통 내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구동력의 손실은 최소화되도록 하면서도 잔고장의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배관에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는 토크부하 저감형 선형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토크부하 저감형 선형밸브는: 원통형의 외관을 이루도록 구비된 밸브 바디; 상기 밸브 바디로 유체가 유입되는 배관에 연결되도록 상기 밸브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는 유입측 케이싱; 상기 밸브 바디에서 유체가 유출되는 배관에 연결되도록 상기 밸브 바디의 타측에 결합되되, 상기 유입측 케이싱과 함께 일직선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유출측 케이싱; 및, 상기 밸브 바디의 내부에서 원통 형상을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유입측 케이싱과 상기 유출측 케이싱의 사이에서 전후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유체 흐름에 가로방향으로 상기 밸브 바디의 전후로 주입되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상기 유출측 케이싱에 밀착시 유체의 흐름이 차단되도록 하거나 상기 유출측 케이싱으로부터 이격시 유체의 흐름이 차단 해제되도록 하며 유체의 흐름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방 또는 폐쇄 동작이 이뤄지도록 하는 개폐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밸브 바디에는 상기 개폐 구동부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개폐 표시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 표시부는, 상기 밸브 바디의 측면에 상기 개폐 구동부의 왕복 변위만큼 천공 형성된 지시 슬롯과, 상기 개폐 구동부의 외측에서 상기 지시 슬롯을 향해 연장되게 구비되어 상기 개폐 구동부의 개폐 동작이 상기 지시 슬롯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지시 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 내부의 유로가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와류 현상이나 유속 저하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고, 배관을 따라서 유동 되는 유체의 흐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밸브가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밸브에 가해지는 토크 부하가 저감 되어 밸브의 작동이 원활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밸브가 개폐되도록 구동되는 액추에이터가 밸브의 외부가 아닌 밸브의 몸통 내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구동력의 손실은 최소화되도록 하면서도 잔고장의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게 되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배관에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는 토크부하 저감형 선형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부하 저감형 선형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크부하 저감형 선형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부하 저감형 선형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 표시부를 위에서 내려다본 확대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부하 저감형 선형밸브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크부하 저감형 선형밸브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외관을 이루도록 구비된 밸브 바디(100)와, 밸브 바디(100)로 유체가 유입되는 배관에 연결되도록 밸브 바디(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유입측 케이싱(200)과, 밸브 바디(100)에서 유체가 유출되는 배관에 연결되도록 밸브 바디(100)의 타측에 결합되되 유입측 케이싱(200)과 함께 일직선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유출측 케이싱(300)과, 밸브 바디(100)의 내부에서 원통 형상을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유입측 케이싱(200)과 유출측 케이싱(300)의 사이에서 전후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유체 흐름에 가로방향으로 밸브 바디(100)의 전후로 주입되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유출측 케이싱(300)에 밀착시 유체의 흐름이 차단되도록 하거나 유출측 케이싱(300)으로부터 이격시 유체의 흐름이 차단 해제되도록 하며 유체의 흐름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방 또는 폐쇄 동작이 이뤄지도록 하는 개폐 구동부(40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밸브 내부의 유로가 전체적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와류 현상이나 유속 저하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고, 배관을 따라서 유동 되는 유체의 흐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밸브가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밸브에 가해지는 토크 부하가 저감 되어 밸브의 작동이 원활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밸브가 개폐되도록 구동되는 액추에이터가 밸브의 외부가 아닌 밸브의 몸통 내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구동력의 손실은 최소화되도록 하면서도 잔고장의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게 되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배관에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는 토크부하 저감형 선형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밸브 바디(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유입되는 전방과 유체가 유출되는 후방이 모두 개방된 짧은 원통 형상의 외관을 이루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바디(100)의 내주면에는 개폐 구동부(40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개폐 구동부(400)가 전후 왕복시에도 기밀한 접촉 상태가 유지되며 유체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된 바디 패킹(110)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바디(100)의 외주면 중 측면에 해당되는 부분에서 전방에는 외부에서 공압 또는 유압이 주입되어 개폐 구동부(400)가 후진 되며 밸브 유로가 폐쇄되도록 클로즈 압력 주입구(120)가 형성되고, 밸브 바디(100)의 외주면 중 측면에 해당되는 부분에서 후방에는 외부에서 또 다른 공압 또는 유압이 주입되어 개폐 구동부(400)가 전진 되며 밸브 유로가 개방되도록 오픈 압력 주입구(13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개폐 구동부(4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압력 주입이 밸브 바디(10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클로즈 압력 주입구(120)와 오픈 압력 주입구(130)에 의해 직접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밸브의 구조가 단순해지고 콤팩트하게 이뤄지도록 하여 제작 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고, 밸브 외부에서의 구동력 전달에 따른 손실은 최소화되며 잔고장의 발생 가능성도 최소화되어 내구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클로즈 압력 주입구(120)와 오픈 압력 주입구(130)에는 에어 호스가 연결되어 유압이 아닌 공압이 주입되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측 케이싱(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바디(100)의 전방에 결합되어 밸브 바디(100)의 개방된 전방을 가로막도록 구비된 유입 커버(201)와, 유입 커버(201)의 전방에 연통 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유입측 배관에 연통 되게 결합되는 유입 플랜지(203)를 포함한다.
유출측 케이싱(3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바디(100)의 후방에 결합되어 밸브 바디(100)의 개방된 후방을 가로막도록 구비된 유출 커버(301)와, 유출 커버(301)의 후방에 연통 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유출측 배관에 연통 되게 결합되는 유출 플랜지(303)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 플랜지(303)의 연통 된 중심부 내측으로는 원형을 이루는 부분이 밸브 바디(10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고 돌출된 원형부의 둘레에는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마다 지지부가 형성되어 지지부들 사이의 공간이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 유로(305)가 되도록 하는 홀더(310)가 구비되고, 유출 커버(301)의 내주면에는 측 단면상 곡면 형태를 이루도록 유로 돌출부(302)가 볼록하게 형성되었다가 밸브 바디(100)의 내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개폐 구동부(400)의 전진시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 유로(305)를 홀더(310)와 함께 형성하게 되며, 홀더(310)의 전방에는 밸브 바디(100)의 내부에서 왕복 되는 개폐 구동부(400)의 내부 중심을 향해 원뿔형상으로 형성된 글랜드(320)가 구비되고, 홀더(310)와 글랜드(320)의 사이에는 개폐 구동부(400)의 후진에 의한 유로의 폐쇄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탄성 재질의 시트(330)가 납작한 판상의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밸브 바디(100)의 내부에서 개폐 구동부(400)의 후진시에는 개폐 구동부(400)의 원통 부분이 시트(330)에 접촉되어 유로 돌출부(302)를 가로막아 유체의 흐름이 견고하게 차단되도록 할 수 있고, 밸브 바디(100)의 내부에서 개폐 구동부(400)의 전진시에는 개폐 구동부(400)의 원통 부분이 시트(330)로부터 멀어지며 유로 돌출부(302)가 다시 개방되도록 하여 유체가 일직선상으로 유입되었다가 유출되는 흐름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개폐 구동부(4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바디(100)의 내부에서 후진시 유로 돌출부(302)의 내주 안쪽으로 삽입되어 시트(330)에 접촉되며 밸브 유로가 차단되도록 시트(330)의 외경에 대응되게 원통 형상으로 마련된 드럼 샤프트(410)와, 드럼 샤프트(410)의 외주면에서 측 단면상 대략‘T’자의 형상으로 밸브 바디(100)의 내주면까지 연장되게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전후 슬라이딩 왕복시 드럼 샤프트(410)가 밸브 바디(100)에 대해 원활하게 슬라이딩 되며 지지 되도록 하는 샤프트 왕복 지지부(42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개폐 구동부(400)가 이중의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밸브 바디(100)의 내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왕복 되게 구비됨으로써, 배관을 따라서 유동 되는 유체의 흐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밸브가 드럼 샤프트(410)에 의해 용이하게 개폐되도록 하여 밸브에 가해지는 토크 부하가 효과적으로 저감 되도록 할 수 있고, 샤프트 왕복 지지부(420)에 의해 드럼 샤프트(410)의 전후 슬라이딩 왕복이 보다 안정적인 구조로 부드럽고 원활하게 지지 되며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샤프트(410)와 유로 돌출부(302)의 사이, 그리고 드럼 샤프트(410)와 유입측 케이싱(200)의 사이에는, 대략 볼록한‘X’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탄성 재질의 링으로 마련되어 개폐 구동부(400)가 전후 왕복시에도 기밀한 접촉 상태가 유지되며 유체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하는 드럼 패킹(411)과, 드럼 패킹(411)의 일측에서 나란히 드럼 패킹(411)을 향해 ‘V’자 형태의 먼지 걸림 홈이 형성된 단면을 갖는 탄성 재질의 링으로 마련되어 개폐 구동부(400)가 전후 왕복시에도 드럼 패킹(411)과 함께 기밀한 접촉 상태가 유지되며 유체의 누설이 더욱 확실히 방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먼지나 이물질 등이 밸브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걸러내는 더스트 씰(413)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트 왕복 지지부(4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바디(100)의 내주면에 대응되게 드럼 샤프트(410)에 대해 2중의 원통 형상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드럼 샤프트(410)의 전후 왕복 이동시 드럼 샤프트(410)와 함께 밸브 바디(100)의 내주면에 접촉이 유지되는 상태로 전후 슬라이딩 되는 바디 접촉 드럼(421)과, 바디 접촉 드럼(421)과 드럼 샤프트(410)의 사이에서 드럼 샤프트(410)가 바디 접촉 드럼(421)에 대해 지지 되도록 바디 접촉 드럼(421) 및 드럼 샤프트(410)와 일체로 형성된 드럼 연결 디스크(423)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드럼 샤프트(410)의 외주면에 샤프트 왕복 지지부(420)가 측 단면상 대략‘T’자의 형상으로 밸브 바디(100)의 내주면까지 연장되게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개폐 구동부(400)의 전후 슬라이딩 왕복시 드럼 샤프트(410)가 밸브 바디(100)에 대해 샤프트 왕복 지지부(420)에 의해 원활하게 슬라이딩 되며 견고한 구조로 지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드럼 연결 디스크(423)는 개폐 구동부(400)의 후진에 의한 유로의 폐쇄 동작시 유로 돌출부(302)에 의한 간섭을 회피하도록 유로 돌출부(302)의 연장 길이만큼 절곡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바디(100)에는 개폐 구동부(400)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개폐 표시부(50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밸브 바디(100)의 내부에서 작동되는 개폐 구동부(400)에 직접 연결된 개폐 표시부(500)를 통해 밸브 바디(100)의 외부에서도 밸브의 개방 또는 폐쇄 여부를 손쉽고 간편하게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밸브의 운전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표시부(500)는 밸브 바디(100)의 외주면 중 클로즈 압력 주입구(120)와 오픈 압력 주입구(130)가 형성되지 않는 측면, 예컨대 상부 측면에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 표시부(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바디(100)의 측면에 개폐 구동부(400)의 왕복 변위만큼 천공 형성된 지시 슬롯(510)과, 개폐 구동부(400)의 바디 접촉 드럼(421)의 외측에서 지시 슬롯(510)을 향해 연장되게 구비되어 개폐 구동부(400)의 개폐 동작이 지시 슬롯(5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지시 핀(52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개폐 구동부(400)가 후진 되어 유로를 폐쇄하게 될 때에는 지시 핀(520)도 함께 지시 슬롯(510)을 따라 후진 되어 밸브 바디(100)의 외부에서 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손쉽고 간편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고, 개폐 구동부(400)가 전진 되어 유로를 개방하게 될 때에는 지시 핀(520)도 함께 지시 슬롯(510)을 따라 전진 되어 밸브 바디(100)의 외부에서 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손쉽고 간편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지시 슬롯(510)에서 지시 핀(520)이 최대한 후진 되는 부분에는 문자나 숫자 등으로(예컨대, 영문 close의 ‘C’자) 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알려주는 표기가 이뤄지도록 하고, 지시 슬롯(510)에서 지시 핀(520)이 최대한 전진 되는 부분에는 문자나 숫자 등으로(예컨대, 영문 open의 ‘O’자) 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알려주는 표기가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밸브 바디(100)의 외부에서 밸브의 개폐 여부를 더욱 신속하고 간편하게 직접적으로 확인하고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밸브 바디 110 : 바디 패킹
200 : 유입측 케이싱 300 : 유출측 케이싱
305 : 유출 유로 310 : 홀더
320 : 글랜드 330 : 시트
400 : 개폐 구동부 410 : 드럼 샤프트
411 : 드럼 패킹 413 : 더스트 씰
420 : 샤프트 왕복 지지부 421 : 바디 접촉 드럼
423 : 드럼 연결 디스크 500 : 개폐 표시부
510 : 지시 슬롯 520 : 지시 핀

Claims (3)

  1. 원통형의 외관을 이루도록 구비된 밸브 바디(100);
    상기 밸브 바디(100)로 유체가 유입되는 배관에 연결되도록 상기 밸브 바디(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유입측 케이싱(200);
    상기 밸브 바디(100)에서 유체가 유출되는 배관에 연결되도록 상기 밸브 바디(100)의 타측에 결합되되, 상기 유입측 케이싱(200)과 함께 일직선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유출측 케이싱(300); 및
    상기 밸브 바디(100)의 내부에서 원통 형상을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유입측 케이싱(200)과 상기 유출측 케이싱(300)의 사이에서 전후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유체 흐름에 가로방향으로 상기 밸브 바디(100)의 전후로 주입되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상기 유출측 케이싱(300)에 밀착시 유체의 흐름이 차단되도록 하거나 상기 유출측 케이싱(300)으로부터 이격시 유체의 흐름이 차단 해제되도록 하며 유체의 흐름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방 또는 폐쇄 동작이 이뤄지도록 하는 개폐 구동부(400);
    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바디(100)에는 상기 개폐 구동부(400)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개폐 표시부(500)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 표시부(500)는, 상기 밸브 바디(100)의 측면에 상기 개폐 구동부(400)의 왕복 변위만큼 천공 형성된 지시 슬롯(510)과, 상기 개폐 구동부(400)의 외측에서 상기 지시 슬롯(510)을 향해 연장되게 구비되어 상기 개폐 구동부(400)의 개폐 동작이 상기 지시 슬롯(5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지시 핀(520)을 포함하고,
    상기 유출측 케이싱(300)은, 상기 밸브 바디(10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 바디(100)의 개방된 후방을 가로막도록 구비된 유출 커버(301)와, 상기 유출 커버(301)의 후방에 연통 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유출측 배관에 연통 되게 결합되는 유출 플랜지(303)를 포함하며,
    상기 유출 플랜지(303)의 연통 된 중심부 내측으로는 원형을 이루는 부분이 상기 밸브 바디(10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고 돌출된 원형부의 둘레에는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마다 지지부가 형성되어 지지부들 사이의 공간이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 유로(305)가 되도록 하는 홀더(310)가 구비되고, 상기 유출 커버(301)의 내주면에는 측 단면상 곡면 형태를 이루도록 유로 돌출부(302)가 볼록하게 형성되었다가 상기 밸브 바디(100)의 내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개폐 구동부(400)의 전진시 유체가 유출되는 상기 유출 유로(305)를 상기 홀더(310)와 함께 형성하게 되며, 상기 홀더(310)의 전방에는 상기 밸브 바디(100)의 내부에서 왕복 되는 상기 개폐 구동부(400)의 내부 중심을 향해 원뿔형상으로 형성된 글랜드(320)가 구비되고, 상기 홀더(310)와 상기 글랜드(320)의 사이에는 상기 개폐 구동부(400)의 후진에 의한 유로의 폐쇄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탄성 재질의 시트(330)가 납작한 판상의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어 구비되며,
    상기 개폐 구동부(400)는, 상기 밸브 바디(100)의 내부에서 후진시 상기 유로 돌출부(302)의 내주 안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시트(330)에 접촉되며 밸브 유로가 차단되도록 상기 시트(330)의 외경에 대응되게 원통 형상으로 마련된 드럼 샤프트(410)와, 상기 드럼 샤프트(410)의 외주면에서 측 단면상 ‘T’자의 형상으로 상기 밸브 바디(100)의 내주면까지 연장되게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전후 슬라이딩 왕복시 상기 드럼 샤프트(410)가 상기 밸브 바디(100)에 대해 슬라이딩 되며 지지 되도록 하는 샤프트 왕복 지지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왕복 지지부(420)는, 상기 밸브 바디(100)의 내주면에 대응되게 상기 드럼 샤프트(410)에 대해 2중의 원통 형상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드럼 샤프트(410)의 전후 왕복 이동시 상기 드럼 샤프트(410)와 함께 상기 밸브 바디(100)의 내주면에 접촉이 유지되는 상태로 전후 슬라이딩 되는 바디 접촉 드럼(421)과, 상기 바디 접촉 드럼(421)과 상기 드럼 샤프트(410)의 사이에서 상기 드럼 샤프트(410)가 상기 바디 접촉 드럼(421)에 대해 지지 되도록 상기 바디 접촉 드럼(421) 및 상기 드럼 샤프트(410)와 일체로 형성된 드럼 연결 디스크(423)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 연결 디스크(423)는 상기 개폐 구동부(400)의 후진에 의한 유로의 폐쇄 동작시 상기 유로 돌출부(302)에 의한 간섭을 회피하도록 상기 유로 돌출부(302)의 연장 길이만큼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부하 저감형 선형밸브.

  2. 삭제
  3. 삭제
KR1020220143366A 2022-11-01 2022-11-01 토크부하 저감형 선형밸브 KR102520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366A KR102520866B1 (ko) 2022-11-01 2022-11-01 토크부하 저감형 선형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366A KR102520866B1 (ko) 2022-11-01 2022-11-01 토크부하 저감형 선형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866B1 true KR102520866B1 (ko) 2023-04-12

Family

ID=85984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366A KR102520866B1 (ko) 2022-11-01 2022-11-01 토크부하 저감형 선형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8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0564A (ja) * 1998-07-16 2002-07-09 セ ウー コンバ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流体配管用バルブ装置
KR101705081B1 (ko) * 2015-08-28 2017-02-09 주식회사 프로세이브 고압유체용 서지릴리프밸브
KR20170074350A (ko) * 2015-12-22 2017-06-30 박흥동 피스톤 밸브
KR101865567B1 (ko) 2016-11-03 2018-06-08 정은섭 회전축에 수밀구조를 갖춘 버터플라이 밸브 조립체
KR102126892B1 (ko) * 2018-08-24 2020-06-25 (주) 유니플로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에 구비된 밸브개폐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0564A (ja) * 1998-07-16 2002-07-09 セ ウー コンバ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流体配管用バルブ装置
KR101705081B1 (ko) * 2015-08-28 2017-02-09 주식회사 프로세이브 고압유체용 서지릴리프밸브
KR20170074350A (ko) * 2015-12-22 2017-06-30 박흥동 피스톤 밸브
KR101865567B1 (ko) 2016-11-03 2018-06-08 정은섭 회전축에 수밀구조를 갖춘 버터플라이 밸브 조립체
KR102126892B1 (ko) * 2018-08-24 2020-06-25 (주) 유니플로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에 구비된 밸브개폐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8553B2 (ja) ポンプ
US7367543B2 (en) Solenoid valve for fluid flow
US7828264B2 (en) Flow control valve
AU2008322597B2 (en) A valve assembly having a reinforced valve seat
US7726339B2 (en) Seal cartridge control valve
JP2009008272A (ja) ピボット作動型スリーブバルブ
JP5593470B2 (ja) チェックバルブ
KR102080603B1 (ko) 스템용 가이드부를 구비한 리플레이스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
US6135216A (en) Venting and sealing system for down-hole drills
KR102520866B1 (ko) 토크부하 저감형 선형밸브
KR101947030B1 (ko) 펌프용 유압 실링장치
CN113494616B (zh) 节流截止放空阀
CA2828373C (en) Valve
US20220170566A1 (en) Valve
JP2007069928A (ja) 液充填ノズル
US20120153206A1 (en) Ball Valve
CN215445158U (zh) 一种定量输送的隔膜阀
RU2143625C1 (ru) Затвор клапана
KR102465052B1 (ko)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
JP7158424B2 (ja) 中心決めされたバタフライ弁
KR100901543B1 (ko) 이중기밀부재가 구비된 체크-인 볼 밸브
JPH0432528Y2 (ko)
RU2097638C1 (ru) Обратный клапан с эластичным запорным элементом
JP6488091B2 (ja) ダイヤフラム弁、軸封装置、および弁体保持部
KR20230073431A (ko) 수소체크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