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150B1 - 탄성 나뭇가지를 가지는 나무 조형물 - Google Patents

탄성 나뭇가지를 가지는 나무 조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150B1
KR102520150B1 KR1020220134687A KR20220134687A KR102520150B1 KR 102520150 B1 KR102520150 B1 KR 102520150B1 KR 1020220134687 A KR1020220134687 A KR 1020220134687A KR 20220134687 A KR20220134687 A KR 20220134687A KR 102520150 B1 KR102520150 B1 KR 102520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elastic
stem
bracket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주
김태연
Original Assignee
김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연 filed Critical 김태연
Priority to KR1020220134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무 조형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산 볼트와 코일 스프링을 라텍스 또는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해서 탄성 나뭇가지 줄기를 제작하고, 고정 각관을 인서트하여 플라스틱을 사출해서 나뭇가지 브라켓을 제작한 후 고정 각관을 기둥에 용접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연결 각관의 일단에 전산 볼트를 결합한 다음 연결 각관을 고정 각관에 결합함으로써 전산 볼트와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과 내구성이 강화되도록 하는 탄성 나뭇가지를 가지는 나무 조형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성 나뭇가지를 가지는 나무 조형물{TREE SCULPTURE FOR HAVING ELASTIC BRANCH}
본 발명은 나무 조형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산 볼트와 코일 스프링을 라텍스 또는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해서 탄성 나뭇가지 줄기를 제작하고, 고정 각관을 인서트하여 플라스틱을 사출해서 나뭇가지 브라켓을 제작한 후 고정 각관을 기둥에 용접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연결 각관의 일단에 전산 볼트를 결합한 다음 연결 각관을 고정 각관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전산 볼트와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과 내구성이 강화되도록 하는 탄성 나뭇가지를 가지는 나무 조형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의 도로나 농어촌, 공원, 고궁 등에 설치된 가로등 전주는 금속이나 철재로 되어 있고 전주의 상단부에 가로등을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무선통신용 안테나 설치구조물은 지면에 설치구조물의 하부를 매설하거나 고정하고 설치구조물의 상부 기둥에 통신용 안테나를 설치하여 사용자에게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안테나 설치구조물은 안테나의 전파 도달거리를 연장하기 위하여 설치구조물의 상부에 안테나를 설치하고, 일반적으로 도심지역 같은 경우에는 건물의 옥상과 같은 높은 장소에 설치하거나, 건물이 없는 평지나 산과 같은 장소에서는 평지에 그대로 설치하거나 산의 정상 부근에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안테나 설치구조물은 근래에 들어 무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급증하며 통신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위해 다수의 기지국이 증가하면서 안테나의 설치구조물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도심의 건물 옥상과 많은 사용자가 모이는 장소, 예를 들면 해수욕장 또는 휴양지 등과 같은 장소에 설치되는 안테나 설치구조물은 주변의 환경과 조화를 이룰 필요가 있고, 나아가서는 도시 또는 주변 미관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됨으로써 친환경적으로 설치될 필요가 절실한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로등 전주 또는 안테나 설치구조물은 금속이나 철재로 되어 있어 주변 환경과 어울리지 못하고 미관상 삭막한 느낌을 주며, 심한 경우 오히려 주변 환경을 훼손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공원이나 고궁, 유적지와 같은 장소에는 주변에 자연적인 숲이 조성되어 있어 금속과 철재로 제작되어 설치된 안테나 설치구조물은 주변 환경과 어울리지 못하고 미관상 주변의 환경을 더욱 훼손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로등 전주는 전주 하부에 많은 광고물들이 부착되어 지저분하고,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국내 등록특허 제10-2213111호인 친환경 가로등 조형물이 게시되어 있다.
상기 친환경 가로등 조형물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환경 가로등 조형물(100)은 기둥(110)과, 나뭇가지 부재(120) 및 LED 조명등(130)으로 구성된다.
먼저, 기둥(110)은 복수의 심재를 FRP 적층시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여 일체화시키고, 저면에 지면에 매립된 콘크리트 기초에 설치된 앵커 볼트(A)가 체결되는 고정 브라켓을 삽입하여 일체화시키며, 심재와 미간섭 위치에 너트홀을 천공한 후 나뭇잎 고정 너트와 열매 고정 너트를 각각 매립하고, 수지를 이용하여 일체화시켜 제작된다.
이어서, 나뭇가지 부재(120)는 일끝단 외측이 나뭇잎 고정 너트(N1)와 체결되도록 볼트 가공되고, 나뭇가지의 구부러진 형태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동, 알루미늄, 철과 같은 연성 재질의 환봉(121)이 삽입되어 나뭇잎 고정 너트(N1)에 결합된다.
그리고, 나뭇가지 부재(120)는 연질 플라스틱 또는 라텍스 재질로 나뭇잎이 제작되고, 중앙부에 환봉(121)이 압입 고정되는 삽입홀(123)이 구비된다.
또한, 나뭇가지 부재(120)는 나무의 종류에 따라 성형하는 형태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기둥(110)을 지탱하는 심재의 매립 시공법은 동일하고, 나무의 종류에 따라 열매와 잎의 모양이 다를 수 있으나, 체결 방식은 볼트, 너트 체결방식으로 고정한다.
LED 조명등(130)은 기둥(110)의 열매 고정 너트에 결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친환경 가로등 조형물은 나뭇가지 부재가 환봉에 의해 기둥과 암수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데, 강한 바람에 의해 환봉의 꺽임이 발생하고, 심지어 나뭇가지 부재가 절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221311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산 볼트와 코일 스프링을 라텍스 또는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해서 탄성 나뭇가지 줄기를 제작하고, 고정 각관을 인서트하여 플라스틱을 사출해서 나뭇가지 브라켓을 제작한 후 고정 각관을 기둥에 용접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연결 각관의 일단에 전산 볼트를 결합한 다음 연결 각관을 고정 각관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전산 볼트와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과 내구성이 강화되도록 하는 탄성 나뭇가지를 가지는 나무 조형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 나뭇가지 줄기를 실리콘 또는 라텍스로 사출 제작함으로써 내후성, 내구성, 탄성을 강화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탈색이 억제되도록 하는 탄성 나뭇가지를 가지는 나무 조형물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연결 각관과 고정 각관을 이용하여 기둥에서 나뭇가지 부재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어 조립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탄성 나뭇가지를 가지는 나무 조형물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사각 기둥 형태의 나뭇가지 고정용 브라켓이 구비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에 고정되는 나뭇가지 부재를 포함하는 나무 조형물에 있어서, 상기 나뭇가지 부재는 전산 볼트와 상기 전산 볼트의 일부가 내부로 삽입된 코일 스프링 및 잎줄기용 금속심을 인서트하여 합성수지 재질로 줄기와 잎이 사출 성형되는 탄성 나뭇가지 줄기와; 일단에 상기 전산 볼트가 볼트 결합되는 연결 각관; 및 상기 연결 각관이 삽입되는 고정 각관이 인서트되어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되어 상기 기둥에 상기 고정 각관이 용접 고정되는 나뭇가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전산 볼트와, 코일 스프링 및 고정 각관은 강도를 보강하도록 금속 재질로 제작된 후 열처리되고, 도금 처리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은 1개가 인서트되거나 또는 2개가 서로 다른 회전 방향으로 상호 겹쳐 인서트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탄성 나뭇가지 줄기는 상기 전산 볼트와 코일 스프링 및 잎줄기용 금속심이 인서트되어 합성수지 재질로 1차로 상기 줄기가 사출 성형되고, 상기 잎줄기용 금속심에 합성수지 재질로 2차로 상기 잎이 사출 성형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탄성 나뭇가지 줄기는 상기 나뭇가지 브라켓과 결합되는 단부 양측에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에 반구 형태의 고정 돌기가 탄성 스프링에 의해 탄성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나뭇가지 브라켓은 상기 탄성 나뭇가지 줄기와 결합되는 단부 양측에 상기 체결홈에 결합되는 체결턱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턱에 상기 고정 돌기가 결합되는 고정홀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체결턱은 내측면에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고정홀까지 안내되도록 가이드홈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탄성 나뭇가지 줄기와 나뭇가지 브라켓은 상기 기둥 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두꺼워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탄성 나뭇가지를 가지는 나무 조형물에 따르면, 전산 볼트와 코일 스프링을 인서트한 후 라텍스 또는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해서 탄성 나뭇가지 줄기를 제작하고, 각관을 인서트하여 플라스틱을 사출해서 나뭇가지 브라켓을 제작한 상태에서 각관의 일단을 전산 볼트를 볼트 결합시킨 상태에서 각관의 타단을 기둥에 결합함으로써 전산 볼트와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과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 나뭇가지 줄기를 실리콘 또는 라텍스로 사출 제작함으로써 내후성, 내구성, 탄성을 강화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탈색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 각관과 고정 각관을 이용하여 기둥에서 나뭇가지 부재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어 조립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친환경 가로등 조형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나뭇가지를 가지는 나무 조형물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나뭇가지를 가지는 나무 조형물중 나뭇가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부분 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나뭇가지를 가지는 나무 조형물중 나뭇가지 부재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나뭇가지를 가지는 나무 조형물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나뭇가지를 가지는 나무 조형물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나뭇가지를 가지는 나무 조형물중 나뭇가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A-A 부분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부분 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나뭇가지를 가지는 나무 조형물(1)은 기둥(10)과, 나뭇가지 부재(20)로 구성된다.
먼저, 기둥(10)은 국내 등록특허 제10-2213111호에 게시된 통상의 구조이고, 하기에서 설명할 나뭇가지 부재(20)가 외측에 적어도 1개 이상 고정된다. 이때, 기둥(10)의 표면은 합성수지 외피에 의해 감싸진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뭇가지 부재(20)는 탄성 나뭇가지 줄기(21)와, 연결 각관(22) 및 나뭇가지 브라켓(23)으로 구성된다.
탄성 나뭇가지 줄기(21)는 전산 볼트(A)와 전산 볼트(A)의 일부가 내부로 삽입된 코일 스프링(B) 및 잎줄기용 금속심(C)을 인서트하여 합성수지 재질로 줄기(21a)와 잎(21b)이 사출 성형된다. 이때, 전산 볼트(A)와 코일 스프링(B)은 강도를 보강하도록 금속 재질로 제작된 후 열처리되고, 표면이 도금 처리된다.
코일 스프링(B)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가 인서트되거나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및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2개가 서로 다른 회전 방향으로 상호 겹쳐 인서트된다.
탄성 나뭇가지 줄기(21)는 전산 볼트(A)와 코일 스프링(B) 및 잎줄기용 금속심(C)이 인서트되어 라텍스 또는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1차로 줄기(21a)가 사출 성형되고, 잎줄기용 금속심(C)에 라텍스 또는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2차로 잎(21b)이 사출 성형된다.
탄성 나뭇가지 줄기(21)는 나뭇가지 브라켓(23)과 결합되는 단부 양측에 체결홈(24)이 형성되고, 체결홈(24)에 반구 형태로 고정 돌기(25)가 탄성 스프링(D)에 의해 탄성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탄성 나뭇가지 줄기(21)는 기둥(10) 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두꺼워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각관(22)은 금속재질로 일단이 기둥(10)에 고정된 나뭇가지 고정용 브라켓(23)의 고정 각관(28)에 삽입 결합되고, 타단이 전산 볼트(A)가 볼트 결합된다.
나뭇가지 브라켓(23)은 연결 각관(22)이 삽입되고, 기둥(10)에 용접 결합되는 고정 각관(28)이 인서트되어 탄성 나뭇가지 줄기(21)와 동일 재질 또는 이종의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된다. 이때, 고정 각관(28)은 강도를 보강하도록 금속 재질로 제작된 후 열처리되고, 표면이 도금 처리된다.
나뭇가지 브라켓(23)은 탄성 나뭇가지 줄기(21)와 결합되는 단부 양측에 체결홈(24)에 결합되는 체결턱(26)이 형성되고, 체결턱(26)에 고정 돌기(25)가 결합되는 고정홀(27)이 구비된다.
체결턱(26)은 내측면에 고정 돌기(25)가 고정홀(27)까지 안내되도록 가이드홈(26a)이 구비된다.
나뭇가지 브라켓(23)은 기둥(10) 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두꺼워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나뭇가지를 가지는 나무 조형물의 조립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나뭇가지를 가지는 나무 조형물중 나뭇가지 부재의 제작 과정 및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먼저 전산 볼트(A)와 코일 스프링(B) 및 잎줄기용 금속심(C)을 사출 몰드 내에 인서트시킨 다음 라텍스 또는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1차로 줄기(21a)가 사출 성형하여 제작한다.
그리고, 잎줄기용 금속심(C)을 사출 몰드에 인서트시킨 다음 라텍스 또는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2차로 잎(21b)을 사출 성형하여 탄성 나뭇가지 줄기(21)를 제작한다.
한편, 고정 각관(28)을 사출 몰드 내에 인서트시킨 다음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하여 나뭇가지 브라켓(23)을 제작한다.
나뭇가지 브라켓(23)이 제작된 상태에서 기둥(10)의 철심에 고정 각관(28)의 단부를 용접 결합시킨 상태에서 기둥(10)의 FRP와 같은 합성수지로 외피를 제작하여 기둥(10)에 나뭇가지 브라켓(23)를 일체화시킨다.
기둥(10)에 나뭇가지 브라켓(23)를 일체화된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나뭇가지 줄기(21)의 단부로 노출된 전산 볼트(A)에 연결 각관(22)의 타단을 회전시켜 전산 볼트(A)에 결합한다.
전산 볼트(A)에 연결 각관(22)이 볼트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 각관(22)을 나뭇가지 브라켓(23)의 고정 각관(28)에 삽입 고정시킨다.
그러면, 탄성 나뭇가지 줄기(21)의 체결홈(24)과 나뭇가지 브라켓(23)의 체결턱(26)이 상호 결합되면서 고정 돌기(25)가 고정홀(27) 내로 삽입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 나뭇가지 줄기 내부에 전산 볼트와 코일 스프링을 인서트하고, 실리콘 또는 라텍스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나뭇가지 줄기가 탄성을 가지게 되어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고, 전산 볼트와 연결 각관을 이용하여 나뭇가지 브라켓과 연결시킬 때 체결홈과 체결턱, 고정 돌기와 고정홀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킴으로써 연결 부위의 강도를 상대적으로 증대시켜 연결 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기둥 20 : 나뭇가지 부재
21 : 탄성 나뭇가지 줄기 22 : 연결 각관
23 : 나뭇가지 브라켓 28 : 고정 각관
24 : 체결홈 25 : 고정 돌기
26 : 체결턱 27 : 고정홀
A : 전산 볼트 B : 코일 스프링
C : 잎줄기용 금속심 D : 탄성 스프링

Claims (5)

  1. 적어도 1개 이상의 사각 기둥 형태의 나뭇가지 고정용 브라켓이 구비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에 고정되는 나뭇가지 부재를 포함하는 나무 조형물에 있어서,
    상기 나뭇가지 부재는,
    강도를 보강하도록 금속 재질로 제작된 후 열처리되고, 도금 처리되는 전산 볼트와, 상기 전산 볼트의 일부가 내부로 삽입되고, 탄성 및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2개가 서로 다른 회전 방향으로 상호 겹쳐 인서트되며, 강도를 보강하도록 금속 재질로 제작된 후 열처리되고, 도금 처리되는 코일 스프링 및 잎줄기용 금속심을 인서트하여 합성수지 재질로 줄기와 잎이 사출 성형되는 탄성 나뭇가지 줄기와;
    일단에 상기 전산 볼트가 볼트 결합되는 연결 각관; 및
    상기 연결 각관이 삽입되고, 강도를 보강하도록 금속 재질로 제작된 후 열처리되며, 도금 처리되는 고정 각관이 인서트되어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되어 상기 기둥에 상기 고정 각관이 용접 고정되는 나뭇가지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나뭇가지 줄기는,
    상기 기둥 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두꺼워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고, 상기 나뭇가지 브라켓과 결합되는 단부 양측에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에 반구 형태의 고정 돌기가 탄성 스프링에 의해 탄성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전산 볼트와 코일 스프링 및 잎줄기용 금속심이 인서트되어 합성수지 재질로 1차로 상기 줄기가 사출 성형되며, 상기 잎줄기용 금속심에 합성수지 재질로 2차로 상기 잎이 사출 성형되고,
    상기 나뭇가지 브라켓은,
    상기 탄성 나뭇가지 줄기와 결합되는 단부 양측에 상기 체결홈에 결합되는 체결턱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턱에 상기 고정 돌기가 결합되는 고정홀이 구비되며, 상기 체결턱의 내측면에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고정홀까지 안내되도록 가이드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나뭇가지를 가지는 나무 조형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34687A 2022-10-19 2022-10-19 탄성 나뭇가지를 가지는 나무 조형물 KR102520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687A KR102520150B1 (ko) 2022-10-19 2022-10-19 탄성 나뭇가지를 가지는 나무 조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687A KR102520150B1 (ko) 2022-10-19 2022-10-19 탄성 나뭇가지를 가지는 나무 조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150B1 true KR102520150B1 (ko) 2023-04-11

Family

ID=85976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687A KR102520150B1 (ko) 2022-10-19 2022-10-19 탄성 나뭇가지를 가지는 나무 조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1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6500A (ja) * 1991-03-08 1993-05-14 Hms Assoc Co 人工植物に使用する人工葉及びその製造方法
CN205963004U (zh) * 2016-08-04 2017-02-22 深圳市山月园园艺有限公司 人造景观树
CN110934359A (zh) * 2019-12-18 2020-03-31 广州海虹园林景观工程有限公司 一种仿真树及其制造工艺
KR102213111B1 (ko) 2020-12-02 2021-02-05 김태연 친환경 가로등 조형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6500A (ja) * 1991-03-08 1993-05-14 Hms Assoc Co 人工植物に使用する人工葉及びその製造方法
CN205963004U (zh) * 2016-08-04 2017-02-22 深圳市山月园园艺有限公司 人造景观树
CN110934359A (zh) * 2019-12-18 2020-03-31 广州海虹园林景观工程有限公司 一种仿真树及其制造工艺
KR102213111B1 (ko) 2020-12-02 2021-02-05 김태연 친환경 가로등 조형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177B1 (ko) 환경친화적 가로등 전주
US20070029459A1 (en) Outdoor lighting assembly
KR100972150B1 (ko) 지주 고정용 기초블록 제작방법과 기초블록
US6667442B1 (en) Electric utility cross arm
KR102520150B1 (ko) 탄성 나뭇가지를 가지는 나무 조형물
KR102213111B1 (ko) 친환경 가로등 조형물
KR101021935B1 (ko) 환경친화적 가로등 전주 및 그 제조방법
KR100527044B1 (ko) 감전 사고 예방용 전주 덮개
KR101006388B1 (ko) 펜스고정장치
KR102127347B1 (ko)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 및 그 시공방법
KR200378166Y1 (ko) 나무형태의 가로등 전주
KR20220033977A (ko) 결합식 목재 데크 난간
KR20080088280A (ko) 천연나무소재의 가로등지주 및 그 제조방법
KR100924764B1 (ko) 슬라이딩 결합식 나무커버를 갖는 가로등주
KR100787535B1 (ko) 가로등 지주
US20230151631A1 (en) Pole cover assembly for a street pole, sign and other objects for improving visibility and aesthetic appeal
CN205116061U (zh) 新型钢隔离栅立柱
CN205383512U (zh) 一种市政园林用地埋灯
KR20110004041A (ko) 목재커버를 갖는 가로등주
KR20050069243A (ko) 조명 기능을 가지는 휀스지주
KR200402723Y1 (ko) 돌기가 형성된 공공 구조물
KR102278053B1 (ko) 조명을 구비한 조립식 울타리
KR20190115781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펜스
CN102124920A (zh) 经济实用型多用途温室棚
CN212565545U (zh) 一种适用于特色旅游小镇的竹子路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