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145B1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145B1
KR102520145B1 KR1020200137639A KR20200137639A KR102520145B1 KR 102520145 B1 KR102520145 B1 KR 102520145B1 KR 1020200137639 A KR1020200137639 A KR 1020200137639A KR 20200137639 A KR20200137639 A KR 20200137639A KR 102520145 B1 KR102520145 B1 KR 102520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bin
ice bin
maker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6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53324A (en
Inventor
전상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7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145B1/en
Publication of KR20220053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324A/en
Priority to KR1020230044770A priority patent/KR202300514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1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2Geometry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동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냉동실에 고정되며, 구형의 얼음을 생성하는 아이스 메이커;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부터 낙하되는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빈; 및 상기 낙하되는 얼음과 상기 아이스 빈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아이스 메이커와 상기 아이스 빈 사이에 위치하는 소음방지부를 포함한다.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provided with a freezing chamber; an ice maker fixed to the freezing chamber and generating spherical ice; an ice bin located below the ice maker and storing ice falling from the ice maker; and a noise prevention unit disposed between the ice maker and the ice bin to prevent a collision between the falling ice and the ice bin.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allows low-temperature storage of food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shielded by a door.

상기 냉장고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may cool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using cold air, thereby storing stored food in a refrigerated or frozen state.

통상 냉장고의 내부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가 제공된다. Usually, an ice maker for making ice is provided inside the refrigerator.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급수원이나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트레이에 수용시켜 얼음이 만들어지도록 구성된다. The ice maker is configured to make ice by accommodating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source or a water tank in a tray.

또한,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제빙 완료된 얼음을 히팅 방식 또는 트위스팅 방식으로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이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생성된 얼음이 보관되는 아이스 빈을 함께 포함한다.In addition, the ice maker is configured to separate ice from the ice tray in a heating method or a twisting method, and includes an ice bin in which the ice is stored.

일반적으로, 아이스 메이커와 아이스 빈 간의 상하간격이 존재하는 바, 아이스 메이커로부터 생성된 얼음이 상기 아이스 빈으로 낙하됨에 따라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In general, since there is a vertical gap between the ice maker and the ice bin, noise may occur as ice produced from the ice maker falls into the ice bin.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20-011548호에는 아이스 메이커 및 아이스 빈을 포함하는 냉장고가 개시된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11548, which is a prior document, discloses a refrigerator including an ice maker and an ice bin.

선행문헌의 냉장고의 경우, 아이스 메이커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아이스 빈을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생성된 얼음이 중력에 의해 낙하하여 아이스 빈에 보관된다.In the case of the refrigerator of the prior art document, an ice bin is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ice maker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ce generated in the ice maker falls by gravity and is stored in the ice bin.

다만, 비교적 크기가 큰 구형의 얼음을 생성함에 따라, 낙하 시 얼음과 아이스 빈이 부딪히면서 소음과 충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as spherical ice having a relatively large size is generated, noise and shock may occur due to collision between the ice and the ice bin when falling.

특히, 상기 아이스 빈에 얼음이 채워져 있지 않은 경우, 얼음과 아이스 빈의 밑면이 직접 부딪히게 되고, 이러한 소음과 충격은 냉장고 전체로 퍼져나갈 수 있어 문제가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ice bin is not filled with ice, the ice directly collides with the bottom of the ice bin, and such noise and shock can spread throughout the refrigerator, which is a problem.

본 발명은, 아이스 메이커로부터 생성된 얼음의 낙하 시 소음과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아이스 빈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tor including an ice bin capable of preventing noise and shock when ice produced from an ice maker falls.

또한, 단계적으로 얼음의 낙하 시의 소음과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아이스 빈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refrigerator including an ice bin capable of mitigating noise and impact when ice is dropped in stages is provided.

본 발명의 냉장고는, 아이스 메이커로부터 형성된 구형의 얼음의 이빙 시 낙하되는 얼음에 의하여 소음과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음방지부를 포함하는 아이스 빈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ce bin including a noise prevention unit in order to prevent noise and shock from occurring due to falling ice when spherical ice formed from an ice maker is separated.

상기 냉장고는, 냉동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냉동실에 고정되며, 구형의 얼음을 생성하는 아이스 메이커;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부터 낙하되는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빈; 및 상기 낙하되는 얼음과 상기 아이스 빈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아이스 메이커와 상기 아이스 빈 사이에 위치하는 소음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cabinet provided with a freezer compartment; an ice maker fixed to the freezing chamber and generating spherical ice; an ice bin located below the ice maker and storing ice falling from the ice maker; and a noise prevention unit positioned between the ice maker and the ice bin to prevent a collision between the falling ice and the ice bin.

상기 소음방지부는, 상기 아이스 빈의 밑면에 안착되는 커버부와 상기 아이스 빈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커버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noise prevention unit may include a cover part sea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ice bin, a support part supporting the ice bin,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cover part and the support part.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아이스 빈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아이스 빈을 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may be disposed below the ice bin to support the ice bin.

상기 아이스 빈은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관통홀을 가질 수 있다.The ice bin may hav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to which the connecting parts are inserted.

상기 지지부의 크기는 상기 관통홀의 크기보다 클 수 있고, 상기 커버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 size of the support portion may be greater than a size of the through hole, and the cover portio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소음방지부는, 탄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noise prevention un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상기 소음방지부는, 상기 아이스 빈의 밑면과 평행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noise prevention unit may include a horizontal portion parallel to a lower surface of the ice bin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평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와 하측으로 돌출된 제 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상기 돌출부는 사각뿔 형상이고, 상기 수평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2 돌출부가 대칭일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have a quadrangular pyramid shape, and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may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ortion.

상기 수평부는 격자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돌출부가 교차로 배열될 수 있다.The horizontal portion may have a lattice shape,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alternately arranged.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돌출부는 반구 형상일 수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평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수평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돌출부와 대칭이 되도록 상기 수평부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의 내부공간이 채워질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rotrusion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and the protrusion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the first protrusion based on the horizontal portion. Including,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can be filled.

또한,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돌출부는 반구 형상일 수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평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반구 형상의 돌출부의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rotruding portion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the protruding portion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and an empty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hemispherical protruding portion.

상기 아이스 빈은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최하단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배면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ce bin may include a rear cutout formed on a rear surface and positioned at a height lower than a lowermost end of the ice maker.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얼음이 낙하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및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noise and shock that may occur as ice falls.

또한, 얼음과 소음방지부가 충돌할 때 소음방지부의 변형을 통해 낙하 얼음의 속도 및 충격량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ce and the anti-noise unit collide, the speed and amount of impact of the falling ice can be reduced through the deformation of the anti-noise unit.

또한, 얼음과 아이스 빈이 충돌할 때 생기는 1차 충격소음 및 1차 충격소음에 의해 냉장고 하우징으로 전달되는 2차 진동울림을 완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imary impact noise generated when the ice collides with the ice bin and the secondary vibration echo transmitted to the refrigerator housing by the primary impact noise can be allevi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3은 냉동실의 도어가 제거된 냉동실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동실에 아이스 메이커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빈의 사시도.
도 6은 도 4의 6-6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빈으로 얼음이 낙하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소음방지부의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소음방지부의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소음방지부의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is opened;
3 is a view of the freezing chamber from which the door of the freezing chamber is removed;
4 is a view showing an ice maker installed in a freezing cha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ce bi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6-6 of Figure 4;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how ice falls into an ice bi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of a noise prevention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of a noise prevention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of a noise prevention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to,”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at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another element between the ele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door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being open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 a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binet 2 forming a storage space and a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상세히, 상기 캐비닛(2)은 베리어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상부에 냉장실(3)이 형성되고, 하부에 냉동실(4)이 형성될 수 있다. In detail, the cabinet 2 may form a storage space partitioned vertically by barriers, a refrigerating compartment 3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and a freezing compartment 4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상기 냉장실(3)과 냉동실(4)의 내부에는 서랍, 선반, 바스켓 등의 수납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Storage members such as drawers, shelves, and baskets may be provided inside the refrigerating chamber 3 and the freezing chamber 4 .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실(3)을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5)와, 상기 냉동실(4)을 차폐하는 냉동실 도어(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oor may include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5 for shield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 and a freezing compartment door 6 for shielding the freezing compartment 4 .

상기 냉장실 도어(5)는 좌우측 한쌍의 도어로 구성되며, 회동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6)는 서랍식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5 is composed of a pair of left and right doors,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by rotation. And,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6 may be configured to be drawn in and out in a drawer type.

물론, 상기 냉장실(3)과 냉동실(4)의 배치 및 상기 도어의 형태는 냉장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동실(4)과 상기 냉장실(3)이 좌우로 배치거되나, 상기 냉동실(4)이 상기 냉장실(3)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the arrangement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4 and the shape of the door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refrigerator,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refrigerators. For example, the freezing chamber 4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3 are disposed left and right, but the freezing chamber 4 may be positioned above the refrigerating chamber 3 .

도 3은 냉동실의 도어가 제거된 냉동실의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동실에 아이스 메이커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3 is a view of the freezing compartment from which the door of the freezing compartment is removed,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n ice maker installed in the freezing compar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냉동실(4)에는 아이스 메이커(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급수되는 물을 제빙하는 것으로, 구 형상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An ice maker 100 may be provided in the freezing chamber 4 . The ice maker 100 can make spherical ice by making ice from supplied water.

사용자는 상기 냉동실 도어(6)를 개방시켜, 상기 아이스 빈(200)에 접근하여 얼음을 획득할 수 있다. A user may obtain ice by opening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6 and approaching the ice bin 200 .

또한, 상기 냉동실(4)에는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드로워(103)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or more drawers 103 forming a space for storing food may be provided in the freezing chamber 4 .

상기 드로워(103)는, 상기 냉동실(4)의 폭과 너비에 대응되는 바스켓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음식물을 인출하기 쉽도록 롤러와 가이드홈을 이용하여 냉장고(1)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구성일 수 있다.The drawer 103 may be formed in a basket shape corresponding to the width and width of the freezing chamber 4, and is moved toward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1 using rollers and guide groove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withdraw food. It can be a fetched configuration.

또한, 상기 드로워(103)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구동과 관계없이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103)를 냉장고(1)의 전방으로 인출할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드로워(103)의 배면에 드로워 절개부(103a)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awer 103 prevents interference when the user draws the drawer 103 toward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1 regardless of the driving of the ice maker 100. ) It may include a drawer cutout (103a) on the rear surface.

일 예로, 상기 드로워 절개부(103a)는, 상기 드로워(103)의 배면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awer cutout 103a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drawer 103 and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a location where the ice maker 100 is installed.

또한, 상기 드로워 절개부(103a)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만빙 감지 레버(110, 도 6 참조)가 회전 동작할 때의 이동경로와 겹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drawer cutout 103a may be formed so as not to overlap with a moving path when the full ice detection lever 110 (see FIG. 6 ) of the ice maker 100 rotates.

상세히, 상기 드로워 절개부(103a)의 하단부의 높이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하단이나 만빙 감지 레버(110) 동작의 최하단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drawer cutout 103a may be formed to be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ice maker 100 or the lowermost end of the operation of the full ice detecting lever 110 .

상기 만빙 감지 레버(11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가 얼음을 제빙, 이빙하는 과정에 있어 최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The full ice detecting lever 110 may be located at the lowest level in the process of making and separating ice from the ice maker 100 .

상세히, 상기 드로워(103)의 상단부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하단부보다 더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절개부(103a)의 하단부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하단부보다 더 낮게 위치될 수 있다. In detail, an upper end of the drawer 103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a lower end of the ice maker 100 . A lower end of the drawer cutout 103a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a lower end of the ice maker 100 .

또한, 상기 드로워 절개부(103a)의 하단부는 상기 드로워(103) 내부의 내용물 또는 아이스 빈(200)이 상기 드로워(103)의 후단부로 넘치거나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드로워(103)의 하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drawer cutout 103a prevents the contents or ice bin 200 inside the drawer 103 from overflowing or being discharged to the rear end of the drawer 103 ( 103) may be loc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lower surface.

또한,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하방에는 제빙된 얼음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로부터 이빙된 후 저장되는 아이스 빈(2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ice bin 200 may be further provided below the ice maker 100 to store the ice after it is separated from the ice maker 100 .

이 때,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얼음이 생성되는 공간과 상기 아이스 빈(200)의 바닥 사이에는 간격이 필연적으로 존재하게 되어 상기 얼음이 이빙되어 상기 아이스 빈(200)의 낙하할 때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At this time, a gap inevitably exists between the space where ice is produced in the ice maker 100 and the bottom of the ice bin 200, so that when the ice is separated and the ice bin 200 falls, noise is reduced. can happen

특히, 본원 발명의 아이스 메이커(100)의 경우, 일반적인 얼음보다 크기가 큰 구형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러한 소음 문제가 소비자의 구매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ice mak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spherical ice that is larger in size than general ice, and accordingly, such a noise problem may have a great influence on a consumer's purchase.

또한, 상기 얼음과 아이스 빈(200)이 충돌함에 따라 상기 얼음이 충격에 의해 깨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얼음조각이 아이스 빈(200)에 엉겨붙는 문제 역시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ice collides with the ice bin 200, a phenomenon in which the ice is broken due to an impact may occur, and a problem in which pieces of ice may stick to the ice bin 200 may also occur.

이에 따라, 얼음의 낙하에 따른 소음 및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아이스 빈(200)은 소음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noise and shock caused by falling ice, the ice bin 200 may include a noise prevention unit.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6-6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ce bea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6-6 of FIG. 4 .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아이스 빈(200)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ice bin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상기 아이스 빈(200)은, 상부가 오픈되어 있는 바스켓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ce bin 200 may include a body 210 formed in a basket shape with an open top.

상세히, 상기 아이스 빈(200)이 냉장고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본체(210)는,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전면(211), 상기 전면(211)에 평행하여 후측을 향해 이격되는 배면(212) 및 상기 전면(211)과 상기 배면(212)을 연결하는 측면(213)을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when the ice bin 200 is installed in a refrigerator, the main body 210 includes a front surface 211 exposed to a user, a rear surface 212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211 and spaced apart toward the rear, and A side surface 213 connecting the front surface 211 and the rear surface 212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전면(211), 배면(212) 및 측면(213)을 모두 연결하는 밑면(214)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밑면(214)에 의해 얼음이 안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 bottom surface 214 connecting all of the front surface 211 , the rear surface 212 , and the side surface 213 may be included, and ice may be seated by the bottom surface 214 .

일 예로, 상기 전면(211)은 상단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고, 상측부의 전후 및 좌우 방향 폭이 하측부의 전후 및 좌우 방향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ront surface 211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n upper end is inclined forward, and the front-back and left-right widths of the upper part may be larger than the front-back and left-right widths of the lower part.

즉, 상기 밑면(214)의 크기는 상기 전면(211), 배면(212) 및 측면(213)에 의해 형성된 오픈된 상면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That is, the size of the bottom surface 214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open upper surface formed by the front surface 211 , the rear surface 212 and the side surface 213 .

또한, 상기 아이스 빈(200)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에서 형성된 얼음이 저장되기에 충분한 크기일 수 있으며, 얼음이 외부로 토출되지 않도록 충분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ce bin 200 may have a size sufficient to store the ice formed in the ice maker 100 and may have a height sufficient to prevent the ice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아이스 빈(200)은, 사용자가 얼음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아이스 빈(200)을 인출할 때, 상기 하우징(101)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배면(212)에 배면 절개부(21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ce bin 200 has a rear surface 212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ice maker 100 coupled to the housing 101 when the user withdraws the ice bin 200 to obtain ice. ) may further include a rear cutout 212a.

또한, 상기 배면 절개부(212a)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상기 만빙 감지 레버(110)가 회전 동작할 때의 이동경로와 겹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back cutout 212a may be formed so as not to overlap with a moving path when the full ice detection lever 110 of the ice maker 100 rotates.

상세히, 상기 배면 절개부(212a)의 하단부의 높이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하단이나 만빙 감지 레버(110)의 최하단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back cutout 212a may be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ice maker 100 or the lowermost end of the full ice detection lever 110 .

또한, 상기 배면 절개부(212a)는 상기 아이스 빈(200)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면 절개부(200a)의 하단부는 얼음이 외부로 토출되지 않도록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에서 형성되는 얼음의 높이보다 높거나 얼음의 높이와 유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ar cutout 212a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ce bin 200, and the lower end of the rear cutout 200a is formed in the ice maker 100 to prevent ice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can be higher than the ice level or similar to the ice level.

또한, 상기 배면 절개부(212a)의 양측은 상기 아이스 빈(200)의 전면부와 같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Also, both sides of the rear cutout 212a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front portion of the ice bin 200 .

즉,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에서 형성된 얼음이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아이스 빈(200)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하단의 대응되는 위치에 존재할 수 있도록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면 절개부(212a)의 좌우 길이는 동일한 높이의 전면(211)의 좌우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That is, the back cut is made to prevent ice formed in the ice maker 100 from overflowing to the outside and to prevent separation so that the ice bin 200 can exist at a corresponding position at the lower end of the ice maker 100.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portion 212a may be smaller than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front surface 211 having the same height.

또한, 상기 아이스 빈(200)은 상기 냉동실(4) 내부의 드로워(103)에 의해 안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ce bin 200 may be seated by the drawer 103 inside the freezing chamber 4 .

일 예로, 상기 드로워(103)의 일측에 상기 아이스 빈(200)이 위치되고, 상기 아이스 빈(200)의 상부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가 별도의 하우징(101)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냉동실(4)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ce bin 20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drawer 103, and the ice maker 100 is accommodated in a separate housing 101 at the top of the ice bin 200,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4) Can be mounted inside.

상기 드로워(103)에 상기 아이스 빈(200)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빈(200)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아이스 빈(200)에는 이동 방지용 리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A rib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ice bin 200 to prevent movement of the ice bin 200 while the ice bin 200 is seated in the drawer 103 .

또한, 상기 아이스 빈(200)의 상부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하단부보다 높게 위치되는 것은 상기 아이스 빈(200)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upper part of the ice bin 200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lower part of the ice maker 100 may serve to prevent the ice bin 200 from being separated so that it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ice maker 100. there is.

한편, 상기 아이스 빈(200)은 밑면(214)에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소음방지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ice bin 200 may further include a noise prevention unit 220 on a bottom surface 214 to prevent noise.

상세히, 상기 소음방지부(220)는 상기 밑면(214)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적어도 한 측을 커버하여 얼음이 낙하함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In detail, the noise prevention unit 220 may cover at least one side of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214 to alleviate noise and shock generated as ice falls.

상세히, 상기 얼음은 아이스 빈(200)으로 낙하함에 따라, 1차적으로 얼음과 아이스 빈(200)이 직접 부딪혀 발생하는 1차 충격소음이 존재하고, 2차적으로 아이스 빈(200)의 충격이 아이스 빈(200)과 접하는 하우징(101)을 통해 냉장고 전체로 퍼져나가는 2차 진동울림이 존재한다.In detail, as the ice falls into the ice bin 200, firstly, there is a first impact noise generated when the ice and the ice bin 200 directly collide, and secondarily, the impact of the ice bin 200 causes ice There is a secondary vibration sound that spreads throughout the refrigerator through the housing 101 in contact with the bin 200.

상기 소음방지부(220)를 통해 상기 1차 충격소음 및 2차 진동울림을 모두 완화할 수 있다.Both the first impact noise and the second vibration echo can be alleviated through the noise prevention unit 220 .

또한, 상기 소음방지부(220)는, 탄성을 가진 물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TPE 등의 물질 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noise prevention unit 22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single string of materials such as rubber, silicon, or TPE.

일 예로, 상기 소음방지부(220)는, 상기 밑면(214)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얼음이 낙하 시에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1차 충격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noise prevention unit 220 may be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214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impact noise directly generated when the ice falls.

또한, 다른 예로, 상기 소음방지부(220)는, 상기 밑면(214)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아이스 빈(200)과 얼음이 부딪힌 후, 상기 아이스 빈(200)과 접하는 하우징(101)에 진동과 충격이 전달되는 2차 진동울림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noise prevention unit 220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214, and after the ice collides with the ice bin 200, the housing 101 in contact with the ice bin 200 vibrat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ary vibration echo through which the shock is transmitted.

다만, 상기 밑면(214)의 상측 또는 하측에만 소음방지부(220)가 위치할 경우, 1차 충격소음과 2차 진동울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음방지부(22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However, when the noise prevention unit 220 is located only on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214, 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impact noise and the second vibration echo, the noise prevention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20) is mainly explained.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소음방지부(220)는, 상기 아이스 빈(200)의 밑면(214)의 상측을 커버하고, 상기 아이스 빈(200)을 지지할 수 있다.The noise prevention unit 2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ver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urface 214 of the ice bin 200 and support the ice bin 200 .

일 예로, 상기 소음방지부(220)는, 상기 아이스 빈(200)의 밑면(214)의 상측에 배치되는 커버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noise prevention unit 220 may include a cover unit 221 disposed above the lower surface 214 of the ice bin 200 .

또한, 상기 아이스 빈(200)의 하측에서 상기 아이스 빈(200)을 지지하는 지지부(22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버부(221)와 상기 지지부(222)를 연결하는 연결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support part 222 supporting the ice bin 200 may be included at a lower side of the ice bin 200, and a connection part 223 connecting the cover part 221 and the support part 222 may be provided. can include

상세히, 상기 아이스 빈(200)의 밑면에는 상기 연결부(223)가 삽입되는 관통홀(214a)이 구비될 수 있다.In detail, a through hole 214a into which the connection part 223 is inserted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ice bin 200 .

상기 관통홀(214a)은 상기 밑면(214)의 꼭지점에 인접하여 상기 아이스 빈(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관통홀(214a)을 통해 상기 커버부(221), 연결부(223) 및 지지부(22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214a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 vertex of the bottom surface 214 to stably support the ice bin 200, and through the through hole 214a, the cover part 221, The connection part 223 and the support part 222 may be integrally formed.

또한, 상기 관통홀(214a)의 크기는 상기 연결부(223)의 크기와 대응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222)의 크기는 상기 연결부(223)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소음방지부(220)와 아이스 빈(200)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lso,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214a may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connection part 223, and the size of the support part 222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connection part 223. Through this, separation of the noise prevention unit 220 and the ice bin 200 may be prevented.

또한, 상기 지지부(222)는, 지지부의 하측이 곡선의 형태를 이루어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아이스 빈(200)을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222 may more stably support the ice bin 200 by forming a curved lower side of the support part.

또한, 일체로 형성된 상기 소음방지부(220)에 의해 상기 1차 충격소음과 2차 진동울림을 모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oth the first impact noise and the second vibration echo can be prevented by the integrally formed noise prevention unit 220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소음방지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소음방지부(22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noise preven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noise prevention unit 2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omitted.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빈으로 얼음이 낙하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소음방지부의 도면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ice falling into an ice bi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drawing of the noise prevention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소음방지부(230)는, 상기 아이스 빈(200)의 밑면(214)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고, 얼음의 낙하에 의해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7 to 9 , the noise prevention unit 2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ver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urface 214 of the ice bin 200, and may be caused by falling ice. shape may change.

일 예로, 상기 소음방지부(230)는, 굴곡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굴곡이 상기 얼음의 낙하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noise prevention unit 230 may include a curve, and the curve may be deformed by falling of the ice.

상세히, 상기 소음방지부(230)는, 상기 밑면(214)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평부(231)와 상기 수평부(231)로부터 돌출된 돌출부(232, 233)를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noise prevention unit 230 may include a horizontal portion 231 disposed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214 and protrusions 232 and 233 protruding from the horizontal portion 231 .

일 예로, 상기 돌출부(232, 233)는, 상기 수평부(23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 1 돌출부(232)와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 2 돌출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trusions 232 and 233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232 protruding upwar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231 and a second protrusion 233 protruding downward.

상기 돌출부(232, 233)는, 사각뿔형상일 수 있고, 상기 제 1 돌출부(232)는, 상기 수평부(23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제 1 꼭지점(232a)과 상기 제 1 꼭지점(232a)과 상기 수평부(231)를 연결하는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232b)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돌출부(233)는, 상기 수평부(231)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제 2 꼭지점(233a)과 상기 제 2 꼭지점(233a)과 상기 수평부(231)를 연결하는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233b)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trusions 232 and 233 may have a quadrangular pyramid shape, and the first protrusion 232 includes a first vertex 232a protruding upwar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231 and the first vertex 232a. It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232b having an inclination connecting the horizontal portion 231, and the second protrusion 233 includes a second vertex 233a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231 and the second protrusion 233a. An inclined surface 233b having an inclination connecting the vertex 233a and the horizontal portion 231 may be included.

즉, 상기 수평부(231)로부터 상기 돌출부(232, 233)는 상하로 사각뿔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That is, the protrusions 232 and 233 may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horizontal portion 231 in a quadrangular pyramid shape.

또한, 상기 돌출부(232, 233)는 상기 수평부(231)를 기준으로 각각 상하로 대칭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s 232 and 233 may be vertic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ortion 231 .

즉, 상기 수평부(231)에서 상측으로 제 1 돌출부(232)가 돌출되면, 하측으로도 제 2 돌출부(233)가 형성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rst protrusion 232 protrudes upwar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231, the second protrusion 233 may also be formed downward.

또한, 상기 돌출부(232, 233)는 상기 수평부(231)로부터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교차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s 232 and 233 may be formed in plurality from the horizontal portion 231 and may be formed at intersections.

즉, 상기 소음방지부(230)를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격자무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격자무늬에서 교차로 상기 제 1 돌출부(232)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돌출부(232)가 돌출된 격자의 하측으로 상기 제 2 돌출부(233)가 돌출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noise prevention unit 230 is viewed from the top, it may include a lattice pattern, the first protrusions 232 are disposed at intersections in the lattice pattern, and the first protrusions 232 protrude. The second protrusion 233 may protrude to the lower side of the lattice.

상기 제 2 돌출부(233)는, 상기 밑면(214)의 상측에 접할 수 있다.The second protrusion 233 may contact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214 .

또한, 상기 수평부(231)의 두께(t1)는 상기 수평부(231)로부터 상기 제 1 꼭지점(232a)까지의 거리(t2) 또는 상기 제 2 꼭지점(233a)의 거리(t3)와 같거나 클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ckness t1 of the horizontal portion 231 is equal to or equal to the distance t2 from the horizontal portion 231 to the first vertex 232a or the distance t3 to the second vertex 233a. can be big

상세히, 상기 수평부(231)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꼭지점(232a)까지의 제 1 거리(t2)와 상기 수평부(231)의 하측에서 상기 제 2 꼭지점(233b)까지의 제 2 거리(t3)는 동일할 수 있고, 상기 제 1 거리(t2) 및 제 2 거리(t3)는 상기 수평부(231)의 두께(t1)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In detail, a first distance t2 from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231 to the first vertex 232a and a second distance t3 from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231 to the second vertex 233b ) may be the same, and the first distance t2 and the second distance t3 may be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t1 of the horizontal portion 231 .

일 예로, 상기 제 1 거리(t2) 및 제 2 거리(t3)가 상기 수평부(231)의 두께(t1)보다 작을 때 소음 및 충격 감소의 효과가 더 클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distance t2 and the second distance t3 are smaller than the thickness t1 of the horizontal portion 231, the effect of reducing noise and impact may be greater.

또한, 도 8을 참조하여 얼음의 낙하 시, 상기 소음방지부(230)의 변형에 대해 설명한다.Further, with reference to FIG. 8 , deformation of the noise prevention unit 230 when ice falls will be described.

상기 얼음이 낙하하면, 제일 먼저 상기 제 1 돌출부(232)에 얼음이 접할 수 있다. 얼음의 낙하가 계속되면, 상기 얼음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제 1 돌출부(232)가 찌그러지기 시작할 수 있다.When the ice falls, the ice may first contact the first protrusion 232 . If the ice continues to fall, the first protrusion 232 may begin to be crushed by the weight of the ice.

특히, 상기 얼음의 최하점과 상기 제 1 돌출부(232)의 제 1 꼭지점(232a)이 접할 수 있고, 상기 제 1 꼭지점(232a)부터 상기 소음방지부(230)의 변형이 시작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lowest point of the ice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vertex 232a of the first protrusion 232, and the deformation of the noise prevention part 230 may start from the first vertex 232a.

초기에는 상기 제 1 돌출부(232) 중 하나에서 변형이 시작되며, 상기 얼음이 계속하여 낙하할수록 변형이 시작된 제 1 돌출부(232) 주변의 돌출부들의 변형이 시작될 수 있다.Initially, deformation starts at one of the first protrusions 232, and as the ice continues to fall, deformation of protrusions around the first protrusion 232 may start.

또한, 상기 제 2 돌출부(233) 역시 상기 제 1 돌출부(232)와 동일하게 변형이 순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rotrusion 233 may also undergo sequential deforma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protrusion 232 .

이러한 돌출부(232, 233)의 변형에 의해 상기 얼음이 낙하하면서 발생하는 소음 및 충격이 방지될 수 있다.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protrusions 232 and 233, noise and shock generated when the ice falls may be prevented.

또한, 제 2 실시예에 의한 소음방지부(230)의 경우, 상기 아이스 빈 밑면(241)의 상측에만 상기 소음방지부(230)가 위치하지만, 상기 소음방지부(230)가 엠보 형상을 통해 충격량을 흡수함에 따라 1차 충격소음 뿐만 아니라 2차 진동울림까지 완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noise prevention unit 2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noise prevention unit 230 is located only on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241 of the ice bin, but the noise prevention unit 230 has an embossed shape. As the impact is absorbed, not only the first impact noise but also the second vibration echo can be alleviated.

즉, 상기 돌출부(232, 233)의 변형을 통해 상기 얼음의 낙하 속도를 줄이고, 얼음와 아이스 빈(200)의 충돌에 의한 충격량을 줄일 수 있다.That is, through deformation of the protrusions 232 and 233, the falling speed of the ice may be reduced, and the amount of impact caused by the collision between the ice and the ice bin 200 may be reduced.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소음방지부의 도면이다.10 is a view of a noise prevention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소음방지부(240)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게 수평부(241)와 돌출부(242, 24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noise prevention unit 240 may include a horizontal portion 241 and protrusions 242 and 243 similar to the second embodiment.

이 때, 상기 돌출부(242, 243)의 모양은 반구형태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trusions 242 and 243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즉, 상기 돌출부(242, 243)는 상기 수평부(241)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상측 및 하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242, 243)는 내부가 채워진 형태일 수 있다.That is, the protrusions 242 and 243 may symmetrically protrude upward an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ortion 241 . In addition, the protrusions 242 and 243 may have a filled shape.

상세히, 상기 돌출부(242, 243)는, 상기 수평부(241)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242) 및 하측으로 돌출된 제 2 돌출부(24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돌출부(242)와 상기 제 2 돌출부(243)는 상기 수평부(241)를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In detail, the protrusions 242 and 243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242 protruding upwar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ortion 241 and a second protrusion 243 protruding downward. The protrusion 242 and the second protrusion 243 may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ortion 241.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소음방지부의 도면이다11 is a view of a noise prevention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소음방지부(250) 역시 상기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게 수평부(251)와 돌출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noise prevention unit 250 may also include a horizontal portion 251 and a protruding portion 252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second embodiment.

상기 돌출부(252)는 반구 형태일 수 있고, 상기 돌출부(252)의 내부는 빈 공간(254)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trusion 252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and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252 may include an empty space 254 .

상세히, 상기 돌출부(252)는 상기 반구의 외면에만 형성되고, 단면이 반원의 호 형상일 수 있다.In detail, the protrusion 252 may be formed on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misphere, and may have a semicircular arc shape in cross section.

이에 따라, 상기 소음방지부(250)는 아이스 빈(200)과 접하는 접촉부(253)가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noise prevention part 250, the contact part 253 contacting the ice bin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즉, 상기 소음방지부(250)는, 상기 공간(254)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홀을 제외한 접촉부(253)가 상기 아이스 빈(200)의 밑면(214)의 상측에 접할 수 있다.That is, in the noise prevention part 250, the contact part 253 excluding the plurality of holes formed by the space 254 may contact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214 of the ice bin 200.

제 4 실시예에 의해서도 상기 돌출부(252)가 얼음의 낙하에 의해 변형되어 얼음의 낙하에 따른 충격과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protruding portion 252 is deformed by the falling ice, so that shock and noise caused by the falling ice can be reduced.

Claims (15)

냉동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냉동실에 고정되며, 구형의 얼음을 생성하는 아이스 메이커;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부터 낙하되는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빈; 및
상기 낙하되는 얼음과 상기 아이스 빈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아이스 메이커와 상기 아이스 빈 사이에 위치하는 소음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방지부는
상기 아이스 빈의 밑면의 상측에 배치되는 커버부와, 상기 아이스 빈의 하측에서 상기 아이스 빈이 안착되는 바닥면과 접촉하여 상기 아이스 빈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커버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A cabinet equipped with a freezer compartment;
an ice maker fixed to the freezing chamber and generating spherical ice;
an ice bin located below the ice maker and storing ice falling from the ice maker; and
A noise prevention unit positioned between the ice maker and the ice bin to prevent a collision between the falling ice and the ice bin,
The noise suppression unit
A cover part disposed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ice bin, a support part supporting the ice bin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ice bin is seated,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cover part and the support part. Refrigerator includ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빈은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관통홀을 가지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ice bin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to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is insert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크기는 상기 관통홀의 크기보다 큰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4,
The size of the support part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A refrigerator in which the cover part, the support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are integrally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방지부는, 탄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noise prevention part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빈은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최하단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배면절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ice bin includes a rear cutout formed on a rear surface and positioned at a height lower than a lowermost end of the ice maker.
KR1020200137639A 2020-10-22 2020-10-22 Refrigerator KR1025201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639A KR102520145B1 (en) 2020-10-22 2020-10-22 Refrigerator
KR1020230044770A KR20230051451A (en) 2020-10-22 2023-04-05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639A KR102520145B1 (en) 2020-10-22 2020-10-22 Refrigerato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770A Division KR20230051451A (en) 2020-10-22 2023-04-05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324A KR20220053324A (en) 2022-04-29
KR102520145B1 true KR102520145B1 (en) 2023-04-07

Family

ID=814289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639A KR102520145B1 (en) 2020-10-22 2020-10-22 Refrigerator
KR1020230044770A KR20230051451A (en) 2020-10-22 2023-04-05 Refrigerator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770A KR20230051451A (en) 2020-10-22 2023-04-05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2014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436B1 (en) * 2019-04-01 2020-02-24 이용재 Shocking absorber for pack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488Y1 (en) * 1989-09-27 1993-06-14 대우전자 주식회사 Freezing tray for refrigerator
KR20100018995A (en) * 2008-08-08 2010-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1890939B1 (en) * 2011-07-15 2018-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Ice mak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436B1 (en) * 2019-04-01 2020-02-24 이용재 Shocking absorber for pac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324A (en) 2022-04-29
KR20230051451A (en) 202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94875B1 (en) Refrigerator
US9188377B2 (en) Ice maker and method,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0495373B2 (en) Refrigerator
KR101713327B1 (en) Refirgerator
KR101215096B1 (en) Refrigerator
US20170227281A1 (en) Refrigerator
KR102520145B1 (en) Refrigerator
KR100854807B1 (en) A door basket for refrigerator
JP6765713B2 (en) Freezer refrigerator
JP6061808B2 (en) refrigerator
JP2011179695A (en) Refrigerator
JP2018059693A (en) refrigerator
JP2012159275A (en) Refrigerator
KR101871713B1 (en) A ice making tray and a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WO2022264401A1 (en) Refrigerator
JP7190731B2 (en) refrigerator
KR102440981B1 (en) Refrigerator and drawer type door for refrigerator
KR100199973B1 (en) Refrigerator
KR200200467Y1 (en) Structure for closing a door of showcase
KR102485761B1 (en) A refrigerator
WO2019171534A1 (en) Refrigerator
JP2022059856A (en) refrigerator
KR19990035661U (en) Home bar of refrigerator
JP2022112733A (en) refrigerator
KR20220037700A (en) Refrigerator and ice maker for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