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524B1 - 격벽을 구비한 호퍼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탄소섬유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격벽을 구비한 호퍼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탄소섬유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524B1
KR102519524B1 KR1020170113428A KR20170113428A KR102519524B1 KR 102519524 B1 KR102519524 B1 KR 102519524B1 KR 1020170113428 A KR1020170113428 A KR 1020170113428A KR 20170113428 A KR20170113428 A KR 20170113428A KR 102519524 B1 KR102519524 B1 KR 102519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nanotubes
epoxy resin
hopper
carbon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9880A (ko
Inventor
박경래
차은자
김영근
최웅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크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크위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크위드
Publication of KR20180029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5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 B29C70/52Pultrusion, i.e. forming and compressing by continuously pulling through a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3/00Use of EP, i.e. epoxy resin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16Fillers
    • B29K2105/165Hollow fillers, e.g. microballoons or expanded particles
    • B29K2105/167Nano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307/00Use of elements other than metals as reinforcement
    • B29K2307/04Carb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나노카본 복합재료 기반 경량 자전거 구동계 관련 부품 소재가 개시된다. 격벽을 구비한 호퍼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탄소섬유 복합재의 제조 방법은, 격벽을 구비한 호퍼(Hopper)를 이용하여 이형지에 에폭시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선택적 비율에 따라 공급하는 단계와; 개섬된 탄소섬유를 롤러를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개섬된 탄소섬유에 상기 에폭시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함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격벽 설치를 통해 탄소나노튜브 공급량을 제어함으로서 탄소나노튜브 분포가 제어되며, 탄소나노튜브 Depth의 주기성에 따른 패터닝이 가능하며 계면의 기포제어가 용이해지며, 필요에 따라 탄소나노튜브가 선택적으로 공급되어 저가형/고가형 프리프레그의 생산제어가 용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격벽을 구비한 호퍼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탄소섬유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 COMPRISING CARBON NANOTUBES USING A HOPPER WITH PARTITION WA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나노카본 복합재료 기반 경량 자전거 구동계 관련 부품 소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내열성 프리프레그(Prepreg) 및 고탄성 카본 소재 개발과 이를 활용한 구동계 관련 핵심 부품에 관련된 격벽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된 탄소섬유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섬유강화 복합재료는 고강도 및 고강성, 우수한 피로특성을 가지고 이방성의 기계적 물성을 가지기 때문에 제품 설계 시 요구되는 강도, 강성 등에 맞추어 설계가 가능한 설계 유연성을 가지므로 경량화가 요구되는 우주항공 산업, 방위산업, 자동차 산업 등의 제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스포츠 산업에서의 복합재료의 이용은 세계적으로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로 국내에서도 2004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에 들어간 주 5일 근무제의 영향으로 레저 스포츠 산업이 크게 성장하면서 복합재료를 이용한 고성능의 경량화 스포츠 용품 시장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탄소강화 복합재료 제조기술을 이용한 소재의 초경량화, 에너지 친화성, 복합기능화는 매우 중요하며, 특히 탄소섬유의 나노화는 높은 비표면적과 aspect ratio에 따른 우수한 기계적 및 열적 특성, 경량성으로 인해 우주항공 산업뿐만 아니라 첨단 전자 정보 산업 등과 같은 여러 최첨단 산업분야에서 국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최근, 자전거 시장은 지속되는 고유가의 영향과 웰빙 열풍의 영향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자전거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자전거 경량화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자전거 중량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자전거 프레임 및 구동계의 경량화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도로 경기용 사이클 자전거의 경기력 향상을 위하여, 나노카본 복합재료 기반 경량 자전거 구동계 관련 부품 소재 개발을 위한 고내열성 프리프레그(Prepreg) 및 고탄성 카본 소재 개발과 이를 활용한 구동계 관련 핵심 부품(크랭크 셋, 휠 림 등) 개발의 필요성이 시급하다.
그러나 국내 자전거 산업은 생산기반 및 부품 등에 대하여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 하고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자전거 산업의 국내 설계 및 제조 기반 확보가 필요하며, 자체 개발을 통한 부품 국산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카본 자전거의 경우 전량 수입에 의존함으로써 관련된 부품 산업조차 제대로 활성화되어 있지 못하며, 부품개발을 위한 소재 분야도 침체되어 있으므로, 국내 스포츠산업의 고도화 및 발전을 위하여 국내 자체 기술력으로 특성화된 소재 개발 및 부품개발이 필요하다.
자전거 부품이나 프레임 또는 림, 안장 등 특히 크랭크 셋의 바(고탄성율 프리프레그를 사용)를 제조 생산하기 위해 프리프레그를 먼저 제조해야 한다.
종래 특허 KR1568144는 비스페놀 A타입의 에폭시 수지에 탄소나노튜브(CNT)를 첨가하여 점착강도를 증가시키는 기술로, CNT 페이스트를 적용하여 CNT 입자의 비산정도를 극단적으로 낮춤으로서 인체에 대한 안정성 및 취급성이 향상되어 공정상의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에폭시 수지에 탄소나노튜브를 첨가시키기 위한 별도의 분산제가 투입되고 용매를 휘발시키기 위한 건조단계가 추가되어 공정이 늘어나 생산적/경제적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격벽을 구비한 호퍼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탄소섬유 복합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격벽을 구비한 호퍼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탄소섬유 복합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벽을 구비한 호퍼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탄소섬유 복합재의 제조 방법은, 격벽을 구비한 호퍼(Hopper)를 이용하여 이형지에 에폭시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선택적 비율에 따라 공급하는 단계와; 개섬된 탄소섬유를 롤러를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개섬된 탄소섬유에 상기 에폭시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함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에폭시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선택적 비율에 따라 공급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으로 상기 에폭시 수지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구분하여 저장 및 공급하는 호퍼를 제어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에폭시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선택적 비율에 따라 공급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통해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공급량을 조절하고, 상기 공급량의 조절에 따라 탄소나노튜브의 두께가 상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에폭시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선택적 비율에 따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두께의 차이를 수치화하여 패터닝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벽을 구비한 호퍼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탄소섬유 복합재는, 격벽을 구비한 호퍼(Hopper)를 이용하여 이형지에 에폭시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선택적 비율에 따라 공급하고, 개섬된 탄소섬유를 롤러를 이용하여 이동시키며, 상기 개섬된 탄소섬유에 상기 에폭시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함침시켜 제조된다.
여기에서, 상기 호퍼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으로 상기 에폭시 수지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구분하여 저장 및 공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호퍼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통해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공급량을 조절하고, 상기 공급량이 조절에 따라 탄소나노튜브의 두께가 상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호퍼는,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두께의 차이를 수치화하여 패터닝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격벽을 구비한 호퍼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탄소섬유 복합재는, 격벽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함으로써, 격벽 설치를 통해 탄소나노튜브의 공급량을 제어함으로써, 탄소나노튜브의 분포가 제어되며, 탄소나노튜브 Depth의 주기성에 따른 패터닝이 가능하며 계면의 기포제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되면 열발산력이 높아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바퀴에 브레이크를 잡을 때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발산되어 온도가 낮아지고, 접착강도, 진동감쇄 및 충격흡수 등의 물성이 증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벽을 구비한 호퍼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탄소섬유 복합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벽을 구비한 호퍼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탄소섬유 복합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벽을 구비한 호퍼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탄소섬유 복합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프리프레그(Prepreg)를 제조하는 방법은, 모재인 수지를 액상으로 하고 보강재인 Fiber/Fabrics를 함침시키는 Solvent Prepreg Process와 수지를 Film 형태로 만든 후 보강재에 함침시키는 Hot Melt Prepreg Process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Hot Melt Prepreg Process를 설명한다.
Hot Melt Prepreg Process는 Fiber Creel로부터 Fiber Yarn을 직접 단일방향으로 가닥가닥 놓이게 하고, 수지의 공급은 Resin Hopper에서 이루어 지는데, 혼합된 수지와 경화제는 용제에 녹여져 있는 상태가 아닌 열에 의해 점도가 낮은 상태로 존재하며 종이 한쪽 면 위에 공급 접착된다. 이렇게 일방향으로 배열된 fiber 위에 한쪽 면에 수지가 접착된 종이가 부착되면서 진행된다. 이 때 종이에 접착된 수지와 섬유가 효과적으로 함침이 되도록 열과 압력을 가하여 압착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은, Fiber Creel, Spreader, Resin Hopper, Guide Roll 및 Compaction Roll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탄소섬유는 Fiber Creel에서 해사(unwinding)되고, Fiber Creel에서 해사된 탄소섬유는 Spreader에 의해 개섬(開纖, opening)될 수 있다.
Top Paper과 Bottom Paper는 각각 이형지(이형필름)를 공급할 수 있고, Top Paper에 의해 공급되는 이형지 상에는 (에폭시) 수지 또는 탄소나노튜브(CNT)가 공급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Resin Hopper는 Top Paper에 의해 공급되는 이형지 상에 수지 또는 탄소나노튜브(CNT)를 공급할 수 있고, Knife는 이형지 상에 공급되는 수지 또는 탄소나노튜브(CNT)의 두께 등을 조절할 수 있다.
Top Paper과 Bottom Paper에서 공급되는 이형지는 Guide Roll에 의해 가이드되어 복수의 Compaction Roll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Spreader에 의해 개섬된 탄소섬유는 수지 또는 탄소나노튜브(CNT)가 공급된 이형지와 함께 복수의 Compaction Roll를 통과함으로써 탄소섬유에 수지 또는 탄소나노튜브(CNT)가 함침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Compaction Roll는 압력과 열을 가하여 탄소섬유에 수지 또는 탄소나노튜브(CNT)를 함침시킬 수 있다.
수지 또는 탄소나노튜브(CNT)가 함침된 탄소섬유는 Slitter 및 Takeup 장치를 거치고 난 후, 후처리를 통해 프리프레그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산출된 프리프레그에 대한 표면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벽을 구비한 호퍼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탄소섬유 복합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벽을 구비한 호퍼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탄소섬유 복합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벽을 구비한 호퍼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탄소섬유 복합재는 다수의 Guide Roll(11, 12, 13), Heater(20), Prepreg(30) 및 격벽(41)을 구비한 호퍼(Hopper)(40)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다수의 Guide Roll(11, 12, 13)은 개섬된 탄소섬유 및 이형지를 이동시킬 수 있다. 격벽(41)을 구비한 호퍼(Hopper)(40)는 이형지에 에폭시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선택적 비율에 따라 공급할 수 있다. 즉, 호퍼(40)는 격벽(41)을 이용하여 에폭시 수지와 탄소나노튜브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고, 에폭시 수지와 탄소나노튜브 각각의 공급율을 격벽(41)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2는 호퍼(40)가 하나의 격벽(41)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라 호퍼(40)가 하나 이상의 격벽(4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Compaction Roll(도 2에 미도시)를 통과함으로써 탄소섬유에 수지 또는 탄소나노튜브(CNT)가 함침할 수 있고, Heater(20)는 탄소섬유에 에폭시 수지와 탄소나노튜브가 함침되도록 온도를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격벽(41)을 구비한 호퍼(40)를 이용하여 에폭시 수지에 첨가되는 탄소나노튜브의 공급량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Prepreg(30)를 산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 복합재는 탄소나노튜브가 별도 첨가되어 에폭시 수지와 탄소나노튜브의 혼합 조성물의 형태로 공급되어 물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에폭시 수지(100) 및 탄소나노튜브(200)의 혼합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패터닝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a)를 참조하면 에폭시 수지(100)의 외곽에 탄소나노튜브(200)가 배치될 수 있고, 도 3 (b)를 참조하면 에폭시 수지(100)의 내부에 탄소나노튜브(200)의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에폭시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공급하는 호퍼(40)에 격벽(410)을 배치하여 에폭시 수지외 별도의 탄소나노튜브 페이스트가 공급되어 필요에 따라 탄소나노튜브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격벽(41) 설치를 통해 탄소나노튜브 공급량을 제어함으로써 탄소나노튜브 분포가 제어되며, 탄소나노튜브 Depth의 주기성에 따른 패터닝이 가능하며 계면의 기포제어가 용이해지며, 필요에 따라 탄소나노튜브가 선택적으로 공급되어 저가형/고가형 프리프레그의 생산제어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호퍼(40)에 공급되는 에폭시 수지와 별도로 탄소나노튜브가 공급되는 경우, 2개 이상의 격벽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경우, 공급량에 따른 탄소나노튜브의 두께를 수치화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자전거용 프리프레그의 경우, 접착력, 충격흡수 및 진동감쇄, 열발산력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이러한 요건을 갖추는 탄소나노튜브의 경우 물성향상의 기능보다는 접착력 향상, 진동감쇄 및 충격흡수가 주 목적으로 기계적 강도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나 자연적으로 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에폭시 수지와의 접착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여러 가지 입자 중에서 침상 형태의 물질이 가장 효과가 좋으며, 침상의 물질 중 탄소나노튜브가 가격이 하락 중이고 경량으로 상대적으로 효과가 높음(침상물질 중 SiC는 탄소나노튜브보다 고가이며, 무거움)으로 인해, 탄소나노튜브를 도입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벽을 구비한 호퍼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탄소섬유 복합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벽을 구비한 호퍼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탄소섬유 복합재의 제조 방법은, 격벽(41)을 구비한 호퍼(Hopper)(40)를 이용하여 이형지에 에폭시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선택적 비율에 따라 공급하는 단계(S410)와; 개섬된 탄소섬유를 롤러(11, 12, 13)를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단계(S420)와; 개섬된 탄소섬유에 에폭시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함침시키는 단계(S430)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41)으로 에폭시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구분하여 저장 및 공급하는 호퍼(40)를 제어하여 탄소섬유 복합재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격벽(41)을 통해 탄소나노튜브의 공급량을 조절하고, 탄소나노튜브의 공급량의 조절에 따라 탄소나노튜브의 두께가 상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의 두께의 차이를 수치화하여 패터닝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격벽을 구비한 호퍼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탄소섬유 복합재를 제공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벽을 구비한 호퍼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탄소섬유 복합재는, 격벽(41)을 구비한 호퍼(Hopper)(40)를 이용하여 이형지에 에폭시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선택적 비율에 따라 공급하고, 개섬된 탄소섬유를 롤러(11, 12, 13)를 이용하여 이동시키며, 개섬된 탄소섬유에 에폭시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함침시켜 제조될 수 있다.
호퍼(40)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41)으로 에폭시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구분하여 저장 및 공급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격벽(41)을 통해 탄소나노튜브의 공급량을 조절하고, 공급량이 조절에 따라 탄소나노튜브의 두께가 상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탄소나노튜브의 두께의 차이를 수치화하여 패터닝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폭시 수지의 함침 후에 탄소나노튜브가 공급될 수 있고, 롤러의 속도제어를 통해 함침되는 두께가 제어될 수 있으며, 에폭시 수지가 공급되는 호퍼에 격벽을 설치하고, 탄소나노튜브 페이스트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격벽을 통해 에폭시 수지와 별도로 탄소나노튜브 페이스트의 공급이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탄소나노튜브가 선택적으로 공급되어 탄소나노튜브의 공급량을 제어하여 저가형/고가형 프리프레그의 생산제어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 12, 13: Guide Roll
20: Heater
30: Prepreg
40: 호퍼
41: 격벽

Claims (8)

  1. 격벽을 구비한 호퍼(Hopper)를 이용하여 페이스트 형태의 탄소나노튜브의 공급량을 제어하면서 이형지에 에폭시 수지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선택적 비율에 따라 혼합 조성물의 형태로 동시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이형지와 함께, 개섬된 탄소섬유를 롤러를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개섬된 탄소섬유에 상기 에폭시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함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선택적 비율에 따라 공급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으로 상기 에폭시 수지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구분하여 저장 및 공급하는 호퍼를 제어하여 수행되고,
    상기 에폭시 수지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호퍼로부터 상기 이형지를 향해 자중(自重)에 의해 공급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에폭시 수지의 외곽에서 상기 에폭시 수지를 둘러싸거나 상기 에폭시 수지의 내부에서 상기 에폭시 수지에 의해 둘러싸이는, 격벽을 구비한 호퍼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탄소섬유 복합재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선택적 비율에 따라 공급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통해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공급량을 조절하고, 상기 공급량의 조절에 따라 탄소나노튜브의 두께가 상이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벽을 구비한 호퍼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탄소섬유 복합재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선택적 비율에 따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두께의 차이를 수치화하여 패터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벽을 구비한 호퍼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탄소섬유 복합재의 제조 방법.
  5. 격벽을 구비한 호퍼(Hopper)를 이용하여 페이스트 형태의 탄소나노튜브의 공급량을 제어하면서 이형지에 에폭시 수지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선택적 비율에 따라 혼합 조성물의 형태로 동시에 공급하고, 상기 이형지와 함께 개섬된 탄소섬유를 롤러를 이용하여 이동시키며, 상기 개섬된 탄소섬유에 상기 에폭시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함침시켜 제조되도록,
    상기 호퍼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통해 제어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격벽으로 상기 에폭시 수지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구분하여 저장 및 공급하고,
    상기 에폭시 수지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호퍼로부터 상기 이형지를 향해 자중에 의해 공급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에폭시 수지의 외곽에서 상기 에폭시 수지를 둘러싸거나 상기 에폭시 수지의 내부에서 상기 에폭시 수지에 의해 둘러싸이는, 격벽을 구비한 호퍼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탄소섬유 복합재.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통해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공급량을 조절하고, 상기 공급량의 조절에 따라 탄소나노튜브의 두께가 상이하게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벽을 구비한 호퍼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탄소섬유 복합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두께의 차이를 수치화하여 패터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벽을 구비한 호퍼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탄소섬유 복합재.
KR1020170113428A 2016-09-13 2017-09-05 격벽을 구비한 호퍼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탄소섬유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519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909 2016-09-13
KR20160117909 2016-09-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880A KR20180029880A (ko) 2018-03-21
KR102519524B1 true KR102519524B1 (ko) 2023-04-17

Family

ID=61900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428A KR102519524B1 (ko) 2016-09-13 2017-09-05 격벽을 구비한 호퍼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탄소섬유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5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008969A (zh) * 2018-08-24 2020-03-01 旋寶好企業有限公司 具有生物能量波反射之貼身物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5827A (ja) 2006-01-12 2007-07-26 Toyota Motor Corp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JP2009091377A (ja) 2007-10-03 2009-04-30 Arisawa Mfg Co Ltd プリプレグの製造装置
JP2009165999A (ja) 2008-01-18 2009-07-30 Yokohama Rubber Co Ltd:The 高粘度熱硬化性樹脂フィルムの成形方法
US20100143701A1 (en) 2003-06-16 2010-06-10 Jiang Zhu Fiber-Reinforced Polymer Composites Containing Functionalized Carbon Nanotub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4401B1 (ko) * 1998-04-29 2000-05-01 추호석 탄소섬유 복합재 제조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43701A1 (en) 2003-06-16 2010-06-10 Jiang Zhu Fiber-Reinforced Polymer Composites Containing Functionalized Carbon Nanotubes
JP2007185827A (ja) 2006-01-12 2007-07-26 Toyota Motor Corp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JP2009091377A (ja) 2007-10-03 2009-04-30 Arisawa Mfg Co Ltd プリプレグの製造装置
JP2009165999A (ja) 2008-01-18 2009-07-30 Yokohama Rubber Co Ltd:The 高粘度熱硬化性樹脂フィルムの成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880A (ko)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69469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preading fiber bundle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prepreg
JP2006213059A (ja) Frp複合物を製造する方法
CN102371688A (zh) 利用树脂浸渍纤维材料的设备和形成纤维加强的塑料部件的方法
JP2009062648A (ja) チョップド繊維束、成形材料、および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の製造方法
WO2009008312A1 (ja) 複合材料
KR102519524B1 (ko) 격벽을 구비한 호퍼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탄소섬유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CN202115036U (zh) 一种多轴向线束增强的热塑性预固结片材
WO2014013737A1 (ja) 炭素繊維ステッチ基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ウエット・プリプレグ
KR20120078455A (ko) 일방향 프리프레그의 제조 방법 및 장치
JP2013159723A5 (ja) プリプレ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スリットプリプレグ、炭素繊維強化複合材料
Erber et al. Expanded role for thermoplastic composites
US20220212088A1 (en) Rovings and fabrics for fiber-reinforced composites
KR102536961B1 (ko) 방향성이 부여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한 탄소섬유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JPS63112744A (ja) 織機用綜絖枠の外枠ステ−
KR102437965B1 (ko) 고온 에어 공급에 의한 탄소섬유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536971B1 (ko) 롤러프레임과 서포터가 일체화된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
MY182397A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composite material
TWI489023B (zh) Prepreg impregnation equipment
CN109676951A (zh) 纤维复合材料及其制法
JP5598931B2 (ja) 繊維強化された樹脂基材、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実施のための樹脂加工機
CN108481609A (zh) 一种纤维增强热塑性复合材料短流程制造方法及制造系统
US11358828B2 (en) Unwinding of materials
TWI668104B (zh) 纖維複合材料及其製法
Uthemann et al. Cost efficiency through load-optimised and semi-impregnated prepregs
KR20010016305A (ko)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