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372B1 - 유체 순환이 가능한 복층판 구조 온실 - Google Patents

유체 순환이 가능한 복층판 구조 온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372B1
KR102519372B1 KR1020200167374A KR20200167374A KR102519372B1 KR 102519372 B1 KR102519372 B1 KR 102519372B1 KR 1020200167374 A KR1020200167374 A KR 1020200167374A KR 20200167374 A KR20200167374 A KR 20200167374A KR 102519372 B1 KR102519372 B1 KR 102519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upply pipe
panel
curved panel
fluid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8153A (ko
Inventor
한세진
Original Assignee
인네이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네이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네이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7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372B1/ko
Publication of KR20220078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5Conduits for heating by means of liquids, e.g. used as frame members or for soil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너 패널 및 아우터 패널의 사이 공간에 폭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복수열로 배치되는 격벽에 의해 복수의 유로가 마련되는 만곡 패널, 상기 만곡 패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만곡 패널의 아우터 패널에 밀착되고,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공급구를 통하여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체 공급관, 상기 만곡 패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아우터 패널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유로에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유입공, 상기 유체 공급관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펌핑 구동되는 구동 펌프, 상기 복수의 유로의 최하단으로 배출되는 유체를 포집하는 포집부 및 상기 포집부의 유체를 상기 구동 펌프로 순환시키는 유체 배출 라인을 포함하는, 유체 순환이 가능한 복층판 구조 온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체 순환이 가능한 복층판 구조 온실{MULTI-LAYERED PLATE GREENHOUSE CAPABLE OF CIRCULATING FLUID}
본 발명은 유체 순환이 가능한 복층판 구조 온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복층판을 굴곡시켜 온실로 이용하는 유체 순환이 가능한 복층판 구조 온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초나 과일, 채소 등을 계절에 관계없이 재배하기 위해서는 온실의 사용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온실의 경우 보통 비닐이나 유리 패널을 이용해 내부에 화초나 과일, 채소 등을 재배할 수 있도록 재배공간을 갖는 하우스 형태의 비닐 온실(비닐 하우스)이나 유리 온실로 제작된다.
이때, 비닐 온실의 경우 비닐을 이용하는 구조 특성상 바람이나 우박, 폭설 등 자연 현상에 매우 취약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여름철이나 겨울철에는 필수적으로 별도의 냉, 난방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그에 따른 유지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유리 온실의 경우 전술한 비닐 온실과 같이 구조 특성상 바람이나 우박, 폭설 등 자연현상에 취약하지는 않으나, 천정 유리를 비롯해 유리 온실 전체가 태양열에 의해 가열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상기 천정 유리에 맺힌 물방울이 열에 의해 증발되면서 유리 온실의 내부가 매우 건조해져 일정한 습도를 유지시키기가 어렵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물을 자주 공급해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복층판을 굴곡시켜 간편하게 온실을 제작하고, 복층판의 내부 공간의 유로를 통하여 유체를 순환시킬 수 있는 복층판 구조의 온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순환이 가능한 복층판 구조 온실은 이너 패널 및 아우터 패널의 사이 공간에 폭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복수열로 배치되는 격벽에 의해 복수의 유로가 마련되는 만곡 패널, 상기 만곡 패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만곡 패널의 아우터 패널에 밀착되고,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공급구를 통하여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체 공급관, 상기 만곡 패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아우터 패널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유로에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유입공, 상기 유체 공급관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펌핑 구동되는 구동 펌프, 상기 복수의 유로의 최하단으로 배출되는 유체를 포집하는 포집부 및 상기 포집부의 유체를 상기 구동 펌프로 순환시키는 유체 배출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공급관은 밀폐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급구는 상기 유체 공급관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유입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 공급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유체 공급관이 상기 만곡 패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안내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공급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안내 돌기가 상기 안내 레일의 안내홈에 안착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유체 공급관이 상기 만곡 패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공급구 및 유입공의 각각의 오버랩되는 면적이 가변될 수 있다.
상기 포집부는 상기 만곡 패널의 폭 방향 양측 하단을 감싸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순환이 가능한 복층판 구조 온실은 유체가 순환할 수 있는 패널을 굽힘 가공으로 만곡 패널로 제작하고 만곡 패널의 제작 시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유체가 순환할 수 있어 온실을 간단히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유체 공급관을 안내 레일을 따라 선형 이동시킴으로써 만곡 패널의 유로를 순환하는 유체의 압력을 제어하여 온실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하거나, 동절기의 경우 유체를 가열하여 외부 냉기가 유입되지 못함과 동시에 태양에너지는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화초, 과일 또는 채소의 종류에 따른 온도 조절이 보다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순환이 가능한 복층판 구조 온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순환이 가능한 복층판 구조 온실에 적용되는 만곡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포집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순환이 가능한 복층판 구조 온실의 유입공 및 공급구 간의 작동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순환이 가능한 복층판 구조 온실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순환이 가능한 복층판 구조 온실에 적용되는 만곡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순환이 가능한 복층판 구조 온실은 만곡 패널(100), 유체 공급관(200), 구동 펌프(300), 포집부(400) 및 유체 배출 라인(320)을 포함할 수 있다.
만곡 패널(100)은 PVC, PMMA 또는 PC 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층판 구조일 수 있다. 즉, 만곡 패널(100)은 아우터 패널(102) 및 이너 패널(101)의 2겹의 판상 구조가 평행하게 이격되고, 그 내부 공간을 평행하게 구획하도록 복수열로 배열되는 격벽(103)에 의해 복수의 평행한 유로(100a)가 형성되는 복층판 구조일 수 있다.
만곡 패널(100)은 유체가 순환 가능하게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유로(100a)가 소정 간격으로 구획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플라스틱 재질의 수지인 PC, PVC수지 등을 압출 또는 사출 성형하여서 일정한 사이즈로 재단하여서 굽힘 가공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만곡 패널(100)을 제작할 때 PVC, PMMA 또는 PC 재질은 열가소성 수지이며, 상온 시(PC 또는 PVC의 경우, 두께가 얇은 경우) 또는 가열 시 굽힘 가공이 가능하므로 자체 굴곡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너 패널(101), 아우터 패널(102) 및 격벽(103)으로 이루어지는 복층판 전체를 굴곡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즉, 이너 패널(101), 아우터 패널(102) 및 격벽(103)에 의해 유체가 순환할 수 있는 유로(100a)가 마련된 패널을 굽힘 가공으로 만곡 패널(100)로 제작하고 만곡 패널(100)의 제작 시 형성되는 유로(100a)를 통해 유체가 순환할 수 있어 온실을 간단히 제작할 수 있다.
만곡 패널(100)은 만곡됨으로써 온실(1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너 패널(101) 측에 온실(10)이 마련되어 외기를 차단하면서 화초, 과일 또는 채소 등을 재배할 수 있도록 내부에 재배 공간을 갖는 통상의 하우스 형태와 동일한 구조를 이루도록 굽힘 가공될 수 있다.
만곡 패널(100)이 아크릴(PMMA)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몰딩을 포밍하여 굴곡된 형상으로 성형한 후에 곡면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냉각 공정이 요구된다.
만곡 패널(100)의 크기는 일 예로, 8m의 폭으로 3900R 내지 4100R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만곡 패널(100)의 크기 및 곡률은 후술하는 유체 공급관(200)의 길이 및 중량, 만곡 패널(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격벽(103)의 두께 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체 공급관(200)은 그 내부에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공간(200a)이 소정 길이로 마련되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 공급관(200)의 횡단면 형상은 내부에 유체가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저장된 유체가 유입공(102a)을 통하여 유입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이외의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이 가능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체는 냉수 또는 온수일 수 있고, 이외에도 햇빛에 약한 식물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색상의 도료 등이 함유된 유색의 냉온수를 사용할 수 있고, 겨울철 만곡 패널(100)의 유로(100a)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부동액이 사용될 수도 있다.
유체 공급관(200)은 만곡 패널(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아우터 패널(102)에 면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유체 공급관(200)의 내부 공간(200a)에는 후술하는 구동 펌프(300)에 의해 순환되는 유체가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유체 공급관(200)의 유체는 아우터 패널(102)로 공급되는데, 이를 위해, 아우터 패널(102)의 각각의 유로에 연통되는 위치에는 복수의 공급구(20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체 공급관(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는 공급구(201)를 경유하고 아우터 패널(102)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유입공(102a)을 통하여 유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유입공(102a)은 만곡 패널(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각각의 유로(100a)에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급구(201)는 유체 공급관(200)의 바닥면에 형성되되 각각의 유입공(102a)과 오버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체 공급관(200)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되는 각각의 공급구(201)의 중심은 각각 대응되는 유입공(102a)의 중심과 일치하여 오버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공급구(201)의 상측에서 볼 때, 공급구(201)의 원과 유입공(102a)의 원이 일치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유체 공급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면에 안내 돌기(202)가 형성되고, 유체 공급관(200)이 안내 돌기(202)에 의해 선형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 돌기(202)가 결합되는 안내 레일(2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체 공급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면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410)가 포함되고, 지지 부재(410)의 마주보는 양측 내측면에 안내 레일(211)이 형성될 수 있다.
안내 레일(211)은 지지 부재(410)의 마주보는 내측면에 소정의 길이로 파인 홈이 형성되고, 유체 공급관(200)의 안내 돌기(202)가 안내 레일(211)에 결합된 상태로 만곡 패널(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평상시에는 공급구(201)가 유입공(102a)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지만, 유체 공급관(200)이 안내 레일(21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공급구(201)와 유입공(102a) 간의 오버랩되는 면적이 가변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공급구(201)로부터 아우터 패널(102)의 유입공(102a)으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이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저용량의 구동 펌프를 사용하더라도 연결관(311)을 통하여 만곡 패널(100)의 전면적에 형성된 유로(100a)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압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만곡 패널(100)의 길이 및 폭의 크기에 따라 유체 공급관(200)의 슬라이딩을 통하여 적절한 수압이 형성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구동 펌프(30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동 모터(미도시) 및 복수의 베인(미도시)이 회전되면서 토출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유체를 지면으로부터 유체 공급관(200)의 높이까지 상승시킬 수 있는 펌핌압을 형성할 수 있다.
구동 펌프(300)는 유체 공급 라인(310)을 통하여 유체 공급관(200)의 연결관(311)으로 유체를 공급하도록 한다. 이때, 연결관(311)은 유체 공급관(200)의 소정 길이만큼 선형 이동 시 파단이 일어나지 않도록 유연한 재질의 주름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체 공급관(200)이 만곡 패널(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를 선형으로 왕복 이동하는 과정에서 유체 공급 라인(310)은 고정된 상태에서 유체 공급관(200)이 이동되더라도 유체 공급 라인(310)과 유체 공급관(200) 간의 연통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연결관(311)과 유체 공급관(200)의 연통된 부위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실링 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포집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집부(400)에는 복수의 유로(100a)의 최하단으로 배출되는 유체를 포집할 수 있도록 저장 공간(401)이 마련될 수 있다.
포집부(400)는 만곡 패널(100)의 폭 방향 양측 하단을 감싸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포집부(40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의 내측에는 만곡 패널(10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 부재(410)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만곡 패널(10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부가 지지 부재(410)에 의해 고정되고 그 하측에 저장 공간(401)이 마련됨으로써 만곡 패널(100)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가 일시적으로 포집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도 1의 종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순환이 가능한 복층판 구조 온실의 유입공 및 공급구 간의 작동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순환이 가능한 복층판 구조 온실의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유체가 유체 공급 라인(310)을 통하여 유체 공급관(200)의 내부로 유입되면 일시적으로 유동 면적이 넓어짐과 동시에 유체 공급관(200)의 공급구(201)의 유동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유체가 유체 공급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확산된다.
이후, 유체가 유체 공급관(200)의 내부 공간에 충전되는 과정에서 유체 공급관(200)의 공급구(201)를 통하여 유동하는 유체는 아우터 패널(102)의 유입공(102a)을 통하여 각각의 유로(100a)로 유동하게 된다.
유체는 각각의 유로를 통하여 만곡 패널(100)의 전면적을 통과하면서 유체에 포함된 저온 또는 고온의 열에너지가 온실(10) 내부로 복사 에너지를 공급하므로 온실(10) 내부에 배치되는 화초, 과일 또는 채소 등을 적정 온도로 유지하여 재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구(201) 및 유입공(102a)의 유동면적은 일치한 상태에서 유체의 유동에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지만, 만곡 패널(100)의 길이 또는 폭의 크기에 따른 유동 면적 변화, 구동 펌프(300) 또는 유체의 점도에 따라 만곡 패널(100)의 유로(100a)를 순환하는 유체의 속도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유체 공급관(200)을 만곡 패널(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면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급구(201) 및 유입공(102a)의 오버랩되는 유동면적을 가변시킴으로써 만곡 패널(100)의 유로(100a)를 순환하는 유로의 압력을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유체 공급관(200)의 선형 이동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공급구(201) 및 유입공(102a)의 오버랩되는 유동면적을 감소시키면 유로의 압력이 증가되고, 공급구(201) 및 유입공(102a)의 오버랩되는 유동면적을 증가시키면 유로의 압력이 낮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유체의 순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온실(10)에 재배되는 화초, 과일 또는 채소에 전달되는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복수의 유로(100a)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공급되는 냉온수가 순환 유동하면서 상기 냉온수의 온도에 의해 실내 및 외부온도를 각각 유지 및 차단하는 등 계절에 관계없이 온실(10)의 실내온도를 균일하게 형성하여 보다 향상된 실내환경을 조성함과 아울러, 이를 통해 화초, 과일 또는 채소들을 좀더 원활하게 재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순환이 가능한 복층판 구조 온실은 이너 패널, 아우터 패널 및 격벽에 의해 유체가 순환할 수 있는 유로가 마련된 패널을 굽힘 가공으로 만곡 패널로 제작하고 만곡 패널의 제작 시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유체가 순환할 수 있어 온실을 간단히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유체 공급관을 안내 레일을 따라 선형 이동시킴으로써 만곡 패널의 유로를 순환하는 유체의 압력을 제어하여 온실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하거나, 동절기의 경우 유체를 가열하여 외부 냉기가 유입되지 못함과 동시에 태양에너지는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화초, 과일 또는 채소의 종류에 따른 온도 조절이 보다 용이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순환이 가능한 복층판 구조 온실을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00: 만곡 패널
100a: 유로
101: 이너 패널
102: 아우터 패널
102a: 유입공
200: 유체 공급관
201: 공급구
300: 구동 펌프
310: 유체 공급 라인
320: 유체 배출 라인
400: 포집부

Claims (6)

  1. 이너 패널 및 아우터 패널의 사이 공간에 폭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복수열로 배치되는 격벽에 의해 복수의 유로가 마련되는 만곡 패널;
    상기 만곡 패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만곡 패널의 아우터 패널에 밀착되고,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공급구를 통하여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체 공급관;
    상기 만곡 패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아우터 패널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유로에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유입공;
    상기 유체 공급관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펌핑 구동되는 구동 펌프;
    상기 복수의 유로의 최하단으로 배출되는 유체를 포집하는 포집부; 및
    상기 포집부의 유체를 상기 구동 펌프로 순환시키는 유체 배출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공급관은 밀폐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급구는 상기 유체 공급관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유입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 공급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유체 공급관이 상기 만곡 패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안내 레일을 더 포함하는, 유체 순환이 가능한 복층판 구조 온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안내 돌기가 상기 안내 레일의 안내홈에 안착되어 슬라이딩되는, 유체 순환이 가능한 복층판 구조 온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관이 상기 만곡 패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공급구 및 유입공의 각각의 오버랩되는 면적이 가변되는, 유체 순환이 가능한 복층판 구조 온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만곡 패널의 폭 방향 양측 하단을 감싸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유체 순환이 가능한 복층판 구조 온실.
KR1020200167374A 2020-12-03 2020-12-03 유체 순환이 가능한 복층판 구조 온실 KR102519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374A KR102519372B1 (ko) 2020-12-03 2020-12-03 유체 순환이 가능한 복층판 구조 온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374A KR102519372B1 (ko) 2020-12-03 2020-12-03 유체 순환이 가능한 복층판 구조 온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153A KR20220078153A (ko) 2022-06-10
KR102519372B1 true KR102519372B1 (ko) 2023-04-10

Family

ID=81986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374A KR102519372B1 (ko) 2020-12-03 2020-12-03 유체 순환이 가능한 복층판 구조 온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37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306B1 (ko) * 2013-03-06 2014-06-05 박일흥 플라베니아 패널을 이용한 냉온수 순환구조를 갖는 온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353B1 (ko) * 2006-09-22 2008-06-09 김명한 워터커튼의 지하수 순환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306B1 (ko) * 2013-03-06 2014-06-05 박일흥 플라베니아 패널을 이용한 냉온수 순환구조를 갖는 온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153A (ko)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86782C (en) Combined economizer and mixer for air handling unit
US20180271032A1 (en) Greenhouse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110005151A1 (en) Low-energy building, particularly greenhouse or stabling
AU2018101212A4 (en) System and structure for environmental control
KR101404306B1 (ko) 플라베니아 패널을 이용한 냉온수 순환구조를 갖는 온실
NL8006851A (nl) Zonne-energie collector en -stelsel.
US4084576A (en) Bulb-type solar energy collector
RU265127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огрева почвы
KR102519372B1 (ko) 유체 순환이 가능한 복층판 구조 온실
KR100836353B1 (ko) 워터커튼의 지하수 순환시스템
CA2820897C (en) Closed-loop energy neutral air drying system
US11287157B2 (en) Combined economizer and mixer for air handling unit
CN106105886A (zh) 一种采用轻体保温材料的自动开闭温室大棚
WO2013017962A1 (en) Bearing structure for photovoltaic or solar modules or panels
US10859286B2 (en) Combined economizer and mixer for air handling unit
KR101426876B1 (ko) 지하피트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
RU2796451C1 (ru) Гелиотеплица
KR20210016778A (ko)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
KR102615849B1 (ko) 적외선 차단이 가능한 수막층 스크린
KR102133457B1 (ko) 축열조 가변 운영식 지열냉난방 시스템
RU2689063C1 (ru)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вертикального градиента температуры в сооружении защищенного грунта
US20170153031A1 (en) Combined economizer and mixer for air handling unit
WO2011142673A2 (en) Connection element for connecting cores of hollow-core plates
WO1998011393A1 (en) Solar energy collector
JP2005341835A (ja) 温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