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152B1 -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방법 - Google Patents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152B1
KR102519152B1 KR1020210001440A KR20210001440A KR102519152B1 KR 102519152 B1 KR102519152 B1 KR 102519152B1 KR 1020210001440 A KR1020210001440 A KR 1020210001440A KR 20210001440 A KR20210001440 A KR 20210001440A KR 102519152 B1 KR102519152 B1 KR 102519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d signal
location
user terminal
wireless access
estim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9327A (ko
Inventor
윤영훈
Original Assignee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1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152B1/ko
Publication of KR20220099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4Position of source determined by a plurality of spaced direction-fin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18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 G01S5/0036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of measured values, i.e. measurement on mobile and position calculation on base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2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a) 적어도 2개의 무선 엑세스 포인트가 실내공간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사전조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위치추정서버가 사전조사정보를 기반으로 실내영역을 매핑하여 매핑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c) 적어도 2개의 무선 엑세스 포인트가 실내공간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에 따른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위치추정서버가 상기 매핑영역과 측정정보를 매칭시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엑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방법{A method for estimating indoor location of terminal using angle of arrive and received signal strength}
본 발명은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핑영역에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매칭시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예를 들어 차량 네비게이션, 실내매장찾기, 지도, 길찾기 등)가 각광을 받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의 위치가 실내외를 막론하고 정밀하게 측정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실외에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위치추정을 하고 있으나, 실내에서는 GPS신호를 제공하는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없기 때문에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등을 이용한 위치추정기술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술로는 삼각측량, 핑거프린트(fingerprint) 기법 등이 있다.
이중 하나인 삼각측량은 3개의 신호의 방향에 따른 계산방법으로 수행하지만 삼각측량기법의 경우에는 세 개의 비콘신호로부터 RSS를 이용한 방정식에 의해 위치를 찾는 방법이지만 실내공간의 장애물에 의해 수십미터까지 오차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핑거프린트는 각 위치에 대응한 RSS 정보를 이용한 전파맵을 이용한 기법이다. 핑거프린트기법의 경우에는 수집한 신호세기의 전파맵이 공간적 배치의 변경 등에 의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무선 Wi-Fi AP가 수신신호각도(AoA) 추정기능을 갖도록 하여 빔성형을 위한 특정방향으로 보다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들이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기능을 갖는 무선 엑세스 포인트(Wi-Fi AP)를 이용하여 전송효율뿐만 아니라 위치추정 기능까지 구현하는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2144431호(2020.08.07.)
(특허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2157309호(2020.09.11.)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초에 무선 액서스 포인트를 설치할 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각 설치된 무선 엑세스 포인트로부터 측정된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기반으로 매핑영역 데이터를 생성하여 위치추정서버에 보관하고, 단말기가 측정하고자 하는 영역에 진입하면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포함하는 측정정보와 매핑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a) 적어도 2개의 무선 엑세스 포인트가 실내영역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사전조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위치추정서버가 상기 사전조사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실내영역을 매핑하여 매핑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적어도 2개의 무선 엑세스 포인트가 상기 실내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에 따른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위치추정서버가 상기 매핑영역과 상기 측정정보를 매칭시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엑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실내영역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단계; (a2) 상기 적어도 2개의 무선 엑세스 포인트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서로 다른 위치에 대한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a3) 상기 적어도 2개의 무선 엑세스 포인트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서로 다른 위치에 대한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포함하는 상기 사전조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a4) 상기 적어도 2개의 무선 엑세스 포인트가 상기 위치추정서버로 상기 사전조사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위치추정서버가 상기 사전조사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실내영역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 (b2) 상기 위치추정서버가 상기 실내영역을 기설정된 크기로 블록화하는 단계; 및 (b3) 상기 위치추정서버가 상기 실내영역을 매핑하여 상기 매핑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실내영역에 위치하는 단계; (c2) 상기 적어도 2개의 무선 엑세스 포인트가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c3) 상기 적어도 2개의 무선 엑세스 포인트가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포함하는 상기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4) 상기 적어도 2개의 무선 엑세스 포인트가 상기 위치추정서버로 상기 측정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위치추정서버가 상기 매핑영역에 상기 측정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 (d2) 상기 위치추정서버가 상기 매핑영역 중 어느 영역에 상기 측정정보가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d3) 상기 위치추정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한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무선 엑세스 포인트로부터 측정된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기반으로 위치추정서버가 매핑영역을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매핑영역에 매칭시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함에 따라 종래기술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방법으로 단말기의 실내위치를 추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방법에서 매핑영역 중 다수의 블록영역 각각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시스템(400)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무선 엑세스 포인트(200) 및 위치추정서버(3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예시적으로 스마트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최초 매핑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샘플링으로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있고, 매핑영역이 생성된 이후 실내영역에 진입한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이 소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00)가 있다.
상기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무선 엑세스 포인트(200)와 양방향 통신할 수 있다.
무선 엑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 WAP)(200)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와이파이를 이용한 관련 표준을 이용하여 무선 장치들을 유선 장치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유선망을 거치는 라우터에 연결되며 컴퓨터, 프린터와 같은 무선 장치와 네트워크 상의 유선 장치 간 데이터를 중계한다.
상기한 무선 엑세스 포인트(200)는 적어도 2개의 무선엑세스 포인트(210, 220)를 포함하나, 본 발명에서는 제1 무선 엑세스 포인트(210) 및 제2 무선 엑세스 포인트(220)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할 것이다.
제1 무선 엑세스 포인트(210) 및 제2 무선 엑세스 포인트(22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양방향으로 통신하고, 위치추정서버(300)와 양방향으로 통신함에 따라 정보를 공유한다.
또한, 제1 무선 엑세스 포인트(210) 및 제2 무선 엑세스 포인트(220)는 실내영역에서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에 따른 수신신호각도(AoA) 및 수신신호세기(RSS)를 측정한 후 수신신호각도(AoA: Angle Of Arrive) 및 수신신호세기(RSS: Received Signal Strength)를 기반으로 사전조사정보를 생성한다.
수신신호각도는 기기가 수신기 안테나 배열로부터 오는 정확한 방향을 기반으로 한다. 수신신호각도(AoA)를 사용하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동일한 장치 내에서 여러 개의 안테나가 사용된다. 이렇게 하면 안테나가 미터가 아닌 10-20 센티미터의 정확도로 태그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수신신호세기는 채널 파라미터들을 복합적으로 이용해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정하는데 사용된다.
이때, 사전조사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위치한 (x, y) 좌표에서 대응하는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위치추정서버(300)는 무선 엑세스 포인트(200)로부터 전송되는 사전조사정보를 기반으로 실내영역을 매핑하여 매핑영역을 생성하고, 실내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00)에 따른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측정한 측정정보를 매핑영역에 매칭시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정한다.
2.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방법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방법은 (a) 적어도 2개의 무선 엑세스 포인트(210, 220)가 실내영역에서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에 따른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사전조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00), (b) 위치추정서버가 사전조사정보를 기반으로 실내영역을 매핑하여 매핑영역(S)을 생성하는 단계(S200), (c) 적어도 2개의 무선 엑세스 포인트(210, 220)가 실내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00)에 따른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00) 및 (d) 위치추정서버(300)가 매핑영역(S)과 측정정보를 매칭시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방법으로 단말기의 실내위치를 추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a) 단계는, (a1) 사용자 단말기(100)가 실내영역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단계, (a2) 적어도 2개의 무선 엑세스 포인트(210, 220)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서로 다른 위치에 대한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a3) 적어도 2개의 무선 엑세스 포인트(210, 220)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서로 다른 위치에 대한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포함하는 사전조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a4) 적어도 2개의 무선 엑세스 포인트(210, 220)가 위치추정서버(300)로 사전조사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a) 단계에서는 실내영역에 대한 매핑영역(S)을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100)가 실내영역의 모든 영역을 순차적으로 위치하고 그에 따라 적어도 2개의 무선 엑세스 포인트(210, 220)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서로 다른 위치에 대한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측정하고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포함하는 사전조사정보를 생성한 후 위치추정서버(300)로 전송한다.
다음, 상기 (b) 단계는, (b1) 위치추정서버(300)가 사전조사정보를 기반으로 실내영역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 (b2) 위치추정서버(300)가 실내영역을 기설정된 크기로 블록화하는 단계 및 (b3) 위치추정서버(300)가 실내영역을 매핑하여 매핑영역(S)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3과 같이 위치추정서버(300)는 전체 실내영역에 대하여 매핑영역(S)을 생성하고, 매핑영역(S)을 블록화한 블록영역을 생성한다.
여기서, 블록영역은 예시적으로 도 3의 좌측 하단부터 좌측 상단까지 제1 블록영역(S1), 제2 블록영역(S2), 제3 블록영역(S3), 제4 블록영역(S4), 제5 블록영역(S5), 제6 블록영역(S6), 제6 블록영역(S6)으로 생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매핑영역(S) 전체를 블록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방법에서 매핑영역(S) 중 다수의 블록영역 각각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다음, 상기 (c) 단계는, (c1)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00)가 실내영역에 위치하는 단계, (c2) 적어도 2개의 무선 엑세스 포인트(210, 220)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c3) 적어도 2개의 무선 엑세스 포인트(210, 220)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한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4) 적어도 2개의 무선 엑세스 포인트(210, 220)가 위치추정서버(300)로 측정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단말기의 단말위치가 (x, y)좌표에 위치할 때,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는 (AoA1, AoA2, RSS1, RSS2)로 표현될 수 있다.
다음, 상기 (d) 단계는, (d1) 위치추정서버(300)가 매핑영역(S)에 측정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 (d2) 위치추정서버(300)가 매핑영역(S) 중 어느 영역에 측정정보가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d3) 위치추정서버(300)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한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00)가 하나의 블록영역 내에서 각각 A, B, C에 위치할 경우, 위치추정서버(300)가 하나의 블록영역에 위치하는 3개의 사용자 단말기(100)를 같은 위치에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때, A, B, C는 하나의 블록영역 내에서 3개의 사용자 단말기(100)가 서로 다른 좌표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00)가 각각 A, D에 위치할 경우, 위치추정서버(300)는 2개의 사용자 단말기(100)가 서로 다른 블록영역에 위치하므로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단말기
200: 무선 엑세스 포인트
210: 제1 무선 엑세스 포인트
220: 제2 무선 엑세스 포인트
300: 위치추정서버

Claims (5)

  1. (a) 적어도 2개의 무선 엑세스 포인트가 실내영역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사전조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위치추정서버가 상기 사전조사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실내영역을 매핑하여 매핑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적어도 2개의 무선 엑세스 포인트가 상기 실내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에 따른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위치추정서버가 상기 매핑영역과 상기 측정정보를 매칭시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엑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실내영역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단계;
    (a2) 상기 적어도 2개의 무선 엑세스 포인트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서로 다른 위치에 대한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a3) 상기 적어도 2개의 무선 엑세스 포인트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서로 다른 위치에 대한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포함하는 상기 사전조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a4) 상기 적어도 2개의 무선 엑세스 포인트가 상기 위치추정서버로 상기 사전조사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엑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위치추정서버가 상기 사전조사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실내영역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
    (b2) 상기 위치추정서버가 상기 실내영역을 기설정된 크기로 블록화하는 단계; 및
    (b3) 상기 위치추정서버가 상기 실내영역을 매핑하여 상기 매핑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엑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실내영역에 위치하는 단계;
    (c2) 상기 적어도 2개의 무선 엑세스 포인트가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c3) 상기 적어도 2개의 무선 엑세스 포인트가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포함하는 상기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4) 상기 적어도 2개의 무선 엑세스 포인트가 상기 위치추정서버로 상기 측정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엑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위치추정서버가 상기 매핑영역에 상기 측정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
    (d2) 상기 위치추정서버가 상기 매핑영역 중 어느 영역에 상기 측정정보가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d3) 상기 위치추정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한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엑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방법.
KR1020210001440A 2021-01-06 2021-01-06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방법 KR102519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440A KR102519152B1 (ko) 2021-01-06 2021-01-06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440A KR102519152B1 (ko) 2021-01-06 2021-01-06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327A KR20220099327A (ko) 2022-07-13
KR102519152B1 true KR102519152B1 (ko) 2023-04-06

Family

ID=82401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440A KR102519152B1 (ko) 2021-01-06 2021-01-06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1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510B1 (ko) 2016-04-15 2017-09-06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위치 측정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322B1 (ko) * 2006-12-08 2008-07-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내 무선 측위 장치 및 방법
KR20110116565A (ko) * 2010-04-19 2011-10-26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베이지안 알고리즘을 이용한 실내 측위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510B1 (ko) 2016-04-15 2017-09-06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위치 측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327A (ko) 202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623B1 (ko)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한 무선 통신 장치 기반 위치 확인 시스템 및 방법
CN106662453B (zh) 用于根据传感器和射频测量进行基于移动的实时定位的方法和设备
CN102803985B (zh) 定位电磁信号源
EP2009460B1 (en) Position estimation system
US200700492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osition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by grid-based pattern matching algorithm
KR101073318B1 (ko)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한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및 방법
CN101715639A (zh) 利用信标来测量射频识别读取器的位置的方法
US20160088440A1 (en) Mobile device sensor and radio frequency reporting techniques
JP2011523454A (ja) ポジションロケーション転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4081844A (zh) 用于使用移动设备方位来定位移动设备的方法和装置
KR101674993B1 (ko) 단말의 실내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 및 사용자 단말
JP2011214920A (ja) 位置推定装置、位置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05841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positioning method and system
CN107528906A (zh) 定位方法、终端、蓝牙节点、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2395198A (zh) 无线传感网络基于信号强度的节点定位方法及装置
US9720071B2 (en) Mitigating effects of multipath during position computation
US69964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 remote unit
US201601240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a two-dimensional position of a receiver
KR100524180B1 (ko) 기지국 위치정보와 이동전화로부터 수신된 전파특성정보및 기 측정된 전파특성정보를 이용한 이동전화 위치추정방법
KR101901407B1 (ko) 측위 장치 및 방법
US20170295463A1 (en) Method and device for estimating accuracy of a position determination
KR102519152B1 (ko) 수신신호각도 및 수신신호세기를 이용한 단말기의 실내위치 추정방법
JP2007533968A5 (ko)
KR101058098B1 (ko) 다른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그 위치정보의 신뢰도에 따라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말기 및 시스템 그리고 그 위치 측정 방법
KR101152384B1 (ko) 액세스 포인트 측위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