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055B1 - 탄산수 제조 장치,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탄산수 제조 장치,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055B1
KR102519055B1 KR1020150153848A KR20150153848A KR102519055B1 KR 102519055 B1 KR102519055 B1 KR 102519055B1 KR 1020150153848 A KR1020150153848 A KR 1020150153848A KR 20150153848 A KR20150153848 A KR 20150153848A KR 102519055 B1 KR102519055 B1 KR 102519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ated water
carbon dioxide
microphone
unit
us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2000A (ko
Inventor
김대성
류상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3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055B1/ko
Priority to US15/343,167 priority patent/US10456763B2/en
Publication of KR20170052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3/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by using a detector in a fluid
    • G01H3/10Amplitude; Power
    • G01H3/14Measuring mean amplitude; Measuring mean power; Measuring time integral of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 B01F23/2363Mixing 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Arrangements, e.g. comprising cont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4Mixing with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 B01F23/236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within small containers, e.g. within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 B01F23/236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for aerating or carbonating within receptacles or tanks, e.g. distribution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2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10Maintenance of mix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3Measuring of the properties of the mixtures, e.g. temperature, density or colou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3/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by using a detector in a flui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 B01F2101/14Mixing of ingredients for non-alcoholic beverages; Dissolving sugar i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2Carbon dioxide
    • B01F23/237621Carbon dioxide in bever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1/00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ans not provided for in group G01L7/00 or G01L9/00
    • G01L11/04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ans not provided for in group G01L7/00 or G01L9/00 by acous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1/00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ans not provided for in group G01L7/00 or G01L9/00
    • G01L11/04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ans not provided for in group G01L7/00 or G01L9/00 by acoustic means
    • G01L11/06Ultrasonic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개시된 일 실시예는 실린더에서 이산화탄소가 공급될 때 생성되는 사운드를 이용하여 실린더의 교체를 안내하는 탄산수 제조장치 및 냉장고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장치는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를 포함하고, 컨테이너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탄산수 제조부; 상기 탄산수 제조부에서 발생하는 사운드를 획득하도록 마련된 마이크; 상기 마이크에서 획득한 신호 중 미리 정해진 컷오프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통과시키는 필터; 탄산수 제조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탄산수 제조부가 동작하면, 상기 마이크를 구동시켜 상기 탄산수 제조부에서 발생하는 사운드를 획득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으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탄산수 제조 장치,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ated water,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탄산수를 제조 및 공급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와, 탄산수 제조 장치가 마련된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식품, 음료 등과 같은 저장물을 신선하게 장기간 보관하는 기기로, 저장물을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할 수 있는 저장실과, 기계실에 마련되고 압축-응축-팽창-증발의 냉동 사이클을 수행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냉장고는 냉동 사이클 중 증발 과정에서 열교환된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실 내의 온도를 냉동 또는 냉장 온도로 유지시킨다.
최근 냉장고는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다양해지고 많아진 저장물의 보관을 위해 용량이 확대되고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 향상을 위해 기능이 다양화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냉장고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장치와, 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외부에서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가 구비되기도 한다.
-등록특허공보 KR 10-2005453 B1(공개일: 2014년09월05일)
개시된 일 실시예는 실린더에서 이산화탄소가 공급될 때 생성되는 사운드를 이용하여 실린더의 교체를 안내하는 탄산수 제조장치 및 냉장고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장치는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를 포함하고, 컨테이너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탄산수 제조부; 상기 탄산수 제조부에서 발생하는 사운드를 획득하도록 마련된 마이크; 상기 마이크에서 획득한 신호 중 미리 정해진 컷오프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통과시키는 필터; 탄산수 제조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탄산수 제조부가 동작하면, 상기 마이크를 구동시켜 상기 탄산수 제조부에서 발생하는 사운드를 획득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으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를 통과한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고, 상기 탄산수 제조부에서 상기 컨테이너로 이산화탄소가 공급되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산수 제조부는 이산화탄소의 공급을 단속하는 단속부 및 상기 단속부의 작동상태를 검출하는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를 통과한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고, 상기 홀센서에서 상기 단속부의 동작이 검출되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탄산수 제조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마이크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산수 제조부는 상기 이산화탄소의 공급을 단속하는 단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속부가 동작하면 상기 마이크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는 2kHz의 컷오프 주파수를 갖는 하이패스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를 통과한 신호의 RMS(Root Mean Square)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RMS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으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는 서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마련된 제1마이크 및 제2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마이크 및 제2마이크에서 획득한 사운드 신호의 위상차를 제거한 후 합산하는 빔포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는 상기 빔포머에 의해 합산된 사운드 신호 중 미리 정해진 컷오프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를 포함하고, 컨테이너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탄산수 제조부; 상기 탄산수 제조부로부터 공급되는 이산화탄소를 토출하고 상기 컨테이너가 착탈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토출부를 포함하고, 도어에 마련되는 디스펜서; 상기 탄산수 제조부에서 발생하는 사운드를 획득하도록 마련된 마이크; 상기 마이크에서 획득한 신호 중 미리 정해진 컷오프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통과시키는 필터; 탄산수 제조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탄산수 제조부가 동작하면, 상기 마이크를 구동시켜 상기 탄산수 제조부에서 발생하는 사운드를 획득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으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를 통과한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고, 상기 탄산수 제조부에서 상기 컨테이너로 이산화탄소가 공급되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탄산수 제조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마이크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산수 제조부는 상기 이산화탄소의 공급을 단속하는 단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속부가 동작하면 상기 마이크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는 서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마련된 제1마이크 및 제2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마이크 및 제2마이크에서 획득한 사운드 신호의 위상차를 제거한 후 합산하는 빔포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는 상기 빔포머에 의해 합산된 사운드 신호 중 미리 정해진 컷오프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탄산수 제조부가 동작하면, 마이크를 구동시켜 상기 탄산수 제조부에서 발생하는 사운드를 획득하고; 필터에서 상기 획득된 사운드 신호 중 미리 정해진 컷오프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으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는 것은, 상기 필터를 통과한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고, 상기 탄산수 제조부에서 상기 컨테이너로 이산화탄소가 공급되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는 것은, 상기 필터를 통과한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고, 홀센서에서 단속부의 동작이 검출되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를 구동시켜 상기 탄산수 제조부에서 발생하는 사운드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탄산수 제조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마이크를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를 구동시켜 상기 탄산수 제조부에서 발생하는 사운드를 획득하는 것은, 단속부가 동작하면 상기 마이크를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는 것은, 상기 필터를 통과한 신호의 RMS(Root Mean Square)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RMS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으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나타내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는 서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마련된 제1마이크 및 제2마이크를 포함하고, 빔포머에서 상기 제1마이크 및 제2마이크에서 획득한 사운드 신호의 위상차를 제거한 후 합산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터에서 상기 획득된 사운드 신호 중 미리 정해진 컷오프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분리하는 것은, 상기 필터에서 상기 빔포머에 의해 합산된 사운드 신호 중 미리 정해진 컷오프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장치 및 냉장고는 탄산수의 교체시기를 알려주므로 사용자는 탄산수 교체시기를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예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 마련된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펜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펜서에 체결된 컨테이너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펜서의 탄산수 제조 장치와 컨테이너의 체결 구조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 마련된 디스펜서 내 탄산수 제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예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구조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운드 획득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운드 획득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운드 획득부가 획득한 사운드 신호의 빔포밍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저장실(110) 및 기계실(120)이 마련된 본체(100)와, 물, 얼음 및 탄산수 제조를 위한 이산화 탄소와 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서(20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의 저장실(110)은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으로, 이 수용 공간에는 중간 격벽(113)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중간 격벽(114)에 의해 본체(100) 내의 수용 공간이 좌우로 구획된다.
즉 저장실(110)은 중간 격벽(113)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 냉동실(111)과 냉장실(112)을 포함한다.
여기서 냉동실(111)은 대략 영하 18.5 ℃ 의 온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동 보관할 수 있고, 냉장실(112)은 대략 영상 3 ℃ 의 온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장 보관할 수 있다.
냉동실(111)과 냉장실(112) 내부에는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선반들과 보관상자들이 장착되어 있다.
저장실(110)은 얼음을 만드는 제빙실(114)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제빙실(114)은 냉동실(111)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제빙실(114)은 냉장실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기계실(120)에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 상태로 토출하는 압축기(미도시)와, 이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냉매를 방열을 통하여 응축하는 응축기(미도시)와, 응축기를 냉각시키는 응축용 팬(미도시)이 배치되어 있다.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덕트(1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덕트 내에는 응축기(미도시)로부터 제공받은 냉매를 증발시키면서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는 냉각 작용에 의하여 주변의 공기 냉각시키는 증발기(미도시)와, 증발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이송시키는 증발용 팬(미도시)이 배치되어 있다.
즉, 증발기는 저장실(110: 111, 112)을 저온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증발기는 냉동실(111)에 대응하는 덕트와, 냉장실(112)에 대응하는 덕트와, 제빙실(114)에 대응하는 덕트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증발기는 냉동실에 대응하는 덕트에만 위치할 수도 있다.
본체(100)는 저장실의 벽면에 마련된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한다.
이 복수 개의 홀은 덕트(121)와 저장실(110) 내의 공기가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통로이다. 즉 공기는 복수 개의 홀을 통해 덕트(121)와 저장실(110) 사이를 이동한다.
냉장고(1)는 냉동실(111)과 냉장실(112)의 전면의 개구에 각각 마련되어 냉동실(111)과 냉장실(112)을 각각 개폐하는 도어(130: 131, 132)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도어(130: 131, 132)는 냉동실(111)과 냉장실(112)을 외부와 차폐시킨다. 각 도어(130: 131, 132)의 내면에는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다수의 도어 선반들이 장착되어 있다.
냉장고(1)는 사용자가 도어를 열지 않고도 물이나 얼음을 공급하고, 또한 탄산수 제조를 위한 물과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디스펜서(20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펜서(200)는 냉동실의 도어(131)에 마련될 수 있고, 또는 냉장실의 도어(132)에 마련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1 및 도 2의 실시 예와 달리, 냉장고는 중간 격벽에 의해 본체 내부의 수용공간이 상하로 구획될 수도 있다.
이러한 냉장고는 저장실의 상측 공간인 냉장실과, 저장실의 하측 공간인 냉동실을 포함하고,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용 도어와,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용 도어를 더 포함한다.
냉장실용 도어는 회전 가능하고 양문형으로 마련될 수 있고, 냉동실용 도어는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서랍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냉장실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실이 마련될 수 있고, 또한 외부의 급수원에서 공급받은 물을 저장하는 탱크가 마련될 수 있다. 이 탱크의 물은 정수 필터에 의해 정수된 물일 수 있다.
이러한 냉장고는 한 쌍의 냉장실용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냉장실용 도어에 마련되고 사용자가 도어를 열지 않고도 탱크의 물이나 제빙실의 얼음, 탄산수 제조를 위한 물과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디스펜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도어를 가진 냉장고 뿐만 아니라 프렌치 도어형 냉장고에도 디스펜서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장고에 마련된 디스펜서(200)는, 탄산수 제조를 위한 물 및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200a)를 포함하고, 탄산수 이외에도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부(260) 및 얼음을 공급받아 토출하는 얼음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디스펜서(200)를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 마련된 디스펜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펜서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펜서에 체결된 컨테이너의 예시도이다.
디스펜서(200)는 냉동실용 도어(131)의 수용 홈에 배치되는 하우징(210)과, 얼음 또는 물 토출 시 토출부(212)에 마련된 개폐부재를 개폐시키는 레버(220)를 포함하고, 탄산수 제조, 물 및 얼음 토출 정보를 입력받고 탄산수 제조 정보와, 물 또는 얼음 토출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를 더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은 전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대상물을 제공받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부(211)와, 함몰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대상물을 토출하는 토출부(212)를 포함한다.
토출부(212)는 탄산수 제조를 위한 물과 이산화탄소를 토출하는 제1토출구(212a)와, 물 또는 얼음을 토출하는 제2토출구(212b)를 포함한다.
제1토출구(212a)에는 탄산수 제조를 위한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관과, 이산화탄소를 주입하기 위한 노즐이 배치되고, 제2토출구(212b)에는 정수를 토출하기 위한 제2급수관과, 얼음을 토출하기 위한 얼음 공급관(213a)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디스펜서(200)는 정수를 토출하기 위한 제2급수관과, 얼음을 토출하기 위한 얼음 공급관(213a)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디스펜서(200)는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관과, 이산화탄소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을 갖는 탄산수 제조 장치(200a)를 더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디스펜서(200)의 하우징(2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디스펜서의 하우징(210)은 이산화탄소 실린더(251)를 수용하는 수용부(214)와, 이 수용부(214)를 개폐하는 커버(215)를 더 포함한다.
디스펜서의 제1토출구(212a)에는 탄산수 제조를 위한 물과 이산화탄소를 공급받는 컨테이너(2)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다. 즉 컨테이너(2)는 제1토출구(212a)를 통해 디스펜서(200)의 탄산수 제조 장치(200a)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테이너(2)는 탄산수 제조 장치(200a)에 체결된 후 물과 이산화탄소를 공급받고, 이때 물에 이산화탄소가 용해됨으로써 탄산수가 즉석에서 제조될 수 있다.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컨테이너(2)를 이용하여 탄산수를 제조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200a)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펜서의 탄산수 제조 장치와 컨테이너의 체결 구조도이고, 도 7은 일 실시 예의 탄산수 제조 장치(200a)의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컨테이너(2)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체결부(240)는 디스펜서의 제1토출구(121a)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부(240)는 컨테이너(2)의 입구부(2a)가 삽입되는 삽입 홈(240a)이 형성되고 컨테이너(2)의 돌기(2a)가 안착되는 안착 홈(240b)을 가지는 바디(241)와, 바디(241)의 삽입 홈에 배치되고 컨테이너(2) 삽입 시 컨테이너(2)의 입구부(2a)가 밀착되며 컨테이너(2) 내부의 물 및 이산화탄소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부재(242)와, 바디(241)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산화 탄소를 분사하는 노즐(243)을 포함한다.
패킹부재(242)는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한다. 패킹부재(242)의 복수 개의 홀 중 어느 하나의 홀에는 노즐(243)이 관통 배치된다. 즉, 노즐(243)은 컨테이너(2) 내부로 왕복 이동한다.
체결부(240)의 바디(241)에는 제1급수관(244)과 압력 조절관(245)이 배치될 수 있고, 이 제1급수관(244)과 압력 조절관(245) 역시 패킹부재(243)의 홀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급수관(244)과 압력 조절관(245)은 패킹부재(242)의 홀을 관통하여 배치됨으로써 외부와 밀폐된 컨테이너(2)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240)의 바디(241)에는 컨테이너(2)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246)와, 컨테이너(2)의 체결 여부를 검출하는 체결 검출부(247)가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수위 검출부(246)는 컨테이너 내부의 물의 오버플로우(Overflow)를 검출하는 수분 검출부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 검출부(247)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탄산수 제조 장치(200a)의 구성을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탄산수 제조 장치에 연결된 정수부(260)의 구성도 함께 설명한다.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고 탄산수 제조 시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토출하는 실린더(251)와, 실린더(251)의 출구와 노즐(243) 사이에 배치되어 실린더(251)에서 노즐(243)로 이동하는 이산화 탄소의 흐름을 단속하는 단속부(252)와, 단속부(252)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회전각 검출부(253)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속부(252)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회전각 검출부(253)는 모터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탄산수 제조 장치(200a)는 제1급수관(244)에 마련되고 외부의 탱크에서 컨테이너(2)로 공급되는 정수의 양을 조절하는 제1조절부(254)와, 압력 조절관(245)에 마련되고 컨테이너(2)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2조절부(25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조절부(254)는 제1밸브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조절부(255)는 제2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밸브는 DC 밸브(DC valve)일 수 있고, 제2밸브는 벤트 밸브(Vent valve)일 수 있다.
정수부(260)는 수도와 같은 외부의 급수원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정수 필터(261)를 통해 정수된 정수를 저장하는 탱크(262)와, 탱크(262)에 연결되어 탱크(262)에 저장된 정수를 공급하거나 공급을 차단하는 제3조절부(263)와, 제3조절부(263)에서 공급되는 정수의 양을 검출하는 유량 검출부(264)와, 제3조절부(263)를 통해 제2급수관(213b)으로 공급되는 정수의 양을 조절하는 제4조절부(265)를 포함한다.
정수부(260)는 제빙실의 제빙 장치(267)로 탱크(261)의 정수를 공급하는 제5조절부(2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조절부(263)와 제5조절부(266)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제4조절부(265)는 DC 밸브를 포함한다. 아울러 급수원의 물을 정수하지 않고 제2급수관(213b) 및 제빙 장치(267)로 직접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3조절부(263)와 제5조절부(266)는 급수원의 강한 수압을 차단하고 제2급수관(213b) 및 제빙 장치(267)로의 물의 공급을 조절한다.
제빙 장치(267)는 제빙실(114)에 위치하고 정수를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와,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보관부를 포함한다. 보관부는 디스펜서의 얼음공급부의 얼음공급관(213a)과 연결되고 얼음 토출 명령에 대응하여 보관된 얼음을 얼음공급부의 얼음 공급관(213a)으로 배출한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럭도이다.
냉장고는 디스펜서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 복수의 검출부, 사운드 획득부(248), 제어부(270) 및 저장부(271)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냉장고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231)와, 냉장고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232)를 포함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를 도 9,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의 입력부(231)와 출력부(232)는 일체로 구현 가능하다.
입력부(231)는 복수의 버튼 또는 터치 패널로 구현 가능하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232)는 텍스트가 프린팅된 디스플레이 필름(230a)과, 텍스트 및 아이콘(b1)이 새겨진 인레이 필름(230b)과, 인레이 필름의 텍스트 및 아이콘으로 빛을 제공하는 램프(230c)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램프(230c)의 빛이 인레이 필름의 텍스트 및 아이콘을 통해 외부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냉장고의 동작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입력부(231)가 복수 버튼(미도시)으로 이루어진 경우, 복수 버튼은 인레이 필름(230b)의 텍스트 및 아이콘(b1)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탄산수 제조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탄산수 제조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제1입출력부(233)와, 정수 또는 얼음의 토출 명령을 입력받고 정수 또는 얼음의 토출 정보를 표시하는 제2입출력부(234)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입출력부(233)는 사용자로부터 탄산수 제조 명령 및 정지 명령을 입력받고 탄산수 제조 여부를 표시하는 제1탄산수 정보 영역(233a)과, 사용자로부터 탄산수의 농도를 입력받고 입력된 탄산수의 농도를 표시하는 제2탄산수 정보 영역(233b)과, 사용자로부터 탄산의 추가 명령을 입력받고 탄산의 추가 여부를 표시하는 제3탄산수 정보 영역(233c)을 포함한다.
제2탄산수 정보 영역(233b)은 탄산수의 농도를 숫자로 표시하는 세븐 세그먼트(Seven Seg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입출력부(234)는 정수 토출 명령을 입력받고 정수 토출 정보를 표시하는 제1토출 정보 영역(234a)과, 얼음 토출 명령을 입력받고 얼음 토출 정보를 표시하는 제2토출 정보 영역(234b)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냉동실과 냉장실의 목표 온도를 입력받고 입력된 냉동실과 냉장실의 목표 온도를 표시하는 제3입출력부(235)를 더 포함한다.
제3입출력부(235)는 냉동실과 냉장실의 목표 온도를 표시하는 복수의 세븐 세그먼트(Seven Seg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경보 출력부(236)를 포함한다.
경보 출력부(236)는 탄산수 제조 시 컨테이너(2)의 물 넘침을 알리는 물 넘침 경보 표시부(236a)를 포함한다. 또한, 경보 출력부(236)는 실린더 교체를 알리는 실린더 교체 표시부(236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영하 30℃ 이하를 목표 온도로 하는 특수 냉동과, 제균/탈취 등과 같은 기능을 입력받고 입력된 기능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입력부(231)는 터치 패널로 구현 가능하고, 출력부(232)는 LCD, PDP, OLED 등의 평판 표시 패널로 구현 가능하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터치 패널과 평판 표시 패널이 일체로 형성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 가능하다.
복수의 검출부는 정수 또는 물 토출을 지시하는 레버(220)의 가압 조작 여부를 검출하는 레버 조작 검출부(221)와, 컨테이너(2) 내에 공급된 물의 레벨을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246)와, 탄산수 제조 장치의 체결부(240)에 컨테이너(2)가 체결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체결 검출부(247)와, 실린더(251)의 이산화탄소의 토출을 단속하는 단속부(252)의 동작 정보를 검출하는 회전각 검출부(253)와, 탱크에서 공급되는 정수의 양을 검출하는 유량 검출부(264)를 포함한다.
사운드 획득부(248)는 실린더에서 이산화 탄소가 노즐(243)을 통해 공급될 때 생성되는 사운드를 획득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여기서 각 검출부(221, 246, 247, 253, 264)와 사운드 획득부(248)는 검출된 신호를 제어부(270)에 전송한다.
제어부(270)는 복수의 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 사운드 획득부(248)에서 획득한 사운드 신호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입력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펜서(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디스펜서(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제1조절부(254), 제2조절부(255), 제3조절부(263), 제4조절부(265) 및 제5 조절부(266)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단속부(252)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탱크(262)에 저장된 현재의 정수의 양을 확인하고 확인된 현재의 정수의 양이 일정 양 이하이면 급수원의 급수를 제어하고 급수원의 물의 필터링을 제어하며 필터링된 정수가 탱크(262)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탱크(262) 내의 부족한 양만큼의 물을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받아 필터링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부족한 정수의 양은, 탱크(262)에 저장 가능한 최대 정수의 양과 현재 정수의 양의 차이로부터 알 수 있다.
아울러 현재 정수의 양은 탱크(262)에 마련된 수위 검출부(미도시)의 검출된 신호에 기초하여 알 수 있다.
제어부(270)는 체결 검출부(247)의 검출 신호를 확인하여 체결부(240)에 컨테이너(2)가 체결되었는지 판단하고 체결부(240)에 컨테이너(2)가 체결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입출력부(233)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제1입출력부(233)의 활성화 제어 시 제1입출력부(233)에 마련된 램프(230c)를 온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제1입출력부(233)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1탄산수 정보 영역(233a)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고 제1탄산수 정보 영역(233a)이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탱크(262)에 저장된 정수가 컨테이너(2)에 공급되도록 제1조절부(254)와 제3조절부(256)의 개방을 제어한다.
제1탄산수 정보 영역(233a)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제1입출력부에 탄산수 제조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270)는 정수 공급 시 유량 검출부(264)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컨테이너(2)에 공급된 정수의 양을 확인하고 확인된 정수의 양과 제1기준량을 비교하고 확인된 정수의 양이 제1기준량이면 정수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1조절부(254)와 제3조절부(256)의 폐쇄를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정수 공급 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정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정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제1조절부(254)와 제3조절부(256)의 폐쇄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어부(270)는 정수 공급에 따라 컨테이너(2)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수를 공급하기 전에 제2조절부(255)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컨테이너(2)에 삽입된 압력 조절관(243)의 통로가 개방되도록 한다.
즉, 제어부(270)는 탄산수 제조 명령이 입력되면 제2조절부(255)를 개방한 시점부터 제1시간이 경과하면 제1조절부(254)와 제3조절부(256)의 개방을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정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컨테이너(2) 내부의 정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인지 판단하고 컨테이너(2) 내부의 정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탄산수 제조를 중지 제어한다.
컨테이너(2) 내부의 정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인지 판단하는 것은, 유량 검출부에 의해 컨테이너에 일정 수위 미만의 정수가 공급되나, 정수 공급 전 컨테이너에 미리 담긴 물에 의해 컨테이너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270)는 제1입출력부(233)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경보 출력부(236)의 물 넘침 경보 표시부(236a)에 배치된 램프의 동작을 제어하여 물 넘침 아이콘이 조명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컨테이너(2)의 물 넘침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유량 검출부(264)의 검출 신호와 수위 검출부(246)의 검출 신호를 기초하여 컨테이너(2)의 정수를 정량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제어부(270)는 정수의 공급이 완료된 상태에서 컨테이너(2) 내부의 정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실린더(251) 내의 이산화탄소가 토출되도록 단속부(252)의 동작을 제어하되 회전각 검출부(253)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단속부(252)의 회전각을 제어한다. 여기서 단속부(252)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회전각 검출부(253)는 모터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린더(251)는 미리 정해진 양의 이산화탄소를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70)는 급수 완료 시점부터 제2시간이 경과하면 단속부(252)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이산화탄소의 토출이 완료된 시점부터 제3시간이 경과하면 컨테이너(2)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2조절부(255)를 개방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탄산수 제조가 완료되면 탄산수 제조 완료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70)는 탄산수 제조 중 제1탄산수 정보 영역(233a)이 재 선택되었는지 판단하고 제1탄산수 정보 영역(233a)이 재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탄산수 제조를 중지 제어한다.
여기서 제1탄산수 정보 영역(233a)이 재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탄산수 제조 중지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270)는 탄산수 제조 전에 설정된 탄산수의 농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농도에 대응하는 횟수만큼 이산화탄소의 분사를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이산화탄소 분사 전에 노즐이 컨테이너 내의 물에 침지되도록 노즐을 하측으로 이동 제어하고, 이산화탄소의 분사가 완료되면 노즐을 상측으로 이동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270)는 이산화 탄소 분사 시마다 제2조절부의 개방을 제어하여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이 감압되도록 한다.
제어부(270)는 탄산수 제조가 완료되면 제3탄산수 정보 영역(233c)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고 제3탄산수 정보 영역(233c)이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단속부(252)의 동작을 제어하여 컨테이너(2)에 이산화탄소를 추가 분사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3탄산수 정보 영역(233c)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탄산의 추가 분사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270)는 이산화 탄소 분사 시에 컨테이너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의 비활성화를 제어한다.
이를 통해 이산화탄소 분사에 의해 컨테이너 내부의 물이 출렁임으로 인해 컨테이너 내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으로 검출되어 탄산수 제조가 중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제3탄산수 정보 영역(233c)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재 선택되었는지 판단하고 제3탄산수 정보 영역(233c)이 재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탄산의 추가 명령이 취소되었다고 판단하여 이산화탄소의 분사를 중지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70)는 체결 검출부(247)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컨테이너(2)가 체결부(240)로부터 분리되었는지 판단하고 컨테이너(2)가 체결부(240)로부터 분리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입출력부(233)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270)는 제1입출력부(233)에 마련된 램프를 오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탄산수의 농도로 탄산수를 제조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탄산수의 농도를 추가적으로 높인 탄산수를 제조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의 탄산수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바로 탄산수를 제조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탄산수를 제조할 때마다 탄산수의 질을 유지시킬 수 있다.
제어부(270)는 체결부(240)에 컨테이너(2)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입출력부(234)의 제1토출 정보 영역(234a)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고, 제1토출 정보 영역(234a)이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토출 정보 영역(234a)의 램프를 온 제어한다.
여기서 제1토출 정보 영역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정수 토출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270)는 제1토출 정보 영역(234a)이 선택된 상태에서 레버 조작 검출부(221)에서 조작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레버의 조작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제3조절부(263) 및 제4조절부(265)의 개방을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정수 토출 중 유량 검출부(264)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공급된 정수의 양을 확인하고 확인된 정수의 양과 제2기준량을 비교하고 확인된 정수의 양이 제2기준량이면 정수의 토출이 정지되도록 제3조절부(263) 및 제4조절부(265)의 폐쇄를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27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3조절부(263) 및 제4조절부(265)의 개방을 제어하여 정수를 토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70)는 정수 토출이 완료되면 제1토출 정보 영역(234a)의 램프를 오프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체결부(240)에 컨테이너(2)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입출력부(234)의 제2토출 정보 영역(234b)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고, 제2토출 정보 영역(234b)이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제2토출 정보 영역(234b)의 램프를 온 제어한다.
여기서 제2토출 정보 영역(234b)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얼음 토출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270)는 제2토출 정보 영역(234b)이 선택된 상태에서 레버 조작 검출부(221)에서 조작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레버의 조작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얼음 공급관에 배치된 개폐 부재(미도시)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개방 제어하여 얼음 공급관을 통해 제2토출구로 얼음이 토출되도록 한다.
제어부(270)는 얼음 토출이 완료되면 제2토출 정보 영역(234b)의 램프를 오프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제빙장치의 보관부의 얼음이 일정량 이하라고 판단되면 제5조절부(266)를 개방 제어하여 탱크(262)에 저장된 정수가 제빙장치의 제빙부에 공급되도록 한다.
저장부(271)는 탄산수 제조를 위한 정수의 제1기준 량과, 정수 토출을 위한 제2기준량과, 컨테이너의 물 넘침을 판단하기 위한 일정 수위와, 탄산수 제조 명령이 입력된 시점부터 급수 시작 전까지의 제1시간과, 급수 완료 시점부터 이산화 탄소 분사 시작 전까지의 제2시간과, 이산화 탄소 분사 완료 시점부터 컨테이너의 압력 조절 전까지의 제3시간을 저장한다.
여기서 제1시간은 급수 전에 컨테이너(2)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급수 전에 제2조절부(255)인 제2밸브를 미리 개방하기 위한 시간이고, 제3시간은 컨테이너(2) 내부의 압력을 감압하기 위해 이산화탄소 분사 완료 시점부터 제2조절부(255)인 제2밸브를 개방하기 전까지 시간이다.
저장부(271)는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대응하는 이산화탄소의 분사 정보와 추가에 대응하는 이산화탄소의 분사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분사 정보는 이산화탄소가 분사되는 분사 조건을 포함한다.
즉 저장부(271)는 탄산수 농도에 대응하는 이산화탄소의 분사 횟수를 저장하고 이산화 탄소 추가 명령에 대응하는 이산화탄소의 분사 횟수를 저장한다.
여기서 제어부(270)는 프로세서, CPU, MCU 등일 수 있고, 저장부(271)는 기록 및 판독이 가능한 RAM(random access memory)과, 판독이 가능한 ROM(read only memory) 등의 메모리일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전술한 것처럼, 실린더(251)에서 이산화탄소가 노즐(243)을 통해 컨테이너로 공급될 때 생성되는 사운드를 획득하도록 마련된 사운드 획득부(248)를 포함한다. 실린더(251)에 이산화탄소가 충분한 경우와 부족한 경우에 실린더(251)에서 이산화탄소의 분사 시 발생하는 사운드가 다르므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이러한 사운드의 차이를 이용하여 실린더(251)의 교체시기를 판단한다. 실린더(251)의 교체시기라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린더 교체 표시부(236b)에 마련된 램프를 온 시킴으로써, 실린더(251)의 교체시기임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하, 사운드 획득부(248)를 이용하여 실린더(251)의 교체시기를 판단하고, 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방법에 대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운드 획득부(248)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획득부(248)는 실린더(251)에 발생하는 사운드를 획득하도록 마련된 하나의 마이크(M)와, 마이크(M)에서 획득한 사운드 신호를 필터링하는 하이패스 필터(F)를 포함한다.
제어부(270)는 실린더(251)의 이산화탄소가 노즐(243)을 통해 공급될 때 발생하는 사운드를 마이크(M)에서 획득할 수 있도록, 이산화탄소가 공급되는 시점에 마이크(M)를 턴온시킨다. 마이크(M)는 이산화탄소의 공급에 의해 발생하는 사운드 뿐만 아니라, 주변의 소음도 획득한다. 청소기, 세탁기, 헤어 드라이기 등의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소음, 자동차 소리 등 외부소음, 설거지나 요리를 할 때 주방에서 발생하는 소음 등 다양한 소음이 마이크(M)에서 획득될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주변의 소음을 최대한 배제하고, 실린더(251)에서 이산화탄소가 공급될 때 발생하는 사운드가 주로 획득될 수 있도록, 평상 시에는 마이크(M)를 동작시키지 않고, 실린더(251)에서 이산화탄소가 공급되는 시점에 마이크(M)를 턴온시켜, 시간적으로 주변의 소음을 필터링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탄산수 제조명령이 입력되면, 탄산수 제조명령에 연동하여 마이크(M)를 턴온시킬 수 있다. 또는, 이산화탄소가 분사되는 시기와 보다 근접한 시기에 마이크(M)가 동작할 수 있도록, 단속부(252)가 동작하는 시점에 마이크(M)를 턴온시킬 수도 있다. 단속부(252)는 실린더(251)에서 노즐(243)로 이동하는 이산화탄소의 흐름을 단속하므로, 단속부(252)의 동작시점에 연동하여 마이크(M)를 동작시키는 것이 주변의 소음을 시간적으로 필터링하고자 하는 목적에 보다 부합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전술한 것처럼 단속부(252)의 동작시점에 연동하여 마이크(M)를 턴온시키고, 대략 1초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면 마이크(M)를 턴오프시킨다. 전술한 1초는 일 예일 뿐, 마이크(M)가 동작하는 시간은 주변의 소음을 시간적으로 필터링하기에 적절한 시간으로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단속부(252)의 동작 시점에 연동하여 마이크(M)가 구동되더라도, 그 시점에 발생한 소음은 마이크(M)에서 획득될 수 밖에 없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획득부(248)는. 마이크(M)에서 획득한 사운드 신호로부터 주변의 소음이 나타내는 노이즈를 제거하고 이산화탄소가 노즐(243)을 통해 분사될 때 발생하는 사운드를 분리해내기 위해, 필터(F)를 포함한다. 필터(F)는 2kHz의 컷오프(cutoff) 주파수를 갖는 34차 FIR(Finite Impulse Response)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2~4kHz 대역의 주파수를 통과시키는 밴드패스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가 노즐(243)을 통해 분사될 때 생성되는 사운드는 2~4kHz 대역이 강조되는 반면, 일상생활에서 2kHz 이상 또는 2~4kHz 대역이 강조되는 소음은 흔하지 않기 때문에, 전술한 필터(F)를 사용한다.
제어부(270)는 필터(F)를 통과한 신호의 RMS(Root Mean Square)값을 산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이산화탄소의 부족 여부를 결정한다. 하기의 표 1은 사운드의 종류에 따른 RMS값을 나타낸다.
소리종류 CO2 정상 CO2 부족 세탁기동작 청소기동작 바람소리 차량소리
RMS [dB] 38.6 11.7 12.6 23.5 12.8 20.4
CO2 량이 정상일 때 산출된 RMS 값이 CO2 부족 상황 및 주변 소음 대비 12 dB 이상 크기 때문에 실린더(251)에서 노즐(243)을 통해 이산화탄소가 분사될 때 생성되는 소리를 감지하여 이산화탄소의 부족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270)는 필터(F)를 통과한 신호의 RMS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c)과 비교하여, 산출된 RMS값이 상기 기준값보다 작으면 실린더(251)에 이산화탄소가 부족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준값은 이산화탄소가 정상일 때의 RMS값을 기준으로 이산화탄소가 부족할 때의 RMS값을 고려하여, 이산화탄소가 정상일 때의 RMS값에 일정한 마진을 두고 설정되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상기 RMS값과 기준값의 비교를 통해 이산화탄소가 부족하다고 결정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실린더 교체 표시부(236b)에 마련된 램프를 온 시킴으로써, 실린더(251)의 교체시기임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처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전술한 것처럼, 마이크(M)의 턴온시점의 제어를 통해 시간적으로 주변 소음을 필터링하고, 필터(F)를 통해 한번 더 소음을 필터링함으로써, 실린더(251)에서 이산화탄소가 노즐(243)을 통해 분사될 때 생성되는 사운드를 보다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실린더(251)의 교체시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단속부(252)가 작동하면(500), 회전각 검출부(253)는 단속부(252)의 회전각을 검출하고(510), 회전각 검출부(253)에서 단속부(252)의 동작이 검출되면, 탄산수가 제조된다(520). 탄산수의 제조과정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제어부(270)는 단속부(252)가 작동하면 마이크(M)를 작동시키고(530), 마이크(M)에서 사운드가 검출되면, 하이패스 필터(F)는 마이크(M)에서 획득한 사운드를 필터링한다(540). 제어부(270)는 필터(F)를 통과한 신호의 RMS값을 산출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고(550), 상기 RMS값이 상기 기준값보다 작고 회전각 검출부(253)에서 단속부(252)의 동작이 검출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실린더(251) 교체 메시지를 표시한다(560).
제어부(270)는 실린더(251)의 이산화탄소가 노즐(243)을 통해 공급될 때 발생하는 사운드를 마이크(M)에서 획득할 수 있도록, 이산화탄소가 공급되는 시점에 마이크(M)를 턴온시킨다. 마이크(M)는 이산화탄소의 공급에 의해 발생하는 사운드 뿐만 아니라, 주변의 소음도 획득한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주변의 소음을 최대한 배제하고, 실린더(251)에서 이산화탄소가 공급될 때 발생하는 사운드가 주로 획득될 수 있도록, 평상 시에는 마이크(M)를 동작시키지 않고, 실린더(251)에서 이산화탄소가 공급되는 시점에 마이크(M)를 턴온시켜, 시간적으로 주변의 소음을 필터링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70)는 이산화탄소가 분사되는 시기와 보다 근접한 시기에 마이크(M)가 동작할 수 있도록, 단속부(252)가 동작하는 시점에 마이크(M)를 턴온시킬 수 있다. 단속부(252)는 실린더(251)에서 노즐(243)로 이동하는 이산화탄소의 흐름을 단속하므로, 단속부(252)의 동작시점에 연동하여 마이크(M)를 동작시키는 것이 주변의 소음을 시간적으로 필터링하고자 하는 목적에 보다 부합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전술한 것처럼 단속부(252)의 동작시점에 연동하여 마이크(M)를 턴온시키고, 대략 1초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면 마이크(M)를 턴오프시킨다. 전술한 1초는 일 예일 뿐, 마이크(M)가 동작하는 시간은 주변의 소음을 시간적으로 필터링하기에 적절한 시간으로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단속부(252)의 동작 시점에 연동하여 마이크(M)가 구동되더라도, 그 시점에 발생한 소음은 마이크(M)에서 획득될 수 밖에 없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획득부(248)는. 마이크(M)에서 획득한 사운드 신호로부터 주변의 소음이 나타내는 노이즈를 제거하고 이산화탄소가 노즐(243)을 통해 분사될 때 발생하는 사운드를 분리해내기 위해, 필터(F)를 포함한다. 필터(F)는 2kHz의 컷오프(cutoff) 주파수를 갖는 34차 FIR(Finite Impulse Response)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2~4kHz 대역의 주파수를 통과시키는 밴드패스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가 노즐(243)을 통해 분사될 때 생성되는 사운드는 2~4kHz 대역이 강조되는 반면, 일상생활에서 2kHz 이상 또는 2~4kHz 대역이 강조되는 소음은 흔하지 않기 때문에, 전술한 필터(F)를 사용한다.
제어부(270)는 필터(F)를 통과한 신호의 RMS(Root Mean Square)값을 산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이산화탄소의 부족 여부를 결정한다. 즉, 제어부(270)는 필터(F)를 통과한 신호의 RMS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c)과 비교하여, 산출된 RMS값이 상기 기준값보다 작으면 실린더(251)에 이산화탄소가 부족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상기 RMS값과 기준값의 비교를 통해 이산화탄소가 부족하다고 결정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실린더 교체 표시부(236b)에 마련된 램프를 온 시킴으로써, 실린더(251)의 교체시기임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운드 획득부(248)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운드 획득부(248)가 획득한 사운드 신호의 빔포밍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획득부(248)는 실린더(251)에 발생하는 사운드를 획득하도록 마련된 제1마이크(M1) 및 제2마이크(M2)와, 제1마이크(M1) 및 제2마이크(M2)에서 획득한 사운드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하는 빔포머(B)와, 빔포머(B)에서 빔포밍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하이패스 필터(F)를 포함한다.
제어부(270)는 실린더(251)의 이산화탄소가 노즐(243)을 통해 공급될 때 발생하는 사운드를 마이크에서 획득할 수 있도록, 이산화탄소가 공급되는 시점에 마이크를 턴온시킨다. 마이크는 이산화탄소의 공급에 의해 발생하는 사운드 뿐만 아니라, 주변의 소음도 획득한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주변의 소음을 최대한 배제하고, 실린더(251)에서 이산화탄소가 공급될 때 발생하는 사운드가 주로 획득될 수 있도록, 평상 시에는 마이크를 동작시키지 않고, 실린더(251)에서 이산화탄소가 공급되는 시점에 마이크를 턴온시켜, 시간적으로 주변의 소음을 필터링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획득부(248)는 제1마이크(M1) 및 제2마이크(M2) 즉, 2개의 마이크를 포함하여, 실린더(251)에서 이산화탄소가 노즐(243)을 통해 분사될 때 생성되는 사운드를 증폭시킬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노즐(243)이 동작하면서 발생하는 사운드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마이크(M1) 및 제2마이크(M2)에서 각각 획득된다. 이때 노즐(243)에서 발생하는 사운드가 제1마이크(M1)와 제2마이크(M2)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차이가 발생하고, 이는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제1마이크(M1)와 제2마이크(M2)에서 획득한 신호의 위상차로 나타난다.
이 때 발생하는 위상차(τ1)는 제1마이크(M1)의 배치간격(d)과 사운드의 진행각도(θ)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하기의 수학식 1은 전술한 위상차를 나타낸다.
<수학식 1>
τ1=dㅇcosθㅇfs/c
상기 수학식 1에서, fs는 빔포머(B)의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이고, c는 사운드의 속도를 나타낸다.
빔포머(B)는 제1마이크(M1)와 제2마이크(M2)의 배치간격과 사운드의 진행각도를 상기 수학식 1에 적용하여, 제1마이크(M1)에서 획득한 사운드 신호 및 제2마이크(M2)에서 획득한 사운드 신호의 위상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상차를 이용하여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제2마이크(M2)에서 획득한 사운드 신호를 산출된 위상차이만큼 딜레이시킨 후 제1마이크(M1)에서 획득한 사운드 신호와 합산하는 빔포밍을 수행한다.
빔포머(B)는 두 마이크에서 획득된 신호간의 위상차이를 제거하여 합함으로써, 노즐(243)에서 발생된 사운드를 증폭시킬 수 있다. 이러한 빔포밍은 사운드가 발생한 공간 이외의 공간에서 발생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주변의 소음을 공간적으로 필터링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최종적으로 필터링해내고자 하는 사운드 신호는 2~4 kHz의 고주파 신호이므로 최적의 빔포밍을 위한 두 마이크 간 거리는 50~85 mm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사운드 획득부(248)는 빔포머(B)에서 빔포밍된 신호로부터 주변의 소음이 나타내는 노이즈를 제거하고 이산화탄소가 노즐(243)을 통해 분사될 때 발생하는 사운드를 분리해내기 위해, 필터(F)를 포함한다. 필터(F)는 2kHz의 컷오프(cutoff) 주파수를 갖는 34차 FIR(Finite Impulse Response)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2~4kHz 대역의 주파수를 통과시키는 밴드패스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가 노즐(243)을 통해 분사될 때 생성되는 사운드는 2~4kHz 대역이 강조되는 반면, 일상생활에서 2kHz 이상 또는 2~4kHz 대역이 강조되는 소음은 흔하지 않기 때문에, 전술한 필터(F)를 사용한다.
제어부(270)는 필터(F)를 통과한 신호의 RMS(Root Mean Square)값을 산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이산화탄소의 부족 여부를 결정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제어부(270)는 상기 RMS값과 기준값의 비교를 통해 이산화탄소가 부족하다고 결정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실린더 교체 표시부(236b)에 마련된 램프를 온 시킴으로써, 실린더(251)의 교체시기임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전술한 것처럼, 마이크의 턴온시점의 제어를 통해 시간적으로 주변 소음을 필터링하고, 두 개의 마이크에서 획득한 신호를 빔포밍하여 공간적으로 주변 소음을 필터링하며, 필터(F)를 통해 한번 더 소음을 필터링함으로써, 실린더(251)에서 이산화탄소가 노즐(243)을 통해 분사될 때 생성되는 사운드를 보다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251)의 교체시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단속부(252)가 작동하면(600), 회전각 검출부(253)는 단속부(252)의 회전각을 검출하고(610), 회전각 검출부(253)에서 단속부(252)의 동작이 검출되면, 탄산수가 제조된다(620). 탄산수의 제조과정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제어부(270)는 단속부(252)가 작동하면 제1마이크(M1) 및 제2마이크(M2)를 작동시키고(630), 제1마이크(M1) 및 제2마이크(M2)에서 사운드가 검출되면, 빔포머(B)에서 빔포밍을 수행한다(640). 하이패스 필터(F)는 빔포밍된 신호를 필터링하고(650), 제어부(270)는 필터(F)를 통과한 신호의 RMS값을 산출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한다(660). 제어부(270)는 상기 RMS값이 상기 기준값보다 작고 회전각 검출부(253)에서 단속부(252)의 동작이 검출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실린더(251) 교체 메시지를 표시한다(670).
제어부(270)는 실린더(251)의 이산화탄소가 노즐(243)을 통해 공급될 때 발생하는 사운드를 마이크에서 획득할 수 있도록, 이산화탄소가 공급되는 시점에 마이크를 턴온시킨다. 마이크는 이산화탄소의 공급에 의해 발생하는 사운드 뿐만 아니라, 주변의 소음도 획득한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주변의 소음을 최대한 배제하고, 실린더(251)에서 이산화탄소가 공급될 때 발생하는 사운드가 주로 획득될 수 있도록, 평상 시에는 마이크를 동작시키지 않고, 실린더(251)에서 이산화탄소가 공급되는 시점에 마이크를 턴온시켜, 시간적으로 주변의 소음을 필터링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획득부(248)는 제1마이크(M1) 및 제2마이크(M2) 즉, 2개의 마이크를 포함하여, 실린더(251)에서 이산화탄소가 노즐(243)을 통해 분사될 때 생성되는 사운드를 증폭시킬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노즐(243)이 동작하면서 발생하는 사운드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마이크(M1) 및 제2마이크(M2)에서 각각 획득된다. 이때 노즐(243)에서 발생하는 사운드가 제1마이크(M1)와 제2마이크(M2)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차이가 발생하고, 이는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제1마이크(M1)와 제2마이크(M2)에서 획득한 신호의 위상차로 나타난다.
이 때 발생하는 위상차(τ1)는 상기 수학식 1에 나태낸 것처럼, 제1마이크(M1)의 배치간격(d)과 사운드의 진행각도(θ)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하기의 수학식 1은 전술한 위상차를 나타낸다.
빔포머(B)는 제1마이크(M1)와 제2마이크(M2)의 배치간격과 사운드의 진행각도를 상기 수학식 1에 적용하여, 제1마이크(M1)에서 획득한 사운드 신호 및 제2마이크(M2)에서 획득한 사운드 신호의 위상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상차를 이용하여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제2마이크(M2)에서 획득한 사운드 신호를 산출된 위상차이만큼 딜레이시킨 후 제1마이크(M1)에서 획득한 사운드 신호와 합산하는 빔포밍을 수행한다.
빔포머(B)는 두 마이크에서 획득된 신호간의 위상차이를 제거하여 합함으로써, 노즐(243)에서 발생된 사운드를 증폭시킬 수 있다. 이러한 빔포밍은 사운드가 발생한 공간 이외의 공간에서 발생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주변의 소음을 공간적으로 필터링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최종적으로 필터링해내고자 하는 사운드 신호는 2~4 kHz의 고주파 신호이므로 최적의 빔포밍을 위한 두 마이크 간 거리는 50~85 mm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사운드 획득부(248)는 빔포머(B)에서 빔포밍된 신호로부터 주변의 소음이 나타내는 노이즈를 제거하고 이산화탄소가 노즐(243)을 통해 분사될 때 발생하는 사운드를 분리해내기 위해, 필터(F)를 포함한다. 필터(F)는 2kHz의 컷오프(cutoff) 주파수를 갖는 34차 FIR(Finite Impulse Response)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2~4kHz 대역의 주파수를 통과시키는 밴드패스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가 노즐(243)을 통해 분사될 때 생성되는 사운드는 2~4kHz 대역이 강조되는 반면, 일상생활에서 2kHz 이상 또는 2~4kHz 대역이 강조되는 소음은 흔하지 않기 때문에, 전술한 필터(F)를 사용한다.
제어부(270)는 필터(F)를 통과한 신호의 RMS(Root Mean Square)값을 산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이산화탄소의 부족 여부를 결정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제어부(270)는 상기 RMS값과 기준값의 비교를 통해 이산화탄소가 부족하다고 결정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실린더 교체 표시부(236b)에 마련된 램프를 온 시킴으로써, 실린더(251)의 교체시기임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1: 냉장고 2: 컨테이너
100: 본체 200: 디스펜서
200a: 탄산수 제조 장치 210: 하우징
220: 레버 230: 사용자인터페이스부
240: 체결부 251: 실린더
252: 단속부 253: 회전각 검출부
254: 제1조절부 255: 제2조절부

Claims (23)

  1.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를 포함하고, 컨테이너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탄산수 제조부;
    상기 탄산수 제조부에서 발생하는 사운드를 획득하도록 마련된 마이크;
    상기 마이크에서 획득한 신호 중 미리 정해진 컷오프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통과시키는 필터;
    탄산수 제조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탄산수 제조부가 동작하면, 상기 마이크를 구동시켜 상기 탄산수 제조부에서 발생하는 사운드를 획득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으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산수 제조부는,
    상기 이산화탄소의 공급을 단속하는 단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속부가 동작하면 상기 마이크를 동작시키는 탄산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를 통과한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고, 상기 탄산수 제조부에서 상기 컨테이너로 이산화탄소가 공급되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는 탄산수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 제조부는 상기 단속부의 작동상태를 검출하는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를 통과한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고, 상기 홀센서에서 상기 단속부의 동작이 검출되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는 탄산수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탄산수 제조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마이크를 동작시키는 탄산수 제조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2kHz의 컷오프 주파수를 갖는 하이패스 필터를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를 통과한 신호의 RMS(Root Mean Square)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RMS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으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나타내는 탄산수 제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서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마련된 제1마이크 및 제2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마이크 및 제2마이크에서 획득한 사운드 신호의 위상차를 제거한 후 합산하는 빔포머;를 더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빔포머에 의해 합산된 사운드 신호 중 미리 정해진 컷오프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통과시키는 탄산수 제조장치.
  10.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를 포함하고, 컨테이너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탄산수 제조부;
    상기 탄산수 제조부로부터 공급되는 이산화탄소를 토출하고 상기 컨테이너가 착탈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토출부를 포함하고, 도어에 마련되는 디스펜서;
    상기 탄산수 제조부에서 발생하는 사운드를 획득하도록 마련된 마이크;
    상기 마이크에서 획득한 신호 중 미리 정해진 컷오프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통과시키는 필터;
    탄산수 제조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탄산수 제조부가 동작하면, 상기 마이크를 구동시켜 상기 탄산수 제조부에서 발생하는 사운드를 획득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으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산수 제조부는,
    상기 이산화탄소의 공급을 단속하는 단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속부가 동작하면 상기 마이크를 동작시키는 냉장고.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를 통과한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고, 상기 탄산수 제조부에서 상기 컨테이너로 이산화탄소가 공급되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나타내는 냉장고.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탄산수 제조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마이크를 동작시키는 냉장고.
  13. 삭제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서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마련된 제1마이크 및 제2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마이크 및 제2마이크에서 획득한 사운드 신호의 위상차를 제거한 후 합산하는 빔포머;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빔포머에 의해 합산된 사운드 신호 중 미리 정해진 컷오프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통과시키는 냉장고.
  16. 이산화탄소의 공급을 단속하는 단속부가 동작하면, 마이크를 구동시켜 탄산수 제조부에서 발생하는 사운드를 획득하고;
    필터에서 상기 획득된 사운드 신호 중 미리 정해진 컷오프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으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는 것은,
    상기 필터를 통과한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고, 상기 탄산수 제조부에서 컨테이너로 이산화탄소가 공급되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는 것은,
    상기 필터를 통과한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고, 홀센서에서 상기 단속부의 동작이 검출되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마이크를 구동시켜 상기 탄산수 제조부에서 발생하는 사운드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탄산수 제조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마이크를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0. 삭제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실린더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는 것은,
    상기 필터를 통과한 신호의 RMS(Root Mean Square)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RMS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으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린더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나타내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서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마련된 제1마이크 및 제2마이크를 포함하고,
    빔포머에서 상기 제1마이크 및 제2마이크에서 획득한 사운드 신호의 위상차를 제거한 후 합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2항에 있어서,
    필터에서 상기 획득된 사운드 신호 중 미리 정해진 컷오프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분리하는 것은,
    상기 필터에서 상기 빔포머에 의해 합산된 사운드 신호 중 미리 정해진 컷오프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0150153848A 2015-11-03 2015-11-03 탄산수 제조 장치,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519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848A KR102519055B1 (ko) 2015-11-03 2015-11-03 탄산수 제조 장치,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US15/343,167 US10456763B2 (en) 2015-11-03 2016-11-03 Carbonated water producing apparatus,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848A KR102519055B1 (ko) 2015-11-03 2015-11-03 탄산수 제조 장치,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000A KR20170052000A (ko) 2017-05-12
KR102519055B1 true KR102519055B1 (ko) 2023-04-07

Family

ID=58637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848A KR102519055B1 (ko) 2015-11-03 2015-11-03 탄산수 제조 장치,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56763B2 (ko)
KR (1) KR10251905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9097A (en) 1988-03-23 1989-09-26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Sonic gas pressure gaug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7752A (en) * 1978-11-22 1980-04-15 Barry Block Thermal gas pressure gauge method and apparatus
US4991145A (en) * 1988-08-03 1991-02-05 Rabbit Systems, Inc. Infra-sonic detector and alarm with self adjusting reference
US6301973B1 (en) * 1999-04-30 2001-10-1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on-intrusive pressure/multipurpose sensor and method
US6339960B1 (en) * 2000-10-30 2002-01-22 Mississippi State University Non-intrusive pressure and level sensor for sealed containers
KR20060000202A (ko) 2004-06-28 2006-01-0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탄산수 디스펜서를 장착한 냉장고
US7383733B2 (en) * 2005-09-30 2008-06-10 Jennings Technology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onic detection of high pressure conditions in a vacuum switching device
KR20090116039A (ko) * 2008-05-06 2009-11-1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음향 임피던스 변화를 이용한 압력측정장치
KR101636557B1 (ko) * 2009-10-14 2016-07-05 코웨이 주식회사 연수기 시스템
KR20110076586A (ko)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 포스코 베어링 파손 검출 시스템 및 방법
US8828615B2 (en) * 2011-05-10 2014-09-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coustic speed of sound measurement using bandpass filtering of automotive pressure sensors
US8833171B2 (en) * 2012-08-23 2014-09-16 Nxp, B.V. Pressure sensor
KR102005453B1 (ko) * 2013-02-28 2019-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999272B1 (ko) * 2013-02-28 2019-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514043B1 (ko) 2013-08-20 2015-04-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에 구비된 마이크를 이용한 차량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876367B1 (ko) 2013-09-05 2018-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NO343314B1 (no) * 2015-11-29 2019-01-28 Tunable As Optisk trykksens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9097A (en) 1988-03-23 1989-09-26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Sonic gas pressure gau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56763B2 (en) 2019-10-29
US20170120209A1 (en) 2017-05-04
KR20170052000A (ko)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0116B1 (ko) 탄산수 제조 장치, 그를 가지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3463B1 (ko) 냉장고
KR20210026864A (ko)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2010223509A (ja) 冷蔵庫
JP4670689B2 (ja) 冷蔵庫
JP6928504B2 (ja) 冷蔵庫
KR102519055B1 (ko) 탄산수 제조 장치,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080083954A (ko) 냉장고
JP2015068509A (ja) 冷蔵庫
JP2006105404A (ja) 冷蔵庫
KR20000034726A (ko) 홈바룸의 에어커튼 장치
KR100750261B1 (ko) 김치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JP2019117047A (ja) 冷蔵庫
KR101150946B1 (ko) 냉장고
KR20140124115A (ko) 냉장고
KR101611706B1 (ko) 탄산수 제조 장치, 탄산수 제조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0820878B1 (ko)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축냉구조
CN104903668B (zh) 冰箱
KR20140019901A (ko) 밀폐식 야채케이스가 구비된 냉장고
JP2013061082A (ja) 冷蔵庫
JP2018096661A (ja) 貯蔵庫
KR20090008159U (ko) 냉장고
KR20200074643A (ko) 냉장고
JP2022138002A (ja) 冷蔵庫
KR200278166Y1 (ko) 김치저장고의 도어 열림 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