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967B1 - 예초기 헤드 - Google Patents

예초기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967B1
KR102518967B1 KR1020210025852A KR20210025852A KR102518967B1 KR 102518967 B1 KR102518967 B1 KR 102518967B1 KR 1020210025852 A KR1020210025852 A KR 1020210025852A KR 20210025852 A KR20210025852 A KR 20210025852A KR 102518967 B1 KR102518967 B1 KR 102518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housing
cutting blade
support member
low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1588A (ko
Inventor
김정연
김수억
김경태
김경연
Original Assignee
(주)동남테크
김수억
김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남테크, 김수억, 김경태 filed Critical (주)동남테크
Priority to KR1020210025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967B1/ko
Publication of KR20220121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3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1Casings;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8Safety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초기 헤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예초기 헤드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이되, 상단 가장자리에 상호 대향되도록 한 쌍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면 중앙 일부구간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하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이되, 하부 가장자리에는 상호 대향되도록 한 쌍의 체결홀 및 상기 체결홀에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체결홀보다 좁은 폭을 가지도록 고정홀이 형성되는 상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의 내부 공간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외주연에 중심축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삽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장착되며 상단 일부구간이 상부하우징의 관통구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재,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상부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상기 지지부재의 삽입구에 장착되며,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는 절단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은 합성수지 등으로 제조된 막대형상의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내구성 및 절단효율을 향상시켰으며 블레이드가 하우징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되,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성 및 편리성이 향상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예초기 헤드 {Head of brush cutter}
본 발명은 풀 등을 벨 때 사용하는 예초기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초기는 모터나 엔진과 같은 동력장치의 회전력에 의해 예초칼날을 고속 회전시켜 잡초나 잡목 등을 절단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예초기는 주로 휘발유나 가스를 주입하여 엔진을 구동시켜서 엔진과 회전 연결되는 절단헤드에서 절단블레이드나 절단와이어 등의 절단부재를 회전시켜서 풀을 베도록 하며, 절단헤드에 결합되는 절단부재의 종류에 따라서 절단효율이나 안전성이 달리 된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던 금속 소재의 칼날은, 지면의 자갈 등에 충돌하는 경우, 자갈이 튀어 작업자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칼날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와이어로 제조된 칼날(절단와이어)는 예초기 사용 시 예초기 헤드 내부에서 꼬이는 등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20-0493100호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내구성 및 작업능률이 향상되도록 막대형상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되 하우징 내부에서 블레이드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사용성이 향상된 예초기 헤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예초기 헤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예초기 헤드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이되, 상단 가장자리에 상호 대향되도록 한 쌍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면 중앙 일부구간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하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이되, 하부 가장자리에는 상호 대향되도록 한 쌍의 체결홀 및 상기 체결홀에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체결홀보다 좁은 폭을 가지도록 고정홀이 형성되는 상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의 내부 공간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외주연에 중심축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삽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장착되며 상단 일부구간이 상부하우징의 관통구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재,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상부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상기 지지부재의 삽입구에 장착되며,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는 절단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단블레이드는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판재형상의 고정편과, 고정편의 양단에 고정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절단날과, 상기 고정편과 절단날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절단블레이드는 상기 지지부재의 삽입구 내부에서 소정각도 회전되어 상기 상부하우징에 형성된 고정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 하부하우징에 고정되거나, 이탈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합성수지 등으로 제조된 막대형상의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내구성 및 절단효율을 향상시켰으며 블레이드가 하우징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되,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성 및 편리성이 향상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 헤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누름부재를 하부방향으로 눌러 본 발명에서 절단블레이드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하우징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례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 헤드는 예초기에 구비된 엔진의 구동력에 회전되면서 풀을 절단하는 요소이며, 상기 예초기 헤드는 예초기에 장착되어 회전되도록 마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 헤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예초기 헤드(100)는, 하부하우징(120), 상부하우징(140), 지지부재(160), 절단블레이드(180), 스프링(S)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하우징 및 상부하우징은 상기 절단블레이드(180)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이며, 상기 절단블레이드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용이하게 착탈 및 고정되기 위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지지부재 및 스프링이 내장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각 요소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상기 하부하우징(120)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 바닥면 중앙에는 후술할 스프링(S)이 체결 및 안착되기 위한 안착돌기(121)가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안착돌기의 외측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링형상의 리브(R)와, 상기 링형상의 리브와 하부하우징의 내주연을 가로질러 다수 개의 직선 리브(R)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부하우징과의 체결을 위해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상기 하부하우징의 가장자리는 충분한 두께를 가지도록 마련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복수 개의 착탈홀(122), 지지홈(123), 체결홀(124)이 형성된다.
상기 착탈홀(122)은 상기 상부하우징에 형성된 착탈편(144)이 끼움 고정되기 위한 요소이며, 상기 착탈편(144)이 착탈홀(122)에 끼움 결합됨에 따라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은 상호 고정된다.
또한, 상기 착탈홀(122)은 하단부가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착탈편의 하부 끝단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체결돌기가 착탈홀의 하단부에 형성된 단턱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의 착탈홀(122)은 하부하우징의 외주연 하부측에 형성된 가이드홀(125)과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의 분리 시, 작업자가 외부에서 착탈편(144)을 내측방향으로 눌러 상기 착탈편이 착탈홀에서 이탈되도록 마련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착탈홀은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의 안정적인 체결을 위해 두 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하부하우징에 두 개의 착탈홀을 형성하였다.
상기 지지홈(123)은 상기 상부하우징에 형성된 보강편(145)이 끼움 고정되기 위한 요소이며, 상기 보강편의 일부구간이 상기 지지홈에 끼움됨에 따라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의 체결은 더욱 안정적이게 된다.
상기 체결홀(124)은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외측면 상단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할 절단블레이드(180)가 체결되기 위한 요소이다.
또한, 상기 체결홀은 절단블레이드(180)의 양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으로 구성되며,
특히, 상기 체결홀의 폭은 절단블레이드의 연결부(183)의 폭보다 크고 고정편(181)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절단블레이드를 후술하면서 다시 설명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하우징(140)은 하부하우징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면 중앙 일부구간에 관통구(141)가 형성되고, 하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마련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구(141)는 상기 지지부재(160)의 헤드부(165)가 관통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상기 관통구의 형상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가 관통구 내부에서 헛돌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실시례로서, 상기 관통구의 수평단면을 육각형상으로 마련하였다.
상기 상부하우징(140)의 측면 하단부에는 후술할 절단블레이드(180)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142)과, 상기 체결홀의 상부에 상기 체결홀보다 더 좁은 너비를 가지도록 연장형성되어 체결홀을 통해 삽입된 절단블레이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홀(143)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의 폭은 절단블레이드의 연결부(183)의 폭보다 크고 고정편(181)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고정홀은 상기 연결부(183)의 폭과 같거나 약간 큰 폭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고정홀에 상기 연결부가 끼움장착되도록 마련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절단블레이드를 후술하면서 다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체결홀 및 고정홀은 절단블레이드(180)의 양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외주연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가장자리 형상을 따라 수평단면이 링형상인 날개편(146)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주연 저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두 개 이상의 착탈편(144) 및 보강편(145)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날개편과 상기 착탈편 및 보강편의 사이에는 하부하우징의 상단 가장자리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링 형상의 챔버(C)가 형성된다.
상기 착탈편(144)은 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하단 끝단부에는 외측방향으로 체결돌기(부호미표시)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착탈홀(122)에 끼움고정되는 요소이다.
아울러, 상기 착탈편은, 상기 착탈홀(122)에 끼움 고정되어야 하므로 상기 보강편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된다.
상기 보강편(145)은 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의 체결 시, 상기 보강편의 하단 끝단부는 하부하우징(120)의 지지홈(123)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보강편의 끝단부가 특이형상을 가지지 않고 상기 지지홀에 단순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보강편의 끝단부는 외측보다 내측이 더 긴 길이를 가지도록 단턱지게 형성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홀 내부에 형성된 단턱에 대응되게 끼움결합되도록 마련되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실시례로서 상부하우징의 저면 가장자리에 두 개의 착탈편과 네 개의 보강편을 형성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 크기나 형상 개수 등이 달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관통구(141) 외주연에 전체적으로 링형상인 리브(R)를 형성하고, 상기 링형상의 리브와 상부하우징의 내주연을 가로질러 다수 개의 직선 리브(R)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는 스프링(S)이 장착된다.
상기 스프링은 압축스프링인 것으로, 후술할 지지부재(160)를 상부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요소이다.
이어서,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의 내부 공간부에는 지지부재(160)가 장착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스프링의 상단에 장착되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평소에는 상부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지지부재(160)는 상하부 가장자리에 각각 플랜지(162)가 형성되고, 외주연에 중심축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삽입구(163)가 형성되는 본체(161)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장착되며, 상단 일부구간이 상부하우징의 관통구(141)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헤드부(165)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전체적으로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절단블레이드(180)를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절단블레이드가 더욱 안정적으로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스프링에 안정적으로 장착되기 위해 안착홈(부호미표시)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외주연에는 본체의 중심축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삽입구(163)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구(163)는 절단블레이드가 삽입되는 공간인 것으로, 상기 삽입구는 절단블레이드가 용이하게 삽입되되 상기 삽입구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절단블레이드보다 큰 직경을 가진 수직단면이 원형인 홀로 마련된다.
이어서, 상기 본체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는, 상기 본체가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 내부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이동(승하강)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플랜지는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내주연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헤드부(165)는 상기 본체(161)의 상부에 결합되어야 하므로, 상기 헤드부의 하단 일부구간은 본체의 상부 일부구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헤드부의 하단부에 결합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프레임이 본체를 관통하도록 마련하였으며, 상기 본체의 하부로 관통된 결합프레임의 하단 끝단부가 스프링과의 연결을 공고히 하는 상기 안착홈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헤드부(165)의 상단 일부구간의 수평단면은 상기 관통구(141)와 대응되도록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가 관통구 내부에서 헛돌지 않고 상기 상부하우징에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헤드부가 본체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지지부재가 상하로 분할되도록 마련하였으나, 상기 헤드부와 본체는 일체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절단블레이드는 예초기에 구비된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풀을 직접 절단하는 요소이다.
상기 절단블레이드(180)는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판재형상의 고정편(181)과, 고정편의 양단에 고정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절단날(182)과, 상기 고정편과 절단날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183)를 포함한다.
상기 절단블레이드는 고정편(181) 및 연결부(183)의 형상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160)의 삽입구(163) 내부에서 소정각도 회전되어 상, 하부하우징에 고정되거나, 또는 상, 하부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도록 마련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편은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상의 판재형상인 것으로, 상기 고정편은 두께(높이)에 비해 큰 폭을 가지도록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는 직사각형상의 판재형사이되, 상기 고정편에 비해 좁은 폭을 가지며, 고정편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절단날(182)은, 상기 연결부와 동일한 폭과 두께를 가지되, 긴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되며, 양측면(폭방향으로의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톱니형상의 날이 연속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절단블레이드가 하우징(상, 하부하우징)내부에 장착되는 과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절단블레이드(180)는 비교적 좁은 면적을 가지는 높이부분이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체결홀(124, 142)을 통해 지지부재(160)의 삽입구(163)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는 작업자에 의해 하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이며,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의 체결홀(124, 142)과 상기 지지부재의 삽입구(163)는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다.
상기 절단블레이드의 고정편이 삽입구(163) 내부에 완전하게 삽입된 이후, 비교적 넓은 너비를 가지는 폭부분이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90도 회동되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83)가 상부하우징(140)의 고정홀(143)에 끼움되며, 스프링에 의해 지지부재 및 절단블레이드가 상부방향으로 압박되어 상, 하부하우징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홀(142) 근방의 하부하우징 내주연 일부구간은 상기 절단블레이드의 회동 동작에 간섭되지 않도록 홈(부호미표시)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때 상기 체결홀(124,142)의 폭은 절단블레이드의 연결부(183)의 폭보다 크고 고정편(181)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지지부재에 장착된 절단블레이드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즉,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60)는 평소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때 상기 지지부재의 삽입구(163)는 상부하우징 측에 더 가까이 배치되어 삽입구에 장착된 절단블레이드가 고정홀(143)에 끼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절단블레이드는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예초기 헤드
120: 하부하우징
121: 안착돌기
122: 착탈홀
123: 지지홈
124: 체결홀
125: 가이드홀
140: 상부하우징
141: 관통구
142: 체결홀
143: 고정홀
144: 착탈편
145: 보강편
146: 날개편
160: 지지부재
161: 본체
162: 플랜지
163: 삽입구
165: 헤드부
180: 절단블레이드
181: 고정편
182: 절단날
183: 연결부
S: 스프링
R: 리브
C: 챔버

Claims (2)

  1.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이되, 상단 가장자리에 상호 대향되도록 한 쌍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면 중앙 일부구간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하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이되, 하부 가장자리에는 상호 대향되도록 한 쌍의 체결홀 및 상기 체결홀에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체결홀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고정홀이 형성되는 상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의 내부 공간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외주연에 중심축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삽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장착되며 상단 일부구간이 상부하우징의 관통구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재;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상부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상기 지지부재의 삽입구에 장착되며,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는 절단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블레이드는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판재형상의 고정편과, 고정편의 양단에 고정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절단날과, 상기 고정편과 절단날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절단블레이드는 상기 지지부재의 삽입구 내부에서 소정각도 회전되어 상기 상부하우징에 형성된 고정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 하부하우징에 고정되거나, 이탈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헤드.
  2. 삭제
KR1020210025852A 2021-02-25 2021-02-25 예초기 헤드 KR102518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852A KR102518967B1 (ko) 2021-02-25 2021-02-25 예초기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852A KR102518967B1 (ko) 2021-02-25 2021-02-25 예초기 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588A KR20220121588A (ko) 2022-09-01
KR102518967B1 true KR102518967B1 (ko) 2023-04-06

Family

ID=83282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852A KR102518967B1 (ko) 2021-02-25 2021-02-25 예초기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9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531B1 (ko) 2023-02-20 2023-09-06 (주)삼한기업 안전판을 구비한 예초기 헤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234B1 (ko) 2015-12-29 2016-07-13 주식회사 오에스씨 예초기용 나일론 커터
JP2016538857A (ja) * 2013-11-22 2016-12-15 アリス、ジョージ、イー ライン貫通供給型の草木トリマー装置
KR101795453B1 (ko) 2016-06-20 2017-12-01 이정희 예초기용 커터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786Y1 (ko) * 2015-06-15 2017-03-23 이태근 예초기용 회전판 장치
KR200493100Y1 (ko) 2018-08-31 2021-02-01 민영준 예초기 안전 관절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38857A (ja) * 2013-11-22 2016-12-15 アリス、ジョージ、イー ライン貫通供給型の草木トリマー装置
KR101639234B1 (ko) 2015-12-29 2016-07-13 주식회사 오에스씨 예초기용 나일론 커터
KR101795453B1 (ko) 2016-06-20 2017-12-01 이정희 예초기용 커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588A (ko)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89114A (en) Cutting device
US6119350A (en) Rotary cutting member for lawn trimmers
US3859776A (en) Rotary cutting assembly
US20190185289A1 (en) String trimmer head with curved trimmer line guide
US4177561A (en) Rotary cutting assembly
US11122735B2 (en) String trimmer head and spool
US20200000025A1 (en) Convertible cap and head system
US4172322A (en) Rotary cutting assembly
US4631828A (en) Cutting means for rotary trimmer
KR102518967B1 (ko) 예초기 헤드
US20080263874A1 (en) Rotary Cutter for Mower
CN111480446A (zh) 用于修剪器的修剪器头组件
US11622507B2 (en) Hedge trimmer
US6249978B1 (en) Flail head for a vegetation cutter
KR101187290B1 (ko) 베어진 풀을 쳐낼 수 있으면서 여러 가지 커터를 교체할 수 있는 예초기용 절단유닛
CN110463436B (zh) 割草机
US20220361400A1 (en) Rotator, brush cutter, and bobbin
JP6737742B2 (ja) 草刈機用の線状カッター式ヘッド
CN115349347A (zh) 一种割草用联合刀片结构
KR102425527B1 (ko) 예초기용 절단와이어 연결구조
CN219514643U (zh) 一种多用割草头
KR101291447B1 (ko) 블레이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잔디깍기
JP5873776B2 (ja) 園芸用バリカン
CN216982590U (zh) 一种打草头
CN211671360U (zh) 打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