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701B1 -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701B1
KR102518701B1 KR1020220103732A KR20220103732A KR102518701B1 KR 102518701 B1 KR102518701 B1 KR 102518701B1 KR 1020220103732 A KR1020220103732 A KR 1020220103732A KR 20220103732 A KR20220103732 A KR 20220103732A KR 102518701 B1 KR102518701 B1 KR 102518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unit
location
occurr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3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9350A (ko
Inventor
신진호
이신호
이승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103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701B1/ko
Publication of KR20220119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9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larm System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상기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하는 재난 인식부, 재난 인식부를 통해 재난의 발생이 인식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재난이 발생된 지역의 주변에 위치한 CCTV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에 기반하여 재난의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 식별부,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를 식별하고, 식별된 에너지 설비로부터 계측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계측 정보 및 수집된 영상에 기반하여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교통 정보 수집부, 및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와, 상태 판단부를 통해 판단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와, 교통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교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유관기관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SPONDING DISASTER}
본 발명은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재난의 발생을 인지하고, 인지된 재난의 발생에 대응할 수 있는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물인터넷 기술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사물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도시를 모니터링하는 기술, 이른바 스마트시티 기술 또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스마트시티는 정보 및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도시 운영 핵심 시스템의 각종 주요 정보를 감지, 분석 및 통합함으로써 민생, 환경, 보호, 공공 안전, 도시 서비스, 공업 및 상업 활동을 포함한 다양한 요구에 지능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스마트시티 기술에는 재난 발생에 대응할 수 있는 재난 대응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국가 재난 정보 시스템과의 연계 방식 또는 CCTV를 모니터링하는 방식을 통해 재난 발생을 인지한 후, CCTV를 통해 현장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방식을 통해 재난에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재난 대응 서비스의 경우, 싱크홀 발생, 온수관 파열 사고, 교통사고에 의한 에너지설비 파손 등 도시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관련 재난을 즉각적으로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점, 및 에너지 관련 재난의 인지부터 복구까지의 일련의 대응 체계가 미비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7395호(2007.06.05.)의 '무선 인터넷을 활용한 재난 대응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재난의 발생을 인지하고, 인지된 재난의 발생에 대응할 수 있는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재난 대응 시스템은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상기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하는 재난 인식부; 상기 재난 인식부를 통해 재난의 발생이 인식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재난이 발생된 지역의 주변에 위치한 CCTV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영상에 기반하여 상기 재난의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 식별부; 상기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에너지 설비로부터 계측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계측 정보 및 상기 수집된 영상에 기반하여 상기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상기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교통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와, 상기 상태 판단부를 통해 판단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와, 상기 교통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교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유관기관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재난 인식부는, 상기 인식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크라우드 소싱을 이용하여 재난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재난에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상기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재난 인식부는, 상기 인식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각 지역에 구비된 계측기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상기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계측기는, 상/하수도관 또는 난방/온수 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수도관 또는 상기 난방/온수 배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수압계, 가스 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 배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 전력선이 구비되어 상기 전력선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교통 정보 수집부는, 상기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버스교통정보시스템(Bus Information System)으로부터 상기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대응하는 버스의 노선 정보 및 운행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교통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교통 정보와 상기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기반하여 우회 정보를 생성하는 우회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우회 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우회 정보를 상기 유관기관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상태 판단부를 통해 판단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재난에 관한 대응 방안을 도출하는 대응 방안 도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대응 방안 도출부를 통해 도출된 대응 방안을 상기 유관기관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재난 대응 방법은 재난 인식부가,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상기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하는 단계; 위치 식별부가, 상기 재난 인식부를 통해 재난의 발생이 인식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재난이 발생된 지역의 주변에 위치한 CCTV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영상에 기반하여 상기 재난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태 판단부가, 상기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에너지 설비로부터 계측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계측 정보 및 상기 수집된 영상에 기반하여 상기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교통 정보 수집부가, 상기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전송부가, 상기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와, 상기 상태 판단부를 통해 판단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와, 상기 교통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교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유관기관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인식하는 단계에서, 상기 재난 인식부는, 크라우드 소싱을 이용하여 재난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재난에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상기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인식하는 단계에서, 상기 재난 인식부는, 각 지역에 구비된 계측기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상기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계측기는, 상/하수도관 또는 난방/온수 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수도관 또는 상기 난방/온수 배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수압계, 가스 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 배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 전력선이 구비되어 상기 전력선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에서, 상기 교통 정보 수집부는, 버스교통정보시스템(Bus Information System)으로부터 상기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대응하는 버스의 노선 정보 및 운행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우회 정보 생성부가, 상기 교통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교통 정보와 상기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기반하여 우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부가, 상기 우회 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우회 정보를 상기 유관기관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대응 방안 도출부가, 상기 상태 판단부를 통해 판단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재난에 관한 대응 방안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부가, 상기 대응 방안 도출부를 통해 생성된 대응 방안을 상기 유관기관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크라우드 소싱을 통해 신속하게 재난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재난 발생 시 재난이 발생된 지역의 주변에 위치한 CCTV와 연계하여 재난의 위치를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재난 발생 시 재난이 발생된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유관기관에 전송함으로써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재난 발생 시 재난이 발생된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교통 정보를 유관기관 또는 시민에게 전송함으로써 재난으로 인한 피해의 파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시스템이 싱크홀 발생에 대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시스템이 싱크홀 발생에 대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시스템은 재난 인식부(100), 위치 식별부(200), 상태 판단부(300), 교통 정보 수집부(400), 우회 정보 생성부(500), 대응 방안 도출부(600) 및 전송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재난 인식부(100)는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은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으로서, 화재, 건물 붕괴, 지면 붕괴(씽크홀), 폭발, 교통사고 등과 같은 사건뿐만 아니라 상/하수관, 난방/온수 배관, 가스 배관, 전력선 등과 같은 공공시설의 파손 사건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또한, 재난은 사람의 실수 또는 부주의나 고의로 일어난 사건뿐만 아니라, 자연적 현상에 의해 일어난 사건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인식부(100)는 크라우드 소싱(Crowd Sourcing)을 이용하여 재난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재난에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재난의 발생 및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 인식부(100)는 스마트 폰을 포함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재난이 발생한 지역을 포함하는 재난 제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재난 제보 메시지에 기반하여 재난의 발생 및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재난 인식부(100)는 스마트 폰을 통한 시민의 제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제보에 기반하여 재난의 발생 및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지역은 후술하는 위치보다 포괄적인 개념일 수 있다. 재난 인식부(100)는 허위 재보를 배재하기 위해 해당 지역에 대한 재난 제보 메시지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개수 이상 수신되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지역에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에는 해당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인식부(100)는 각 지역에 구비된 계측기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측기는 상/하수도관 또는 난방/온수 배관에 구비되어 상/하수도관 또는 난방/온수 배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수압계, 가스 배관에 구비되어 가스 배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 전력선이 구비되어 전력선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지역에는 재난 인식부(100)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는 계측기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재난 인식부(100)는 계측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측정 정보를 분석하여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하수도관 또는 난방/온수 배관에 파손이 발생되는 경우, 상/하수도관 또는 난방/온수 배관에 구비된 수압계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은 낮아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가스 배관에 파손이 발생되는 경우, 가스 배관에 구비된 압력계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은 낮아지게 된다. 한편, 전력선에 지락이 발생되는 경우, 전력선에 구비된 전류계를 통해 고장전류가 감지된다. 재난 인식부(100)는 계측기를 통해 수집된 측정 정보에서 전술한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계측기가 구비된 지역에 재난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위치 식별부(200)는 재난 인식부(100)를 통해 재난의 발생이 인식된 것에 응답하여 재난이 발생된 지역의 주변에 위치한 CCTV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에 기반하여 재난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 인식부(100)를 통해 재난 제보 메시지가 수신되면, 위치 식별부(200)는 해당 재난 제보 메시지에 포함된 지역의 주변에 위치한 CCTV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을 분석하여 재난의 위치 및 규모를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상태 판단부(300)는 위치 식별부(200)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를 식별하고, 식별된 에너지 설비로부터 계측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계측 정보 및 수집된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에너지 설비는 상/하수도관, 난방/온수 배관, 가스 배관 및 전력선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기, 가스, 증기, 수도, 통신, 난방, 에너지 등의 공급, 생산, 분배와 관련된 모든 설비가 에너지 설비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태 판단부(300)는 에너지 설비에 관련된 위치 정보, 에너지 설비에 관련된 관경 정보, 및 에너지 설비에 관련된 토지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해당 재난의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를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상태 판단부(300)는 식별된 에너지 설비에 구비된 계측기로부터 계측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계측 정보와 앞서 CCTV를 통해 수집된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식별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의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가 상/하수도관 또는 난방/온수 배관인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태 판단부(300)는 상/하수도관 또는 난방/온수 배관에 구비된 수압계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에 기반하여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재난의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가 가스 배관인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태 판단부(300)는 가스 배관에 구비된 압력계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에 기반하여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재난의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가 전력선인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태 판단부(300)는 잔력선에 구비된 전류계를 통해 고장전류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태 판단부(300)는 CCTV를 통해 수집된 영상을 분석하여 에너지 설비의 파손 여부, 파손 정도, 파손 위치 등을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정보를 토대로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대응 방안 도출부(600)는 상태 판단부(300)를 통해 판단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에 기반하여 대응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이때, 대응 방안 도출부(600)는 에너지 설비의 특성을 고려하여 대응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손이 발생된 에너지 설비가 상/하수도관, 난방/온수 배관, 또는 가스 배관인 것으로 식별되고, 상/하수도관, 난방/온수 배관, 또는 가스 배관의 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대응 방안 도출부(600)는 파손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제수변을 차단시키는 것을 대응 방안으로 도출할 수 있다. 반면, 파손이 발생된 에너지 설비가 전력선인 것으로 식별되고, 전력선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대응 방안 도출부(600)는 파손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대응 방안으로 도출할 수 있다. 이외에도 대응 방안 도출부(600)는 에너지 설비의 이상으로 인한 파급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대응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교통 정보 수집부(400)는 위치 식별부(200)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통 정보 수집부(400)는 위치 식별부(200)를 통해 식별된 위치에 대응하는 버스의 노선 정보 및 운행 정보를 버스교통정보시스템(Bus Information System)으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즉, 교통 정보 수집부(400)는 버스교통정보시스템으로부터 재난이 발생된 위치를 경유하는 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 재난이 발생된 위치를 경유하는 버스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버스의 노선 정보 및 운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우회 정보 생성부(500)는 교통 정보 수집부(400)를 통해 수집된 교통 정보와 위치 식별부(200)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기반하여 우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우회 정보 생성부(500)는 재난으로 인해 일부 교통로가 이용 불가능하게 됨에 따른 시민의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재난이 발생된 위치를 경유하지 않도록 하는 우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회 정보 생성부(500)는 버스의 노선 정보에 재난이 발생된 위치를 경유하는 경로가 포함되지 않도록 하는 우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송부(700)는 위치 식별부(200)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 상태 판단부(300)를 통해 판단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 및 교통 정보 수집부(400)를 통해 수집된 교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유관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700)는 위치 식별부(200)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 상태 판단부(300)를 통해 판단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 및 교통 정보 수집부(400)를 통해 수집된 교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 설정된 담당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유관기관은 에너지 설비를 관리하는 에너지 기관, 경찰서, 소방서, 지방자치단체(즉, 시청), 및 교통회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송부(700)는 재난의 위치, 에너지 설비의 상태 및 교통 정보를 유관기관에 전송함으로써 재난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부(700)는 재난의 위치, 에너지 설비의 상태 및 교통 정보를 경찰서에 전송함으로써 해당 재난의 위치에 대한 차량 통제 등의 조치가 신속하게 시행되도록 유도할 수 있고, 경찰서에 전송함으로써 화재 진압, 긴급 구조 등의 구조활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고, 에너지 기관에 전송함으로써 파급 방지 작업 또는 재난의 복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700)는 우회 정보 생성부(500)를 통해 생성된 우회 정보를 유관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전송부(700)는 재난으로 인한 2차 피해 또는 교통 혼잡을 방지하기 위해 우회 교통 정보를 버스회사, 택시회사와 같은 교통회사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700)는 대응 방안 도출부(600)를 통해 도출된 대응 방안을 유관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전송부(700)는 대응 방안을 유관기관으로 전송하여 재난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유도함으로써 피해가 파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700)는 식별된 재난의 위치, 에너지 설비의 상태, 및 교통 정보를 재난의 위치에 기반하여 해당 재난의 위치로의 접근을 자제하도록 요청하는 재난 매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재난 메시지를 해당 재난이 발생된 지역의 거주민, 또는 해당 재난의 위치에서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시민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라우드 소싱을 통해 신속하게 재난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 발생 시 재난이 발생된 지역의 주변에 위치한 CCTV와 연계하여 재난의 위치를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 발생 시 재난이 발생된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유관기관에 전송함으로써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 발생 시 재난이 발생된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교통 정보를 유관기관 또는 시민에게 전송함으로써 재난으로 인한 피해의 파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시스템이 싱크홀의 발생에 대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시스템이 싱크홀의 발생에 대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시스템이 싱크홀의 발생에 대응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재난 인식부(100)는 시민으로부터 싱크홀의 발생 및 싱크홀이 발생된 지역을 포함하는 재난 제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재난 제보 메시지에 기반하여 싱크홀의 발생 및 싱크홀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할 수 있다.
이어서, 위치 식별부(200)는 위치 식별부(200)를 통해 싱크홀의 발생이 인식된 것에 응답하여 싱크홀이 발생된 지역의 주변에 위치한 CCTV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에 기반하여 싱크홀의 위치 및 규모를 식별할 수 있다. 즉, 위치 식별부(200)는 도 3과 같이 싱크홀이 발생된 지역의 주변에 위치한 CCTV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싱크홀의 위치 및 규모를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상태 판단부(300)는 위치 식별부(200)를 통해 식별된 싱크홀의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태 판단부(300)는 싱크홀이 발생된 위치에 대응되는 도로횡단면도를 분석하여 싱크홀의 위치에 위치하는 전력, 상수, 하수, 가스, 난방, 통신 설비관 등의 에너지 설비를 식별할 수 있다. 즉, 상태 판단부(300)는 도 4와 같이 도로횡단면도를 분석하여 싱크홀의 위치에 위치하는 에너지 설비를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상태 판단부(300)는 식별된 에너지 설비에 구비된 계측기로부터 수집되는 계측 정보와 CCTV를 통해 수집된 영상를 이용하여 식별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파손 여부, 파손 정보, 파손 위치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이어서, 교통 정보 수집부(400)는 위치 식별부(200)를 통해 식별된 싱크홀의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정보 수집부(400)는 싱크홀의 위치를 경유하는 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 싱크홀의 위치를 경유하는 버스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버스의 노선 정보 및 운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어서, 전송부(700)는 위치 식별부(200)를 통해 식별된 싱크홀의 위치, 상태 판단부(300)를 통해 판단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 및 교통 정보 수집부(400)를 통해 수집된 교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에너지 기관, 경찰서, 소방서, 지방자치단체, 및 교통회사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싱크홀을 인지하고, 싱크홀의 위치 및 규모를 파악하고, 싱크홀의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를 식별하고, 식별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파악하고, 싱크홀의 위치와 관련된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정보들을 유관기관에 전송함으로써 싱크홀의 발생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재난 인식부(100)는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할 수 있다.(S100 단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인식부(100)는 크라우드 소싱(Crowd Sourcing)을 이용하여 재난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재난에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재난의 발생 및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인식부(100)는 각 지역에 구비된 계측기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측기는 상/하수도관 또는 난방/온수 배관에 구비되어 상/하수도관 또는 난방/온수 배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수압계, 가스 배관에 구비되어 가스 배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 전력선이 구비되어 전력선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식별부(200)는 재난 인식부(100)를 통해 재난의 발생이 인식된 것에 응답하여 재난이 발생된 지역의 주변에 위치한 CCTV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에 기반하여 재난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S200 단계)
상태 판단부(300)는 위치 식별부(200)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를 식별하고, 식별된 에너지 설비로부터 계측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계측 정보 및 수집된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300 단계)
대응 방안 도출부(600)는 상태 판단부(300)를 통해 판단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에 기반하여 대응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S400 단계)
교통 정보 수집부(400)는 위치 식별부(200)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500 단계)
우회 정보 생성부(500)는 교통 정보 수집부(400)를 통해 수집된 교통 정보와 위치 식별부(200)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기반하여 우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600 단계)
전송부(700)는 위치 식별부(200)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 상태 판단부(300)를 통해 판단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 교통 정보 수집부(400)를 통해 수집된 교통 정보, 우회 정보 생성부(500)를 통해 생성된 우회 정보, 대응 방안 도출부(600)를 통해 도출된 대응 방안 중 적어도 하나를 유관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S700 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은 크라우드 소싱을 통해 신속하게 재난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재난 발생 시 재난이 발생된 지역의 주변에 위치한 CCTV와 연계하여 재난의 위치를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재난 발생 시 재난이 발생된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유관기관에 전송함으로써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재난 발생 시 재난이 발생된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교통 정보를 유관기관 또는 시민에게 전송함으로써 재난으로 인한 피해의 파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재난 인식부
200: 위치 식별부
300: 상태 판단부
400: 교통 정보 수집부
500: 우회 정보 생성부
600: 대응 방안 도출부
700: 전송부

Claims (1)

  1.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상기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하는 재난 인식부;
    상기 재난 인식부를 통해 재난의 발생이 인식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재난이 발생된 지역의 주변에 위치한 CCTV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영상에 기반하여 상기 재난의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 식별부;
    상기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에너지 설비로부터 계측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계측 정보 및 상기 수집된 영상에 기반하여 상기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상기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교통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와, 상기 상태 판단부를 통해 판단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와, 상기 교통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교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유관기관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 인식부는, 크라우드 소싱을 이용하여 재난이 발생된 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제보 메시지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재난 제보 메시지에 기반하여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하고,
    상기 재난 인식부는, 특정 지역에 대한 재난 제보 메시지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개수 이상 수신되는 경우 상기 특정 지역에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교통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교통 정보와 상기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기반하여 우회 정보를 생성하는 우회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우회 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우회 정보를 상기 유관기관으로 전송하고,
    상기 재난 인식부는, 각 지역에 구비된 계측기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상기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하고,
    상기 계측기는, 상/하수도관 또는 난방/온수 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수도관 또는 상기 난방/온수 배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수압계, 가스 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 배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 전력선이 구비되어 상기 전력선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판단부를 통해 판단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재난에 관한 대응 방안을 도출하는 대응 방안 도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대응 방안 도출부를 통해 도출된 대응 방안을 상기 유관기관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응 시스템.
KR1020220103732A 2020-11-19 2022-08-19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102518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732A KR102518701B1 (ko) 2020-11-19 2022-08-19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382A KR102436590B1 (ko) 2020-11-19 2020-11-19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103732A KR102518701B1 (ko) 2020-11-19 2022-08-19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382A Division KR102436590B1 (ko) 2020-11-19 2020-11-19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350A KR20220119350A (ko) 2022-08-29
KR102518701B1 true KR102518701B1 (ko) 2023-04-10

Family

ID=81809969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382A KR102436590B1 (ko) 2020-11-19 2020-11-19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103732A KR102518701B1 (ko) 2020-11-19 2022-08-19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103729A KR102518698B1 (ko) 2020-11-19 2022-08-19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103730A KR102518699B1 (ko) 2020-11-19 2022-08-19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103731A KR102518700B1 (ko) 2020-11-19 2022-08-19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103733A KR102518702B1 (ko) 2020-11-19 2022-08-19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382A KR102436590B1 (ko) 2020-11-19 2020-11-19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729A KR102518698B1 (ko) 2020-11-19 2022-08-19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103730A KR102518699B1 (ko) 2020-11-19 2022-08-19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103731A KR102518700B1 (ko) 2020-11-19 2022-08-19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103733A KR102518702B1 (ko) 2020-11-19 2022-08-19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6) KR1024365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515B1 (ko) * 2022-05-31 2023-02-21 주식회사 그라운드원 유저 단말기의 스캐닝 이미지를 처리하여 생활편의 서비스를 증강현실 기반으로 제공하는 플랫폼의 운영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651B1 (ko) * 2018-12-13 2020-10-12 유재경 산업용 가스공급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8700B1 (ko) 2023-04-10
KR102518702B1 (ko) 2023-04-10
KR102436590B1 (ko) 2022-08-29
KR20220121230A (ko) 2022-08-31
KR20220068514A (ko) 2022-05-26
KR20220120535A (ko) 2022-08-30
KR20220119349A (ko) 2022-08-29
KR20220121229A (ko) 2022-08-31
KR102518699B1 (ko) 2023-04-10
KR102518698B1 (ko) 2023-04-10
KR20220119350A (ko) 202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19473A2 (en) Multi-utility integrity monitoring and display system
US20220276116A1 (en) Non-intrusive integral system for pipelines monitoring in real time
KR100989332B1 (ko) 통합 방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 관리 방법
WO2012047072A1 (ko) 가스 충전소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518702B1 (ko)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0933A (ko) 지능형 가스 누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550289B (zh) 适用于采煤工作面区域限员的方法、管理服务器及系统
CN112288320A (zh) 一种地铁运行风险监控和管理系统
JP2011151656A (ja) 被災状況表示システム
KR101935798B1 (ko) 비콘 송신기를 활용한 위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38621B1 (ko) 공정안전관리 대상 사업장에 대한 안전관리 방법
KR20150059505A (ko) 기지국 유동인구 정보를 활용한 재난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00073563A (ko) 상수관망 누수 정보 제공 시스템
CN103930935A (zh) 用于监控已安装的基础设施的系统
CN115826483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慧消防安全决策方法及系统
CN108650124A (zh) 一种基于WebGIS的电网通信预警系统
US2008020422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180070024A (ko) 맨홀 침수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CN111678054A (zh) 一种管道故障检测方法、装置以及系统
KR20130141404A (ko) 이동하는 사용자를 위한 실시간 감시 시스템
JP4078160B2 (ja) 災害避難支援システムおよび災害避難支援方法
KR102428455B1 (ko) 통신망 기반 유해화학사고 감지 및 대응 시스템
CN114676347A (zh) 一种基于高精度地图app供电服务可视化方法
KR20210059966A (ko) 생활안전 통합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생활안전 통합 예측 방법
JP2001283365A (ja) 計測機器管理装置および計測機器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