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550B1 -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550B1
KR102518550B1 KR1020180117090A KR20180117090A KR102518550B1 KR 102518550 B1 KR102518550 B1 KR 102518550B1 KR 1020180117090 A KR1020180117090 A KR 1020180117090A KR 20180117090 A KR20180117090 A KR 20180117090A KR 102518550 B1 KR102518550 B1 KR 102518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mode
stage
moved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7630A (ko
Inventor
이승환
이국호
박우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7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550B1/ko
Publication of KR20200037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2059/081Range selector apparatus using knops or discs for rotary range se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2059/082Range selector apparatus with different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는, 제1 작동과 제2 작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도록, 차량의 실내에 제공되는 노브를 포함하여, 노브가 상기 제1 작동에 의해 특정 위치로 이동되면 드라이브 변속단이 선택되고, 드라이브 변속단이 선택된 상태에서 노브가 제2 작동을 수행하게 되면 드라이브 모드가 변경되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주행조작장치{DRIVING MANIPULATION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엔진의 동력을 적절한 구동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변속기가 설치된다.
종래에 차량의 조향 및 제동 기술은 기계적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움직이거나, 변속레버를 움직이는 등의 물리적인 힘을 가할 경우 차량은 그 힘을 기계적 운동 에너지로 바꿔 구동하는 형태로 구현되었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 근래에는 '엑스 바이 와이어(X-By-Wire)'기술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엑스 바이 와이어 기술은 케이블이나 로드, 유압 등으로 전달해 조정하던 것을 와이어(전선)로 바꾸어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차량 분야에서는 조향 시스템과 제동 시스템 분야에서 주로 적용,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차량에 케이블을 통한 직접 변속이 아닌 시프트 바이 와이어(Shift-By-Wire)가 적용되는 차량이 늘어나고 있다. 시프트 바이 와이어 기술을 이용할 경우, 기계적 시스템으로 변속레버를 구성할 때에 비해 변속레버의 구조 및 기능의 자유도가 증가될 수 있다.
한편, 변속레버(또는 변속 조작부)가 설치되는 차량의 콘솔에는 변속레버 이외에도 다양한 조작부들이 마련된다. 예를 들면, 스포츠모드, 컴포터모드 등의 드라이브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드라이브 모드 조작부가 마련될 수 있다.
그런데, 여러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조작부가 늘어나게 되면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떨어지고, 콘솔에서 조작부들이 차지하는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운전자가 많이 사용하면서도 서로 기능적인 관련성이 높은 드라이브 변속단의 선택과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을 하나의 조작부(예를 들면, 노브)로 가능하게 하는 주행조작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는, 제1 작동과 제2 작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도록, 차량의 실내에 제공되는 노브를 포함하여, 상기 노브가 상기 제1 작동에 의해 특정 위치로 이동되면 드라이브 변속단이 선택되고, 드라이브 변속단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노브가 상기 제2 작동을 수행하게 되면 드라이브 모드가 변경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하나의 조작부를 이용해 드라이브 기어단의 선택과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이 가능하므로, 운전자의 조작 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드라이브 기어단을 선택하는 제1 작동과 드라이브 모드를 선택하는 제2 작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되어, 제1 작동과 제2 작동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어, 사용자가 제1 작동과 제2 작동을 혼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드라이브 기어단의 선택을 위한 조작부와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을 위한 조작부를 통합하여 하나의 노브로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콘솔에서 주행조작장치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주행조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주행조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주행조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주행조작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는 제1 작동과 제2 작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도록, 차량의 실내에 제공되는 노브(15)와; 노브(15)의 위치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노브 움직임 획득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노브(15)가 제1 작동에 의해 특정 위치로 이동되면 드라이브 변속단(D단)이 선택되고, 드라이브 변속단(D단)이 선택된 상태에서 노브(15)가 상기 제2 작동을 수행하게 되면 드라이브 모드가 변경되도록 마련된다.
종래의 주행조작장치는 기어단의 변속을 위한 기어변속장치(gear shift device)와 주행 모드의 선택을 위한 주행모드선택장치(driving-mode selection device) 각각이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운전 중에 조작하기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기어변속장치와 주행모드선택장치가 별도로 구비되므로 차량의 콘솔에서 이들이 차지하는 부피가 커, 콘솔에 다른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더 배치하는 것이 제한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차량 별로 기어변속장치와 주행모드선택장치의 배치 및 구동 방식이 달라, 사용자로 하여금 일관된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을 제공하는 것이 어려웠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는 드라이브 변속단(D단)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와 드라이브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를 통합한 주행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는, 하나의 노브(15)를 이용하여 드라이브 변속단(D단)의 선택과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제1 작동과 제2 작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도록, 차량의 실내에 제공되는 노브(15)를 포함하고, 노브(15)가 제1 작동에 의해 특정 위치로 이동되면 드라이브 변속단(D단)이 선택되고, 드라이브 변속단(D단)이 선택된 상태에서 노브(15)가 제2 작동을 수행하게 되면 드라이브 모드가 변경되도록 마련되는 것에 기본적인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의 특징을 이하에서 보다 상술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주행조작장치는 베이스(10)를 포함하고, 베이스(10) 상에 기어단의 시프트를 위한 조작부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10) 상에는 주차 기어단(P단)을 선택하기 위한 P단 버튼(11)이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10) 상에는 후진 기어단(R단)을 선택하기 위한 R단 버튼(12)이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10) 상에는 차량이 운전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이동되는 것(예를 들면, 언덕을 오르던 차량이 정차 후 다시 출발 할 때 언덕 아래쪽으로 차량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 멈춤 기능을 온(ON) 및 오프(OFF) 시키는 오토홀드 버튼(13)이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10) 상에는 중립 기어단(N단)을 선택하기 위한 N단 버튼(14)이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10) 상에는 드라이브 기어단(D단)을 선택하기 위한 노브(15)가 구비될 수 있다.
노브(15)는 원판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노브(15)는 도 1의 D표시 아래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노브(15)를 이동시키는 것을 통하여 드라이브 기어단(D단)을 선택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P단 버튼(11)과 R단 버튼(12)과 오토홀드 버튼(13)과 N단 버튼(14)이 구비되는 베이스(10)의 전방에서 노브(15)가 구비되는 베이스(10)의 후방을 향하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노브(15)는 전후로 슬라이딩 무빙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노브(15)는 D표시 아래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즉, 후측 방향)으로 노브(15)를 이동시킴으로써 드라이브 기어단(D단)이 선택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노브(15)는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감을 느끼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조작 없이 노브(15)가 전후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 방지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브(15)에는 디텐트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노브(15)는 드라이브 기어단(D단)이 선택된 상태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노브(15)는 DRIVE MODE의 좌우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주행모드(driving-mode)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편함모드(comfort-mode), 에코모드(eco-mode), 스포츠모드(sport-mode), 스마트모드(smart-mode).
노브(15)는 노브(15)를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주행모드를 선택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노브(15)는 사용자가 노브를 회전시킬 때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노브(15)의 외주면에 돌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노브(15)는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감을 느끼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조작 없이 노브(15)가 회전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이동 방지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브(15)에는 회전 방향으로 디텐트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10)는 상측에 변속단의 선택을 위한 조작부들과 노브가 설치되고, 위와 같은 조작부들과 노브의 구동을 위한 구성품들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R단 버튼(12)은 누름 조작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P단 버튼(11)과 오토홀드 버튼(13) 또한 R단 버튼(12)과 마찬가지로 누름 조작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N단 버튼(14)은 누름 조작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P단 버튼(11), R단 버튼(12), 오토홀드 버튼(13), 및 N단 버튼(14)은 사용자의 누름 조작 이후에 P단 버튼(11), R단 버튼(12), 오토홀드 버튼(13), 및 N단 버튼(14) 각각이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P단 버튼(11), R단 버튼(12), 오토홀드 버튼(13), 및 N단 버튼(14) 각각은 사용자의 누름 조작 시 해당 기능이 동작됨을 알리기 위해, 발광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부재는 LED 모듈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노브(15)는 화살표 방향(15a)으로 이동되며 드라이브 기어단이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브(15)는 화살표 방향(15b)으로 회전되며 드라이브 모드가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노브(15)는 슬라이딩 무빙에 의해 드라이브 기어단(D단)이 선택되었을 때에만 노브(15)의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으나, 그렇지 않고 드라이브 기어단(D단)이 선택되지 않았을 때에도 노브(15)의 회전 이동이 가능하되 이 경우에는 드라이브 모드의 변경이 가능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주행조작장치는 노브(15)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무빙에 의해 드라이브 기어단(D단)을 선택 가능하고, 노브(15)의 회전 무빙에 의해 드라이브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드라이브 기어단의 선택과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을 위해 취하여야 하는 조작 동선이 최소화 되고, 조작방식이 통일 되므로 조작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노브(15)를 이용하여 기어단 선택과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이 가능하면서도, 기어단을 선택하는 작동(제1 작동)과 드라이브 모드를 선택하는 작동(제2 작동)이 방식이 서로 다르게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실수로 잘 못 조작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기어단 선택과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드라이브 기어단의 선택을 위한 조작부와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을 위한 조작부를 통합하여 하나의 노브로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콘솔에 주행조작장치가 차지하는 부피가 줄어들고, 추가적인 기능들을 더 배치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제 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주행조작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제 1 실시예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는 제 1 실시예와 노브(25)의 조작 방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노브(25)는 누름 조작에 의해 상하 방향(25a)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노브(25)는 상하 방향(25a)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25b)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는, 드라이브 기어단(D단)의 선택을 위한 제1 작동시의 노브(25)의 궤적과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을 위한 제2 작동 시의 노브(25)의 궤적이 서로 다른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제1 작동과 제2 작동이 확연하게 다른 조작감을 사용자에게 부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드라이브 기어단(D단)의 선택을 위한 조작과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을 위한 조작을 혼동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노브(25)는 누름 조작에 의한 상하 무빙에 의해 드라이브 기어단(D단)이 선택되었을 때에만 노브(25)의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으나, 그렇지 않고 드라이브 기어단(D단)이 선택되지 않았을 때에도 노브(25)의 회전 이동이 가능하되 이 경우에는 드라이브 모드의 변경이 가능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5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주행조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주행조작장치는 베이스(30)를 포함하고, 베이스(10) 상에 기어단의 시프트를 위한 조작부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30) 상에는 주차 기어단(P단)을 선택하기 위한 P단 버튼(31)이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30) 상에는 후진 기어단(R단), 중립 기어단(N단), 또는 드라이브 기어단(D단)으로 기어단을 시프트 하기 위한 노브(35)가 구비될 수 있다.
노브(35)는 원통 또는 원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노브(35)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틸팅(tilting) 이동되는 것에 의해 기어단의 시프트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브(35)는 전방으로 틸팅되는 무빙(35a)에 의해 후진 기어단(R단)이 선택되고, 후방으로 틸팅되는 무빙(35b)에 의해 드라이브 기어단(D단)이 선택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노브(35)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틸팅되지 않는 위치에 정위치할 때 중립 기어단(N단)이 선택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노브(35)는 베이스(30)에 형성된 노브 수용공간에 노브(35)의 일부가 삽입되어 전후로 틸팅 무빙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노브(35)는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감을 느끼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조작 없이 노브(15)가 틸팅되거나 틸팅된 상태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틸팅이동 방지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이동 방지구조는 디텐트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노브(35)는 후방으로 틸팅되는 무빙(35b)에 의해 드라이브 기어단(D단)이 선택된 상태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노브(35)가 회전되는 작동에 의해 드라이브 모드가 선택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은 틸팅 무빙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틸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주행조작장치는 노브(35)의 전후 방향 틸팅 무빙에 의해 드라이브 기어단(D단), 중립 기어단(N단), 또는 후진 기어단(R단)을 선택 가능하고, 노브(35)의 회전 무빙에 의해 드라이브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기어단 선택과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을 위해 취하여야 하는 조작 동선이 최소화 되고, 조작방식이 통일 되므로 조작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노브(35)를 이용하여 기어단 선택과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이 가능하면서도, 기어단을 선택하는 작동(제1 작동)과 드라이브 모드를 선택하는 작동(제2 작동)이 방식이 서로 다르게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실수로 잘 못 조작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기어단 선택과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즉, 제1 작동시의 노브(35)의 궤적과 제2 작동시의 노브(35)의 궤적이 서로 다른 평면 상에 위치하므로, 둘의 조작 방식에 차이가 확연해진다.
또한, 드라이브 기어단의 선택을 위한 조작부와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을 위한 조작부를 통합하여 하나의 노브로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콘솔에 주행조작장치가 차지하는 부피가 줄어들고, 추가적인 기능들을 더 배치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제 4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주행조작장치는 베이스(40)를 포함하고, 베이스(40) 상에 기어단의 시프트를 위한 조작부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40) 상에는 주차 기어단(P단)을 선택하기 위한 P단 버튼(41), 후진 기어단(R단)을 선택하기 위한 R단 버튼(42), 및 중립 기어단(N단)을 선택하기 위한 N단 버튼(44)이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40) 상에는 드라이브 기어단(D단)을 선택하고, 드라이브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노브(45)가 구비될 수 있다.
노브(45)는 중앙에 누름 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노브 푸쉬조작부(451)를 포함할 수 있다. 노브(45)는 노브 푸쉬조작부(451)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 드라이브 기어단(D단)이 선택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노브(45)는 노브 푸쉬조작부(451)의 외주면을 감싸며,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노브 회전조작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
노브(45)는 노브(45)를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주행모드를 선택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노브(45)는 사용자가 노브를 회전시킬 때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노브(45)의 외주면에 돌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노브(45)는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감을 느끼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조작 없이 노브(45)가 회전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이동 방지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브 푸쉬조작부(451)와 노브 회전조작부(452)의 사이에는 디텐트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주행조작장치는 노브(45)가 베이스(40) 상에 면접하게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노브의 전체적인 부분이 슬라이딩 무빙되거나 틸팅 무빙이 되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비해서 노브(45)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노브 푸쉬조작부(451)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노브 회전조작부(452)가 회전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각각의 부재가 서로 다른 작동을 각각 담당하게 되므로, 하나의 노브가 전체로서 서로 다른 제1, 제2 작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경우보다 안정적인 구성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
또한, 노브 푸쉬조작부(451)와 노브 회전조작부(452)를 서로 다른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상이한 조작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혼동하여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제 5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제 1 실시예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는 제 1 실시예와 노브(55)의 조작 방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노브(55)는 누름 조작에 의해 드라이브 기어단(D단)이 선택되고, 전후 방향 조작에 의해 드라이브 모드가 선택되게 마련될 수 있다.
노브(55)는 누름 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제1 작동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노브(55)는 전후로 이동되는 제2 작동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노브(55)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된 후, 외력이 제거되면 노브(55)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상하방향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노브(55)는 사용자의 전후 방향 푸쉬(또는 당김) 조작에 의해 이동된 후, 외력이 제거되면 노브(55)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전후 방향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탄성부재가 위의 상하방향 복원력 및 전후 방향 복원력을 모두 담당할 수도 있고, 복수의 탄성부재가 각각 상하방향 복원력과 전후 방향 복원력을 담당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주행조작장치는 누름 조작에 의한 상하 이동과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만 구비되면 족하므로, 작동 방식이 이전의 실시예들에 비해 간단하여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노브는 회전 이동이 가능하거나 틸팅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어야 하므로, 구성이 다소 복잡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노브는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의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구조가 보다 간단해질 수 있다.
제 6 실시예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 6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는 제 3 실시예에서의 노브의 기능에 추가로 모드 변경 기능이 더 구비되는 점에서 제 3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노브(65)는 제 3 실시예의 노브(35)와 마찬가지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틸팅(또는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에 의해 기어단의 시프트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브(65)는 전방으로 틸팅(또는 슬라이딩)되는 무빙에 의해 후진 기어단(R단)이 선택되고, 후방으로 틸팅(또는 슬라이딩)되는 무빙에 의해 드라이브 기어단(D단)이 선택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노브(65)는 기준위치(또는, 중립 위치)에 정위치할 때 중립 기어단(N단)이 선택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노브(65)는 후방으로 틸팅(또는 슬라이딩)되는 무빙에 의해 드라이브 기어단(D단)이 선택된 상태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노브(65)가 회전되는 작동에 의해 드라이브 모드가 선택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은 틸팅(또는 슬라이딩) 무빙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틸팅(또는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노브(65)는 누름 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노브(65)는 노브 푸쉬조작부(651)와 노브 회전조작부(652)를 포함할 수 있다.
노브 푸쉬조작부(651)는 중앙에 누름 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노브(65)는 노브 푸쉬조작부(651)와 노브 회전조작부(652)를 포함하는 노브(65)가 전체적으로 틸팅 또는 슬라이딩 이동(제1 작동)되며 드라이브 기어단(D단)이 선택되고, 드라이브 기어단(D단)이 선택된 상태에서 노브 회전조작부(652)가 회전(제2 작동)되며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노브(65)는 노브 푸쉬조작부(651)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작동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이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또는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브(65)는 노브 푸쉬조작부(651)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제3 작동)되며, 드라이브 모드를 선택하는 제1 모드(도 9b의 m1)에서 터레인 모드를 선택하는 제2 모드(도 9b의 m2)로 전환되거나 상기 제2 모드(도 9b의 m2)에서 상기 제1 모드(도 9b의 m1)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모드(도 9b의 m1)에서 노브 회전조작부(652)를 회전시키게 되면 드라이브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제2 모드(도 9b의 m2)에서 노브 회전조작부(652)를 회전시키게 되면 터레인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터레인 모드는 다양한 도로 환경에 따라 차량을 달리 제어하기 위해, 도로의 종류를 선택 가능하게 한 것으로서, 스노우모드(snow-mode), 샌드모드(sand-mode), 및 머드모드(mud-m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9b와 같이 노브(65)의 인근에 선택 가능한 드라이브 모드 및 터레인 모드가 표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 가능한 기능을 알아보기 쉽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주행조작장치는, 기어 변속단을 선택하기 위한 제1 작동과 드라이브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작동에 더하여, 제1 작동 및 제2 작동과는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제3 작동이 가능하게 노브가 구비됨으로써, 하나의 노브(65)를 이용해 기어 변속단의 선택 및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에 더해 추가적인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기어 변속단의 선택,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 및 별도의 기능의 선택(예를 들면 터레인 모드의 선택)을 위해 조작하여야 하는 조작동선을 최소화하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위의 기능들을 모두 조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보다도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노브로 구현 가능하므로, 조작부의 부피도 최소화할 수 있어, 갈수록 복잡하고 다양해져 가는 차량의 기능들을 더 많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 7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제 7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제 6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 7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는 누름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노브 푸쉬조작부(751)를 작동시킬 때 수행되는 기능에 있어서 제 6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노브(75)는 사용자의 푸쉬 조작에 의해 노브 푸쉬조작부(751)가 상하로 이동되는 제3 작동을 수행하게 되면, 운전자 지원 기능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자율 주행 기능이 온(ON)되거나 오프(OFF)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노브 푸쉬조작부(751)를 푸쉬하는 동작에 의해 자율 주행 기능이 온(ON)되고, 자율 주행 기능이 온(ON)되어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노브 푸쉬조작부(751)를 다시 푸쉬하는 동작에 의해 자율 주행 기능이 오프(OFF)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0, 20, 30, 40, 50, 60, 70: 베이스
11, 21, 31, 41, 51, 61, 71: P단 버튼
12, 22, 42, 52: R단 버튼
13, 23, 53: 오토홀드 버튼
14, 24, 44, 54: N단 버튼
15, 25, 35, 45, 55, 65, 75: 노브
451, 651, 751: 노브 푸쉬조작부
452, 652, 752: 노브 회전조작부

Claims (14)

  1. 제1 작동과 제2 작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도록, 차량의 실내에 제공되는 노브를 포함하여,
    상기 노브가 상기 제1 작동에 의해 특정 위치로 이동되면 드라이브 변속단이 선택되고, 드라이브 변속단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노브가 상기 제2 작동을 수행하게 되면 드라이브 모드가 변경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노브는,
    상기 제1 작동 및 상기 제2 작동에 의해 선택되거나 변경되는 기능 이외의 기능을 더 수행하기 위해, 제3 작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작동 및 상기 제2 작동과 독립적으로 수행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노브가 상기 제3 작동을 수행하게 되면, 상기 제2 작동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이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또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되도록 마련되는,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 및 상기 제2 작동 중에서 어느 하나는 상기 노브가 직선적으로 이동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노브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되는 것인,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노브가 상기 제1 작동에 의해 홈 위치에서 상기 특정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드라이브 변속단이 선택되고,
    드라이브 변속단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노브가 상기 제2 작동에 의해 축회전되면 드라이브 모드가 변경되는,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은,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노브가 제1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되는 것이고,
    상기 제2 작동은, 상기 노브가 제2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되는 것인,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 시의 상기 노브의 궤적과 상기 제2 작동 시의 상기 노브의 궤적은 서로 다른 평면 상에 있는,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은,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노브가 직선적으로 이동되는 것이고,
    상기 제2 작동은, 상기 제1 작동에 의해 상기 노브가 이동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노브가 회전 이동되는 것인,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과 상기 제2 작동 중에서 어느 하나는 상기 노브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틸팅되게 이동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작동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틸팅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노브가 회전 되는 것인,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 및 상기 제2 작동 중에서 어느 하나는 상기 노브가 제1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노브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되는 것이고,
    상기 제3 작동은,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노브가 제2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되는 것인,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과 상기 제2 작동 중에서 어느 하나는 상기 노브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틸팅되게 이동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작동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틸팅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노브가 회전 되는 것이고,
    상기 제3 작동은,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노브가 제2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되는 것인,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브가 상기 제3 작동을 수행하게 되면, 운전자 지원 기능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자율 주행 기능이 온(ON)되거나 오프(OFF)되도록 마련되는,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12. 삭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는, 상기 노브가 상기 제2 작동을 수행하게 되면 드라이브 모드가 변경되고,
    상기 제2 모드에서는, 상기 노브가 상기 제2 작동을 수행하게 되면 터레인 모드가 변경되고,
    상기 터레인 모드는, 다양한 도로 환경에 따라 차량을 달리 제어하기 위해, 도로의 종류를 선택 가능하게 한 것인,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위치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노브 움직임 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KR1020180117090A 2018-10-01 2018-10-01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KR102518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090A KR102518550B1 (ko) 2018-10-01 2018-10-01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090A KR102518550B1 (ko) 2018-10-01 2018-10-01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630A KR20200037630A (ko) 2020-04-09
KR102518550B1 true KR102518550B1 (ko) 2023-04-07

Family

ID=70275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090A KR102518550B1 (ko) 2018-10-01 2018-10-01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5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3868A (ja) 2001-02-01 2002-10-03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A Division Jsj Corp 電子式ギヤシフトリセットを有する収納可能なシフタ
US20130220055A1 (en) * 2012-02-28 2013-08-29 Nissan North America, Inc. Multifunctional integrated shifter
KR101349404B1 (ko) 2011-11-28 2014-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시프트/틸트 록킹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339B1 (ko) * 2014-07-11 2020-09-01 에스엘 주식회사 통합 변속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3868A (ja) 2001-02-01 2002-10-03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A Division Jsj Corp 電子式ギヤシフトリセットを有する収納可能なシフタ
KR101349404B1 (ko) 2011-11-28 2014-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시프트/틸트 록킹 장치 및 방법
US20130220055A1 (en) * 2012-02-28 2013-08-29 Nissan North America, Inc. Multifunctional integrated shif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630A (ko) 202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8430B2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system
CN105393027B (zh) 用于交通工具的换档范围转换装置
US10865875B2 (en) Dial shift lever device for vehicle
US7107868B2 (en) Transmission operat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0604441B1 (ko) 자동변속기용 햅틱 변속 장치
US20080257701A1 (en) Multifunctional rotary switch
JP2000309232A (ja) 選択装置を備えた自動車
KR102457120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JP4373212B2 (ja) 自動シフト装置の運転状態を調節するための信号発生器
KR102105842B1 (ko)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
AU2009205267B2 (en) Gear shifting mechanism
US20230140082A1 (en) Operator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steering wheel, dashboard, center console or armrest for a vehicle with an operator control device, vehicle with an operator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operator control device
CN111379849B (zh) 车辆用变速装置
CN104847880A (zh) 单稳态旋转式变速器选择器
JP6671038B2 (ja) 変速機の入力装置
JP2018203233A (ja) 入力装置
KR102150339B1 (ko) 통합 변속 장치
KR102518550B1 (ko)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CN108506470B (zh) 杆装伸缩式换挡旋钮
KR101776527B1 (ko) 다이얼형 tgs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어 변속 방법
KR101585473B1 (ko) 노브 변환형 전자식 변속레버
CN210423680U (zh) 一种电子换挡机构及汽车
JP2002254952A (ja) シフト装置
JP4705529B2 (ja) レンジ切替操作装置
KR20200029781A (ko) 차량용 변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