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119B1 - Reinforcement structure of end electric pol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einforcement structure of end electric pol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119B1
KR102518119B1 KR1020200189260A KR20200189260A KR102518119B1 KR 102518119 B1 KR102518119 B1 KR 102518119B1 KR 1020200189260 A KR1020200189260 A KR 1020200189260A KR 20200189260 A KR20200189260 A KR 20200189260A KR 102518119 B1 KR102518119 B1 KR 102518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plate
electric pole
delete delete
circumferential surface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2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96638A (en
Inventor
김우범
남계희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남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남계희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89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119B1/en
Publication of KR20220096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6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1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0Side-supporting means therefor, e.g. using guy ropes or str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라운드 형상의 보강 플레이트; 및 전주의 외주면 및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를 전주와 결속시키고,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결속 밴드를 포함하는 전주 보강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 플레이트와 결속 밴드를 사용하여 전주를 보강하므로 지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주의 휨을 방지할 수 있고, 보강 플레이트와 결속 밴드의 사용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유지 관리가 편리하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und-shaped reinforcing plate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And while wrapp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to bind the reinforcing plate with the electric pole, it relates to a pole reinforcement structure and method including a plurality of binding bands provid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ectric pole is reinforced using the reinforcing plate and the binding band, bending of the electric pole can be prevented without using a branch wire, it can be easily installed by using the reinforcing plate and the binding band, and maintenance is convenient.

Description

전주 보강 구조 및 방법 {Reinforcement structure of end electric pole and Method thereof}Reinforcement structure of end electric po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주 보강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선을 지지하는 전주를 보강하는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and method for reinforcing an electric po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and method for reinforcing an electric pole supporting an electric wire.

전주(electric pole)는 전신, 전화, 전등 등의 전선을 지지하는 기둥으로서 주로 교류 배선의 지지물로서 사용되며, 철근콘크리트주가 주로 사용된다. An electric pole is a pole supporting electric wires such as telegraph, telephone, and light, and is mainly used as a support for AC wiring, and reinforced concrete poles are mainly used.

이러한 전주 중에서 가장 끝에 위치한 단부 전주의 경우, 또는 중간에 위치하나 수평하중을 많이 받는 경우, 지선(supporting wire)을 설치하는데 지선이란 휨력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케이블을 말한다. In the case of an end pole located at the end of these poles, or in the middle but receiving a lot of horizontal load, a supporting wire is installed.

종래의 지선은 일반적으로 전주의 상부에 철밴드를 장착하고, 지선의 말단을 연결하여 대각선으로 지면에 결합시키는 구조이다. 즉, 전주가 일측으로부터 받는 장력을 반대측의 지선이 버티는 구조로 지선의 하부와 전주를 이격시켜 설치할 수 밖에 없어 많은 설치공간을 요구하고 통행에 방해가 되는 불편이 있었다.Conventional branch wires are generally structured by attaching an iron band to the top of the pole and connecting the ends of the branch wires to the ground diagonally. That is, the branch line on the opposite side bears the tension received from one side of the pole, and the lower part of the branch line and the pole can only be installed separately, requiring a lot of installation space and obstructing traffic.

이를 해결하고자, 한국공개특허 제1999-0085352호의 전주용 수직지선장치는 전주를 따라 수직으로 지선을 설치하는 점을 개시하고 있으나, 전주의 길이방향으로 수직으로 지선이 설치되는 점에서 전주의 휨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vertical branch wire device for electric poles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9-0085352 discloses that a branch wire is installed vertically along the electric pole, but the branch wire is installed vertic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le to prevent bending of the pole There is a limit to doing this.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2172202호의 경우에도 수직으로 지선이 설치되나 와이어를 사용하는 점에서 전주의 휨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유지 관리가 불편한측면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2172202, a branch line is installed vertically, but there is a limit to preventing bending of the electric pole in that it uses a wire, and maintenance is inconvenient.

따라서, 지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주의 휨을 방지하여 전주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전주 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electric pole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electric pole breakage by preventing bending of electric poles without using a branch wire.

한국등록특허 제2172202호 (2020.10.26)Korean Registered Patent No. 2172202 (2020.10.26) 한국공개특허 제1999-0085352호 (1999.12.06)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9-0085352 (1999.12.06)

본 발명의 목적은 지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주의 휨을 방지할 수 있는 전주 보강 구조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pole reinforcement structure and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bending of electric poles without using a branch wire.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 구조는 전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라운드 형상의 보강 플레이트; 및 전주의 외주면 및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를 전주와 결속시키고,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결속 밴드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lectric pole reinforc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und-shaped reinforcing plate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And while wrapp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to bind the reinforcing plate with the electric pole, and a plurality of binding bands provid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여기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전주의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reinforcing plate may be provided to surround a part or all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아울러,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복수개로 분절되어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inforcing plate may be provided by being segment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나아가, 상기 보강 플레이트 중 하단의 보강 플레이트는 지면에 하측이 매립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lower side of the lower reinforcing plate among the reinforcing plates may be buried in the ground.

게다가,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단부에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끼리 볼트 체결로 결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inforcing plate is provided with a flange at the end so that it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flanges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bolt fastening.

더욱이, 상기 결속밴드 중 상부 결속밴드들은, 각각 외면에 브라켓이 형성되고, 외부에 ㄱ형강을 포함하는 보강 트러스 구조로 서로 결합하여 보강될 수 있다.Moreover, the upper binding bands among the binding bands may be reinforced by combining with each other in a reinforcing truss structure having a bracket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an A-beam on the outside.

또한, 상기 결속밴드는, 필요에 따라 발판용 볼트가 삽입되도록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inding band may be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so that a foothold bolt is inserted, if necessary.

또한, 상기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결속밴드는, 결합이 완료된 후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plate and the coupling band may be fixed by welding after the coupling is comple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 방법은 전주의 외주면을 감싸는 하단의 보강 플레이트를 타격하여 매립하는 단계; 전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나머지 보강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단부에 구비된 플랜지끼리 볼트 체결로 결합하는 단계; 전주의 외주면 및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외면을 감싸면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결속 밴드를 체결하는 단계; 상부 트러스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트러스와 상기 결속 밴드 중의 상부 결속 밴드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 pole reinforc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striking and embedding the reinforcing plate at the bottom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Arranging the rest of the reinforcing plate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coupling flanges provided at ends of the reinforcing plate with bolts; Engaging a plurality of binding ban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il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assembling the upper truss; and combining the upper truss with an upper binding band of the binding bands.

여기서, 상기 복수의 결속 밴드를 체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결속밴드를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after the step of fastening the plurality of binding bands, a step of fixing the reinforcing plate and the binding band by welding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 구조 및 방법에 의하면, According to the electric pole reinforcement structur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보강 플레이트와 결속 밴드를 사용하여 전주를 보강하므로 지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주의 휨을 방지할 수 있다. First, since the pole is reinforced using the reinforcing plate and the binding band, bending of the pole can be prevented without using a branch wire.

둘째, 보강 플레이트와 결속 밴드의 사용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유지 관리가 편리하다. Second, it can be easily installed by using a reinforcing plate and a binding band, and maintenance is convenient.

셋째, 보강 플레이트는 전주의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고, 수직으로 분절도 가능하므로 전주의 여건에 따라 변경 적용이 가능하다. Third, the reinforcing plate may be provided to cover part or all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and may be vertically segmented, so that changes may be applied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the electric pole.

넷째, 보강 플레이트 중 하단의 보강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면에 매립하여 더 견고한 시공이 가능하다. Fourth, more robust construction is possible by embedding the lower side of the lower reinforcing plate among the reinforcing plates in the ground.

다섯째, 결속밴드 중 상부 결속밴드들과 보강 트러스 구조를 서로 결합하여 더 큰 보강이 가능하다. Fifth, greater reinforcement is possible by combining the upper binding bands and the reinforcing truss structure among the binding bands.

여섯째, 전주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발판용 볼트의 위치와 결속밴드의 위치가 일치할 때 삽입홀을 미리 만들어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Sixth, when the position of the bolt for scaffolding, which is essentially used in the pole, and the position of the binding band match, the insertion hole can be made in advance to eliminate interference.

일곱째, 보강 플레이트와 결속밴드의 결합이 완료된 후 용접으로 일체화할 수 있다. Seventh, after the coupling of the reinforcing plate and the binding band is completed, they can be integrated by weld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K-K선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D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1의 E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J-J선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n electric pole reinforceme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II shown in FIG. 1 .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1 .
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1;
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 1 .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ne KK shown in FIG. 5;
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D of FIG. 1 .
8 is an enlarged view of part E of FIG. 1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JJ shown in FIG. 8 .
10 is a flowchart of an electric pole reinforc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 구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도 1의 B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도 1의 C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K-K선의 단면도, 도 7은 도 1의 D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도 1의 E부분의 확대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J-J선의 단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n electric pole reinforceme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shown in FIG. 1,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in FIG. 1, and FIG. 4 is a view of part B in FIG.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in Figure 1,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K-K shown in Figure 5, Figure 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D in Figure 1, Figure 8 is an enlarged view of part E in FIG.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J-J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 구조는 보강 플레이트(100) 및 복수의 결속 밴드(20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전주(P)는 콘크리트(CC)와 보강근(RB)을 포함한다.1 to 8, the electric pole reinforce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inforcement plate 100 and a plurality of binding bands 200. As shown in Figure 2, the electric pole (P) includes a concrete (CC) and a reinforcing bar (RB).

보강 플레이트(100)는 전주(P)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라운드 형상을 한 구조물이다. 보강 플레이트(100)는 전주(P)의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편의상 전주(P)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싼 것만 도시하였으나 수직으로 분절하여 전주(P) 외주면의 전부를 감싸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100)의 높이는 도면상에는 전주(P) 상부의 일부가 노출되게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다. The reinforcing plate 100 is a structure having a round shape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P). Reinforcing plate 100 may be provided to cover a part or all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P). 1 and 2, for convenience, only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P) is shown, but it may be vertically segmented to wrap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P).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reinforcing plate 100 is shown to expose 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electric pole (P) on the drawing, but can be adjusted if necessary.

여기서, 보강 플레이트(100)는 도시된 것처럼 복수개로 분절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100)의 개수 역시 필요에 따라 가감이 가능하다. Here, the reinforcing plate 10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gments as shown. The number of reinforcing plates 100 can also be increased or decreased as needed.

특히,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보강 플레이트(100) 중 하단의 보강 플레이트(100L)는 지면(P)에 하측이 매립될 수 있다. 이때, 보강 플레이트(100)는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단부에 플랜지(110)가 구비되고, 플랜지(110)끼리 볼트(B) 체결로 결합할 수 있다.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3 , the lower side of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00L among the reinforcing plates 100 may be buried in the ground P.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plate 100 is provided with a flange 110 at an end so that it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flanges 11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bolts (B).

다음으로, 결속 밴드(200)는 전주(P)의 외주면 및 보강 플레이트(100)의 외면을 감싸면서 보강 플레이트(100)를 전주(P)와 결속시키고,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결속 밴드(200) 자체는 전주(P)와 보강 플레이트(100)의 외면을 감싼 후에 볼트(B) 결합하게 된다. Next, the binding band 200 binds the reinforcing plate 100 to the electric pole P while wrapp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P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100, and is provid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binding band 200 itself wraps the outer surfaces of the electric pole P and the reinforcing plate 100, and then is coupled with a bolt B.

도 1에는 결속 밴드(200)의 개수가 6개인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그 개수 역시 필요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Although the number of binding bands 200 is illustrated in FIG. 1 as six, the number can also be changed as needed.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결속밴드(200) 중 상부 결속밴드들(200U)은 각각 외면에 브라켓(210)이 형성되고, 보강 트러스 구조(300)로 서로 결합하여 보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to 7 , upper coupling bands 200U among the coupling bands 200 may have brackets 210 formed on outer surfaces thereof, and may be reinforced by combining with each other in a reinforcing truss structure 300 .

보강 트러스 구조(300)는 상부 결속밴드(200U) 3개와 결합한 것이 도시되어 있고, 결합을 위해 도 6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쌍ㄱ형강이 상부 결속밴드(200U)와 결합될 수도 있고, 도 6의 (b)에 도시된 것처럼 ㄱ형강들이 상부 결속밴드(200U)와 결합될 수도 있다. 물론 ㄱ형강들의 타단은 가셋 플레이트(GP)와 볼트(B) 결합한다.The reinforcing truss structure 300 is shown coupled with three upper coupling bands 200U, and for coupling, as shown in FIG. As shown in (b) of FIG. 6, the A-beams may be combined with the upper binding band 200U. Of course, the other ends of the A-beams are coupled to the gusset plate GP and bolts B.

도 4에는 가장 위에 위치한 상부 결속밴드(200U)와의 결합상태를, 도 5에는 중간에 위치한 상부 결속밴드(200U)와의 결합상태를, 도 7에는 아래에 위치한 상부 결속밴드(200U)와의 결합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FIG. 4 shows the coupling state with the uppermost coupling band 200U, FIG. 5 shows the coupling state with the middle coupling band 200U, and FIG. 7 shows the coupling state with the lower coupling band 200U. each is indicated.

즉, 결속밴드(200) 중 상부 결속밴드들(200U)은, 각각 외면에 브라켓(210)이 형성되고, 보강 트러스 구조(300)의 ㄱ형강(310)의 단부와 볼트(B) 결합한다. That is, the upper binding bands 200U among the binding bands 200 have brackets 210 formed on their outer surfaces, and are coupled to ends of the A-beams 310 of the reinforcing truss structure 300 with bolts B.

보강 트러스 구조(300)가 이용될 경우 보강 플레이트(100)의 높이는 전주(P) 전체의 높이가 아니어도 가능하다. 도 7에는 이러한 예시로 보강 플레이트(100)가 아래에 위치한 상부 결속밴드(200U) 정도까지만 구비되어 있다.When the reinforcing truss structure 300 is used, the height of the reinforcing plate 100 may not be the height of the entire pole P. As an example in FIG. 7 , the reinforcing plate 100 is provided only up to the upper binding band 200U located below.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결속밴드(200)는 필요에 따라 발판용 볼트(400)가 삽입되도록 삽입홀(220)이 형성될 수 있다. 전주(P)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발판용 볼트(400)의 위치와 결속밴드(200)의 위치가 일치할 때 이렇게 삽입홀(220)을 미리 만들어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8 and 9 , the binding band 200 may have insertion holes 220 so that the foothold bolts 400 are inserted therein, if necessary. When the position of the foothold bolt 400 and the position of the binding band 200, which are essentially used for the electric pole P, coincide, the insertion hole 220 can be made in advance to eliminate interference.

도 8에는 보강 플레이트(100)와 결속밴드(200)의 결합이 완료된 후 용접(W)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용접(W)으로 보강 플레이트(100)와 결속밴드(200)를 일체화 할 수 있다. FIG. 8 shows that the reinforcing plate 100 and the coupling band 200 are fixed by welding W after the coupling is completed. If necessary, the reinforcing plate 100 and the binding band 200 may be integrated by welding (W).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 방법은 단계 S110 내지 단계 S170을 포함한다. 10 is a flowchart of an electric pole reinforc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pole reinforc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teps S110 to S170.

먼저, 단계 S110은 전주(P)의 외주면을 감싸는 하단의 보강 플레이트(100L)를 타격하여 매립하는 단계이다. First, step S110 is a step of striking and embedding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00L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P.

단계 S120에서는 전주(P)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나머지 보강 플레이트(100)를 배치한다. In step S120, the rest of the reinforcing plate 100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P).

단계 S130은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것처럼 보강 플레이트(100)의 단부에 구비된 플랜지(110)끼리 볼트(B) 체결로 결합한다. In step S130, as described above in FIG. 3, the flanges 110 provided at the ends of the reinforcing plate 10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bolts (B).

단계 S140은 전주(P)의 외주면 및 보강 플레이트(100)의 외면을 감싸면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결속 밴드(200)를 체결하는 단계이며, 결속 밴드(200) 자체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볼트(B) 결합할 수 있다. Step S140 is a step of fastening a plurality of binding bands 20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ile wrapp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P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100, and the binding band 200 itself is a bolt as described above ( B) can be combined.

단계 S150은 도 7에서 설명한 것처럼 보강 플레이트(100)와 결속밴드(200)를 용접(W)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로서,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Step S150 is a step of fixing the reinforcing plate 100 and the coupling band 200 by welding (W), as described in FIG. 7, and may optionally be included.

단계 S160은 상부 트러스(300)를 조립하는 단계이고, 단계 S170은 상부 트러스(300)와 결속 밴드(200) 중의 상부 결속 밴드(200U)를 결합하는 단계이다. Step S160 is a step of assembling the upper truss 300, and step S170 is a step of coupling the upper truss 300 and the upper binding band 200U among the binding bands 200.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 플레이트(100)와 결속 밴드(200)를 사용하여 전주(P)를 보강하므로 지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주(P)의 휨을 방지할 수 있고, 보강 플레이트(100)와 결속 밴드(200)의 사용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유지 관리가 편리하다. 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ectric pole (P) is reinforced using the reinforcing plate 100 and the binding band 2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ctric pole (P) from bending without using a branch wire, and the reinforcing plate 100 and It can be easily installed by using the binding band 200, and maintenance is convenient.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presented as specific examples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100...보강 플레이트
200...결속 밴드
300...보강 트러스
100...reinforced plate
200...bonding band
300...reinforced truss

Claims (10)

전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라운드 형상의 보강 플레이트; 및
전주의 외주면 및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를 전주와 결속시키고,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결속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전주의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복수개로 분절되어 구비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 중 하단의 보강 플레이트는 지면에 하측이 매립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단부에 플랜지가 구비되고, 플랜지끼리 볼트 체결로 결합하고,
상기 결속 밴드 중 상부 결속 밴드들은,
각각 외면에 브라켓이 형성되고, 외부에 ㄱ형강을 포함하는 보강 트러스 구조로 서로 결합하여 보강되고,
상기 결속 밴드는,
필요에 따라 발판용 볼트가 삽입되도록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결속 밴드는,
결합이 완료된 후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ㄱ형강들은 상기 상부 결속 밴드와 결합되고, 상기 ㄱ형강들의 타단은 가셋 플레이트(GP)와 볼트 결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보강 구조.
A round-shaped reinforcing plate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and
Wrapp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to bind the reinforcing plate with the electric pol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binding bands provid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reinforcing plate,
Equipped to cover part or all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The reinforcing plate,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gments,
The lower side of the reinforcing plate of the reinforcing plate is buried in the ground,
The reinforcing plate,
A flange is provided at the end so that it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flange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bolting,
Upper binding bands among the binding bands,
A bracke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each, and is reinforced by combining with each other in a reinforcing truss structure including an A-shaped steel on the outside,
The binding band,
Insertion holes are formed so that bolts for scaffolding can be inserted as needed,
The reinforcing plate and the binding band,
After the bonding is completed, it is fixed by welding,
The pole reinforce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eams are coupled to the upper binding band, and the other ends of the A-beams are bolted to the gusset plate (GP).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89260A 2020-12-31 2020-12-31 Reinforcement structure of end electric pole and Method thereof KR1025181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260A KR102518119B1 (en) 2020-12-31 2020-12-31 Reinforcement structure of end electric pol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260A KR102518119B1 (en) 2020-12-31 2020-12-31 Reinforcement structure of end electric pol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638A KR20220096638A (en) 2022-07-07
KR102518119B1 true KR102518119B1 (en) 2023-04-05

Family

ID=82397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260A KR102518119B1 (en) 2020-12-31 2020-12-31 Reinforcement structure of end electric pol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11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775Y1 (en) * 2004-10-28 2005-01-14 정대용 Fixing band
JP2005307465A (en) * 2004-04-19 2005-11-04 Tetsuhiko Aoki Reinforcing member assembly of steel pipe structure
KR200437676Y1 (en) * 2007-02-15 2007-12-17 최승연 Support appliance for step ironware utilitypo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352A (en) 1998-05-16 1999-12-06 양우현 Vertical line device for electric pole
KR102172202B1 (en) 2013-09-27 2020-10-30 한국전력공사 Electric pole installed supporting wire
KR102116261B1 (en) * 2014-08-08 2020-05-29 한국전력공사 Transmission tower
KR20190078143A (en) * 2017-12-26 2019-07-04 한국전력공사 Electric pole reinforcement device and Electric pole reinforcement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7465A (en) * 2004-04-19 2005-11-04 Tetsuhiko Aoki Reinforcing member assembly of steel pipe structure
KR200372775Y1 (en) * 2004-10-28 2005-01-14 정대용 Fixing band
KR200437676Y1 (en) * 2007-02-15 2007-12-17 최승연 Support appliance for step ironware utilitypo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638A (en)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941B1 (en) Concrete-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s using the same
CA2968035C (en) Link-plate connection for monopole reinforcing bars
KR101999194B1 (en) Mast Structure for Supporting Multi-Purpose Traffic Lights of Two-Stage Cross Beam
KR102518119B1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end electric pole and Method thereof
EP2633126A1 (en) Column shoe
KR101063846B1 (en) Device for Supporting Formwork of Cantilever Part of Bridge and Supporting Structure using such Device
KR20170128659A (en) the lamp structure using the precast concrete column and the precast concrete beam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6865550B2 (en) How to build silo roof and silo roof structure
KR200417902Y1 (en) Anchor frame assembly of tower crane
KR101600240B1 (en) Y-type support to protect structure
KR100792660B1 (en) Suspensio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omposite Cables
US9714520B1 (en) Direct anchorage termination for pole reinforcement
KR20090056952A (en) Base assembly for telecommunication pipe
JP4534069B2 (en) Parallel tunnel joining method
KR102654499B1 (en) Construction method of communication structure with
KR101314058B1 (en) Steel pole for traffic facility with excellent structural stability
KR100668593B1 (en) Anchor frame assembly of tower crane
KR200359420Y1 (en) electric pole branch line fixing equipment
KR200394568Y1 (en) U-type wire mesh for concrete armature
KR101234357B1 (en) Assembling type an electric pole using pipes
KR102633535B1 (en) An utility pole reinforcement assembly
JPH09317242A (en) Electric pole supporting method
KR102538416B1 (en) Power pole reinforcement structures
KR101025634B1 (en) Installing device for image transmitter
KR20240016631A (en) Reinforcement device for electric p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