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113B1 - 로커 신발 - Google Patents

로커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113B1
KR102518113B1 KR1020217009299A KR20217009299A KR102518113B1 KR 102518113 B1 KR102518113 B1 KR 102518113B1 KR 1020217009299 A KR1020217009299 A KR 1020217009299A KR 20217009299 A KR20217009299 A KR 20217009299A KR 102518113 B1 KR102518113 B1 KR 102518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radius
center
heel
out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9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6787A (ko
Inventor
브누아 가이스
우 셩칭
Original Assignee
더 노스 훼이스 어패럴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노스 훼이스 어패럴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더 노스 훼이스 어패럴 코오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046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1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with a part of the sole being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5Convex portions, e.g. with a bump or projection, e.g. 'Masai' type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16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86/00Machines for assembling soles or heels onto upp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3D25/00 - A43D83/00, e.g. by weld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신발은 아웃솔(7)에 부착된 컴포트 솔(9) 및 갑피(5)를 포함하고, 컴포트 솔은 발뒤꿈치(C)에서 발가락(D)까지의 라인의 임의의 포인트에서 곡률 반경을 가지며 아웃솔(7)과 인터페이싱하며, 질량 중심 또는 솔의 균형 포인트 또는 상기 신발의 자연스러운 균형 포인트라고 불리는, 컴포트 솔(9) 및 아웃 솔(7)의 가장 낮은 포인트는 실질적으로 수평 기준 평면(H)에 배치될 때 컴포트 솔과 아웃솔의 가장 높은 반경을 갖는 발의 롤의 전환 영역(Z1)을 정의하고 질량 중심이 중족골의 포인트(B) 뒤에 있다.

Description

로커 신발
본 개시내용은 고성능이라고 설명될 수 있는 신발(shoe)에 관한 것이다.
문서 US-B1-8 079 159에는 발가락(toe)과 발뒤꿈치(heel) 사이에서 연장되고 아웃솔(outsole)에 부착된 갑피(upper)를 포함하는 신발이 기술되어 있다.
문서 US-8 079 159에 기술된 신발은, 아래에서 위로, 다음을 포함하는 모듈형 솔 구조(modular sole structure)를 갖는다:
- 지면에 좋은 그립감과 우수한 내마모성을 제공하기 위해 고무 등의 접착성 재료로 만들어진 접촉 또는 아웃솔 레이어라고 하는 외부 레이어(outer layer)
- 댐핑 부분으로 인해 충격 댐핑 및/또는 탄성 레이어라고 하는 댐핑 재료로 만들어진 중간 컴포트 레이어(comfort layer)
- 겉감(shell)이라고 불리는, 컴포트 레이어의 윗면과 직접 접촉하여 설치되는, 갑피 레이어(upper layer) 이는 발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며 신발의 갑피에 직접 조립된다.
문서 US-2011/0179669 A1에는 발가락과 발뒤꿈치 사이에 연장되고 밑창에 부착 된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개선이 필요하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은 전술한 유형의 아웃솔의 성능 향상을 제안하는 것이며, 특히 확장 가능한 질량 중심으로 인해 가이딩, 홀딩, 완충 및 리런칭(relaunching) 효과를 갖는 솔링 구조를 제안하는 것이다.
하나 이상의 목표는 본 개시에서 청구된 신발에서 다루어 질 수 있다. 도입부의 표시에 따르면, 이 운동화는 컴포트 솔이 뒤꿈치에서 끝까지의 라인의 임의의 포인트에서 곡률 반경을 가지며 아웃솔과 인터페이싱하고, 눈에 띄게 수평 기준 평면에 놓일 때, 신발의 질량 중심 또는 자연 균형 포인트라고 하는 컴포트 솔 및/또는 아웃솔의 가장 낮은 포인트는 가장 높은 솔 반경을 갖는 발의 롤의 전환 영역이고, 질량의 중심은 중족골의 포인트 뒤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솔의 구조는 달리기에 사용하기에 유익한 결과를 생성하지만 경우에 따라 걷기 또는 기타 용도로도 사용하기에 유익할 수 있다.
솔은 겉감 바닥 및 겉감 측면을 포함하거나, 본질적으로 구성되거나, 구성되는 겉감을 포함할 수 있다.
겉감과 컴포트 솔의 기계적 연결로 인해 힘의 라인이 안정된다. 겉감 측면의 상승은 갑피의 압축을 통해 추가적인 안정성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겉감을 컴포트 솔에 접착하는 것과 관련된 안정성 효과에 추가되며 정적 및 동적 단계에서 아치가 발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위에서 언급된 구조는 경주에 적용하는 데 국한되지 않고 다른 분야, 특히 걷기 및 기타 용도에서도 매우 유용할 수 있다.
걷기, 달리기 등과 같은 신체 활동을 하는 동안 추구한 목표에 따라, 본 개시내용은 발의 임팩트 및 굴곡 단계에서 컴포트 층의 과도한 변형을 가능하게 하거나 방지한다.
따라서, 도시된 예에서, 신발은 특히 거친 지형에서 경주 용으로 의도된다. 이는 상당히 낮은 갑피와 댐핑 아웃솔을 갖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고르지 않은 지면이나 경사면에서 발의 안정성을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낮다.
본 개시내용은 예로서 여러 비제한적인 양태를 예시하는 설명 및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을 사용하여 더 잘 이해될 것이다. 설명 및 도면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신발의 다른 유리한 특성을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의 측(내부) 뷰이다.
도 2는 겉감(shell)을 포함하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의 측(내부) 뷰이다.
도 3은 노치들이 구비된 겉감을 포함하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의 측(내부) 뷰이다.
도 4는 노치들이 구비된 겉감을 포함하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의 측(내부) 뷰이다.
도 5는 노치들이 구비된 겉감이 탑 뷰이다.
도 6은 겉감 바닥 위에 공동이 구비된 겉감의 탑 뷰이다.
도 7은 일 변형에서 청구된 바와 같이 겉감 바닥 위에 공동들이 구비된 겉감의 탑 뷰이다.
도 8은 다른 변형에서 청구된 바와 같이 겉감 바닥 위에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의 공동들이 구비된 겉감의 탑 뷰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4의 단면 라인 F1 및 B1을 따른 양태의 두 단면을 보여준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서 청구된 신발의 양태를 도시한다. 신발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발을 수용할 갑피(upper)(5)와 갑피 아래에 놓인 아웃솔(outsole)으로 구성된다. 외부 솔링(external soling)은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레이어로 구성된 층상의 프로파일(stratified profile)에 따라 실행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아웃솔(7)과 컴포트 솔(comfort sole)(9)로 구성된다.
아웃솔과 접촉하는 컴포트 솔의 밑면은 실질적으로 볼록한 곡률을 가지고 있다. 컴포트 솔의 측면은 뒤꿈치에서 발가락까지 라인(line)의 모든 포인트에서 곡률 반경(radius of curvature)을 가지며 아웃솔과의 인터페이스를 만든다. 눈에 띄게 수평 기준 평면에 놓였을 때 신발의 질량 중심(center of mass) 또는 신발의 자연스러운 균형 포인트라고 하는 컴포트 솔의 가장 낮은 포인트는 가장 높은 솔 반경을 갖는 발의 롤(roll)의 전환 영역(transition zone)이다. 중량 중심은 확장 가능하고(scalable) 중족골(metatarsal) 포인트 뒤에 있다.
발의 롤을 촉진하기 위해, 솔의 예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솔은 여러 영역(Z)으로 나뉜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는 5개의 영역(Z1 내지 Z5)이 도시되어 있다. 영역(Z1)은 질량 중심에 대응되는 영역이다. 영역(Z2)은 반경이 영역(Z1)의 반경보다 작은 뒤꿈치를 향하는 전환 영역이다. 영역(Z3)은 반경이 영역(Z2)의 반경보다 작은 뒤꿈치의 임팩트 영역(impact zone)이다. 영역(Z4)은 반경이 영역(Z1)의 반경보다 작은 발의 발가락을 향하는 언롤링(unrolling) 영역이다. 영역(Z5)은 반경이 영역(Z4)의 반경보다 큰 최종 언롤링 영역이다.
정적 단계(static phase)에서는, 플랫한 파트(flat part)에서 안정성을 찾기 위해, 충분히 열린(open) 영역(Z1)의 반경이 선택된다. 따라서 컴포트 레이어(9)의 영역(Z1)의 파트는 사용자의 무게에 의해 뭉개지게 된다(crushed). 영역(Z1)의 반경은 350 mm에서 3000 mm 사이인 것이 유리하다. 물론, 영역(Z1) 반경 값의 이 범위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자는 필요한 경우 반경의 다른 값을 선택하는 방법을 알고 있을 것이다.
임팩트와 발의 롤 사이의 전환 단계는 즉각적이며 중족골 아래에 있는 질량 중심과 영역(Z4)의 더 뚜렷한 딥(dip) 덕분에 에너지 손실이 없다. 이는 발의 롤링을 증가시키고 용이하게 하며 더 넓은 범위의 동작과 최적화된 푸시 오프 단계(push-off phase)를 얻을 수 있게 한다. 걸음 걸이가 더 빠르고 강력 해진다.
물론 위에 나열된 반경의 절대값과 상대값은 단지 지표일 뿐이라는 것은 명백하다. 실제로, 예상되는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신체 활동은 물론 발의 유형 및 크기, 체중, 보폭 유형 등과 같은 잠재적 사용자의 다양한 형태(morphology)가 영역(Z1 내지 Z5)의 반경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술분야의 숙련자는 5개보다 작거나 큰 다수의 영역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신발은 최소 3개의 영역을 포함한다. 그러면 질량 중심에 대응하는 영역(Z1)의 양측에 있는 두 영역은 질량 중심보다 반경이 더 작다.
신발이 5개 이상의 영역을 포함할 때, 영역(Z1) 이외의 각 영역의 반경은 인접하거나 인접하지 않은 영역과 같거나 다른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물론, 필수 사항입니다. 컴포트 솔의 측면은 뒤꿈치에서 발가락까지 라인의 모든 포인트에서 곡률 반경을 가지며 아웃솔과의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며, 질량 중심에 대응하는 영역(Z1)은 인접한 두 영역보다 큰 반경을 갖는 것이 필수적이다.
유사하게, 발의 롤링을 촉진하고 첫 번째 임팩트와 질량 중심(A) 사이의 전환 단계를 최소화하기 위해, 아웃솔 및/또는 컴포트 솔(9)의 뒤꿈치에 대응하는 포인트(C)는 무게 중심에서 가장 먼 갑피 부분과 동일한 레벨로 또는 뒤로 설정된다. 접촉 포인트를 가능한 한 영역(A)으로 전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이 원리는 플랫한 지면과 경사면에서 보행의 역동적인 단계를 선호한다.
이러한 구성은 아웃솔(7)이 발의 자연스러운 롤 동안 가능한 한 질량 중심을 향해 첫 번째 접촉 영역을 전진시키고 지면에 대한 첫 번째 임팩트 단계 동안 접촉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것은 두 번째 임팩트를 생성하지 않고 발의 위치에 관계없이 발의 롤의 전체 단계에서 발생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은 충분히 단단한 겉감(shell)(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정적 및 동적 단계에서 아치(arch)가 발 위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겉감(13)은 컴포트 솔 위에 위치하며 그의 전체 표면에 단단히 접착된다. 겉감은 이 컴포트 솔과 이 질량 중심을 위한 구속 디바이스(constraint device)를 나타낸다.
컴포트 솔(9)은 편안함을 보장하고 발을 제자리에 고정하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그것은 고무 또는 EVA와 같은 댐핑 재료(damping material)로 이루어진다. 컴포트 솔은 PU(폴리우레탄) 또는 기타 천연 또는 합성 폼(foam)일 수도 있다. PU는 더 단단하므로 EVA보다 덜 즉각적인 편안함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는 더 내구성이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많은 유연성을 갖게 된다. 고무는 매우 부드럽고 매우 유연하지만, 더 무겁다. 컴포트 레이어의 완충재(cushioning material)는 엘라스토머(elastomer)와 같은 탄성 또는 점탄성(viscoelastic) 특성을 갖는 재료일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첫 번째 임팩트 단계를 질량 중심(A)에 최대한 가깝게 이동시키기 위해, 그리고 스트라이크 영역과 발의 자연스러운 롤링을 선호하기 위해 컴포트 솔은 라인(F) 앞에 배치된다. 라인(F)은 신발이 놓인 실질적인 수평면(H)에 수직인 라인이다. 라인(F)은 질량 중심(A)에서 가장 먼 발뒤꿈치 영역에 있는 포인트(J)를 통과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아웃솔(7)과 인접한 컴포트 솔(9)의 하단 파트는 발뒤꿈치에서 발가락까지의 라인 상의 어느 포인트에서나 곡률 반경을 갖고, 질량 중심(A)으로 양 측에 연속성을 생성한다. 이 구성은, 겉감(13)과 컴포트 솔(9)의 힘(force)의 라인을 안정시키는 기계적 연결(mechanical connection) 덕분에 두 번째 임팩트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발이 있는 위치에 관계없이 아웃솔(7)이 첫 번째 임팩트 단계에서 그리고 발의 롤의 전체 단계에서 지면과 항상 접촉을 유지하도록 한다.
아웃솔(7)은 접착력 및 내마모성과 같은 아웃솔에 필요한 특성을 제공하는 합성 또는 천연 재료로 이루어진다. 아웃솔에 사용되는 재료의 특성은 신발 분야의 일반적인 소재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는 예상되는 신발의 사용, 지면의 특성, 접착력 및 원하는 내마모성 등에 따라 선택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은 갑피(5)와 컴포트 솔(9) 사이에 배치된 충분히 단단한 겉감(13)을 포함할 수 있다. 겉감(13)은 컴포트 솔(9) 위에 위치하며 그의 전체 표면에 단단히 접착된다. 이 컴포트 솔과 이 질량 중심에 대한 구속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겉감(13)은 정적 및 동적 단계에서 발의 아치가 발의 상단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겉감(13)은 아치의 변형없이 점진적으로 뭉개져서 질량 중심과 발의 롤의 안정성을 촉진한다.
신발의 최종 형상을 갖는 몰딩된 겉감(molded shell)(13)은 지지 단계(support phase)에서 임팩트와 에너지 손실을 줄인다. 이는 걸음걸이를 최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아무런 노력 없이, 신체를 올바르게 배치한다.
겉감(13)은 또한 아치를 변형하지 않고 질량 중심의 뭉개짐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이 겉감은 신발의 발뒤꿈치와 지면 사이의 임팩트 동안 발 변위(foot displacement)에 대응하고 따라서 지지의 안정성에 기여하고 컴포트 솔의 굴곡 강성을 증가시키는 갑피에 비틀림 및 굴곡 강성을 부여한다.
겉감(13)은 겉감 바닥 및 갑피(5)를 향해 상승하는 겉감 측면을 포함하거나, 본질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구성된다. 겉감 측면의 상승은 갑피의 압축을 통해 추가적인 안정성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는 겉감(13)을 컴포트 솔에 접착하는 것과 관련된 안정성 효과에 추가된다.
다른 양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감 측면은 굴곡 영역(flexion)의 더 큰 강성을 위해 상기 겉감 바닥 주위에 에지를 형성한다.
겉감은 또한 발을 잡는 데 도움이 되도록 비대칭이다. 측 방향 영역에서, 겉감 측면은 아치의 안정화를 위해 발가락쪽으로 더 높고 길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의 롤을 허용하면서 발을 완전히 잡기 위해, 노치는 실질적으로 가로 놓인(transverse) 라인(V10, V11)에서 서로 대향하게 위치된다. 실질적으로 가로 놓은 라인(V10)은 발뒤꿈치(C1)와 발가락의 레벨에 위치한 포인트(M)를 통과하는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의 라인(L10)에 수직이다. 실질적으로 가로 놓인 라인(V11)은 발뒤꿈치와 겉감의 앞쪽 및 내측의 에지를 향하는 포인트(M)의 외측에 위치한 포인트(N)을 통과하는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의 라인(L11)에 수직이다.
노치의 수는 물론 가변적이다. 노치는 반드시 짝수이거나 완전한 대향할 필요는 없다.
겉감 측면은 아웃솔과 접촉하는 표면에도 접착된다. 겉감(13)은 또한 갑피에 길이 방향 및 측 방향으로 비틀림 및 굴곡 강성을 부여한다.
겉감에 선호되는 제조 재료는 로딩되거나(loaded) 로딩되지 않은(non-loaded) 폴리우레탄(PUR, TPU), 로딩되거나 또는 로딩되지 않은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PE) 및 일반적으로 모든 로딩된 또는 로딩되지 않은 합성 재료이다.
예를 들어 유리섬유/탄소 섬유 및 합성 수지를 기반으로 하는 복합 재료도 옵션이 된다. 또한 금속 재료,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또는 대나무 또는 기타 목재 섬유와 같은 천연 재료의 사용을 고려할 수 있다. 각 겉감에 대해, 두께는 원하는 탄성도 및 선택한 재료의 영률(Young's modulus)의 함수가 된다.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겉감과 컴포트 솔은 비슷하거나 다른 강성을 가질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컴포트 솔(9)보다 더 단단한 겉감(13)을 선택하거나 그 반대로 선택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따르면, 겉감과 겉감 측면은 도 9 및 도 10의 섹션(F1 F2)의 상단에 있는 발뒤꿈치와 접촉한다. 도 9에 따른 섹션(B1 B2)은 발 앞부분의 노치에 겉감 측면이 없음을 보여준다.
또 다른 양태에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겉감(13)은 겉감 바닥의 다른 영역에서 리세스된다(recessed). 이러한 개구는 지지 단계 또는 고르지 않은 표면에서 컴포트 솔(9)의 뭉개짐을 촉진한다; 그들은 또한 겉감의 무게를 제한한다.
따라서, 도 6은 발뒤꿈치에 배치된 개구를 보여준다.
도 7은 내측 에지를 따라 배치된 다수의 개구를 보여준다.
도 6 및 도 7에 따른 개구는 원형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당업자는 겉감의 원하는 특성 및/또는 생산 요건에 따라 개구의 적절한 형태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에서, 발뒤꿈치와 발가락 사이에 대략적으로 연장되는 여러 개의 길이 방향 개구가 도시되어 있다. 물론 길이 방향 개구의 수는 도면에 도시된 4개로 제한되지 않는다. 개구는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분포할 수 있으며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개구는 직선 또는 곡선일 수 있습니다. 길이 방향 개구는 분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개구의 서로 다른 길이 방향 섹션이 정렬되거나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바람직한 양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도면 및 설명에 기술된 이러한 양태들이 본질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기술되고 도시된 것 이외의 변형이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Claims (15)

  1. 신발(shoe)에 있어서,
    아웃솔(outsole)에 부착된 컴포트 솔(comfort sole) 및 갑피(upper)를 포함하고;
    상기 컴포트 솔은 발뒤꿈치에서 발가락까지의 라인의 임의의 포인트에서 곡률 반경(radius of curvature)을 가지며 상기 아웃솔과 인터페이싱하며, 상기 컴포트 솔은;
    상기 컴포트 솔 및 상기 아웃솔의 가장 낮은 포인트인 질량 중심 영역은 실질적으로 수평 기준 평면(H)에 배치될 때 상기 신발의 상기 질량 중심에 대응되고, 상기 질량 중심 영역은 상기 컴포트 솔과 상기 아웃솔의 가장 높은 곡률 반경을 갖는 발의 롤(roll)의 전환(transition)을 정의하고, 상기 질량 중심이 중족골(metatarsal)의 상기 포인트 뒤에 있으며;
    상기 발뒤꿈치를 향해 상기 질량 중심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환 영역; 및
    상기 발가락을 향해 상기 질량 중심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언롤링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환 영역과 상기 언롤링 영역 각각은 상기 질량 중심 영역의 상기 곡률 반경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트 솔은 상기 컴포트 솔 및 상기 아웃솔의 상기 발뒤꿈치에서 상기 발가락까지의 상기 곡률 반경을 따라 두 개의 추가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추가 영역은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 신발.
  3.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영역은 반경이 상기 전환 영역의 반경보다 작은 상기 발뒤꿈치에서의 임팩트(impact) 영역이고, 적어도 하나의 추가 영역은 반경이 영역(Z4)의 반경보다 큰 최종 롤 영역인, 신발.
  4. 제1항에 있어서, 아치(arch)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질량 중심의 뭉개짐(crushing)을 촉진하는데 또한 참여하는 겉감(shell)을 더 포함하는, 신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겉감은 겉감 바닥의 적어도 일부의 주위에 에지(edge)를 형성하는 겉감 측면을 포함하는, 신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겉감은 그 안에 형성된 노치들을 포함하는, 신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들은 실질적으로 가로 놓인 라인 상에 실질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신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가로 놓은 라인은 상기 발뒤꿈치와 상기 발가락의 높이에서 위치된 포인트를 통과하는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 라인과 수직이고, 상기 실질적으로 가로 놓인 라인은 상기 발뒤꿈치와 상기 겉감의 전방과 포인트의 외측에 놓인 포인트을 통과하는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 라인과 수직인, 신발.
  9. 제5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개구가 상기 겉감 바닥을 통해 배치되는, 신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는 상기 발뒤꿈치에서 또는 상기 발뒤꿈치에 인접하여 상기 겉감 바닥을 통해 배치된 개구를 포함하는, 신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발의 외부 윤곽을 따라 상기 겉감 바닥에 배치되는, 신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는 상기 발뒤꿈치와 상기 발가락 사이의 상기 겉감 바닥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실질적인 길이 방향 개구를 포함하는, 신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에 인접한 상기 컴포트 솔의 하부는 상기 발뒤꿈치에서 상기 발가락까지의 라인의 임의의 포인트에서 곡률 반경을 가지며, 상기 질량 중심으로 양 측에 연속성을 생성하여 상기 아웃솔이 상기 발의 위치에 관계없이 두 번째 임팩트를 생성하지 않고 첫 번째 임팩트 단계와 상기 발의 롤의 전체 단계 동안 지면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신발.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신발을 제조하는, 방법.
  15. 제13항의 상기 신발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217009299A 2018-10-15 2019-10-15 로커 신발 KR1025181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01085A FR3087096B1 (fr) 2018-10-15 2018-10-15 Chaussure destinee avantageusement a la pratique d'activites physiques
FR18/01085 2018-10-15
PCT/US2019/056321 WO2020081560A1 (en) 2018-10-15 2019-10-15 Shoe designed to enhance the practice of physical activit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787A KR20210046787A (ko) 2021-04-28
KR102518113B1 true KR102518113B1 (ko) 2023-04-04

Family

ID=656853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9367A KR102541063B1 (ko) 2018-10-15 2019-10-15 셸을 갖는 신발
KR1020217009299A KR102518113B1 (ko) 2018-10-15 2019-10-15 로커 신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9367A KR102541063B1 (ko) 2018-10-15 2019-10-15 셸을 갖는 신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20220031016A1 (ko)
EP (2) EP3866636B1 (ko)
JP (2) JP2022521032A (ko)
KR (2) KR102541063B1 (ko)
CN (2) CN112752522B (ko)
ES (1) ES2948393T3 (ko)
FR (1) FR3087096B1 (ko)
TW (1) TWI744706B (ko)
WO (2) WO20200815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4748B2 (en) 2018-10-15 2021-10-05 The North Face Apparel Corp. Footwear with a shell
FR3087096B1 (fr) 2018-10-15 2020-10-23 Jet Green Chaussure destinee avantageusement a la pratique d'activites physiques
US11903892B2 (en) * 2021-05-22 2024-02-20 Antepes, LLC Heel clamp for footwear sole arrangement
CN115120003B (zh) * 2022-07-28 2023-12-05 福建师范大学 一种立定跳远鞋的碳板及鞋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50723A1 (en) * 2013-03-07 2014-09-11 Nike, Inc. Flexible sole supports for articles of footwear
US20170245589A1 (en) * 2016-02-26 2017-08-31 Nike, Inc. Method Of Customizing Heel Cushioning In Articles Of Footwear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981305B (it) * 1972-04-26 1974-10-10 Panaretos A Base per calzature atta a consen tire un cammino confortevole e ag graziato
US4567678A (en) * 1980-12-09 1986-02-04 Morgan R Dean Orthopedic shoe
DE3716424A1 (de) 1987-05-15 1988-12-01 Adidas Sportschuhe Laufsohle fuer sportschuhe
US5295314A (en) * 1987-07-17 1994-03-22 Armenak Moumdjian Shoe with sole including hollow space inflatable through removable bladder
FR2777429B1 (fr) 1998-04-21 2000-05-26 Salomon Sa Chaussure a semelage avec structure deformable
DE29903764U1 (de) 1999-03-02 1999-06-02 Adidas Int Bv Schuh
US6421935B1 (en) * 1999-12-15 2002-07-23 Michael D. Bartlett Rocking shoe
FR2848389B1 (fr) * 2002-12-11 2006-02-10 Salomon Sa Semelage de chaussure
US6973746B2 (en) 2003-07-25 2005-12-13 Nike, Inc. Soccer shoe having independently supported lateral and medial sides
US7010867B2 (en) * 2003-07-31 2006-03-14 Wolverine World Wide, Inc. Articulated welt footwear construction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FR2898252B1 (fr) 2006-03-07 2008-07-04 Salomon Sa Chaussure et son semelage
US7793437B2 (en) 2007-01-04 2010-09-14 Steven Chapman Shoe sole
US8079159B1 (en) 2007-03-06 2011-12-20 Adriano Rosa Footwear
HUP0800101A2 (en) 2008-02-18 2011-11-28 Laszlo Solymosi Shoes with unstable sole construction
DK2105058T3 (da) 2008-03-29 2012-01-30 Masai Marketing & Trading Ag Gåindretning
GB0806188D0 (en) * 2008-04-04 2008-05-14 Hutchins Stephen A sole for adapting footwear
FR2932963B1 (fr) 2008-06-25 2010-08-27 Salomon Sa Chaussure a semelage ameliore
US8316558B2 (en) 2008-12-16 2012-11-27 Skechers U.S.A., Inc. Ii Shoe
US20100307028A1 (en) * 2008-12-16 2010-12-09 Skechers U.S.A. Inc. Ii Shoe
US7877897B2 (en) 2008-12-16 2011-02-01 Skechers U.S.A., Inc. Ii Shoe
US9289028B1 (en) * 2009-12-12 2016-03-22 William T. Anderson Multi-density, cushioned impact dissipating footwear sole
US20110179669A1 (en) 2010-01-28 2011-07-28 Brown Shoe Company, Inc. Cushioning and shock absorbing midsole
EP2353423A3 (en) * 2010-02-04 2013-01-02 Pikolino's Intercontinental, S.A. Improved sole for footwear
CN102309088B (zh) * 2011-04-27 2013-07-17 茂泰(福建)鞋材有限公司 一种带有支撑片的鞋底
DE102012206094B4 (de) 2012-04-13 2019-12-05 Adidas Ag Sohlen für Sportschuhe, Schuh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chuhsohle
EP2884864A4 (en) 2012-08-17 2016-11-23 Dashamerica Inc Dba Pearl Izumi Usa Inc REACTIVE SHOE
US20160345668A1 (en) * 2015-05-29 2016-12-01 Masai International Pte Ltd. Articles of footwear and shoe soles for midfoot impact region
US20180255868A1 (en) * 2015-09-16 2018-09-13 Paradox Carbon Flex Footwear Holdings Pty Ltd Item of footwear
US10842224B2 (en) 2015-10-02 2020-11-24 Nike, Inc. Plate for footwear
GB2544984B (en) * 2015-12-01 2020-02-05 Fitflop Ltd An item of footwear
US9867425B2 (en) * 2016-02-26 2018-01-16 Nike, Inc. Method of customizing forefoot cushioning in articles of footwear
US20190343221A1 (en) 2018-05-08 2019-11-14 Nike, Inc. Bonding to polyolefin plates and articles of footwear formed therefrom
FR3087096B1 (fr) 2018-10-15 2020-10-23 Jet Green Chaussure destinee avantageusement a la pratique d'activites physiques
US11134748B2 (en) * 2018-10-15 2021-10-05 The North Face Apparel Corp. Footwear with a shel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50723A1 (en) * 2013-03-07 2014-09-11 Nike, Inc. Flexible sole supports for articles of footwear
US20170245589A1 (en) * 2016-02-26 2017-08-31 Nike, Inc. Method Of Customizing Heel Cushioning In Articles Of Footwe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81560A1 (en) 2020-04-23
US20220031016A1 (en) 2022-02-03
CN112770646B (zh) 2022-06-07
FR3087096B1 (fr) 2020-10-23
EP3866636B1 (en) 2023-03-22
TWI744706B (zh) 2021-11-01
ES2948393T3 (es) 2023-09-11
WO2020081566A1 (en) 2020-04-23
EP3866636A1 (en) 2021-08-25
CN112752522B (zh) 2022-06-07
JP2022521032A (ja) 2022-04-05
EP3866637B1 (en) 2024-02-28
US20220053878A1 (en) 2022-02-24
KR102541063B1 (ko) 2023-06-08
JP2022530932A (ja) 2022-07-05
EP3866637A1 (en) 2021-08-25
CN112770646A (zh) 2021-05-07
TW202031165A (zh) 2020-09-01
US11700910B2 (en) 2023-07-18
KR20210046787A (ko) 2021-04-28
FR3087096A1 (fr) 2020-04-17
CN112752522A (zh) 2021-05-04
KR20210075077A (ko)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8113B1 (ko) 로커 신발
US8146272B2 (en) Outsole having grooves forming discrete lugs
RU2489069C2 (ru) Подошва для полуботинк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кроссовки
US8590179B2 (en) Shoe with protrusions and securing portions
US7647709B2 (en) Footwear with a shank system
US11134748B2 (en) Footwear with a shell
RU2385140C2 (ru) Подошва с тангенциальной деформируемостью
US20100083535A1 (e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n Impact Absorber And Having An Upper Decoupled From Its Sole In A Midfoot Region
US20240065375A1 (en) Golf shoe with longitudinal flexi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