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069B1 - 휴립복토기 - Google Patents

휴립복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069B1
KR102518069B1 KR1020200118925A KR20200118925A KR102518069B1 KR 102518069 B1 KR102518069 B1 KR 102518069B1 KR 1020200118925 A KR1020200118925 A KR 1020200118925A KR 20200118925 A KR20200118925 A KR 20200118925A KR 102518069 B1 KR102518069 B1 KR 102518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member
blade
power
shaf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6564A (ko
Inventor
이상근
Original Assignee
이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근 filed Critical 이상근
Priority to KR1020200118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069B1/ko
Publication of KR20220036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6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for sowing or planting
    • A01C5/066Devices f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 A01B33/021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with rigid tools
    • A01B33/02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with rigid tools with helicoidal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6Special adaptations of coupling means between power take-off and transmission shaft to the implement or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립복토기는 트랙터와 고정되도록 연결되는 마스트부, 상기 트랙터의 동력취출장치과 연결되며, 상기 동력취출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축회전되는 동력수용부, 상기 동력수용부의 양 단에 각각 배치되는 판프레임부, 상기 판프레임부 상에서 상기 동력수용부의 축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축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는 회전축부, 상기 회전축부의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축부 상에 배치되는 배토삽부, 및 두 개의 상기 판프레임부 사이를 연결하게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축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토삽부는 지면과 접촉되며 상기 회전축부의 축회전에 의해 지면의 흙을 성형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립복토기{RIDGING DEVICE}
휴립복토기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작업도구를 연결하기 용의한 휴립복토기가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트랙터는 여러 농작업을 수행하기 편리한 구조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예를 들어, 플로우(plow), 해로우(harrow), 로터베이터, 회전경운작업기, 배토기, 파종기, 중경제초기, 비료살포기, 붐스프레이어 또는 트레일러 등의 작업도구를 부착하여, 경운, 휴립, 중경제초(땅 표면을 얕게 갈아 잡초를 없앰), 비료살포, 병해충방제, 양수, 탈곡 등 각종 농작업의 동력원으로 이용된다. 트랙터의 본체는 기관, 차체, 동력전달장치, 주행장치, 동력취출장치, 작업기 연결장치, 유압장치 및 전기장치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도구들에 동력을 제공하고, 작업도구들을 견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트랙터를 원동기로 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작업기의 종류는 수 십종에 이른다. 대표적인 트랙터 부착작업기로는 결속기, 결속볏짚절단기, 고압세척기, 구굴기, 굴삭기, 그래플, 논두렁조성기, 땅속작물수확기, 로더, 로터리 경운작업기, 랩피복기, 모어, 무논정지기, 반전집초기, 발근기, 벼직파기, 비료살포기, 사료배합기, 사료작물수확기, 스피드스프레이어, 심경 로터리 경운작업기, 심토파쇄기, 액상비료살포기, 잔가지파쇄기, 쟁기, 제초기, 주행형 동력분무기, 중경제초기, 톱밥제조기, 퇴비살포기, 트레일러, 파종기, 해로우, 휴립복토기, 휴립피복기 등이다.
이들 중, 휴립복토기는 배토기라고도 불리우며, 휴립은 두둑 및 고랑 만들기라는 뜻을 가지고, 복토는 작물의 종자를 파종한 후 흙을 덮는 것을 의미한다. 즉, 휴립복토기는 고랑을 만들어 작물의 종자를 파종한 후 흙을 덮는 기계를 총칭한다.
이러한 휴립복토기는 일반적으로 흙을 파서 좌우로 갈라지게 하는 경운 날을 구비하고 있으며, 트랙터의 주행에 따라, 트랙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경운 날을 회전함으로써, 고랑을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휴립복토기에 대한 설명은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 10-2019-0006812호 ‘휴립복토기’에 자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설계의 자유도를 높여 농약살포기, 유체공급기, 파종기 등의 작업도구를 설치하기에 용이한 휴립복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질흙에서 사용하기 용이한 휴립복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다른 다른 목적은 작업장소에 산재된 장애물들을 회피할 수 있는 휴립복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에너지 효율적으로 고랑을 만들 수 있는 휴립복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자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구조를 구비하는 휴립복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추가로 설치되는 작업도구에 동력을 전달하기 용이한 휴립복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립복토기는 트랙터와 고정되도록 연결되는 마스트부, 상기 트랙터의 동력취출장치과 연결되며, 상기 동력취출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축회전되는 동력수용부, 상기 동력수용부의 양 단에 각각 배치되는 판프레임부, 상기 판프레임부 상에서 상기 동력수용부의 축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축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는 회전축부, 상기 회전축부의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축부 상에 배치되는 배토삽부, 및 두 개의 상기 판프레임부 사이를 연결하게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축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토삽부는 지면과 접촉되며 상기 회전축부의 축회전에 의해 지면의 흙을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휴립복토기의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는 기둥형태의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일부를 감싸고 상기 회전축의 단면 직경을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드럼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토삽부는 상기 드럼부재에서 외측 방사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휴립복토기의 상기 배토삽부는, 제1 삽날부재, 상기 회전축부의 둘레 방향으로 상기 제1 삽날부재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삽날부재, 및 상기 회전축부의 둘레 방향으로 상기 제1 삽날부재와, 상기 제2 삽날부재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3 삽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휴립복토기의 상기 배토삽부의 상기 제3 삽날부재는 복수 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상기 제3 삽날부재 쌍들은 회전축부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열되고, 복수 개 쌍의 상기 제3 삽날부재들은 상기 제3 삽날부재의 쌍 각각이 서로 사이거리가 점점 멀어지게 배열되며, 상기 제2 삽날부재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한 쌍의 상기 제2 삽날부재는 사이거리가 복수 개 쌍의 상기 제3 삽날부재 쌍들 중 사이거리가 가장 먼 한 쌍의 제3 삽날부재의 사이거리보다 더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휴립복토기의 상기 배토삽부의 상기 제1 삽날부재, 상기 제2 삽날부재 또는 상기 제3 삽날부재는 단면이 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형성되고, 이격된 한 쌍의 상기 제2 삽날부재들은 각각 방사방향의 말단이 서로를 마주보도록 만곡되고, 복수 개 쌍의 상기 제3 삽날부재들은 각각 방사방향의 말단이 서로 멀어지도록 만곡되고, 각 쌍의 제3 삽날부재들은 각 제3 삽날부재의 단면이 방사방향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휴립복토기의 상기 배토삽부의 상기 제1 삽날부재, 한 쌍의 상기 제2 삽날부재 및 복수 쌍의 상기 제3 삽날부재는 상기 제1 삽날부재, 상기 제2 삽날부재 및 상기 제3 삽날부재 순으로 상기 회전축부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일정하게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삽날부재, 상기 제2 삽날부재 및 상기 제3 삽날부재는 각각이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방향을 따라 일 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휴립복토기는 추가작업도구를 거치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동력수용부, 상기 판프레임부, 상기 회전축부, 상기 마스트부 또는 상기 축프레임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휴립복토기의 상기 지지부는 제1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동력수용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추가작업도구는 상기 제1 지지부재에 고정되어서, 상기 트랙터의 상기 동력취출장치, 상기 동력수용부, 또는 상기 동력수용부와 상기 동력취출장치를 연결하는 조인트와 벨트연결 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휴립복토기의 상기 마스트부는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센터마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동력수용부, 상기 마스트부 또는 상기 축프레임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마스트와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연결부재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또는 수축되어서,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위치를 조정하고, 상기 추가작업도구는 상기 제2 지지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휴립복토기의 상기 축프레임부는 기둥형상의 제1 프레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부재는 상기 동력수용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중앙 부분이 하방 또는 상방으로 만곡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립복토기에 의하면, 설계의 자유도를 높여 농약살포기, 유체공급기, 파종기 등의 작업도구를 설치하기에 용이한 휴립복토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립복토기에 의하면, 질흙에서 사용하기 용이한 휴립복토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립복토기에 의하면, 작업장소에 산재된 장애물들을 회피할 수 있는 휴립복토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립복토기에 의하면, 에너지 효율적으로 고랑을 만들 수 있는 휴립복토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립복토기에 의하면, 자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구조를 구비하는 휴립복토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립복토기에 의하면, 추가로 설치되는 작업도구에 동력을 전달하기 용이한 휴립복토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립복토기를 트랙터에 장착한 측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립복토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립복토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립복토기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립복토기의 배토삽부 및 회전축부를 도시하는 부분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휴립복토기(1)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립복토기(1)를 트랙터(T)에 장착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으로 휴립복토기(1)는 트랙터(T)의 후방에 위치하며, 트랙터(T) 후방에 위치한 동력취출장치(T1; PTO, Power Take-Off)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립복토기(1)는 다양한 추가작업도구를 연결할 수 있으며, 추가작업도구는 동력취출장치(T1)의 동력 또는 트랙터(T)의 주행력 등에 의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작업도구는 농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도구, 즉 결속기, 결속볏짚절단기, 고압세척기, 구굴기, 굴삭기, 그래플, 논두렁조성기, 땅속작물수확기, 로더, 로터리 경운작업기, 랩피복기, 모어, 무논정지기, 반전집초기, 발근기, 벼직파기, 비료살포기, 사료배합기, 사료작물수확기, 스피드스프레이어, 심경 로터리 경운작업기, 심토파쇄기, 액상비료살포기, 잔가지파쇄기, 쟁기, 제초기, 주행형 동력분무기, 중경제초기, 톱밥제조기, 퇴비살포기, 트레일러, 파종기, 해로우, 휴립피복기 등일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트랙터(T)의 전방에는 농약, 비료 또는 영양제 등의 액체가 저장되는 약품통이 배치될 수 있고, 트랙터(T)의 후방에는 트랙터(T)의 동력취출장치(T1)와 연결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립복토기(1)가 배치될 수 있으며, 휴립복토기(1)의 후방에는 파종기(E2)가 연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립복토기(1)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립복토기(1)는 마스트부(10), 동력수용부(20), 판프레임부(30), 동력전달부(40), 회전축부(50), 배토삽부(60), 축프레임부(70), 지지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트부(10)는 휴립복토기(1)의 전방에 위치하는 트랙터(T)의 링크와 연결될 수 있다. 마스트부(10)는 제1 사이드마스트(12), 제2 사이드마스트(14) 및 센터마스트(16)를 포함하며, 센터마스트(16)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센터마스트(16)는 상부 전방(트랙터(T)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센터마스트(16)의 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호올이 형성될 수 있다.
센터마스트(16)의 단부 호올에는 트랙터(T)에서 연장되는 링크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휴립복토기(1)는 트랙터(T)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사이드마스트(12)와 제2 사이드마스트(14)는 센터마스트(16)의 양 옆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각각 동력수용부(20) 또는 축프레임부(70)에서 돌출되는 링크에서 센터마스트(16)의 상부로 연결될 수 있다.
동력수용부(20)는 센터마스트(16)의 하측, 제1 사이드마스트(12) 및 제2 사이드마스트(14)의 후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트랙터(T)에서 후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동력취출장치(T1)와 연결될 수 있다. 동력취출장치(T1)는 축회전하며, 동력수용부(20)는 동력취출장치(T1)의 축회전 동력을 수용하여 동력취출장치(T1)의 동력 방향을 횡방향으로 수직하게 변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력수용부(20)는 동력전달축(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동력전달축(22)은 금속커버로 둘러 쌓일 수 있다. 동력전달축(22)은 동력수용부(20)의 양 옆으로 돌출될 수 있고, 동력수용부(20)에 의해 동력취출장치(T1)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할 수 있다. 동력취출장치(T1)는 트랙터(T)에서, 트랙터(T)의 후방에 위치하는 휴립복토기(1)의 동력수용부(20)로 수평하게 돌출될 수 있으며, 동력취출장치(T1) 역시 횡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동력전달축(22)과 동력취출장치(T1)는 동력수용부(20)에 의해 서로 수직으로 연결되며 전반적으로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판프레임부(30)는 동력전달축(22)의 양 끝단에 위치될 수 있고, 두 판프레임부(30)에는 동력전달부(4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두 판프레임부(30)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삼각형판 형태일 수 있다. 두 판프레임부(30) 사이에는 복수 개의 축프레임부(70)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축프레임부(70)들은 두 끝단이 두 판프레임부(30)들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두 판프레임부(30) 사이에는 동력전달축(22)과 평행하게 회전축부(5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판프레임부(30)들은 모서리가 둥근 삼각형판 형태일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되는 제1 프레임부재(72), 제2 프레임부재(74), 동력수용부(20) 및 회전축부(50)가 각각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두 판프레임부(30)들은 세면의 길이가 모두 다른 삼각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모서리는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모두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모서리는 트랙터(T) 방향으로 각각 트랙터(T)와의 거리가 멀어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최전방 모서리는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두 번째로 높을 수 있고, 중간(이는 최전방 모서리와 최후방 모서리의 중앙거리가 아닌 사이에 배치됨을 의미한다) 모서리는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가장 높으며, 최후방 모서리는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가장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축부(50)는 삼각형판 형태의 판프레임부(30)의 최후방 최하단 둥근 모서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프레임부재(74)는 삼각형판 형태의 판 프레임부(30)의 최전방 모서리와 최후방 모서리 사이의 최상단 둥근 모서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재(72)는 삼각형판 형태의 판프레임부(30)의 최전방(트랙터(T)방향) 둥근 모서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동력수용부(20)는 삼각형판 형태의 판프레임부(30)의, 제1 프레임부재(72) 연결부분과 제2 프레임부재(74) 연결부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동력수용부(20)는 삼각형판 형태의 판프레임부(30)의 최상단 모서리와 최전방 모서리가 연결되는 면의 중간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40)는 자유회전부(4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두 판프레임부(30) 모두에 동력전달부(40)가 배치될 수 있고, 또는 하나의 판프레임부(30)에는 동력전달부(40), 다른 하나의 판프레임부(30)에는 자유회전부(42)가 배치될 수 있다.
두 판프레임부(30) 상에 각각 동력전달부(40)가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판프레임부(30) 상에 동일한 위치에 두 개 이상의 호올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호올에는 동력전달축(22)의 일단과 회전축부(50)의 회전축(52) 일단이 관통될 수 있다. 또한, 호올이 세 개 이상일 경우, 하나 이상의 축프레임부(70)가 연결되어 축프레임부(7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축들이 관통될 수 있다.
각각의 동력전달축(22)과 회전축(52)은 판프레임부(30)의 호올에서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각각 베어링을 관통하여 동력전달부(40)에 수용될 수 있다. 각각의 동력전달부(40)는 내부에 벨트나 체인 등을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벨트나 체인 등은 동력전달축(22)과 회전축(52)을 연결하여, 동력전달축(22)의 축회전을 회전축(52)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도 축회전될 수 있다.
일 판프레임부(30) 상에 동력전달부(40)가 배치되고 다른 일 판프레임부(30) 상에 자유회전부(42)가 배치되는 경우, 동력전달부(4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력전달축(22)의 축회전을 회전축(52)에 전달할 수 있고, 자유회전부(42)는 각각 동력전달축(22)과 회전축(52)의 동력전달부(40) 반대편 판프레임부(30) 상에 배치되어서, 동력전달축(22) 및 회전축(52)의 일단과 연결된다. 자유회전부(42)는 동력전달축(22) 및 회전축(52)이 관통하지 않는 베어링 형태일 수 있으며, 동력전달축(22)과 회전축(52)의 일단의 위치를 고정하며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내부에 축이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축프레임부(70)가 판프레임부(30) 상에 배치되는 경우, 회전축(52)과 마찬가지로 양 끝단이 동력전달부(40)에 수용될 수 있으며, 동력전달부(40) 내부의 벨트 또는 체인과 연결되여 축이 회전될 수 있다.
즉, 두 판프레임부(30)들은 동력수용부(20), 회전축부(50) 또는 축프레임부(70)의 양 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동력전달부(40)는 두 판프레임부(30) 상에서 동력수용부(20)의 축회전 동력을 다른 회전축부(50) 또는 축프레임부(70)에 전달할 수 있다.
회전축부(50)는 동력전달부(40)로부터 축회전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배토삽부(60)는 회전축부(50)의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회전축부(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축부(50)는 동력전달부(40)와 연결되는 기둥 형태의 회전축(52) 및 회전축(52)의 일부를 감싸고 회전축(52)의 단면 직경을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드럼부재(5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축(52)은 동력전달부(40)를 통해 동력수용부(20)의 축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축회전될 수 있다. 드럼부재(54)는 회전축(52)의 방사방향으로 회전축(52)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회전축(52) 상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드럼부재(54)와 회전축(52)을 동시에 자른 단면에서, 드럼부재(54)와 회전축(52)은 각각 원형 단면을 가지며, 동일한 중심점을 가지도록 회전축(52)은 드럼부재(54)의 중앙부에 위치되고, 드럼부재(54)는 회전축(52)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회전축(52)의 외경은 330mm, 순수 드럼부재(54)의 외경은 350mm, 즉 드럼부재(54)와 회전축의 총 외경은 680mm일 수 있다.
드럼부재(54)는 회전축(52)과 함께 회전하며 즉, 드럼부재(54)는 회전축(52)의 축회전을 따라서 축회전될 수 있다.
배토삽부(60)는 회전축부(50)의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회전축부(5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회전축부(50) 중 드럼부재(54)의 외주를 따라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토삽부(60)는 지면과 접촉되어서 회전축부(50)의 축회전에 의해 회전되고, 따라서 지면에 흙을 성형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립복토기(1)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립복토기(1)는 지지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80)는 추가작업도구를 거치할 수 있으며, 추가작업도구는 위에서 나열된 파종기(E2) 등일 수 있다.
지지부(80)는 동력수용부(20), 판프레임부(30), 동력전달부(40), 회전축부(50), 마스트부(10) 또는 축프레임부(7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80)는 제1 지지부재(8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지지부재(82)는 바람직하게 동력수용부(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지지부재(82)는 동력전달축(22) 상에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지지부재(82) 상에는 고압분사장치(E3)가 배치될 수 있다.
고압분사장치(E3)는 제1 지지부재(82)에 고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볼트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압분사장치(E3)는 트랙터(T)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압분사장치 축(E32)과 고압분사장치 풀리(E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여, 고압분사장치(E3)는 트랙터(T)의 전방에 위치하는 약품통(E1)과 호스연결될 수 있으며, 약품통(E1)의 액체를 전달받아 후방의 파종기(E2)에 전달할 수 있다.
고압분사장치(E3)는 약품통의 액체가 후방의 파종기(E2)까지 가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고압분사장치(E3)는 동력수용부(20), 동력취출장치(T1) 또는 동력수용부(20)와 동력취출장치(T1)를 연결하는 조인트(J)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 이 때, 동력수용부(20)와 동력취출장치(T1)의 연결과정에서 조인트(J)는 생략될 수도 있다.
고압분사장치(E3)의 고압분사장치 풀리(E34)는 고압분사장치 축(E32)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고압분사장치 축(E32)의 외경을 연장하게 배치되며, 동력수용부(20), 동력취출장치(T1) 또는 조인트(J)와 벨트(E4)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압분사장치 축(E32)의 길이가 길게 연장되는 경우 고압분사장치 풀리(E34)는 동력취출장치(T1)와 벨트(E4)로 연결되고, 고압분사장치 축(E32)의 길이가 짧게 연장되는 경우 고압분사장치 풀리(E34)는 동력수용부(20)와 연결되며, 고압분사장치 축(E22) 길이가 조인트(J)의 위치와 유사하면 고압분사장치 풀리(E34)는 조인트(J)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80)는 제2 지지부재(84)와 연결부재(86)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지지부재(82)는 바람직하게, 동력수용부(20) 또는 축프레임부(70) 상에서 위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86)는 제2 지지부재(84)는 센터마스트(16)를 연결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센터마스트(16)가 트랙터(T)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될 때, 제2 지지부재(84)는 상방으로 배치되며, 연결부재(86)는 제2 지지부재(84) 상부와 센터마스트(16)의 상부를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부재(86)가 해제되어 있을 때, 제2 지지부재는 일방이 개방된 센터마스트(16)의 개방된 측으로 삽입되어 보관될 수도 있다.
센터마스트(16)와 제2 지지부재(84)에는 각각 복수 개의 호올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86)는 센터마스트(16)의 호올과 제2 지지부재(84)의 호올에 양 단이 각각 고정되어 센터마스트(16)와 연결부재(86)가 선회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연결부재(86)는 센터마스트(16)의 복수 개의 호올과 제2 지지부재(84)의 복수 개의 호올에 선택적으로 체결됨으로써, 동력수용부(20) 또는 축프레임부(70)에 연결되는 제2 지지부재(84)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제2 지지부재(84)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연결부재(86)는 실린더 피스톤의 구조를 구비하며,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연장과 수축이 가능하다. 연결부재(86)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또는 수축되어서 제2 지지부재(84)의 위치, 즉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지지부재(84)의 복수 개의 호올에는 추가작업도구, 예를 들어, 파종기(E2)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립복토기(1)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종기(E2)의 링크는 제2 지지부재(84)의 호올을 통해 휴립복토기(1)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 시 연결부재(86)의 기울기가 조절되어, 파종기(E2)의 설치가 보다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계속 도 4를 참조하여, 축프레임부(70)는 제1 프레임부재(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재(72)는 동력수용부(20)의 트랙터(T) 방향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만곡프레임(722)과 직선프레임(724)을 포함할 수 있다. 만곡프레임(722)은 동력수용부(20) 근처에 배치되는 제1 프레임부재(72)의 길이방향 중간 부분이고, 하방 또는 상방으로 부분적으로 만곡되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직선프레임(724)은 만곡프레임(722)의 양 단에 위치되며, 판프레임부(30)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판프레임부(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프레임부재(72)는 동력취출장치(T1)및 동력수용부(20)와의 간섭을 방지하며 두 판프레임부(3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판프레임부(30)는 측면커버(32)를 포함할 수 있고, 측면커버(32)는 배토삽부(60)의 회전에 따라 지면에서 흙이 성형되는 중에 흙이 측 방향으로 비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축프레임부(70)는 제2 프레임부재(74)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프레임부재(74)는 로터리커버(742)를 포함할 수 있며, 로터리커버(742)는 배토삽부(60)의 회전에 따라 지면에서 흙이 성형되는 중에 흙이 후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립복토기(1)의 배토삽부(60) 및 회전축부(50)를 도시하는 부분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립복토기(1)의 배토삽부(60)의 배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립복토기(1)의 배토삽부(60)와 회전축부(50)의 사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다른 휴립복토기(1)의 배토삽부(60)는 드럼부재(54) 상에 배치되는 제1 삽날부재(62), 제2 삽날부재(64) 및 제3 삽날부재(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삽날부재(62)는 회전축부(50), 구체적으로 드럼부재(54)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아래에서 편의를 위해 드럼부재(54)로 설명을 하지만, 제1 삽날부재(62), 제2 삽날부재(64), 제3 삽날부재(66) 모두 회전축부(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독 또는 복수 개가 드럼부재(54) 폭방향으로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삽날부재(64)는 제1 삽날부재(62)와 동일하게 드럼부재(54)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두 개가 드럼부재(54) 폭방향 양단에 배치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제2 삽날부재(64)는 제1 삽날부재(62)와 드럼부재(54)의 둘레 방향(회전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삽날부재(66)도 제1 삽날부재(62) 및 제2 삽날부재(64)와 동일하게 드럼부재(54)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삽날부재(62) 및 제2 삽날부재(64)와 드럼부재(54)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삽날부재(66)는 복수 개의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3 삽날부재 쌍들(66)은 드럼부재(54)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복수 개 쌍의 제3 삽날부재들(66)은 제3 삽날부재(66)의 쌍 각각(662, 664, 666)이 서로 사이가 점점 멀어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삽날부재(66)는 한 쌍의 1열 제3 삽날부재(662), 한 쌍의 2열 제3 삽날부재(664) 및 한 쌍의 3열 제3 삽날부재(666)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제3 삽날부재(66)가 3쌍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꼭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삽날부재(66)는 2쌍일 수도 있고 4쌍 이상일 수도 있다.
각각의 한 쌍의 1열 제3 삽날부재(662), 한 쌍의 2열 제3 삽날부재(664), 한 쌍의 3열 제3 삽날부재(666)는 각 쌍의 요소들이 서로 거리가 점점 멀어지게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1열 제3 삽날부재(662)는 1측 1열 제3 삽날부재(6621)와 2측 1열 제3 삽날부재(6622)로 구성되며, 드럼부재(54)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1측 1열 제3 삽날부재(6621)와 2측 1열 제3 삽날부재(6622)의 이격거리는 제2 삽날부재(62) 쌍, 즉 1측 제2 삽날부재(641)와 2측 제2 삽날부재(642)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작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1측과 2측은 드럼부재(54)의 길이방향 배치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1측은 도 5a(드럼부재(54)와 배토삽부(60)의 정면도)를 참조하여 드럼부재(54)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오른쪽을 의미하며, 2측은 왼쪽을 의미할 수 있다.
2열 제3 삽날부재(664)는 1측 2열 제3 삽날부재(6641)와 2측 2열 제3 삽날부재(6642)로 구성되며, 드럼부재(54)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또한 1측 1열 제3 삽날부재(6621)와 2측 1열 제3 삽날부재(6622)와도 회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1측 2열 제3 삽날부재(6641)와 2측 2열 제3 삽날부재(6642)의 이격거리는 1측 제2 삽날부재(641)와 2측 제2 삽날부재(642)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작고, 1측 1열 제3 삽날부재(6621)와 2측 1열 제3 삽날부재(6622)의 이격거리보다 클 수 있다.
3열 제3 삽날부재(666)는 1측 3열 제3 삽날부재(6661)와 2측 3열 제3 삽날부재(6662)로 구성되며, 드럼부재(54)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또한, 1측 2열 제3 삽날부재(6641)와 2측 2열 제3 삽날부재(6642)와도 회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한 쌍의 3열 제3 삽날부재(666)는 한 쌍의 1열 제3 삽날부재(662)보다 한 쌍의 2열 제3 삽날부재(664)와 드럼부재(54)의 회전방향으로 더 가깝게 배치된다. 1측 3열 제3 삽날부재(6661)와 2측 3열 제3 삽날부재(6662)의 이격거리는 1측 제2 삽날부재(641)와 2측 제2 삽날부재(642)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작고, 1측 2열 제3 삽날부재(6641)와 2측 2열 제3 삽날부재(6642)의 이격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제1 삽날부재(62), 제2 삽날부재(64) 및 제3 삽날부재들(66)은 제1 삽날부재(62), 제2 삽날부재(64) 및 제3 삽날부재(66) 순으로 드럼부재(54)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일정하게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삽날부재(66)는 1열 제3 삽날부재(662)가 3열 제3 삽날부재(666)보다 제2 삽날부재(64)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여, 각각의 제1 삽날부재(62), 제2 삽날부재(64), 제3 삽날부재들(66)은 단면이 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형성되고, 드럼부재(54)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하면서, 드럼부재(54)의 회전방향을 따라 모두 동일하게 일 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마스트부(10)가 왼쪽으로 위치하도록 측면에서 보았을 때, 모든 삽날부재(60)들은 시계 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삽날부재(62), 1측 제2 삽날부재(641)와 2측 제2 삽날부재(642), 1측 1열 제3 삽날부재(6621)와 2측 1열 제3 삽날부재(6622), 1측 2열 제3 삽날부재(6641)와 1측 2열 제3 삽날부재(6642), 1측 3열 제3 삽날부재(6661)와 1측 3열 제3 삽날부재(6662)는 모두 일 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삽날부재들(62, 64, 66)은 단부가 두 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는데, 제1 삽날부재(62)의 경우 오른쪽 또는 왼쪽 둘 중 하나로 만곡될 수 있고, 제2 삽날부재(64)의 경우 단부가 서로 벌어지도록 만곡되며, 제3 삽날부재의 경우 각각 쌍의 단부가 서로 모아지도록 만곡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1측 제2 삽날부재(641)와 2측 1열 제3 삽날부재(6622), 2측 2열 제3 삽날부재(6642) 및 2측 3열 제3 삽날부재(6662)는 모두 같은 방향으로 단부가 만곡되고, 2측 제2 삽날부재(642)와 1측 1열 제3 삽날부재(6621), 1측 2열 제3 삽날부재(6641) 및 1측 3열 제3 삽날부재(6661)는 모두 같은 방향으로 단부가 만곡되며, 두 그룹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단부가 만곡될 수 있다. 제1 삽날부재(62)는 1측 제2 삽날부재(641)와 2측 1열 제3 삽날부재(6622), 2측 2열 제3 삽날부재(6642) 및 2측 3열 제3 삽날부재(6662) 또는 2측 제2 삽날부재(642)와 1측 1열 제3 삽날부재(6621), 1측 2열 제3 삽날부재(6641) 및 1측 3열 제3 삽날부재(6661) 둘 중에 하나와 같은 방향으로 단부가 만곡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삽날부재(62), 제2 삽날부재(64) 및 제3 삽날부재(66)들은 연결부분(62a, 641a, 642a, 6621a, 6622a, 6641a, 6642a, 6661a, 6662a), 방사부분(62b, 641b, 642b, 6621b, 6622b, 6641b, 6642b, 6661b, 6662b), 만곡부분(62c, 641c, 642c, 6621c, 6622c, 6641c, 6642c, 6661c, 6662c), 꼬리부분(62d, 641d, 642d, 6621d, 6622d, 6641d, 6642d, 6661d, 6662d), 말단부분(62e, 641e, 642e, 6621e, 6622e, 6641e, 6642e, 6661e, 6662e)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삽날부재(62), 제2 삽날부재(64) 및 제3 삽날부재(66)들의 연결부분(62a, 641a, 642a, 6621a, 6622a, 6641a, 6642a, 6661a, 6662a)은 드럼부재(54)에서 돌출된 부분과 각각의 제1 삽날부재(62), 제2 삽날부재(64) 및 제3 삽날부재(66)들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나사결합될 수 있다.
각각 각각의 제1 삽날부재(62), 제2 삽날부재(64) 및 제3 삽날부재(66)들의 방사부분(62b, 641b, 642b, 6621b, 6622b, 6641b, 6642b, 6661b, 6662b)은 연결부분(62a, 641a, 642a, 6621a, 6622a, 6641a, 6642a, 6661a, 6662a)에서 회전축부(50)의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삽날부재(62), 제2 삽날부재(64) 및 제3 삽날부재(66)들의 만곡부분(62c, 641c, 642c, 6621c, 6622c, 6641c, 6642c, 6661c, 6662c)은 방사부분(62b, 641b, 642b, 6621b, 6622b, 6641b, 6642b, 6661b, 6662b)과 연결되며, 모두 일 방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삽날부재(62), 제2 삽날부재(64) 및 제3 삽날부재(66)들의 꼬리부분(62d, 641d, 642d, 6621d, 6622d, 6641d, 6642d, 6661d, 6662d)은 만곡부분(62c, 641c, 642c, 6621c, 6622c, 6641c, 6642c, 6661c, 6662c)과 연결되며, 만곡부분보다 완만하게 휘어지거나 일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삽날부재(62), 제2 삽날부재(64) 및 제3 삽날부재(66)들의 말단부분(62e, 641e, 642e, 6621e, 6622e, 6641e, 6642e, 6661e, 6662e)은 꼬리부분(62d, 641d, 642d, 6621d, 6622d, 6641d, 6642d, 6661d, 6662d)과 연결되며, 회전축부(50)의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 양 방향으로 나뉘어 만곡될 수 있다.
또한, 제1 삽날부재(62)와 제2 삽날부재(64)는 삽날의 면이 회전축부(50)의 축방향을 향하도록 모두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고, 제3 삽날부재(66)는 한 쌍의 제3 삽날부재들(6621과 6622, 6641과 6642, 6661과 6662)의 단면이 방사형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자 팔(八)자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원의 도면에서는 제1 삽날부재(62)를 단독으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고, 제2 삽날부재(64)와 제3 삽날부재(66)가 짝지어지며, 한 드럼부재(54) 상에 두 세트의 제1 삽날부재(62), 제2 삽날부재(64) 및 제3 삽날부재(66)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꼭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한 드럼부재(54) 상에 제1 삽날부재(62), 제2 삽날부재(64), 제3 삽날부재(66)의 세트는 1세트 또는 3세트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삽날부재(62), 제2 삽날부재(64), 제3 삽날부재(66) 모두 전반적인 배치(점점 벌어지는 구조)를 따르면 개수와 상관없이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본원의 드럼부재(54)를 나누어, 복수 개의 드럼부재(54) 상에 본원의 삽날부재(66)들의 배치가 구현되는 것도 물론 포함될 수 있다.
본 원에서 설명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립복토기(1)는 설계의 자유도를 높여 농약살포기, 유체공급기, 파종기 등의 작업도구를 설치하기에 용이하고, 에너지 효율적으로 고랑을 만들 수 있으며, 질흙에서 사용하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립복토기(1)는 작업장소에 산재된 장애물들을 회피할 수 있고, 자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구조를 구비하고, 추가로 설치되는 작업도구에 동력을 전달하기 용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휴립복토기(1)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휴립복토기
10 : 마스트부
12 : 제1 사이드마스트
14 : 제2 사이드마스트
16 : 센터마스트
20 : 동력수용부
22 : 동력전달축
30 : 판프레임부
32 : 측면커버
40 : 동력전달부
42 : 자유회전부
50 : 회전축부
52 : 회전축
54 : 드럼부재
60 : 배토삽부
62 : 제1 삽날부재
64 : 제2 삽날부재
641 : 1측 제2 삽날부재
642 : 2측 제2 삽날부재
66 : 제3 삽날부재
662 : 1열 제3 삽날부재
6621 : 1측 1열 제3 삽날부재
6621a : 연결부분
6621b : 방사부분
6621c : 만곡부분
6621d : 꼬리부분
6621e : 말단부분
6622 : 2측 1열 제3 삽날부재
664 : 2열 제3 삽날부재
6641 : 1측 2열 제3 삽날부재
6642 : 2측 2열 제3 삽날부재
666 : 3열 제3 삽날부재
6661 : 1측 3열 제3 삽날부재
6662 : 2측 3열 제3 삽날부재
70 : 축프레임부
72 : 제1 프레임부재
722 : 만곡프레임
724 : 직선프레임
74 : 제2 프레임부재
742 : 로터리 커버
80 : 지지부
82 : 제1 지지부재
84 : 제2 지지부재
86 : 연결부재
T : 트랙터
T1 : 동력취출장치
E1 : 약품통
E2 : 파종기
E3 : 고압분사장치
E32 : 고압분사장치 축
E34 : 고압분사장치 풀리
E4 : 벨트
J : 조인트

Claims (10)

  1. 트랙터와 고정되도록 연결되는 마스트부;
    상기 트랙터의 동력취출장치과 연결되며, 상기 동력취출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축회전되는 동력수용부;
    상기 동력수용부의 양 단에 각각 배치되는 판프레임부;
    상기 판프레임부 상에서 상기 동력수용부의 축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축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는 회전축부;
    상기 회전축부의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축부 상에 배치되는 배토삽부; 및
    두 개의 상기 판프레임부 사이를 연결하게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축프레임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배토삽부는 지면과 접촉되며 상기 회전축부의 축회전에 의해 지면의 흙을 성형하며,
    추가작업도구를 거치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동력수용부, 상기 판프레임부, 상기 회전축부, 상기 마스트부 또는 상기 축프레임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는 제1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동력수용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추가작업도구는 상기 제1 지지부재에 고정되어서, 상기 트랙터의 상기 동력취출장치, 상기 동력수용부, 또는 상기 동력수용부와 상기 동력취출장치를 연결하는 조인트와 벨트연결 되고,
    상기 마스트부는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센터마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동력수용부, 상기 마스트부 또는 상기 축프레임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마스트와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연결부재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또는 수축되어서,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위치를 조정하고,
    상기 추가작업도구는 상기 제2 지지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트랙터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압분사장치 축과 고압분사장치 풀리를 포함하는 고압분사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는,
    링크에 의해 파종기와 연결되는, 휴립복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는 기둥형태의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일부를 감싸고 상기 회전축의 단면 직경을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드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토삽부는 상기 드럼부재에서 외측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휴립복토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토삽부는,
    제1 삽날부재;
    상기 회전축부의 둘레 방향으로 상기 제1 삽날부재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삽날부재; 및
    상기 회전축부의 둘레 방향으로 상기 제1 삽날부재와, 상기 제2 삽날부재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3 삽날부재;
    를 포함하는, 휴립복토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삽날부재는 복수 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상기 제3 삽날부재 쌍들은 회전축부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열되고,
    복수 개 쌍의 상기 제3 삽날부재들은 상기 제3 삽날부재의 쌍들 각각이 서로 사이거리가 점점 멀어지게 배열되며,
    상기 제2 삽날부재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한 쌍의 상기 제2 삽날부재들은 사이거리가 복수 개 쌍의 상기 제3 삽날부재 쌍들 중 사이거리가 가장 먼 한 쌍의 제3 삽날부재들의 사이거리보다 더 이격되게 배열되는, 휴립복토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날부재, 상기 제2 삽날부재 또는 상기 제3 삽날부재는 단면이 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형성되고,
    이격된 한 쌍의 상기 제2 삽날부재들은 각각 방사방향의 말단이 서로를 마주보도록 만곡되며,
    복수 개 쌍의 상기 제3 삽날부재들은 각각 방사방향의 말단이 서로 멀어지도록 만곡되고,
    각 쌍의 제3 삽날부재들은 각 제3 삽날부재의 단면이 방사방향이 되도록 배치되는, 휴립복토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날부재, 한 쌍의 상기 제2 삽날부재 및 복수 쌍의 상기 제3 삽날부재는 상기 제1 삽날부재, 상기 제2 삽날부재 및 상기 제3 삽날부재 순으로 상기 회전축부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일정하게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삽날부재, 상기 제2 삽날부재 및 상기 제3 삽날부재는 각각이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방향을 따라 일 방향으로 만곡되는, 휴립복토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프레임부는 기둥형상의 제1 프레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부재는 상기 동력수용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중앙 부분이 하방 또는 상방으로 만곡하게 형성되는, 휴립복토기.
KR1020200118925A 2020-09-16 2020-09-16 휴립복토기 KR102518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925A KR102518069B1 (ko) 2020-09-16 2020-09-16 휴립복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925A KR102518069B1 (ko) 2020-09-16 2020-09-16 휴립복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564A KR20220036564A (ko) 2022-03-23
KR102518069B1 true KR102518069B1 (ko) 2023-04-04

Family

ID=80963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925A KR102518069B1 (ko) 2020-09-16 2020-09-16 휴립복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0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4159A (ko) 2022-07-25 2024-02-01 김재동 견인식 두둑 성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0414A (ja) * 2012-07-31 2014-02-20 Tomabechi Giken Kogyo:Kk トラクタに連結する長径根菜類の部分深耕ロータリ装置
KR101368995B1 (ko) * 2012-05-11 2014-03-03 제트스타 주식회사 써레 장착용 구조물
KR101761745B1 (ko) * 2016-10-19 2017-07-26 주식회사 불스 건답용 직파장치
KR102116184B1 (ko) * 2018-10-17 2020-05-27 김재동 논콩 전용 두둑 조성 및 파종 복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995B1 (ko) * 2012-05-11 2014-03-03 제트스타 주식회사 써레 장착용 구조물
JP2014030414A (ja) * 2012-07-31 2014-02-20 Tomabechi Giken Kogyo:Kk トラクタに連結する長径根菜類の部分深耕ロータリ装置
KR101761745B1 (ko) * 2016-10-19 2017-07-26 주식회사 불스 건답용 직파장치
KR102116184B1 (ko) * 2018-10-17 2020-05-27 김재동 논콩 전용 두둑 조성 및 파종 복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564A (ko)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1431A (en) Detachable harvesting unit
US10687452B2 (en) Multifunctional implement for farming and gardening
US20130199807A1 (en) Tillage System with Interchangeable Modules
US94565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ll inter-row simultaneous application of herbicide and fertilizer, soil preparation, and seeding of a cover crop in a standing crop
US7975631B2 (en) Combined agricultural machine
US201502161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ll inter-row simultaneous application of herbicide and fertilizer, soil preparation, and seeding of a cover crop in a standing crop
CN103444317A (zh) 一种用于免耕播种的杂粮播种机
US38113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um tillage farming
Usaborisut Progress in mechanization of sugarcane farms in Thailand
US10212873B2 (en) Hybrid tillage implement for vertical tillage and aeration of soil with deposit of soil additive
KR102518069B1 (ko) 휴립복토기
CN105815010A (zh) 一种免耕电控玉米复式播种机
CN104663080A (zh) 一种秸秆还田播种机
CN114041342A (zh) 一种农业种植用开沟装置
Lohan et al. Farm machinery for conservation agriculture
Edward Modern tools in Agricultural Practices at Nagapattinam District–Field Realities
JP2001061319A (ja) 移動農機の畦立て施肥装置
Tuğrul Mechanization in Sugar Beet Cultivation
Reeder et al. Controlled traffic
KR20220128173A (ko) 휴립복토기
Drovnikov et al. The choice of a promising scheme of transport technological agricultural energy
Spencer Nampo equipment preview
Plain et al. 2009 Custom Rates for Farm Services in Missouri
Kriel From sowing to harvesting: machinery & implements
AU2022406283A1 (en) A method for cultivating a piece of farmland and a tractor for employing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