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919B1 - 3차원 공간에서 광고 구분을 위한 광고 표식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공간에서 광고 구분을 위한 광고 표식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919B1
KR102517919B1 KR1020200169745A KR20200169745A KR102517919B1 KR 102517919 B1 KR102517919 B1 KR 102517919B1 KR 1020200169745 A KR1020200169745 A KR 1020200169745A KR 20200169745 A KR20200169745 A KR 20200169745A KR 102517919 B1 KR102517919 B1 KR 102517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user
sign
advertising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0535A (ko
Inventor
손수엘
김준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169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919B1/ko
Publication of KR20220080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광고객체(advertisement object)와 인접한 위치에 광고표식(advertisement disclosure)을 삽입하고, 광고표식의 위치(location) 및 방향(direction)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바라보는 객체가 광고(advertisement)임을 인지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3차원 공간(three-dimensional space) 상에 시각적 인터페이스(visual interface)를 이용하여 표시되는 콘텐츠에 광고 구분을 위한 광고표식(advertisement disclosure)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로부터 사용자 시야(user sight) 내에 위치하는 광고객체(ad object)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광고객체의 인접한 위치에 상기 광고표식을 삽입하는 과정, 사용자 시선(user gaze)을 검출하여 상기 사용자 시선을 기준으로 상기 광고표식의 위치 또는 방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표식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3차원 공간에서 광고 구분을 위한 광고 표식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 Disclosure for Identifying Advertisements in 3-Dimensional Space}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3차원 공간에서 광고 구분을 위한 광고 표식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광고 표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광고를 식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3차원 가상 공간에서 광고 구분을 위한 광고 표식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소셜 미디어(social media) 등 콘텐츠 플랫폼(content platform)이 발달함에 따라 소비자(consumer)로 하여금 광고(advertisement)와 웹 콘텐츠(web content)를 구분하지 못하게 하는 과대광고(deceptive advertisement)가 증가하고 있다. 과대광고는 예컨대, 각각의 콘텐츠 플랫폼의 고유한 형식(inherent format)에 맞춰 광고 콘텐츠(advertisement content)가 제공되는 네이티브 광고(native advertisement)일 수 있다. 네이티브 광고는 콘텐츠 플랫폼 상의 통상적인 콘텐츠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표시되기에 사용자들의 UX(user experience: 사용자 경험)를 방해하지 않고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네이티브 광고와 함께 사용자로 하여금 광고임을 식별할 수 있게 하는 표식(disclosure)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의 연방거래위원회(Federal Trade Commission: FTC) 및 유럽 연합(European Union)의 유럽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 EC)는 온라인 상에서 광고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과대 광고를 규제하고 있다. 예컨대, 광고 표식(advertisement disclosure)은 광고 표시에 관한 가이드라인 중의 하나로서, 광고 콘텐츠의 인접한 위치에 삽입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광고와 일반 콘텐츠를 구분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 상에서 광고 콘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광고표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웹페이지 상에서 제공되는 2차원 배너광고(2-dimensional banner advertisement, 100)에 광고표식의 일종인 애드초이스 아이콘(AdChoices icon, 104)이 도시되어 있다. 애드초이스(AdChoices)는 FTC의 권고 및 미국 온라인 광고 업계의 자율 규제 프로그램(self-regulation program)에 따라 만들어진 규정이며, DAA(Digital Advertisement Alliance)와 같은 온라인 광고 협회가 애드초이스를 관리하고 있다. 광고주는 웹 페이지 상에서 2차원 배너광고(100)를 게시하는 경우 광고 콘텐츠(102)의 인접한 위치에 애드초이스 아이콘(104)을 삽입함으로써 사용자가 광고 콘텐츠(102)를 일반 콘텐츠(미도시)로부터 구분할 수 있게 하고, 일반 콘텐츠(미도시)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삽입된 애드초이스 아이콘(104)을 이용하여 웹페이지 상에서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102)에 대한 선호도 표시 또는 관련 광고에 대한 차단 요청 등의 피드백(feedback)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웹페이지 상에서 제공되는 광고표식은 애드초이스 아이콘(104) 이외에도, 소셜미디어(social media)에서는 광고 콘텐츠와 인접한 위치에 '스폰서광고(sponsored advertisement)' 또는 '추천포스트(suggested post)'와 같은 텍스트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표식이 제공되지 않는 종래의 VR 광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3차원 공간(3-dimensional space) 상에 복수의 콘텐츠 객체(200: 200_A 및 200_B)와 광고주가 삽입한 광고객체(advertisement object, 202)가 함께 도시되어 있다.
FTC의 광고 표시에 관한 가이드라인은 온라인 상에서 제공되는 모든 유형의 디지털 광고(digital advertisement)에 적용되는 규제이다. 따라서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 또는 AR(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과 같은 3차원 환경(3-dimensional environment)에서 제공되는 광고의 경우에도 광고표식이 광고객체(202)와 함께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3차원 공간에서는 시각적 인터페이스(visual interface) 상에서 광고객체(202)와 콘텐츠객체(200: 200_A 및 200_B)가 함께 제공되기에 사용자가 광고객체(202)를 쉽게 구별할 수 없어, 광고표식의 필요성이 더욱 크다.
하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사업자가 3차원 공간 상에서 종래의 3차원 광고를 제공하는 경우 광고표식을 명확히 제공하지 않고 있어 3차원 콘텐츠(3-dimensional content)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를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3차원 광고 내에서 광고객체(202)를 콘텐츠객체(200: 200_A 및 200_B)로부터 명확히 식별할 수 있게 하는 광고 표식(ad disclosure)의 제공 방법이 필요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3차원 공간 상에서 표시되는 복수의 콘텐츠객체(content object) 중에서 광고객체(advertisement object)를 식별할 수 있도록 광고표식(advertisement disclosure)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3차원 공간(three-dimensional space) 상에 시각적 인터페이스(visual interface)를 이용하여 표시되는 콘텐츠에 광고 구분을 위한 광고표식(advertisement disclosure)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로부터 사용자 시야(user sight) 내에 위치하는 광고객체(ad object)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광고객체의 인접한 위치에 상기 광고표식을 삽입하는 과정; 사용자 시선(user gaze)을 검출하여 상기 사용자 시선을 기준으로 상기 광고표식의 위치 또는 방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표식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표식을 제공하는 방법이 포함하는 각 과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록매체에 각각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콘텐츠에 광고표식(advertisement disclosure)을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3차원 공간(3-dimensional space) 상에 복수의 가상객체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부(interface unit); 사용자의 동공(pupil)을 추적하여 사용자가 상기 가상객체를 바라보는 방향을 의미하는 사용자 시선(user gaze)을 검출하는 시선검출부(gaze detection unit); 및 상기 콘텐츠로부터 사용자 시야(user sight) 내에 위치하는 광고객체(advertisement object)를 검출하여 상기 광고객체의 인접한 위치에 광고 구분을 위한 광고표식(advertisement disclosure)를 삽입(inseertion)하고, 상기 사용자 시선을 기준으로 상기 광고표식의 위치 또는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control un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표식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3차원 공간(3-dimensional space) 상의 광고객체(advertisement object)와 인접한 위치에 광고표식(advertisement disclosure)를 삽입하고, 사용자가 광고표식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3차원 공간 상에서 제공되는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 상에서 광고 콘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광고표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표식이 제공되지 않는 종래의 VR 광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의 (a) 내지 (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간 상에 제공되는 광고객체 및 광고표식을 여러 방향에서 바라보는 경우의 사용자 시야(user sight) 내에 표시되는 객체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광고표식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광고표식을 회전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사용자 시선과 관계 없이 광고표식이 항상 사용자를 바라보도록 회전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3차원 공간 상의 원점, 사용자 좌표 및 광고객체좌표를 이용하여 광고표식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광고표식을 제공하는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기재된, 콘텐츠객체(content object)는 3차원 공간 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객체들을 의미하며, 광고객체(advertisement object)는 객체들 중에서 광고(advertisement)를 포함하는 객체를 의미한다.
광고표식(advertisement object)은 광고객체의 인접한 위치에 삽입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콘텐츠객체로부터 광고객체를 식별할 수 있게 하는 객체를 의미한다.
사용자 시야(user sight)는 사용자가 시각적 인터페이스(visual interface)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을 바라보는 경우 객체를 인식할 수 있는 공간적 범위(spatial coverage)를 의미하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 시야가 직사각형의 형태인 것으로 전제한다. 다만, 사용자 시야는 시각적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 시선(user gaze)은 사용자가 3차원 공간 상에 표시되는 임의의 객체(arbitrary object)를 바라보는 경우 3차원 공간 상의 사용자 좌표(user coordinates)로부터 임의의 객체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 시선을 직교 좌표계(orthogonal coordinate system) 상의 3차원 공간 벡터(3-dimensional space vector)의 방향벡터인 것으로 표현한다. 하지만, 사용자 시선은 극 좌표계(polar coordinate system), 원기둥 좌표계(cylindrical coordinate system), 구면 좌표계(spherical coordinate) 등을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예에 기재된 제1 방향벡터(first direction vector)는 사용자 시선 방향의 방향벡터를 의미하며, 제2 방향벡터(second direction vector)는 3차원 공간 상의 사용자 좌표로부터 광고객체를 향하는 방향벡터를 의미한다.
최근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 상에 가상객체를 표시하는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광고객체와 인접한 위치에 광고표식을 삽입하고, 광고표식의 위치 및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바라보는 객체가 광고임을 인지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발명의 설명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 3의 (a) 내지 (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간 상에 제공되는 광고객체 및 광고표식을 여러 방향에서 바라보는 경우의 사용자 시야(user sight) 내에 표시되는 객체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광고객체(202)를 정면에서 바라보는 경우, 사용자 시야(300) 내에는 광고객체(202) 및 광고객체(202)의 인접한 위치에 삽입되는 광고표식(104)이 정면으로 표시된다.
도 3의 (b) 및 (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광고객체(202)를 정면이 아닌 방향에서 바라보는 경우, 사용자 시야(300) 내에는 광고객체(202)가 정면으로 표시되지 않는다. 하지만 사용자는 광고객체(202)를 정면이 아닌 방향에서 바라보는 경우에도 콘텐츠객체로부터 광고객체(202)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하기에, 광고표식(104)은 항상 사용자 시야(300) 내에서 정면으로 표시되어야 한다. 즉, 3차원 가상 공간 상의 원점(700)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의미하는 사용자 좌표(user coordinates) 또는 사용자 시선(user gaze)이 변함에 따라 사용자가 광고객체(202)를 바라보는 방향이 바뀌더라도 광고표식(104)이 그에 대응하여 회전할 수 있어야 한다. 광고표식(104)이 사용자 좌표 또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방법은 도 4 내지 도 7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광고표식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광고표식 제공 장치의 제어부(control unit)는 3차원 공간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로부터 광고객체(202)를 검출한다(S400). 이 때, 3차원 공간이란 VR(Virtual Reality: 가상 현실), AR(Augmented Reality: 증강 현실) 또는 VR과 AR을 융합한 MR(Mixed Reality: 혼합 현실) 환경에서 UI(User Interface: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공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UI는 VR 기기(Virtual Reality device)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의 디스플레이 또는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es)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즉, UI를 제공하는 장치는 시각적 인터페이스(visual interface)를 이용하여 VR(Virtual Reality) 또는 AR(Augmented Reality) 환경을 표현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의미하며, 위와 같은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간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는 광고표식 제공 장치 내에 기 저장되거나 광고표식 제공 장치에 실시간(real-time)으로 전송되는 3차원 영상(3-dimensional video) 또는 3차원 이미지(3-dimensional image)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 내에는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광고객체(advertisement object, 202) 및 콘텐츠객체(content object, 200: 200_A 및 200_B)가 함께 포함되어 있다. 콘텐츠 제작자(content creator)는 콘텐츠를 제작하는 경우 광고객체좌표(advertisement object coordinates) 및 콘텐츠객체좌표(content object coordinates)를 기 설정함으로써 콘텐츠 내에 각각의 객체를 배치한다. 한편, 광고객체좌표 및 콘텐츠객체좌표는 3차원 공간 상의 원점(700)을 기준으로 각각의 객체가 위치하는 좌표를 의미한다.
광고표식 제공 장치는 기 저장된 콘텐츠 정보(content information) 또는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콘텐츠 정보로부터 광고객체좌표(advertisement disclosure coordinates)를 추출함으로써 광고객체(202)를 검출한다. 광고객체좌표는 콘텐츠 정보 내에 기 설정되어 있기에 광고표식 제공 장치가 기 저장하고 있거나,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콘텐츠 정보로부터 광고객체좌표를 쉽게 추출할 수 있게 된다.
광고표식 제공 장치의 제어부는 광고객체(202)의 인접한 위치에 광고 구분을 위한 광고표식(advertisement disclosure, 104)을 삽입한다(S402).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광고표식(104)은 사용자로 하여금 콘텐츠객체(200: 200_A 및 200_B)로부터 광고객체(202)를 식별할 수 있게 하는 가상객체이기에 광고객체(202)와 인접한 위치에 삽입되어야 한다. 광고표식(104)이 삽입되는 위치는 광고객체좌표와 인접한 위치에 광고표식좌표를 설정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광고표식좌표의 값은 실시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기 저장된 여러 종류의 광고표식(104)으로부터 광고객체(202)의 종류에 대응하는 광고표식(104)을 추출하여 광고객체(202)의 인접한 위치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광고표식(104)은 3차원 공간 상에 텍스트(text) 또는 이미지(image)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광고표식(104)의 구체적인 내용 및 형태는 광고객체(202)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광고객체(202)의 크기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광고표식(104)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광고표식 제공 장치의 시선검출부(gaze detecting unit)는 사용자 시선을 검출하고, 제어부는 검출된 사용자 시선을 기준으로 광고표식(104)의 위치 또는 방향을 제어한다(S404). 시선검출부가 사용자가 응시하고 있는 임의의 객체의 방향을 검출하는 방법은 이하 도 8에서 설명한다.
제어부는 광고객체(202)의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계속하여 변하는 광고객체좌표를 추출하고 광고표식(104)이 광고객체(202)의 인접한 위치에 존재하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3차원 공간에서 광고객체(202)가 이동하는 경우 광고표식(104) 또한 광고객체(20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검출된 사용자 시선을 기준으로 제어부가 광고표식(104)의 방향을 제어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도 5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광고표식을 회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제어부는 사용자 시선의 방향벡터를 의미하는 제1 방향벡터(first direction vector)를 산출한다(S500). 제1 방향벡터는 크기가 1로 정규화 되어 있는 3차원 공간벡터(3-dimensional space vector)로서, 3차원 공간 상의 사용자의 위치를 의미하는 사용자 좌표(user coordinates)로부터 사용자가 바라보는 객체를 향하는 방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광고객체좌표 및 사용자 좌표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광고객체(202)를 연결하는 방향벡터를 의미하는 제2 방향벡터(second direction vector)를 산출한다(S502). 콘텐츠 내의 광고객체(202)의 위치 및 3차원 공간 상의 사용자의 위치는 원점(700)을 기준으로 광고객체좌표 및 사용자 좌표로써 표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좌표는 실시간으로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실시간으로 콘텐츠 정보로부터 광고객체좌표를 검출하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집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좌표를 검출함으로써, 제2 방향벡터를 산출하게 된다.
제어부는 제1 방향벡터 및 제2 방향벡터가 포함하는 각각의 성분을 이용하여 광고표식(104)의 회전방향(rotation direction) 및 회전각(rotation angle)을 산출한다(S504).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1 방향벡터와 제2 방향벡터가 이루는 교차각(crossed angle)을 산출하고, 제1 방향벡터 및 산출된 교차각을 기초로 광고표식(104)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광고객체(202)로부터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이 광고표식(104)이 바라보는 초기 방향(initial direction)이 되도록 초기조건(initial condition)을 설정한다. 이후, 제어부는 제1 방향벡터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객체의 방향을 광고표식(104)의 회전방향으로 결정하고, 산출된 교차각에 대한 기 설정된 비율의 각도를 광고표식(104)의 회전각으로 결정할 수 있다. 회전각을 결정하기 위한 교차각과 회전각의 기 설정된 비율은 실시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는 산출된 회전방향 및 회전각을 기초로 광고표식(104)이 회전하도록 제어한다(S506). 이와 같이, 사용자가 바라보는 객체의 방향으로 산출된 회전각만큼 광고표식(104)이 회전함으로써, 사용자가 광고객체(202) 이외의 객체를 바라보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주변시야에 광고표식(104)이 보이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콘텐츠 내에 위치하는 콘텐츠객체(200: 200_A 및 200_B)로부터 광고객체(202)를 보다 명확하게 식별하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방향벡터 및 제2 방향벡터가 일치하는 경우, 즉 사용자가 광고객체(202)를 바라보는 경우 제어부가 제2 방향벡터의 음벡터(negative vector) 방향으로 광고표식(104)을 회전시킴으로써 광고표식(104)과 사용자가 서로 마주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도 3의 (a) 내지 (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좌표가 변경되더라도 사용자가 광고객체(202)를 바라보는 경우 광고표식(104)과 사용자가 서로 마주보게 되고, 사용자는 콘텐츠객체(200: 200_A 및 200_B)로부터 광고객체(202)를 명확하게 식별하게 된다.
도 6은 사용자 시선과 관계 없이 광고표식이 항상 사용자를 바라보도록 회전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3차원 공간 상의 원점, 사용자 좌표 및 광고객체좌표를 이용하여 광고표식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광고표식(104)이 항상 사용자를 바라보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3차원 공간 상에 원점(700)(origin, 700), 사용자 좌표(user coordinates, 702) 및 광고표식좌표(advertisement disclosure coordinates, 704)가 도시되어 있다.
제어부는 원점(700), 사용자 좌표(702) 및 광고표식좌표(704)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 상에 가상의 삼각형을 형성한다(S600). 3차원 공간의 원점(700)은 3차원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중심점으로서, 원점(700)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다. 사용자 좌표(702)는 3차원 공간 상의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광고표식좌표(704)는 광고객체(202)가 이동함에 따라 각각 변경될 수 있으나 도 7의 (a) 및 (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 좌표(702) 및 광고표식좌표(704)가 고정된 상태인 것으로 전제한다. 제어부는 광고객체(202)와 인접한 위치에 삽입된 광고표식(104)의 위치정보로부터 광고표식좌표(704)를 추출할 수 있으며,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사용자 좌표(702)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가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는 xy평면, yz평면 및 zx평면 상에 과정 S600에서 형성한 가상의 삼각형에 대한 정사영(orthogonal projection)을 각각 생성한다(S602).
도 7의 (b)를 참조하면, 도 7의 (a)에서 형성한 가상의 삼각형에 대한 xy평면 상의 정사영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가상의 삼각형을 이루는 원점(700), 사용자 좌표(702) 및 광고표식좌표(704)는 (x, y, z)와 같이 3차원의 공간좌표를 이용하여 표현된다. 반면, 도 7의 (b)에 도시된 xy평면 상의 정사영은 평면 삼각형의 형태이기에 정사형을 이루는 각각의 꼭지점은 2차원 평면좌표로써 표현된다.
제어부는 제2 코사인법칙(second law of cosines) 또는 행렬연산(matrix operation)을 이용하여 각각의 정사영에 대한 광고표식(104)의 회전방향(rotation direction) 및 회전각(rotation angle)을 산출한다(S604).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광고표식의 평면좌표가 원점(700)을 바라보도록 초기방향(initial direction, 706_A)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광고표식(104)을 목표방향(target direction, 706_B)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xy평면, yz평면 및 zx평면 상의 회전각(θ)을 산출한다. 제어부는 원점(700), 광고표식의 평면좌표 및 사용자의 평면좌표를 기초로 제2 코사인 법칙 또는 행렬연산을 이용하여 회전각(θ)을 산출하며, 삼각형의 꼭지점 좌표를 기초로 제2 코사인법칙 또는 행렬연산을 이용하여 내각(internal angle)을 계산한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B'으로부터 C'까지의 거리를 a, C'으로부터 A'까지의 거리를 b, A'으로부터 B'까지의 거리를 c라 할 때, 제2 코사인법칙에 따라 수학식 1이 성립한다.
Figure 112020132413190-pat00001
이 때, xy평면 상의 광고표식(104)의 회전각 θ는 수학식 2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20132413190-pat00002
한편, 함수
Figure 112020132413190-pat00003
의 치역은 0부터 π까지 정의 되어 있기에, 제2 코사인 법칙을 이용하는 경우 크기가 π 미만의 xy평면 상의 광고표식(104)의 회전각 θ만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세 꼭지점 A', B', C'로부터 형성되는 삼각형의 각 변의 길이를 이용하여 수학식 1 및 2에 따라 회전각 θ의 크기를 산출한 이후, 벡터의 외적을 이용하여 xy평면 상의 광고표식(104)의 회전 방향을 결정해야 한다.
C'로부터 A'를 향하는 초기방향(706_A)의 벡터를 v1이라 하고, C'로부터 B'를 향하는 목표방향(706_B)의 벡터를 v2라 하면, 두 벡터의 외적은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20132413190-pat00004
이 때, 외적의 성질에 따라 z 성분 값이 양수인 경우 v2(706_B)가 v1(706_A)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에 위치하고, z 성분 값이 음수인 경우 v2(706_B)가 v1(706_A)으로부터 시계 방향에 위치하기에 수학식 3의 결과를 이용하여 광고 표식(104)의 평면 상의 회전 방향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도 7의 (b)에 도시된 각 꼭지점의 위치를 기초로 산출한 v1(706_A)과 v2(706_B)의 외적의 z 성분의 값은 양수값을 가지므로 제어부는 xy평면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각 θ 만큼 광고 표식(104)을 회전시킨다.
한편, 제어부는 xy평면 상에서 광고표식(104)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을 산출하는 방법과 동일한 과정에 따라 yz평면 및 zx평면 상에서 광고표식(104)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을 산출할 수 있기에, 이하 yz평면 및 zx평면 상에서의 계산 과정은 생략한다.
제어부는 산출된 회전방향 및 회전각에 따라 광고표식(104)을 회전시킴으로써, 광고표식(104)이 사용자를 바라보도록 제어한다(S606). xy평면, yz평면 및 zx평면에 대한 광고표식(104)의 순차적인 회전에 따라 광고표식(104)이 사용자 시선과 상관없이 항상 사용자를 정면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광고표식(104)을 인지함으로써 콘텐츠 내 콘텐츠객체(200: 200_A 및 200_B)로부터 광고객체(202)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광고표식을 제공하는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광고표식을 제공하는 장치(800)는 인터페이스부(802), 제어부(806) 및 시선검출부(804)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광고표식을 제공하는 장치(800)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광고표식을 제공하는 장치(80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예컨대, 광고표식을 제공하는 장치(800)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data storage unit, 미도시)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communication unit,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광고표식을 제공하는 장치(800)가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부(미도시)는 장치 내에서 모듈로서 동작할 수도 있고, DAS(Direct Attached Storage), NAS(Network Attach Storage), SAN(Storage Area Network)와 같은 개별적인 기억장치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interface unit, 802)는 3차원 공간(3-dimensional space) 상에 복수의 가상객체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표시한다. 인터페이스부(802)는 VR(Virtual Reality), AR(Augmented Reality) 또는 MR(Mixed Reality) 환경을 표현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부(802)의 구체적인 예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시선검출부(gaze detecting module, 804)는 사용자의 동공(pupil)을 추적하여 사용자가 가상객체를 바라보는 방향을 의미하는 사용자 시선(user gaze)을 검출한다. 시선검출부(804)는 적외선 카메라(IR camera)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공을 촬영한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한 영상을 처리함으로써, 사용자 시선을 검출한다. 한편, 시선검출부(804)가 사용자 시선을 검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control unit, 806)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3차원 공간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로부터 광고객체(202)를 검출하고, 광고표식(104)을 삽입하며, 사용자가 콘텐츠 내의 콘텐츠객체(200: 200_A 및 200_B)로부터 광고객체(202)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광고표식(104)의 위치 및 방향을 제어한다. 제어부(806)가 광고표식(104)의 위치 및 방향을 제어하는 방법은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하였기에,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내지 도 6에서는 과정 S400 내지 과정 S404, 과정 S500 내지 S506, 과정 S600 내지 S606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일 실시예를 이용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4 내지 도 6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과정 S400 내지 과정 S404, 과정 S500 내지 S506, 과정 S600 내지 S606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 내지 도 6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장치 및 방법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프로그램가능 컴퓨터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데이터 저장 시스템(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종류의 저장 시스템이거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함) 및 적어도 한 개의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예컨대, 프로그램가능 컴퓨터는 서버, 네트워크 기기, 셋탑 박스, 내장형 장치, 컴퓨터 확장 모듈, 개인용 컴퓨터, 랩탑, PDA(Personal Data Assistant),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또는 모바일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장치 및 방법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집적 회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구현예들은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상에서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로 구현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은,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들을 수신하고 이들에게 데이터 및 명령들을 전송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이것은 특수 목적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혹은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음)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들(이것은 또한 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혹은 코드로서 알려져 있음)은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에 대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의 비휘발성(non-volatile) 또는 비 일시적인(non-transitory) 매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실시예를 이용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차원 배너광고 102: 광고 콘텐츠
104: 광고표식 200(200_A 및 200_B): 콘텐츠객체
202: 광고객체 300: 사용자 시야
700: 원점 702: 사용자 좌표
704: 광고표식좌표 706_A: 광고표식의 초기방향
706_B: 광고표식의 목표방향 800: 광고표식 제공 장치
802: 인터페이스부 804: 시선검출부
806: 제어부

Claims (11)

  1. 인터페이스부, 시선검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고표식을 제공하는 장치가 콘텐츠에 광고표식(advertisement disclosure)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3차원 공간 상에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되는 콘텐츠로부터,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 시야(user sight) 내에 위치하는 광고객체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광고객체의 인접한 위치에 광고의 구분을 위한 광고표식을 삽입하는 과정; 및
    상기 시선검출부가 사용자 시선(user gaze)을 검출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시선 또는 광고객체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광고표식의 위치 또는 방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광고표식의 위치 또는 방향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3차원 공간 상의 원점, 사용자 좌표 및 상기 삽입에 따른 광고표식좌표를 이용하여 삼각형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삼각형에 대한 xy평면, yz평면 및 zx평면 상의 정사영(orthogonal
    projection)을 각각 생성하고, 제2 코사인법칙(second law of cosines) 또는 행렬연산(matrix operation)을 이용하여 각각의 정사영에 대한 상기 광고표식의 회전방향(rotation direction) 및 회전각(rotation angle)을 산출하는 과정;
    산출된 상기 회전방향 및 상기 회전각에 따라 상기 광고표식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광고표식이 상기 사용자를 바라보도록 제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표식을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객체를 검출하는 과정은,
    기 저장된 콘텐츠 정보 또는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콘텐츠 정보로부터 광고객체좌표(advertisement object coordinates)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표식을 제공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광고표식의 위치 또는 방향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 시선의 방향벡터를 의미하는 제1 방향벡터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광고객체좌표 및 사용자 좌표(user coordinates)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광고객체를 연결하는 방향벡터를 의미하는 제2 방향벡터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제1 방향벡터 및 상기 제2 방향벡터가 포함하는 각각의 성분을 이용하여 상기 광고표식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을 산출하는 과정; 및
    산출된 상기 회전방향 및 회전각을 기초로 상기 광고표식이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표식을 제공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벡터 및 상기 제2 방향벡터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표식을 제2 방향벡터의 음벡터(negative vector)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광고표식과 상기 사용자가 서로 마주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표식을 제공하는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표식은 상기 3차원 공간 상에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표식을 제공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표식의 크기는 상기 광고객체의 크기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표식을 제공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광고표식의 위치 또는 방향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광고객체의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광고표식이 상기 광고객체의 인접한 위치에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표식을 제공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공간은 VR(Virtual Reality: 가상 현실) 환경, AR(Augmented Reality: 증강 현실) 환경 또는 MR(Mixed Reality: 혼합 환경)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표식을 제공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고표식을 제공하는 방법이 포함하는 각 과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록매체에 각각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콘텐츠에 광고의 구분을 위한 광고표식을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3차원 공간 상에 복수의 가상객체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부(interface unit);
    사용자의 동공(pupil)을 추적하여 사용자가 상기 가상객체를 바라보는 방향을 의미하는 사용자 시선(user gaze)을 검출하는 시선검출부(gaze detection unit); 및
    상기 콘텐츠로부터 사용자 시야(user sight) 내에 위치하는 광고객체를 검출하여 상기 광고객체의 인접한 위치에 광고 구분을 위한 광고표식을 삽입하고, 상기 사용자 시선을 기준으로 상기 광고표식의 위치 또는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control unit)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공간 상의 원점, 사용자 좌표 및 상기 삽입에 따른 광고표식좌표를 이용하여 삼각형을 형성하고,
    상기 삼각형에 대한 xy평면, yz평면 및 zx평면 상의 정사영(orthogonal projection)을 각각 생성하고, 제2 코사인법칙(second law of cosines) 또는 행렬연산(matrix operation)을 이용하여 각각의 정사영에 대한 상기 광고표식의 회전방향(rotation direction) 및 회전각(rotation angle)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회전방향 및 상기 회전각에 따라 상기 광고표식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광고표식이 상기 사용자를 바라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표식을 제공하는 장치.
KR1020200169745A 2020-12-07 2020-12-07 3차원 공간에서 광고 구분을 위한 광고 표식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17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745A KR102517919B1 (ko) 2020-12-07 2020-12-07 3차원 공간에서 광고 구분을 위한 광고 표식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745A KR102517919B1 (ko) 2020-12-07 2020-12-07 3차원 공간에서 광고 구분을 위한 광고 표식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535A KR20220080535A (ko) 2022-06-14
KR102517919B1 true KR102517919B1 (ko) 2023-04-04

Family

ID=81980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745A KR102517919B1 (ko) 2020-12-07 2020-12-07 3차원 공간에서 광고 구분을 위한 광고 표식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9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345A (ko) * 2022-08-30 2024-03-07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기 설정된 커스텀 영역에 사용자 단말이 위치함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에 가상 현실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684B1 (ko) * 2012-12-16 2013-10-16 (주) 시맨틱렙홀딩스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554B1 (ko) * 2010-11-08 2013-05-20 송근호 3차원 광고 시스템 및 방법
CN111133365B (zh) * 2017-05-01 2023-03-31 奇跃公司 内容到空间3d环境的匹配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684B1 (ko) * 2012-12-16 2013-10-16 (주) 시맨틱렙홀딩스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535A (ko)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7923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00897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fining an augmented reality view in a specific location
KR101691903B1 (ko) 광학 캐릭터 인식을 사용하여 증강 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6050518B2 (ja) 実環境に仮想情報を表現する方法
US2016032181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US20100277504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rving three dimension web map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US1146864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ailoring an extended reality overlay object
KR101867020B1 (ko) 박물관/미술관용 증강 현실 구현 방법 및 장치
US11232636B2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producing augmented reality
US2019013059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when to provide eye contact from an avatar to a user viewing a virtual environment
CN117635815A (zh) 基于三维点云的初始视角控制和呈现方法及系统
KR102517919B1 (ko) 3차원 공간에서 광고 구분을 위한 광고 표식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2507502A (ja) 拡張現実(ar)のインプリント方法とシステム
US11410330B2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field of view and producing augmented reality
US9965697B2 (en) Head pose determination using a camera and a distance determination
Trapp et al. Strategies for visualising 3D points-of-interest on mobile devices
Ichikari et al. Augmented reality tactile map with hand gesture recognition
US118871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 disclosure for identifying advertisements in 3-dimensional space
US10878278B1 (en) Geo-localization based on remotely sensed visual features
JP637625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445579A (zh) 物体标注信息呈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616417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dya et al. Augmented Reality in Indoor Navigation
KR20150125417A (ko) 이미지 기반 오브젝트 정보 제공 방법
Kim et al. Authoring System using Panoramas of Real Wor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