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153B1 - 발광 방향 조절이 가능한 원통형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방향 조절이 가능한 원통형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153B1
KR102517153B1 KR1020220167975A KR20220167975A KR102517153B1 KR 102517153 B1 KR102517153 B1 KR 102517153B1 KR 1020220167975 A KR1020220167975 A KR 1020220167975A KR 20220167975 A KR20220167975 A KR 20220167975A KR 102517153 B1 KR102517153 B1 KR 102517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racket
rotation
lighting assembly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7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기
Original Assignee
(주)로드라이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드라이팅 filed Critical (주)로드라이팅
Priority to KR1020220167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발광 방향 조절이 가능한 원통형 조명장치에 있어서, 기 설정된 직경을 갖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LED모듈이 상호 이격 배치된 조명조립체; 및 일측에서 벽면 또는 천장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타측에 상기 조명조립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조립체는, 중심 축을 갖도록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회전브라켓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축 방향 일측면이 개방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개방된 일측면을 향해 빛을 발광하는 상기 복수의 LED모듈; 및 상기 베이스부의 개방된 일측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발광 방향 조절이 가능한 원통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광 방향 조절이 가능한 원통형 조명장치{CYLINDER TYPE LIGHTING DEVICE WITH ADJUSTABLE LIGHT EMISSION DIRECTION}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발광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원통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조명의 광원으로 백열전구, 방전등, 형광등이 주로 이용되었으나, 최근 발광 다이오드(이하, LED)를 이용한 LED조명이 가정용, 경관용, 산업용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LED조명은 수명이 길고, 소비 전력이 낮은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LED조명은 벽체 또는 천장면에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사용되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설치된 벽체에 대한 조명의 발광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LED조명도 출시되었으나, 해당 조명들은 통상적으로 특정 배치각도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고, 배치각 변경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수동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95759호(2012.10.24)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의 조명장치의 문제점들을 개선한 발광 방향 조절이 가능한 원통형 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명의 발광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고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발광 방향 조절이 가능한 원통형 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방향 조절이 가능한 원통형 조명장치에 있어서, 기 설정된 직경을 갖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LED모듈이 상호 이격 배치된 조명조립체; 및 일측에서 벽면 또는 천장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타측에 상기 조명조립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조립체는, 중심 축을 갖도록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회전브라켓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축 방향 일측면이 개방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개방된 일측면을 향해 빛을 발광하는 상기 복수의 LED모듈; 및 상기 베이스부의 개방된 일측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발광 방향 조절이 가능한 원통형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전브라켓은, 벽면 또는 천장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벽체결합부; 상기 벽체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브라켓몸체; 상기 브라켓몸체를 상기 벽체결합부에 대해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된 제1 회전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몸체는, 상기 벽체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기 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1 브라켓바; 상기 제1 브라켓바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상기 제1 브라켓바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기 설정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제2 브라켓바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브라켓바 각각의 종단부는 상기 조명조립체의 외주면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벽체결합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브라켓바와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플레이트;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벽면 또는 천장에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나사홀이 구비된 결합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회전구동부와 상기 회전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상기 결합플레이트 측으로 가압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면상 대면하도록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회전구동부의 수평회전축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 구동되고,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수평회전축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조립체는, 상기 베이스부 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LED모듈을 감싸도록 마련된 확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산부재는 수지재 조성물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부 내에서 경화된 상태로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 공간을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축 방향 중간에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 축에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LED모듈이 안착되는 원판형의 안착플레이트; 및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측벽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실린더는,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외주 가장자리에서 상기 안착플레이트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된 측벽몸체; 상기 측벽몸체의 내측면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 공간을 향해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는 상기 안착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안착플레이트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확산부재는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안착플레이트 사이의 빈 공간에 충진되고 경화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의해 상기 확산부재가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면 개구를 통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조명장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상호 통신되도록 연결되고, 외부의 관리자 단말과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모듈;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에 의해 원격 제어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조명조립체의 상기 회전브라켓에 대한 회전각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명의 발광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의 수동 조작 없이 조명장치의 복수의 평면에 대한 회전각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주변 환경에 따라 조명조립체의 배치각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회전브라켓의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어 조명장치의 회전각을 반복하여 조절하여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조명장치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LED모듈의 장시간 사용에 따른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통형 조명장치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원통형 조명장치에 포함되는 벽체결합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벽체결합부의 회전플레이트의 저면 사시도
도 6a는 도 4에 도시된 회전브라켓의 제1 작동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6b는 도 4에 도시된 회전브라켓의 제2 작동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조명장치에 포함되는 조명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횡단면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원통형 조명장치의 제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와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조명장치(1a)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통형 조명장치(1a)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방향 조절이 가능한 원통형 조명장치(1a)는 조명조립체(10) 및 회전브라켓(2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조립체(10)는 기 설정된 직경을 갖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조명조립체(10)에는 그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LED모듈(12)이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회전브라켓(20)은 일측에서 벽면 또는 천장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회전브라켓(20)의 타측에는 조명조립체(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명조립체(10)는 그 중심 축이 회전브라켓(20)이 결합된 벽면 또는 천장의 평면에 대해 소정 각도 회전되도록 회전브라켓(20)에 결합될 수 있다.
조명조립체(10)는 베이스부(11), 복수의 LED모듈(12) 및 커버부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1)는 중심 축을 갖도록 원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베이스부(11)의 외주면에는 회전브라켓(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1)는 그 축 방향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LED모듈(12)은 베이스부(11) 내에 배치되어 베이스부(11)의 개방된 일측면을 향해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LED모듈(12)은 베이스부(11) 내에서 베이스부(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기 결정된 간격을 두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13)는 베이스부(11)의 개방된 일측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13)는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LED모듈(12)에서 발광된 빛은 커버부재(13)를 통해 베이스부(11)의 일측면으로 발산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13)는 베이스부(11)의 개방된 일측면을 완전히 감싸 밀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커버부재(13)에 의해 베이스부(11) 내로 수분 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브라켓(20)은 브라켓몸체(21) 및 힌지회전축(22)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몸체(21)는 'ㄷ'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몸체(21)는 제1 브라켓바(21a) 및 제2 브라켓바(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바(21a)는 벽체 또는 천장에 결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기 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브라켓바(21b)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 브라켓바(21b)는 각각 제1 브라켓바(21a)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제1 브라켓바(21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브라켓바(21b) 각각은 기 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브라켓바(21b) 각각의 종단부는 조명조립체(10)의 외주면에 힌지회전축(22)을 통해 힌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힌지회전축(22)은, 베이스부(11)의 제2 브라켓바(21b)의 말단부와 조명조립체(10)의 외주면 일부를 동시에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조명조립체(10)는 힌지회전축(22)을 중심으로 브라켓몸체(21)에 대해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조명장치(1b)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원통형 조명장치(1b)에 포함되는 벽체결합부(23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벽체결합부(230)의 회전플레이트(231)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방향 조절이 가능한 원통형 조명장치(1b)는 조명조립체(100) 및 회전브라켓(20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조립체(100) 및 회전브라켓(200)은 각각,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조명장치(1a)의 조명조립체(10) 및 회전브라켓(20)의 기술 구성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회전브라켓(200)은 브라켓몸체(210), 벽체결합부(230), 제1 회전구동부(240), 힌지회전축(220) 및 제2 회전구동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몸체(210)는 'ㄷ'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몸체(210)는 제1 브라켓바(211) 및 제2 브라켓바(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바(211)는 기 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브라켓바(212)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 브라켓바(212)는 각각 제1 브라켓바(211)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제1 브라켓바(21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브라켓바(212) 각각은 기 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브라켓바(212) 각각의 종단부는 조명조립체(100)의 외주면에 힌지회전축(220)을 통해 힌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힌지회전축(220)은, 베이스부(110)의 제2 브라켓바(212)의 말단부와 조명조립체(100)의 외주면 일부를 동시에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조명조립체(100)는 힌지회전축(220)을 중심으로 브라켓몸체(210)에 대해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벽체결합부(230)는 벽면 또는 천장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벽체결합부(230)는, 회전플레이트(231), 결합플레이트(232) 및 탄성지지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구동부(240)는 브라켓몸체(210)를 벽체결합부(230)에 대해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회전구동부(240)는 브라켓몸체(210)를 결합플레이트(232)에 대해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제2 회전구동부(260)는 한 쌍의 제2 브라켓바(212) 중 어느 하나의 종단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구동부(260)는 조명조립체(100)의 외주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틸팅회전축(미도시 됨)을 포함할 수 있고, 틸팅회전축은 한 쌍의 제2 브라켓바(212)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머지 하나의 제2 브라켓바(212)의 종단부에는 힌지회전축(220)이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틸팅회전축은 힌지회전축(220)과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전구동부(260)는 조명조립체(100)를 틸팅회전축 및 힌지회전축(220)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즉, 조명조립체(100)는, 조명조립체(100)의 중심축이 제2 브라켓바(212)의 길이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제2 회전구동부(260)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231)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브라켓바(211)와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플레이트(232)는 타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결합플레이트(232)에는 벽면 또는 천장에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나사홀이 구비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재(250)는 제1 회전구동부(240)와 회전플레이트(2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회전플레이트(231)를 결합플레이트(232) 측으로 가압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231)는 결합플레이트(232)에 면상 대면하도록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231)의 외경은 결합플레이트(232)의 최단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플레이트(232)의 축 방향 일측면 상에 회전플레이트(231)의 저면이 직접 접촉되어 안착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231)에는 제1 회전구동부(240)의 수평회전축(241)이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회전플레이트(231)에는 회전축결합홀(2311)이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제1 회전구동부(240)의 수평회전축(241)은 회전축결합홀(2311)에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평회전축(241)의 외주면에는 수평회전축(2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회전걸림부재(24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결합홀(2311)의 내주면에는 한 쌍의 회전걸림홈(2311a)이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회전걸림홈(2311a)은 한 쌍의 회전걸림부재(2411)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회전걸림홈(2311a) 각각에는 한 쌍의 회전걸림부재(2411) 각각이 삽입 위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플레이트(231)는 제1 회전구동부(240)에 의해 결합플레이트(232)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시에, 회전플레이트(231)는 수평회전축(2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될 수 있다.
결합플레이트(232)에는 제1 회전구동부(240)의 수평회전축(241)이 관통하여 위치되는 회전축지지홀(2321)이 마련될 수 있다. 회전축지지홀(2321) 내에는 수평회전축(241)이 결합플레이트(232)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플레이트(231)의 저면에는 회전축결합홀(2311)의 외주를 따라 제1 지지리브(2312)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회전플레이트(231)의 저면에는, 제1 지지리브(2312)의 외주로부터 회전플레이트(231)의 반경 방향으로 복수의 제1 걸림돌출부(2313)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걸림돌출부(2313)는 회전플레이트(231)의 중심 축에 대해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플레이트(231)의 저면에는, 복수의 제1 걸림돌출부(2313)의 말단을 연결하는 제2 지지리브(2314)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리브(2312) 및 제2 지지리브(2314)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지지리브(2312)와 제2 지지리브(2314)는 회전플레이트(231)의 중심 축과 동축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리브(2312), 복수의 제1 걸림돌출부(2313) 및 제2 지지리브(2314)는, 각각 회전플레이트(231)의 저면에서 결합플레이트(232) 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결합플레이트(232)의 일측면(바람직하게, 회전플레이트(231)를 향하는 상면)에는 회전축지지홀(2321)의 외주로부터 결합플레이트(232)의 반경 방향으로 복수의 제2 걸림돌출부(2322)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걸림돌출부(2322)는 결합플레이트(232)의 중심 축에 대해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걸림돌출부(2322) 각각의 연장 길이는 복수의 제1 걸림돌출부(2313) 각각의 연장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1 걸림돌출부(2313)의 총 개수는 복수의 제2 걸림돌출부(2322)의 총 개수보다 적은 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걸림돌출부(2313)는 상호 등간격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제2 걸림돌출부(2322)는 상호 등간격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인접한 제1 걸림돌출부(2313) 상호간의 이격 거리는 인접한 제2 걸림돌출부(2322) 상호간의 이격 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걸림돌출부(2313) 각각은 회전플레이트(231)의 저면측 기단으로부터 종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tapered)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걸림돌출부(2322) 각각은 결합플레이트(232)의 상면측 기단으로부터 종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돌출부(2313)의 평균 폭은 제2 걸림돌출부(2322)의 평균 폭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플레이트(231)의 저면에 대한 제1 걸림돌출부(2313) 외면의 경사각은 결합플레이트(232)의 상면에 대한 제2 걸림돌출부(2322)의 외면의 경사각보다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걸림돌출부(2313) 및 제2 걸림돌출부(2322)의 배치 구조 및 형상에 의해, 복수의 제1 걸림돌출부(2313) 및 복수의 제2 걸림돌출부(2322)는, 서로 완전한 치합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 결합플레이트(232)에 대한 회전플레이트(231)의 회전 가속도에 의해 순간적으로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탄성지지부재(250)는 스프링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수평회전축(241)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탄성지지부재(250)는 제1 브라켓바(211)의 저면과 회전플레이트(231)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탄성지지부재(250)의 길이 방향 일단부는 제1 브라켓바(211)의 저면에 접촉 지지될 수 있고, 탄성지지부재(250)의 길이 방향 타단부는 회전플레이트(231)의 상면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도 6a는 도 4에 도시된 회전브라켓(200)의 제1 작동 예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4에 도시된 회전브라켓(200)의 제2 작동 예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수평회전축(241)은 회전플레이트(231)의 회전축결합홀(2311)을 관통하여 위치되고, 수평회전축(241) 상에 마련된 한 쌍의 회전걸림부재(2411)는 회전축결합홀(2311)의 회전걸림홈(2311a) 내에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다. 회전걸림부재(2411)는 회전걸림홈(2311a) 내에서 수평회전축(2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되, 회전걸림부재(2411)와 회전걸림홈(2311a)은 상호간의 접촉 간섭에 의해 수평회전축(241)을 중심으로 동반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회전축(241)의 말단부 외주면에는 링 형상의 분리제한턱(2412)이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분리제한턱(2412)은, 결합플레이트(232)의 회전축지지홀(2321)의 내주면에 함입되어 형성된 분리제한홈 내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분리제한홈 또한 분리제한턱(2412)의 외면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리제한턱(2412)과 분리제한홈 상호간의 접촉 간섭에 의해 결합플레이트(232)는 수평회전축(241)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수평회전축(241)은 결합플레이트(232)에 대해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술한 회전플레이트(231)는 탄성지지부재(250)에 의해 결합플레이트(232) 측으로 가압 지지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 때, 제1 걸림돌출부(2313)는 인접한 두 개의 제2 걸림돌출부(2322) 사이에 맞물려 위치될 수 있다(도 6a 참조). 제1 회전구동부(240)가 작동되는 경우, 제1 걸림돌출부(2313)와 제2 걸림돌출부(2322) 상호간의 맞물림이 어긋나며 회전플레이트(231)가 결합플레이트(232)에 대해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고, 회전플레이트(231)는 탄성지지부재(250)를 압축하며 수평회전축(241)을 따라 상승될 수 있다(도 6b 참조).
제1 회전구동부(240)의 작동이 중지된 경우 회전플레이트(231)는 결합플레이트(232) 측으로 가압되며, 제1 걸림돌출부(2313)와 제2 걸림돌출부(2322)의 맞물림 구조에 의해 회전플레이트(231)와 결합플레이트(232) 상호간의 백래쉬 또는 슬라이딩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회전구동부(240)는, 회전플레이트(231) 및 브라켓몸체(210)를 결합플레이트(232)에 대해 원하는 각도만큼 정확하게 회전 구동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조명장치(1b)에 포함되는 조명조립체(100)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조명조립체(100)는 베이스부(110), 복수의 LED모듈(120), 커버부재(130) 및 확산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중심 축을 갖도록 원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베이스부(110)의 외주면에는 회전브라켓(20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10)는 그 축 방향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LED모듈(120)은 베이스부(110) 내에 배치되어 베이스부(110)의 개방된 일측면을 향해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LED모듈(120)은 베이스부(110) 내에서 베이스부(1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기 결정된 간격을 두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확산부재(140)는 수지재 조성물로 구성될 수 있고, 베이스부(110) 내에서 경화되어 복수의 LED모듈(120)을 감싸도록 베이스부(110)의 내부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안착플레이트(112), 한 쌍의 측벽실린더 및 방열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플레이트(112)는 베이스부(110)의 내부 공간을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베이스부(110)의ㅎ 축 방향 중간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안착플레이트(112)는 베이스부(110)의 중심 축에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안착플레이트(112)는 베이스부(110)의 폐쇄된 타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안찰플레이트는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안착플레이트(112) 상에는 복수의 LED모듈(120)이 안착될 수 있다.
측벽실린더는 안착플레이트(112)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로부터 베이스부(110)의 중심 축 방향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측벽실린더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부(110)의 제1 공간은 측벽실린더의 내부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측벽실린더는, 안착플레이트(112)의 외주 가장자리에서 안착플레이트(112)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된 측벽몸체, 및 측벽몸체의 내측면에서 베이스부(110)의 내부 공간을 향해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1112)는, 안착플레이트(112)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걸림돌기(1112)와 안착플레이트(112)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1112)는 측벽몸체 상에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 개의 걸림돌기(1112)는 안착플레이트(112)로부터 서로 상이한 이격 거리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안착플레이트(112)와 가장 인접한 걸림돌기(1112)와 안착플레이트(112)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걸림돌기(1112) 중 인접한 두 개의 걸림돌기(1112)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확산부재(140)는, 걸림돌기(1112)와 안착플레이트(112) 사이의 빈 공간에 충진되어 경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확산부재(140)는 아크릴 또는 에폭시 수지에 난연제 및 부식방지부재가 혼합되어 형성된 수지재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확산부재(140)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1112) 중 인접한 두 개의 걸림돌기(1112) 사이의 이격 공간에 충진되어 경화될 수 있다. LED모듈(120)에서 발광된 빛은 모두 확산부재(140)를 통해 외부로 발산될 수 있고, 확산부재(140)를 통과한 빛은 광산란 또는 광확산에 의해 조명조립체(100)의 개방된 일측면으로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걸림돌기(1112)에서 베이스부(110)의 개방된 일측면을 향하는 외면에는 복수의 함입홈(미도시 됨)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10) 내에 충진되는 확산부재(140)는 복수의 걸림돌기(1112)에 형성된 복수의 함입홈에 충진될 수 있고, 확산부재(140)가 함입홈에 충진되어 경화됨으로써 확산부재(140)와 걸림돌기(1112) 상호간의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충진되어 경화된 확산부재(140)의 일부는 걸림돌기(1112)에 의해 간섭되어 이동이 제한될 수 있고, 복수의 걸림돌기(1112)에 의해 확산부재(140)가 베이스부(11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외부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커버부재(130)는 베이스부(110)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130)는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LED모듈(120)에서 발광된 빛은 커버부재(130)를 통해 베이스부(110)의 상단으로 발산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130)는 베이스부(110)의 개방된 상면을 완전히 감싸 밀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커버부재(130)에 의해 베이스부(110) 내로 수분 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방열부(113)는 안착플레이트(112)로부터 측벽실린더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방열부(113)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방열부(113)의 내측에는 방열공간(1133)이 마련될 수 있다. 방열부(113)의 외벽에는 방열부(113)의 내외부를 연통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방열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방열공은 방열공간(1133)을 형성하는 방열부(113)의 외벽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안착플레이트(112)에 의해 구획된 베이스부(110)의 제2 공간은 방열부(113)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10)의 측벽실린더, 안착플레이트(112) 및 방열부(113)는 사출 성형 또는 압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일체의 구조체로 구성될 수 있다.
안착플레이트(112)는 열 전도도가 높은 알루미늄(Al)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플레이트(112)에서 복수의 LED모듈(120)이 배치되는 위치에는 복수의 연통구(1121)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연통구(1121)는 안착플레이트(112)에 의해 구획되는 베이스부(110)의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서로 유체 연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LED모듈(120)의 작동 동안 발생되는 열은 알루미늄 재질의 안착플레이트(112) 및 연통구(1121)를 통해 방열부(113)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방열공을 통해 외기가 방열공간(1133) 내외로 유동될 수 있고, 안찰플레이트 상에 안착된 복수의 LED모듈(12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베이스부(110)의 외부로 방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LED모듈(120)의 내구도가 향상될 수 있고, 작동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방열부(113)는, 안착플레이트(112)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베이스부(110)의 축 방향 타측으로 연장 형성된 방열실린더(1131), 방열실린더(1131)의 말단에서 베이스부(110)의 축 방향 타측면을 폐쇄하는 방열후방벽(1132), 방열실린더(1131) 상에 마련된 복수의 제1 방열공(1134), 및 방열후방벽(1132) 상에 마련된 복수의 제2 방열공(1135)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후방벽(1132)은 안착플레이트(112)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방열실린더(1131), 방열후방벽(1132) 및 안착플레이트(112)에 의해 방열공간(1133)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방열공(1134)은 방열실린더(113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방열공(1135)은 방열후방벽(1132)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통구(1121)의 직경 크기는 제1 방열공(1134)의 직경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제1 방열공(1134)의 직경 크기는 제2 방열공(1135)의 직경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LED모듈(120)로부터 발생되는 방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커버부재(130)는, 베이스부(110)의 축 방향에 직교하도록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제1 커버부(131), 제1 커버부(131)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LED모듈(120)을 향해 연장 형성된 제2 커버부(132), 제1 커버부(131)로부터 베이스부(110)의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 베이스부(110)의 내부공간으로 연장 형성된 삽입몸체(133), 및 삽입몸체(133)의 외주면 상에 마련된 복수의 난반사유도홈(13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부(131)는 베이스부(110)의 개방된 일측면 외부에서 베이스부(110)의 말단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버부(132)는 제1 커버부(131)와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베이스부(110)의 말단부 외주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커버부(132)는 측벽실린더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버부(132)의 측벽실린더를 대향하는 외면에는 끼움돌기(1321)가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측벽실린더의 말단부 외주면에는 끼움돌기(1321)가 삽입되도록 끼움돌기(1321)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홈(1113)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커버부(132)의 끼움돌기(1321)가 측벽실린더의 결합홈(1113)에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커버부재(130)는 베이스부(110)에 결합될 수 있고, 커버부재(130)와 베이스부(110) 상호간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커버부재(130)는 가요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커버부재(130)의 제2 커버부(132)는 제1 커버부(131)에 대해 탄성복원력을 가지며 소정 각도로 밴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부재(130)는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도 외력에 의해 베이스부(110)의 측벽실린더 상에 억지 끼움결합 될 수 있다.
삽입몸체(133)의 직경은 측벽실린더의 내주면의 직경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몸체(133)의 LED모듈(120)을 향하는 외면은 경화된 확산부재(140)의 최외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난반사유도홈(1331)은 삽입몸체(133)의 외주면 일부가 내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난반사유도홈(1331)은 서로 상이한 깊이 및 상이한 합임 방향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LED모듈(120)에서 발산한 빛이 커버부재(130)를 통과할 때, 발산된 빛은 복수의 난반사유도홈(1331)을 투과하거나 복수의 난반사유도홈(1331)에서 반사될 때 무작위로 굴절되거나 무작위로 난반사되어 발산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난반사유도홈(1331)에 의해 커버부재(130)를 투과한 빛의 발산 범위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조명조립체(100)는 베이스부(110)의 제1 공간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제1 실링부재(151) 및 제2 실링부재(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링부재(151) 및 제2 실링부재(152)는 탄성반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링부재(151) 및 제2 실링부재(152)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링부재(151) 및 제2 실링부재(152)는 모두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링부재(151)는 측벽실린더의 말단면과 제1 커버부(131)의 측벽실린더 측 외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실링부재(151)는 측벽실린더의 축 방향 일측의 말단면(즉, 개방된 일측면의 외주) 상에 함입되어 배치될 수 있고, 측벽실린더의 축 방향 일측 말단면과 제1 커버부(131)의 접촉 위치는 제1 실링부재(151)를 통해 기밀될 수 있다.
제2 실링부재(152)는 삽입몸체(133)의 말단부 외주면과 측벽실린더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실링부재(152)는 삽입몸체(133)의 확산부재(140)측 말단부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고, 측벽실린더의 내주면 중 삽입몸체(133)의 말단부를 대향하는 위치에서 측벽실린더 측으로 함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측벽실린더의 내주면과 삽입몸체(133)의 말단부 외주면의 접촉 위치는 제2 실링부재(152)를 통해 기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끼움돌기(1321)와 결합홈(1113)에 의해 커버부재(130)와 측벽실린더가 상호 끼움결합될 때, 제1 실링부재(151) 및 제2 실링부재(152)는 압축되어 위치될 수 있고, 측벽실린더와 커버부재(130) 상호 간의 결합을 이중으로 기밀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수분 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베이스부(110) 내의 제1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상술한 확산부재(140)는, LED모듈(120)로부터 방출된 빛을 베이스부(110)의 개방된 일측면으로 확산시키도록, 내부에 빛의 산란을 위해 50㎛~200㎛ 범위 내의 직경을 갖는 기포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확산부재(140)의 단위 체적당 기포 함유량은 대략 3% 내지 1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대략 5% 내지 8%일 수 있다.
단위부피당 기포의 수가 너무 많은 경우에는 광이 잘 투과되지 않아 광투 과율이 저하될 수 있고, 단위부피당 기포의 수가 너무 적은 경우에는 광의 산란 정도가 낮아 확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기포의 크기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광확산도는 좋을 수 있으나 광투과율이 현저하게 낮아져 전체적으로 휘도 특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발생하므로, 빛의 투과도와 확산도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도록 기포의 크기가 50㎛ 내지 200㎛ 범위 내인 것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포의 크기가 200㎛ 이상이 되면 빛의 투과율은 좋아지지만 빛의 확산도가 저하되고, 반대로 기포의 크기가 50㎛ 이하가 되면 빛의 확산도는 좋아지지만 빛의 투과율이 저하되어 휘도가 낮아질 수 있다.
기포의 크기가 50㎛ 내지 200㎛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기포 함유량이 대략 5% 내지 8%인 것이 휘도 특성과 광투과율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만약 기포 크기가 50㎛ 내지 200㎛ 범위 내이지만 기포 함유량이 5% 이하일 경우에는 광확산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확산부재(140)는 유기 및/또는 무기확산제가 단독 또는 조합되어 형성된 광확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확산제로는 실리콘계 가교 미립자, 아크릴계 가교 미립자, 스티렌계 가교 미립자, 메타크릴산메틸ㆍ스티렌 공중합물계 가교 미립자, 탄산칼슘, 황산바륨,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및 이산화티탄 실리카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광확산제는 실리콘계 가교 미립자, 아크릴계 가교 미립자, 스티렌계 가교 미립자, 메타크릴산메틸ㆍ스티렌 공중합물계 가교 미립자, 탄산칼슘, 황산바륨,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및 이산화티탄 실리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광확산제의 입자 크기는 대략 10 내지 50㎛ 범위 내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대략 20 내지 40㎛ 범위 내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확산부재(140)는 확산부재(140)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중량부를 갖도록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확산부재(140) 100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4중량부를 갖도록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조명조립체(100)에 삽입된 힌지회전축(220)의 외주면에는, 브라켓몸체(210)의 회전 또는 조명조립체(100)의 회전에 의한 진동 발생을 저감하기 위한 완충부재(221)가 마련될 수 있다. 완충부재(221)는 힌지회전축(220)의 외주면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완충부재(221)는, 1,2-폴리부타디엔과 이소부틸렌을 함유하는 바인더물과, 무기필러 및 섬유필러를 함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인더물은, 1,2-폴리부타디엔과 이소부틸렌을 1 : 0.1 ~ 1 : 0.3 중량비 범위로 혼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1,2-폴리부타디엔은 결정화도 90 ~ 99.99%, 융점 70 ~ 110℃ 범위, 및 경도 30 ~ 50 범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1,2-폴리부타디엔의 결정화도가 90% 미만인 경우 최종 제품에 강성을 부여하지 못해 제품의 형상을 유지할 수 없다. 한편, 융점이 70℃ 미만인 경우 제품의 형상 유지가 힘든 반면, 110℃ 초과인 경우 가공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제품화에 과다한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1,2-폴리부타디엔의 경도가 30 미만인 경우 제진 성능이 저하되고, 50 초과인 경우 가공성이 저하되며 크랙 발생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소부틸렌은 분자량 2000 ~ 2500 g/몰, 점도 4000 ~ 5000 cts, 및 유동점 10 ~ 20℃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소부틸렌의 분자량이 2000g/몰 미만인 경우 제진 성능이 저하되고, 2500 g/몰을 초과하는 경우 고온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점도가 4000cts 미만인 경우 제진 성능이 저하되고, 5000cts 초과인 경우 고온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이소부틸렌의 유동점이 10 ℃ 미만인 경우 탄성이 저하되고, 20 ℃ 초과인 경우 탄성과다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무기필러는, 탈크, 클레이, 탄산 칼슘, 마이카 및 운모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무기필러에 의해 강도특성 및 제진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섬유필러는, 내열성과 유동성에 유리한 특성이 있는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원통형 조명장치(1b)의 제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발광 방향 조절이 가능한 원통형 조명장치(1b)는 제어부(300), 조도감지부(500), 물체감지부(600), 소리감지부(700) 및 온도감지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술한 제1 회전구동부(240) 및 제2 회전구동부(26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LED모듈(120)의 발광 세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도감지부(500), 물체감지부(600), 소리감지부(700) 및 온도감지부(800)는 모두 조명조립체(100)에 구비될 수 있다.
물체감지부(600)는 조명조립체(100)에서 발산되는 LED광이 조사되는 방향에 인체가 존재하는지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물체감지부(600)는 조명조립체(100)의 위치에 대한 인체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체감지부(600)는 적외선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물체감지부(600)에 의해 검출된 인체 감지 정보 및 상대적 인체 위치 정보는 제어부(300)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물체감지부(600)를 통해 검출한 인체 감지 정보 및 상대적 인체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회전구동부(240) 및 제2 회전구동부(26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물체감지부(600)를 통해 검출한 인체의 상대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조립체(100)에서 조사된 LED광이 인체의 안면을 향해 직접 조사되지 않도록 제1 회전구동부(240) 및 제2 회전구동부(26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이하, 시야 간섭 방지 모드). 이를 통해, 원통형 조명장치(1b)의 주변 인체가 이동하는 경우, 조명조립체(100)는 인체의 안면을 향해 직접 LED광을 조사하지 않도록 LED광 발광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조도감지부(500)는 원통형 조명장치(1b)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의 조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도감지부(500)에 의해 검출된 기 설정된 거리 범위의 조도 값은 제어부(300)로 전송될 수 있고, 제어부(300)는 조도감지부(500)에 의해 검출된 조도 값이 기준 조도 이상인 경우, 상술한 시야 간섭 방지 모드를 구현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소리감지부(700)는, 원통형 조명장치(1b)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의 소음 크기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리감지부(700)에 의해 검출된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의 소음 크기는 제어부(300)로 전송될 수 있고, 제어부(300)는 소리감지부(700)에 의해 검출된 소음 크기가 제1 기준 소음 값 이상인 경우, 상술한 시야 간섭 방지 모드를 구현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소음감지부는 조명조립체(100)의 위치에 대한 소음 발생원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소음감지부에 의해 검출된 소음 발생원의 상대적 위치 정보는 제어부(300)로 전송될 수 있고, 제어부(300)는, 검출된 소음 크기가 제1 기준 소음 값보다 큰 제2 기준 소음 값 이상인 경우, 해당 소음 발생원을 향해 LED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제1 회전구동부(240) 및 제2 회전구동부(26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온도감지부(800)는 조명조립체(100)의 안착플레이트(112)의 하면(안착플레이트(112) 상에 LED모듈(120)이 안착된 일측면의 반대측 타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안착플레이트(112)의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복수의 LED모듈(120)에서의 발열량을 검출할 수 있다. 온도감지부(800)에서 검출된 온도 정보는 제어부(300)로 전송될 수 있고, 제어부(300)는 검출된 온도 값이 기준 온도 값 이상인 경우, 복수의 LED모듈(120)의 발광 세기가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발광 방향 조절이 가능한 원통형 조명장치(1b)는, 제어부(300)와 상호 통신되도록 연결되고 외부의 관리자 단말(2)과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조명조립체(100)와 브라켓몸체(210)의 결합플레이트(232)에 대한 제1 회전각 정보, 및 조명조립체(100)의 제2 브라켓바(212)에 대한 제2 회전각 정보를 통신모듈(400)을 통해 관리자 단말(2)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는, 결합플레이트(232)가 부착된 벽면 또는 천장면에 대한 조명조립체(100)의 제1 회전각 정보 및 제2 회전각 정보를 원거리에서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조도감지부(500)에서 검출된 주변 조도, 소리감지부(700)에서 검출된 주변 소음 크기 및 온도감지부(800)에서 검출된 LED모듈(120)의 발열 온도 정보 또한 통신모듈(400)을 통해 관리자 단말(2)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본원 도 8에는 관리자 단말(2)의 예시로 스마트폰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관리자 단말(2)이란 스마트폰, 원격스위치 또는 PC 등 사용자가 제어 가능하고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방식으로 통신모듈(400)과 무선 통신 가능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a, 1b: 원통형 조명장치
10, 100: 조명조립체
11, 110: 베이스부
111: 측벽실린더
1111: 측벽몸체
1112: 걸림돌기
1113: 결합홈
112: 안착플레이트
1121: 연통구
113: 방열부
1131: 방열실린더
1132: 방열후방벽
1133: 방열공간
1134: 제1 방열공
1135: 제2 방열공
12, 120: LED모듈
13, 130: 커버부재
131: 제1 커버부
132: 제2 커버부
1321: 끼움돌기
133: 삽입몸체
1331: 난반사유도홈
140: 확산부재
151: 제1 실링부재
152: 제2 실링부재
20, 200: 회전브라켓
21, 210: 브라켓몸체
21a, 211: 제1 브라켓바
21b: 212: 제2 브라켓바
22, 220: 힌지회전축
221: 완충부재
230: 벽체결합부
231: 회전플레이트
2311: 회전축결합홀
2311a: 회전걸림홈
2312: 제1 지지리브
2313: 제1 걸림돌기
2314: 제2 지지리브
232: 결합플레이트
2321: 회전축지지홀
2322: 제2 걸림돌기
240: 제1 회전구동부
241: 수평회전축
2411: 회전걸림부재
2412: 분리제한턱
250: 탄성지지부재
260: 제2 회전구동부
300: 제어부
400: 통신모듈
500: 조도감지부
600: 물체감지부
700: 소리감지부
800: 온도감지부
2: 관리자 단말

Claims (5)

  1. 발광 방향 조절이 가능한 원통형 조명장치에 있어서,
    기 설정된 직경을 갖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LED모듈이 상호 이격 배치된 조명조립체; 및
    일측에서 벽면 또는 천장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타측에 상기 조명조립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조립체는,
    중심 축을 갖도록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회전브라켓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축 방향 일측면이 개방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개방된 일측면을 향해 빛을 발광하는 상기 복수의 LED모듈; 및
    상기 베이스부의 개방된 일측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조립체는, 상기 베이스부 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LED모듈을 감싸도록 마련된 확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산부재는 수지재 조성물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부 내에서 경화된 상태로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 공간을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축 방향 중간에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 축에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LED모듈이 안착되는 원판형의 안착플레이트; 및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측벽실린더
    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실린더는,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외주 가장자리에서 상기 안착플레이트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된 측벽몸체;
    상기 측벽몸체의 내측면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 공간을 향해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는 상기 안착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안착플레이트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확산부재는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안착플레이트 사이의 빈 공간에 충진되고 경화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의해 상기 확산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면 개구를 통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인, 발광 방향 조절이 가능한 원통형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은,
    벽면 또는 천장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벽체결합부;
    상기 벽체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브라켓몸체;
    상기 브라켓몸체를 상기 벽체결합부에 대해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된 제1 회전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몸체는,
    상기 벽체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기 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1 브라켓바;
    상기 제1 브라켓바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상기 제1 브라켓바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기 설정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제2 브라켓바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브라켓바 각각의 종단부는 상기 조명조립체의 외주면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인, 원통형 조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벽체결합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브라켓바와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플레이트;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벽면 또는 천장에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나사홀이 구비된 결합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회전구동부와 상기 회전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상기 결합플레이트 측으로 가압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면상 대면하도록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회전구동부의 수평회전축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 구동되고,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수평회전축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인, 원통형 조명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조명장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상호 통신되도록 연결되고, 외부의 관리자 단말과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모듈;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에 의해 원격 제어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조명조립체의 상기 회전브라켓에 대한 회전각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원통형 조명장치.
KR1020220167975A 2022-12-05 2022-12-05 발광 방향 조절이 가능한 원통형 조명장치 KR102517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7975A KR102517153B1 (ko) 2022-12-05 2022-12-05 발광 방향 조절이 가능한 원통형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7975A KR102517153B1 (ko) 2022-12-05 2022-12-05 발광 방향 조절이 가능한 원통형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153B1 true KR102517153B1 (ko) 2023-04-04

Family

ID=85929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7975A KR102517153B1 (ko) 2022-12-05 2022-12-05 발광 방향 조절이 가능한 원통형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15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806Y1 (ko) * 2001-05-03 2001-10-12 배형진 투광기
KR20070119381A (ko) * 2006-06-15 2007-12-20 김용철 엘이디를 이용한 회전식 조명장치
KR20090114888A (ko) * 2008-04-30 2009-11-04 버스텍 주식회사 광 확산 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20100105531A (ko) * 2010-09-10 2010-09-29 장진찬 엘이디 모듈
KR101058902B1 (ko) * 2011-05-25 2011-08-23 기린정밀공업 (주) 안전 성능이 향상된 led 무대 조명 장치
JP2011192548A (ja) * 2010-03-15 2011-09-29 Kasuto:Kk 照明装置の調整装置
KR101195759B1 (ko) 2010-12-10 2012-11-05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측면배광용 엘이디 원통형 방폭등
KR20220001148A (ko) * 2020-06-29 2022-01-05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806Y1 (ko) * 2001-05-03 2001-10-12 배형진 투광기
KR20070119381A (ko) * 2006-06-15 2007-12-20 김용철 엘이디를 이용한 회전식 조명장치
KR20090114888A (ko) * 2008-04-30 2009-11-04 버스텍 주식회사 광 확산 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JP2011192548A (ja) * 2010-03-15 2011-09-29 Kasuto:Kk 照明装置の調整装置
KR20100105531A (ko) * 2010-09-10 2010-09-29 장진찬 엘이디 모듈
KR101195759B1 (ko) 2010-12-10 2012-11-05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측면배광용 엘이디 원통형 방폭등
KR101058902B1 (ko) * 2011-05-25 2011-08-23 기린정밀공업 (주) 안전 성능이 향상된 led 무대 조명 장치
KR20220001148A (ko) * 2020-06-29 2022-01-05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7655B2 (en) Rotatable lighting device
JP6087897B2 (ja) 移動可能な光ガイドシステムを伴なう照明出力デバイス
KR100944366B1 (ko) 엘이디 조명장치
US20140029262A1 (en) Rotatable lighting fixture
JP2013508940A (ja) 照明付天井埋込換気扇
US9353935B2 (en) Rotatable lighting device
CA2983039C (en) Wirelessly controlled lighting device
KR102517153B1 (ko) 발광 방향 조절이 가능한 원통형 조명장치
JP4400886B2 (ja) 室内照明灯
CN110701520A (zh) Led挂屏灯
WO2022001978A1 (zh) 风扇灯
KR200482442Y1 (ko) 조명용 스탠드
KR101831898B1 (ko) 조명위치조정이 가능한 실내용 엘이디등기구
KR102517152B1 (ko) 회전각 조절이 가능한 바형 조명장치
US11525557B2 (en) Downlight apparatus
CN108468979A (zh) 一种led装饰壁灯
KR20150122459A (ko) 휴대용 랜턴
KR101836205B1 (ko) 광각 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 어셈블리
KR101412834B1 (ko) 엘이디 조명등
KR101253018B1 (ko) 경량화 및 방열성능이 향상된 다운라이트
KR101435850B1 (ko) 조명장치
CN111780008A (zh) 一种射灯
JP2020098758A (ja) 照明装置
CA3114504A1 (en) Luminaire with adapter collar
EP3077721B1 (en) Linear led illumination device with improved color mix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