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090B1 - Ptz 카메라를 이용한 발표자 자동 인식 추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Ptz 카메라를 이용한 발표자 자동 인식 추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090B1
KR102517090B1 KR1020220182203A KR20220182203A KR102517090B1 KR 102517090 B1 KR102517090 B1 KR 102517090B1 KR 1020220182203 A KR1020220182203 A KR 1020220182203A KR 20220182203 A KR20220182203 A KR 20220182203A KR 102517090 B1 KR102517090 B1 KR 102517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er
tracking
mode
area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2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기도
Original Assignee
(주) 아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하 filed Critical (주) 아하
Priority to KR1020220182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표자 추적 촬영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촬영 모드를 입력받고, 입력된 촬영 모드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입력된 촬영 모드로 촬영 개시하도록 카메라에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가 상기 입력된 촬영 모드에 따라 상기 발표자 및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추적하여 카메라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PTZ 카메라를 이용한 발표자 자동 인식 추적 방법 및 장치{Presenter automatic recognition track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PTZ camera}
본 명세서는 PTZ 카메라를 이용한 발표자 자동 인식 추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PTZ(pan, tilt and zoom) 카메라는 음성과 영상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카메라로서 화상회의 등에 널리 쓰인다. 즉, PTZ 카메라는 화상회의 중에 발표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음성을 녹음하여 다른 공간에 있는 화상회의참석자들이 발표자의 화상과 음성을 보고, 들을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화상 회의 중에 PTZ 카메라는 항상 발표자를 향하도록 맞추어져 있어야 한다.
아울러, 리모콘(remote control)은 원격 조종장치로서 각종 멀티미디어 기기 등에 널리 쓰이고 있다. 특히, 리모콘은 본체를 무선으로 조종할 수 있고, 그 크기가 소형이기 때문에 TV, 오디오, 화상회의 장치 등을 조종하는 데 있어서, 그 유용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화상회의를 하는 경우, 발표자는 발표자료를 본체를 통해서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거리에서 리모콘을 통해서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명이 발표를 해야하는 경우에 있어서, 공간적 제약에 구애받지 않고 회의를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는 발표자의 발표 환경에 최적화된 촬영 모드를 제공하면서도 사용자의 촬영 조작 번거로움은 최소화할 수 있는 고도화된 발표자 추적 촬영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표자 추적 촬영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촬영 모드를 입력받고, 입력된 촬영 모드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입력된 촬영 모드로 촬영 개시하도록 카메라에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가 상기 입력된 촬영 모드에 따라 상기 발표자 및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추적하여 카메라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발표 환경에서도 효율적으로 자동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촬영 조작 번거로움이 최소화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드 및 발표자의 제스쳐에 따라 촬영 및 초점 대상이 자동으로 전환되므로 발표자의 의도를 반영한 자동 촬영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표자 추적 촬영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표자 추적 모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 영역 설정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표자 촬영 영역 설정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표자 선택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적 대상 전환 기능을 예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 추적 모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표자 추적 촬영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표자 추적 촬영 시스템(100)은 카메라(102), 서버(103) 및 사용자 장치(10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02)는 광각 내 위치한 오브젝트(101)를 촬영하고, 촬영을 통해 획득한 이미지(또는 동영상)을 서버(103)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카메라(102)는 발표자(101)를 자동 추적하는 PTZ 카메라에 해당할 수 있다.
카메라(102)는 실시예에 따라 발표자 추적 모드(102-1), 영역 추적 모드(102-2) 및 하이브리드 모드(102-3), 이렇게 크게 3가지 촬영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발표자 추적 모드(102-1)는 광각 내 발표자(101)를 검출하고, 검출한 발표자(101)를 자동으로 실시간 추적하면서 발표자(101) 중심으로 촬영하는(예를 들어, 촬영 각도/초점을 발표자 중심으로 조절) 촬영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영역 추적 모드(102-2)는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서만 발표자(101)를 자동으로 실시간 추적하면서 발표자(101) 중심으로 촬영하는(예를 들어, 촬영 각도/초점을 발표자 중심으로 조절) 촬영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영역 추적 모드(102-2)는 영역이 제한된 발표자 추적 모드(102-1)로 볼 수도 있다. 하이브리드 모드(102-3)는 발표자 추적 모드(102-1)와 영역 추적 모드(102-2)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형태의 모드로,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는 영역 추적 모드(102-2)로, 기설정된 영역 외에서는 발표자 추적 모드(102-1)로 촬영하는 촬영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각 모드(102-1~3)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서버(103)는 카메라(102) 및 사용자 장치(104)와 통신을 수행하고 이들을 제어하여 본 명세서에서 제안되는 실시예를 주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버(103)는 사용자 장치(104)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카메라(102)를 제어하여 발표자 추적 촬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103), 카메라(102) 및 사용자 장치(104)에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구현된 카메라 제어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사전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통신 및 제어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서버(103)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프로그램 서버 또는 웹 서버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4)는 사용자가 카메라(102)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카메라 제어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사전 설치된 장치로서, 예를 들어 리모컨, 휴대폰, 노트북,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PC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4)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 입력을 서버(103)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장치(104)는 사용자로부터 촬영 모드 입력을 수신하고, 이를 서버(103)로 전송해줄 수 있다. 서버(103)는 사용자 장치(104)로부터 수신한 촬영 모드로 촬영을 개시하도록 카메라(102)에 지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발표자 추적 촬영 시스템(100)에서 서버(103)는 제외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버(103)의 기능은 사용자 장치(104)에 통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앞서 상술한 서버(103)의 기능/동작은 사용자 장치(104)의 기능/동작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표자 추적 모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표자 추적 모드에서 카메라(102)는 카메라 앵글(즉, 광각)(201) 내의 발표자(101)를 검출하고, 검출한 발표자(101)를 자동 추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표자 추적 모드에서 카메라(102)는 검출한 발표자(101)가 광각(201) 내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카메라(102)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발표자(101)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102)를 조작하는 인력이 없이도 카메라(102) 설치만으로 쉽게 발표자(101)의 자동 촬영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발표자(101) 추적 감도는 N개까지 선택 가능하며, 낮은 값일수록 감도가 낮아져 추적 속도가 느리고 높은 값일수록 감도가 높아져 추적 속도가 빠를 수 있다. 추적 속도가 너무 빠른 경우 사용자(또는 시청자)로 하여금 멀미를 일으키는 등 시청에 불편함을 줄 수 있으며, 추적 속도가 너무 느린 경우 카메라(102)가 발표자(101)를 놓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청 상황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맞는 적절한 추적 감도를 정할 수 있다.
발표자 추적 모드는 광각(즉, 발명자 추적 영역)(201) 내에서 기설정된 유효 영역만 타겟하여 발표자(101)를 자동 추적하는 유효 영역 추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발표자 추적 모드에서 유효 영역이 설정된 경우, 카메라(102)는 광각(201) 내에서도 유효 영역으로 설정된 영역에 안에서만 발표자(101) 추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유효 영역 설정 방법은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 영역 설정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서버는 사용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1 유효 영역(301)을 구획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는 제1 유효 영역(301)의 각 변 중심(또는 모서리)에 발표자(101-1~101-4)가 위치한 경우를 가정하고, 가정된 각 위치의 발표자(101-1~101-4)를 카메라 화면 중심에 위치시켰을 때 확장되는 최대 카메라 광각 영역(302~305)이 모두 포함되도록 제1 유효 영역(301)을 제2 유효 영역(306)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서버는 제2 유효 영역(306)을 최종 유효 영역으로 확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카메라에 전송하여 카메라가 유효 영역 추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유효 영역 추적 기능은, 강단/단상/무대와 같이 발표 영역이 카메라 광각 영역 내에 위치하고, 발표 영역 내에서만 발표자 추적을 허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표자 촬영 영역 설정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발표자 추적 모드는 발표자 촬영 영역 설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표자 추적 모드는 발표자의 상반신만 추적하여 촬영하는 상반신 촬영 모드(401), 발표자의 전신을 촬영하는 전신 촬영 모드(402), 발표자의 얼굴만 추적하여 촬영하는 얼굴 촬영 모드, 발표자의 얼굴을 제외한 몸만 촬영하는 모델 촬영 모드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발표자 촬영 영역 설정을 위한 버튼을 본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원하는 버튼을 선택하여 발표자 촬영 영역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마지막 영역 모드 버튼(403)의 경우, 촬영 모드를 발표자 추적 모드에서 영역 추적 모드로 전환하는 버튼을 예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표자 선택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광각(501) 내 복수의 사람이 위치함에 따라 카메라가 복수의 발표자(101-1, 101-2)를 검출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는 서버 및 사용자 장치를 통해 복수의 발표자(101-1, 101-2)가 검출되었음을 알릴 수 있고, 사용자 장치는 이 중 어떤 발표자를 추적할지에 대한 선택 입력을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를 통해 표시된 복수의 발표자(101-1, 101-2) 중 추적할 발표자(101-1)를 선택 입력(504)할 수 있으며, 카메라는 선택된 발표자(101-1)를 타겟하여 발표자 추적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유사한 실시예로서, 한 명의 발표자를 검출하여 발표자 추적 모드로 동작 중에, 추가 인원이 광각 영역(즉, 추적 영역) 내에 새롭게 등장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는 추적 중이던 발표자에 대한 발명자 추적 모드를 유지함과 동시에, 본 도면에 예시한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발표자를 검출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 입력을 수행하여 발표자를 변경하거나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적 대상 전환 기능을 예시한다.
발표자 추적 모드는 추적 대상을 발표자(101-1)에서 오브젝트(603)로 전환하는 추적 대상 전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추적 대상 전환을 트리거하는 조건은 발표자(101-1)의 모션/행동/실루엣(601)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추적 대상 전환의 트리거링 조건은 발표자(101-1)가 특정 오브젝트(603)를 가리키는 모션/행동/실루엣(601)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표자(101-1)가 설명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발표 도중 발표 자료를 활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발표자는 일반적으로 발표 자료가 표시된 프로젝터/디스플레이/칠판/화이트보드(603)를 가리키는 동작을 취하여 사용자(혹은 시청자/청취자)로 하여금 시선이 해당 발표 자료로 집중되도록 유도한다. 만일 이러한 경우에도 카메라가 발표 자료가 아닌 발표자(101-1)만을 추적하여 촬영을 진행하게 되면, 발표 자료가 화면에 잘리거나 아예 잡히지 않게 되거나, 초점이 맞지 않는 경우 등이 생겨 발표자(101-1)의 의도에 벗어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시청자/청취자는 발표 자료를 볼 수 없게 되어 발표 내용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특정 오브젝트(603)(예를 들어, 발표 자료가 표시되어 있는 화이트보드/칠판/디스플레이/프로젝터 등)를 가리키는 발표자(101-1)의 모션/행동/실루엣(601)이 검출되는 경우, 추적 대상을 발표자(101-1)에서 발표자가 가리키는 특정 오브젝트(603)로 자동 전환하거나 추적 대상에 발표 자료를 추가할 수 있다.
발표자(101-1)의 모션/행동을 기초로 추적 대상 전환 기능이 트리거링되는 경우, 서버는 발표자(101-1)의 모션/행동을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특정 오브젝트(603)를 가리키는 모션/행동을 취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에는 발표자 모션/행동을 검출하도록 사전 AI 학습된 모션/행동 캡쳐 모델이 사전 구축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간 판단한 결과 발표자가 특정 오브젝트(603)를 가리키는 모션/행동이 검출된 경우, 서버는 추적 대상을 발표자(101-1)에서 특정 오브젝트(603)로 전환하거나, 추적 대상에 특정 오브젝트(603)를 추가할 수 있다. 만일, 발표자(101-1)가 특정 오브젝트(603)를 가리키는 모션/행동이 중단된 경우, 서버는 추적 대상을 발표자(101-1)로 회귀하도록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발표자(101-1)의 실루엣을 기초로 추적 대상 전환 기능이 트리거링되는 경우, 본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서버는 발표자(101-1)의 실루엣(601)을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검출한 실루엣(601)에서 기설정된 길이 이상으로 돌출된 포인트(602)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돌출 포인트(602)가 검출되는 경우, 서버는 발표자(101-1)가 특정 오브젝트(603)를 가리키는 동작을 취한 것으로 보고, 추적 대상을 발표자(101-1)에서 특정 오브젝트(603)로 전환하거나, 추적 대상에 특정 오브젝트(603)를 추가할 수 있다. 만일, 발표자(101-1)가 특정 오브젝트(603)를 가리키는 동작이 중단됨에 따라 돌출 포인트(602)가 제거된 경우, 서버는 추적 대상을 발표자(101-1)로 회귀하도록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 추적 모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영역 추적 모드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영역(701~703) 내에서만 발표자(101)를 자동으로 추적하는 모드로서, 카메라 광각(201)보다 넓은 영역을 추적 영역으로 설정하고자 할 때 활용 가능한 모드이다. 사용자는 카메라(102)의 촬영 각도를 조절해가면서 추적 영역(701~703)을 복수개 구획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이웃하는 추적 영역(701~703) 간에는 상호 중첩되는 영역을 포함하도록 하여 영역간 이동하는 발표자를 심리스(Seamless)하게 추적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02)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영역 내에서만 발표자 추적 촬영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중첩된 영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기초로 추적 영역을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표자(101)가 제1 영역(702)에서 발표를 진행하다가, 제1 및 제2 영역(701, 702)의 중첩 영역으로 진입한 경우, 카메라(102)는 추적 영역을 제1 영역(702)에서 제2 영역(701)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추적 모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하이브리드 추적 모드는 발표자 추적 모드 및 영역 추적 모드의 하이브리드 결합 형태의 추적 모드로, 기설정된 영역(801, 802) 내에서는 영역 추적 모드로, 기설정된 영역(801, 802) 외에서는 발표자 추적 모드로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를 통해 카메라(102)의 촬영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한 후, 영역 추적 모드로 촬영할 영역(801, 802)을 구획 설정할 수 있다. 설정이 완료되면, 카메라(102)는 설정된 영역(801, 802) 내에서는 영역 추적 모드로, 설정된 영역(801, 802) 외에서는 발표자 추적 모드로 촬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모드의 경우, 앞서 상술한 영역 추적 모드와 달리, 영역간 중첩된 공간이 없어도 발표자(101)를 심리스하게 촬영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추적 모드는 영역(801, 802) 내 추적 대상과 영역 외 추적 대상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추적 대상 설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이브리드 추적 모드에서 사용자는 영역(801, 802) 내에서는 기설정된 오브젝트(예를 들어, 프로젝터/디스플레이/칠판/화이트보드)를, 영역(801, 802) 외에서는 발표자(101)를 추적 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오브젝트는, 영역 내 오브젝트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 입력된 오브젝트로 한정될 수 있다.
본 모드에 따를 때, 발표자(101)가 영역 외에서 발표를 진행하게 되면, 카메라(102)는 발표자(101)에 대한 추적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만일, 발표자(101)가 영역 내로 진입하게 되면, 카메라(102)는 진입한 영역(801, 802) 내에서 기설정된 오브젝트로 추적 대상을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기설정된 오브젝트가 화면 중앙에 위치하도록 카메라(102) 각도/줌/포커싱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0)

  1. 발표자 추적 촬영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촬영 모드를 입력받고, 입력된 촬영 모드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입력된 촬영 모드로 촬영 개시하도록 카메라에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가 상기 입력된 촬영 모드에 따라 상기 발표자 및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추적하여 카메라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모드는,
    상기 발표자를 자동 추적하면서 촬영하는 발표자 추적 모드;
    기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상기 발표자를 자동 추적하면서 촬영하는 영역 추적 모드; 및
    상기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는 상기 영역 추적 모드, 상기 기설정된 영역 외에서는 상기 발표자 추적 모드로 동작하는 하이브리드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촬영 모드가 상기 발표자 추적 모드인 경우,
    기설정된 유효 영역 내에서만 상기 발표자를 자동 추적하는 유효 영역 추적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발표자의 상반신만 촬영하는 상반신 촬영 모드 또는 상기 발표자의 전신을 촬영하는 전신 촬영 모드 또는 발표자의 얼굴만 추적하여 촬영하는 얼굴 촬영 모드 또는 발표자의 얼굴을 제외한 몸만 촬영하는 모델 촬영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발표자의 실루엣 형상을 기초로 추적 대상을 상기 발표자에서 상기 오브젝트로 자동 전환하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한 단계를 포함하고,
    한 명의 발표자를 검출하여 상기 발표자 추적 모드로 동작 중, 추가 인원이 추적 영역 내에 새롭게 등장하는 경우, 카메라는 추적 중이던 발표자에 대한 발명자 추적 모드를 유지하는 가운데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발표자를 변경하거나 또는 유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촬영 모드가 상기 영역 추적 모드인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영역을 복수개 구획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된 영역을 복수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기설정된 영역 중 이웃하는 기설정된 영역간에는 상호 중첩되는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촬영 모드가 상기 하이브리드 모드인 경우,
    상기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는 상기 오브젝트를 자동 추적하고, 상기 기설정된 영역 외에서는 상기 발표자를 자동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효 영역 추적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유효 영역을 구획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유효 영역의 각 변 중심에 상기 발표자가 위치한 경우를 가정하여 상기 제1 유효 영역을 제2 유효 영역으로 확장하는 단계; 상기 제2 유효 영역을 상기 유효 영역으로 최종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영역 내에서만 상기 발표자를 자동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추적 대상을 자동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발표자의 실루엣 형상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실루엣 형상 중 기설정된 길이 이상으로 돌출된 포인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포인트가 가리키는 오브젝트로 상기 추적 대상을 자동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표자 추적 촬영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화이트보드, 칠판, 디스플레이 화면 및 프로젝터 화면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발표자 추적 촬영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220182203A 2022-12-22 2022-12-22 Ptz 카메라를 이용한 발표자 자동 인식 추적 방법 및 장치 KR102517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2203A KR102517090B1 (ko) 2022-12-22 2022-12-22 Ptz 카메라를 이용한 발표자 자동 인식 추적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2203A KR102517090B1 (ko) 2022-12-22 2022-12-22 Ptz 카메라를 이용한 발표자 자동 인식 추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090B1 true KR102517090B1 (ko) 2023-04-03

Family

ID=85936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2203A KR102517090B1 (ko) 2022-12-22 2022-12-22 Ptz 카메라를 이용한 발표자 자동 인식 추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0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541A (ko) * 2012-10-31 2014-05-0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감시 장치
KR20200024441A (ko) * 2018-08-28 2020-03-09 김영대 가상 및 증강 현실 강의실에서 인공지능 기능의 자동 장면 전환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원격 강의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166981A (ko) * 2021-06-11 2022-12-2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영상출력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541A (ko) * 2012-10-31 2014-05-0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감시 장치
KR20200024441A (ko) * 2018-08-28 2020-03-09 김영대 가상 및 증강 현실 강의실에서 인공지능 기능의 자동 장면 전환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원격 강의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166981A (ko) * 2021-06-11 2022-12-2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영상출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1771B2 (en) Camera system for video conference endpoints
US10171769B2 (en) Sound source selection for aural interest
US8169463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camera control
US8237771B2 (en) Automated videography based communications
EP2489182B1 (en) Device and method for camera control
US8274544B2 (en) Automated videography systems
US20100118112A1 (en) Group table top videoconferencing device
US11736801B2 (en) Merging webcam signals from multiple cameras
KR20170064242A (ko) 영상통화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477145B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remote communication
JP2019121857A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7110443B2 (ja) 撮影方法及び撮影装置、電子機器、記憶媒体
US20220038642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video, and storage medium
CN112905074B (zh) 交互界面展示方法、交互界面生成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220038641A1 (en) Video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210264671A1 (en) Panoramic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240080567A1 (en) Photograph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17536024A (ja) ビデオ画像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5033570A (ja) 移動体画像提供方法、移動体画像提供システム
CN113364965A (zh) 基于多摄像头的拍摄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517090B1 (ko) Ptz 카메라를 이용한 발표자 자동 인식 추적 방법 및 장치
WO2023174009A1 (zh) 基于虚拟现实的拍摄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04289779A (ja) 移動体撮像方法、移動体撮像システム
Zhang et al. Hybrid speaker tracking in an automated lecture room
CN114339357A (zh) 图像采集方法、图像采集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