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701B1 - Apparatus for generating wrong answer note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generating wrong answer not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701B1
KR102516701B1 KR1020220154071A KR20220154071A KR102516701B1 KR 102516701 B1 KR102516701 B1 KR 102516701B1 KR 1020220154071 A KR1020220154071 A KR 1020220154071A KR 20220154071 A KR20220154071 A KR 20220154071A KR 102516701 B1 KR102516701 B1 KR 102516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orrect answer
processor
note
answer
incorr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40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은영
Original Assignee
콜라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콜라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콜라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54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70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7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 G09B7/08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further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generating incorrect answer notes, which comprises: a display unit; and a processor which receives an answer to a problem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check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nswer is incorrect, information on the problem with the incorrect answer, classifies the problem with the incorrect answer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problem, to save the same, so that an incorrect answer note is generated.

Description

오답 노트 생성 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wrong answer notes}Apparatus for generating wrong answer notes}

본 발명은 오답 노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최근, 휴대폰이나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의 스마트 기기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Recently, studies on various educational service systems that can be utilized in smart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tablet PCs (personal computers) are being accelerated.

학습자는 학습효과를 증대하기 위해서 문제 풀이를 수행한 이후에 오답 노트를 작성하는데 학습자 유형을 분류하고 학습자 유형별로 틀린 문제에 관한 정보를 빅데이터와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수집하면 학습자 유형별로 틀리는 문제의 특정한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In order to increase the learning effect, learners create notes for incorrect answers after solving problems. If learner types are classified and information on problems that are different for each learner type is collected using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problems that are different for each learner type A specific pattern can be analyzed.

학습자 유형을 분석하고, 학습자 유형별로 오답 노트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여 오답 노트를 분석하여 자주 틀리는 문제에 대한 오답 패턴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면, 다음에 비슷한 문제를 풀게 될 때 보다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는 점에서 오답 노트는 학습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If you can analyze the type of learner, create a database of incorrect answer notes for each learner type, and analyze the incorrect answer notes to accurately identify the pattern of incorrect answers to frequently incorrect questions, you will be able to solve problems more easily the next time you solve similar problems. It can be said that incorrect answer notes are effective for learning in that they can be raised.

이러한 오답 노트를 사용자 관점에서 보다 쉽게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It is necessary to research a technology that can more easily create and manage these incorrect answer notes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등록번호 10-2016820Registration No. 10-2016820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오답 노트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friendly wrong answer note generation devic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장치는 문제에 대한 정보에 따라 오답 문제를 분류 저장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an incorrect answer no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and stores incorrect answer questions according to information about the proble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문제에 대한 답안을 수신하고, 상기 답안이 오답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오답 문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문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답 문제를 분류하고 저장함으로써 오답 노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 incorrect answer no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and receiving an answer to the problem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nswer is incorrect, checking information on the incorrect answer problem, classifying and storing the incorrect answer problem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problem, and storing the incorrect answer. A processor for generating a note; includes.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답 문제의 과목을 기준으로 상기 오답 문제를 1차 분류한다.The processor first classifies the incorrect answer problem based on the subject of the incorrect answer problem.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답 문제가 포함된 문제집을 기준으로 상기 오답 문제를 2차 분류한다.The processor secondarily classifies the incorrect answer problem based on the problem book including the incorrect answer problem.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진입 버튼에 대한 터치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나의 노트 생성 모드에 진입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나의 노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영역과 분리된 제2 영역에 복수의 오답 문제 리스트를 표시한다.The processor, when a touch input to the entry butt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received, enters my note creation mode, displays my note on a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and displays a second area separated from the first area. A list of multiple incorrect answers is displayed in the area.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스트 중 제1 문제가 터치된 상태로 드래그되어 상기 나의 노트 중 제1 페이지에 드랍되는 경우, 상기 제1 문제를 상기 제1 페이지에 분류하여 저장한다.When a first question from the list is dragged in a touched state and dropped on a first page of the My Notes, the processor classifies the first question into the first page and stores the first questio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디폴트 오답 노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First,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user convenience by generating a default incorrect answer note.

둘째, 사용자가 직접 나의 오답 노트를 생성할 수 있어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Second, since the user can directly create his or her wrong answer note,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user-customized service.

셋째, 오답 노트 생성시 오답 문제에 매칭되는 데이터를 생성하고, 오답 노트에 리마인더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학습 효과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Third,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learning effect for the user by generating data matching the wrong answer problem when generating an incorrect answer note and giving a reminder function to the incorrect answer not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장치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generating an incorrect answer no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generating an incorrect answer no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8 are diagrams referenced to explain the operation of an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together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은, 오답 노트를 생성한다. 오답 노트는, 사용자(예를 들면, 학습자)의 문제 풀이에서 발생한 오답을 정리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ystem 1 generates an incorrect answer note. The incorrect answer note may be described as a summary of incorrect answers generated in the user's (eg, learner's) problem solving.

시스템(1)은,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 및 서버(20)를 포함한다. The system 1 includes an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10 and a server 20 .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는 서버(20)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는, 서버(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는, 서버(2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The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10 may exchange data by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20 . The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10 may receive data from the server 20 . The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10 may transmit data to the server 20 .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는, 학습자가 소지할 수 있다. 학습자는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를 통해 제공되는 오답 문제를 풀고 답안을 기록할 수 있다. 학습자는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여러 기능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The wrong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10 may be possessed by a learner. The learner may solve the incorrect answer problem provided through the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10 and record the answer. The learner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functions to be described later using the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10 .

서버(10)는,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는, 복수의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는, 오답발생 확률이 높은 문제에서 오답이 발생되는 원인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경우,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는, 오답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발생의 원인에 대해 분석된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5a)(15)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10 may provide data to the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10 . The server 10 may analyze the data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s 10 and provide the analysis result to the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10 . For example, the server 10 may analyze the cause of the occurrence of an incorrect answer in a problem with a high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n incorrect answer, and provide the analysis result to the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10 . In this case, when an incorrect answer problem occurs, the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10 may provide a result of analyzing the cause of the occurrence through the display unit 15a (15).

서버(10)는,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버(10)는,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The server 10 may store data received from the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10 .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erver 10 may analyze data collected from the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10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장치의 제어 블럭도이다.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는, 통신부(11), 위치 데이터 생성부(12), 사용자 입력부(13), 센싱부(14), 출력부(15), 메모리(16), 프로세서(17), 인터페이스부(18) 및 전원 공급부(19)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n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1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 a location data generation unit 12, a user input unit 13, a sensing unit 14, an output unit 15, a memory 16, It may include a processor 17, an interface unit 18 and a power supply unit 19.

통신부(11)는,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는, 서버(20)일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1 is a devic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Here, the external device may be the server 20 .

통신부(11)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각종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ransmission antenna, a reception antenna, a radio frequency (RF) circuit capable of implementing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and an RF element in order to perform communication.

위치 데이터 생성부(12)는,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The location data generation unit 12 is a module for acquiring the location (or current location) of the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on device 10, and representative examples thereof includ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or a Wireless Fidelity (WiFi) module. . For example, if the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10 utilizes a GPS module, the location of the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10 may be obtained us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GPS satellite. As another example, the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10 utilizes a Wi-Fi module, based on information of a Wi-Fi module and a wireless access point (AP) that transmits or receives a wireless signal, an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 10) can be obtained.

사용자 입력부(1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입력부(13)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프로세서(17)에 의해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 i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and the data collected by the user input unit 13 is analyzed by the processor 17 and processed as a user's control command.

사용자 입력부(13)는, 음성 입력부(예를 들면, 마이크로 폰), 터치 입력부(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 및 기계식 입력부(예를 들면, 버튼)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 may include a voice input unit (eg, a microphone), a touch input unit (eg, a touch screen), and a mechanical input unit (eg, a button).

센싱부(14)는,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 내 정보,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마이크로폰(microphone),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within the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10 ,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10 , and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4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an illumination sensor,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nd a gravity sensor (G- sensor), gyroscope sensor, motion sensor, RGB sensor, infrared sensor (IR sensor), finger scan sensor, ultrasonic sensor, optical sensor sensor, eg camera), microphone, battery gauge, environmental sensor (eg barometer, hygrometer, thermometer, radiation detection sensor, heat detection sensor, gas detection sensor, etc.), chemical sensor (eg, an electronic nose, a healthcare sensor, a biometric sensor, etc.). Meanwhile, the apparatus 10 for generating an incorrect answer not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combine and utilize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sensors.

출력부(15)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a), 음향 출력부, 햅팁 모듈, 광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a)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sight, hearing, or touch,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15a, a sound output unit, a haptic module, and an optical output unit. The display unit 15a may implement a touch screen by forming a mutual layer structure or integrally with the touch sensor. Such a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3 providing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10 and the user,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10 and the user. .

메모리(16)는, 프로세서(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6)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는, 프로세서(17)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6)는 프로세서(17)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는, 프로세서(17)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6)는, 프로세서(17)의 하위 구성으로 분류될 수 있다.The memory 1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17. The memory 16 may store basic data for the unit,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it, and input/output data. The memory 16 may store data processed by the processor 17 . The memory 16 may be configured with at least one of ROM, RAM, EPROM, a flash drive, and a hard drive in terms of hardware. The memory 16 may store various data for overall operations of the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10, such as a program for processing or controlling the processor 17. The memory 16 may be implemented integrally with the processor 17 .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memory 16 may be classified as a sub-element of the processor 17 .

인터페이스부(18)는, 외부의 전자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80)는, 단자, 핀, 케이블, 포트, 회로, 소자 및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8 may exchange signals wit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by wire or wirelessly. The interface unit 280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terminals, pins, cables, ports, circuits, elements, and devices.

전원 공급부(19)는,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의 각 유닛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9 may supply power to the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10 . The power supply unit 19 may receive power from a battery and supply power to each unit of the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10 .

프로세서(17)는, 통신부(11), 위치 데이터 생성부(12), 사용자 입력부(13), 센싱부(14), 출력부(15), 메모리(16), 인터페이스부(18), 전원 공급부(1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17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 a location data generation unit 12, a user input unit 13, a sensing unit 14, an output unit 15, a memory 16, an interface unit 18, and a power supply unit.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19) and can exchange signals. The processor 17 include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processors, and controllers.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프로세서(17)는, 전원 공급부(19)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전원 공급부(19)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처리하고, 신호를 생성하고,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 may be driven by power provided from the power supply 19 . The processor 17 may receive data, process the data, generate signals, and provide signals while power is supplied by the power supply unit 19 .

프로세서(17)는,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를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이하, 인공 지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획득되는 데이터를 인공 지능 모듈에 입력(input)하고, 인공 지능 모듈에서 출력(output)되는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7 may include a software module or a hardware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that implements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e processor 17 may input acquired data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and use data output from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인공 지능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한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수행할 수 있다.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may perform machine learning on input data using at least one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인공 지능 모듈은, 머신 러닝으로 학습할 수 있다. 머신 러닝은 컴퓨터에게 사람이 직접 로직(Logic)을 지시하지 않아도 데이터를 통해 컴퓨터가 학습을 하고 이를 통해 컴퓨터가 알아서 문제를 해결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can learn by machine learning. Machine learning means that a computer learns through data without a person directly instructing the computer with logic, and through this, the computer solves the problem on its own.

딥러닝(Deep Learning)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구성하기 위한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에 기반으로 해 컴퓨터에게 사람의 사고방식을 가르치는 방법으로 사람이 가르치지 않아도 컴퓨터가 스스로 사람처럼 학습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다.Deep Learning is.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s) to construct artificial intelligence, it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at allows computers to learn like humans on their own without being taught by humans as a method of teaching computers how to think. .

상기 인공신경망(ANN)은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거나 칩(chip) 등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software or hardware such as a chip.

인공 지능 모듈은 공간의 속성, 장애물 등 사물의 속성이 학습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형태의 인공신경망(ANN)을 포함할 수 있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may include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in the form of software or hardware in which properties of objects such as space properties and obstacles are learned.

예를 들어, 인공 지능 모듈은 딥러닝(Deep Learning)으로 학습된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BN(Deep Belief Network) 등 심층신경망(Deep Neural Network: DNN)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may include deep neural networks (DNNs) such as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s), recurrent neural networks (RNNs), and deep belief networks (DBNs) trained by deep learning. can

인공 지능 모듈은 상기 심층신경망(DNN)에 포함된 노드들 사이의 가중치(weight)들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공간, 사물의 속성을 판별할 수 있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may determine properties of space and objects included in input image data based on weights between nodes included in the deep neural network (DNN).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메모리에는 상기 심층신경망(DNN) 구조를 이루는 웨이트(weight), 바이어스(bias)들이 저장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embodiments, weights and biases constituting the deep neural network (DNN) structure may be stored in a memory.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심층신경망 구조를 이루는 웨이트(weight), 바이어스(bias)들은 인공 지능 모듈의 임베디드 메모리(embedded memory)에 저장될 수 있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embodiments, weights and biases constituting the deep neural network structure may be stored in an embedded memory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 위치 데이터 생성부(12), 사용자 입력부(13), 센싱부(14), 출력부(15), 메모리(16), 프로세서(17), 인터페이스부(18), 전원 공급부(19)는,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10 may include at least one printed circuit board (PCB). Communication unit 11, location data generation unit 12, user input unit 13, sensing unit 14, output unit 15, memory 16, processor 17, interface unit 18, power supply unit ( 19)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3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generating an incorrect answer no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는, 디스플레이부(15a)를 통해, 문제를 표시한 상태에서, 문제에 대한 답안을 수신할 수 있다(S310).Referring to FIG. 3 , the processor 17 may receive an answer to the problem while displaying the problem through the display unit 15a (S310).

프로세서(17)는, 수신된 답안이 오답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20).The processor 17 may determine whether the received answer is an incorrect answer (S320).

프로세서(17)는, 수신된 답안이 오답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오답 문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330). 여기서, 오답 문제는, 수신된 답안 중에서 오답인 것으로 분류된 문제로 이해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answer is an incorrect answer, the processor 17 may check information on the incorrect answer question (S330). Here, the incorrect answer problem may be understood as a problem classified as an incorrect answer among the received answers.

한편, 오답 문제에 대한 정보는, 문제의 과목 정보, 문제가 실려있는 문제집 정보, 문제의 단원 정보, 문제 유형(예를 들면, 주관식, 객관식) 정보, 문제의 주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formation on the wrong answer question may include subject information of the question, information on the workbook containing the question, unit information of the question, information on the type of question (eg, subjective type, multiple choice type), and subject information of the question.

프로세서(17)는, 문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오답 문제를 분류하고 저장함으로써 오답 노트를 생성할 수 있다(S340).The processor 17 may generate an incorrect answer note by classifying and storing incorrect answers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problem (S340).

예를 들면, 프로세서(17)는, 과목별로 오답 문제를 분류하여 오답 노트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17 may generate incorrect answer notes by classifying incorrect answer questions for each subject.

예를 들면, 프로세서(17)는, 문제집별로 오답 문제를 분류하여 오답 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17)는, 오답 문제의 과목을 기준으로 오답 문제를 1차 분류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1차 분류된 과목의 하위 분류로 오답 문제가 포함된 문제집을 기준으로 오답 문제를 2차 분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17 may generate incorrect answer notes by classifying incorrect answer questions according to problem sets. In this case, the processor 17 may first classify the incorrect answer problem based on the subject of the incorrect answer problem. The processor 17 may secondarily classify the incorrectly answered questions based on the workbook including the incorrectly answered problems as a subclass of the primaryly classified subject.

한편, 프로세서(17)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오답 문제의 분류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7 may set classification criteria for incorrect answer questions based on a user input.

프로세서(17)는, 기 분류된 오답 문제를 자연어 처리할 수 있다(S350).The processor 17 may process the pre-classified incorrect answer problems in natural language (S350).

NLP(Natural Language Processing, 자연어 처리)는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서 머신러닝을 사용하여 텍스트와 데이터를 처리하고 해석한다.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is a branch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uses machine learning to process and interpret text and data.

프로세서(17)는, 자연어 처리를 통해, 오답 문제를 재분류 할 수 있다(S360). 프로세서(17)는, 오답 문제의 문제 및 답안에 포함된 단어, 문장을 기 학습된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에 입력하고, 출력되는 카테고리로 오답 문제를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는, 텍스트 분류(Text Classification)를 통해, 오답 문제를 복수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로 재분류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 may reclassify the incorrect answer problem throug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360). The processor 17 may input words and sentences included in the problems and answers of the incorrect answer problem to the pre-learn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lgorithm, and classify the incorrect answer problem into output categories. For example, the processor 17 may reclassify the incorrect answer problem into one of a plurality of categories through text classification.

프로세서(17)는, S340 단계에서 생성된 오답 노트(이하, 제1 오답 노트)는 유지한 채,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에 의해 재분류된 오답 노트(이하, 제2 오답 노트)를 별도로 생성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7 may separately generate an incorrect answer note reclassified by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lgorithm (hereinafter, a second incorrect answer note) while maintaining the incorrect answer note (hereinafter, a first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ed in step S340. .

프로세서(17)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교과 체계에 따라 분류된 제1 오답 노트 및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에 의해 재분류된 제2 오답 노트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으로 인해 학습자는 오답 노트를 이용하여 입체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 may selectively provide a first incorrect answer not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system and a second incorrect answer note reclassified by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lgorithm according to a user input. Due to this function, learners can learn three-dimensionally using incorrect answer notes.

프로세서(17)는, 오답 노트를 분석하여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S370).The processor 17 may analyze the incorrect answer note and provide a result (S370).

프로세서(17)는, 서버(2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오답 노트의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7 may provide an analysis result of an incorrect answer note using data received from the server 20 .

프로세서(17)는, 복수의 오답 노트 생성 장치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도출된 결과를 서버(20)로부터 제공받아 출력부(15)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는, 제1 오답 문제와 연관되어 필요한 개념을 학습할 수 있는 단원 및 문제를 결과로 제공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 may receive a result obtained by analyzing data of a plurality of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s from the server 20 and output the result through the output unit 15 . For example, the processor 17 may provide units and problems for learning necessary concepts related to the first incorrect answer problem as a result.

프로세서(17)는, 오답 노트 분석 결과로 그룹핑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7 may provide grouping inform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incorrect notes.

서버(20)는, 복수의 오답 노트 생성 장치로부터 오답 문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는, 오답 문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답 노트 생성 장치를 그룹핑(grouping)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는, 제1 과목의 제1 단원에 해당되는 오답 문제 비율을 기초로 복수의 오답 노트 생성 장치를 그룹핑할 수 있다. 서버(20)는 그룹핑된 오답 노트 생성 장치에 그룹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그룹핑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15)를 통해 그룹핑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그룹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그룹 학습은, 그룹핑 된 오답 노트 생성 장치들 상호간 오답 노트에 대한 데이터를 교환하며 학습을 수행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server 2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incorrect answers from a plurality of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s. The server 20 may group a plurality of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s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incorrect answer problem. For example, the server 20 may group a plurality of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s based on the ratio of incorrect answer ques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unit of the first subject. The server 20 may transmit grouping information to the grouped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The processor 17 may receive grouping information and output the grouping information through the output unit 15 . The processor 17 may perform group learning based on user input. Here, group learning may be defined as performing learning while exchanging data on incorrect answer notes between grouped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or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4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generating an incorrect answer no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7)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나의 노트 생성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S410). 예를 들면, 프로세서(17)는, 디스플레이부(15a)에 표시된 진입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나의 노트 생성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나의 노트는, 사용자(예를 들면, 학습자)에 의해 분류되어 생성되는 오답 노트로 정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processor 17 may enter my note creation mode based on a user input (S410). For example, the processor 17 may enter my note creation mode when a touch input to the entry butt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a is received. My notes may be defined as incorrect answer notes that are classified and created by a user (eg, a learner).

프로세서(17)는, 디스플레이부(15a)의 제1 영역에 나의 노트를 표시할 수 있다(S420). 나의 노트는,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될 수 있고, 프로세서(17)는, 복수의 페이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페이지를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 may display my note i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15a (S420). My note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ges, and the processor 17 may display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pages in the first area.

프로세서(17)는, 디스플레이부(15a)의 제2 영역에 복수의 오답 문제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S430). 제2 영역은, 제1 영역과 분리된 영역이다.The processor 17 may display a plurality of incorrect answer question lists on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unit 15a (S430). The second region is a region separated from the first region.

프로세서(17)는, 드래그 앤 드랍 입력 수신을 통해, 나의 노트에 포함될 오답 노트를 선택할 수 있다(S440). 예를 들면, 프로세서(17)는, 리스트 중 제1 문제가 터치된 상태로 드래그되어 나의 노트 중 제1 페이지에 드랍되는 경우, 제1 문제를 제1 페이지에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 may select an incorrect answer note to be included in my note through receiving a drag and drop input (S440). For example, the processor 17 may classify and store the first question in the first page when the first question in the list is dragged in a touched state and dropped on the first page of my notes.

프로세서(17)는,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선택된 오답 문제와 매칭하여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다(S460). 이경우, 데이터는 선택된 오답 문제와 함께 나의 노트에 기록될 수 있다. When receiving a touch input for a button, the processor 17 may insert data by matching with the selected incorrect answer question (S460). In this case, the data can be recorded in My Notes along with the selected incorrect answer question.

한편, 데이터는, 선택된 오답 문제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학습자가 오답 문제와 정답에 대한 기억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는, 오답 문제에 포함되는 키워드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는, 오답 문제에 대한 답안을 생성하는 시점의 시간 데이터 또는 장소 데이터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ata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ected incorrect answer problem, and may play a role of increasing the learner's memory for the incorrect answer problem and the correct answer. For example, the data may be image data for a keyword included in an incorrect answer problem. For example, the data may be time data or location data at the time of generating an answer to an incorrect answer problem.

한편, 데이터는,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의 메모리(16)에 기 저장된 사진 데이터일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오답 문제에서 추출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메모리(16)에 기 저장된 사진 중 키워드와 매칭되는 사진을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메모리(16)에 기 저장된 사진에 대한 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키워드의 일치 여부 또는 같은 카테고리에 해당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오답 문제에서 추출된 키워드와 사진에 대한 키워드를 비교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비교 결과에 따라 오답 문제와 사진 데이터를 매칭하여 기록할 수 있다.Meanwhile, the data may be photo data pre-stored in the memory 16 of the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10 . The processor 17 may select a photo matching the keyword from among photos pre-stored in the memory 16 based on the keyword extracted from the incorrect answer problem. The processor 17 may generate keywords for photos pre-stored in the memory 16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The processor 17 may compare the keyword extracted from the incorrect answer question with the keyword for the photo, based on whether the keyword matches or whether the keyword corresponds to the same category. The processor 17 may match and record the wrong answer problem and the photo data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프로세서(17)는, 선택된 사진을 오답 문제와 매칭되는 데이터로 제시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사진 데이터를 오답 문제와 매칭하여 나의 노트에 기록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 may present the selected photo as data matching the incorrect answer question, match the selected photo data with the incorrect answer question, and record it in my not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이로 인해, 학습자는, 나의 노트에 기록된 오답 문제를 학습할 때, 데이터를 확인하며 오답 문제에 대한 기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learner learns the wrong answer problems recorded in my notebook, he/she can check the data and improve the memory for the wrong answer problems.

프로세서(17)는, 나의 노트 생성을 완료할 수 있다(S470).The processor 17 may complete my note generation (S470).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5 to 8 are diagrams referenced to explain the operation of an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1차 분류로 과목을 설정하고, 2차 분류로 문제집을 설정하여 오답 노트를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processor 170 may set a subject as a primary classification and set a workbook as a secondary classification to generate an incorrect answer note.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70)는, 국어 과목(510)에서 제1 문제집(520)에 제1 오답 문제(530)가 포함되도록 오답 노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국어 과목(510)에 복수의 문제집을 포함시켜 오답 노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복수의 문제집 각각에 복수의 오답 문제를 포함시켜 오답 노트를 생성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5 , the processor 170 may generate an incorrect answer note so that the first incorrect answer question 530 is included in the first workbook 520 in the Korean subject 510 . The processor 170 may generate incorrect answer notes by including a plurality of workbooks in the Korean subject 510 . The processor 170 may generate incorrect answer notes by including a plurality of incorrect answer questions in each of a plurality of problem books.

프로세서(170)는, 국어 과목 외에도, 수학 과목, 영어 과목, 사회 과목 등, 오답 문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과목에 대한 오답 노트를 생성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generate incorrect answer notes for a plurality of subjects, based on information on incorrect answers, such as math, English, social studies, and the like, in addition to Korean language subjects.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오답 노트를 디스플레이부(15a)에 표시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70 may display an incorrect answer note on the display unit 15a based on the user input.

프로세서(170)는, 오답 노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과목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해당 과목으로 분류된 문제집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When a touch input for a subject icon is received while an incorrect answer note is displayed, the processor 170 may display a workbook icon classified as a corresponding subject.

프로세서(170)는, 복수의 문제집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터치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문제집에 포함된 오답 문제를 표시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70 may display an incorrect answer included in the workbook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icon when a touch input for any one icon is received while a plurality of workbook icons are displayed.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나의 노트를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and 7 , the processor 170 may create my note based on a user input.

프로세서(170)는, 나의 노트 생성 버튼(601)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나의 노트 생성 영역(602)을 표시할 수 있다.When a touch input to the create my note button 601 is received, the processor 170 may display the create my note area 602 .

프로세서(170)는, 나의 노트 생성 영역(602)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노트(610)이 선택되면,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노트(6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611, 612)를 제1 영역(710)에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first note 610 is selected while the my note creation area 602 is displayed, the processor 170, as illustrated in FIG. 7 , at least one page included in the first note 610 ( 611 and 612 may be displayed on the first area 710 .

프로세서(170)는, 오답 문제 리스트(700)를 제2 영역(720)에 표시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display the incorrect answer question list 700 on the second area 720 .

프로세서(170)는, 리스트(700) 중 제1 오답 문제(701)가 터치된 상태로 드래그되어 제1 영역(710)에 있는 제1 페이지(611)에 드랍되는 경우, 제1 오답 문제(701)를 제1 페이지(611)에 포함시킬 수 있다.When the first incorrect answer question 701 of the list 700 is dragged in a touched state and dropped on the first page 611 in the first area 710, the processor 170 determines the first incorrect answer question 701. )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page 611 .

프로세서(170)는, 리스트(700) 중 제2 오답 문제(702)가 터치된 상태에로 드래그되어 제1 영역(710)에 있는 제2 페이지(612)에 드랍되는 경우, 제2 오답 문제(702)를 제2 페이즈(612)에 포함시킬 수 있다.When the second incorrect answer question 702 of the list 700 is dragged to the touched state and dropped on the second page 612 in the first area 710, the processor 170 determines the second incorrect answer question ( 702)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phase 612.

이로 인해, 학습자가 직접 자신의 의도에 따라 오답 노트를 생성할 수 있게되어 효율적 학습이 가능해지게 된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for the learner to directly create an incorrect answer note according to his/her own intention, enabling efficient learning.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오답 노트를 생성할 수 있다(S810).Referring to FIG. 8 , the processor 170 may generate an incorrect answer note (S810).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리마인더를 설정할 수 있다(S820).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리마인더 횟수 및 리마인더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set a reminder based on the user input (S820). 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may set the number of reminders and the reminder period.

프로세서(170)는, 설정된 횟수 및 주기대로 오답 노트에 대한 리마인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perform a reminder operation for the wrong answer note at a set number of times and cycles.

프로세서(170)는, 1차 리마인더를 수행할 수 있다(S830).The processor 170 may perform a first reminder (S830).

프로세서(170)는, 오답 문제와 매칭되어 기록된 데이터와 연관된 컨텐츠를 출력하면서 1차 리마인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오답 문제와 매칭되어 저장된 사진을 표시하면서 1차 리마인더를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perform the first reminder while outputting content associated with recorded data matched with an incorrect answer problem. 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may perform the first reminder while displaying a stored photo matched with an incorrect answer question.

프로세서(170)는, 1차 리마인더에 따른 오답 노트를 이용한 복습을 기록할 수 있다(S840). 이때, 프로세서(170)는, 1차 리마인더에 따른 문제 풀이 중, 정답을 맞춘 문제들은 오답 노트에서 제외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record review using the incorrect answer note according to the primary reminder (S840). At this time, the processor 170 may exclude questions with correct answers from the incorrect answer note during problem solving according to the primary reminder.

프로세서(170)는, 2차 리마인더를 수행할 수 있다(S850).The processor 170 may perform a secondary reminder (S850).

프로세서(170)는, 오답 문제와 매칭되어 기록된 데이터와 연관된 컨텐츠를 출력하면서 2차 리마인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오답 문제와 매칭되어 저장된 사진을 표시하면서 2차 리마인더를 수행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70 may perform a secondary reminder while outputting content associated with recorded data matched with an incorrect answer problem. 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may perform a secondary reminder while displaying a stored photo matched with an incorrect answer question.

프로세서(170)는, 2차 리마인더 동작시, 1차 리마인더 때 출력된 컨텐츠와 다른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reminder is operated, the processor 170 may output content different from the content output at the time of the first reminder.

프로세서(170)는, 2차 리마인더에 따른 오답 노트를 이용한 복습을 기록할 수 있다(S860). 이때, 프로세서(170)는, 2차 리마인더에 따른 문제 풀이 중, 정답을 맞춘 문제들은 오답 노트에서 제외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record review using the incorrect answer note according to the secondary reminder (S860). At this time, the processor 170 may exclude questions with correct answers from the incorrect answer note during problem solving according to the secondary reminder.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isk (SSD), Silicon Disk Drive (SDD),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there is Also, the computer may include a processor or a control unit.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시스템
10 : 오답 노트 생성 장치
1: System
10: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Claims (5)

복수의 사진을 저장하는 메모리;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문제에 대한 답안을 수신하고,
상기 답안이 오답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오답 문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문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답 문제를 분류하고 저장함으로써 오답 노트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진입 버튼에 대한 터치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나의 노트 생성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선택된 오답 문제와 데이터를 매칭하여 나의 노트에 기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는,
선택된 오답 문제와 정답에 대한 기억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선택된 오답 문제에 포함되는 키워드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선택된 오답 문제에 대한 답안을 생성하는 시점의 시간 데이터 및 장소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선택된 오답 문제에서 추출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진 중 추출된 키워드와 매칭되는 제1 사진을 선택하고, 상기 제1 사진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된 오답 문제에 대한 답안을 생성하는 시점의 시간 데이터 및 장소 데이터와 함께 선택된 오답 문제와 매칭하여 상기 나의 노트에 기록하고,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제1 사진을 출력하면서 상기 제1 사진과 매칭되는 오답 문제에 대한 리마인더를 수행하는 오답 노트 생성 장치.
A memory for storing a plurality of photos;
display unit; and
Receiving an answer to the problem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nswer is incorrect, check information about the incorrect answer,
generating an incorrect answer note by classifying and storing the incorrect answer problem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problem;
When a touch input to the entry butt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received, in a state in which my note creation mode is entered, a processor that matches selected incorrect answer questions and data and records them in my note,
The data is
It increases the memory for the selected incorrect answer problem and the correct answer, and includes image data for keywords included in the selected incorrect answer problem, time data and location data at the time of generating the answer to the selected incorrect answer problem,
the processor,
Time point of selecting a first photo matching the extracted keyword among the photos stored in the memory based on the keyword extracted from the selected incorrect answer question, and generating an answer to the selected incorrect answer question using image data of the first photo Matching the selected incorrect answer problem with the time data and place data of and recording it in the my note,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 incorrect answer note for outputting the first photo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ycle and performing a reminder for an incorrect answer problem matched with the first photo.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답 문제의 과목을 기준으로 상기 오답 문제를 1차 분류하는 오답 노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An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for first classifying the incorrect answer problem based on the subject of the incorrect answer problem.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답 문제가 포함된 문제집을 기준으로 상기 오답 문제를 2차 분류하는 오답 노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processor,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 incorrect answer note that secondarily classifies the incorrect answer problem based on the problem book including the incorrect answer probl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나의 노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영역과 분리된 제2 영역에 복수의 오답 문제 리스트를 표시하는 오답 노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An apparatus for generating incorrect answer notes for displaying my notes in a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and displaying a plurality of incorrect answer question lists in a second area separated from the first area.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스트 중 제1 문제가 터치된 상태로 드래그되어 상기 나의 노트 중 제1 페이지에 드랍되는 경우, 상기 제1 문제를 상기 제1 페이지에 분류하여 저장하는 오답 노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processor,
When a first question from the list is dragged in a touched state and dropped on a first page of the My Notes, the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ng device classifies and stores the first question on the first page.

KR1020220154071A 2022-11-17 2022-11-17 Apparatus for generating wrong answer notes KR1025167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071A KR102516701B1 (en) 2022-11-17 2022-11-17 Apparatus for generating wrong answer not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071A KR102516701B1 (en) 2022-11-17 2022-11-17 Apparatus for generating wrong answer not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6701B1 true KR102516701B1 (en) 2023-03-31

Family

ID=86005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4071A KR102516701B1 (en) 2022-11-17 2022-11-17 Apparatus for generating wrong answer not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70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9977A (en) * 2010-03-03 2011-09-09 주식회사 지식과미래 System for providing incorrect answer note based on online lecture
KR101459688B1 (en) * 2014-04-17 2014-11-12 주식회사 이플소프트 Smart-device with app possible Learning using Just Solving.
KR102016820B1 (en) 2017-12-28 2019-08-30 강상희 Method, apparatus for generating wrong answer not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9977A (en) * 2010-03-03 2011-09-09 주식회사 지식과미래 System for providing incorrect answer note based on online lecture
KR101459688B1 (en) * 2014-04-17 2014-11-12 주식회사 이플소프트 Smart-device with app possible Learning using Just Solving.
KR102016820B1 (en) 2017-12-28 2019-08-30 강상희 Method, apparatus for generating wrong answer not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34173A1 (en) Neural models for key phrase detection and question generation
US20220180882A1 (en) Training method and device for audio separation network, audio separation method and device, and medium
KR102040400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questions using machine learning
Halim et al. A kinect-based sign language hand gesture recognition system for hearing-and speech-impaired: a pilot study of Pakistani sign language
Hendricks et al. Generating visual explanations with natural language
US20220139245A1 (en) Using personalized knowledge patterns to generate personalized learning-based guidance
KR102516701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wrong answer notes
US20220406217A1 (en) Deep learning-based pedagogical word recommendation system for predicting and improving vocabulary skills of foreign language learners
US20200202738A1 (en)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743999B1 (en) Terminal and method for verification content
US202300241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test scores
JP2006343602A (en) Learning support system
KR102507466B1 (en) Method for providing smart study material
US20220406216A1 (en) Deep learning-based pedagogical word recommendation method for predicting and improving vocabulary skills of foreign language learners
US202103577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processing data
KR102390676B1 (en) Edutech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of recommending instructors who match their learning style to learners
KR102396078B1 (en) Method to recommend a diagnostic test for user evaluation
US202401692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train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KR102411190B1 (en) Holistic student assessment framework based on multi-task learning
KR102584732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language service based on language blocks
Ula et al. An Improved Structure for Academic Information Services through AI Chatbots.
KR102498540B1 (en) Learning system using contents structure
US202300442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with learning journey
US11733782B1 (en) Gesture simulated interactive environment
KR1023969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train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