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388B1 - 드론 이착륙 장치 및 드론 이착륙의 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드론 이착륙 장치 및 드론 이착륙의 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388B1
KR102516388B1 KR1020210054571A KR20210054571A KR102516388B1 KR 102516388 B1 KR102516388 B1 KR 102516388B1 KR 1020210054571 A KR1020210054571 A KR 1020210054571A KR 20210054571 A KR20210054571 A KR 20210054571A KR 102516388 B1 KR102516388 B1 KR 102516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ver
side cover
drone
lan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7431A (ko
Inventor
박찬원
이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필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필드
Priority to KR1020210054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388B1/ko
Publication of KR20220147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 B64F1/2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for storing aircraft, e.g. in hang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11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07Helicopter portable landing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80/0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 B64U80/8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by vehicles
    • B64U80/86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드론 이착륙 장치는 드론 이착륙 장치의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메인 프레임에 포함된 상면 프레임의 앞쪽에 위치한 제 1 프레임에 일측이 결합되는 전면 커버, 상면 프레임의 뒤쪽에 위치한 제 2 프레임에 일측이 결합되는 후면 커버, 상면 프레임의 오른쪽에 위치한 제 3 프레임에 일측이 결합되는 우측면 커버, 상면 프레임의 왼쪽에 위치한 제 4 프레임에 일측이 결합되는 좌측면 커버, 제 3 프레임 및 제 4 프레임 상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앞뒤로 움직일 수 있고, 제 1 드론이 안착되는 제 1 플랫폼, 및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앞뒤로 움직일 수 있고, 제 1 플랫폼의 뒤쪽에 위치하며 제 2 드론이 안착되는 제 2 플랫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드론 이착륙 장치 및 드론 이착륙의 장치의 동작 방법 {APPARATUS FOR TAKEOFF AND LANDING OF DRON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드론 이착륙 장치 및 드론 이착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드론의 이착륙을 도우며, 드론과 관련된 다양한 장비를 구비할 수 있는 드론 이착륙 장치를 개시한다.
대규모 기계화 영농을 위해서는 무인헬기, 드론 등을 이용한 방제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인헬기, 드론을 이용한 방제기술 요구는 증가하여, 지역농협 위주로 방제단이 운영되고 있으나, 열악하고 혹독한 작업환경에 마땅한 전문 직원이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농업인의 고령화, 농촌인력 부족을 해소할 대안이나 인프라의 부족은 무인 헬기 또는 드론 기술의 확산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쉽게 드론을 기계화 영농에 사용할 수 있는 기술들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또한 기계화 영농에 사용되는 드론은 비교적 큰 크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드론을 농지까지 옮기기 위하여 차량을 이용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차량으로 드론을 이동시킨 후에 드론을 이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드론에 접근해야 하는 경우가 있으나, 한국 농지의 특성상 농로가 좁게 형성되어 있거나, 농지의 형상이 일정하지 않아 사용자가 드론을 이륙시키기 위한 작업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게다가 농로의 양옆이 경사져있으며 농로의 양옆은 바로 농지이므로, 드론을 이착륙시키기 위한 준비를 농로의 양옆에서 할 수 없다. 또한, 농로의 양옆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농지에 농약을 분사하는 등의 작업이 제한될 수 있다.
최근 드론을 이착륙시키기 위한 장치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나, 좁은 농지에 이용할 수 있으면서도, 드론의 이착륙에 간섭을 최소화 하기 위한 장치들에 대한 고민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대한민국 공개공보 10-2019-0044746(2019.05.02)
작업지역에서 드론을 이착륙하는 것은 좁은 농로, 이착륙에 방해가 되는 장애물과 같은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야한다. 또한 드론 이착륙 작업에 익숙하지 않은 작업자라도 쉽게 사용법을 익힐 수 있도록, 사용자의 조작이 최소화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작업자가 드론에 접근하지 않더라도 무선 조종기를 이용하여 드론의 이착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드론은 민감한 기계장치이므로, 드론이 이착륙 준비 작업을 위해 이동할 필요성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으며, 드론을 이동시킬 때 드론이 주변의 사물로부터 보호될 수 있어야 한다. 더불어 드론의 수명을 늘리기 위해서는 드론을 수평으로 보관하여야 하며, 이착륙 장치가 드론의 이착륙을 방해하는 상황도 없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드론과 관련된 장비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혹시라도 있을지 모를 드론의 장애에 대비하고, 연속적으로 드론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드론 이착륙 장치는 드론 이착륙 장치의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메인 프레임에 포함된 상면 프레임의 앞쪽에 위치한 제 1 프레임에 일측이 결합되는 전면 커버, 상면 프레임의 뒤쪽에 위치한 제 2 프레임에 일측이 결합되는 후면 커버, 상면 프레임의 오른쪽에 위치한 제 3 프레임에 일측이 결합되는 우측면 커버, 상면 프레임의 왼쪽에 위치한 제 4 프레임에 일측이 결합되는 좌측면 커버, 제 3 프레임 및 제 4 프레임 상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앞뒤로 움직일 수 있고, 제 1 드론이 안착되는 제 1 플랫폼, 및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앞뒤로 움직일 수 있고, 제 1 플랫폼의 뒤쪽에 위치하며 제 2 드론이 안착되는 제 2 플랫폼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드론 이착륙 장치의 메인 프레임은 상면 프레임, 하면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하면 프레임은 상면 프레임과 평행하고, 하면 프레임의 전후 길이는 상면 프레임의 전후 길이보다 짧고, 하면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는 차량과 고정되고, 지지 프레임은 상면 프레임 및 하면 프레임을 연결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드론 이착륙 장치의 상면 프레임, 하면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이 이루는 내부 공간은 드론과 관련된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이고, 수납부에는 물품을 하면 프레임으로부터 상면 프레임까지 들어올리기 위한 리프트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드론 이착륙 장치의 우측면 커버는 일측이 제 3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1 우측면 커버 및 일측이 제 1 우측면 커버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2 우측면 커버를 포함하고, 좌측면 커버는 일측이 제 4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1 좌측면 커버 및 일측이 제 1 좌측면 커버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2 좌측면 커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드론 이착륙 장치의 드론 이착륙 장치는 전면 커버, 후면 커버, 우측면 커버, 또는 좌측면 커버를 닫거나 열기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 및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열림을 나타내는 경우, 전면 커버가 전면 커버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전면 커버의 타측이 제 1 프레임의 앞쪽에 위치하며, 전면 커버가 상면 프레임과 평행하게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열림을 나타내는 경우, 후면 커버가 후면 커버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후면 커버의 타측이 제 2 프레임의 뒤쪽에 위치하며, 후면 커버가 상면 프레임과 평행하게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열림을 나타내는 경우, 제 1 우측면 커버가 제 1 우측면 커버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제 1 우측면 커버의 타측이 제 3 프레임의 오른쪽에 위치하며, 제 1 우측면 커버가 상면 프레임과 평행하게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열림을 나타내는 경우, 제 2 우측면 커버가 제 2 우측면 커버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제 2 우측면 커버가 제 1 우측면 커버와 중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열림을 나타내는 경우, 제 1 좌측면 커버가 제 1 좌측면 커버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제 1 좌측면 커버의 타측이 제 4 프레임의 왼쪽에 위치하며, 제 1 좌측면 커버가 상면 프레임과 평행하게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열림을 나타내는 경우, 제 2 좌측면 커버가 제 2 좌측면 커버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제 2 좌측면 커버가 제 1 좌측면 커버와 중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드론 이착륙 장치의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열림을 나타내는 경우, 제 1 드론의 이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 1 플랫폼을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앞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열림을 나타내는 경우, 제 2 드론의 이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 2 플랫폼을 가이드 레일을 따라 뒤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드론 이착륙 장치의ㅏ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닫힘을 나타내는 경우, 제 1 플랫폼을 가이드 레일을 따라 뒤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닫힘을 나타내는 경우, 제 2 플랫폼을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앞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드론 이착륙 장치의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닫힘을 나타내는 경우, 제 2 우측면 커버가 제 2 우측면 커버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제 2 우측면 커버가 제 1 우측면 커버와 수직하게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닫힘을 나타내는 경우, 제 2 좌측면 커버가 제 2 좌측면 커버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제 2 좌측면 커버가 제 1 좌측면 커버와 수직하게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닫힘을 나타내는 경우, 제 1 우측면 커버가 제 1 우측면 커버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제 1 우측면 커버의 타측이 제 3 프레임의 위쪽에 위치하며, 제 1 우측면 커버가 상면 프레임과 수직하게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닫힘을 나타내는 경우, 제 1 좌측면 커버가 제 1 좌측면 커버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제 1 좌측면 커버의 타측이 제 4 프레임의 위쪽에 위치하며, 제 1 좌측면 커버가 상면 프레임과 수직하게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닫힘을 나타내는 경우, 전면 커버가 전면 커버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전면 커버의 타측이 제 1 프레임의 위쪽에 위치하며, 전면 커버가 상면 프레임과 수직하게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닫힘을 나타내는 경우, 후면 커버가 후면 커버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후면 커버의 타측이 제 2 프레임의 위쪽에 위치하며, 후면 커버가 상면 프레임과 수직하게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드론 이착륙 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가 지면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되므로, 좁은 농로이거나 작업환경 주변에 장애물이 있더라도 드론의 이착륙이 가능하다. 본 개시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는 드론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드론을 옆으로 세워두지 않으므로 드론에 무리를 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는 드론을 이착륙하기 위한 준비 과정을 최소화하므로, 사용자가 쉽게 드론을 이착륙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는 대형 드론을 수납할 수 있다. 드론 이착륙 장치는 2대의 드론을 수납하여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드론 이착륙 장치는 2대의 드론을 수납할 뿐 아니라, 2대의 드론을 동시에 이착륙 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2대의 드론 중 하나를 예비 드론으로 설정하여 필요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에 포함된 메인 프레임 및 커버에 포함된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에 포함된 메인 프레임을 간략하게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에 포함된 메인 프레임을 간략하게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의 좌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다른 드론 이착륙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100)가 차량에 장착된 사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나타낸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 및 구동부를 나타낸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는, "프로세서"는 주문형 반도체 (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용어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용어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 (RAM), 판독-전용 메모리 (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 (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 (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 (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에 포함된 메인 프레임 및 커버에 포함된 프레임을 나타낸다. 또한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에 포함된 메인 프레임을 간략하게 나타낸다. 또한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에 포함된 메인 프레임을 간략하게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드론 이착륙 장치를 설명한다. 드론 이착륙 장치(100)는 드론 이착륙 장치의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버 및 플랫폼을 생략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110)은 상면 프레임(210), 및 지지 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110)은 상면 프레임(210), 하면 프레임(310), 및 지지 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 프레임(210)은 사각형일 수 있다. 상면 프레임(210)은 앞쪽에 위치한 제 1 프레임(211), 뒤쪽에 위치한 제 2 프레임(212), 오른쪽에 위치한 제 3 프레임(213), 및 왼쪽에 위치한 제 4 프레임(2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 프레임(210)에 포함된 제 1 프레임(211), 제 2 프레임(212), 제 3 프레임(213), 및 제 4 프레임(214)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프레임(211) 및 제 2 프레임(212)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제 1 프레임(211)은 제 3 프레임(213)과 수직할 수 있다. 또한 제 1 프레임(211)은 제 4 프레임(214)과 수직할 수 있다.
도 3 과 같이 하면 프레임(310)이 존재하는 경우, 하면 프레임(310)은 상면 프레임(210)과 평행할 수 있다. 하면 프레임(310)은 사각형일 수 있다. 하면 프레임(310)의 전후 길이는 상면 프레임(210)의 전후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하면 프레임(310)의 적어도 일부는 차량과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면 프레임(310)의 적어도 일부는 차량(490)의 적재함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면 프레임(210) 중 하면 프레임(310)의 전면으로 돌출된 부분은 차량(490)의 운전석의 위쪽의 루프에 고정될 수 있다. 하면 프레임(310)의 전후 길이는 상면 프레임(210)의 전후 길이보다 짧으므로 드론을 적재할 공간을 늘릴 수 있다. 왜냐하면 상면 프레임(210)의 위의 제 1 플랫폼(1010) 및 제 2 플랫폼(1020)의 위에 각각 드론이 실장되기 때문이다.
지지 프레임(220)은 상면 프레임(210) 및 하면 프레임(310)을 연결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20)은 상면 프레임(210) 또는 하면 프레임(310)과 수직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인접한 지지 프레임(220)들의 사이가 뚫려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지지 프레임(220)들 사이에는 벽면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수납부(410)는 폐쇄된 공간일 수 있다. 수납부(410)는 제 1 플랫폼(1010) 또는 제 2 플랫폼(1020)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220)들 사이에 있는 4개의 벽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사용자가 드나들 수 있는 문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납부(410)에 드나들 수 있고 드론 이착륙을 위한 준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하면 프레임(31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지지 프레임(220)은 차량(490)과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 프레임(220)의 적어도 일부는 차량(490)의 적재함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면 프레임(210) 중 하면 프레임(310)의 전면으로 돌출된 부분은 차량(490)의 운전석의 위쪽의 루프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의 좌측면도를 나타낸다.
상면 프레임(210), 하면 프레임(310) 및 지지 프레임(220)이 이루는 내부 공간은 드론과 관련된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410)일 수 있다. 하면 프레임(31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면 프레임(210), 지지 프레임(220) 및 차량(490)의 적재함의 하면이 이루는 공간은 수납부(410)일 수 있다. 수납부(410)에는 드론의 배터리, 또는 드론에 주입되는 약재 등이 수납될 수 있다. 드론에 주입되는 약재는 농약, 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410)의 상측은 제 1 플랫폼 또는 제 2 플랫폼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수납부(410)에는 물품을 하면 프레임(310)으로부터 상면 프레임(210)까지 들어올리기 위한 리프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수납부(410)에 수납된 드론과 관련된 물품을 쉽게 들어올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론을 지면에 놓고 준비 작업을 할 필요 없이 제 1 플랫폼 및 제 2 플랫폼 상에서 드론을 날리기 위한 준비를 마칠 수 있다. 따라서 좁은 농로의 공간에서도 드론을 날리기 위한 준비가 문제 없이 수행될 수 있다. 더불어 좁은 농로에서 두 대의 드론을 날리기 위한 준비를 하고, 두대의 드론이 이착륙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드론 이착륙 장치(100)는 전면 커버(510), 후면 커버(520), 우측면 커버(530), 및 좌측면 커버(5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드론 이착륙 장치(100)의 전면 커버(510), 후면 커버(520), 우측면 커버(530), 및 좌측면 커버(540)가 닫힌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전면 커버(510), 후면 커버(520), 우측면 커버(530), 및 좌측면 커버(540)는 내부의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을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490)의 운행 중에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전면 커버(510), 후면 커버(520), 우측면 커버(530), 및 좌측면 커버(540)를 포함하는 드론 이착륙 장치(100)는 적어도 2개의 드론을 수납할 수 있으므로, 2개의 드론을 모두 작업에 이용하여 작업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작업에 하나의 드론을 이용하는 경우, 드론 이착륙 장치(100)는 다른 드론을 예비로 수납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작업 드론이 문제가 생겼을 때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드론 이착륙 장치(100)는 전면 커버(5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커버(510)의 일측은 메인 프레임(110)에 포함된 상면 프레임(210)의 앞쪽에 위치한 제 1 프레임(211)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프레임(211)과 전면 커버(510)는 경첩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 커버(510)는 경첩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다.
드론 이착륙 장치(100)는 후면 커버(520)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 커버(520)의 일측은 상면 프레임(210)의 뒤쪽에 위치한 제 2 프레임(212)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 프레임(212)과 후면 커버(520)는 경첩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520)는 경첩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다.
드론 이착륙 장치(100)는 우측면 커버(53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면 커버(530)의 일측은 상면 프레임(210)의 오른쪽에 위치한 제 3 프레임(213)에 결합될 수 있다. 제 3 프레임(213)과 우측면 커버(530)는 경첩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우측면 커버(530)는 경첩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다.
드론 이착륙 장치(100)는 좌측면 커버(540)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면 커버(540)의 일측은 상면 프레임(210)의 왼쪽에 위치한 제 4 프레임(214)에 결합될 수 있다. 제 4 프레임(214)과 우측면 커버(530)는 경첩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우측면 커버(530)는 경첩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플랫폼을 생략한 도면이다.
도 6 부터 도 8까지는 전면 커버(510), 후면 커버(520), 우측면 커버(530), 및 좌측면 커버(540)가 열리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면 커버(510), 후면 커버(520), 우측면 커버(530), 및 좌측면 커버(540)가 닫히는 과정은 도 8부터 도 6까지 거꾸로 수행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우측면 커버(530)는 제 1 우측면 커버(611) 및 제 2 우측면 커버(6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우측면 커버(611)의 일측은 제 3 프레임(213)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 1 우측면 커버(611)의 일측과 제 3 프레임(213)은 경첩(710)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 프레임(213)을 기준으로 제 1 우측면 커버(611)는 회전할 수 있다.
제 2 우측면 커버(612)의 일측은 제 1 우측면 커버(611)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2 우측면 커버(6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우측면 커버(612)의 일측과 제 1 우측면 커버(611)의 타측은 경첩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우측면 커버(611)의 타측을 기준으로 제 2 우측면 커버(612)는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좌측면 커버(540)는 제 1 좌측면 커버(621) 및 제 2 좌측면 커버(6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좌측면 커버(621)의 일측은 제 4 프레임(214)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 1 좌측면 커버(621)의 일측과 제 4 프레임(214)은 경첩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4 프레임(214)을 기준으로 제 1 좌측면 커버(621)는 회전할 수 있다.
제 2 좌측면 커버(622)의 일측은 제 1 좌측면 커버(621)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 2 좌측면 커버(622)의 일측과 제 1 좌측면 커버(621)의 타측은 경첩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좌측면 커버(621)의 타측을 기준으로 제 2 좌측면 커버(622)는 회전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드론 이착륙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930) 및 제어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930)는 전면 커버(510), 후면 커버(520), 우측면 커버(530), 또는 좌측면 커버(540)를 닫거나 열기위한 구성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930)는 전동기, 유압 실린더, 공기압 실린더, 또는 내연기관 중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900)는 차량 또는 드론 이착륙 장치(100)의 수납부(410)에 장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900)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구동부(930)의 위치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면 커버(510), 후면 커버(520), 우측면 커버(530), 또는 좌측면 커버(540)를 움직일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900)는 구동부(930)를 제어해야하므로 제어부(900) 및 구동부(9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900)의 제어신호가 구동부(930)에 전달될 수 있다.
드론 이착륙 장치(100)는 전면 커버(510), 후면 커버(520), 우측면 커버(530), 또는 좌측면 커버(540)를 구동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구동부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드론 이착륙 장치(100)는 전면 커버(510), 후면 커버(520), 우측면 커버(530), 또는 좌측면 커버(540)를 구동하기 위하여 하나의 구동부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930)는 전면 커버(510), 후면 커버(520), 우측면 커버(530), 또는 좌측면 커버(540)와 적절히 연결되어 전면 커버(510), 후면 커버(520), 우측면 커버(530), 또는 좌측면 커버(540)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드론 이착륙 장치는 제어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00)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00)는 프로세서(910) 및 메모리(9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메모리(92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900)는 메모리를 포함하지 않고 프로세서(910)만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출력 라인으로 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930)는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900)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16을 참조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 및 구동부를 나타낸다.
제어부(900)는 제어회로(161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620)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회로(1610)는 입력부(1620)로부터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회로(1610)는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출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회로(1610)의 출력신호는 구동부(930)로 출력될 수 있다. 제어회로(1610)의 출력신호는 드론 이착륙 장치(100)가 미리 정해진 시퀀스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퀀스는 도 12 또는 도 14와 같을 수 있다. 구동부(930)는 적어도 하나의 유압실린더(1630)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유압실린더(1630) 중 적어도 일부가 직선운동을 할 수 있다. 유압실린더(1630)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전면 커버(510), 후면 커버(520), 우측면 커버(530), 또는 좌측면 커버(540) 중 적어도 하나가 움직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1620)는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1620)를 한 번 누르면 제어회로(1610)는 드론 이착륙 장치(100)를 개방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입력부(1620)를 한 번 누르면 제어회로(1610)는 미리 정해진 출력신호를 출력하여 유압실린더(1630)를 움직일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출력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유압실린더(1630)의 적어도 일부를 움직이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제어회로(1610)는 복수의 출력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드론 이착륙 장치(100)를 개방할 수 있다. 제어회로(1610)는 복수의 출력신호 각각을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출력하여 드론 이착륙 장치(100)를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회로(1610)는 드론 이착륙 장치(100)가 도 5로부터 도 8까지와 같이 동작하도록 출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부(1620)를 다시 한 번 누르면 제어회로(1610)는 드론 이착륙 장치(100)를 폐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회로(1610)는 복수의 출력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드론 이착륙 장치(100)를 폐쇄할 수 있다. 제어회로(1610)는 복수의 출력신호 각각을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출력하여 드론 이착륙 장치(100)를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회로(1610)는 드론 이착륙 장치(100)가 도 8로부터 도 5까지와 같이 동작하도록 출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1620)는 두 개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스위치는 개방을 위한 스위치이고, 다른 하나의 스위치는 폐쇄를 위한 스위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1620)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위치는 복수의 유압실린더(1630)와 일대일 대응될 수 있다. 복수의 스위치 중 하나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복수의 유압실린더(1630) 중 하나가 움직일 수 있다.
제어회로(1610), 유압실린더(1630) 및 유압펌프는 전원부(164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부(1640)는 12V의 전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부(1640)는 수신한 12V의 전압에 기초하여 5V, 12V 또는 24V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640)는 5V, 12V 또는 24V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회로(1610), 유압실린더(1630) 및 유압펌프는 전원부(1640)로 공급할 수 있다.
이하, 제어부(900) 및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930)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제어부(900)는 입력부 또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00)는 입력부 또는 통신부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는 키보드, 스위치, 또는 마우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LAN,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wifi, CDMA, 3G, LED, 또는 5G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드론 이착륙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드론 이착륙 장치(100)로 동작과 관련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를 참조하여 드론 이착륙 장치(100)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가 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는 드론 이착륙 장치(100)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드론 이착륙 장치(100)의 전면 커버(510)와 후면 커버(520)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여, 드론 이착륙 장치(100)의 움직임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다른 드론 이착륙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어부(90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열림을 나타내는 경우, 전면 커버(510)가 전면 커버(510)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전면 커버(510)의 타측이 제 1 프레임(211)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9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00)는 전면 커버(510)가 상면 프레임(210)과 평행하게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930)를 제어하는 단계(1210)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0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열림을 나타내는 경우, 후면 커버(520)가 후면 커버(520)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후면 커버(520)의 타측이 제 2 프레임(212)의 뒤쪽에 위치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9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00)는 후면 커버(520)가 상면 프레임(210)과 평행하게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930)를 제어하는 단계(1220)를 수행할 수 있다.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드론 이착륙 장치(100)는 도 5에서 도 6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열림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900)는 제 1 우측면 커버(611)가 제 1 우측면 커버(611)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제 1 우측면 커버(611)의 타측이 제 3 프레임(213)의 오른쪽에 위치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9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00)는 제 1 우측면 커버(611)가 상면 프레임(210)과 평행하게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930)를 제어하는 단계(1230)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우측면 커버(611) 및 제 2 우측면 커버(612)의 사이의 경첩은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제 2 우측면 커버(612)는 제 1 우측면 커버(611)에 고정된 채로, 제 1 우측면 커버(611)의 움직임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열림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900)는 제 1 좌측면 커버(621)가 제 1 좌측면 커버621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제 1 좌측면 커버(621)의 타측이 제 4 프레임(214)의 왼쪽에 위치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9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00)는 제 1 좌측면 커버가 상면 프레임과 평행하게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930)를 제어하는 단계(1240)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좌측면 커버(621) 및 제 2 좌측면 커버(622)의 사이의 경첩은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제 2 좌측면 커버(622)는 제 1 좌측면 커버(621)에 고정된 채로, 제 1 좌측면 커버(621)의 움직임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드론 이착륙 장치(100)는 도 6과 같은 형태에서 도 7과 같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드론 이착륙 장치(100)의 움직임을 설명한다.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열림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900)는 제 2 우측면 커버(612)가 제 2 우측면 커버(612)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제 2 우측면 커버(612)가 제 1 우측면 커버(611)와 중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1250)를 수행할 수 있다. 제 2 우측면 커버(612)는 제 1 우측면 커버(611)의 타측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열림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900)는 제 2 좌측면 커버(622)가 제 2 좌측면 커버(622)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제 2 좌측면 커버(622)가 제 1 좌측면 커버(621)와 중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1260)를 수행할 수 있다. 제 2 좌측면 커버(622)는 제 1 좌측면 커버(621)의 타측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드론 이착륙 장치(100)는 도 7과 같은 형태에서 도 8과 같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도 6 내지 도 8의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플랫폼을 생략하였다. 단계(1210) 내지 단계(1260)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단계(1210) 내지 단계(1240)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단계(1240)까지 모두 수행된 이후에 단계(1250) 내지 단계(1260)가 수행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면 커버(510), 후면 커버(520), 우측면 커버(530), 또는 좌측면 커버(540)는 모두 접혀서 상면 프레임(210)과 거의 하나의 평면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전면 커버(510), 후면 커버(520), 우측면 커버(530), 또는 좌측면 커버(540)는 드론이 이륙하거나 착륙할 때 전혀 방해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드론이 착륙할 때, 보조적인 플랫폼으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드론을 덮기 위한 커버를 전면 커버(510), 후면 커버(520), 우측면 커버(530), 또는 좌측면 커버(540)와 같이 복수의 조각으로 나눔으로써, 전면 커버(510), 후면 커버(520), 우측면 커버(530), 또는 좌측면 커버(540)가 펼쳐지더라도 공간을 별로 차지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좁은 농로에서 드론 이착륙 장치(100)를 운용할 때, 농로 주변의 전신주와 같은 구조물이 있더라도 간섭이 거의 생기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우측면 커버(530)는 제 1 우측면 커버(611) 및 제 2 우측면 커버(612)로 나뉘어서 접힐 수 있으며, 좌측면 커버(540)는 제 1 좌측면 커버(621) 및 제 2 좌측면 커버(622)로 나뉘어서 접힐 수 있다. 따라서 우측면 커버(530) 및 좌측면 커버(540)가 펼쳐지더라도 공간을 적게 차지할 수 있다. 또한, 좁은 농로에서 드론 이착륙 장치(100)를 운용할 때, 좁은 농로 주변의 구조물이 있더라도 간섭이 거의 생기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를 나타낸다. 또한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를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은 도 6 내지 도 8과 다르게 플랫폼을 도시하였다. 이하에서는 드론 이착륙 장치(100)의 플랫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는 제 1 플랫폼(1010) 및 제 2 플랫폼(1020)에 가려서 도시되지 않으나, 제 3 프레임(213) 및 제 4 프레임(214) 상에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될 수 있다. 드론 이착륙 장치(100)는 제 1 플랫폼(1010) 및 제 2 플랫폼(10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플랫폼(1010)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앞뒤로 움직일 수 있으며, 제 1 드론이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제 2 플랫폼(1020)은 제 1 플랫폼(1010)의 뒤쪽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플랫폼(1020)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앞뒤로 움직일 수 있고, 제 2 드론이 안착될 수 있다. 제 1 플랫폼(1010) 및 제 2 플랫폼(1020)은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의 보관 장소일 수 있다. 또한 제 1 플랫폼(1010) 및 제 2 플랫폼(1020)은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의 이착륙 장소일 수 있다. 제 1 플랫폼(1010) 및 제 2 플랫폼(1020)은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을 받치는 판일 수 있다.
드론 이착륙 장치(100)는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을 이동 시킬 때, 도 5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즉, 제 1 플랫폼(1010) 및 제 2 플랫폼(1020)은 닫힌 상태일 수 있다. 제 1 플랫폼(1010) 및 제 2 플랫폼(1020)이 닫혔다는 것은 제 1 플랫폼(1010) 및 제 2 플랫폼(1020)이 서로 가까운 상태임을 나타낼 수 있다. 제 1 플랫폼(1010) 및 제 2 플랫폼(1020)이 닫혔다는 것은 제 1 플랫폼(1010)이 뒤쪽으로 이동한 상태이고 제 2 플랫폼(1020)이 앞으로 이동한 상태임을 나타낼 수 있다. 드론 이착륙 장치(100)는 최소한의 공간을 이용하여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의 적어도 일부는 접힌 상태이거나, 일부 부분을 탈거하여 드론들 간의 간섭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드론 이착륙 장치(100)는 드론을 이륙시키기 전에 제 1 플랫폼(1010) 및 제 2 플랫폼(1020)의 위치를 도 10에서 도 11과 같이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생길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100)는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의 날개가 서로 간섭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이 이륙 또는 착륙할 때,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이 서로 부딪히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이륙하거나 착륙할 수 있고, 드론을 이용한 작업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더불어 제 1 플랫폼(1010) 및 제 2 플랫폼(1020)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므로, 좁은 농로 좌우의 구조물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1 플랫폼(1010) 및 제 2 플랫폼(1020)의 움직임에 의하여 두 개의 드론이 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와 같이 제 1 플랫폼(1010), 제 2 플랫폼(1020), 우측면 커버(530), 및 좌측면 커버(540)의 높이가 거의 같으므로,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의 이착륙에 방해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플랫폼(1010), 제 2 플랫폼(1020), 제 2 우측면 커버(612), 및 제 2 좌측면 커버(622)의 높이가 거의 같으므로,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의 이착륙에 방해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드론의 플랫폼이 양옆으로 움직이는 경우, 플랫폼이 농로 옆의 농지를 가려서 드론이 위에서 농약, 거름 또는 물을 분사하는 등의 작업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본 개시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100)는 플랫폼이 전후로 움직임으로써, 플랫폼이 농지를 전혀 가리지 않을 수 있고, 드론은 농지의 모든 곳에 농약, 거름 또는 물을 분사하는 등의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90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열림을 나타내는 경우, 제 1 드론의 이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 1 플랫폼(1010)을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앞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9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열림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900)는 제 2 드론의 이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 2 플랫폼을 가이드 레일을 따라 뒤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930)를 제어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드론 이착륙 장치는 도 10과 같은 형태에서 도 11과 같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드론 이착륙 장치(100)가 도 11과 같은 형태인 경우, 수납부(410)의 상측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납부(410)에 수납된 물품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410)의 내부에 있는 리프트(420)를 이용하여 하면 프레임(310)에 있는 물품들을 상면 프레임(210)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3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100)가 차량에 장착된 사진이다.
도 13은 도 11와 동일한 드론 이착륙 장치(100)의 형태를 나타낸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410)의 상측은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납부에서 물품에 접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면 커버(510), 후면 커버(520), 우측면 커버(530), 및 좌측면 커버(540)가 닫히는 과정을 설명한다. 전면 커버(510), 후면 커버(520), 우측면 커버(530), 및 좌측면 커버(540)를 닫기 위하여 리프트(420)는 하강되어 있는 상태여야 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90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닫힘을 나타내는 경우, 전면 커버(510)가 닫힐 수 있도록 제 1 플랫폼(1010)을 가이드 레일을 따라 뒤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9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닫힘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900)는 후면 커버(520)가 닫힐 수 있도록 제 2 플랫폼을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앞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9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플랫폼(1010)의 일측과 상기 제 2 플랫폼(1020)의 타측이 접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410)의 상측은 폐쇄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드론 이착륙 장치(100)의 형태는 도 11에서 도 10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또한, 도 8 및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닫힘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900)는 제 2 우측면 커버(612)가 제 2 우측면 커버(612)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제 2 우측면 커버(612)가 제 1 우측면 커버(611)와 수직하게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930)를 제어하는 단계(1410)를 수행할 수 있다. 제 2 우측면 커버(612)가 제 2 우측면 커버(612)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는 것은 제 2 우측면 커버(612)가 제 1 우측면 커버(611)의 타측과 제 2 우측면 커버(612)의 일측 사이에 존재하는 회전 축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우측면 커버(612)는 제 2 우측면 커버(612)와 제 1 우측면 커버(611) 사이의 경첩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닫힘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900)는 제 2 좌측면 커버(622)가 제 2 좌측면 커버(622)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제 2 좌측면 커버(622)가 제 1 좌측면 커버(621)와 수직하게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1420)를 수행할 수 있다. 제 2 좌측면 커버(622)가 제 2 좌측면 커버(622)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는 것은 제 2 좌측면 커버(622)가 제 1 좌측면 커버(621)의 타측 및 제 2 좌측면 커버(622)의 일측 사이에 존재하는 회전 축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좌측면 커버(622)는 제 2 좌측면 커버(622)와 제 1 좌측면 커버(621) 사이의 경첩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드론 이착륙 장치(100)의 형태는 도 8 에서 도 7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도 7 및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닫힘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900)는 제 1 우측면 커버(611)가 제 1 우측면 커버(611)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제 1 우측면 커버(611)의 타측이 제 3 프레임(213)의 위쪽에 위치하며, 제 1 우측면 커버(611)가 상면 프레임(210)과 수직하게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930)를 제어하는 단계(1430)를 수행할 수 있다. 제 1 우측면 커버(611)가 제 1 우측면 커버(611)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는 것은 제 3 프레임(213)과 제 1 우측면 커버(611)의 일측 사이에 존재하는 회전 축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우측면 커버(611)는 제 1 우측면 커버(611)와 제 3 프레임(213) 사이의 경첩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닫힘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900)는 제 1 좌측면 커버(621)가 제 1 좌측면 커버(621)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제 1 좌측면 커버(621)의 타측이 제 4 프레임(214)의 위쪽에 위치하며, 제 1 좌측면 커버(621)가 상면 프레임(210)과 수직하게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930)를 제어하는 단계(1440)를 수행할 수 있다. 제 1 좌측면 커버(621)가 제 1 좌측면 커버(621)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는 것은 제 4 프레임(214)과 제 1 좌측면 커버(621)의 일측 사이에 존재하는 회전 축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좌측면 커버(621)는 제 1 좌측면 커버(621)와 제 4 프레임(214) 사이의 경첩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드론 이착륙 장치(100)의 형태는 도 7에서 도 6과 같은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정면에서 봤을 때, 제 1 우측면 커버(611), 제 2 우측면 커버(612) 및 상면 프레임(210)이 이루는 모양은 'ㄷ'을 좌우 반전한 모양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정면에서 봤을 때, 제 1 좌측면 커버(621), 제 2 좌측면 커버(622) 및 상면 프레임(210)이 이루는 모양은 'ㄷ' 모양일 수 있다.
도 6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닫힘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900)는 전면 커버(510)가 전면 커버(510)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전면 커버의 타측이 제 1 프레임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9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00)는 전면 커버가 상면 프레임과 수직하게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930)를 제어하는 단계(1450)를 수행할 수 있다. 전면 커버(510)가 전면 커버(510)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는 것은 전면 커버(510)가 전면 커버(510)와 제 1 프레임(211) 사이에 존재하는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전면 커버(510)는 전면 커버(510) 및 제 1 프레임(211) 사이의 경첩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닫힘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900)는 후면 커버(520)가 후면 커버(520)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후면 커버(520)의 타측이 제 2 프레임(212)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9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00)는 후면 커버(520)가 상면 프레임과 수직하게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930)를 제어하는 단계(1460)를 수행할 수 있다. 후면 커버(520)가 후면 커버(520)의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는 것은 후면 커버(520)가 후면 커버(520) 및 제 2 프레임(212) 사이에 존재하는 회전 축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후면 커버(520)는 후면 커버(520) 및 제 2 프레임(212) 사이의 경첩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다.
단계(1410) 내지 단계(1460)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계(1410) 내지 단계(1420)가 먼저 실행된 이후에 단계(1430) 내지 단계(1460)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나타낸다.
플랫폼(1500)은 제 1 플랫폼(1010) 및 제 2 플랫폼(102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1500)은 드론이 이착륙하기 위한 장소일 수 있다. 플랫폼(1500) 위의 드론은 농약을 싣고 농지에 농약을 살포할 수 있다. 농약을 살포한 후 드론은 플랫폼(1500)에 돌아올 수 있다. 드론에는 남아 있는 농약이 있을 수 있다. 드론에 남아 있는 농약은 화학물질로써, 지정된 절차에 의하여 폐기되어야 할 수 있다.
플랫폼(1500)에는 화학물질 수로(151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1500)에 돌아온 드론은 사용자의 무선 조작에 의하여 플랫폼(1500) 상에 농약을 살포할 수 있다. 화학물질 수로(1510)에서 배수구(1520)가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살포된 농약은 플랫폼(1500)에 형성된 화학물질 수로(1510)를 따라 배수구(1520)로 흐를 수 있다. 배수구에는 관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농약은 관을 따라 수납부(410) 내부에 있는 폐수수집부에 수집될 수 있다. 사용자는 폐수수집부에 모인 농약을 지정된 절차에 따라 폐기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100)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드론 내부의 농약을 처리할 수 있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드론을 플랫폼(1500)에서 지면으로 옮기지 않고서도 드론 내부의 농약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농약을 불법적으로 폐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100)는 복수의 물체 감지 센서(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체 감지 센서(560)는 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물체 감지 센서(560)는 드론 이착륙 장치(100)의 주변에 물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드론 이착륙 장치(100)는 물체가 감지된 경우, 도 12 또는 도 14에 포함된 단계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드론 이착륙 장치(100)는 물체 감지 센서(560)에 의하여 물체가 감지된 경우, 전면 커버(510), 후면 커버(520), 우측면 커버(530), 또는 좌측면 커버(540) 중 적어도 하나를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드론 이착륙 장치(100)는 물체 감지 센서(560)에 의하여 물체가 감지된 경우, 물체 감지 센서(560)의 위치에 대응되는 전면 커버(510), 후면 커버(520), 우측면 커버(530), 또는 좌측면 커버(540) 중 적어도 하나를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드론 이착륙 장치(100)는 물체가 감지된 경우, 제 1 플랫폼(1010) 및 제 2 플랫폼(1020)을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드론 이착륙 장치(100)는 물체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만 도 12 또는 도 14에 포함된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드론 이착륙 장치(100)는 물체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만 제 1 플랫폼(1010) 및 제 2 플랫폼(1020)을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드론 이착륙 장치(100)가 주위의 물건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드론 이착륙 장치(100)가 손상되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물체 감지 센서(560)는 전면 커버(510), 후면 커버(520), 우측면 커버(530), 또는 좌측면 커버(540)가 닫혀 있을 때, 전면 커버(510), 후면 커버(520), 제 1 우측면 커버(611), 및 제 1 좌측면 커버(621)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물체 감지 센서(560)는 전면 커버(510), 후면 커버(520), 제 1 우측면 커버(611), 및 제 1 좌측면 커버(621)에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물체 감지 센서(560)는 전면 커버(510), 후면 커버(520), 제 1 우측면 커버(611), 및 제 1 좌측면 커버(621)에 각각 복수 개씩 구비될 수 있다.
이제까지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가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개시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Claims (8)

  1. 드론 이착륙 장치로써,
    상기 드론 이착륙 장치의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포함된 상면 프레임의 앞쪽에 위치한 제 1 프레임에 일측이 결합되는 전면 커버;
    상기 상면 프레임의 뒤쪽에 위치한 제 2 프레임에 일측이 결합되는 후면 커버;
    상기 상면 프레임의 오른쪽에 위치한 제 3 프레임에 일측이 결합되는 우측면 커버;
    상기 상면 프레임의 왼쪽에 위치한 제 4 프레임에 일측이 결합되는 좌측면 커버;
    상기 제 3 프레임 및 상기 제 4 프레임 상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앞뒤로 움직일 수 있고, 제 1 드론이 안착되는 제 1 플랫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앞뒤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제 1 플랫폼의 뒤쪽에 위치하며 제 2 드론이 안착되는 제 2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우측면 커버는,
    일측이 상기 제 3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1 우측면 커버; 및
    일측이 상기 제 1 우측면 커버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2 우측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면 커버는,
    일측이 상기 제 4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1 좌측면 커버; 및
    일측이 상기 제 1 좌측면 커버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2 좌측면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드론 이착륙 장치는 상기 전면 커버, 상기 후면 커버, 상기 우측면 커버, 또는 상기 좌측면 커버를 닫거나 열기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열림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전면 커버가 상기 전면 커버의 상기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전면 커버의 타측이 상기 제 1 프레임의 앞쪽에 위치하며, 상기 전면 커버가 상기 상면 프레임과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열림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후면 커버가 상기 후면 커버의 상기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후면 커버의 타측이 상기 제 2 프레임의 뒤쪽에 위치하며, 상기 후면 커버가 상기 상면 프레임과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열림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1 우측면 커버가 상기 제 1 우측면 커버의 상기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우측면 커버의 타측이 상기 제 3 프레임의 오른쪽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우측면 커버가 상기 상면 프레임과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열림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2 우측면 커버가 상기 제 2 우측면 커버의 상기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2 우측면 커버가 상기 제 1 우측면 커버와 중첩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열림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1 좌측면 커버가 상기 제 1 좌측면 커버의 상기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좌측면 커버의 타측이 상기 제 4 프레임의 왼쪽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좌측면 커버가 상기 상면 프레임과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열림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2 좌측면 커버가 상기 제 2 좌측면 커버의 상기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2 좌측면 커버가 상기 제 1 좌측면 커버와 중첩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는 드론 이착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상면 프레임, 하면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하면 프레임은 상기 상면 프레임과 평행하고, 상기 하면 프레임의 전후 길이는 상기 상면 프레임의 전후 길이보다 짧고, 상기 하면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는 차량과 고정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상면 프레임 및 상기 하면 프레임을 연결하는 드론 이착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프레임, 상기 하면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이 이루는 내부 공간은 드론과 관련된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이고,
    상기 수납부에는 상기 물품을 상기 하면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상면 프레임까지 들어올리기 위한 리프트를 포함하는 드론 이착륙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열림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1 드론의 이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랫폼을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앞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열림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2 드론의 이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플랫폼을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뒤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는 드론 이착륙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닫힘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1 플랫폼을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뒤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닫힘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2 플랫폼을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앞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는 드론 이착륙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닫힘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2 우측면 커버가 상기 제 2 우측면 커버의 상기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2 우측면 커버가 상기 제 1 우측면 커버와 수직하게 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닫힘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2 좌측면 커버가 상기 제 2 좌측면 커버의 상기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2 좌측면 커버가 상기 제 1 좌측면 커버와 수직하게 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닫힘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1 우측면 커버가 상기 제 1 우측면 커버의 상기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우측면 커버의 타측이 상기 제 3 프레임의 위쪽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우측면 커버가 상기 상면 프레임과 수직하게 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닫힘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1 좌측면 커버가 상기 제 1 좌측면 커버의 상기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좌측면 커버의 타측이 상기 제 4 프레임의 위쪽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좌측면 커버가 상기 상면 프레임과 수직하게 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닫힘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전면 커버가 상기 전면 커버의 상기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전면 커버의 타측이 상기 제 1 프레임의 위쪽에 위치하며, 상기 전면 커버가 상기 상면 프레임과 수직하게 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닫힘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후면 커버가 상기 후면 커버의 상기 일측을 회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후면 커버의 타측이 상기 제 2 프레임의 위쪽에 위치하며, 상기 후면 커버가 상기 상면 프레임과 수직하게 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는 드론 이착륙 장치.
KR1020210054571A 2021-04-27 2021-04-27 드론 이착륙 장치 및 드론 이착륙의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516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571A KR102516388B1 (ko) 2021-04-27 2021-04-27 드론 이착륙 장치 및 드론 이착륙의 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571A KR102516388B1 (ko) 2021-04-27 2021-04-27 드론 이착륙 장치 및 드론 이착륙의 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431A KR20220147431A (ko) 2022-11-03
KR102516388B1 true KR102516388B1 (ko) 2023-04-03

Family

ID=84040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571A KR102516388B1 (ko) 2021-04-27 2021-04-27 드론 이착륙 장치 및 드론 이착륙의 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3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6496A1 (ja) * 2018-12-05 2020-06-11 株式会社ナイルワークス ドローンシステム
CN111572439A (zh) * 2020-06-03 2020-08-25 江苏和正特种装备有限公司 一种盖体收纳平台及无人机车载装备
KR102189039B1 (ko) * 2020-01-28 2020-12-10 주식회사 숨비 개폐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운용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142B1 (ko) 2017-10-23 2019-08-13 농업회사법인농부촌영농단(합) 농사용 무인기(헬기, 드론)를 위한 탈착형 헬리포트 플랫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6496A1 (ja) * 2018-12-05 2020-06-11 株式会社ナイルワークス ドローンシステム
KR102189039B1 (ko) * 2020-01-28 2020-12-10 주식회사 숨비 개폐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운용 시스템
CN111572439A (zh) * 2020-06-03 2020-08-25 江苏和正特种装备有限公司 一种盖体收纳平台及无人机车载装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431A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59769B1 (de) Autonomer mobiler roboter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s autonomen mobilen roboters
Kube et al. Cooperative transport by ants and robots
CN106917430A (zh) 自推进的工作机器
BR112019016646B1 (pt) Dispositivo robótico de inspeção multiterreno e método para guiar o dispositivo robótico de inspeção multiterreno
CN109996729A (zh) 用于基于农作物破坏检测经由无人交通工具标识包含农作物的区域中的有害生物的系统和方法
US20220039313A1 (en) Autonomous lawn mower
US11738643B2 (en) Display integrated into door
US20130221305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gate
CN110418978A (zh) 用于可倾斜卡车驾驶室的防碰撞系统以及相关的装置、部件和方法
KR102516388B1 (ko) 드론 이착륙 장치 및 드론 이착륙의 장치의 동작 방법
US20220410391A1 (en) Sensor-based construction of complex scenes for autonomous machines
CN106003028A (zh) 一种农药喷洒机器人控制系统及控制方法
US20170315515A1 (en)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machine
KR102031942B1 (ko) 안내 로봇
CN102133908A (zh) 用于动物记忆训练系统的仿生鼠移动结构
AU2020256049B2 (en) Barrier passage system for autonomous working machine
CN220408741U (zh) 银行数据中心机房无人值守智能机器人
US11623747B1 (en) Aerial utility meter read system and a custom utility meter read equipment carrying case configured to attach to an aerial drone while securely carrying operable wireless radio-based utility meter read equipment used to conduct aerial utility meter reads
Wang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ivestock robot for egg picking and classification in the farm
Roberts et al. Development of a 3500-tonne field robot
TWI833672B (zh) 禽舍隔欄自動開闔閘門裝置
TWI823586B (zh) 禽舍隔欄自動開闔閘門裝置
US12128145B2 (en) Decontamination robot with swerve drive and scissor lift
EP4058635A1 (en) Display integrated into door
US20210154343A1 (en) Decontamination Robot With Swerve Drive and Scissor Li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