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861B1 - Pasting projection screen - Google Patents

Pasting projection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861B1
KR102515861B1 KR1020160174318A KR20160174318A KR102515861B1 KR 102515861 B1 KR102515861 B1 KR 102515861B1 KR 1020160174318 A KR1020160174318 A KR 1020160174318A KR 20160174318 A KR20160174318 A KR 20160174318A KR 102515861 B1 KR102515861 B1 KR 102515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value
screen
diffusion lay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3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12982A (en
Inventor
겐타 도미오카
겐타로 구사마
바쿠 가타기리
사토루 쇼시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2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9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8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having particles on the surf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의 흐릿함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얇게 구성되면서, 투과형 스크린으로서 충분한 투영성을 갖고, 또한, 유리 등의 피착체에의 밀착력이나 내구성이 우수함과 함께, 재박리성이 우수하고, 박리후의 재사용에 있어서도 기포 등의 혼입에 의한 시인성 저하가 없는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이, 기재와, 광확산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광확산층이, 실리콘 수지와, 평균입경이 1~10㎛의 유기 미립자를 포함하고 있고, 광확산층의 두께를 5~3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광확산층측에 있어서의, JIS Z 0237:2009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180° 박리력을 20~200mN/2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또한, JIS K 7136:2000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헤이즈값을 20% 이상의 값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ed thin enough not to cause image blurring, has sufficient projection properties as a transmissive screen, has excellent adhesion and durability to an adherend such as glass, and is excellent in re-peelability,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screen that does not deteriorate visibility due to mixing of air bubbles or the like even when reu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stick-on projection screen is configured to include a base material and a light diffusion layer, and the light diffusion layer contains a silicone resin and organic particulat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 to 10 μm, and the light diffusion layer The thickness of is set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5 to 30 μm, the 180° peel forc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Z 0237: 2009 on the light diffusion layer side is set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20 to 200 mN/25 mm, and , The haze valu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K 7136:2000 is set to a value of 20% or more.

Description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PASTING PROJECTION SCREEN}Attached projection screen {PASTING PROJECTION SCREEN}

본 발명은, 창유리 등의 피착체에 첩부(貼付)되어, 프로젝터로부터 조사된 화상을 확대투영하기 위한,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이하, 단지, 스크린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ick-on type projection screen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simply as a screen) for enlarging and projecting an image irradiated from a projector by being attached to an adherend such as a windowpane.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투과형의 프로젝션 스크린으로서는, 프레넬 렌즈와 렌티큘러 렌즈를 조합한 것이 알려져 있다.As a transmissive projection screen used in a rear projection display, a combination of a Fresnel lens and a lenticular lens is known.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프로젝션 스크린은, 일반적으로, 소면적인 반면, 시인되는 화면이 어둡고, 게다가, 모아레 모양이 화상 중에 발생하기 쉬운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projection screens generally have a small area, but have problems such that the screen to be viewed is dark, and moiré patterns are easily generated in the image.

또한, 종래의 프로젝션 스크린에서는, 렌티큘러 렌즈의 초점면에 블랙 스트라이프를 배치하여, 집광한 프로젝터광을 감쇠시키지 않고, 블랙 스트라이프에 의해 외광의 일부를 흡수하여, 외광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억제하는 수법도 취해지고 있다.In addition, in a conventional projection screen, a black stripe is arranged on the focal plane of a lenticular lens, and a part of external light is absorbed by the black stripe without attenuating the condensed projector light, thereby suppressing a decrease in contrast due to external light. are also being taken.

그러나, 실제로는, 외광의 일부가, 블랙 스트라이프에 있어서 흡수되지 않고, 광학계 내부에 침입하기 때문에, 콘트라스트의 저하는 여전히 문제로 되어 있었다.However, in practice, since a part of the external light is not absorbed in the black stripe and invades the inside of the optical system, the decrease in contrast is still a problem.

그래서, 쇼윈도 등의 투명체에 첩부하여, 프로젝터로부터 출사된 화상을, 배면측에 있는 시청자에 대하여 인식시키는 양식의 투과형 스크린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Therefore, a transmissive screen has been proposed that is attached to a transparent body such as a show window and allows a viewer on the rear side to recognize an image emitted from a projector (see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드코트층과, 투명체(제1의 투명체)와, 전방산란성의 광산란층과, 점착층과, 투명체(제2의 투명체)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투과형 스크린이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a transmissive screen composed of a hard coat layer, a transparent body (first transparent body), a forward scattering light scattering layer, an adhesive layer, and a transparent body (second transparent body). am.

그리고, 전방산란성의 광산란층이, 투명 바인더 중에, 평균입경이 1~10㎛의 구상 미립자를 소정량 배합하여 이루어지고, 투명 바인더의 굴절율에 대한, 구상 미립자의 상대굴절율(n)이, 0.91<n<1.09의 범위 내의 값이며, 또한, 헤이즈값이 3% 이상, 상선명도가 60% 이상의 투과형 스크린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되어 있다.Further, the forward scattering light-scattering layer is formed by blend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spherical fine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 to 10 μm in a transparent binder, and the relative refractive index (n) of the spherical fine particles with respect to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ransparent binder is 0.91 < It is a value within the range of n<1.09, and it is said that a transmissive screen having a haze value of 3% or more and an image sharpness of 60% or more is preferable.

또한, 주변광 제거율이 높고, 가요성(可撓性) 투과형 스크린을 사용한 배면투영 시스템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 참조).In addition, a back projection system using a flexible transmissive screen having a high ambient light rejection rate has also been proposed (see Patent Document 2, for example).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을 제시할 수 있는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스텝과, 프로젝터로부터의 광을 수광하는 이면과, 이면과 반대측의 표시부와, 프로젝터에 의해 스크린에 화상이 투영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주변이 밝은 조건하에서 스크린을 실질적으로 불투명하게 하는 광흡수층과, 를 갖는 가요성 스크린을 제공하는 스텝과, 박리가능한 접착제를 제공하는 스텝과, 시청가능한 위치에 있는 실질적으로 투명의 표면을 선택하는 스텝과, 스크린을 실질적으로 투명한 표면 위에, 박리가능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공하는 스텝과, 프로젝터로부터 스크린의 이측(裏側)에 화상을 투사하여, 시청자에 정보를 제공하는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면투영 시스템이다.More specifically, a step for providing a projector capable of presenting an image, a back surface for receiving light from the projector, a display unit on the opposite side to the back surface, and a bright surrounding when the image is not projected on the screen by the projector. providing a flexible screen having a light absorbing layer that renders the screen substantially opaque under conditions; providing a peelable adhesive; selecting a substantially transparent surface at a viewable location; onto a substantially transparent surface using a peelable adhesive, and projecting an image from a projector onto the back side of a screen to provide information to a viewer.

그리고, 가요성 스크린으로서, 평균입경이 약20㎛ 초과~400㎛ 미만의 유리 비드 단층과, 불투명 흑색 모재와, 폴리염화비닐 등의 기판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비드식 스크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되어 있다.As the flexible screen, it is said that it is preferable to use a bead screen composed of a single layer of glass bead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more than about 20 μm to less than 400 μm, an opaque black base material, and a substrate such as polyvinyl chloride.

또한, 스크린을 투명한 표면 위에 점착시키는 접착제로서, 미립자형 아크릴계 점착제 등이 주성분으로서, 0.5~2파운드/인치(약280~1100mN/25㎜)의 박리력을 갖는, 박리가능한 접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되어 있다.In addition, as an adhesive for adhering the screen to a transparent surface, it is preferable to use a peelable adhesive having a peeling force of 0.5 to 2 pounds/inch (about 280 to 1100 mN/25 mm) and a particulate acrylic adhesive as a main component. there is.

일본 특개2007-34324호 공보(특허청구의 범위 등)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7-34324 (scope of claims, etc.) 일본 특표2004-533636호 공보(특허청구의 범위 등)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4-533636 (Scope of claims, etc.)

그러나, 특허문헌1에 개시된 투과형 스크린은, 기본적으로, 투명체(제1의 투명체)와, 투명체(제2의 투명체)와의 사이에, 전방산란성의 광산란층을 협지(挾持)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However, the transmissive screen disclosed in Patent Literature 1 basically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forward scattering light scattering layer is sandwiched between a transparent body (first transparent body) and a transparent body (second transparent body).

때문에, 전방산란성의 광산란층과, 점착제층이,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있어, 투과형 스크린이 과도하게 두꺼워져, 소정 화상을 투영했을 경우에, 화상에 흐릿함이 생기는 문제가 보였다.For this reason, the forward scattering light-scattering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re independently separated, resulting in excessive thickness of the transmissive screen, resulting in blurring of the image when a predetermined image is projected.

또한, 전방산란성의 광산란층을, 투명체(제1의 투명체)와, 투명체(제2의 투명체)와의 사이에, 끼워넣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투과형 스크린을, 피착체(유리판 등)에 대하여 첩부하는 것까지 고려하고 있지 않아, 사용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도 보였다.In addition, since the forward scattering light-scattering layer is sandwiched between the transparent body (first transparent body) and the transparent body (second transparent body), basically, the transmissive screen is attached to the adherend (glass plate, etc.) There was also a problem with poor usability because it was not considered.

또한, 특허문헌2에 개시된 가요성 투과형 스크린을 사용한 배면투영 시스템에 있어서도, 비드식 스크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요성 스크린과, 박리가능한 접착제층이, 독립적으로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back projection system using the flexible transmissive screen disclosed in Patent Literature 2, a flexible screen including a bead screen and the like and a peelable adhesive layer are independently provided.

때문에, 투과형 스크린 전체가, 과도하게 두꺼워져, 화상에 흐릿함이 생기는 문제가 보였다. 또한, 접착제층은 박리가능하지만, 접착성의 내구성이 떨어져, 의도하지 않는 벗겨짐이 우려되었다.For this reason, the entire transmissive screen becomes excessively thick, and the problem of blurring an image has been seen. In addition, although the adhesive layer can be peeled off, the adhesive durability is poor, and unintentional peeling has been feared.

또한, 비드식 스크린 등에 있어서의 비드의 평균입경이 과도하게 커, 고정세의 화상을 투영하기 위한 스크린으로서는 사용하기 어려울 뿐아니라, 광확산성이 떨어지는 문제도 보였다.In additio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beads in a bead-type screen or the like is excessively large, making it difficult to use as a screen for projecting a high-definition image, and problems such as poor light diffusivity have been observed.

즉, 본 발명은, 화상의 흐릿함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얇게 구성되면서, 투과형 스크린으로서 충분한 투영성을 갖고, 또한, 유리 등의 피착체에의 밀착력, 및 그 내구성이 우수함과 함께, 재박리성도 우수하고, 일단 벗긴 후의 재사용에 있어서도 기포 등이 혼입함에 의한 시인성 저하가 없는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hin enough not to cause image blurring, has sufficient projection properties as a transmissive screen, has excellent adhesion to an adherend such as glass and its durability, and is also excellent in re-peelability. ,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creen that does not deteriorate visibility due to mixing of air bubbles or the like even when reused after being once peeled off.

본 발명에 의하면, 기재와, 광확산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광확산층이, 실리콘 수지와, 평균입경이 1~10㎛의 유기 미립자를 포함하고 있고, 광확산층의 두께를 5~3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광확산층측에 있어서의, JIS Z 0237:2009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180° 박리력을 20~200mN/2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또한, JIS K 7136:2000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헤이즈값을 2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이 제공되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ase material and a light diffusion layer, the light diffusion layer contains a silicone resin and organic particulat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 to 10 μm, and the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is 5 to 30 μm. The value is within the range, and the 180° peel forc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Z 0237:2009 on the light diffusion layer side is within the range of 20 to 200 mN/25 mm, and also in accordance with JIS K 7136:2000 The above-mentioned problems can be solved by providing a stick-on projection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haze value measured by the above is set to a value of 20% or more.

즉, 광확산층의 주제로서, 실리콘 수지를 사용함과 함께, 소정 평균입경(φ)의 유기 미립자를 사용하고, 또한, 광확산층의 두께(t)나, 180° 박리력, 또한, 헤이즈값, 각각을 소정의 범위로 제어함에 의해, 화상의 흐릿함이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로 얇고(필름 매수가 적고), 스크린으로서의 투영성이 우수하고, 또한, 기포를 물지 않고 첩부할 수 있고, 유리 등의 피착체에의 밀착성 및 그 내구성이 우수하고, 사용후는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고, 또한 재사용시에도 기포를 물지 않고 첩부할 수 있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을 얻을 수 있다.That is, while using a silicone resin as the main material of the light-diffusion layer, organic particulates having a predetermined average particle diameter (φ) are used, and the thickness (t) of the light-diffusion layer, the 180° peeling force, and the haze value, respectively By controlling i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t is thin enough that blurring of the image does not become a problem (the number of films is small), excellent projection as a screen, and can be affixed without biting air bubbles, adherends such as glass It is possible to obtain a stick-on type projection screen that is excellent in adhesion to and durability thereof, can be easily peeled off after use, and can be applied without biting air bubbles even when reused.

또한, 본 발명의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을 구성함에 있어,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A)을, 실리콘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15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constituting the stick-on projection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set the compounding amount (A) of the organic particulates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1 to 15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ilicone resin.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광투과율(전광선 투과율)을 과도하게 저하시키지 않고, 소정 이상의 헤이즈값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By comprising in this way, a predetermined or more haze value can be obtained stably, without excessively reducing light transmittance (total light transmittance).

또한, 본 발명의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을 구성함에 있어, 광확산층의 두께를 t(㎛)로 하고,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A(중량부)로 하고,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을 φ(㎛)로 했을 때에, t×A/φ로 표시되는 영향인자를 3~1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constituting the adhesive projection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is t (μm), the blending amount of organic particulates is A (parts by weight), an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organic particulates is φ (μm) When doing so, it is preferable to set the influence factor represented by t×A/φ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3 to 100.

이와 같이 정의되는 영향인자를 소정 범위 내의 값으로 하도록 구성함에 의해, 헤이즈값이나 밀착력이 소정 범위 내인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을, 더 정도(精度)좋게, 또한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By configuring the influence factor defined in this way to be a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 stick-on projection screen having a haze value and adhes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can be obtained more accurately and stably.

또한, 본 발명의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을 구성함에 있어, 실리콘 수지와, 유기 미립자와의 굴절율차를 0.02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constituting the adhesive projection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set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silicone resin and the organic fine particles to a value of 0.02 or more.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소정의 헤이즈값을, 더 정량적 또한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By configuring in this way, a predetermined haze value can be obtained more quantitatively and stably.

또한, 본 발명의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을 구성함에 있어, 기재의 두께를 50~25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constituting the adhesive projection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set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50 to 250 μm.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기재 위에 실리콘 수지를 도포하여, 건조시킬 때에, 소정 온도(예를 들면, 130℃ 이상)로 가열했다고 해도, 기재가 소정의 내열성을 발휘하여, 양호한 평활성을 유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광확산성이나 전광선 투과율이 더 양호한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을 얻을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even if the silicone resin is applied on the base material and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130 ° C. or higher) when drying, the base material can exhibit a predetermined heat resistance and maintain good smoothness, Furthermore, a stick-on type projection screen having better light diffusivity and total light transmittance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을 구성함에 있어, 기재의 열수축율을, 150℃, 1시간 가열후의 MD방향 및 TD방향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도 2% 이하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constituting the stick-on projection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shrinkage rate of the substrate is preferably set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2% or less in either the MD direction or the TD direction after heating at 150 ° C. for 1 hour.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기재 위에 실리콘 수지를 도포하여, 건조시킬 때에, 소정 온도(예를 들면, 130℃ 이상)에서, 소정 시간 가열했다고 해도, 기재가 소정의 내열성을 발휘하여, 양호한 평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상기 열수축율을, 1.5%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silicone resin is applied on the substrate and dried, even if it is heat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eg, 130° C. or high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substrate exhibits a predetermined heat resistance and maintains good smoothness. can From such a viewpoint,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the said thermal contraction rate into 1.5 % or less, and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o make it 1.0 % or less.

또한, 본 발명의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을 구성함에 있어, 기재의 표면 및 배면, 혹은 어느 한쪽에, 이방 광확산성 또는 등방 광확산성을 갖는 광제어 부재가 더 마련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constituting the stick-on projection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light control member having an anisotropic light diffusing property or an isotropic light diffusing property is further provided on either the front surface or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소망의 헤이즈값에의 조정이 용이하게 되거나, 시각자가 화상을 시인할 수 있는 각도를 넓히거나, 스크린 내의 광확산의 균일성을 보다 높이거나 함에 의해, 다수의 시각자가, 양호하고 선명한 화상을 시인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adjustment to a desired haze value is facilitated, the angle at which a viewer can view an image is widened, and the uniformity of light diffusion within the screen is further improved, so that a large number of viewers, A good and clear image can be visually recognized.

또한, 본 발명의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을 구성함에 있어, 광확산층의, 기재와는 반대측의 표면에 대하여, 보호필름이 적층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constituting the stick-on projection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rotective film is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on the opposite side to the base material.

이와 같이 보호필름을 포함하여 구성함에 의해, 광확산층의 표면에 대한 오염으로서의 먼지 부착 등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의 취급(운반성)이나, 광확산성이나 첩부성 등의 효과의 재현성을 더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In this way, by including the protective film, it is possible to prevent dust adhesion as contamination to th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and handling (transportability) of the stick-type projection screen, light diffusing property, stickiness, etc. The reproducibility of the effect can be made better.

도1(a)~(d)은,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 등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a)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에 있어서의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과, 헤이즈값 및 밀착력과의 관계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2(b)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에 있어서의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과, 헤이즈값 및 밀착력과의 관계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2(c)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에 있어서의 광확산층의 막두께와, 헤이즈값 및 밀착력과의 관계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에 있어서의 영향인자(t×A/φ)와, 헤이즈값 및 밀착력과의 관계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a)~(b)는, 이방 광확산성 필름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5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의 기재측에 추가로 이방 광확산성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첩부형 복합 프로젝션 스크린에 있어서의, 각각의 입사각과, 헤이즈값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6는, 종래의 광확산 점착시트의 태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a) to (d) are diagrams showing configuration examples of a stick-on type projection screen or the like.
Fig. 2 (a)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organic particulates in the adhesive projection screen, the haze value, and the adhesion, respectively, and Fig. 2 (b) is the organic particulates in the adhesive projection screen 2(c)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lm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ng layer in a stick-on projection screen, haze value and adhesion, respectively. .
3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factor (t×A/φ), haze value, and adhesion in the stick-on type projection screen, respectively.
4(a) to (b) are views provided to explain the anisotropic light-diffusing film.
Fig. 5 is a diagram provid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incident angle and haze value in a stick-on composite projection screen formed by laminating an anisotropic light-diffusing film on the substrate side of the stick-on projection screen. .
Fig. 6 is a diagram explaining the aspect of a conventional light-diffusion adhesive sheet.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기재와, 광확산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광확산층이, 실리콘 수지와, 평균입경이 1~10㎛의 유기 미립자를 포함하고 있고, 광확산층의 두께를 5~3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광확산층측에 있어서의, JIS Z 0237:2009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180° 박리력을 20~200mN/2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또한, JIS K 7136:2000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헤이즈값을 2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including a base material and a light diffusion layer, the light diffusion layer contains a silicone resin and organic particulat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 to 10 μm, and the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is 5 to 30 μm. It is set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μm, and the 180 ° peel forc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Z 0237: 2009 on the light diffusion layer side is set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20 to 200 mN / 25 mm, and JIS K 7136: 2000 It is a stick-on type projection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haze value measured based on is 20% or more.

이하, 본 발명의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의 실시형태에 대해, 적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e stick-on type projection screen of this invention is concretely demonstrated, referring an enemy drawing.

1.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의 밀착력1. Adhesion of adhesive projection screen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은, 광확산층측을 피착체인 유리판에 첩부하는 경우, JIS Z 0237:2009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180° 박리력(박리속도 300㎜/분)(이하, 단지, 밀착력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를 20~200mN/25㎜의 범위 내로 조정된 것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icking-type projection screen in this embodiment, when sticking the light-diffusion layer side to the glass plate as an adherend,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Z 0237: 2009, 180 ° peeling force (peeling speed 300 mm / min) (hereinafter, Howev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on force) is adjusted within the range of 20 to 200 mN/25 mm.

즉, 상기 밀착력이 20mN/25㎜ 이상인 것에 의해, 냉방이나 난방, 혹은 외기온의 변화에 있어서도 내구성좋게 첩부상태를 유지하고, 스크린으로서의 기능을 다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상기 밀착력은 30mN/2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mN/2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at is, when the adhesive force is 20 mN/25 mm or mo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attached state with good durability even in cooling, heating, or a change in outside temperature, and function as a screen. From such a viewpoint, as for the said adhesive force,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30 mN/25 mm or more,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35 mN/25 mm or more.

또한, 상기 밀착력이 200mN/25㎜ 이하인 것에 의해, 첩부시의 기포 빠짐이 우수한 스크린으로 할 수 있음과 함께, 불필요해진 경우는 용이하게 벗길 수 있다. 또한, 재차의 첩부시에 있어서도 초회와 같은 기포 빠짐성이 우수한 스크린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기포는 스크린이 얇아질수록 눈에 띄는 것이며, 또한, 스크린의 투영성이 높아질수록 눈에 띄는 것이다.Moreover, while being able to set it as a screen excellent in bubble omission at the time of sticking because the said adhesive force is 200 mN/25 mm or less, when it becomes unnecessary, it can peel off easily.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screen excellent in bubble release property as in the first ash even at the time of re-applying. Bubbles are more conspicuous as the screen becomes thinner, and more conspicuous as the projection property of the screen increases.

이와 같은 관점에서, 상기 밀착력은 100mN/2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mN/2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From such a viewpoint, as for the said adhesive force,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100 mN/25 mm or less, and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hat it is 80 mN/25 mm or less.

2.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의 헤이즈값2. Haze value of adhesive projection screen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크린은, JIS K 7136:2000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헤이즈값을 2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creen in 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ze value measured based on JIS K 7136:2000 is a value of 20% or more.

또, 스크린의 헤이즈값(담가(曇價))이란, 적분구식 광선 투과율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스크린의 전광선 투과율 및 확산 투과율을 측정하고, 실시예에 나타내는 식(2) 및 (3)에 의해 구해지는 값이다.In addition, the haze value (haze value) of the screen is obtained by measuring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and diffuse transmittance of the screen using an integrating sphere type light transmittance measuring device, and by formulas (2) and (3) shown in Examples It is the value to be saved.

즉, 상기 헤이즈값이 20% 이상인 것에 의해, 밝은 환경하에서도 스크린으로서의 투영성을 갖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상기 헤이즈값은 5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That is, when the haze value is 20% or more, it has projection properties as a screen even under a bright environment. From such a viewpoint, as for the said haze value,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50% or more, and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hat it is 70% or more.

또, 상기 헤이즈값의 상한은 특히 제약되지 않지만, 상기 헤이즈값이 과도하게 커지면, 후방 산란광이 증가하여 전광선 투과율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상기 헤이즈값은, 99%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8%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 limit of the haze valu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when the haze value is excessively large, backscattered light increases and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becomes insufficient in some cases. From such a viewpoint, the haze value is more preferably set to a value of 99% or less, and further preferably set to a value of 98% or less.

3.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의 기본구성3. Basic composition of adhesive projection screen

도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이하, 단지, 스크린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10)은, 기본적으로, 기재(12)와, 실리콘 수지(14a) 및 유기 미립자(14b)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광확산층(1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 a stick-on projection screen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simply as a screen) 10 is basically composed of a substrate 12, a silicone resin 14a, and organic particulates 14b.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ight diffusion layer 14 formed by blending.

또한, 사용전은, 주위로부터의 먼지 등의 부착을 방지하고자, 도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필름(16)이, 기재(12)와는 반대측의 광확산층(14)의 표면에 적층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efore use, in order to prevent adhesion of dust and the like from the surroundings, as shown in FIG. It is desirable to have

그리고, 도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의 보호필름(16)을 제거한 후, 스크린(10)을, 광확산층(14)을 개재(介在)하여, 피착체(18)로서의 창유리나 쇼케이스 등의 유리기재에 첩부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n, as shown in Fig. 1(c), after removing the protective film 16 on the surface, the screen 10 is placed through the light diffusion layer 14 to form a window glass or showcase as the adherend 18. It is preferable to stick it to a glass base material, such as, and use it.

따라서, 시각자는, 창유리나 쇼케이스 등에 첩부된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을 개재하여, 프로젝터로부터 조사된 화상을, 소정의 크기로 확산하여 이루어지는 동적화상이나 문자정보로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ly, the viewer can recognize an image projected from a projector through a stick-on projection screen attached to a window glass, showcase, or the like, as a dynamic image or character information obtained by spreading the image to a predetermined size.

또, 도1(c), (d)에 나타내는 첩부형 스크린의 구성에서는, 통상, 프로젝터로부터의 광이 기재(12)측으로부터 입사하는 태양이지만, 용도에 따라, 피착체(18)측으로부터 프로젝터로부터의 광을 입사하는 태양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tick-on screen shown in Figs. 1(c) and (d), light from the projector usually enters from the base material 12 side, but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the projector is emitted from the adherend 18 side. It is also possible to enter light from the sun.

여기에서, 스크린의 일부인 기재는, 광확산층의 지지체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고, 스크린으로서의 취급성, 운반성, 제조용이성, 장식성 등을 향상시킴과 함께, 광확산층에 대한 기계적 보호, 자외선 차폐성, 산화방지성 등을 부여하는 기능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ubstrate, which is a part of the screen, functions as a support for the light diffusion layer, and improves handling, transportability, ease of manufacture, decorativeness, etc. as a screen, as well as mechanical protection for the light diffusion layer, UV shielding properties, and oxidation prevention. It is desirable to also have a function of imparting sex and the like.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기재는, 실리콘 수지 및 유기 미립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공액을, 도포, 건조할 때의 내열성 유지부재로서의 기능을 갖는 경우도 있다.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such a substrate may have a function as a heat-resistance retaining member when applying and drying a coating solution containing a silicone resin and organic particulates.

한편, 광확산층은, 기본적으로, 피착체에 대한 첩부성과, 프로젝터로부터의 영상인 광을 확산시켜, 시야각 특성을 양호하게 하는, 양쪽의 기능을 갖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ght-diffusion layer basically has both functions of sticking to an adherend and diffusing light as an image from a projector to improv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즉, 스크린에는, 스크린을 사이에 두고 프로젝터와 반대측으로부터 관찰하는 투과형 스크린과, 프로젝터와 동일측으로부터 관찰하는 반사형 스크린이 있지만, 투과형 스크린의 경우에는, 상기 광확산층은, 프로젝터로부터의 화상을 그대로 확산시키면서 투과시켜, 스크린의 배면측에 있는 시청자에 대하여 인식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That is, there are two types of screens: a transmissive screen viewed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projector with the screen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reflective screen viewed from the same side as the projector. It transmits light while diffusing, and has a function of recognizing the viewer on the rear side of the screen.

한편, 반사형 스크린의 경우에는, 상기 광확산층은, 프로젝터로부터의 화상을, 확산시키면서 반사시켜, 스크린의 프로젝터측에 있는 시청자에 대하여 인식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reflective screen, the light diffusion layer has a function of reflecting an image from the projector while diffusing it, and recognizing it to a viewer on the projector side of the screen.

또,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은, 투과형 스크린 및 반사형 스크린 중 어느 하나의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 의 효과를 최대한 이용하는 관점에서는, 투과형 스크린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either case of a transmissive screen or a reflective screen,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it as a transmissive screen from the viewpoint of maximizing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4. 기재4. Registration

(1) 종류(1) Type

또한, 기재의 종류로서는,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 필름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ype of subst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a polyester film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a PET film), polybutylene terephthalate, or polyethylene naphthalate.

이 이유는, 이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면, 투명성, 내열성, 혹은 기계적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비교적 저렴하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such a polyester film is excellent in transparency, heat resistance, or mechanical strength, and is also relatively inexpensive.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재 위에 실리콘 수지를 도포하여, 건조시킬 때에, 소정 온도(예를 들면, 130℃ 이상)에서 가열했다고 해도, 기재가 소정의 내열성을 발휘하므로, 양호한 평활성을 유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안정적인 광확산성이나 광투과율을 갖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More specifically, when a silicone resin is applied on a substrate and dried, even if heat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eg, 130° C. or higher), the substrate exhibits a predetermined heat resistance, so good smoothness can be maintained, and further This is because a stick-on projection screen having stable light diffusivity and light transmittance can be obtained.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이외의 다른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셀로판,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티레이트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설폰 필름,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필름, 폴리에테르설폰 필름, 폴리에테르이미드 필름, 불소 수지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아크릴 수지 필름, 폴리우레탄수지 필름,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필름, 환상 올레핀계 중합체 필름, 환상 공역디엔계 중합체 필름, 비닐지환식 탄화수소 중합체 필름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도, 호적 필름으로서 들 수 있다.In addition, as plastic films other than polyester films, polyolefin films such as polyethylene films and polypropylene films, cellophane, diacetyl cellulose films, triacetyl cellulose films, acetyl cellulose butyrate films, polyvinyl chloride films, and polyvinylidene chloride films , polyvinyl alcohol film,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film, polystyrene film, polycarbonate film, polymethylpentene film, polysulfone film, polyetheretherketone film, polyethersulfone film, polyetherimide film, fluororesin film, Polyamide film, acrylic resin film, polyurethane resin film, norbornene-based polymer film, cyclic olefin-based polymer film, cyclic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film, vinyl alicyclic hydrocarbon polymer film, etc.,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suitable It can be mentioned as a film.

또한, 기재, 특히, 플라스틱 필름에 있어서는, 광확산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목적에서, 소망에 의해, 편면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 처리, 산화법, 조면화 처리(요철화법)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base material, in particular, a plastic film,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adhesion to the light diffusion layer, surface treatment such as priming, oxidation, or roughening treatment (roughening method) is applied to one or both surfaces as desired. it is desirable

여기에서, 산화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코로나방전 처리, 크롬산 처리, 화염 처리, 규산화염 처리, 열풍 처리, 오존·자외선 처리 등의 1종 또는 복수종의 조합을 들 수 있다.Here, examples of the oxidation method include corona discharge treatment, chromic acid treatment, flame treatment, silicate treatment, hot air treatment, ozone/ultraviolet treatment, and the like,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m.

또한, 조면화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샌드블라스트법, 용제 처리법, 에칭 처리법 등을 들 수 있다.Moreover, as a roughening process, the sandblasting method, the solvent processing method, the etching processing method,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기타, 기재의 형태에 대해서도, 용도나 목적에 따라 적의 변경할 수 있지만, 개구부, 예를 들면, 직경0.1~10㎜의 개구부를 갖는 다공성 필름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태이면, 플렉서블성이나 취급성이 향상하고, 평면적인 피착체뿐아니라, 곡면적인 피착체에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base material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use or purpose, but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 porous film having openings, for example, openings with a diameter of 0.1 to 10 mm. It is because such a form improves flexibility and handleability, and can be applied not only to flat adherends but also to curved adherends.

(2) 두께(2) thickness

또한, 기재의 두께를, 통상, 50~25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set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50 to 250 µm usually.

이 이유는, 기재의 두께가 50㎛ 미만으로 되면, 광확산층을 형성할 때의 가열에 의해 기재 위에 미소한 물결침이 생겨, 스크린의 화상의 선명도를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is less than 50 μm, fine waviness may occur on the substrate due to heating in forming the light diffusion layer, reducing the sharpness of images on the screen in some cases.

한편, 기재의 두께가 250㎛를 초과하면, 기재두께에 의한 스크린에 있어서의 화상의 흐릿함이 커져, 화상의 선명도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exceeds 250 μm, the blurring of the image on the screen due to th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may increase and the sharpness of the image may decrease.

따라서, 기재의 하한 두께를 10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the lower limit thickness of the substrate to a value of 100 μm or more,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it to a value of 120 μm or more.

또한, 기재의 상한 두께를 220㎛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90㎛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the upper limit thickness of the substrate to a value of 220 μm or less,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it to a value of 190 μm or less.

(3) 열수축율(3) Heat shrinkage rate

또한, 기재의 열수축율은, JIS K 7133:1999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지만, 대상온도 150℃, 가열시간 1시간후에 있어서, MD방향 및 TD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대해서도 2%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t shrinkage rate of the base material can b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K 7133: 1999, but it is set to 2% or less in either the MD direction or the TD direction at a target temperature of 150°C and after 1 hour of heating time. it is desirable

이 이유는, 이와 같이 기재의 열수축율을 규정함에 의해, 기재 위에 실리콘 수지를 도포하여, 건조시킬 때에, 소정 온도에서, 소정 시간 가열했다고 해도, 기재가 소정의 내열성을 발휘하여, 양호한 평활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by defining the heat shrinkage rate of the base material in this way, when the silicone resin is applied on the base material and dried, even if it is heated at a prescribed temperature for a prescribed period of time, the base material exhibits a prescribed heat resistance and maintains good smoothness. because it can

단, 기재의 열수축율이 과도하게 작아지면, 사용가능한 기재재료가 과도하게 제한되거나, 열수축율을 조정하기 위한 연신 열처리 등이 복잡해지거나, 또한, 제조 코스트 등이 현저하게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However, if the heat shrinkage rate of the base material is excessively small, the usable base material may be excessively limited, the stretching heat treatment for adjusting the heat shrinkage ratio may become complicated, or the manufacturing cost may be remarkably high.

따라서, 이러한 기재의 열수축율의 하한을 0.001%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the lower limit of the heat shrinkage rate of such a base material to a value of 0.001% or more,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it to a value of 0.01% or more.

또한, 이러한 기재의 열수축율의 상한을 1.5%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the upper limit of the heat shrinkage rate of such a base material to a value of 1.5% or less,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it to a value of 1.0% or less.

또, MD방향이란, 기재필름 성형시의 장척방향을 의미하고, TD방향이란, 기재필름 성형시의 폭방향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MD direction means a long direction when forming a base film, and the TD direction means a width direction when forming a base film.

(4) 광투과율(가시광 투과율)(4) Light transmittanc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또한, 기재의 광투과율을,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8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o set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base material to 80% or more in the visible light region.

이 이유는, 이와 같이 기재의 광투과율을 제한함에 의해, 기재에 있어서의 광흡수를 제한하고, 결과로서, 시각자가, 스크린 배면측에 있어서, 선명하고, 밝은 화상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light absorption in the substrate is limited by limiting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substrate in this way, and as a result, the viewer can recognize a clear and bright image on the back side of the screen.

단, 기재의 광투과율이 과도하게 높아지면, 사용가능한 기재재료가 과도하게 제한되거나, 광투과율을 조정하기 위한 연신 열처리 등이 복잡해지거나, 또한, 제조 코스트 등이 현저하게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However, if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substrate is excessively high, usable substrate materials may be excessively limited, stretching heat treatment for adjusting the light transmittance may become complicated, and manufacturing costs may be remarkably high.

따라서, 기재의 광투과율의 하한을 82%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5%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the lower limit of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substrate to a value of 82% or more, and more preferably to a value of 85% or more.

또한, 이러한 기재의 광투과율의 상한을 99.9%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9%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the upper limit of the light transmittance of such a base material to a value of 99.9% or less,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o set it to a value of 99% or less.

5. 광확산층5. Light diffusion layer

(1) 실리콘 수지(1) silicone resin

(1)-1 주성분(1)-1 main component

광확산층은 유기 미립자와 함께 실리콘 수지를 함유하는 것에 의해, 이것을 포함하는 스크린을 피착체에 첩부함과 함께, 재박리하여, 재이용 등할 수 있다.By containing a silicone resin together with organic particulates, the light-diffusion layer can be peeled off again, reused, etc. while sticking a screen containing this to an adherend.

즉, 이러한 실리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광확산층은, 그 자착성에 의해, 공기를 압출하면서 피착체에 첩부하기 때문에, 기포혼입에 의한 광학적 결함이 생기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That is, the light-diffusing layer made of such a silicone resin as a main component is adhered to the adherend while extruding air due to its self-adhering property, so there is no optical defect caused by air bubble mixing.

이것은, 스크린이 딱딱한 것이어도 얻어지는 효과이다. 즉, 스크린은, 실리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광확산층에 의해, 기포의 혼입을 방지하면서 현장에서 시공할 수 있다.This is an effect obtained even if the screen is hard. That is, the screen can be constructed on site while preventing the mixing of air bubbles by means of the light-diffusing layer composed of a silicone resin as a main component.

또한, 실리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광확산층은, 피착체에 밀착하여 매우 강고하게 첩부하는 한편, 풀남음없이 재박리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light-diffusion layer made of a silicone resin as a main component adheres closely to the adherend and adheres very firmly, it can be re-peeled without any adhesive residue.

더하여, 실리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광확산층은, 창유리 등의 피착체에 가장 가까운 부분, 즉 외광이 조사되는 가장 가까운 부분에 사용되지만, 실리콘 수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내광성도 우수한 것이 된다.In addition, a light diffusion layer composed of a silicone resin as a main component is used for a portion closest to an adherend such as a window glass, that is, a portion closest to irradiation of external light. However, the use of a silicone resin provides excellent light resistance.

여기에서, 실리콘 수지는, 예를 들면,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그 유도체, 혹은 어느 한쪽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Here, the silicone resin can contain, for example, organopolysiloxane or a derivative thereof or any one of them as a main component.

특히, 주성분으로서, 실록산 결합을 주골격으로 하고 알케닐기를 갖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부가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백금 촉매를 구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contain, as a main component, an addition-type organopolysiloxane composed of an organopolysiloxane having a siloxane bond as a main skeleton and having an alkenyl group and an organohydrogenpolysiloxane, and a silicone compound containing a platinum catalyst as a constituent component.

이 실록산 결합을 주골격으로 하고, 알케닐기를 갖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구체적으로는, 하식(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또한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알케닐기를 갖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organopolysiloxane having this siloxane bond as a main skeleton and having an alkenyl group is, specifically,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below, and is preferably a compound having at least two alkenyl groups in the molecule.

R1aSiO(4-a)/ 2 (1)R1 a SiO (4-a)/ 2 (1)

(식(1) 중, R1은 서로 동일 또는 이종의 탄소수 1~12, 바람직하게는 1~8의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수소기이며, a는 1.5~2.8, 바람직하게는 1.8~2.5, 보다 바람직하게는 1.95~2.05의 범위의 정수이다)(In formula (1), R1 is an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monovalent hydrocarbon group having the same or different carbon atoms of 1 to 12, preferably 1 to 8, a is 1.5 to 2.8, preferably 1.8 to 2.5, More preferably, it is an integer in the range of 1.95 to 2.05)

또한, 상술한 R1으로 표시되는 규소원자에 결합한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기, 알릴기, 프로페닐기, 이소프로페닐기, 부테닐기, 헥세닐기, 시클로헥세닐기, 옥테닐기 등의 알케닐기,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네오펜틸기, 헥실기, 시클로헥실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등의 알킬기, 페닐기, 톨릴기, 자일릴기, 나프틸기 등의 아릴기, 벤질기, 페닐에틸기, 페닐프로필기 등의 아랄킬기나, 이들 기의 수소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불소, 브롬, 염소 등의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등으로 치환한 것, 예를 들면 클로로메틸기, 클로로프로필기, 브로모에틸기,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시아노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monovalent hydrocarbon group bonded to the silicon atom represented by R1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 vinyl group, an allyl group, a propenyl group, an isopropenyl group, a butenyl group, a hexenyl group, and a cyclohexenyl group. , alkenyl groups such as octenyl group, methyl group, ethyl group, propyl group, isopropyl group, butyl group, isobutyl group, tert-butyl group, pentyl group, neopentyl group, hexyl group, cyclohexyl group, octyl group, nonyl group , alkyl groups such as decyl groups, aryl groups such as phenyl, tolyl, xylyl, and naphthyl groups, aralkyl groups such as benzyl, phenylethyl, and phenylpropyl groups, and some or all of the hydrogen atoms in these groups are fluorine or bromine. , those substituted with a halogen atom such as chlorine, a cyano group, etc., such as a chloromethyl group, a chloropropyl group, a bromoethyl group, a trifluoropropyl group, a cyanoethyl group, and the like.

또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 있어서의 알케닐기로서는, 비닐기이면, 경화시간이 짧고, 생산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Moreover, as an alkenyl group in organopolysiloxane, if it is a vinyl group, curing time is short and it is preferable from a productivity point.

그리고,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은, 분자 중에 SiH기를 갖고 있고, 실록산 결합을 주골격으로 하고 알케닐기를 갖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알케닐기와의 사이에서 부가반응하여, 경화할 수 있다.Organohydrogenpolysiloxane has a SiH group in its molecule and can be cured by an addition reaction between the alkenyl group of organopolysiloxane having a siloxane bond as a main skeleton and an alkenyl group.

(1)-2 백금 촉매(1)-2 platinum catalyst

또한, 실리콘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한 백금 촉매로서는, 백금흑, 염화제2백금, 염화백금산, 염화백금산과 1가 알코올과의 반응물, 염화백금산과 올레핀류와의 착체, 백금비스아세토아세테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Further, examples of the platinum catalyst for curing the silicone resin include platinum black, platinic chloride, chloroplatinic acid, a reaction product of chloroplatinic acid and monohydric alcohol, a complex of chloroplatinic acid and olefins, and platinum bisacetoacetate. there is.

그리고, 이러한 백금 촉매의 사용량을, 부가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3.0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mount of the platinum catalyst used is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0.01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ddition type organopolysiloxane.

이 이유는, 이러한 백금 촉매의 사용량이 0.01중량부 미만으로 되면, 경화부족 때문에 재박리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if the amount of the platinum catalyst used is less than 0.01 part by weight, the re-peelability may be poor due to insufficient curing.

한편, 백금 촉매의 사용량이 3.0중량부를 초과하면, 첩부성이 나빠지고, 또한, 부가반응에 의한 겔화가 빠르고, 안정적인 도포작업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amount of the platinum catalyst used exceeds 3.0 parts by weight, adhesion may be deteriorated, and gelation due to an addition reaction may be rapid, making stable application difficult in some cases.

따라서, 이러한 백금 촉매의 사용량의 하한을 0.05중량부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중량부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lower limit of the amount of the platinum catalyst used is more preferably 0.05 part by weight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0.1 part by weight or more.

또한, 이러한 백금 촉매의 사용량의 상한을 2.5중량부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중량부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Further, the upper limit of the amount of the platinum catalyst used is more preferably 2.5 parts by weight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2 parts by weight or less.

(1)-3 기타 폴리오르가노실록산(1)-3 Other polyorganosiloxanes

또한, 주성분의 부가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는, 밀착력을 더 높이기 위해서, 분자 내에, 3관능성 혹은 4관능성의 실록산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referable to blend a polyorganosiloxane containing a trifunctional or tetrafunctional siloxane unit in the molecule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adhesion to the addition type organopolysiloxane as the main component.

그리고, 이러한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을, 부가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when blending such a polyorganosiloxane, it is preferable to set the blending amount to a value of 50 parts by weight or le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addition-type organopolysiloxane.

이 이유는, 이러한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배합량이 50중량부를 초과하면, 밀착력이 상승하여, 재박리가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the compounding amount of such polyorganosiloxane exceeds 50 parts by weight, the adhesion may increase and re-peeling may become difficult.

단, 이러한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배합량이 과도하게 적어지면, 첨가효과가 발현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However, if the blending amount of such polyorganosiloxane is too small, the addition effect may not be expressed.

따라서, 이러한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배합량의 하한에 관하여, 1중량부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중량부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regarding the lower limit of the blending amount of such polyorganosiloxane,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1 part by weight or more,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5 parts by weight or more.

그리고, 이러한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배합량의 상한에 관하여, 30중량부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중량부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As for the upper limit of the blending amount of the polyorganosiloxane, it is more preferably 30 parts by weight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20 parts by weight or less.

또한, 실리콘 수지에는, 상술한 이외의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반응지연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등의 공지의 첨가제를 적의하게 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well-known additives, such as a reaction retardant, an antioxidant, and an antistatic agent, can be suitably blended with the silicone resin as component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그리고, 이들의 첨가제를 더하는 경우에는, 첨가제의 종류에도 따르지만, 그 배합량을 부가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10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when adding these additives, it depends also on the kind of additive, but it is preferable to set the compounding quantity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0.01 to 10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addition type organopolysiloxane.

(1)-4 굴절율(1)-4 refractive index

또한, 실리콘 수지의 굴절율을 1.35~1.48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refractive index of a silicone resin into the value within the range of 1.35-1.48.

이 이유는, 이러한 실리콘 수지의 굴절율이 1.48을 초과한 값으로 되면, 유기 미립자의 굴절율과의 관계에서, 얻어지는 헤이즈값이 과도하게 작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is reason is because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such a silicone resin becomes a value exceeding 1.48, the obtained haze value may become excessively small in relation to the refractive index of organic particulates.

한편, 실리콘 수지의 굴절율이 1.35 미만의 값으로 되면, 적당한 실리콘 수지를 얻을 때에 사용하는 모노머의 종류가 과도하게 제한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a silicone resin becomes a value less than 1.35, it is because the kind of monomer used when obtaining a suitable silicone resin may be excessively limited.

따라서, 실리콘 수지의 굴절율의 하한을 1.38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the lower limit o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ilicone resin to a value of 1.38 or more, and more preferably to a value of 1.40 or more.

또한, 실리콘 수지의 굴절율의 상한을 1.47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5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the upper limit o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ilicone resin to a value of 1.47 or less,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it to a value of 1.45 or less.

(2) 유기 미립자(2) Organic fine particles

(2)-1 평균입경(2)-1 Average particle size

또한,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을 1~1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organic fine particles is a value within the range of 1 to 10 μm.

이 이유는,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이 1㎛ 미만의 값으로 되면, 광확산층에 있어서의 헤이즈값이 급격하게 저하하거나, 혹은, 응집하기 쉬워져, 균일하게 분산 혼합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organic particulates is less than 1 μm, the haze value in the light diffusing layer decreases rapidly, or aggregation becomes easy, making it difficult to disperse and mix uniformly. because there is

한편,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이 10㎛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광확산층의 밀착력이 급격하게 저하하거나, 혹은, 응집하기 어렵지만, 마찬가지로, 균일하게 분산 혼합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organic fine particles exceeds 10 μm, the adhesion of the light-diffusing layer may rapidly decrease, or it may be difficult to disperse and mix uniformly even though it is difficult to aggregate. .

추가로 말하자면, 이와 같은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이면, 후술하는 영향인자로서의 t×A/φ를 소정 범위 내의 값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소정 범위의 헤이즈값이나 밀착력을 더 안정적 또한 정량적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In other words, if it i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such organic particulates, t × A / φ as an influence factor described later can be easily controlled to a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furthermore, the haze value and adhesion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are more stable and because it can be obtained quantitatively.

따라서,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의 하한을 2㎛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the lower limit o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organic fine particles to a value of 2 μm or more,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it to a value of 3 μm or more.

또한,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의 상한을 8㎛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the upper limit o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organic fine particles to a value of 8 μm or less,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it to a value of 6 μm or less.

또,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은,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organic fine particles can be determined by a laser diffraction scattering method.

여기에서, 도2(a)에 언급하여, 광확산층(스크린과 동일시할 수 있다)의 헤이즈값(특성곡선A) 및 밀착력(특성곡선B)에 대한,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의 영향을 설명한다.Here, with reference to Fig. 2 (a), the effect o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organic fine particles on the haze value (characteristic curve A) and adhesion (characteristic curve B)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which can be equated with a screen) will be explained. .

즉, 도2(a)의 횡축으로,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을 채택하여 나타내고 있고, 좌종축으로, 헤이즈값(%)을 채택하여 나타내고 있고, 우종축으로, 밀착력(mN/25㎜)을 채택하여 나타내고 있다.That is, in Fig. 2 (a),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μm) of organic particulates is selected and represented on the horizontal axis, and the haze value (%) is selected and shown on the left vertical axis, and the right vertical axis is adhesion force (mN / 25 mm ) is adopted.

그리고, 도2(a) 중의 특성곡선A의 거동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이 2㎛로부터 10㎛로 커짐에 따라, 헤이즈값이 약간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52%로부터 약63%로 상승하여 있다.And, as understood from the behavior of the characteristic curve A in Fig. 2 (a), a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organic fine particles increases from 2 µm to 10 µm, the haze value tends to increase slightly. More specifically, , rising from about 52% to about 63%.

또한, 특성곡선B의 거동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이 마찬가지로 커짐에 따라, 밀착력은 약간 저하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54mN/25㎜로부터 약49mN/25㎜로 저하하여 있다.In addition, as understood from the behavior of the characteristic curve B, a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organic particulates increases in the same way, the adhesion force tends to decrease slightly, and more specifically, from about 54 mN/25 mm to about 49 mN/25 mm. is lowered to

따라서,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은, 그만큼 강한 영향은 아니지만, 광확산층의 헤이즈값이나 밀착력에 대하여 소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이들의 수치를 미묘하게 조정할 때에는, 유효한 영향인자라 할 수 있다.Therefore, although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organic particulates does not have such a strong influence, it has a certain influence on the haze value and adhesion of the light-diffusing layer, so it can be said to be an effective influence factor when finely adjusting these values.

(2)-2 종류1(2)-2 Type 1

또한, 유기 미립자의 종류(모노머종)는, 실리콘 수지와의 사이에서, 굴절율차, 예를 들면, 0.02 이상의 차가 생겨, 소정의 헤이즈값이 얻어지는 것이면,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 아크릴아미드, 디올 화합물 등의 모노머에 유래한 (메타)아크릴산 수지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ype of organic fine particles (monomer ty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a refractive index difference of, for example, a difference of 0.02 or more occurs between the silicone resin and a predetermined haze value is obtained, but (meth)acrylic acid ester , (meth)acrylic acid resins derived from monomers such as (meth)acrylic acid, acrylamide, and diol compounds are preferred.

이 이유는, 유기 미립자가 실리콘 수지 입자나 실리카 입자로 되면, 실리콘 수지와의 굴절율차가 과도하게 작아져, 예를 들면, 0.02 미만의 값으로 되어, 얻어지는 헤이즈값이 현저하게 작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the organic particulates are silicone resin particles or silica particles,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with the silicone resin becomes excessively small, for example, a value of less than 0.02, and the obtained haze value may be remarkably small. am.

역으로 말하자면, 유기 미립자의 종류를 선택하고, 실리콘 수지와의 사이에서, 굴절율차를, 0.02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라고 할 수 있다.Conversely, it can be said that it is preferable to set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to a value of 0.02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to a value of 0.05 or more, between the types of organic particulates and the silicone resin.

기타, 유기 미립자의 종류로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계나 폴리에스테르 수지계도 알려져 있지만, 이들의 축합 폴리머는, 가수분해하기 쉬워, 내구성이나 광투과성이 현저하게 저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polycarbonate resins and polyester resins are also known as types of organic particulates, but these condensed polymers are easily hydrolyzed, and durability and light transmittance may be significantly reduced.

따라서, 유기 미립자의 종류에 관하여,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프로필, (메타)아크릴산부틸, (메타)아크릴산헵틸, (메타)아크릴산옥틸, (메타)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도데실 등의 모노머의 적어도 1개에 유래한 (메타)아크릴산 수지계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regarding the type of organic fine particles,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propyl (meth)acrylate, butyl (meth)acrylate, heptyl (meth)acrylate, octyl (meth)acrylate, (meth)acrylic acid 2 -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a (meth)acrylic acid resin system derived from at least one of monomers such as ethylhexyl and dodecyl (meth)acrylate.

(2)-3 종류2(2)-3 Type 2

또한, 유기 미립자의 종류2(가교제)에 관하여, 당해 유기 미립자의 내구성, 기계적강도, 유리전이온도, 내광성 등을 향상시키므로, 유기 미립자를 중합할 때의 모노머에, 디비닐벤젠 등의 가교제를 소정량 배합하고, 그 후에, 유기 미립자를 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ith respect to type 2 (crosslinking agent) of organic particulates, since the durability, mechanical strengt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light resistance, etc. of the organic particulates are improved, a crosslinking agent such as divinylbenzene is extinguished as a monomer when polymerizing the organic particulates. It is preferable to mix in a fixed amount and then polymerize the organic particulates.

즉, 모노머 전체량(100중량%)에 대하여, 통상, 0.1~10중량%의 범위가 되도록 가교제를 배합한 후, 용액중합이나 적정중합 등을 시켜, 평균입경이 고른, 내열성 등이 높은 가교 유기 미립자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with respect to the total amount of monomers (100% by weight), a crosslinking agent is usually blended so that it is in the range of 0.1 to 10% by weight, and then solution polymerization or titration polymerization is performed to form a crosslinking agent having a uniform average particle diameter and high heat resistance It is preferable to use fine particles.

(2)-4 굴절율(2)-4 refractive index

또한, 유기 미립자의 굴절율은, 실리콘 수지와의 굴절율차를 고려하여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통상, 1.42~1.6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fractive index of the organic fine particles is preferab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with the silicone resin, but is usually preferably a value within the range of 1.42 to 1.65.

이 이유는, 이러한 유기 미립자의 굴절율이 1.42 미만의 값으로 되면, 실리콘 수지의 굴절율과의 관계에서, 얻어지는 헤이즈값이 과도하게 작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적당한 유기 미립자를 얻을 때에 사용하는 모노머의 종류가 과도하게 제한되거나, 유기 미립자의 제조 코스트가 높아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is reason is because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se organic particulates becomes a value less than 1.42, the haze value obtained may become excessively small in relation to the refractive index of a silicone resin. Moreover, it is because the kind of monomer used when obtaining suitable organic particulates is excessively restricted, or the manufacturing cost of organic particulates may increase.

한편, 유기 미립자의 굴절율이 1.65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역시, 적당한 유기 미립자를 얻을 때에 사용하는 모노머의 종류가 과도하게 제한되거나, 유기 미립자의 제조 코스트가 높아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organic particulates exceeds 1.65, the type of monomer used when obtaining suitable organic particulates may be excessively limited or the manufacturing cost of organic particulates may increase.

따라서, 유기 미립자의 굴절율의 하한을 1.45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8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the lower limit o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organic fine particles to a value of 1.45 or more, and it is further more preferable to set it to a value of 1.48 or more.

또한, 유기 미립자의 굴절율의 상한을 1.60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5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the upper limit of the refractive index of organic particulates to a value of 1.60 or less,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it to a value of 1.55 or less.

(2)-5 배합량(2)-5 blending amount

또한, 광확산층에 있어서의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실리콘 수지(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1~15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제어한다.In addition, the blending amount of the organic particulates in the light-diffusing layer is controlled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1 to 15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ilicone resin (solid content).

이 이유는,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이 1중량부 미만의 값으로 되면, 광확산층의 헤이즈값이 급격하게 저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is reason is that the haze value of the light-diffusing layer may rapidly decrease when the blending amount of the organic particulates is less than 1 part by weight.

한편,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이 15중량부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광확산층의 밀착력이 급격하게 저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blending amount of the organic particulates exceeds 15 parts by weight, the adhesion of the light-diffusing layer may rapidly decrease.

추가로 말하자면, 이와 같은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이면, 후술하는 영향인자로서의 t×A/φ를 소정 범위 내의 값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소정 범위의 헤이즈값이나 밀착력을 더 안정적 또한 정량적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In other words, with the blending amount of such organic particulates, t × A / φ as an influencing factor described later can be easily controlled to a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furthermore, the haze value and adhesion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are more stable and quantitative because it can be obtained by

따라서,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의 하한을 3중량부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중량부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the lower limit of the blending amount of the organic particulates to a value of 3 parts by weight or more,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it to a value of 8 parts by weight or more.

또한,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의 상한을 13중량부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중량부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the upper limit of the blending amount of the organic fine particles to a value of 13 parts by weight or less,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o set it to a value of 12 parts by weight or less.

여기에서, 도2(b)에 언급하여, 광확산층(스크린과 동일시할 수 있다)의 헤이즈값(특성곡선A) 및 밀착력(특성곡선B)에 대한,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의 영향을 설명한다.Here, referring to FIG. 2(b), the effect of the blending amount of organic particulates on the haze value (characteristic curve A) and adhesion (characteristic curve B)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which can be equated with a screen) will be explained.

즉, 도2(b)의 횡축으로, 실리콘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중량부)을 채택하여 나타내고 있고, 좌종축으로, 헤이즈값(%)을 채택하여 나타내고 있고, 우종축으로, 밀착력(mN/25㎜)을 채택하여 나타내고 있다.That is, the horizontal axis of Fig. 2 (b) shows the blending amount (parts by weight) of the organic particulate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ilicone resin, and the vertical axis on the left shows the haze value (%), and the vertical axis on the right shows , Adhesion force (mN/25 mm) is adopted and shown.

그리고, 도2(b) 중의 특성곡선A의 거동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이 1중량부로부터 17중량부로 커짐에 따라, 헤이즈값이 현저하게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24%로부터 약98%로 상승하여 있다.And, as understood from the behavior of the characteristic curve A in Fig. 2 (b), as the blending amount of the organic particulates increases from 1 part by weight to 17 parts by weight, the haze value shows a tendency to rise remarkably. , has risen from about 24% to about 98%.

또한, 특성곡선B의 거동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이 마찬가지로 커짐에 따라, 밀착력은 서서히 저하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54mN/25㎜로부터 약16mN/25㎜로 저하하여 있다.Further, as can be understood from the behavior of the characteristic curve B, as the blending amount of the organic particulates increases similarly, the adhesive force shows a tendency to gradually decrease, more specifically, from about 54 mN/25 mm to about 16 mN/25 mm. is declining

따라서,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은, 광확산층의 헤이즈값이나 밀착력에 대하여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이들의 수치를 크게 바꾸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효한 영향인자라 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compounding amount of the organic particulates has a strong influence on the haze value and adhesion of the light-diffusing layer, it can be said to be an effective influence factor when it is desired to greatly change these values.

(3) 두께(3) Thickness

광확산층의 두께를 5~3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is set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5 to 30 μm.

이 이유는, 이러한 광확산층의 두께가 5㎛ 미만의 값으로 되면, 소망의 밀착력이나 유지력이 얻어지기 어려울 뿐아니라, 헤이즈값이 과도하게 낮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the thickness of such a light-diffusing layer is less than 5 μm, it is difficult to obtain desired adhesion and holding power, and the haze value may be excessively low.

한편, 이러한 광확산층의 두께가 30㎛를 초과하면, 경화시간이 길어져, 경제적으로 불리하며, 또한, 기재 등의 광학특성을 열화시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of such a light-diffusing layer exceeds 30 μm, the curing time is prolonged, which is economically disadvantageous, and also may deteriorate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substrate or the like.

따라서, 광확산층의 두께의 하한을 8㎛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the low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to a value of 8 μm or more,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it to a value of 10 μm or more.

또한, 광확산층의 두께의 상한을 25㎛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the upp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to a value of 25 μm or less, and it is further more preferable to set it to a value of 20 μm or less.

여기에서, 도2(c)에 언급하여, 광확산층(스크린과 동일시할 수 있다)의 헤이즈값(특성곡선A) 및 밀착력(특성곡선B)에 대한, 이러한 광확산층의 두께의 영향을 설명한다.Here, referring to Fig. 2(c), the effect of the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which can be equated with a screen) on the haze value (characteristic curve A) and adhesion (characteristic curve B)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will be explained. .

즉, 도2(c)의 횡축으로, 광확산층의 막두께(㎛)를 채택하여 나타내고 있고, 좌종축으로, 헤이즈값(%)을 채택하여 나타내고 있고, 우종축으로, 밀착력(mN/25㎜)을 채택하여 나타내고 있다. That is, in Fig. 2(c),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film thickness (μm)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the left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haze value (%), and the right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adhesion (mN/25 mm ) is adopted.

그리고, 도2(c) 중의 특성곡선A의 거동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광확산층의 막두께가 10㎛로부터 25㎛로 두꺼워짐에 따라, 헤이즈값이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41%로부터 약72%로 상승하여 있다.And, as understood from the behavior of the characteristic curve A in Fig. 2(c), as the film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increases from 10 µm to 25 µm, the haze value tends to increase. More specifically, , rising from about 41% to about 72%.

또한, 특성곡선B의 거동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광확산층의 막두께가 마찬가지로 두꺼워짐에 따라, 밀착력도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55mN/25㎜로부터 약65mN/25㎜로 증가하여 있다.Further, as can be understood from the behavior of the characteristic curve B, as the film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similarly increases, the adhesive strength also shows a tendency to gradually increase, more specifically, from about 55 mN/25 mm to about 65 mN/25 mN/25 mm. It is increased by mm.

따라서, 광확산층의 막두께는, 광확산층의 헤이즈값에 대하여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이러한 수치를 크게 바꿔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효한 영향인자라 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film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on layer has a strong influence on the haze value of the light-diffusion layer, it can be said to be an effective influence factor when controlling such a value by greatly changing it.

또한, 광확산층의 막두께는, 광확산층의 밀착력에 대하여, 약간이지만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이러한 수치를 미묘한 범위로 바꾸고자 하는 경우이어도, 유효한 영향인자라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lm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on layer has a slight effect on the adhesion of the light-diffusion layer, it can be said to be an effective influence factor even in the case where it is desired to change these numerical values within a subtle range.

(4) 영향인자(4) Influencing factor

광확산층에 있어서의 두께를 t(㎛)로 하고, 그것에 포함되는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A(중량부)로 하고, 또한,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을 φ(㎛)로 했을 때에, t×A/φ로 표시되는 영향인자를 3~1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ng layer is t (μm), the amount of organic particulates contained therein is A (parts by weight), an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organic particulates is φ (μm), t × A / It is preferable to set the influence factor represented by φ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3 to 100.

이 이유는, 이와 같은 범위로 영향인자를 제어함에 의해, 헤이즈값이나 밀착력이 소망 범위 내인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을, 더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a stick-on projection screen having a haze value and adhesion within a desired range can be obtained more easily and stably by controlling the influencing factor within such a range.

따라서, t×A/φ로 표시되는 영향인자의 하한을 1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the lower limit of the influence factor represented by t×A/φ to a value of 10 or more, and more preferably to a value of 30 or more.

또한, t×A/φ로 표시되는 영향인자의 상한을 80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the upper limit of the influence factor represented by t×A/φ to a value of 80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to a value of 60 or less.

여기에서, 도3에 언급하여, 광확산층(스크린과 동일시할 수 있다)의 헤이즈값 및 밀착력에 대한, t×A/φ로 표시되는 영향인자의 영향을 설명한다. Here, with reference to FIG. 3, the effect of the influence factor represented by t×A/φ on the haze value and adhesion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which can be equated with a screen) will be explained.

즉, 도3의 횡축으로, 광확산층에 있어서의 t×A/φ로 표시되는 영향인자의 값(-)을 채택하여 나타내고 있고, 좌종축으로, 헤이즈값(%)을 채택하여 나타내고 있고, 우종축으로, 밀착력(mN/25㎜)을 채택하여 나타내고 있다. That is, on the horizontal axis of FIG. 3, the value (-) of the influence factor expressed as t × A / φ in the light diffusion layer is selected and shown, and on the left vertical axis, the haze value (%) is selected and shown, and on the right On the vertical axis, adhesion force (mN/25 mm) is adopted and shown.

그리고, 도3 중의 특성곡선A의 거동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t×A/φ의 값이 커짐에 따라, 현저하게 헤이즈값이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And, as can be understood from the behavior of the characteristic curve A in Fig. 3, as the value of t x A/? increases, the haze value tends to rise remarkably.

보다 구체적으로는, t×A/φ가 5의 경우, 헤이즈값은 약20%로 낮은 값이지만, t×A/φ가 10으로 되면, 헤이즈값은 약40%로 상승하여 있다. 또한, t×A/φ가 20으로 되면, 헤이즈값은 약80%로 되고, 50 이상으로 되면, 헤이즈값은 약95%로 되어, 포화하는 경향이 보이고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xA/φ is 5, the haze value is as low as about 20%, but when txA/φ is 10, the haze value rises to about 40%. Further, when t×A/φ is 20, the haze value is about 80%, and when it is 50 or more, the haze value is about 95%, showing a tendency to saturate.

한편, 특성곡선B의 거동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광확산층에 있어서의 t×A/φ의 값이 커짐에 따라, 밀착력에 대해서는, 서서히 저하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can be understood from the behavior of the characteristic curve B, as the value of t×A/φ in the light-diffusing layer increases, the adhesion strength tends to decrease gradually.

보다 구체적으로는, t×A/φ가 5~25의 경우, 밀착력은 약50~60mN/25㎜의 범위 내의 값이지만, t×A/φ가 30으로 되면, 밀착력은 약50mN/25㎜ 미만의 값으로 저하하여 있다. 또한, t×A/φ가 40으로 되면, 밀착력은 약40mN/25㎜로 저하하고, 60 이상으로 되면, 밀착력은 약20mN/25㎜ 미만의 값이 되는 경향이 보이고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 × A / φ is 5 to 25, the adhesion is a value within the range of about 50 to 60 mN / 25 mm, but when t × A / φ is 30, the adhesion is less than about 50 mN / 25 mm is lowered to the value of Further, when t×A/φ is 40, the adhesive force decreases to about 40 mN/25 mm, and when it becomes 60 or more, the adhesive force tends to be less than about 20 mN/25 mm.

따라서, 광확산층에 있어서의 t×A/φ는, 헤이즈값에 대하여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이러한 수치를 크게 바꿔,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효한 영향인자라 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A/φ in the light-diffusing layer exerts a strong influence on the haze value, it can be said to be an effective influence factor when controlling by greatly changing such a numerical value.

또한, 광확산층에 있어서의 t×A/φ는, 그 밀착력에 대해서도 그나름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이러한 수치를 미묘한 범위로 바꿔,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효한 영향인자라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A/φ in the light-diffusing layer has its own influence on the adhesion, it can be said to be an effective influence factor when changing and controlling such a numerical value in a subtle range.

6. 광제어 부재16. Light control member 1

광제어 부재의 일종으로서, 도4(a)~(b)에 나타내는 이방 광확산성 필름(예를 들면, 루버형 광확산 필름)(20)을, 기재의 표면(광확산층을 갖지 않는 측)에, 더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 kind of light control member, an anisotropic light-diffusing film (e.g., a louver-type light-diffusing film) 20 shown in Figs. Eh, it is preferable to further laminate.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방 광확산성 필름(20)을, 광확산층(14)의 표면측(광입사측)에, 기재(12)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첩부형 복합 프로젝션 스크린(21)으로 하거나, 혹은, 기재를 개재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첩부형 복합 프로젝션 스크린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d), the anisotropic light-diffusing film 20 is indirectly laminated on the surface side (light incident side) of the light-diffusing layer 14 via the substrate 12. It is preferable to use it as a stick-on composite projection screen 21 made of, or as a stick-on composite projection screen formed by directly laminating without intervening a substrate.

그리고, 기재를 개재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이방 광확산성 필름이, 기재로서의 기능을 감당하게 된다.And, in the case of direct lamination without intervening a substrate, the anisotropic light-diffusing film serves as the substrate.

또, 이방 광확산성 필름(20)과, 기재(12)와의 사이에는, 통상,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이 형성하여 있고, 그것에 의해, 양자를 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etween the anisotropic light-diffusing film 20 and the substrate 12, an adhesive layer o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usually formed, and it is preferable to bond the two by this.

즉, 도5 중의 특성곡선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린으로서, 이방 광확산성 필름을 단독 사용했을 경우에는, 헤이즈값을 나타내는 프로필이, 입사각에 의존하여, 비교적 급준하게 변화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That is, as shown in the characteristic curve A in Fig. 5, it is known that when an anisotropic light-diffusing film is used alone as a screen, the profile representing the haze value changes relatively steeply depending on the incident angle.

그래서, 광확산층의, 프로젝터의 광이 입사하는 측에, 이방 광확산성 필름을 적층하고, 이방 광확산성과, 등방 광확산성이 조합된 복합 프로젝션 스크린으로 함에 의해, 특성곡선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이즈값을 나타내는 프로필을, 보다 완만한 것으로 할 수 있다.Therefore, by laminating an anisotropic light-diffusing film on the side of the light-diffusion layer on which light enters the projector, a composite projection screen having a combination of anisotropic light-diffusing property and isotropic light-diffusing property is obtained, as shown in characteristic curve B. , the profile showing the haze value can be made more gentle.

따라서, 이와 같이 헤이즈값의 변화를 완만하게 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프로젝션 스크린에 의하면, 시각자가 화상을 시인하는 각도나, 프로젝터로부터 스크린에의 광의 입사각도에 의하지 않고, 시야각 특성(광확산 입사각도 영역)이 넓어져, 비교적 다수의 시각자가, 양호하고 선명한 화상을, 스크린의 배면측으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composite projection screen formed by gradually changing the haze value in this way,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are improved regardless of the angle at which the viewer perceives the image or the incident angle of light from the projector to the screen. It is widened, and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viewers can view a good and clear image from the back side of the screen.

또한, 이방 광확산성 필름과, 광확산층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프로젝션 스크린이면, 외광에 노출되어 성능열화했을 경우이어도, 광확산층만을 교체하여, 비교적으로 코스트가 높은 이방 광확산성 필름을 재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In addition, if it is a composite projection screen comprising a combination of an anisotropic light-diffusing film and a light-diffusing layer, even when performance is deteriorated due to exposure to external light, only the light-diffusing layer can be replaced and the relatively cost-effective anisotropic light-diffusing film can be reused. There is also the advantage of being there.

또한, 이와 같은 복합 프로젝션 스크린이면, 광확산층만에서는, 헤이즈값이 아직 낮은 경우이어도, 이방 광확산성 필름에 기인한 헤이즈 효과로, 토탈로 해서, 헤이즈값을 보다 높은 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uch a composite projection screen, even if the haze value is still low in only the light-diffusion layer, the haze value can be controlled to a higher value as a total due to the haze effect resulting from the anisotropic light-diffusing film.

여기에서, 도4(a)는, 이방 광확산성 필름(20)의 상면도(평면도)이며, 도4(b)는, 도4(a)에 표시되는 이방 광확산성 필름(20)을, 점선A-A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절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봤을 경우의 이방 광확산성 필름(20)의 단면도이다.Here, Fig. 4(a) is a top view (planar view) of the anisotropic light diffusing film 20, and Fig. 4(b) shows the anisotropic light diffusing film 20 shown in Fig. 4(a). ,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nisotropic light-diffusing film 20 when it is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dotted line A-A and the cut surface is viewed from the direction of the arrow.

이러한 도4(a)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이방 광확산성 필름(20)은, 필름면 방향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굴절율이 높은, 라인상의 고굴절율 경화물(22)과, 상대적으로 굴절율이 낮은, 라인상의 저굴절율 경화물(24)이 교호(交互)로 평행배치된 루버 구조를 구비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4(a), the anisotropic light diffusing film 20 has a linear high refractive index cured product 22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in the film plane direction, and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 It is preferable to have a louver structure in which the line-shaped low refractive index cured products 24 are alternately arranged in parallel.

또한, 도4(b)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고굴절율 경화물(22)과, 저굴절율 경화물(24)은, 각각 소정 두께를 갖고 있고, 이방 광확산성 필름(20)의 수직방향에 있어서도, 교호로 평행배치된 상태를 유지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as shown in FIG. 4(b), the high refractive index cured product 22 and the low refractive index cured product 24 each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re perpendicular to the anisotropic light diffusing film 20. Even in the case, it is preferable to keep the state in which they are alternately arranged in parallel.

또, 고굴절율 경화물이란, 비페닐환을 복수 갖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 등의 자외선 경화물로서, 일례이지만, 굴절율을 1.5~1.6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igh refractive index cured product is an ultraviolet cured product such as a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having a plurality of biphenyl rings, and although it is an example, it is preferable to set the refractive index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1.5 to 1.65.

또한, 저굴절율 경화물이란,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중합물로서, 일례이지만, 그 중량평균 분자량을, 3,000~20,0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굴절율에 대해서는, 1.4~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ow refractive index cured product is a polymer such as urethane (meth)acrylate, and although it is an example, it is preferable to set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3,000 to 20,000, and the refractive index is in the range of 1.4 to 1.5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a value within.

이것에 의해,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각도 영역 내인 경우에는, 이러한 입사광이, 이방 광확산성 필름(20)에 의해, 이방성을 나타내도록 광확산된다.Accordingly, when the incident angle is within the light-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the incident light is light-diffused by the anisotropic light-diffusing film 20 so as to exhibit anisotropy.

즉, 도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방 광확산성 필름(20)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이, 루버 구조(23)의 경계면(23')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에 가까운 소정의 범위 내의 각도(광확산 입사각도 영역 내의 각도)인 경우에는, 입사광(32, 34)은, 루버 구조 내의 고굴절율 경화물(22)의 내부를, 방향을 변화시키면서 막두께 방향에 따라 통과하여, 출광면측에서의 광의 진행방향이 한결같지 않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4(b), the incident angle of incident light to the anisotropic light diffusing film 20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substantially close to parallel with respect to the interface 23' of the louver structure 23. In the case of an angle (angle within the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the incident light rays 32 and 34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cured product 22 in the louver structure along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while changing the direction, and the light exit surfac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ight on the side is not uniform.

그 결과,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각도 영역 내인 경우에는, 입사광(32', 34')이 이방 광확산성 필름(20)에 의해, 소정 방향만으로 확산되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incident angle is within the light-diffusing incident angle region, the incident light 32', 34' is diffused only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the anisotropic light-diffusing film 20.

한편, 이방 광확산성 필름(20)에 대한 입사광(36')의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각도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에는, 입사광(36)은, 이방 광확산성 필름(20)에 의해 광확산되지 않고, 그대로 투과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incident light 36 ′ with respect to the anisotropic light diffusing film 20 is out of the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the incident light 36 is not light diffused by the anisotropic light diffusing film 20. without it, it is transmitted as it is.

7. 광제어 부재27. Light control member 2

또한, 광제어 부재의 일종으로서, 광확산층이란, 별종의 등방 광확산성 필름(예를 들면, 칼럼형 광확산 필름)을, 기재의 표면(광확산층과 접하지 않는 측)에, 더 적층하는 것도 바람직하다.Further, as a type of light control member, a light diffusion layer is formed by further laminating a different type of isotropic light diffusion film (e.g., columnar light diffusion film)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n the side not in contact with the light diffusion layer). is also desirable

즉, 기재의 표면(광확산층과 접하지 않는 측)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개재하여, 등방 광확산성 필름을 적층하는 것에 의해, 혹은, 기재 대신에 등방 광확산성 필름을 직접, 광확산층과 적층하는 것에 의해, 복합 프로젝션 스크린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광확산층만에서는, 헤이즈값이 비교적 낮은 경우이어도, 등방 광확산성 필름에 기인한 헤이즈 효과로, 토탈로 해서, 헤이즈값을 보다 높은 값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That is, by laminating the isotropic light-diffusing film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on the side not in contact with the light-diffusing layer) via an adhesive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or by laminating the isotropic light-diffusing film directly with the light-diffusing layer instead of the base material By doing so, it can be made into a composite projection screen. This is because only in the light-diffusion layer, even if the haze value is relatively low, the haze value can be controlled to a higher value by setting it as total by the haze effect resulting from the isotropic light-diffusing film.

또한, 이와 같은 복합 프로젝션 스크린이면, 외광에 많이 노출되어 성능열화한 경우에, 광확산층만을 교체하여, 비교적 코스트가 높은 칼럼형 광확산 필름에 대해서는, 재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In addition, such a composite projection screen has an advantage that, when performance deteriorates due to exposure to external light, only the light-diffusion layer can be replaced and the relatively expensive columnar light-diffusion film can be reused.

또, 도시까지는 하지 않지만, 상술한 칼럼형 광확산 필름으로서는, 굴절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 중에, 굴절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복수의 주상물을 필름막두께 방향으로 임립(林立)시켜 이루어지는 내부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 등을 들 수 있다.Further, although not shown, the above-described columnar light-diffusion film has an internal structure formed by standing a plurality of columnar objects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in a region having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in a film thickness direction. A film etc. are mentioned.

보다 구체적으로는, 칼럼형 광확산 필름의 수직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는, 굴절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상물과, 굴절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이, 각각 소정의 폭을 갖고 교호로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in a cross section of the columnar light-diffusion film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columnar objects having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and regions having a relatively low refractive index are alternately arranged with a predetermined width, respectively. It is desirable to have

이것에 의해,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각도 영역 내인 경우에는, 입사광이 필름 내에 칼럼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에 의해, 등방성으로 확산된다고 추정된다.From this, it is estimated that when the incident angle is within the light-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the incident light is diffused isotropically by the light-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within the film.

즉, 필름 내에 칼럼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이, 칼럼구조의 경계면에 대하여, 평행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의 값(광확산 입사각도 영역 내의 값)인 것으로 한다.That is, it is assumed that the angle of incidence of incident light to the light-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within the film is a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from parallel to the interface of the columnar structure (value within the light-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그러면, 이러한 입사광은, 칼럼구조 내의 상대적으로 고굴절율의 주상물의 내부를, 방향을 변화시키면서 막두께 방향에 따라 통과하는 것에 의해, 출광면측에서의 광의 진행방향이 한결같지 않게 된다.Then, such an incident light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columnar material in the columnar structure along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while changing the direction, so that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ight on the light exit surface side is not uniform.

그 결과,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각도 영역 내인 경우에는, 입사광이 필름 내에 칼럼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에 의해 확산되어, 확산광이 된다.As a result, when the incident angle is within the light-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the incident light is diffused by the light-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within the film, and becomes diffused light.

한편, 필름 내에 칼럼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각도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에는, 입사광은, 광확산 필름에 의해 확산되지 않고, 그대로 광확산 필름을 투과하여, 투과광이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ngle of incidence of incident light to the light diffusion film having a columnar structure within the film is out of the light diffusion incident angle region, the incident light is not diffused by the light diffusion film and passes through the light diffusion film as it is, and the transmitted light is do.

8. 다른 적층부재8. Other laminated members

(1) 보호필름(1) protective film

또한, 스크린에 있어서의 광확산층의, 기재와는 반대측의 표면에 대하여, 보호필름이 적층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protective film is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in the screen on the opposite side to the base material.

이 이유는, 이와 같이 보호필름을 적층함에 의해, 광확산층에의 오염물의 부착을 방지함과 함께, 스크린의 취급(운반성)이나, 밀착력이나 광확산성의 효과의 재현성을 더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by laminating the protective film in this way, adhesion of contaminants to the light diffusion layer can be prevented, and handling (transportability) of the screen and reproducibility of the effects of adhesion and light diffusion can be improved. Because.

여기에서, 보호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메틸펜텐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불화비닐리덴 필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 실리콘 수지 필름 등의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Here, as the protective film, a polyethylene film, a polypropylene film, a polyolefin film such as polymethylpentene, a polyester film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a polyvinylidene fluoride film, and a polytetrafluorocarbon film. At least 1 sort(s), such as a ethylene film and a silicone resin film, is mentioned.

또, 보호필름에 있어서의 광확산층과 접하는 측의 면은, 불소 수지 등으로 박리 처리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고, 표면 처리하지 않고 상기 필름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on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light diffusion layer is preferably subjected to a peeling treatment with fluororesin or the like, and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the film as it is without surface treatment.

또한, 보호필름의 두께로서는, 통상, 1~10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the value normally within the range of 1-1000 micrometers as thickness of a protective film.

이 이유는, 보호필름이 과도하게 얇아지면, 취급성이 악화하거나, 광확산층을 보호하는 기능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보호필름이 과도하게 두꺼워지면, 마찬가지로, 취급이 곤란하게 되거나, 스크린의 광확산층에 첩부했을 경우에, 롤화가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the protective film is excessively thin, the handleability may deteriorate or the function of protecting the light-diffusing layer may deteriorate. In addition, when the protective film is excessively thick, it is similarly difficult to handle, or it is because roll forming becomes difficult when it is stuck to the light diffusion layer of the screen.

따라서, 보호필름의 두께의 하한을, 1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low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is more preferably 10 μm or more, and more preferably 20 μm or more.

또한, 박리필름의 두께의 상한을, 200㎛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이하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Further, the upp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release film is more preferably 200 µm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100 µm or less.

(2) 반사방지층(2) antireflection layer

또한, 스크린에 있어서, 반사방지층을, 프로젝터의 광의 입사측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scree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n antireflection layer on the incident side of the projector.

구체적으로는, 반사방지층(AR) 또는 저반사층(LR)이 코팅된 플라스틱 필름, 또는 모스아이 필름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plastic film or a moth-eye film coated with the anti-reflection layer (AR) or the low-reflection layer (LR).

또, 반사방지층은, 특정의 각도 범위로부터의 입사광만을 선택적으로 산란하고 그 이외의 각도의 입사광은 투과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이 아닌 점에 있어서, 광확산제어층과는 다른 것이다.Further, the antireflection layer differs from the light diffusion control layer in that it does not have a function of selectively scattering only incident light from a specific angle range and transmitting incident light from other angles.

또한, 반사방지층 및 저반사층에 관해서는, 종래공지의 재료를 상술한 기재로서의 플라스틱 필름 위에 코팅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면 된다. 또한, 종래의 처방에 의해 형성한 모스아이 필름을 기재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nti-reflection layer and the low-reflection layer may be formed by coating a conventionally known material on the plastic film as the base material described above.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 moth-eye film formed by a conventional formulation as a base material.

(3) 기타(3) Other

또한, 보강판, 하드코트층, 대전방지층, 자외선흡수층, 자외선반사층, 및 색상조정층, 반사판 등은, 본 발명 의 효과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측에 마련해도 되고, 기재 자체에 당해 기능을 부여시켜도 된다.In addition, a reinforcing plate, a hard coat layer, an antistatic layer, an ultraviolet ray absorbing layer, an ultraviolet ray reflective layer, a color adjustment layer, a reflector, etc.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ubstrate as necessary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ernatively, the function may be imparted to the substrate itself.

9. 제조방법9. Manufacturing method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크린은, 상술의 각종 재료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할 수 있다.The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produced, for example, in the following manner using the various materials described above.

(1) 제1공정(1) First process

제1공정은, 실리콘 수지와, 유기 미립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공액을 작성하는 공정이다.A 1st process is a process of creating the coating liquid which consists of a silicone resin and organic particulates.

따라서, 우선은, 교반장치 부착의 용기 내에, 소정량의 톨루엔이나 메틸에틸케톤 등의 유기용제를 수용한다.Therefore, first, a predetermined amount of an organic solvent such as toluene or methyl ethyl ketone is accommodated in a container equipped with a stirrer.

이어서, 소정량의 유기 미립자를 투입하고, 균일하게 분산하기까지, 교반장치를 사용하여, 용기 내를 교반한다.Next,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s stirred using a stirring device until a predetermined amount of organic particulates are introduced and uniformly dispersed.

이어서, 소정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과로 이루어지는 부가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 대하여, 소정량의 백금 촉매와, 소망에 따라, 3관능성 혹은 4관능성의 실록산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투입하고, 균일상태로 될때까지, 교반장치를 사용하여, 용기 내를 교반한다.Next, with respect to the addition-type organopolysiloxane composed of a predetermined organopolysiloxane and an organohydrogenpolysiloxane, a predetermined amount of a platinum catalyst and a polyorganosiloxane containing a trifunctional or tetrafunctional siloxane unit as desired. is added, an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s stirred using a stirrer until a uniform state is obtained.

최후에, 용기 내를 교반하면서, 소정량의 톨루엔이나 메틸에틸케톤 등의 유기용제를 더 추가하여, 고형분 농도가 소정값(예를 들면, 20중량%)이 되도록 희석하여, 도공액으로 한다.Finally, while stirring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 predetermined amount of an organic solvent such as toluene or methyl ethyl ketone is further added to dilute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to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20% by weight) to obtain a coating solution.

(2) 제2공정(2) Second process

제2공정은, 얻어진 도공액을, 소정 기재 위에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공정이다.The second step is a step of applying the obtained coating solution onto a predetermined substrate and drying it.

즉, 얻어진 실리콘 수지용액 도공액을, 도포장치, 예를 들면, 나이프 코터나 어플리케이터, 또한, 롤 코터 등을 사용하여, 기재 표면에 도막을 형성한다.That is, a coating film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by using a coating device such as a knife coater or an applicator, or a roll coater, for the obtained silicone resin solution coating solution.

이어서, 소정 조건에서 도막을 가열 처리하고, 유기용제(톨루엔이나 메틸에틸케톤 등)를 비산시켜 건조시킴과 함께, 실리콘 수지 성분을 반응시켜, 기재 위에, 유기 미립자를 균일하게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정 광확산층을 형성한다.Subsequently, the coating film is heat treated under predetermined conditions, organic solvents (toluene, methyl ethyl ketone, etc.) are dispersed and dried, and the silicone resin component is reacted to form a predetermined light diffusion layer uniformly containing organic fine particles on the substrate form

그 때의 가열 처리 조건으로서는, 실리콘 수지의 종류나 촉매의 첨가량 등에 따라서도 바뀌지만, 통상, 가열온도 120~160℃, 가열시간 0.5~10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열온도 125~140℃, 가열시간 1~5분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heat treatment conditions at that time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silicone resin, the amount of catalyst added, etc., but usually, a heating temperature of 120 to 160 ° C. and a heating time of about 0.5 to 10 minutes are preferable, and a heating temperature of 125 to 140 ° C.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heating time is about 1 to 5 minutes.

즉, 이와 같이 도포, 건조 처리 등을 거쳐, 기본적으로 소정 기재와, 소정 광확산층으로 구성된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으로 할 수 있다.That is, through coating, drying, and the like in this manner, it is possible to obtain a stick-on type projection screen basically composed of a predetermined substrate and a predetermined light diffusion layer.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스크린)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dhesive projection screen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단, 말할 것도 없이, 본 발명의 범위가, 특단의 이유없이, 이들의 실시예 등의 기재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needless to sa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description of these Examples and the like without particular reasons.

[실시예1][Example 1]

1. 스크린의 제작1. Fabrication of the screen

교반장치 부착의 용기 내에, 실리콘 수지로서, 실록산 결합을 주골격으로 하고 비닐기를 갖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과로 이루어지는 부가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신에츠가가쿠고교(주)제, KS-847H, 굴절율 : 1.43) 100중량부(고형분 환산값을 나타낸다, 이하 동일)에 대하여, 백금 촉매(신에츠가가쿠고교(주)제, PL-50T) 0.03중량부와, 가교 폴리메타크릴산메틸(PMMA) 입자(세키스이카세이힌고교(주)제, SSX-104, 평균입경 : 4㎛, 굴절율 : 1.49)를 수용했다.In a container equipped with a stirrer, as a silicone resin, an addition-type organopolysiloxane composed of an organopolysiloxane having a siloxane bond as a main skeleton and having a vinyl group and an organohydrogenpolysiloxane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Ltd., KS-847H) , Refractive index: 1.43) 0.03 parts by weight of a platinum catalyst (PL-50T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Industry Co., Ltd.) and crosslinked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 particles (Sekisui Kaseihin Kogyo Co., Ltd., SSX-104, average particle diameter: 4 μm, refractive index: 1.49) were accommodated.

이어서, 용기 내의 배합성분인 실리콘 수지 등을 교반하면서, 소정량의 메틸에틸케톤을 더 추가하여, 고형분 농도가 20중량%가 되도록 희석하여, 도공액으로 했다.T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methyl ethyl ketone was further added while stirring the silicone resin or the like as a blending component in the container, and the mixture was diluted to a solid concentration of 20% by weight to obtain a coating solution.

이어서, 얻어진 도공액을,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PET 필름(도레(주)제, 루미라U48, 두께 : 125㎛, 가시광 투과율 : 89%)의 이접착(易接着) 처리면측에 대하여 도포하고, 130℃, 2분간의 가열 처리를 하여, 두께15㎛의 광확산층을 기재의 편면에 구비한, 스크린을 얻었다.Next, the obtained coating liquid was applied to the easily adhesive treated surface side of a PET film (Lumira U48, manufactured by Tore Co., Ltd., thickness: 125 μm, visible light transmittance: 89%) using an applicator,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at 130° C. for 2 minutes to obtain a screen having a light diffusio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5 μm on one side of the base material.

또, 상기 PET 필름은, 150℃, 1시간 가열후의 MD방향 및 TD방향의 열수축율은, 각각 0.9% 및 0.4%이었다.Further, the heat shrinkage of the PET film in the MD direction and the TD direction after heating at 150°C for 1 hour was 0.9% and 0.4%, respectively.

2. 스크린의 평가2. Screen evaluation

(1)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값(1) Total light transmittance and haze value

JIS K 7136:2000에 준거하고, 헤이즈미터로서 NDH-5000(니혼덴쇼쿠고교(주)제, 적분구식 광선 투과율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광확산층측이 입사광측이 되도록 스크린을 설치하여, 스크린의 헤이즈값(담가, %)을 측정했다.In accordance with JIS K 7136: 2000, using an NDH-5000 (Nippon Denshoku Kogyo Co., Ltd., integrating sphere type light transmittance measuring device) as a haze meter, a screen is installed so that the light diffusion layer side is the incident light side, and the screen The haze value (soak, %) of was measured.

즉, 적분구식 광선 투과율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스크린의 전광선 투과율 및 확산 투과율을 각각 측정하고, 하식(2) 및 (3)에 의해 헤이즈값을 산출했다.That is,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and the diffuse transmittance of the screen were respectively measured using an integrating sphere type light transmittance measuring device, and the haze value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s (2) and (3).

헤이즈값(%)=확산 투과율(%)/전광선 투과율(%)×100 (2)Haze value (%) = diffuse transmittance (%) / total light transmittance (%) × 100 (2)

확산 투과율(%)=전광선 투과율(%)-평행 광선 투과율(%) (3)Diffuse transmittance (%) = Total light transmittance (%) - Parallel light transmittance (%) (3)

(2) 밀착력(2) adhesion

JIS Z 0237:2000에 준거하고, 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유리판에 대한 스크린(폭 : 25㎜)의 밀착력(180° 박리력, 박리속도 300㎜/분)을 측정했다.In accordance with JIS Z 0237:2000, the adhesion (180° peel force, peel speed: 300 mm/min) of the screen (width: 25 mm) to the glass plate was measured using a tensile tester.

(3) 투영성(3) projection

스크린의 투영성을, 이하의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The projection property of the screen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즉, 스크린을, 10cm×10cm의 정방형으로 커트하여, 그것을, 유리판에 첩부하여, 유리판 위에 스크린이 첩부된 샘플을 얻었다.That is, the screen was cut into a square of 10 cm x 10 cm, and it was affixed to a glass plate to obtain a sample in which the screen was affixed on the glass plate.

이어서, 미니프로젝터PP-D1(온쿄디지털솔루션(주)제)를 사용하여, 스크린의 기재측으로부터 샘플에 소정 화상을 투영했다. 이 때, 프로젝터로부터 조사된 광선은, 상기 샘플 평면의 법선에 대하여 하향 30°의 각도로 입사하도록 조사했다.Next, a predetermined image was projected onto the sample from the substrate side of the screen using a mini projector PP-D1 (manufactured by Onkyo Digital Solutions Co., Ltd.). At this time, the light ray irradiated from the projector was irradiated so as to be incident at an angle of 30 degrees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normal line of the sample plane.

그리고, 유리판의 스크린 비첩부면측으로부터, 샘플 평면의 법선 방향(0°)으로부터, 혹은, 샘플 평면의 법선 방향 하향 30°의 방향(30°)으로부터, 소정 화상을 목시 관찰하고, 투영성을, 이하의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Then, the predetermined image was visually observed from the screen non-sticking surface side of the glass plate, from the normal direction (0 °) of the sample plane, or from a direction (30 °) 30 ° downward in the normal direction of the sample plane, and the projection properties, Evaluation was made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또, 이하의 기준에 있어서의 밝은 환경이란, 형광등이 켜져 있는 방에서, 샘플 위치에서 측정기를 형광등의 방향을 향하여 측정하면 800룩스, 샘플과 마찬가지로 배치하여 측정하면 400룩스를 나타내는 환경을 말한다. 한편, 어두운 환경이란, 형광등을 끈 암실상태를 말한다.In addition, the bright environment in the following standards refers to an environment in which 800 lux is obtained when the measuring instrument is measured facing the direction of the fluorescent light at the sample position in a room where a fluorescent lamp is lit, and 400 lux is obtained when measured in the same way as the sample. On the other hand, a dark environment refers to a dark room state in which fluorescent lamps are turned off.

◎ : 밝은 환경하에서도 화상이 매우 선명하게 보임◎ : The image is very clear even in a bright environment.

○ : 밝은 환경하에서도 화상이 선명하게 보임○: The image is clearly visible even in a bright environment.

△ : 밝은 환경하에서는 화상이 불선명하지만, 어두운 환경하이면 선명하게 보임△: The image is blurry in a bright environment, but is clearly visible in a dark environment.

× : 어두운 환경하에서도 화상이 불선명함×: The image is blurry even in a dark environment.

(4) 첩부성(4) adhesiveness

스크린의 첩부성을, 이하의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The adhesion of the screen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즉, 스크린을, 횡6cm, 종14cm의 장방형 사이즈로 커트하여, 그것을, 유리판에 첩부했을 때의 에어 빠짐 상태를 목시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That is, the screen was cut into a rectangular size of 6 cm in width and 14 cm in length, and the state of air bleeding when it was attached to a glass plate was visually observ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 수작업이어도, 간단하게 에어 빠짐이 가능함◎: Even if it is done by hand, air can be easily discharged.

○ : 수작업에서는 에어 빠짐이 불충분하지만, 스퀴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에어 빠짐이 가능함○: Air bleeding is insufficient by manual work, but air bleeding is easily possible by using a squeegee.

△ : 스퀴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에어 빠짐이 가능함△: By using a squeegee, air can escape

× : 에어 빠짐이 곤란함×: Air escape is difficult

(5) 재박리성(5) Repeelability

스크린의 재박리성을, 이하의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The re-peelability of the screen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즉, 상술한 스크린의 첩부성 평가를 행한 후, 유리판으로부터 벗겨, 광확산층을 포함하여 스크린의 상태를 목시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에 따라 재박리성을 평가했다.That is, after evaluating the stickability of the above-described screen, it was peeled off from the glass plate, the state of the screen including the light-diffusing layer was visually observed, and the re-peelability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 수작업으로 간단하게 유리판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고, 광확산층의 변형없고, 재첩부해도 에어가 혼입하지 않음◎: It can be easily peeled off from the glass plate manually, there is no deformation of the light-diffusing layer, and no air is mixed even if it is re-applied.

○ : 수작업으로 유리판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고, 광확산층의 변형없고, 스퀴지를 사용하여 재첩부하는 것으로 에어가 혼입하지 않음○: It can be peeled off from the glass plate manually, there is no deformation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and air is not mixed by reapplying using a squeegee.

△ : 유리판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지만, 광확산층이 변형하고, 재첩부후의 에어 빠짐성이 저하함△: It can be peeled off from the glass plate, but the light diffusion layer is deformed and the air release property after laminating is reduced.

× : 유리판으로부터 박리할 수 없거나, 또는, 박리시에 광확산층이 파괴되고, 광확산층의 일부가 유리판에 남음×: Unable to peel from the glass plate, or the light-diffusion layer is destroyed during peeling, and a part of the light-diffusion layer remains on the glass plate

(6) 밀착내구성(히트사이클 시험)(6) Adhesion durability (heat cycle test)

스크린의 밀착내구성을, 이하의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The adhesion durability of the screen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즉, 스크린을, 10cm×10cm의 정방형으로 재단하고, 그 광확산층측을, 유리판에 첩부하여, 유리판 위에 스크린이 첩부된 샘플을 얻었다. 샘플은 마찬가지로 하여 10매 준비했다.That is, the screen was cut into a square of 10 cm x 10 cm, and the light-diffusion layer side was affixed to a glass plate to obtain a sample in which the screen was affixed on the glass plate. Ten sample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이어서, 샘플 10매에 대하여, 각각에 대해, -35℃, 70℃를 각 30분간씩 교호로 반복하는 히트사이클 시험을 250시간 행한 후, 샘플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고, 밀착내구성의 평가로 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Then, for 10 samples, a heat cycle test in which -35°C and 70°C were alternately repeated for 30 minutes each was performed for 250 hours, and then the sample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and adhesion durability was evaluated. did. The obtained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 : 샘플10매에 있어서 스크린의 벗겨짐이 보이지 않았음◎: No peeling of the screen was observed in 10 samples.

○ : 샘플1~2매에 있어서 스크린의 벗겨짐이 보였음○: Peeling of the screen was observed in 1 to 2 samples

△ : 샘플3~5매에 있어서 스크린의 벗겨짐이 보였음△: Peeling of the screen was observed in 3 to 5 samples

× : 샘플6~10매에 있어서 스크린의 벗겨짐이 보였음×: Peeling of the screen was observed in 6 to 10 samples

[실시예2~4][Examples 2-4]

실시예2~4에 있어서, 실리콘 수지에 대한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의 영향을 검토했다.In Examples 2 to 4, the influence of the blending amount of the organic particulates on the silicone resin was examined.

즉, 실시예2에 있어서는,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10중량부로 하고, 실시예3에 있어서는,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15중량부로 하고, 실시예4에 있어서는,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1중량부로 한 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스크린을 작성하고, 헤이즈값 등을 측정했다. 각각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That is, in Example 2, the blending amount of organic particulates was 10 parts by weight, in Example 3, the blending amount of organic particulates was 15 parts by weight, and in Example 4, the blending amount of organic particulates was 1 part by weight. In the same way as in Example 1, a screen was created and haze value and the like were measured. The results obtained respectively are shown in Table 1.

[실시예5~6][Examples 5-6]

실시예5~6에 있어서, 광확산층의 두께의 영향을 검토했다.In Examples 5 and 6, the influence of the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was examined.

즉, 실시예5에 있어서는, 광확산층의 두께를 10㎛로 하고, 실시예6에 있어서는, 광확산층의 두께를 25㎛로 한 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스크린을 작성하고, 헤이즈값 등을 측정했다. 각각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That is, in Example 5, the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on layer was set to 10 μm, and in Example 6, the scree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light-diffusion layer was set to 25 μm, and the haze value, etc. was measured. The results obtained respectively are shown in Table 1.

[실시예7~9][Examples 7 to 9]

실시예7~9에 있어서, 실리콘 수지에 배합하는 유기 미립자의 종류(평균입경의 차이를 포함한다)를 검토했다.In Examples 7 to 9, the types of organic particulates to be blended with the silicone resin (including differences in average particle diameter) were examined.

즉, 실시예7에 있어서는, 유기 미립자의 종류를 PMMA 입자(세키스이카세이힌고교(주)제, SSX-104, 평균입경 : 4㎛, 굴절율 : 1.49)로부터, PMMA 입자(세키스이카세이힌고교(주)제, SSX-102, 평균입경 : 2㎛, 굴절율 : 1.49)로 하고, 실시예8에 있어서는, 마찬가지로 유기 미립자의 종류를 PMMA 입자(세키스이카세이힌고교(주)제, SSX-108, 평균입경 : 8㎛, 굴절율 : 1.49)로 하고, 실시예9에 있어서는, 마찬가지로 유기 미립자의 종류를 가교 폴리스티렌 입자(소켄가가쿠(주)제, SX-350, 평균입경 : 3.5㎛, 굴절율 : 1.60)로 한 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스크린을 작성하고, 헤이즈값 등을 측정했다. 각각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That is, in Example 7, the type of organic fine particles was selected from PMMA particles (Sekisui Kaseihin Kogyo Co., Ltd., SSX-104, average particle diameter: 4 μm, refractive index: 1.49), PMMA particles (Sekisui Kaseihin Kogyo Co., Ltd.) Co., Ltd., SSX-102, average particle diameter: 2 μm, refractive index: 1.49), and in Example 8, similarly, the type of organic particulates was PMMA particles (Sekisui Kaseihin Kogyo Co., Ltd., SSX-108). , average particle diameter: 8 μm, refractive index: 1.49), and in Example 9, similarly, the type of organic particulates was cross-linked polystyrene particles (SX-350 manufactured by Soken Chemical Co., Ltd., average particle diameter: 3.5 μm, refractive index: 1.60), a screen was created and the haze value and the like were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results obtained respectively are shown in Table 1.

[실시예10][Example 10]

실시예10에 있어서, 기재와, 광확산층과의 사이에, 이방 광확산성을 구비한 광제어 부재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첩부형 복합 프로젝션 스크린을 작성하고, 그 영향을 검토했다.In Example 10, a stick-on composite projection screen comprising a light control member having an anisotropic light diffusing property provided between the base material and the light diffusing layer was created, and the effect thereof was examined.

즉, 이방 광확산성을 구비한 광제어 부재로서, 도4에 나타내는 이방 광확산성 필름을 준비했다.That is, as a light control member having an anisotropic light-diffusing property, an anisotropic light-diffusing film shown in FIG. 4 was prepared.

또, 이러한 이방 광확산성 필름은, 이하의 수순에 따라 작성했다.In addition, this anisotropic light-diffusing film was cre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

<이방 광확산성 필름용 조성물의 조제><Preparation of composition for anisotropic light-diffusing film>

교반장치 부착의 용기 내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과,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와,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를 반응시켜, 중량평균 분자량 9,900의 폴리에테르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파장589nm에 있어서의 굴절율1.46)를 얻었다.In a container equipped with a stirrer, polypropylene glycol, isophorone diisocyanate, and 2-hydroxyethyl methacrylate were reacted to form polyether urethane methacrylat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9,900 (refractive index at 589 nm: 1.46 ) was obtained.

이어서, 얻어진 폴리에테르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o-페닐페녹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가가쿠(주)제, NK에스테르 A-LEN-10; 파장589nm에 있어서의 굴절율1.58) 100중량부와, 광중합개시제로서의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5중량부를 첨가한 후, 80℃의 조건하에서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을 행하여, 이방 광확산성 필름용 조성물을 얻었다.Nex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obtained polyether urethane methacrylate, o-phenylphenoxyethoxyethyl acrylate (manufactured by Shin-Nakamura Chemical Co., Ltd., NK Ester A-LEN-10; refractive index at a wavelength of 589 nm 1.58 ) After adding 100 parts by weight and 5 parts by weight of 2-hydroxy-2-methylpropiophenone a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they were mixed until uniform under conditions of 80°C to obtain a composition for an anisotropic light-diffusing film. .

<이방 광확산성 필름용 조성물의 도포><Application of Composition for Anisotropic Light-Diffusing Film>

이어서, 얻어진 이방 광확산성 필름용 조성물을, 공정 시트로서의 PET 필름 위에,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도포하여, 막두께200㎛의 광경화성 수지층을 얻었다.Next, the obtained composition for an anisotropic light-diffusing film was applied onto a PET film as a process sheet using an applicator to obtain a photocurable resin layer having a film thickness of 200 µm.

<광경화성 수지층의 경화><Curing of photocurable resin layer>

이어서, 얻어진 PET 필름과 광경화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컨베이어 위에 PET 필름측이 접하도록 설치함과 함께, 광경화성 수지층의 상방에, 선상의 자외선 램프를 내장하는 자외선 조사장치(아이그라픽스(주)제, ECS-4011GX)를, 컨베이어의 흐름 방향과 선상의 자외선 램프의 긴 쪽 방향이 이루는 각이 직각이 되도록 설치했다. 또한, 자외선 조사장치와 그것에 대응하는 컨베이어 부분까지를, 외광이 들어가지 않도록 박스화함과 함께, 자외선 조사장치로부터 발하는 자외선이 컨베이어의 흐름 방향(광경화성 수지층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 대략 평행광이 되도록 2매의 차광판으로 광경화성 수지층의 흐름 방향의 자외선의 조사폭을 조정했다. 이 때, 광경화성 수지층의 표면에 조사되는 자외선이, 선상의 자외선 램프의 긴 쪽 방향에서 봤을 때, 광경화성 수지층의 법선 방향을 0°로 했을 경우에, 램프로부터의 직접의 자외선의 조사각도가 30°가 되도록 설정했다. 또, 자외선 램프는, 그 긴 쪽 방향과 상기 적층체의 긴 쪽 방향이 이루는 각이 직각이 되도록 설치했다.Subsequently, a laminate composed of the obtained PET film and the photocurable resin layer is installed on a conveyor so that the PET film side is in contact with it, and an ultraviolet irradiation device (Igraphix ( Co., Ltd., ECS-4011GX) was installed so that the angle formed by the flow direction of the conveyor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V lamp on the ship was a right angle. In addition, the ultraviolet irradiation device and even the conveyor portion corresponding to it are boxed so that outside light does not enter, and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the ultraviolet irradiation device are substantially parallel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conveyor (the flow direction of the photocurable resin layer). The irradiation width of ultraviolet rays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photocurable resin layer was adjusted using two light-shielding plates as much as possible. At this time, the ultraviolet rays irradiated to the surface of the photocurable resin layer, when the normal direction of the photocurable resin layer is set at 0 ° when viewed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ear ultraviolet lamp, direct irradiation of ultraviolet rays from the lamp The angle was set to be 30°. In addition, the ultraviolet lamp was installed so that the angle formed by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ove laminate was a right angle.

그리고, 광경화성 수지층 표면에 있어서의 피크조도가 10mW/㎠, 적산광량이 80mJ/㎠가 되도록 공기 분위기하에서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컨베이어에 의해, 적층체를 그 긴 쪽 방향으로, 0.2m/분의 속도로 이동시켰다.Then, while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in an air atmosphere so that the peak illuminance on the surface of the photocurable resin layer is 10 mW/cm 2 and the accumulated light amount is 80 mJ/cm 2 , the laminate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 conveyor at 0.2 m/min. moved at a speed of

<후처리><Post-processing>

이어서, 광경화성 수지층의 표면에 박리필름(린텍(주)제, SP-PET382050)를 적층하고, 그것 이외는 상기 공정과 같은 조건에서 자외선 조사를 행했다.Next, a release film (SP-PET382050, manufactured by Lintec Co., Ltd.) was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curable resin layer, and ultraviolet irradiation was perform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the above step except for that.

이것에 의해, 총두께200㎛, 단면 라인상의 경화물의 경사각도22°(필름 평면의 법선 방향이 0°), 루버 구조의 두께 방향의 길이165㎛의 이방 광확산성 필름을 얻었다. 또, 총두께는 정압 두께 측정기(다카라세이사쿠쇼(주)제, 테크롯쿠 PG-02J)에 의해 측정하고, 단면 라인상의 경화물의 경사각도 및 길이에 대해서는, 전자현미경 사진에 의거하여 측정했다.As a result, an anisotropic light-diffusing film having a total thickness of 200 μm, an inclination angle of the cured product on the cross-sectional line of 22° (the normal direction of the film plane is 0°), and a louver structur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165 μm was obtained. In addition, the total thickness was measured with a static pressure thickness measuring instrument (Tekrok PG-02J, manufactured by Takara Seisakusho Co., Ltd.), and the inclination angle and length of the cured product on the cross-sectional line were measured based on electron micrographs.

이어서, 준비한 이방 광확산성 필름을, 그 공정시트로부터 박리하고, 그 노출면을, 시판의 아크릴계 접착제로, 실시예2에서 얻어진 스크린의 기재측에 첩부하는 것에 의해, 이방 광확산성 필름, 기재(PET 필름), 및 광확산층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첩부형 복합 프로젝션 스크린을 제작했다.Next, the prepared anisotropic light diffusing film was peeled off from the process sheet, and the exposed surface was attached to the substrate side of the screen obtained in Example 2 with a commercially available acrylic adhesive, thereby forming an anisotropic light diffusing film and a substrate. (PET film) and a light diffusion layer were laminated in this order to produce a stick-on composite projection screen.

그리고, 헤이즈값 등의 각종 시험은, 이방 광확산성 필름 상의 박리필름을 벗겨,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측정했다.And various tests, such as a haze value, peeled off the peeling film on an anisotropic light-diffusing film, and measured similarly to Example 1.

단, 스크린의 투영성의 평가에 대해서는, 프로젝터의 광선과, 단면 라인상의 경화물의 경사각도가 가장 얕은 각도가 되도록(이방 광확산성 필름 제작시의 자외선 조사방향과 프로젝터의 광선의 조사방향이 대략 일치하는 방향) 스크린과 유리의 적층체의 상하좌우를 조정하여 행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However, for the evaluation of the projection property of the screen, the angle of inclination between the light beam of the projector and the cured material on the cross-sectional line is the shallowest angle (the direction of irradiation of ultraviolet rays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anisotropic light-diffusing film and the direction of irradiation of the projector's rays are substantially coincident). direction) It performed by adjusting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of the laminated body of a screen and glass. The obtained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1에 있어서, 광확산층에 있어서의 실리콘 수지 중에, 유기 미립자를 전혀 배합하지 않은, 즉, 그 배합량을 0중량부한 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스크린을 작성하고, 헤이즈값 등을 측정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In Comparative Example 1, a screen was cre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no organic particulates were blended into the silicone resin in the light-diffusing layer, that is, the blending amount was 0 parts by weight, and the haze value and the like were adjusted. Measured. The obtained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2에 있어서, 광확산층에 있어서의 실리콘 수지에 대한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17중량부로 한 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스크린을 작성하고, 헤이즈값 등을 측정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In Comparative Example 2, except that the blending amount of the organic particulates relative to the silicone resin in the light-diffusing layer was 17 parts by weight, a screen was created and the haze value and the like were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obtained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3에 있어서, 광확산층에 있어서의 유기 미립자의 종류를 SSX-104로부터, 토스파루145(도레(주)제, 평균입경 : 4.5㎛, 굴절율 : 1.43)로 하고, 그 배합량을 5중량부로 한 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스크린을 작성하고, 헤이즈값 등을 측정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In Comparative Example 3, the type of organic particulates in the light diffusion layer was SSX-104 and Tospar 145 (manufactured by Tore Co., Ltd., average particle size: 4.5 μm, refractive index: 1.43), and the blending amount was 5 parts by weight. Except for the above, a screen was created and haze value and the like were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obtained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교반장치 부착의 용기 내에, 아크릴산부틸 98.5중량%와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1.5중량%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중량평균 분자량 200만의 아크릴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소켄가가쿠(주)제, 제품명TD-75) 0.2중량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신에츠가가쿠고교(주)제, 제품명KBM-403) 0.2중량부, 및 PMMA 입자(세키스이카세이힌고교(주)제, SSX-104, 평균입경 : 4㎛, 굴절율 : 1.49) 3중량부를 수용하고, 각각 아세트산에틸 중에서 혼합하는 것에 의해 도공액을 얻었다.In a container equipped with a stirrer, trimethylolpropane-modified xylylene diisocyanate (small 0.2 parts by weight of Kengaku Co., Ltd., product name TD-75), 0.2 parts by weight of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Shin-Etsu Chemical Co., Ltd., product name KBM-403), and PMMA particles (Seki SSX-104 manufactured by Suika Seihin Kogyo Co., Ltd., average particle diameter: 4 μm, refractive index: 1.49) 3 parts by weight were received and mixed in ethyl acetate to obtain a coating solution.

이어서, 얻어진 도공액을, PET 필름(도레(주)제, 루미라U48, 두께 : 125㎛)의 이접착 처리면측에 대하여 도포하고, 90℃, 1분간의 가열 처리를 하여, 그 후, 실온하, 1주간 양생시켰다. 이것에 의해,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두께15㎛의 광확산층을 기재의 편면에 구비한, 스크린을 작성했다.Next, the obtained coating solution was applied to the adhesion easily treated surface side of a PET film (Lumira U48, manufactured by Toray Co., Ltd., thickness: 125 μm), followed by heat treatment at 90° C. for 1 minute, and then at room temperature Ha, it was cured for 1 week. In this way, a screen was created in which a light diffusion layer made of acrylic resin and having a thickness of 15 μm wa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material.

그리고,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얻어진 스크린의 헤이즈값 등을 측정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Then, as in Example 1, the haze value and the like of the resulting screen were measured. The obtained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비교예5][Comparative Example 5]

비교예5에 있어서, 미립자의 종류를 SSX-104로부터, 토스파루145(도레(주)제, 평균입경 : 4.5㎛, 굴절율 : 1.43)로 하고, 또한, 미립자의 배합량을 4.45중량부로 한 이외는, 비교예4에 준하여, 스크린을 작성하고, 헤이즈값 등을 측정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In Comparative Example 5, except that the type of fine particles was set to SSX-104 and Tospar 145 (manufactured by Tore Co., Ltd., average particle diameter: 4.5 µm, refractive index: 1.43), and the blending amount of fine particles was 4.45 parts by weight. ,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4, a screen was created and haze value and the like were measured. The obtained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표1][Table 1]

Figure 112021113716534-pat00008
Figure 112021113716534-pat00008

10 :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스크린)
12 : 기재
14 : 광확산층
14a : 실리콘 수지
14b : 유기 미립자
16 : 박리필름
18 : 피착체(창유리나 쇼케이스 등)
20 : 광제어 부재(이방 광확산성 필름)
21 : 첩부형 복합 프로젝션 스크린
22 : 고굴절율 경화물
23 : 루버 구조
24 : 저굴절율 경화물
36 : 입사광
10: Attached projection screen (screen)
12: materials
14: light diffusion layer
14a: silicone resin
14b: organic fine particles
16: release film
18: Adhesion (window glass, showcase, etc.)
20: light control member (anisotropic light diffusing film)
21: adhesive composite projection screen
22: high refractive index cured material
23: louver structure
24: low refractive index cured material
36: incident light

Claims (8)

기재와, 광확산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광확산층이, 실리콘 수지와, 평균입경이 1~10㎛의 유기 미립자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광확산층의 두께를 5~3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광확산층측에 있어서의, JIS Z 0237:2009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180° 박리력을 20~200mN/2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또한,
JIS K 7136:2000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헤이즈값을 2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
It is composed of a substrate and a light diffusion layer,
The light diffusion layer contains a silicone resin and organic particulat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 to 10 μm,
The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is set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5 to 30 μm,
The 180 ° peel forc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Z 0237: 2009 on the light diffusion layer side is a value within the range of 20 to 200 mN / 25 mm, and
An adhesive projection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haze valu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K 7136:2000 is a value of 20%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상기 실리콘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15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
According to claim 1,
A stick-on projection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ounding amount of the organic particulate is within a range of 1 to 1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ilicone resi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의 두께를 t(㎛)로 하고, 상기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을 φ(㎛)와, 상기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A(중량부)로 했을 때에, t/φ×A로 표시되는 영향인자를 3~1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n the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is t (μm),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organic particulates is φ (μm), and the blending amount of the organic particulates is A (parts by weight), the effect expressed by t / φ × A A stick-on projection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factor is set to a value within the range of 3 to 10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수지와, 상기 유기 미립자와의 굴절율차를 0.02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
According to claim 1 or 2,
A stick-on projection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silicone resin and the organic fine particles is 0.02 or mor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두께를 50~25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
According to claim 1 or 2,
A stick-on projection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is in the range of 50 to 250 μ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열수축율을, 150℃, 1시간 가열후의 MD방향 및 TD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 대해서도 2%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
According to claim 1 or 2,
A stick-on projection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shrinkage of the base material is set to a value of 2% or less in any one of the MD direction and the TD direction after heating at 150°C for 1 hou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표면 및 배면, 혹은 어느 한쪽에, 이방 광확산성 또는 등방 광확산성을 갖는 광제어 부재가 더 마련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
According to claim 1 or 2,
A stick-on projection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a light control member having an anisotropic light diffusing property or an isotropic light diffusing property is further provided on one of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substra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의, 상기 기재와는 반대측의 표면에 대하여, 보호필름이 적층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
According to claim 1 or 2,
A stick-on projection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a protective film is laminated on a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opposite to the base material.
KR1020160174318A 2016-03-30 2016-12-20 Pasting projection screen KR10251586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68549 2016-03-30
JP2016068549A JP6633955B2 (en) 2016-03-30 2016-03-30 Stick-on projection scr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982A KR20170112982A (en) 2017-10-12
KR102515861B1 true KR102515861B1 (en) 2023-03-31

Family

ID=60006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318A KR102515861B1 (en) 2016-03-30 2016-12-20 Pasting projection screen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33955B2 (en)
KR (1) KR102515861B1 (en)
CN (1) CN107290922B (en)
TW (1) TWI707772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9159529A1 (en) * 2018-02-16 2021-02-18 Eneos株式会社 Video projection system
CN109683442A (en) * 2019-01-30 2019-04-26 广州悦荣欣科技有限公司 The soft laser television screen of adhesive type
JP2020134830A (en) * 2019-02-22 2020-08-31 Eneos株式会社 Image projection system
CN112940609A (en) * 2019-12-11 2021-06-11 四川尚视科技有限公司 Color film composition for laser anti-light screen and preparation method of color film
CN112940618A (en) * 2019-12-11 2021-06-11 四川尚视科技有限公司 Light diffusion film composition for laser anti-light screen and preparation method of light diffusion film
CN112946986B (en) * 2019-12-11 2022-04-01 四川尚视科技有限公司 Preparation method of high-gain laser anti-light screen capable of avoiding Moire fringes
WO2023074890A1 (en) * 2021-10-29 2023-05-0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Projection screen
WO2023171222A1 (en) * 2022-03-09 2023-09-1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Projection screen
WO2024046330A1 (en) * 2022-08-31 2024-03-07 Arovia Hong Kong Limited Silicone projection scree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3392B1 (en) * 1999-03-31 2004-04-20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Light scattering sheet, light scattering composite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4129275B2 (en) 1999-12-22 2008-08-06 株式会社きもと Transparent transmission screen
US6804053B2 (en) * 1999-12-22 2004-10-12 Kimoto Co., Ltd. See-through light transmitting type screen
JP3993980B2 (en) * 1999-12-22 2007-10-17 株式会社きもと Transparent transmission screen
US6870670B2 (en) 2001-04-06 2005-03-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creens and methods for displaying information
CN100573312C (en) * 2001-12-13 2009-12-23 索尼公司 The manufacture method of screen, screen and image display system
KR100859365B1 (en) * 2004-03-12 2008-09-22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Transmitting screen-use light diffusing member
CN101002139B (en) * 2004-08-10 2010-05-05 木本股份有限公司 Transmission screen
JP4678847B2 (en) * 2004-10-28 2011-04-2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Adhesive film having an adhesive layer obtained from a silicone composition
CN200969021Y (en) * 2006-11-07 2007-10-31 雅新实业股份有限公司 Projective plate
JP2009302029A (en) * 2008-02-13 2009-12-24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Flexibl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flexible functional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m
JP2009229595A (en) * 2008-03-19 2009-10-08 Nippon Zeon Co Ltd Projection screen and system
CN102171300B (en) * 2008-09-17 2015-02-18 3M创新有限公司 Light diffusiv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JP5366086B2 (en) * 2009-07-10 2013-12-1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Screen for pasting transparent objects
WO2012176585A1 (en) * 2011-06-20 2012-12-27 日本電気株式会社 Fluorescent screen and image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same
WO2013129290A1 (en) * 2012-03-02 2013-09-06 三菱製紙株式会社 Transmissive type screen
US20140347724A1 (en) * 2013-05-24 2014-11-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jection system having a physical ma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33955B2 (en) 2020-01-22
CN107290922B (en) 2020-11-20
TW201801915A (en) 2018-01-16
JP2017181772A (en) 2017-10-05
CN107290922A (en) 2017-10-24
TWI707772B (en) 2020-10-21
KR20170112982A (en)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5861B1 (en) Pasting projection screen
US9109141B2 (en) Transparent adhesive sheet and image display device
CN106244033B (en) Adhesive sheet, optical film with adhesi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mage display device
TWI470308B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7133173A (en) Light diffusing sheet, complex light diffusing plate, and back light unit using those
US9678256B2 (en) Transparent heat-shielding member
TW200530741A (en) Microstructured screen with light absorbing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O2016093181A1 (en) Transparent sheet, transparent screen comprising same, and image projector including same
JP2008310267A (en) Light diff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JP6147932B2 (en) Transparent film, transparent screen including the same, and image projec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4333716A (en) Light diffusing layer, light diffusing film and light diffusing adhesive sheet
JP2007225972A (en) Light diffusion film, optical member, rear projection screen and rear projection display device
KR101379151B1 (en) Backlight unit
JP2008034234A (en) Backlight unit
US20210357061A1 (en)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 and optical laminate for use in same
JP2017026759A (en) Screen and image projection device having the same
JP2004114510A (en) Transparent protective member
KR101780849B1 (en) Optical member and application of same
JP2015066747A (en) Hard coat transfer medium
JP2007127858A (en) Light diffusion plate and transmission type screen using the same
JP7447404B2 (en) Adhesive sheets, backlight unit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WO2023074890A1 (en) Projection screen
JP2011191428A (en) Reflection preventing film
KR100945753B1 (en) Projection type screen
JP514053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