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339B1 -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339B1
KR102515339B1 KR1020180170071A KR20180170071A KR102515339B1 KR 102515339 B1 KR102515339 B1 KR 102515339B1 KR 1020180170071 A KR1020180170071 A KR 1020180170071A KR 20180170071 A KR20180170071 A KR 20180170071A KR 102515339 B1 KR102515339 B1 KR 102515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neckband
housing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0529A (ko
Inventor
이동혁
김형중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0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339B1/ko
Publication of KR20200080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자의 목과 어깨 부위에 거치한 상태로 휴대가 가능해지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외부로 인입 및 인출 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을 부가할 수 있는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NECK BAND TYPE FLEXI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자의 목과 어깨 부위에 거치한 상태로 휴대가 가능해지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로 인입 및 인출 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을 부가할 수 있는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이라는 장점에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기술적인 단점의 연구개발과 더불어 수요자들에 보다 어필할 수 있는 롤링형과 폴더형 등의 디스플레이 제품의 구조적인 면에서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특히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하기가 불편하거나 사용자의 신체에 거치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형태가 불가능하여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 이용되는 무선 음향장치는 사용자의 머리, 어깨, 목, 귀 등에 거치가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형태는 갖추고 있으나, 영상을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에 거치될 수 있는 형태로 휴대가 가능한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롤링되면서 하우징의 내측과 외측으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부가할 수 있는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자의 목과 어깨 부위에 거치한 상태로 휴대가 가능해지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로 인입 및 인출 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부가할 수 있는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에 거치될 수 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휴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롤링되면서 하우징의 내측과 외측으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부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목과 어깨 부위를 감싸며 거치되는 넥밴드 하우징(110), 넥밴드 하우징(110)의 양측 단부(110a, 110b)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단부에 구비되되, 넥밴드 하우징(110)의 내측과 외측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이 감기는 원통형상으로 넥밴드 하우징(110)의 내측에 구비되는 롤러(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자의 목과 어깨 부위에 거치한 상태로 휴대가 가능해지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외부로 인입 및 인출 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을 부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본실시예들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롤링되면서 인입 및 인출을 구현할 수 있는 연성(Flexible)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거나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 하부 기판에 부착된 하부 편광판, 및 상부 기판의 전면에 부착된 상부 편광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 기판 및 상부 기판의 구체적인 구성은 액정 패널의 구동모드, 예를 들어,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및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에 따라,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이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전원(VDD)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의 발광 셀을 포함하는 하부 기판 및 하부 기판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발광 셀 각각은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전원(VDD) 라인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트랜지스터 및 구동 트랜지스터의 스위칭에 따라 제어되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소자(예로서, OLE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기판은 수분 또는 대기 중의 산소로부터 발광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흡습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부 기판에는 구동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하부 기판의 발광 소자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례로 도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빛을 발산하는 구조상 패널로 빛을 발산하는 백라이트 유닛은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이하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인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 어레이에 있는 유기 화합물은 수분이나 산소에 노출되면 열화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픽셀 열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재질의 봉지부재(encapsulation member)가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후면에 접합되어 픽셀 어레이를 밀봉할 수 있다.
여기서,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전면에는 편광필름(미도시)이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픽셀 어레이로부터의 빛이 측면을 통해 방출되는 빛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측면에는 흑색 안료가 첨가된 고분자 물질로 제작되는 사이드 씰부재(side seal member)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적어도 어느 한쪽 단부에는 구동 IC가 실장된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이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 및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은 TAB(Tape Automated Bonding) 공정에 의해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 및 인쇄회로기판에 레진 등으로 부착되는 것으로,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lexible Board 또는 Chip On Fil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을 통해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 내지는 연결되며, 인쇄회로기판은 복수의 가요성 회로필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각종 신호를 제공한다.
인쇄회로기판은 복수의 회로필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각종 신호를 제공하며,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에는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구동을 위한 구동 IC 등이 실장될 수 있다.
사용자의 목과 어깨 부위를 감싸며 거치되는 넥밴드 하우징(110)은 개략적으로 일측이 개구된 원형 내지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탄성을 가지고 휘어짐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목과 어깨에 거치되는 넥밴드 하우징(110)의 중앙부는 가늘고 양측 단부(110a, 110b)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하우징의 단면이 커지도록 확대되는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넥밴드 하우징(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롤러(120)에 감기거나 펼쳐지면서 넥밴드 하우징(110)의 내측과 외측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이 넥밴드 하우징(110)의 양측 단부(110a, 110b)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단부에 구비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양측 단부(110a, 110b)에 각각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이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다.
넥밴드 하우징(110)의 단부에는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이 인입 및 인출되도록 상측 격벽(111a)을 절개한 입출홀(113)이 구비되어 있고, 입출홀(113)의 테두리에는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인입 및 인출시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과의 충격을 흡수하는 댐핑부재(113a)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인입 및 인출시키거나 사용자의 이동시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이 입출홀(113)과 부딪치면서 충격에 의해 패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넥밴드 하우징(110)에는, 상측 격벽(111a)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130)가 구비되어 있어서, 입출홀(113)을 통해 커버부재(130)가 넥밴드 하우징(110)의 내측과 외측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부재(130)는 넥밴드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에서는 입출홀(113)을 막으면서 넥밴드 하우징(110)의 외주면을 형성하고, 넥밴드 하우징(110)의 외측 수직으로 인출되면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측단부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커버부재(130)는 길이방향의 단부끼리 연결 배치되어, 중첩되며 접힐 수 있는 상측커버부재(131)와 하측커버부재(133)가 구비되어 있다.
즉, 커버부재(130)는 넥밴드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인입시에는 상측커버부재(131)와 하측커버부재(133)가 상측과 하측으로 중첩되게 배치되고, 넥밴드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인출시에는 길이방향으로 연결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상측커버부재(131)와 하측커버부재(133)의 단부는 힌지부재(135)로 결합되어 접히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데,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양측 측단부에 배치되도록 입출홀(113) 양측의 상측 격벽(111a)에 각각 결합되어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측커버부재(131)는 단부 하측면에 지지브라켓(173)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측 격벽(111a)의 하측면에 구비된 마운팅브라켓(171)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축(176)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마운팅브라켓(171)의 단부에는 스토퍼(171a)가 구비되어 상측커버부재(131)의 회전 위치를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배면에 링크부재(140)가 구비되어 링크부재(140)가 펼쳐지고 접히면서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인입 및 인출을 지지할 수도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재(140)가 접히면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이 넥밴드 하우징(110) 내측으로 인입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재(140)가 펼쳐지면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이 넥밴드 하우징(110) 외측으로 인출된다.
이러한 링크부재(140)는,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141), 넥밴드 하우징(110)의 상측 격벽(111a)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142),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배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지지부재(141) 및 제2지지부재(142)와 각각 컨넥팅바(145)로 연결되어 지지되는 제3지지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재(141)는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지지부재(142)는 넥밴드 하우징(110)의 상측 격벽(111a)의 하측면에 구비된 마운팅브라켓(171)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1지지부재(141)와 제3지지부재(143)가 컨넥팅바(145)로 연결되고, 제2지지부재(142)와 제3지지부재(143)가 컨넥팅바(145)로 연결되는데, 제3지지부재(143)는 컨넥팅바(145)에만 연결되어 지지되도록 되어 있어서,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인입 및 인출시 컨넥팅바(145)가 제3지지부재(143)를 기준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지지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상측단에는 인출홀(113)을 통해 넥밴드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인입시 인출홀(113) 양측의 상측 격벽(111a) 외측면에 지지되는 가이드베젤(170)이 구비되어 있어서,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인입시 인출홀(113)의 양측 상측 격벽(111a)에 지지된다.
한편, 넥밴드 하우징(110)의 내측에 구비되는 롤러(120)를 도 3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롤러(120)는, 외주면에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이 감기도록 회전하는 롤러샤프트(121), 롤러샤프트(121)가 내장되며 내부 양측에 롤러샤프트(121)의 양측이 지지되어 회전하는 지지홈(123a)이 구비되고, 길이방향으로 외주면과 내주면을 절개하여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이 인입 및 인출되는 절개홀(123b)이 구비되어 있는 롤러하우징(123), 일측단은 롤러샤프트(121)에 결합되고 타측단은 롤러하우징(123)에 결합되어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이 감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12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록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롤러샤프트(121)의 내측은 빈 공간으로 형성되고, 롤러샤프트(121)의 내측 공간에는 전술한바와 같이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IC가 실장된 가요성 회로필름, 구동 인쇄회로기판, 콘트롤 인쇄회로기판 등의 구동부품이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동부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구동하기 위한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롤러샤프트(121)의 양측에는 회전축(121a)이 구비되어 롤러하우징(123)의 지지홈(123a)에 지지되며 회전하게 되는데, 도면에는 비록 도시하지 않았으나 회전축(121a)과 지지홈(123a) 사이에는 베어링이나 부시와 같은 회전지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샤프트(121)는 토션스프링(125)의 비틀림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데, 토션스프링(125)의 일측단은 롤러샤프트(121)에 결합되고 타측단은 롤러하우징(123)에 결합되어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이 감기는 방향 즉,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이 넥밴드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비틀림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넥밴드 하우징(110)의 단부에는 롤러하우징(123)을 지지하도록 하측 격벽(111b)의 내측에서 돌출되어 롤러하우징(123)의 양측단에 결합되는 지지격벽(111c)이 구비되어 있어서, 롤러하우징(123)이 회전되지 않고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넥밴드 하우징(110)의 단부 하측에는, 일측단이 사용자의 어깨 또는 가슴 부위에 지지되고 타측단은 넥밴드 하우징(110)의 단부에 지지되어 넥밴드 하우징(110) 단부의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조정부재(15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높이조정부재(150)를 인출하여 어깨 또는 가슴에 지지하여 넥밴드 하우징(110)의 단부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눈높이에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이 위치되도록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높이조정부재(150)는 사용자의 어깨 또는 가슴 부위에 지지되는 일측단에 러버나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의 밀착부재(15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어깨나 가슴에 지지될 때 높이조정부재(150)가 미끄러지면서 지지되는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넥밴드 하우징(110)의 단부 하측에는 높이조정부재(150)가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측 격벽(111b)을 절개한 수용홀(115)이 구비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필요시 높이조정부재(150)를 인출하여 높이를 조정하고, 사용이 완료되면 높이조정부재(150)를 수용홀(115)에 인입시켜 부피를 축소시킴으로써 휴대와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높이조정부재(150)는 길이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둘 이상이 서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원통형상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일례로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정부재(150)는, 일측 단부에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관통홀(151a)이 구비되어 있는 제1높이조정부재(151), 제1높이조정부재(15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일측 단부에 관통홀(151a)과 연통되는 연통홀(152a)이 구비되어 있는 제2높이조정부재(152), 제2높이조정부재(152)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탄성부재(153)에 지지되며 연통홀(152a)과 관통홀(151a)에 삽입되는 버튼부재(1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높이조정부재(152)의 내측에는 탄성부재(153)의 위치를 지지하는 지지단부(151b)가 구비되어 탄성부재(153)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버튼부재(155)에는 연통홀(152a)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155a)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정부재(1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부에 나사부(156)가 구비되고, 나사부(156)가 구비된 영역에 길이방향으로 외주면과 내주면을 절개한 슬릿홀(154)이 구비되어 있는 제1높이조정부재(151), 제1높이조정부재(15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높이조정부재(152), 나사부(156)에 나사결합되어 제1높이조정부재(151)의 직경을 축소시키면서 제2높이조정부재(152)를 고정시키는 잠금부재(157)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잠금부재(157)를 조이면 슬릿홀(154)의 간격이 축소되면서 제1높이조정부재(151)의 직경이 줄어들도록 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잠금부재(157)를 조이고 풀면서 제1높이조정부재(151)의 인출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넥밴드 하우징(110)의 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이 내장되어 있는 제1단부(106a)와 제1단부(106a)가 삽입되는 제2단부(106b)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체형이나 필요에 따라서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이 내장되어 있는 제1단부(106a)를 인출시켜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위치를 멀리 배치하거나, 제1단부(106a)를 인입시켜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위치를 가깝게 배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제1단부(106a)의 단부에는 외경이 축소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단부(104)가 구비되고, 제2단부(106b)에는 제1단부(106a)의 돌출단부(104)가 삽입되어 인인 및 인출되는 삽입홀(108)이 구비되어 제1단부(106a)를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넥밴드 하우징(110)의 양측 단부 끝단에는 이어폰(180)이 와이어(미도시)와 함께 내장될 수 있다.
이는 블루투스와 와이파이를 이용한 무선 음향장치에서의 이어폰과 같은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무선 음향을 제공하기 위한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일례로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만을 설명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며 이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주지의 기술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에 거치될 수 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휴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롤링되면서 하우징의 내측과 외측으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부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 110: 넥밴드 하우징
120: 롤러 121: 롤러샤프트
123: 롤러하우징 125: 토션스프링
130: 커버부재 140: 링크부재
150: 높이조정부재 154: 밀착부재

Claims (18)

  1. 사용자의 목과 어깨 부위를 감싸며 거치되는 넥밴드 하우징;
    상기 넥밴드 하우징의 양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넥밴드 하우징의 내측과 외측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이 감기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넥밴드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넥밴드 하우징의 단부에는 상기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이 인입 및 인출되도록 상측 격벽을 절개한 입출홀이 구비되어 있는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넥밴드 하우징은, 상기 입출홀의 테두리에 상기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의 인입 및 인출시 상기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충격을 흡수하는 댐핑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넥밴드 하우징에는, 상기 상측 격벽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입출홀을 통해 상기 넥밴드 하우징의 외측 수직으로 인출되어 상기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단부를 지지하는 커버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넥밴드 하우징의 내측으로 인입시에는 상측과 하측으로 중첩되게 배치되고 외측으로 인출시에는 길이방향으로 연결 배치되는 상측커버부재와 하측커버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상측커버부재와 하측커버부재의 단부는 힌지부재로 결합되어 있는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측단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입출홀 양측의 상측 격벽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단은 상기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에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넥밴드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의 인입 및 인출을 지지하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
    상기 상측 격벽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
    상기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와 각각 컨넥팅바로 연결되어 지지되는 제3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단에는 상기 넥밴드 하우징의 내측으로 인입시 상기 상측 격벽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가이드베젤이 구비되어 있는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외주면에 상기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이 감기도록 회전하는 롤러샤프트;
    상기 롤러샤프트가 내장되며 내부 양측에 상기 롤러샤프트의 양측이 지지되어 회전하는 지지홈이 구비되고, 길이방향으로 외주면과 내주면을 절개하여 상기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이 인입 및 인출되는 절개홀이 구비되어 있는 롤러하우징;
    일측단은 상기 롤러샤프트에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롤러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이 감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
    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넥밴드 하우징의 단부에는 상기 롤러하우징을 지지하도록 하측 격벽의 내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롤러하우징의 양측단에 결합되는 지지격벽이 구비되어 있는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11. 사용자의 목과 어깨 부위를 감싸며 거치되는 넥밴드 하우징;
    상기 넥밴드 하우징의 양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넥밴드 하우징의 내측과 외측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이 감기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넥밴드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넥밴드 하우징의 단부 하측에는, 일측단이 사용자의 어깨 또는 가슴 부위에 지지되고 타측단은 상기 넥밴드 하우징의 단부에 지지되며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조정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정부재는 사용자의 어깨 또는 가슴 부위에 지지되는 일측단에 러버 또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의 밀착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넥밴드 하우징의 단부 하측에는 상기 높이조정부재가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측 격벽을 절개한 수용홀이 구비되어 있는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정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둘 이상이 서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원통형상을 구비하는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정부재는,
    일측 단부에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되어 있는 제1높이조정부재;
    상기 제1높이조정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일측 단부에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연통홀이 구비되어 있는 제2높이조정부재;
    상기 제2높이조정부재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탄성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연통홀과 관통홀에 삽입되는 버튼부재;
    를 포함하는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정부재는,
    일측 단부에 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나사부가 구비된 영역에 길이방향으로 외주면과 내주면을 절개한 슬릿홀이 구비되어 있는 제1높이조정부재;
    상기 제1높이조정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높이조정부재;
    상기 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1높이조정부재의 직경을 축소시키면서 상기 제2높이조정부재를 고정시키는 잠금부재;
    를 포함하는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넥밴드 하우징의 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이 내장되어 있는 제1단부와 상기 제1단부가 삽입되는 제2단부로 분리되어 있는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부에는 외경이 축소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단부에는 상기 돌출단부가 삽입되어 인인 및 인출되는 삽입홀이 구비되어 있는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170071A 2018-12-27 2018-12-27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15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071A KR102515339B1 (ko) 2018-12-27 2018-12-27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071A KR102515339B1 (ko) 2018-12-27 2018-12-27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529A KR20200080529A (ko) 2020-07-07
KR102515339B1 true KR102515339B1 (ko) 2023-03-29

Family

ID=71603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071A KR102515339B1 (ko) 2018-12-27 2018-12-27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33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114B1 (ko) 2006-03-29 2007-08-09 한국과학기술원 수화 번역기
US20070211036A1 (en) 2006-03-03 2007-09-13 Perkins Michael T Roll-out touch screen support system (ROTS3)
US20090126243A1 (en) * 2005-05-17 2009-05-21 Polymer Vision Limited Display Over the Sleeve
KR101438360B1 (ko) 2014-06-19 2014-09-12 주식회사 블루콤 향기나는 넥밴드형 이어폰
US20140330139A1 (en) * 2013-05-01 2014-11-06 Perminova Inc. System for monitoring heart failure patients featuring necklace-shaped sensor and display based on a conventional television or mobile device
KR101570869B1 (ko) 2014-12-31 2015-1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7139755A (ja) * 2016-01-29 2017-08-1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ヘッドフォン及びヘッドフォンシステム
US20180114471A1 (en) 2016-10-26 2018-04-26 Lg Display Co., Ltd. Rollable display device
US20180232120A1 (en) 2015-08-17 2018-08-16 Lg Electronics Inc. Wearabl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790B1 (ko) * 2011-11-11 2013-10-29 주식회사그린라이텍 플렉시블 발광 밴드를 이용한 정보 표시 장치
KR20150081157A (ko) * 2014-01-03 2015-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넥밴드형 단말기
KR102253154B1 (ko) * 2015-01-29 2021-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101649097B1 (ko) * 2015-11-16 2016-08-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46193B1 (ko) * 2015-12-31 2022-09-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7176198A (ja) * 2016-03-28 2017-10-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26243A1 (en) * 2005-05-17 2009-05-21 Polymer Vision Limited Display Over the Sleeve
US20070211036A1 (en) 2006-03-03 2007-09-13 Perkins Michael T Roll-out touch screen support system (ROTS3)
KR100747114B1 (ko) 2006-03-29 2007-08-09 한국과학기술원 수화 번역기
US20140330139A1 (en) * 2013-05-01 2014-11-06 Perminova Inc. System for monitoring heart failure patients featuring necklace-shaped sensor and display based on a conventional television or mobile device
KR101438360B1 (ko) 2014-06-19 2014-09-12 주식회사 블루콤 향기나는 넥밴드형 이어폰
KR101570869B1 (ko) 2014-12-31 2015-1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80232120A1 (en) 2015-08-17 2018-08-16 Lg Electronics Inc. Wearabl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7139755A (ja) * 2016-01-29 2017-08-1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ヘッドフォン及びヘッドフォンシステム
US20180114471A1 (en) 2016-10-26 2018-04-26 Lg Display Co., Ltd. Rollabl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529A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1753B2 (en)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structures
US11127320B2 (en) Display apparatus
KR102322377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6515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11553278B2 (en) Display apparatus
KR102402183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EP3739854B1 (en) Foldable terminal device
KR102366366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JP6564876B2 (ja) バーチャルリアリティヘッドセット
KR101870889B1 (ko) 표시 장치
US10705565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EP3924800B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ezel sag preventing structure
KR102305923B1 (ko) 롤러블 표시 장치
US10042168B2 (en) Head-mounted electronic device
KR20160057046A (ko) 롤러블 표시 장치
US20160163241A1 (en) Rollable display device
KR102392360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23908A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1863694B2 (en) Mobile terminal
KR20150099677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KR102515339B1 (ko)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18293A (ko) 롤러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8762394A (zh) 一种转轴、显示装置和电子设备
ES2932514T3 (es) Dispositivo electrónico que incluye un miembro conductor
WO2020077975A1 (zh) 便携式显示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