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227B1 -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227B1
KR102515227B1 KR1020200092035A KR20200092035A KR102515227B1 KR 102515227 B1 KR102515227 B1 KR 102515227B1 KR 1020200092035 A KR1020200092035 A KR 1020200092035A KR 20200092035 A KR20200092035 A KR 20200092035A KR 102515227 B1 KR102515227 B1 KR 102515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glove
width direction
disposed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3050A (ko
Inventor
오성진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92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227B1/ko
Publication of KR20220013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3Devices for applying insecticides or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6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connected to supply pipe or to other external supply means
    • A46B11/063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connected to supply pipe or to other external supply means by means of a supply pipe
    • A46B11/066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connected to supply pipe or to other external supply means by means of a supply pipe with means for introducing an additive, e.g. soap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haped as gloves or finger-stalls or other special holding ways, e.g. by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47K7/03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containing soap or other cleaning ingredients, e.g. impregnate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93Brush for use on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을 세정하는 과정에서 작업자(u)가 착용하는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100)에 있어서, 호스(H)로 연결되어 외부에서 세정수단을 공급받는 장갑몸체(110); 상기 장갑몸체(110)의 일면에 배치되되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20); 및 상기 장갑몸체(110)의 일면에 배치되어 공급된 세정수단을 외부로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홀(140);를 포함하며, 상기 장갑몸체(110)의 일측 내부에는, 유입된 유체가 유동되어 복수의 상기 분사홀(140)로 분배되는 유동라인(130)이 형성되고, 상기 장갑몸체(110)의 타측 내부에는, 작업자(u)의 손이 인입되는 끼움부(113)가 형성되어 세정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면서, 작업자(u)가 한 손으로 보다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는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GLOVES FOR CLEANING COMPANION ANIMAL}
본 발명은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돌기와, 세정수단을 외부로 분사하는 기능이 포함된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최근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주거공간에서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이처럼 주인과 함께 생활하는 반려동물은, 털 또는 피부에 기생충과 세균이 번식하므로 주기적으로 목욕을 시켜서 이를 제거해줄 필요가 있었다.
종래에는 주거 공간 내 욕실, 샤워실과 같은 작업공간에서 반려동물에 대하여 작업자가 수기로 목욕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다만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목욕을 시키는 경우에는, 반려동물이 목욕 중에 지속적으로 움직이므로 작업자가 항상 움직임에 주의해야 하며, 반려동물이 움직임에 따라 목욕을 위한 세정수단이나 물 등이 주변으로 비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산되는 세정수단이나 물로 인하여 작업자나 작업공간이 오염되는 문제점과, 샤워 중에 반려동물이 도망침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가 더욱 가중되는 문제점이 동반되었다.
이에 따라, 현재 반려동물을 쉽게 목욕시키면서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일예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13963호(“애완동물 자동세척 목욕기”) 및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17742호(“애완동물용 세척장치”)에서는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제한하면서 보다 효율적인 목욕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와 동반하여 반려동물에 대한 세정작업 시에 보조할 수 있는 도구들이 많이 개발되어 있다. 이때 세정작업을 보조할 수 있는 도구로 현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93774호(“애완동물용 물기 제거 및 마사지 겸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선행기술을 간략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의 장갑은 한 쌍의 모재(11), 한 쌍의 모재 사이에 개재되는 돌기패드(20) 및 커버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한 쌍의 모재(11) 중 하나의 모재(11)에는 구멍(12)이 천공되고, 상기 돌기패드(20)가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21)를 포함하여, 상기 돌기(21)가 상기 구멍(12)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조된다. 이에 따라 선행기술은 반려동물을 목욕시킨 후에 털을 건조 및 관리할 때 털에 잔존한 물기를 제거하면서도 털을 고르게 관리함과 더불어 피부를 자극하여 반려동물의 건강 또한 증진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처럼 한 쌍의 모재 사이에 개재되는 돌기부를 통해서는 좁은 영역에 대해서만 마사지를 할 수 있는 단점이 있음과 더불어 작업자가 착용 시에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건조 시에는 드라이기 및 빗과 같은 다른 도구들과 함께 사용해야 하므로, 작업자가 양 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KR 10-1913963 B1 (“애완동물 자동세척 목욕기”, 2018.10.31.) KR 10-2020-0017742 A (“애완동물용 세척장치”, 2020.02.19.) KR 10-2018-0093774 A(“애완동물용 물기 제거 및 마사지 겸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 2018.08.22.)
본 발명은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정수단을 분사하는 기능, 이물질 제거 기능, 세정 기능, 피부자극 기능 및 마사지 기능을 갖춰 반려동물의 외피를 보다 세밀하게 세정하면서, 외피를 자극하여 반려동물의 건강 또한 증진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반려동물을 세정하는 과정에서 작업자(u)가 착용하는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100)에 있어서, 호스(H)로 연결되어 외부에서 세정수단을 공급받는 장갑몸체(110); 상기 장갑몸체(110)의 일면에 배치되되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20); 및 상기 장갑몸체(110)의 일면에 배치되어 공급된 세정수단을 외부로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홀(140);를 포함하며, 상기 장갑몸체(110)의 일측 내부에는, 유입된 세정수단이 유동되어 복수의 상기 분사홀(140)로 분배되는 유동라인(130)이 형성되고, 상기 장갑몸체(110)의 타측 내부에는, 작업자(u)의 손이 인입되는 끼움부(1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갑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유동라인(130)과 끼움부(113)를 구획하는 격벽(114)이 배치되어, 상기 유동라인(130)에서 유동되는 세정수단이 상기 끼움부(113)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갑몸체(110)는, 작업자(u)의 손바닥이 삽입되는 손바닥부(111) 및 작업자(u)의 손가락이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손가락부(112a~112e)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홀(140)은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손바닥부(111) 및 복수의 손가락부(112a~112e)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20)는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손바닥부(111) 및 복수의 손가락부(112a~112e)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바닥부(111) 및 복수의 손가락부(112a~112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에 배치되는 돌출부(120)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돌기는 상기 분사홀(140) 기준 폭 방향의 양측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100)은, 복수의 상기 돌기 중, 폭 방향의 중심에 인접한 하나의 돌기가, 하나의 돌기 대비 폭 방향의 중심과 이격된 다른 하나의 돌기보다 길이가 짧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손바닥부(111) 및 복수의 손가락부(112a~112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은, 상기 돌출부(120) 및 분사홀(140)이 복수로 형성되되, 복수의 돌출부(120) 및 분사홀(140)이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100)은, 복수의 상기 분사홀(140) 중, 폭 방향의 중심에 인접한 하나의 분사홀(140)의 면적이, 하나의 분사홀(140) 대비 폭 방향의 중심과 이격된 다른 하나의 분사홀(140)보다 개구 면적이 크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100)은, 상기 호스(H)에서 공급되는 세정수단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부재(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은, 하나의 장갑몸체 상에 세정수단 분사 기능과 반려동물의 외피 세정 및 반려동물에 대한 마사지 기능이 모두 포함되어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을 보다 높여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은, 작업자가 착용 시에 손바닥 및 손가락에서 모두 세정수단이 분사되어 보다 넓은 면적을 세정할 수 있으며, 돌기 또한 손바닥 및 손가락 부위 모두에 형성되어 넓은 면적에 대한 물리적 세정 및 마사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작업자의 신체를 고려하여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된 돌기가 비교적 길게 형성되어 보다 균일한 세기로 세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애완동물 물기 제거 및 마사지 겸용 장갑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의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100)은, 작업자(u)의 손이 삽입되는 장갑몸체(110)와, 상기 장갑몸체(110)의 하면에 형성되어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장갑몸체(110)는 호스(H)를 통해 외부 공급원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세정수단을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세정수단은 액체 및/또는 기체 형태로 공급될 수 있으며, 액체인 경우에는 물과 세제 등을 포함하여 반려동물의 외피를 보다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으며, 기체인 경우에는 드라이 기능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하나의 장갑몸체(110)에 기체로 된 세정수단을 공급하는 호스(H)와, 액체로 된 세정수단을 공급하는 호스(H)가 모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장갑몸체(110) 상에 결합되거나, 외부에 배치되는 제어부재(S)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재(S)는 상기 호스(H) 상에 배치되어 공급되는 세정수단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재(S)는 개폐식 밸브와 상기 개폐식 밸브와 연결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도 3은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100)은 유동라인(130) 및 분사홀(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라인(130)은 상기 장갑몸체(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일단이 개구되어 상기 호스(H)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재(S)를 통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호스(H)에서 공급되는 세정수단은 상기 유동라인(130)으로 유동될 수 있으며, 상기 유동라인(130)에서 유동되는 세정수단은 상기 분사홀(14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분사홀(140)은 장갑몸체(110)의 저면 일부에만 배치될 수도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손바닥 및 손가락 부위에 모두 배치되어 보다 넓은 면적에서 세정수단이 분사될 수도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장갑몸체(110)는 작업자의 손바닥(u)이 삽입되는 손바닥부(111), 작업자의 각 손가락이 삽입되는 제1손가락부(112a), 제2손가락부(112b), 제3손가락부(112c), 제4손가락부(112d) 및 제5손가락부(112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동라인(130)은 상기 손바닥부(111)와 상기 제1손가락부(112a) 내지 제5손가락부(112e)와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사홀(140)은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손바닥부(111) 및 제1손가락부(112a) 내지 제5손가락부(112e)의 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0) 또한 복수로 구성되어 손바닥부(111) 및 제1손가락부(112a) 내지 제5손가락부(112e)의 각 부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120)는 상기 손바닥부(111)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분사홀(140) 사이사이마다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20)는 복수로 이루어져, 제1손가락부(112a) 내지 제5손가락부(112e) 상에 제1돌출부(121) 내지 제5돌출부(125)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손가락부(112a) 내지 제5손가락부(112e)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돌출부 또한 복수일 수 있으며, 상기 분사홀(140) 또한 복수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때 도 4의 제5손가락부(112e)를 예거하여 상술한 바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제5손가락부(112e)가 아닌 상기 장갑몸체(110)의 손바닥부(111), 제1손가락부(112a) 내지 제4손가락부(112d) 중 하나 이상이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5손가락부(112e)는 작업자의 손가락이 인입되는 끼움부(113)가 상부에 배치되고, 세정수단이 유동되는 유동라인(130)이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113)와 유동라인(130) 사이에는 격벽(114)이 배치되어, 상기 유동라인(130)에서 유동되는 세정수단이 상기 끼움부(113)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손가락부(112e)의 하면에는, 복수의 분사홀(140)이 폭 방향(도면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5돌기부(125) 또한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분사홀(140)의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5돌기부(125)는 각 분사홀(140) 당 다수의 돌기(125a,125b)가 배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분사홀(140)의 폭 방향 일측에 제1돌기(125a)가 배치되고 타측에 제2돌기(125b)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갑몸체(110) 및 돌출부(120)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세정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분사홀(140) 중 폭 방향의 중심에 인접하는 하나의 분사홀(140)의 개구 면적이, 하나의 분사홀(140) 대비 폭 방향 중심에서 상대적으로 이격된 다른 하나의 분사홀(140)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분사홀의 개구 면적을 다르게 함으로써 반려동물의 세정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여기서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는 다른 하나의 분사홀(140)은 폭 방향 중심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폭 방향 중심은 도시된 제5손가락부(112e)의 좌우측 중심일 수 있으며, 폭 방향 중심으로 향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5손가락부(112e)의 하측 폭 방향 중심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각 분사홀(140)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5돌기부(125) 중, 폭 방향 중심에 인접하는 하나의 제5돌기부(125)의 상하 길이(D1)가, 하나의 제5돌기부(125) 대비 폭 방향 중심에서 상대적으로 이격된 다른 하나의 제5돌기부(125)의 상하 길이(D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상기 제5돌기부(125)는 폭 방향 중심부에 인접한 하나의 제5돌기부(125)의 상하 길이(D1)가 최단이며, 폭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제5돌기부(125)의 상하 길이가 길어지도록 배치됨에 따라, 폭 방향 좌우측 단부에 배치된 또 다른 하나의 제5돌기부(125)의 상하 길이(D3)가 최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돌기부의 길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반려동물의 세정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H : 호스 S : 제어부재
u : 작업자
100 :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
110 : 장갑몸체
111 : 손바닥부 112a : 제1손가락부
112b : 제2손가락부 112c : 제3손가락부
112d : 제4손가락부 112e : 제5손가락부
113 : 끼움부 114 : 격벽
120 : 돌출부
121 : 제1돌기부 122 : 제2돌기부
123 : 제3돌기부 124 : 제4돌기부
125 : 제5돌기부
125a : 제1돌기 125b : 제2돌기
130 : 유동라인
140 : 분사홀

Claims (7)

  1. 반려동물을 세정하는 과정에서 작업자(u)가 착용하는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100)에 있어서,
    호스(H)로 연결되어 외부에서 세정수단을 공급받는 장갑몸체(110);
    상기 장갑몸체(110)의 일면에 배치되되 일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120);
    상기 장갑몸체(110)의 일면에 배치되어 공급된 세정수단을 외부로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홀(140);
    상기 장갑몸체(110)의 일측 내부에 형성되고 유입된 세정수단이 유동되어 복수의 상기 분사홀(140)로 분배되는 유동라인(130); 및
    상기 장갑몸체(110)의 타측 내부에 형성되고 작업자(u)의 손이 인입되는 끼움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장갑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유동라인(130)과 끼움부(113)를 구획하는 격벽(114)이 배치되어,
    상기 유동라인(130)에서 유동되는 세정수단이 상기 끼움부(113)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장갑몸체(110)는,
    작업자(u)의 손바닥이 삽입되는 손바닥부(111) 및 작업자(u)의 손가락이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손가락부(112a~112e)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120)는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손바닥부(111) 및 복수의 손가락부(112a~112e)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120)는 상기 손바닥부(111) 및 복수의 손가락부(112a~112e)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120)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손바닥부(111) 및 복수의 손가락부(112a~112e)의 폭 방향의 중심에 인접한 돌기가, 폭 방향의 중심과 이격된 다른 돌기보다 길이가 짧으며,
    상기 분사홀(140)은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손바닥부(111) 및 복수의 손가락부(112a~112e)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분사홀(140)은 상기 손바닥부(111) 및 복수의 손가락부(112a~112e)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손바닥부(111) 및 복수의 손가락부(112a~112e)의 폭 방향의 중심에 인접한 분사홀(140)의 개구 면적이, 폭 방향의 중심과 이격된 다른 분사홀(140)의 개구 면적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손바닥부(111) 및 복수의 손가락부(112a~112e)의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된 돌기의 길이를 길게 하고, 폭 방향의 중심에 인접한 분사홀의 개구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반려동물을 균일한 세기로 세정할 수 있어 반려동물의 세정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10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돌기는 상기 분사홀(140) 기준 폭 방향의 양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100).
  6. 삭제
  7. 삭제
KR1020200092035A 2020-07-24 2020-07-24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 KR102515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035A KR102515227B1 (ko) 2020-07-24 2020-07-24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035A KR102515227B1 (ko) 2020-07-24 2020-07-24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050A KR20220013050A (ko) 2022-02-04
KR102515227B1 true KR102515227B1 (ko) 2023-03-28

Family

ID=80268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035A KR102515227B1 (ko) 2020-07-24 2020-07-24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2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1001A (ja) * 2004-08-09 2006-02-23 Mitsuhiro Nagao ペット用ハンドシャワー
US20160073611A1 (en) * 2014-09-12 2016-03-17 Linda Hightower Pet Grooming Glove providing fluid supply
US20170142931A1 (en) 2014-05-28 2017-05-25 Jay Michaelson Ergonomic, anatomically-shaped, textured palmar surfaced glove with a comb-like, raised nodule palm-pattern for grooming and bathing domesticated animal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4189B1 (en) * 2011-12-10 2014-08-05 Season 4, Llc Cleaning glove with selective water actuator
KR20180093774A (ko) 2017-08-16 2018-08-22 노영수 애완동물용 물기 제거 및 마사지 겸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
KR101913963B1 (ko) 2017-09-13 2018-10-3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 자동세척 목욕기
KR20190070559A (ko) * 2017-12-13 2019-06-21 신다송 애완동물 샤워 장갑
KR102087516B1 (ko) 2018-08-09 2020-03-1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용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1001A (ja) * 2004-08-09 2006-02-23 Mitsuhiro Nagao ペット用ハンドシャワー
US20170142931A1 (en) 2014-05-28 2017-05-25 Jay Michaelson Ergonomic, anatomically-shaped, textured palmar surfaced glove with a comb-like, raised nodule palm-pattern for grooming and bathing domesticated animals
US20160073611A1 (en) * 2014-09-12 2016-03-17 Linda Hightower Pet Grooming Glove providing fluid supp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050A (ko) 202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49064A (en) Apparatus for bathing dogs
US8186307B2 (en) Portable device and process to automatically cleanse and dry pets
EP3855905B1 (en) Pet bath
WO2016082635A1 (zh) 洗手机
EP2676544A1 (en) Pet grooming glove
KR102087516B1 (ko) 애완동물용 세척장치
KR102031225B1 (ko) 애완동물 목욕장치
KR20210147856A (ko) 애완동물을 위한 세정장치
KR102515227B1 (ko)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
KR102560980B1 (ko) 누드타입 반려동물 세정용 장갑 및 이를 포함하는 누드타입 반려동물 세정용 도구
KR20040067817A (ko) 애완동물 세척장치 및 방법
WO2019225384A1 (ja) 洗浄ヘッド及び洗浄装置
KR102507778B1 (ko) 반려동물 다목적 세척기
JP3204945U (ja) シャワー器の付着キャップユニット
WO2022265143A1 (ko) 다용도 세척 브러시
KR20200056142A (ko) 애견 욕조 장치
KR200426003Y1 (ko) 애완동물 목욕장치
KR100460591B1 (ko) 애완동물 세척장치
KR200292250Y1 (ko) 애완견 목욕함
KR101995534B1 (ko) 애완동물의 목욕 및 건조장치
KR102437932B1 (ko) 반려동물용 라이트 테라피 목욕기
KR200315477Y1 (ko) 브러쉬 샤워기
US117859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eansing large animals using scrub gloves
KR200278878Y1 (ko) 애완동물용 자동 안마 목욕조
JP3223296U (ja) ペットの入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