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899B1 - 암소 번식 능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암소 번식 능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899B1
KR102514899B1 KR1020220069430A KR20220069430A KR102514899B1 KR 102514899 B1 KR102514899 B1 KR 102514899B1 KR 1020220069430 A KR1020220069430 A KR 1020220069430A KR 20220069430 A KR20220069430 A KR 20220069430A KR 102514899 B1 KR102514899 B1 KR 102514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resol
wax
improving
c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민중
김호연
김준영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23/00297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6756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8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gonadal disorders or for enhancing fertility, e.g. inducers of ovulation or of spermatogene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docri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소 번식 능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암소의 번식 능력 개선에 따른 생산성 향상 효과 뿐만 아니라 무분별한 호르몬 제제 사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사료비 등 사육자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암소 번식 능력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cow reproductive ability}
본 발명은 암소 번식 능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한우 농가의 경영비에서 사료비의 비중은 2005년 31.8%에서 2018년 40.6%로 증가하였다. 사료비의 비중이 2010년 이후 40.6~48.8%로 높게 유지되고 있는 반면, 두당 소득은 2016년 1,962천원에서 2018년 1,088천원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조수익에서 생산비를 차감한 순수익은 2016년 988천원이었으나 2017년 133천원으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2018년에는 57천원의 순손실이 발생하여 경영수지가 악화되었다. 이로 인한 비육우 배합사료 가격 상승세는 지속되고 있으며, 평년(388원/kg)과 대비하여 2021년에는 457원/kg에 육박하여 약 18% 가격이 폭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한우 및 젖소 사육 농가는 암소의 분만 후 발정재귀 지연, 미약발정 빈도 증가, 암소의 불규칙한 발정기간 등 암소의 번식 능력 장애로 인한 생산성 저하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암소의 공태기에 따라 낭비되는 사료량 증가에 따라 생산비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2018년, 343두의 번식우를 대상으로 한 번식우의 번식 실태 평가 및 분석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실제 농가에서 발정재귀를 60일 이내 시작한 개체는 총 162두로 전체 두수의 47%에 불과하였다. 또한, 미약발정의 빈번한 발생으로 수정 적기 판단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불규칙적인 발정기간으로 인해 한 번 인공수정 시도 시 수정 성공률이 65%에 불과하였다. 암소의 분만 후 발정재귀 지연 및 수정 성공률 저하로 인해 공태기간이 연장되며, 수정이 연속적으로 실패할 경우 번식우로 사용하지 못하고 도축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이러한 암소의 번식 능력 장애는 사육 농가의 경제적 부담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다수의 농가에서는 합성 GnRH 제제를 주사하여 암소의 발정을 유도하지만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한 내성 문제로 주입량이 점점 증가하고 있어, 최종적으로 식품으로 사용되는 가축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감소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육류 섭취에 따라 잔류 약물 섭취 가능성이 남아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이 밖에도 지속적이고 무분별한 호르몬 제제 주사는 가축에게 스트레스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가육자의 노동력 가중 및 주사 시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주사제를 사용하여 발정이 유도되더라도 수정 적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아, 실제 인공수정 성공률을 이상적으로 높이기에 한계가 있다.
미국의 한 보고에 따르면, 암소 60마리와 수소 한 마리를 함께 방목 할 경우, 암소만 방목한 그룹과 비교하여 분만 후 발정재귀 시점과 발정행동을 보인 시점이 20일 이상 촉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Landaeta-Hernandez, et al. (2008). 이에, 본 발명은 수소의 소변에 포함된 특정 페로몬의 암소 번식 능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여, 이를 이용한 암소 번식 능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KR 10-2016-0056774 A
본 발명은 암소의 발정재귀 지연, 미약발정 빈도 증가, 불규칙한 발정기간 등 암소의 번식 능력 장애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암소의 번식 능력을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파라-크레졸(p-cres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소 번식 능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파라핀 왁스, 밀납 왁스, 목납 왁스 및 카나우바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왁스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라-크레졸(p-cresol)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5~3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파라핀 왁스, 밀납 왁스, 목납 왁스 및 카나우바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왁스에 파라-크레졸(p-cresol)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소 번식 능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상태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왁스 95~99.9 중량% 및 파라-크레졸(p-cresol) 0.1~5 중량%로 혼합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왁스 97~99.5 중량% 및 파라-크레졸(p-cresol) 0.5~3 중량%로 혼합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왁스 99 중량% 및 파라-크레졸(p-cresol) 1 중량%로 혼합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암소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소의 번식 능력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암소의 번식 능력 개선에 따른 생산성 향상 효과 뿐만 아니라 무분별한 호르몬 제제 사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사료비 등 사육자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암소 번식 능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p-cresol이 수소의 소변에만 다량 존재하는 점을 확인한 도이다.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조한 암소 번식 능력 개선용 조성물의 일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과 수소 또는 송아지의 소변으로부터 확산되는 p-cresol의 양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파라-크레졸(p-cres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소 번식 능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파라-크레졸(p-cresol)은 4-메틸페놀(4-methylphenol)로도 알려져 있으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말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2059727525-pat00001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소 번식 능력 개선은, 암소의 분만 후 첫 발정재귀일 단축에 따른 암소의 공태기 단축 효과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라핀 왁스, 밀납 왁스, 목납 왁스 및 카나우바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왁스에 파라-크레졸(p-cresol)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소 번식 능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액체상태인 것이 좋다. 고체 상태의 왁스를 중탕하여 완전히 액체상태로 제조하고, 파라-크레졸(p-cresol)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암소 번식 능력 개선용 조성물을 암소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소의 번식 능력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암소에 적용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로부터 확산되는 파라-크레졸(p-cresol)을 암소가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일 예로 암소의 목 등에 거치하거나, 사육 장소(외양간 등)에 거치하는 등을 말한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실시예 1> 수소의 소변에 포함된 휘발성분 확인
수소의 부재에 따른 암소의 번식장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소의 소변에 어떠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였다.
SPME(Solid Phase Microextraction) 검사법을 통해 각 소변에 포함되어있는 휘발성분을 비교하였다. 수소 육우 16마리와 거세우 4마리로부터 각각 소변을 추출하였다. 수소 개체별로 2 ml의 소변을 3회 반복 추출하였다. 화이버(fiber)가 안으로 완전히 들어간 상태에서 시료 용기의 셉텀(septum)을 형성한 뒤, 화이버를 밖으로 노출시켜 약 1시간 헤드스페이스법을 사용하여 분석물질을 추출하였다. 추출 후, 화이버가 다시 안으로 들어가면 GC의 주입구 안에서 화이버를 노출하여 흡착된 분석물질을 고온에서 열탈착하였다. 이후 분석 컬럼 안으로 분석물질이 자동 주입되어 물질별 수치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 1에서 보듯이, 파라-크레졸(p-cresol)은 수소의 소변에서만 다량 검출되었으며, 거세우의 소변에서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2> p -cresol을 포함하는 암소 번식능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은 배합비로 완전히 녹인 파라핀 왁스와 p-cresol을 교반하면서 혼합하였다. 왁스 트레이에 혼합물을 부어 완전히 굳혀 암소 번식능력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도 2에 제조한 조성물의 외관을 촬영한 사진을 나타내었다.
파라핀 왁스 p-cresol
제조예 1 99.9 g 0.1 g
제조예 2 99 g 1 g
제조예 3 95 g 5 g
도 3에 제조예 2와 수소(bull) 또는 송아지(calf)의 소변으로부터 확산되는 p-cresol양을 Solid Phase Microextraction 검사 기법을 활용하여 확인한 결과를 기재하였다. 샘플 내의 페로몬 확산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열처리군을 추가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은 30일까지 p-cresol의 확산이 유지되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확산되는 p-cresol은 수소와 송아지의 소변으로부터 확산되는 p-cresol 양보다 다량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 암소의 번식 능력 개선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분만 후 암소 육우의 목줄에 거치 후 암소의 번식 능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분만 후 첫 발정재귀일은 일반적으로 60~90일로 알려져 있으며, 본 실험에서 대조군으로 사용한 암소 육우의 경우 평균 84.20±6.64로 확인되었다. 실험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처리방식 두수 분만 후 첫 발정재귀일(day)
실험군 농도 방식
5% 목줄 거치식 3 28 ± 4
1% 3 46 ± 4
대조군 5 73.86 ± 8.15
표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p-cresol이 확산되어 암소의 번식 능력을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되었다. 특히 5% p-cresol 페로몬 블록으로 처리한 경우 분만 후 28일만에 발정이 재귀되어 정상적으로 발정이 재귀되는 가장 이른 시점(분만 후 약 45일)보다 약 17일 앞당겨졌다. 하지만 5% p-cresol 페로몬 블록을 사용할 경우, 암소의 자궁 회복 기간이 짧아지는 부작용이 예상되므로, 1% 이하의 p-cresol 페로몬 블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Claims (7)

  1. 파라-크레졸(p-cres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소 번식 능력 개선용 조성물에서,
    상기 암소 번식 능력 개선은,
    분만 후 첫 발정재귀일을 단축하는 것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파라핀 왁스, 밀납 왁스, 목납 왁스 및 카나우바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왁스를 포함하는 것인, 암소 번식 능력 개선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크레졸(p-cresol)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암소 번식 능력 개선용 조성물.
  4. 파라핀 왁스, 밀납 왁스, 목납 왁스 및 카나우바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왁스에 파라-크레졸(p-cresol)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소 번식 능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암소 번식 능력 개선은,
    분만 후 첫 발정재귀일을 단축하는 것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액체 상태인 것인, 암소 번식 능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왁스 95~99.9 중량% 및 파라-크레졸(p-cresol) 0.1~5 중량%로 혼합되는 것인, 암소 번식 능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1항의 조성물을 암소의 신체 일부에 거치하거나 사육 장소에 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소의 번식 능력 개선 방법에서,
    상기 암소 번식 능력 개선은,
    분만 후 첫 발정재귀일을 단축하는 것인, 방법.
KR1020220069430A 2022-03-04 2022-06-08 암소 번식 능력 개선용 조성물 KR102514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2976 WO2023167561A1 (ko) 2022-03-04 2023-03-03 암소 번식 능력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114 2022-03-04
KR20220028114 2022-03-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4899B1 true KR102514899B1 (ko) 2023-03-29

Family

ID=85800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430A KR102514899B1 (ko) 2022-03-04 2022-06-08 암소 번식 능력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14899B1 (ko)
WO (1) WO202316756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774A (ko) 2014-11-12 2016-05-20 한국과학기술원 복숭아순나방의 교미교란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복숭아순나방 교미교란용 페로몬 방출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98790B1 (en) * 1991-08-16 1997-06-04 PHARMACIA &amp; UPJOHN COMPANY Somatotropin for increasing reproductivite performance in cattle
CN101553127A (zh) * 2006-04-11 2009-10-07 米勒尤迪斯公司 用于改善繁殖效率的家畜管理
TWI759317B (zh) * 2016-07-26 2022-04-01 德商拜耳動物保健有限公司 牛物種中增加的生育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774A (ko) 2014-11-12 2016-05-20 한국과학기술원 복숭아순나방의 교미교란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복숭아순나방 교미교란용 페로몬 방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67561A1 (ko) 2023-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evenson et al. Progesterone status, parity, body condition, and days postpartum before estrus or ovulation synchronization in suckled beef cattle influence artificial insemination pregnancy outcomes
Perry Physiology and endocrinology symposium: harnessing basic knowledge of factors controlling puberty to improve synchronization of estrus and fertility in heifers
Abdelnaby et al. Melatonin and CIDR improved the follicular and luteal haemodynamics, uterine and ovarian arteries vascular perfusion, ovarian hormones and nitric oxide in cyclic cows
Lents kisspeptin and reproduction in the pig
CN113331132B (zh) 一种采用辣椒碱提高奶牛夏季繁殖率和产奶量的处理方法
KR102514899B1 (ko) 암소 번식 능력 개선용 조성물
Maclellan et al. Superstimulation of ovarian follicular growth with FSH, oocyte recovery, and embryo production from zebu (Bos indicus) calves: Effects of treatment with a GnRH agonist or antagonist
Hurtgen et al. Use of PMSG in the prevention of seasonal post-weaning anestrus in sows
Cooper-Prado et al. Case Study: Effects of body weight gain and bovine somatotropin treatment of postpartum beef cows on concentrations of IGF-1, insulin, and glucose in blood plasma; luteal activity; and calf growth
Kaiser et al. Effects of growth hormone on female reproductive organs
Maquivar et al. Reproductive response in supplemented heifers in the humid tropics of Costa Rica
D'occhio et al. Close synchrony of ovulation in superstimulated heifers that have a downregulated anterior pituitary gland and are induced to ovulate with exogenous LH
KR20240083078A (ko) 가축의 번식능력 개선용 조성물
Silva et al. Seasonal variations in the developmental competence of bovine oocytes matured in vitro
Smith et al. Establishment of pregnancy in beef cattle: application of basic principles
WO2024117516A1 (ko) 가축의 번식능력 개선용 조성물
Deichsel et al. Acute Insulin‐induced Hypoglycaemia does not alter IGF‐1 and LH Release in Cyclic Mares
Gettys et al. Partition of food intake between maintenance and gain among bovine sex phenotypes
Maple et al. Effects of steroid hormone treatment on mammary development in prepubertal heifers
JP5435422B2 (ja) ウシの発情同期化法およびそのためのキット
Massengill Setting the Cycle for Reproductive Success with a Pre-synchronization Program in Postpartum Beef Cows
Pool et al. The effect of exogenous ACTH and pen-confinement on estrous cycle length, plasma steroid levels and ovarian function of beef heifers
Afriani et al.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and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Administration to the Superovulation of Buffalo (Bubalus bubalis)
Weekley et al. Effects of nutritional environment on percentage of mature weight at which crossbred heifers of varying proportion of Brahman breeding attain puberty
Brüssow et al. Contribution of Porcine Follicular Fluid in the Process of Fertilization In Viv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