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872B1 - 공공 디스플레이 기반의 마겟팅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공공 디스플레이 기반의 마겟팅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872B1
KR102514872B1 KR1020200120813A KR20200120813A KR102514872B1 KR 102514872 B1 KR102514872 B1 KR 102514872B1 KR 1020200120813 A KR1020200120813 A KR 1020200120813A KR 20200120813 A KR20200120813 A KR 20200120813A KR 102514872 B1 KR102514872 B1 KR 102514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er
advertisement
gaze
display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8221A (ko
Inventor
이경한
서형국
위형석
가에턴 게레로
포 쥬리
류성훈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주)제노임펙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노임펙트 filed Critical (주)제노임펙트
Priority to KR1020200120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872B1/ko
Publication of KR20220038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2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events or environment, e.g. weather or festiv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공 디스플레이 기반의 마켓팅 자료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적어도 하나의 공공 디스플레이를 통해 광고 컨텐츠를 반복 재생하면서, 공공 디스플레이의 전방에 위치하는 시청자의 일반 영상과 머리 회전 쿼터니언을 반복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일반 영상으로부터 시청자 외관 특징을 추출 및 분석하여 시청자 유형을 유추하는 단계; 상기 머리 회전 쿼터니언을 통해 시청자 응시 방향을 파악한 후, 시청자 응시 방향이 기 설정 각도 이하인 경우에만 유효 시청 시간을 카운팅하는 단계; 상기 머리 회전 쿼터니언을 통해 시청자 응시 지점을 유추한 후, 시청자 응시 방향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요소를 추적 모니터링하여 디스플레이 요소별 응시 비율을 파악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시간에 걸쳐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시청자 유형별 유효 시청 시간, 디스플레이 요소별 응시 비율을 포함하는 마겟팅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공 디스플레이 기반의 마겟팅 정보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marketing data based on public display}
본 발명은 공공 디스플레이를 새로운 방식으로 마겟팅 정보를 획득 및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공공 디스플레이 기반의 마겟팅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업들은 자신의 제품과 서비스를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한 광고 방법으로, 대중들이 많이 보이는 위치에 입간판을 세우거나, 광고지를 벽이나 교통수단에 붙임으로써 지나가는 근거리의 행인들의 시선에 호소하거나, 시선이 잘 확보되는 위치에 부착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광고함으로써 원거리의 행인들의 시선을 끄는 방법 등을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유동인구가 많은 공공장소에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같이 광고 시설물을 설치하여 기업이나 상품의 광고 및 홍보 영상을 불특정 다수에게 제공하는 공공 디스플레이 방식의 광고 서비스가 현저하게 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의 광고는 정지 이미지를 인쇄하여 공공장소에 부착함으로써 이루어지던 기존 방식의 광고에 비하여 광고 교체가 용이하고, 동영상 광고가 가능할 뿐 아니라
복수의 광고를 시간에 따라 스케쥴링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공간에 비하여 다수의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방식의 광고 제공 서비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기술 및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는 현재 각종 건물의 엘리베이터, 지하철 역사, 전동차 내, 버스 내부, 대학교, 은행, 편의점, 할인점, 쇼핑몰 등 일반 대중이 왕래하는 동선 상에 대부분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한편, 광고주 입장에서 충분한 마겟팅 정보에 기반하여 잠재 고객층과 마겟팅 요소를 결정하고, 광고를 통해 잠재 고객층의 흥미와 관심을 유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기업에서 제공하는 정보 또는 구두 기반의 설문조사를 통해서 획득된 한정된 정보만을 마겟팅 정보로 활용할 수 있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10-2004-0018291호(공개일: 2004.03.03.)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공공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 제공에 따른 시청자 반응을 추적 모니터링함으로써, 최소한의 시간과 비용으로 보다 다양하고 세밀한 마겟팅 정보를 획득 및 제공하는 새로운 방식의 공공 디스플레이 기반의 마겟팅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공공 디스플레이를 통해 광고 컨텐츠를 반복 재생하면서, 공공 디스플레이의 전방에 위치하는 시청자의 일반 영상과 머리 회전 쿼터니언을 반복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일반 영상으로부터 시청자 외관 특징을 추출 및 분석하여 시청자 유형을 유추하는 단계; 상기 머리 회전 쿼터니언을 통해 시청자 응시 방향을 파악한 후, 시청자 응시 방향이 기 설정 각도 이하인 경우에만 유효 시청 시간을 카운팅하는 단계; 상기 머리 회전 쿼터니언을 통해 시청자 응시 지점을 유추한 후, 시청자 응시 방향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요소를 추적 모니터링하여 디스플레이 요소별 응시 비율을 파악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시간에 걸쳐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시청자 유형별 유효 시청 시간, 디스플레이 요소별 응시 비율을 포함하는 마겟팅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공 디스플레이 기반의 마켓팅 자료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마켓팅 자료 제공 방법은 공공 디스플레이 각각의 광고 환경 정보를 모니터링한 후, 광고 환경 정보에 따른 유효 시청 시간 변화 패턴을 파악하여 추가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시청 시간을 카운팅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컨텐츠의 전체 재생 구간을 다수개로 세분화한 후, 재생 구간별 유효 시청 시간을 산출 및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켓팅 자료 제공 방법은 다수의 광고 컨텐츠 중 하나를 선택한 후 부가 정보 제공을 요청하면, 선택된 광고 컨텐츠의 시청자 유형별 유효 시청 시간을 기반으로 주요 시청자 유형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주요 시청자 유형을 기반으로 나머지 광고 컨텐츠들의 마겟팅 정보를 검색하여, 관련 광고 컨텐츠를 선별 및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켓팅 자료 제공 방법은 상기 관련 광고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요소별 응시 비율을 기반으로 관련 광고 컨텐츠별 주요 디스플레이 요소를 파악 및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뿐 만 아니라 상기 마켓팅 자료 제공 방법은 상기 관련 광고 컨텐츠별 주요 디스플레이 요소의 공통 특성을 추출 및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수 지역에 분산 설치된 다수의 공공 디스플레이를 통해 광고 컨텐츠 재생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시청자 반응을 추적 모니터링함으로써, 최소한의 시간과 비용으로 마겟팅 정보를 획득 및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청자 반응을 시청자 유형, 재생 구간, 디스플레이 요소, 광고 환경에 따라 세분화하여 분석함으로써, 보다 다양하고 세밀한 마겟팅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켓팅 지원 서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 응시 방향과 응시 지점의 산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켓팅 자료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켓팅 자료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은 여러 지역에 분산 설치되는 다수의 공공 디스플레이(100),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단말(200), 및 마켓팅 지원 서버(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공 디스플레이(100) 각각은 불특정 다수에 의해 노출 가능한 지역에 설치되며, 카메라를 통해 자신의 전방 영역을 촬영 및 분석하여 사람 존재 여부를 확인한 후,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광고 컨텐츠 재생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를 일반 카메라와 모션 인식 카메라로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가시광선 영상 이외에 공공 디스플레이의 전방에 위치한 사람의 머리 회전 쿼터니언을 추가 획득하도록 한다.
이때, 모션 인식 카메라는 키넥트(Kinect) 카메라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 및 머리가 카메라 좌표에서 얼마나 회전되어있는지를 나타내는 쿼터니언을 추적하여 제공할 수 있는 깊이 카메라로 구현 가능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즉, 일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가시 광선 영상을 통해서는 사람 객체의 검출 여부와 시청자 유형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되, 모션 인식 카메라를 통해서는 시청자의 응시 방향과 응시 지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광고주 단말(200)은 광고주들에 의해 이용 및 조작되는 단말로, 광고주는 이를 통해 광고 컨텐츠와 광고주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광고 컨텐츠에 대한 마겟팅 근거 자료를 피드백 받을 수 있다.
마켓팅 지원 서버(300)는 광고주 단말(200)에 의해 등록된 광고 컨텐츠 각각을 공공 디스플레이(100) 각각을 통해 불특정 다수에게 무작위 노출시킨다. 그리고 시청자들의 반응 정도를 시청자 유형, 디스플레이 요소, 광고 수행 환경 등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함으로써, 최적의 마겟팅 대상과 마겟팅 환경에 대한 정보를 파악한 후 광고주에 피드백하도록 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켓팅 지원 서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마켓팅 지원 서버(300)는 통신부(310), 광고 관리부(320), 시청자 모션 분석부(330), 시청자 유형 분석부(340), 광고 환경 모니터링부(350) 및 제어부(360)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공공 디스플레이(100) 및 광고주 단말(200)과의 통신 채널을 형성 및 운영하여, 공공 디스플레이(100) 및 광고주 단말(200)과의 상호 연동을 지원한다.
광고 관리부(320)는 다수의 광고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광고 정보 각각은 광고 컨텐츠, 광고주, 광고 품목, 분석 대상자 범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시청자 모션 분석부(330)는 모션 인식 카메라의 머리 회전 쿼터니언을 기반으로 시청자의 응시 방향과 응시 지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시청자 응시 방향을 기반으로 유효 시청 여부를 확인한다.
참고로, 3차원의 얼굴 모델(Object)을 생성하여 3 차원 가상 환경에 위치시킨 후 얼굴 모델의 z 축을 공공 디스플레이(100)에 획득 및 제공하는 머리 회전 쿼터니언에 따라 회전시키면, 도 3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어느 위치에서건 시청자가 카메라를 정면으로 바라본다면, 카메라 입장에서는 머리가 회전하지 않은 것처럼 보이며, 그 결과 보인다. 따라서 사용자가 카메라를 정면으로 바라볼 때 추적된 회전 쿼터니언으로는 회전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의 시청자 모션 분석부(330)는 z 축 방향의 단위벡터를 시청자의 머리 회전 쿼터니언에 따라 회전시켜 응시 방향 벡터를 획득하고, 응시 방향 벡터와 z 축 방향의 단위벡터간의 각도가 기 설정 각도 이하인 경우에 한해 시청자-카메라간에 눈 맞춤이 되었다고 가정한다. 이때, 기 설정 각도는 10도일 수 있으나, 이는 변경 가능한 값이다.
또한 광고 컨텐츠는 시청자의 관심과 흥미를 높이기 위한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 요소를 동시에 나열 또는 순차 제공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나, 종래에는 광고 효과를 디스플레이 요소별로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 4와 같이 머리 회전 쿼터니언의 검출 위치값 및 응시 방향(즉, Z축 방향)과 시청자 응시 지점간의 상관관계 사전 정의한 후, 이를 기반으로 현재 검출된 머리 회전 쿼터니언의 검출 위치값과 응시 방향에 대응되는 시청자 응시 지점을 즉각 산출할 수 있다.
시청자 유형 분석부(340)는 일반 카메라의 가시광선 영상을 수신 및 분석하여 사람 객체를 검출하고, 사람 객체를 기반으로 얼굴 특징, 신체 특징, 머리 스타일, 복장 스타일, 액세서리 특징 등과 같은 시청자 외관 특징을 추출한다. 그리고 시청자 외관 특징을 기반으로 성별, 나이대, 성향 등과 같은 시청자 유형을 예측 및 정의하도록 한다.
더하여, 다수의 사람이 동시 검출되는 경우, 사람 객체 각각에 대응되는 시청자 유형을 추출하여 모두 이용하거나, 가장 높은 추출 비율을 가지는 시청자 유형만을 대표 유형으로 선정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광고 환경 모니터링부(350)는 공공 디스플레이(100)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를 이용하거나, 지리 정보 제공 서버 및 날씨 서버 등과의 상호 연동을 통해 공공 디스플레이(100) 각각에 대응되는 광고 환경 정보를 획득 및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광고 환경 정보는 위치 정보, 날씨,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제어부(360)는 광고 컨텐츠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마켓팅 분석이 요청되면, 이에 응답하여 해당 광고 컨텐츠를 다수의 공공 디스플레이(100)를 통해 불특정 다수에게 무작위 노출시킨다. 그리고 시청자들의 반응 정도를 수집 및 분석하여 마겟팅 정보를 생성한 후, 해당 광고주에 피드백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켓팅 자료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마겟팅 조사가 필요한 광고 컨텐츠가 등록되면, 마켓팅 지원 서버(300)는 다수의 공공 디스플레이(100) 각각을 통해 해당 광고 컨텐츠를 반복 재생한다(S1).
그리고 광고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다수의 공공 디스플레이(100) 각각에 설치된 일반 카메라와 모션 인식 카메라를 통해 시청자의 영상과 머리 회전 쿼터니언을 반복적으로 획득한다(S2).
시청자 영상으로부터는 사람 객체를 추출하고, 이의 얼굴 특징, 신체 특징, 머리 스타일, 복장 스타일, 액세서리 특징 등과 같은 시청자 외관 특징을 획득 및 분석하여 성별, 나이대, 성향 등과 같은 시청자 유형을 예측한다(S3).
그리고 머리 회전 쿼터니언을 통해 시청자 응시 방향을 파악한 후, 시청자 응시 방향이 기 설정 각도 이하인 경우에만(즉, 시청자가 공공 디스플레이를 바라보는 경우에만) 유효 시청 시간을 누적 카운팅한다. 또한 광고 컨텐츠의 전체 재생 구간을 다수의 구간으로 나눈 후, 상기의 유효 시청 구간을 재생 구간 별로 구분하여 누적 카운팅할 수도 있도록 한다(S4).
또한 머리 회전 쿼터니언을 통해 시청자 응시 지점을 추가 파악한 후, 이를 통해 시청자가 현재 집중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디스플레이 요소를 식별 및 추적 모니터링하여 디스플레이 요소별 응시 비율을 획득한다(S5).
단계 S1 내지 S5는 기 설정된 조사 기간 동안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기 설정된 조사 기간이 경과하면(S6), 현재까지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시청자 유형 및 디스플레이 요소에 따른 시청자 반응 변화를 파악한 후, 이를 리포팅하는 마겟팅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주에 제공하도록 한다(S7).
이러한 마겟팅 정보는 시청자 유형별 유효 시청 시간, 재생 구간별 유효 시청 시간, 디스플레이 요소별 응시 비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광고 환경 정보 모니터링 동작을 함께 수행하고, 광고 환경 정보에 따른 시청자 반응 변화(즉, 광고 환경 정보에 따른 유효 시청 시간 변화 패턴)를 추가 파악한 후, 이에 대한 정보도 마겟팅 정보로써 광고주에 함께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광고 컨텐츠에 대해 상기 마켓팅 자료 제공 동작을 반복 수행하여 대용량의 광고 컨텐츠 마겟팅 정보가 수집되는 경우, 도 6의 방법을 통해 마겟팅 부가 정보를 추가로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켓팅 자료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마켓팅 부가 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광고 컨텐츠가 선택되면(S11), 마켓팅 지원 서버(300)는 해당 광고 컨텐츠의 시청자 유형별 유효 시청 시간을 기반으로 주요 시청자 유형을 검출한다(S12).
그리고 나머지 광고 컨텐츠들의 마겟팅 정보를 모두 검색하여 단계 S12의 주요 시청자 유형을 주요 시청자 유형으로 가지는 관련 광고 컨텐츠를 선별한다(S13).
또한 선별된 광고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요소별 응시 비율을 기반으로 관련 광고 컨텐츠별 주요 디스플레이 요소를 파악한 후(S14), 이들의 공통 특성을 추출한다(S15). 이때, 공통 특성은 디스플레이 요소 종류, 색상, 크기, 주요 배치 위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관련 광고 컨텐츠, 관련 광고 컨텐츠별 주요 디스플레이 요소, 주요 디스플레이 요소의 공통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마켓팅 부가 정보를 생성한 후, 광고주에 추가 안내하도록 한다(S16).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6)

  1. 광고 제공 시스템의 공공 디스플레이 기반의 마켓팅 자료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공공 디스플레이를 통해 광고 컨텐츠를 반복 재생하면서, 상기 공공 디스플레이의 전방에 위치하는 시청자의 일반 영상과 머리 회전 쿼터니언을 반복 획득하는 단계;
    상기 광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일반 영상으로부터 시청자 외관 특징을 추출 및 분석하여 시청자 유형을 유추하는 단계;
    상기 광고 제공 시스템은 상기 머리 회전 쿼터니언을 통해 시청자 응시 방향을 파악한 후, 시청자 응시 방향이 기 설정 각도 이하인 경우에만 상기 광고 컨텐츠의 유효 시청 시간을 카운팅하는 단계;
    상기 광고 제공 시스템은 상기 머리 회전 쿼터니언을 통해 시청자 응시 지점을 유추한 후, 시청자 응시 방향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요소를 추적 모니터링하여, 디스플레이 요소별 응시 비율을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 제공 시스템은 기 설정된 시간에 걸쳐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시청자 유형별 유효 시청 시간, 디스플레이 요소별 응시 비율을 포함하는 마겟팅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 컨텐츠는
    하나의 광고 화면을 통해 다수의 디스플레이 요소를 동시에 나열 또는 순차 제공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요소별 응시 비율을 파악하는 단계는
    머리 회전 쿼터니언의 검출 위치값 및 응시 방향과 시청자 응시 지점간의 상관관계를 사전 정의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머리 회전 쿼터니언의 검출 위치값과 응시 방향에 대응되는 시청자 응시 지점을 산출하는 단계; 및
    시청자 응시 지점을 통해 시청자가 바라보고 있는 디스플레이 요소를 식별 및 추적 모니터링하여 디스플레이 요소별 응시 비율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디스플레이 기반의 마켓팅 자료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공공 디스플레이 각각의 광고 환경 정보를 모니터링한 후, 광고 환경 정보에 따른 유효 시청 시간 변화 패턴을 파악하여 추가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디스플레이 기반의 마켓팅 자료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시청 시간을 카운팅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컨텐츠의 전체 재생 구간을 다수개로 세분화한 후, 재생 구간별 유효 시청 시간을 산출 및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디스플레이 기반의 마켓팅 자료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광고 컨텐츠 중 하나를 선택한 후 부가 정보 제공을 요청하면, 선택된 광고 컨텐츠의 시청자 유형별 유효 시청 시간을 기반으로 주요 시청자 유형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주요 시청자 유형을 기반으로 나머지 광고 컨텐츠들의 마겟팅 정보를 검색하여, 관련 광고 컨텐츠를 선별 및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디스플레이 기반의 마켓팅 자료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광고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요소별 응시 비율을 기반으로 관련 광고 컨텐츠별 주요 디스플레이 요소를 파악 및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디스플레이 기반의 마켓팅 자료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광고 컨텐츠별 주요 디스플레이 요소의 공통 특성을 추출 및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디스플레이 기반의 마켓팅 자료 제공 방법.
KR1020200120813A 2020-09-18 2020-09-18 공공 디스플레이 기반의 마겟팅 정보 제공 방법 KR102514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813A KR102514872B1 (ko) 2020-09-18 2020-09-18 공공 디스플레이 기반의 마겟팅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813A KR102514872B1 (ko) 2020-09-18 2020-09-18 공공 디스플레이 기반의 마겟팅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221A KR20220038221A (ko) 2022-03-28
KR102514872B1 true KR102514872B1 (ko) 2023-03-29

Family

ID=80997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813A KR102514872B1 (ko) 2020-09-18 2020-09-18 공공 디스플레이 기반의 마겟팅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8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3094A (ja) * 2000-11-07 2002-05-21 Nac Image Technology Inc 視線検出装置
JP2016031591A (ja) * 2014-07-28 2016-03-07 株式会社バイトルヒクマ 広告効果測定システム、広告効果測定端末及び広告効果測定端末用プログラム、並びに、広告効果測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291A (ko) 2002-08-22 2004-03-03 김일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광고시스템
KR101790656B1 (ko) * 2015-10-29 2017-10-27 디노플러스 (주) 광고시청자 시선추적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시청 분석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16772A (ko) * 2016-08-08 2018-02-20 주식회사 위주 사용자 스마트 단말기 위치값과 사용자 유형별 분석에 따른 광고 노출 대상 선별과 그 결과에 의한 맞춤형 광고 노출을 통한 보상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16830A (ko) * 2018-04-05 2019-10-15 주식회사 홀로홀릭 광고 시청자의 빅데이터 및 시청자객체 수 기반 광고료를 산정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3094A (ja) * 2000-11-07 2002-05-21 Nac Image Technology Inc 視線検出装置
JP2016031591A (ja) * 2014-07-28 2016-03-07 株式会社バイトルヒクマ 広告効果測定システム、広告効果測定端末及び広告効果測定端末用プログラム、並びに、広告効果測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221A (ko) 202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26931A1 (en) Digital advertising system
Dalton et al. Display blindness? Looking again at the visibility of situated displays using eye-tracking
KR101094119B1 (ko) 양방향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운용 방법 및 시스템
US1051516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visual attention models
US20230041374A1 (en) Interactive signage and data gathering techniques
Ravnik et al. Audience measurement of digital signage: Quantitative study in real-world environment using computer vision
US201002326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unting the number of people
CN102244807A (zh) 自适应视频变焦
KR20130061104A (ko) 인터랙티브 광고를 위한 사용 측정 기술 및 시스템
JP2016218821A (ja) 販売情報利用装置、販売情報利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889825A1 (en) Automated unobtrusive scene sensitive information dynamic insertion into web-page image
Taniguchi Content scheduling and adaptation for networked and context-aware digital signage: A literature survey
KR102514872B1 (ko) 공공 디스플레이 기반의 마겟팅 정보 제공 방법
KR20220021689A (ko) 인공지능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US10991011B2 (en) Method for making a profit using individual shops, an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Alt et al. Orbuculum-Predicting When Users Intend to Leave Large Public Displays
KR20220039871A (ko) 공공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잠재 고객 분석 장치
KR20220039872A (ko) 스마트 양방향 광고 제공 장치
Santos et al. Using pervasive computing technologies to deliver personal and public ads in public spaces
JP2015502609A (ja) 個人店舗を利用した収益創出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30049686A (ko) 개인 점포를 이용한 수익 창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6133232A1 (ko) 디지털 사이니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e et al. Design of Low Cost Real-Time Audience Adaptive Digital Signage using Haar Cascade Facial Measures
KR20210133036A (ko) 비디오 분석 데이터를 이용한 효과적인 디지털 광고 시스템
Mikusz Next generation analytics for open pervasive display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