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783B1 - 높이조절이 가능한 저중심 골프티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저중심 골프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783B1
KR102514783B1 KR1020220172656A KR20220172656A KR102514783B1 KR 102514783 B1 KR102514783 B1 KR 102514783B1 KR 1020220172656 A KR1020220172656 A KR 1020220172656A KR 20220172656 A KR20220172656 A KR 20220172656A KR 102514783 B1 KR102514783 B1 KR 102514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tee
cover
shaft
go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2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민규
Original Assignee
오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민규 filed Critical 오민규
Priority to KR1020220172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5Golf tees height-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높이조절이 가능한 저중심 골프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저중심 골프티는, 상부에 골프공이 놓여지는 볼받침대(115)가 구비되며 하부가 그라운드에 삽입되는 티본체(110)와; 금속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티본체(110)의 무게중심이 하부에 위치하게 상기 티본체(110)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금속베이스(120)와; 상기 금속베이스(120)의 상면을 덮도록 일체로 결합되며, 우레탄소재로 형성되어 골프클럽이 상기 금속베이스(120)의 상면과 직접 접촉되지 않게 하는 우레탄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티본체(110)는, 상기 볼받침대(115)의 하부에 구비되는 외부노출축(111)과; 상기 외부노출축(111)의 하부에 구비되며 외주연에 상기 금속베이스(120)와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베이스결합축(118)과; 상기 베이스결합축(118)의 하부에 상기 베이스결합축(118) 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며 그라운드에 삽입되는 삽입축(1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베이스(120)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점차 외경이 넓어지는 곡면으로 구비되는 베이스본체(121)와; 상기 베이스본체(121)의 하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점차 외경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하부지지체(125)와; 상기 베이스본체(121)와 상기 하부지지체(125)의 경계영역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면적 확장되어 그라운드와 접촉되며 상기 하부지지체(125)가 그라운드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깊이제한판(123)과; 상기 베이스본체(121)와 상기 하부지지체(125)의 중심영역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티본체(110)가 삽입되며 상기 하부지지체(125)의 하부로 상기 삽입축(113)이 노출되게 지지하는 티결합관(127)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저중심 골프티{Height-adjustable, low-centre golf tee}
본 발명은 골프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저중심 설계로 원하는 위치의 그라운드에 밀착 고정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저중심 골프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경기에서 홀을 시작할 때마다 티잉 그라운드(Teeing Ground)에서 티샷을 날리게 된다. 이때, 골퍼들은 5~9cm 정도의 길이를 가진 막대 형상의 골프티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티잉 그라운드에 골프티를 적절한 높이로 꽂은 다음 골프티 위에 골프공을 올려 놓고 타격을 하게 된다.
종래의 골프티는 통상 나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상단이 골프공을 얹어 놓을 수 있게 오목한 구면으로 가공되어 있으며 하단이 지면에 쉽게 꽂을 수 있게 뾰족하게 가공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골프티를 이용하게 되면, 티샷을 칠 때 드라이버와 지면 및 잔디와의 간섭이 최소화되면서 골프공의 비거리가 높아지므로 골퍼들에게 있어서 필수 장비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골프티는 티잉 그라운드의 잔디 상태가 일정하지 않고 표면에 요철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로지 골퍼의 감각에만 의존하여 티잉 그라운드에 골프티를 꽂아서 사용하기 때문에 티잉 그라운드로부터 항상 일정한 높이에 안정적으로 골프티를 고정시키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골프티는 사이즈가 작고 돌출된 부분이 없는 핀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자주 분실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골퍼들은 잔디의 상태를 비롯하여 개인의 신장과 취향과 스윙 폼에 따라 숏티(short tee), 미들 티(middle tee), 롱 티(long tee) 등 각기 다른 사이즈의 골프티들을 항상 휴대하고 다니면서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해야하므로 분실의 위험도 높아지고 사용상의 불편함도 큰 단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314778호 "높이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중심 설계로 희망하는 위치에 고정이 용이한 골프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티본체의 교환이 용이한 골프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저중심 골프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프티는, 상부에 골프공이 놓여지는 볼받침대(115)가 구비되며 하부가 그라운드에 삽입되는 티본체(110)와; 금속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티본체(110)의 무게중심이 하부에 위치하게 상기 티본체(110)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금속베이스(120)와; 상기 금속베이스(120)의 상면을 덮도록 일체로 결합되며, 우레탄소재로 형성되어 골프클럽이 상기 금속베이스(120)의 상면과 직접 접촉되지 않게 하는 우레탄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티본체(110)는, 상기 볼받침대(115)의 하부에 구비되는 외부노출축(111)과; 상기 외부노출축(111)의 하부에 구비되며 외주연에 상기 금속베이스(120)와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베이스결합축(118)과; 상기 베이스결합축(118)의 하부에 상기 베이스결합축(118) 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며 그라운드에 삽입되는 삽입축(1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베이스(120)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점차 외경이 넓어지는 곡면으로 구비되는 베이스본체(121)와; 상기 베이스본체(121)의 하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점차 외경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하부지지체(125)와; 상기 베이스본체(121)와 상기 하부지지체(125)의 경계영역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면적 확장되어 그라운드와 접촉되며 상기 하부지지체(125)가 그라운드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깊이제한판(123)과; 상기 베이스본체(121)와 상기 하부지지체(125)의 중심영역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티본체(110)가 삽입되며 상기 하부지지체(125)의 하부로 상기 삽입축(113)이 노출되게 지지하는 티결합관(127)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티는 티본체의 하부에 금속재질의 금속베이스를 결합시켜 골프티의 하부에 무게중심이 위치되게 한다. 이에 따라 하부의 하중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쉽게 고정할 수 있어, 골퍼가 골프티를 손으로 잡고 원하는 위치에 살짝 던져주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금속재질의 베이스를 사용함으로써 티샷 이후에 멀리 날아가지 않아 분실위험이 현저하게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금속베이스의 상면을 우레탄재질의 우레탄커버가 감싸 골프클럽과 금속베이스가 직접 접촉하며 소음발생 및 골프클럽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베이스가 티본체와 나사결합되어 골퍼의 체형이나 그라운드의 상황에 맞게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티의 상부에 골프공이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티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티의 금속베이스와 우레탄커버의 단면상태를 도시한 단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티가 그라운드에 고정된 상태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티가 높이조절된 상태로 그라운드에 고정된 상태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티(100)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골프티(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금속베이스(120)와 우레탄커버(130)의 단면형상을 각각 도시한 분해단면도이고, 도 4는 골프티(100)가 그라운드(G)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프티(100)는 티샷을 날려야하는 티잉 그라운드에 삽입되는 티본체(110)와, 티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티본체(110)의 하부에 중심이 위치하게 티본체(110)를 지지하는 금속재질의 금속베이스(120)와, 금속베이스(120)의 상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외부로 금속재질이 노출되지 않게 커버하는 우레탄커버(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티(100)는 티본체(110)의 하부에 우레탄커버(130)가 일체로 형성된 금속재질의 금속베이스(1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금속재질의 금속베이스(120)가 티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므로 전체 골프티(100)의 무게중심이 하부에 형성되어 골퍼가 그라운드에 골프티(100)를 던져도 쉽게 꽂혀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금속재질의 금속베이스(120)에 의해 무게가 무거워 멀리 날아가지 않아 분실 위험이 없는 장점이 있으며, 금속베이스(120)와 티본체(110)가 나사결합되어 그라운드로부터 골프공(A) 사이의 거리를 골퍼의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티본체(110)는 플라스틱재질로 구비되며, 사용 후 손상되면 교체하여 사용된다. 우레탄커버(130)가 결합된 금속베이스(120)는 반복사용되고, 티본체(110)는 금속베이스(120)에 착탈가능하여 손상되면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티본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갖는 축 형태로 구비된다. 티본체(110)는 골프공(A)이 거치되는 볼받침대(115)와, 볼받침대(115)의 하부에 일정길이 형성되는 외부노출축(111)과, 외부노출축(111)의 하부에 구비되어 금속베이스(120)와 결합되는 베이스결합축(118)과, 베이스결합축(118)의 하부에 구비되어 그라운드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축(113)이 일체로 형성된다.
외부노출축(111)은 볼받침대(115)의 하부에 일정길이 형성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티(100)가 그라운드(G)에 고정되었을 때 금속베이스(120) 상부에서 볼받침대(115)를 지지한다.외부노출축(111)는 그라운드(G)로부터 골프공(A)이 일정높이 이격될 수 있게 볼받침대(115)를 지지한다.
베이스결합축(118)은 외부노출축(111)의 하부에 일정길이 형성되어 금속베이스(120)와 나사결합된다. 이를 위해 베이스결합축(118)의 외주연에는 나사산(118a)이 형성된다.
여기서, 베이스결합축(118)에 나사산(118a)이 형성된 높이(h)만큼 금속베이스(120)가 베이스결합축(118)에 결합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금속베이스(120)가 베이스결합축(118)에 결합되는 높이에 따라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운드(G)로부터 볼받침대(115)까지의 높이(h1,h2)를 조절할 수 있다.
골퍼는 종래 숏티(short tee), 미들 티(middle tee), 롱 티(long tee)와 같이 복수개의 티를 휴대할 필요 없이 본 발명의 골프티(100) 하나만으로 높이조절을 통해 종래 세 개의 티를 휴대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삽입축(113)은 베이스결합축(118)의 하부에 일정길이 형성되며, 도 4와 같이 그라운드(G) 내부에 삽입된다. 삽입축(113)은 지면내부로 용이한 삽입을 위해 하단에 날카로운 첨단(113a)이 형성된다.
한편, 외부노출축(111)과 베이스결합축(118) 사이에는 결합스커트(117)가 구비된다. 결합스커트(11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점차 외경이 커지는 경사면을 갖도록 구비된다.
결합스커트(117)는 하부에 결합되는 우레탄커버(130)와 접촉되며 우레탄커버(130)의 결합높이를 제한한다. 또한, 결합스커트(117)는 우레탄커버(130) 외주면의 곡면과 연결되게 구비되어 티본체(110)와 우레탄커버(130)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아 깔끔한 미관을 나타내게 한다.
금속베이스(120)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티본체(110)의 베이스결합축(118)에 결합되어 티본체(110)의 무게중심이 하부에 형성되게 무게를 인가한다.
금속베이스(12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볼록하게 구비되는 베이스본체(121)와, 베이스본체(121)의 하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면적 확장되어 티본체(110)가 그라운드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깊이제한판(123)과, 베이스본체(121)의 하부로 볼록하게 구비되는 하부지지체(125)와, 베이스본체(121)와 하부지지체(125)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티본체(110)가 삽입되는 티결합관(127)을 포함한다.
베이스본체(121)와 깊이제한판(123), 하부지지체(125)는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다. 베이스본체(121)와 하부지지체(12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본체(110)의 베이스결합축(118)에 결합되어 외부를 감싼다. 이 때, 하부지지체(125)의 길이가 베이스본체(12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무게중심이 하부를 향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본체(121)의 상면은 일정곡률(R)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베이스본체(121)의 상면에는 우레탄커버(130)가 결합되므로 베이스본체(121)와 깊이제한판(123) 사이에는 우레탄커버(130)의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걸림지지되는 상부커버결합턱(122)이 단차지게 구비된다.
깊이제한판(123)은 원판 형태로 베이스본체(121)의 하부에 확장형성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티(100)가 그라운드(G)에 삽입될 때 그라운드(G)의 표면과 맞닿아 그라운드(G)에 삽입되는 최대 깊이를 제한한다.
하부지지체(125)는 하부를 향해 외경이 급격하게 좁아지는 곡률(R2)을 갖도록 형성된다. 하부지지체(125)의 형상에 의해 골퍼가 골프티(100)를 그라운드(G)에 삽입하면 지면에 닿는 면적이 급격하게 넓어지면서 안정적으로 지면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특히, 하부지지체(125)의 상부가 깊이제한판(123)과 연결되므로 골퍼가 강한 힘으로 골프티(100)를 지면에 꽂더라도 깊이제한판(123)와 넓게 지면이 접촉되며 저항을 형성해 골프티(100)가 지면에 삽입되는 깊이가 제한될 수 있다.
높이제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깊이제한판(123)의 외경(r4)은 베이스본체(121)의 상단의 외경(r3)에 비해 2배 이상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깊이제한판(123)과 하부지지체(125)가 연결되는 영역에는 하부커버결합턱(124)이 구비된다. 하부커버결합턱(124)은 우레탄커버(130)의 제한판끼움커버(133)가 걸림결합되어 우레탄커버(130)가 금속베이스(120)에 결합된 상태가 구속되게 지지한다.
이 때, 하부커버결합턱(124)의 높이는 제한판끼움커버(133)의 두께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제한판끼움커버(133)가 끼워졌을 때 제한판끼움커버(133)의 상면과 하부지지체(125)의 표면이 단차지지 않고 연결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 외관상 바람직하다.
티결합관(127)은 베이스본체(121)와 하부지지체(125)의 중심영역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티결합관(127)의 내벽면에는 베이스결합축(118)의 나사산(118a)에 대응되는 높이조절나사산(127a)이 형성된다. 골퍼는 금속베이스(120)를 티본체(110)에 나사결합할 때 결합위치를 조절하여 그라운드(G)의 상부로 드러나는 티본체(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베이스(120)를 나사산(118a)의 최상부까지 나사결합하면, 깊이제한판(123)이 지면에 닿게 그라운드(G)에 꽂힌 상태에서 깊이제한판(123)과 볼받침대(115)까지 가장 낮은 제1높이(h1)를 형성한다.
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베이스(120)를 나사산(118a)의 하부로 나사결합하면, 깊이제한판(123)이 지면에 닿게 그라운드(G)에 꽂힌 상태에서 깊이제한판(123)과 볼받침대(115)까지 제1높이(h1) 보다 높은 제2높이(h2)를 형성한다.
이러한 높이조절에 의해 골퍼는 높이가 상이한 복수개의 티를 소지할 필요 없이 하나의 골프티(100)를 이용해 희망하는 높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지지체(125)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축수용관(127b)은 높이조절나사산(127a)이 형성된 티결합관(127) 보다 내경이 좁게 형성된다. 삽입축수용관(127b)의 내경(r5)는 삽입축(113)의 외경(r2)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축(113)을 밀착 수용한다.
우레탄커버(130)는 금속베이스(120)의 상면을 덮도록 일체로 결합되어 골퍼가 퍼팅할 때 골프클럽과 금속베이스(120)가 직접 접촉하며 소음을 발생하거나 금속베이스(120) 표면이 손상되지 않게 보호한다.
우레탄커버(130)는 금속베이스(120)에 이중사출되어 일체로 결합된다. 우레탄커버(130)는 베이스본체(121)이 상면을 덮는 커버본체(131)와, 커버본체(131)이 하단에 연장형성되어 깊이제한판(123)에 끼움결합되는 제한판끼움커버(133)를 포함한다.
커버본체(131)는 베이스본체(121)와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커버본체(131)를 일정한 두께로 덮는 형태로 결합된다. 커버본체(131)의 상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각도간격으로 밀핀삽입공(138)이 형성된다. 밀핀삽입공(138)은 사출성형 후 금속베이스(120)와 일체로 성형된 우레탄커버(130)가 금형과 분리되도록 밀핀을 삽입하는 구멍이다.
제한판끼움커버(13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레탄커버(130)의 외주연으로부터 깊이제한판(123)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확장된 후 하부를 향해 절곡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한판끼움커버(133)의 내부에는 깊이제한판(123)이 끼워지는 끼움홈(133a)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판끼움커버(133)는 깊이제한판(123)이 끼움홈(133a)에 끼워지는 형태로 깊이제한판(123)을 감싼다. 이 때, 턱끼움단(133b)이 하부커버결합턱(124)에 걸려지게 구비되어 금속베이스(120)와 우레탄커버(130)의 결속력을 더 향상시킨다.
제한판끼움커버(133)는 깊이제한판(123)의 상면과 하면까지 덮어 외부로 금속베이스(120)의 상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깊이제한판(123)이 끼워지는 형태로 깊이제한판(123)에 결합되어 금속재질의 금속베이스(120)가 우레탄커버(130)의 단부로부터 벗겨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커버본체(131)의 상단 중심영역에는 결합축삽입공(135)이 관통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레탄커버(130)가 금속베이스(120)의 상면에 결합될 때 결합축삽입공(135)은 직접 베이스결합축(118)을 감싸게 구비된다.
이 때, 결합축삽입공(135)의 내경(r6)은 티본체(110)의 베이스결합축(118)의 외경(r1) 보다 일정 크기 작게 형성되고, 우레탄 자체의 탄성으로 늘어나며 결합축삽입공(135)에 베이스결합축(118)이 삽입되게 한다. 결합축삽입공(135)의 탄성력에 의해 베이스결합축(118)을 견고하게 가압지지하여 나사결합과 더해 결합구속력이 향상될 수 있다.
결합축삽입공(135)의 내벽면에는 티결합관(127)의 높이조절나사산(127a)에 연결되는 상부나사산(135a)이 형성되어 나사결합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커버본체(131)의 내부에는 베이스본체(121)와 깊이제한판(123) 및 하부지지체(125)의 상단이 수용되는 베이스결합공간(137)이 형성된다. 베이스결합공간(137)의 형상은 베이스본체(121)와 깊이제한판(123) 및 하부지지체(125)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우레탄커버(130)의 형상은 이중사출 금형에 의해 형성된다.
베이스결합공간(137)의 상단 상부결합턱(137a)의 내경(r3)은 베이스본체(121)의 상단 외경(r3)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하부 턱끼움단(133b) 사이의 내경은 하부커버결합턱(124)의 외경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또한, 측면결합턱(137b)은 상부커버결합턱(122)에 접촉지지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커버본체(131) 상면은 베이스본체(121) 상면의 곡률과 대응되게 하부로 함몰된 곡면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곡면의 곡률(R1)은 골퍼가 골프클럽을 이용해 볼받침대(115)의 골프공(A)을 퍼팅할 때 골프클럽의 이동궤적과 간섭되지 않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골프클럽과 충돌되더라도 우레탄재질의 특성상 골프클럽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티(100)의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골퍼는 우레탄커버(130)가 일체로 결합된 금속베이스(120)와, 교체가능한 티본체(110)를 함께 보관한다. 그리고, 금속베이스(120)의 티결합관(127) 내부로 티본체(110)를 나사결합하여 금속베이스(120)와 티본체(110)를 조립한다.
이 때, 삽입축(113)을 우레탄커버(130)의 결합축삽입공(135)으로 삽입하고, 잇따라 베이스결합축(118)을 결합축삽입공(135)으로 삽입한다. 베이스결합축(118)이 결합축삽입공(135)으로 삽입되면 결합축삽입공(135)이 탄성적으로 벌어지며 베이스결합축(118)이 티결합관(127)으로 삽입되게 한다.
골퍼는 티본체(110)를 회전시켜 나사산(118a)과 높이조절나사산(127a)이 나사결합되게 한다. 이 때, 나사결합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골퍼는 본인이 티샷을 수행할 그라운드(G)의 요철상태나 본인의 체형에 맞게 골프티(100)의 높이를 조절한다.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를 조절한 후, 골퍼는 티샷을 수행할 위치에 골프티(100)를 삽입한다. 이 때, 금속베이스(120)에 의해 저중심 설계된 골프티(100)는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지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된 후 골퍼는 힘을 가해 그라운드(G)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라운드(G)에 골프티(100)가 삽입되면 하부지지체(125)의 상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면적에 의해 지면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며 골프티(100)가 지면에 기립되게 삽입된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골퍼는 볼받침대(115)에 골프공(A)을 안착시키고 티샷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티샷 수행 후 티본체(110)에 손상이 발생된 경우, 골퍼는 손상된 티본체(110)와 금속베이스(120)를 분리하고 새로운 티본체(11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프티는 티본체의 하부에 금속재질의 금속베이스를 결합시켜 골프티의 하부에 무게중심이 위치되게 한다. 이에 의해 골퍼가 골프티를 그라운드에 작은 힘으로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골프티의 무게가 무거워 멀리 날아가거나 하지 않아 분실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금속베이스의 상면을 우레탄재질의 우레탄커버가 감싸 골프클럽과 금속베이스가 직접 접촉하며 소음발생 및 골프클럽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베이스가 티본체와 나사결합되어 골퍼의 체형이나 그라운드의 상황에 맞게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골프티 110 : 티본체
111 : 외부노출축 113 : 삽입축
113a : 첨단 115 : 볼받침대
115a : 오목면 117 : 결합스커트
118 : 베이스결합축 118a : 나사산
120 : 금속베이스 121 : 베이스본체
122 : 상부커버결합턱 123 : 깊이제한판
124 : 하부커버결합턱 125 : 하부지지체
127 : 티결합관 127a : 높이조절나사산
127b : 삽입축수용관 130 : 우레탄커버
131 : 커버본체 133 : 제한판끼움커버
133a : 끼움홈 133b : 턱끼움단
135 : 결합축삽입공 135a : 상부나사산
137 : 베이스결합공간 137a : 상부결합턱
137b : 측면결합턱 138 : 밀핀삽입공
G : 그라운드

Claims (3)

  1. 상부에 골프공이 놓여지는 볼받침대(115)가 구비되며 하부가 그라운드에 삽입되는 티본체(110)와;
    금속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티본체(110)의 무게중심이 하부에 위치하게 상기 티본체(110)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금속베이스(120)와;
    상기 금속베이스(120)의 상면을 덮도록 일체로 결합되며, 우레탄소재로 형성되어 골프클럽이 상기 금속베이스(120)의 상면과 직접 접촉되지 않게 하는 우레탄커버(130)를 포함하며,

    상기 티본체(110)는,
    상기 볼받침대(115)의 하부에 구비되는 외부노출축(111)과;
    상기 외부노출축(111)의 하부에 구비되며 외주연에 상기 금속베이스(120)와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베이스결합축(118)과;
    상기 베이스결합축(118)의 하부에 상기 베이스결합축(118) 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며 그라운드에 삽입되는 삽입축(113)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베이스(120)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점차 외경이 넓어지는 곡면으로 구비되는 베이스본체(121)와;
    상기 베이스본체(121)의 하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점차 외경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하부지지체(125)와;
    상기 베이스본체(121)와 상기 하부지지체(125)의 경계영역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면적 확장되어 그라운드와 접촉되며 상기 하부지지체(125)가 그라운드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깊이제한판(123)과;
    상기 베이스본체(121)와 상기 하부지지체(125)의 중심영역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티본체(110)가 삽입되며 상기 하부지지체(125)의 하부로 상기 삽입축(113)이 노출되게 지지하는 티결합관(127)을 포함하며,

    상기 우레탄커버(130)는,
    상기 베이스본체(121)의 상면을 일정두께 덮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베이스본체(121)가 삽입되는 베이스결합공간(137)이 형성되는 커버본체(131)와;
    상기 커버본체(131)의 하부에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된 후 하부를 향해 절곡형성되어 상기 깊이제한판(123)을 내부에 끼워 감싸 상기 깊이제한판(12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는 제한판끼움커버(133)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본체(131)의 중심영역에는 기 베이스결합축(118)이 삽입되는 결합축삽입공(135)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결합축삽입공(135)의 내경은 상기 베이스결합축(118)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상기 베이스결합축(118)을 가압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중심 골프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노출축(111)과 상기 베이스결합축(118) 사이에는 하부를 향해 점차 외경이 넓어지게 구비되는 결합스커트(117)가 구비되고,
    상기 우레탄커버(130)의 상면은 상기 결합스커트(117)의 하부와 연결되는 곡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곡면의 곡률은 골프클럽의 골프공 타격시에 골프클럽의 궤적에 간섭되지 않게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중심 골프티.
KR1020220172656A 2022-12-12 2022-12-12 높이조절이 가능한 저중심 골프티 KR102514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2656A KR102514783B1 (ko) 2022-12-12 2022-12-12 높이조절이 가능한 저중심 골프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2656A KR102514783B1 (ko) 2022-12-12 2022-12-12 높이조절이 가능한 저중심 골프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4783B1 true KR102514783B1 (ko) 2023-03-27

Family

ID=85799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2656A KR102514783B1 (ko) 2022-12-12 2022-12-12 높이조절이 가능한 저중심 골프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7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610Y1 (ko) * 2001-09-28 2002-01-16 이영주 골프 티
JP6778345B1 (ja) * 2019-06-12 2020-10-28 泰照 佐伯 ゴルフティ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610Y1 (ko) * 2001-09-28 2002-01-16 이영주 골프 티
JP6778345B1 (ja) * 2019-06-12 2020-10-28 泰照 佐伯 ゴルフティ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2122A (en) Adjustable golf tee
US6053822A (en) Golf tee
US8622853B1 (en) Golf training device
US6086486A (en) Adjustable practice tee
US5492323A (en) Ball support specially designed for golf practice
US5211400A (en) Golf putting aid
US5913737A (en) Golf tee setting device
CA2263700C (en) Adjustable golf teeing device
US20060035728A1 (en) Golf range tee
US20060264273A1 (en) Batting practice tee
US20070275793A1 (en) Structure Of Batting Tee Ball-Holder
JPH11514902A (ja) ゴルフカップ挿入具
US6942583B2 (en) Golf tee
KR102514783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저중심 골프티
KR101894480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US6056651A (en) Golf ball mounting device
KR101845207B1 (ko) 수직 보정이 용이한 골프티
KR20180127717A (ko) 골프티
KR200294422Y1 (ko) 골프 티
KR101785854B1 (ko) 골프클럽의 길이 연장 장치
WO2007021160A1 (en) A golf club
KR20060085421A (ko) 골프공 받침용 티
US20210316196A1 (en) Anti-slice golf tee
KR20190072846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KR20230162165A (ko) 골프티꽂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