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623B1 - Wifi 네트워크 기반 출퇴근 인증 시스템 - Google Patents

Wifi 네트워크 기반 출퇴근 인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623B1
KR102514623B1 KR1020230003421A KR20230003421A KR102514623B1 KR 102514623 B1 KR102514623 B1 KR 102514623B1 KR 1020230003421 A KR1020230003421 A KR 1020230003421A KR 20230003421 A KR20230003421 A KR 20230003421A KR 102514623 B1 KR102514623 B1 KR 102514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ffice
support
wifi network
commuting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3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철
이철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
Priority to KR1020230003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0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출퇴근 모드를 온오프할 수 있는 근무자단말; 및 사무실 근무자 대상으로 WIFI 네트워크 기반으로 출퇴근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WIFI 네트워크 기반 출퇴근 인증 시스템{WIFI network based commute authentication system}
본 발명은 WIFI 네트워크 기반 출퇴근 인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직원들의 출근 및 퇴근 시각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출퇴근시 ID카드를 리더 장치에 근접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고, 최근에는 지문이나 안면인식 등의 하드웨어 장치들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외근을 하는 경우, 예를 들어 고객사 사무실로 출근을 한다거나, 외근 후 회사로 복귀하지 않고 퇴근을 하는 경우 등에는 ID카드나 생체인식 등을 사용할 수 없어서 전화, 이메일, 사후보고 등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외근을 하는 경우에 간편하게 소지할 수 있는 장치와 편리하게 출근 및 퇴근을 보고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48531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무실에서 WIFI 네트워크 연결 기반으로 출퇴근 인증을 관리하여 부정 또는 대리 출퇴근 가능성을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WIFI 네트워크 기반 출퇴근 인증 시스템은, 출퇴근 모드를 온오프할 수 있는 근무자단말; 및 사무실 근무자 대상으로는 WIFI 네트워크 기반으로 출퇴근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근무자단말은,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모듈; 및 사무실 WIFI 네트워크에 가까워지면 자동으로 해당 WIFI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WIFI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사무실 근무자의 상기 근무자단말이 사무실 WIFI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경우 최초 출퇴근 시간을 기록하는 출퇴근정보기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근무자의 출퇴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사무실 입구 일측에 배치되는 키오스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키오스크는, 근무자들의 출퇴근 정보 리스트를 보여주는 모니터; 및 상기 모니터의 하부에 설치되어 바닥으로부터 모니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모니터의 하부에 결합되어 모니터를 지지하는 지지기둥; 및 상기 지지기둥의 하부에 설치되고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어 바닥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체는, 바닥과 맞닿는 면에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갖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에는 진동흡수부가 설치되어 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흡수부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나선형으로 감겨 다수의 층을 이루고 인접한 층은 서로 맞닿게 형성되는 탄성부; 상기 흡수부의 외면에 천공되되 적어도 한 층씩 번갈아 형성되는 구멍의 집합인 구멍부; 외주를 따라 홈이 형성되고 내부가 빈 봉인 막대부; 상기 탄성부가 감기는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가 수용됨과 동시에 감김으로써 안정적으로 형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나선형으로 감기는 상기 탄성부와 상기 막대부의 결합상태를 견고히 하는 홈; 및 상기 막대부의 내부에 채워지고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며 복수 개가 마련되어 적층 방식으로 상기 봉부 내부에 수용되는 완충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무실에서는 WIFI 네트워크 연결 기반으로 출퇴근 인증을 관리하여 부정 또는 대리 출퇴근 가능성을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IFI 네트워크 기반 출퇴근 인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판클리너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A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IFI 네트워크 기반 출퇴근 인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판클리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IFI 네트워크 기반 출퇴근 인증 시스템(10)은, 근무자단말(100) 및 관리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무자단말(100)은, 출퇴근 모드를 온오프할 수 있다. 여기서, 근무자단말(100)은 근무자의 핸드폰이거나 자체적인 단말일 수 있다.
근무자단말(100)은, GPS 모듈(110) 및 WIFI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GPS 모듈(110)은,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반적인 GPS 방식으로 근무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WIFI 모듈(120)은, 사무실 WIFI 네트워크에 가까워지면 자동으로 해당 WIFI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즉, 근무자단말(100)에서 WIFI 네트워크 자동 연결로 설정하거나 출퇴근 시에만 켤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서버(200)는, 외근지설정부(210) 및 출퇴근정보기록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외근지설정부(210)는, 외근지 반경 1km를 출퇴근존으로 설정하여 외근자의 출퇴근 장소를 설정할 수 있다. 외근지는 출장 시마다 달라질 수 있으므로 매일 퇴근시간 전에 다음날 외근자들의 외근지를 확인하고 새로이 설정할 수 있다.
출퇴근정보기록부(220)는, 사무실 근무자의 상기 근무자단말(100)이 사무실 WIFI 네트워크에 연결되거나 외근자의 위치가 상기 출퇴근존으로 확인되는 경우 최초 출퇴근 시간을 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출퇴근정보는 관리 서버에 데이터로 저장되고 근무자별 출퇴근정보는 키오스크(300)에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키오스크(300)는, 상기 근무자의 출퇴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사무실 입구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키오스크(300)는, 모니터(310) 및 지지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310)는, 근무자들의 출퇴근 정보 리스트를 보여줄 수 있다.
지지부(320)는, 상기 모니터(3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바닥으로부터 모니터(310)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320)는, 지지기둥(321) 및 지지체(32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322)는, 바닥과 맞닿는 면에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갖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설치부(3221)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부(3221)에는 진동흡수부(400)가 설치되어 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진동흡수부(400)는, 탄성부(410), 구멍부(420), 막대부(430), 홈(440) 및 완충재(45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410)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나선형으로 감겨 다수의 층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410)는, 탄성을 가진 재질이 고무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적으로 충격이나 진동을 완화하거나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탄성부(410)가 나선형으로 감겨 형성되는 다수의 층 중 인접한 층은 서로 맞닿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위층에 가해지는 압력이 아래층에 직접 전달되면서 흡수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다만, 탄성부(410)의 재질에 따라 충분한 강성을 가진 재질이라면 위층과 아래층이 서로 맞닿지 않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멍부(420)는, 탄성부(410)의 외면에 천공되어 구멍의 집합을 이룰 수 있고, 탄성부(410)가 나선형으로 감겨 형성된 층에서 적어도 한층씩 번갈아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흡수하여야 할 충격의 정도를 감안한 것으로, 두 층씩 번갈아가며 형성되는 경우 구멍부(420)가 한 층씩 번갈아가며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구멍부(420)가 형성된 부분(도 5의 'b' 부분)이 먼저 수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이어서 구멍부(42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도 5의 'a' 부분)이 수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바, 여러 단계로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충격흡수 성능의 증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부(430)는, 내부가 빈 봉 형태일 수 있고 외주를 따라 홈(440)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홈(440)은 탄성부(410)가 감기는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바, 탄성부(410)가 홈(440)에 수용됨과 동시에 감김으로써 안정적으로 형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나선형으로 감기는 탄성부(410)와 막대부(430)의 결합상태를 견고히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막대부(430)는 주름관 형태를 이루게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원활한 수축을 기대할 수 있다.
완충재(450)는, 막대부(430)의 내부에 채워질 수 있고 고무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진 재질로 되어 충격이나 진동을 완충하고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복수 개가 마련되어 차곡차곡 적층되는 방식으로 막대부(430) 내부에 수용되게 구성될 수 있는 바, 막대부(430)의 길이에 따라 적당한 개수를 선택하여 채울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완충재(450)는 필요에 따라 몸체를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충격이 가해지면 보다 원활하게 수축될 수 있고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완충재(450)가 복수 개가 적층되는 경우 일부 층에 적층되는 완충재(450)에만 몸체를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게 하는 등 흡수해야할 진동이나 충격의 강도를 감안하여 채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진동흡수부(400)의 지면과의 접촉력 증가를 위하여 마찰패드(500)가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마찰패드(500)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지면과 맞닿고 진동흡수부(400)의 하부에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마찰패드(500) 구성으로 진동흡수부(400) 구성이 바닥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310)는, 뒷판에서 뒷판을 자동으로 클리닝하는 후판클리너(600)를 포함하여 항상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일정한 주기 또는 사용자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모니터 뒷판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장치가 항상 청결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후판클리너(600)는, 삽입부(610), 상판레일(620), 하판레일(630) 및 청소유닛(640)을 포함한다.
삽입부(610)는,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디스플레이 뒷판 일측에 형성되어 청소유닛(640)이 청소를 수행하지 않을 시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판레일(620)은, 하판레일(630)과 대향하면서 삽입부(610)의 일측 전단으로부터 뒷판의 타측까지 연장 형성되며, 청소유닛(640)의 전단이 연결 설치되어 이동한다.
하판레일(630)은, 상판레일(620)과 대향하면서 삽입부(610)의 일측 후단으로부터 뒷판의 타측까지 연장 형성되며, 청소유닛(640)의 후단이 연결 설치되어 이동한다.
청소유닛(640)은, 전단이 상판레일(620)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하판레일(630)에 연결 설치되며, 삽입부(610)에 수납되며, 구동 시 상판레일(620)과 하판레일(630)을 따라 삽입부(610)로부터 이동하면서 뒷판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후판클리너(600)는, 일정한 주기 또는 사용자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청소유닛(640)이 구동되어 뒷판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장치가 항상 청결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청소유닛(640)은, 제1 롤러(641), 제2 롤러(642), 제1 판(643), 제2 판(644), 청소부(645),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롤러(646), 제1 구동부(647) 및 제2 구동부(648)를 포함한다.
제1 롤러(641)는, 제2 롤러(642)와 대향하면서 전단이 상판레일(620)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하판레일(630)에 연결 설치되어 상판레일(620)과 하판레일(630)을 따라 이동하며, 청소부(645)의 일측 내향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청소부(645)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롤러(641)는, 몸체(6411), 제1 결합부(6412) 및 제2 결합부(641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6411)는, 제1 판(643)과 제2 판(644)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지지되며, 청소부(645)의 일측 내향면을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1 구동부(647)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청소부(645)를 회전시켜 준다.
제1 결합부(6412)는, 몸체(64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판레일(62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판레일(620)을 따라 이동한다.
제2 결합부(6413)는, 몸체(6411)의 타측에 설치되어 하판레일(63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하판레일(630)을 따라 이동한다.
제2 롤러(642)는, 제1 롤러(641)와 대향하면서 이격 설치되며, 전단이 상판레일(620)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하판레일(630)에 연결 설치되어 상판레일(620)과 하판레일(630)을 따라 이동하며, 청소부(645)의 타측 내향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청소부(645)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준다.
여기서, 제2 롤러(642)는, 상술한 제1 롤러(641)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롤러(641)의 몸체(6411), 제1 결합부(6412) 및 제2 결합부(6413)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판(643)은, 제2 판(644)과 대향하면서 이격 설치되며, 일측에 제1 롤러(641)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측에 제2 롤러(642)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롤러(641)와 제2 롤러(642) 사이를 지지한다.
제2 판(644)은, 제1 판(643)과 대향하면서 이격 설치되며, 일측에 제1 롤러(641)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측에 제2 롤러(642)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롤러(641)와 제2 롤러(642) 사이를 지지한다.
청소부(645)는, 일측 내향면이 제1 롤러(64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타측 내향면이 제2 롤러(64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측 외향면이 뒷판에 밀착 안착되며, 제1 롤러(641)와 제2 롤러(642)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디스플레이 뒷판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제3 롤러(646)는, 제1 판(643)과 제2 판(644)에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청소부(645)의 상측 내향면을 지지한다.
이때, 제1 롤러(641), 제2 롤러(642), 및 제3 롤러(646)는, 청소부(645)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름이 제1 판(643)과 제2 판(644)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제1 구동부(647)는, 제1 롤러(64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서 제1 롤러(64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준다.
제2 구동부(648)는, 제2 롤러(64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서 제2 롤러(64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준다.
이때, 제1 구동부(647)와 제2 구동부(648)는, 제1 롤러(641)와 제2 롤러(642)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 WIFI 네트워크 기반 출퇴근 인증 시스템
100. 근무자단말
200. 관리서버
300. 키오스크
400. 진동흡수부

Claims (2)

  1. 출퇴근 모드를 온오프할 수 있는 근무자단말;
    사무실 근무자 대상으로는 WIFI 네트워크 기반으로 출퇴근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근무자의 출퇴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사무실 입구 일측에 배치되는 키오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근무자단말은,
    사무실 WIFI 네트워크에 가까워지면 자동으로 해당 WIFI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WIFI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사무실 근무자의 상기 근무자단말이 사무실 WIFI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경우 최초 출퇴근 시간을 기록하는 출퇴근정보기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근무자들의 출퇴근 정보 리스트를 보여주는 모니터; 및
    상기 모니터의 하부에 설치되어 바닥으로부터 모니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모니터의 하부에 결합되어 모니터를 지지하는 지지기둥; 및
    상기 지지기둥의 하부에 설치되고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어 바닥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바닥과 맞닿는 면에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갖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에는 진동흡수부가 설치되어 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진동흡수부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나선형으로 감겨 다수의 층을 이루고 인접한 층은 서로 맞닿게 형성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외면에 천공되되 적어도 한 층씩 번갈아 형성되는 구멍의 집합인 구멍부;
    외주를 따라 홈이 형성되고 내부가 빈 봉인 막대부;
    상기 탄성부가 감기는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가 수용됨과 동시에 감김으로써 안정적으로 형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나선형으로 감기는 상기 탄성부와 상기 막대부의 결합상태를 견고히 하는 홈; 및
    상기 막대부의 내부에 채워지고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며 복수 개가 마련되어 적층 방식으로 상기 막대부 내부에 수용되는 완충재;를 포함하는, WIFI 네트워크 기반 출퇴근 인증 시스템.
  2. 삭제
KR1020230003421A 2022-09-30 2023-01-10 Wifi 네트워크 기반 출퇴근 인증 시스템 KR102514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421A KR102514623B1 (ko) 2022-09-30 2023-01-10 Wifi 네트워크 기반 출퇴근 인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267A KR102488874B1 (ko) 2022-09-30 2022-09-30 차세대모바일 위치 기반 출입관리시스템
KR1020230003421A KR102514623B1 (ko) 2022-09-30 2023-01-10 Wifi 네트워크 기반 출퇴근 인증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267A Division KR102488874B1 (ko) 2022-09-30 2022-09-30 차세대모바일 위치 기반 출입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4623B1 true KR102514623B1 (ko) 2023-03-27

Family

ID=851067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267A KR102488874B1 (ko) 2022-09-30 2022-09-30 차세대모바일 위치 기반 출입관리시스템
KR1020230003421A KR102514623B1 (ko) 2022-09-30 2023-01-10 Wifi 네트워크 기반 출퇴근 인증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267A KR102488874B1 (ko) 2022-09-30 2022-09-30 차세대모바일 위치 기반 출입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888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1018A (ko) * 2016-04-24 2017-11-01 (주)참슬테크 자동 출입을 위한 현관 출입 장치
KR101976644B1 (ko) * 2018-11-13 2019-05-09 주식회사 한줌 인증키를 이용한 보관함 보안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077523B1 (ko) * 2019-08-13 2020-02-14 (주)지여이앤씨 출입관리를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
KR102105701B1 (ko) * 2019-06-26 2020-04-28 주식회사 오웬스그룹 키오스크 로그인을 통한 구성원 근태관리용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845B1 (ko) * 2017-03-16 2017-09-12 경준용 근무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JP2018180724A (ja) * 2017-04-06 2018-11-15 株式会社Mcデータプラス 建設業用勤怠管理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78873B1 (ko) * 2020-01-15 2020-11-16 이트너스 주식회사 근태 관리 시스템
KR102407124B1 (ko) * 2022-04-15 2022-06-13 주식회사 예스정보통신 IoT 기반 보호시설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1018A (ko) * 2016-04-24 2017-11-01 (주)참슬테크 자동 출입을 위한 현관 출입 장치
KR101976644B1 (ko) * 2018-11-13 2019-05-09 주식회사 한줌 인증키를 이용한 보관함 보안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105701B1 (ko) * 2019-06-26 2020-04-28 주식회사 오웬스그룹 키오스크 로그인을 통한 구성원 근태관리용 시스템
KR102077523B1 (ko) * 2019-08-13 2020-02-14 (주)지여이앤씨 출입관리를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874B1 (ko) 202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4623B1 (ko) Wifi 네트워크 기반 출퇴근 인증 시스템
US7899456B2 (en) Method for faster mobility handoff of a mobile node
CN1582590A (zh) 使用具有中继功能的移动台的移动通信网以及用于奖励移动台的中继活动的方法
EP1279255A2 (en) Information portal
US10687259B2 (en) Communications with a mobile virtual base station
JP2006129432A (ja) 分散環境における暗号鍵更新方法、暗号鍵更新システム、暗号鍵更新システムを構成する認証サーバ、移動体、および無線基地局
US10187821B2 (en) Method for wireless data offload
CN102467624A (zh) 一种软件许可回收与自动重新申请的方法及系统
DE50211143D1 (de) Mobilstation und verfahren zum zugreifen auf einen dienst im bereitschafsmodus
CN105261228B (zh) 停车场寻车方法及装置
CN101141302B (zh) 一种高效查询历史数据的方法
KR100718458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열차 종합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6256568A (zh) 一种应用垂直减震装置的航迹推算定位机器人底盘
US10007962B2 (en) System for tracking the location and activities of persons
CN105591935A (zh) 一种虚拟机迁移后eid-rloc映射关系的更新方法和装置
KR102609174B1 (ko)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KR102634117B1 (ko) 스마트키를 이용한 사무실 보안 시스템
KR102552202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방문자 관리 시스템
KR102609839B1 (ko) 전동청소차 운영 중앙 제어 시스템
KR102168750B1 (ko) Cctv용 탈부착 이물질 제거 장치
EP4001572A1 (de) Schiebetüranlage, motorisiertes laufwerk, und puffervorrichtung
JP5530902B2 (ja) 警報装置、警報システムおよび警報出力方法
CN111104689A (zh)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个人医疗数据授权系统及方法
CN105681132A (zh) 用户上网行为的采集方法及装置
KR102664966B1 (ko) 차량 번호 인식률이 향상된 cctv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