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921B1 -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921B1
KR102513921B1 KR1020200155561A KR20200155561A KR102513921B1 KR 102513921 B1 KR102513921 B1 KR 102513921B1 KR 1020200155561 A KR1020200155561 A KR 1020200155561A KR 20200155561 A KR20200155561 A KR 20200155561A KR 102513921 B1 KR102513921 B1 KR 102513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terminal
user terminal
finder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8613A (ko
Inventor
조현성
Original Assignee
조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성 filed Critical 조현성
Priority to KR1020200155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921B1/ko
Publication of KR20220068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9/16Anti-theft; Abdu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31Acquisition or tracking of other signals for posit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객체에 부착된 QR 코드를 등록을 위해 스캔하는 경우 객체 데이터를 입력받고, QR 코드의 식별자 및 객체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QR 코드를 스캔하여 QR 코드의 식별자를 전송하는 경우, 식별자에 기 저장된 사용자 단말의 기본정보를 출력하고, 현위치에 대응하는 GPS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습득자 단말 및 QR 코드에 콜백 주소 및 식별자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에서 QR 코드를 등록하는 경우 객체 데이터와 QR 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매핑부, 습득자 단말에서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스캔 이벤트를 알려주는 알림부, 습득자 단말에서 정보제공동의를 하는 경우 GPS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BASED LOCATION FINDER SERVICE USING QUICK RESPONSE CODE}
본 발명은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QR 코드를 스캔한 스캔 이벤트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습득자의 정보제공동의를 전제로 GPS를 사용자에게 공유하여 낮은 비용으로 높은 정확도를 얻을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누구나 한 번쯤은 소지품을 잃어버린 경험이 있다. 실외에서는 물론이고 심지어는 집 안에서 리모콘, 열쇠고리, 휴대폰 등을 잃어버리는 경우도 존재한다. 이와 같은 분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실 방지 혹은 위치 추적 시스템을 탑재한 단말기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시중 대부분의 분실 방지기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거리가 10m 내외인 블루투스 연결이 끊기면 알림을 주는 방식을 사용한다. 하지만 10m 반경 밖의 모든 공간이 분실물의 존재 가능성이 있으므로, 분실 방지기의 위치를 찾아내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이는 분실 방지기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걸림돌이 된다. 이러한 블루투스 기반 분실 방지기의 단점 개선을 위한 제품들 또한 출시되고 있는데, GPS 기반의 분실 방지기는 GPS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통신망을 이용한다. 넓은 커버리지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통신망 이용을 위해 기기 값과는 별도로 불가피하게 통신비가 요구된다.
이때, IP 기반으로 분실물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2036301호(2019년10월24일 공고)에는, 콜백 주소 및 식별자가 암호화 및 저장된 태그를 단말에서 태깅하는 경우, 태그에 포함된 콜백 주소를 통하여 단말은 서버로 접속하고, 단말에서 태깅한 태그의 식별자, 단말에서 이용하는 IP 주소 및 단말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며, 서버는 식별자에 기 매핑된 개인정보를 확인하여 소유자 단말로 태깅 이벤트를 알려줌과 동시에 라우터별 IP 위치 정보를 함께 보내줌으로써 태그가 태깅된 위치 및 발견자 단말의 정보를 알려주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은 실제 태그를 태깅한 단말의 태깅 시점의 GPS 위치를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태그를 태깅한 단말이 접속한 라우터의 위치를 알려주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 위치와 차이가 발생한다. 또, IP 기준으로 위치를 확인하는 경우 통신사 기지국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실제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로 잘못 알게되어 소유자가 엉뚱한 방향으로 물건을 찾으러 갈 가능성이 존재한다. 블루투스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IoT 전용 LoRa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무선기기를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통신사의 망을 사용하여 넓은 커버리지에서 위치 추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기기 값과 별도로 통신비를 요구한다. 이 외에도 GPS 기반 위치추적 서비스가 존재하지만, 별도의 요금을 청구하기 때문에 접근성 및 보편성이 떨어진다. 이에, 습득자 단말에서 태그를 태깅하는 경우 GPS 기반으로 습득자 단말의 태깅 위치를 알려주면서도 IoT 기기를 사용함으로 인한 통신비는 없앨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QR 코드 또는 NFC나 RFID 태그를 사용자의 소지품에 부착시킨 후, 사용자 단말에서 QR 코드 또는 NFC나 RFID 태그를 스캔 또는 리딩함으로써 소지품을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의 QR 코드 또는 NFC나 RFID 태그가 사용자 단말이 아닌 습득자 단말에서 스캔 또는 리딩되는 경우, 스캔 또는 리딩된 시점의 습득자 단말의 GPS 데이터와 습득자 단말의 정보를, 습득자 단말의 정보제공동의가 존재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로 전송해줌으로써 사용자 자신의 소지품을 누가 어디에서 습득했는지를 알려줄 수 있고, IP 기반으로 통신사기지국의 위치를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습득자 단말의 GPS를 알려주게 되므로 정확한 위치 파악이 가능할 수 있는,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객체에 부착된 QR 코드를 등록을 위해 스캔하는 경우 객체 데이터를 입력받고, QR 코드의 식별자 및 객체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QR 코드를 스캔하여 QR 코드의 식별자를 전송하는 경우, 식별자에 기 저장된 사용자 단말의 기본정보를 출력하고, 현위치에 대응하는 GPS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습득자 단말 및 QR 코드에 콜백 주소 및 식별자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에서 QR 코드를 등록하는 경우 객체 데이터와 QR 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매핑부, 습득자 단말에서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스캔 이벤트를 알려주는 알림부, 습득자 단말에서 정보제공동의를 하는 경우 GPS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객체에 부착된 QR 코드의 등록을 위해 스캔하는 경우 객체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QR 코드의 식별자 및 상기 객체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QR 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QR 코드의 식별자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식별자에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기본정보를 출력하고,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GPS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습득자 단말; 및 상기 QR 코드에 콜백 주소 및 식별자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QR 코드를 등록하는 경우 상기 객체 데이터와 상기 QR 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매핑부, 상기 습득자 단말에서 상기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캔 이벤트를 알려주는 알림부, 상기 습득자 단말에서 정보제공을 동의하는 경우 상기 GPS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분실 가능한 객체에 대한 보상 금액을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록하며, 상기 습득자 단말에 의해 분실된 객체가 확인되면 스마트 컨트랙트을 통해 보상금을 예치하고, 상기 습득자 단말은, 소유자의 분실된 객체를 습득하기 위한 보관함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는, 예치된 보상금을 소유자가 인출하지 못하도록 예치된 보상금을 소유자와 습득자의 공동 소유로 설정하고, 상기 보관함에 상기 보관함 비밀번호가 보관함에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예치된 보상금을 습득자의 전자지갑 계정으로 지급하여 분실물 습득에 대한 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QR 코드 또는 NFC나 RFID 태그를 사용자의 소지품에 부착시킨 후, 사용자 단말에서 QR 코드 또는 NFC나 RFID 태그를 스캔 또는 리딩함으로써 소지품을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의 QR 코드 또는 NFC나 RFID 태그가 사용자 단말이 아닌 습득자 단말에서 스캔 또는 리딩되는 경우, 스캔 또는 리딩된 시점의 습득자 단말의 GPS 데이터와 습득자 단말의 정보를, 습득자 단말의 정보제공동의가 존재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로 전송해줌으로써 사용자 자신의 소지품을 누가 어디에서 습득했는지를 알려줄 수 있고, IP 기반으로 통신사기지국의 위치를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습득자 단말의 GPS를 알려주게 되므로 정확한 위치 파악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습득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습득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습득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소지품, 반려동물, 피보호자, 시설 관리 객체에 QR 코드를 등록하기 위해 스캔하고 객체를 설명하는 객체 데이터를 입력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소지품을 관리하고 싶은 경우, 반려동물의 위치를 추적하고 싶은 경우, 치매노인이나 영유아 또는 어린이를 보호하는 보호자의 경우, 시설 또는 물류의 관리를 하는 관리자의 경우 등 다양할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역할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전화번호 등을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입력하여 이후 습득자 단말(400)에서 연락을 취하려고 할 때 이용가능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전화번호 자체는 습득자 단말(400)로 제공되지 않고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연결을 해주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 QR 코드는 QR 코드와 같은 2 차원 코드 뿐만 아니라, 바코드와 같은 1 차원 코드도 가능하고, 패시브 소자인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로 대체될 수도 있다. 즉, 각 단말에서 스캔하거나 리딩할 수 있는 코드나 태그라면 그 어떤 것이든지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소지품, 반려동물, 피보호자, 시설 또는 물류 객체 등을 등록하기 위해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QR 코드를 입력받고 사용자 단말(100)의 전화번호를 QR 코드 내 콜백 주소 및 식별자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습득자 단말(400)에서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이 등록한 객체 데이터를 출력하면서 사용자 단말(100)로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호(Call), 문자, 메세지, 이메일 등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호 발신이나 문자 전송을 위한 전화번호, 메세지 전송을 위한 메신저 아이디, 이메일 전송을 위한 이메일 아이디를 바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인터페이스만을 제공하게 되므로 개인정보보호가 가능하다. 그리고,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습득자 단말(400)에서 QR 코드의 스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발생을 사용자 단말(100)로 알리고 습득자 단말(400)에서 정보제공동의를 하는 경우 습득자 단말(400)의 GPS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습득자 단말(400)은,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객체에 부착된 QR 코드를 스캔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습득자는 반려동물, 미아, 치매노인을 보호중인 경우, 물류 시설 및 시설 관리를 위하여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타인(사용자)의 소지품을 습득한 경우 등 다양할 수 있으나, 습득자로 명명하기로 하고 상술한 개념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때, 습득자 단말(400)은, QR 코드를 스캔한 경우 콜백 주소에 의해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접속되고, 접속된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100)로 전화를 걸거나 메세지를 보낼 수 있고, 정보제공동의를 하는 경우 습득자 단말(400)의 실시간 위치 및 IP 주소 등을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습득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습득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습득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부(310), 매핑부(320), 알림부(330), 전달부(340), 제공부(350), 연결부(360), IP위치부(370) 및 복호화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습득자 단말(400)로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습득자 단말(400)은,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습득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310)는, QR 코드에 콜백 주소 및 식별자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객체에 부착된 QR 코드를 등록을 위해 스캔하는 경우 객체 데이터를 입력받고, QR 코드의 식별자 및 객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콜백 주소는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웹 페이지를 리다이렉팅 시키는 주소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습득자 단말(400)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및 설치하지 않은 이용자라고 할지라도 웹 페이지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QR 코드를 스캔할 수 있고, 주인을 찾아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만약, 하나의 플랫폼을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만을 만들고, 애플리케이션이 아니면 구동이 되지 않도록 해놓는다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지 않는 수 많은 이용자들을 배제하는 역효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오히려 분실물을 찾아줄 때에는 배제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웹 페이지를 기준으로 습득자가 QR 코드를 스캔하고,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도록 콜백 주소를 이용하기로 한다.
매핑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QR 코드를 등록하는 경우 객체 데이터와 QR 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객체 데이터는, 객체가 반려동물인 경우, 반려동물의 사진, 이름, 키, 체중, 나이, 주소 등일 수 있고, "보호중이시면 꼭 연락주세요. 소중한 가족입니다. 사례는 반드시 드리겠습니다" 등의 텍스트도 포함할 수 있다. 지갑이라면 "선물받은 지갑입니다. 보관중이시면 꼭 돌려주세요. 사례하겠습니다!"라는 텍스트와 지갑 사진을 객체 데이터로 등록할 수도 있다. 이때, 객체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등록을 하게 되며, QR 코드를 객체에 부착할 때 초기설정을 하면 계속 유지되면서 습득자 단말(400)에서 볼 수 있는 정보가 된다. 물론 객체 데이터를 편집하거나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알림부(330)는, 습득자 단말(400)에서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스캔 이벤트를 알려줄 수 있다. 선한 사마리아의 법이 적용되지 않는 한국의 경우 자신의 이익이 없음에도, 또는 자신의 이익에 위배되는 상황에서 굳이 주인을 찾아주는 수고를 하지 않는다. 특히나, 응급의료와 같이 긴급한 상황에서도 사람이 죽어가는 것을 보지만 이를 도와줬다가는 이후 소송에 휘말일 가능성이 존재하고,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적용은 되어있으나 고의 혹은 중과실로 인해 발생한 피해에 대해서는 보호받을 수 없다. 또, 정당방위, 정당행위, 긴급피난 등이 해외에 비교해서도 굉장히 인정받기 힘들고, 설령 선의나 사유가 인정되어도 "정도가 지나쳤다."나 "다른 방법으로 피할 수 있었다." 등의 이유(과잉)로 처벌되는 게 일반적이다. 즉, 사람을 구하기 위해 개입하는 의로운 사람에 대한 보호장치가 턱없이 부족하다.
이러한 사회적 통념을 볼 때 업무만으로도 시간이 없는 요즘 자신의 시간을 내가면서 스스로 타인을 도와주는 것을 바라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일 례로 지갑을 찾아서 돌려줬는데 지갑 안에 돈이 들어있었다면서 돈을 가져간 도둑으로 모는 사례도 존재해서 귀찮은 일에 엮이지 않는다는 사고가 만연해 있다. 도와주고 누명쓰기나 방관자 효과를 낳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분실물이나 습득물을 찾아주는데 보상을 지급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하지만, 사례금을 지급하는 구성도 문제가 발생하는데, 화장실 들어갈 때와 나올 때가 다르다는 속담처럼, 자신이 위급할 때에는 사례금을 준다고 하다가 막상 자신의 소지품이나 반려동물을 찾으면 고맙다는 말로 사례금을 대체하려는 시도가 있어 종종 시비가 붙게 된다.
이때, 이더리움 블록체인 노드와 연결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신의 이더리움 계정을 추가하고 분실가능한 물품의 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습득자는 습득한 물품을 소유자에게 전달하여 보상받을 수 있도록, 에스크로 컨트랙트(Escrow Contract)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하여 자동수행되도록 한다. 컨트랙트는 Device와 Escrow 두 가지 역할을 가지며 이들을 Device Component와 Escrow Component로 표현한다. Device Component는 사용자가 분실물 등록 및 확인기능과 관련된 CRUD 컴포넌트이며, Escrow Component는 분실물을 회수하고 보상하는 기능과 관련된 컴포넌트이다. 소유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컨트랙트에 분실 가능한 물품에 대한 정보와 보상 금액을 기록한다. 분실물은 습득자에 의해 컨트랙트에 습득 사실이 기록되고 이를 통해 소유자는 분실물에 대한 위치를 안내 받는다. 분실물을 확인한 소유자는 보상을 예치하고 분실물 습득을 위한 비밀번호를 습득자가 입력하면 보상이 전달되게 된다. 소유자는 전달받은 비밀번호로 보관함을 열고 자신의 물건을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QR 코드에는 소유자 이더리움 계정과 보상 금액, 물건 이름, 그리고 비밀 값을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다. QR 코드에 저장되는 값들을 기반으로,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분실물에 대한 정보들을 기록해야 한다. Device.register 함수를 통해 기록할 수 있으며 QR 코드에서 사용했던 secret 값을 두 번 해싱한 후 기록한다는 점이 다르다. 블록체인에 올라간 QR 코드 정보를 Device, Device 값에 접근할 수 있는 키 값을 DeviceID라고 명명한다. 블록체인에 등록된 해싱된 비밀 값의 원 값은 소유자와 QR 코드를 읽은 사람만 알 수 있는 값이다. 해시 되지 않은 비밀 값은 습득자가 습득 사실을 증명할 때 사용하게 된다.
분실물 습득 신고 및 확인 과정에서 습득자는 분실물을 습득하면 블록체인에 습득 사실과 보관할 장소를 등록하고 이를 소유자가 확인한다. 습득자는 분실물을 습득할 때 QR 코드를 스캔하여 분실물 ID(deviceID)를 확인하여 분실물 정보를 확인한다. 분실물 ID와 QR 코드에 포함된 Secret, 그리고 자신이 분실물을 보관할 위치 정보인 Location과 자신의 이더리움 계정을 분실물 정보에 추가하고 소유자에게 분실 사실을 Escrow.notifyProperty를 호출하여 LostFound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이벤트는 스마트 컨트랙트가 수행되었을 때 해당 수행 내용과 관련된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는 짧은 로그이다. 함수 호출은 QR Scan 후 Save를 누를 때 발생하게 된다.
이더리움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은 주기적으로 블록체인에서 새로 발생된 이벤트가 존재하는지 폴링(Polling)하여 새롭게 발생한 이벤트들을 감지한다. 소유자는 해당 이벤트를 읽고 이벤트에 표시된 보관함으로 이동하여 자신의 분실물이 들어있음을 확인해야 한다. 소유자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자신의 분실물을 기록한 웹페이지에서 분실물의 현황을 살필 수있다. 분실물이 신고되면 Property Found 상태가 되며 자신의 물품이 어디에 보관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보관 장소로 이동한 소유자는 자신의 분실물이 보관되었는지 Check Device로 확인할 수 있는데, 이 버튼은 Device.CheckDevice(deviceID) 함수를 실행시켜 트랜잭션을 발생시킨다.
해당 트랜잭션은 ValidationSound 이벤트를 발생시키게 되어 소유자가 자신의 분실물이 올바르게 보관함에 들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벤트에는 분실물 ID, 분실물이 가진 소리 파일 인덱스 번호가 포함된다. 기기가 이벤트에 기록된 요청에 맞는 소리를 발생시킴으로써 증명된다. 소유자의 상황이나 필요에 따라서 자신의 분실물의 보관확인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분실물 사례 및 회수에서는, 소유자는 사례금을 예치하고, 분실물 사례에 대한 예치금이 등록되면 습득자는 분실물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소유자는 자신의 분실물이 보관된 보관함을 열 수 있는 비밀번호를 습득자에게 요청해야 한다. 습득자에게 보상이 지불 가능함을 보이기 위해 QR 코드에서 명시한 Reward 만큼의 Eth를 컨트랙트에 예치하고 Escrow.depositReward(Finder, Reward) 함수를 통해 트랜잭션을 발생시키면 RewardDeposited 이벤트가 발생된다. 습득자는 RewardDeposited 이벤트를 통해 예치금이 컨트랙트에 등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예치금이 컨트랙트에게 전달되었다면 습득자는 보관함 비밀번호(pwd)를 QR 코드의 Secret과 XOR 연산한 값을 비밀번호로 제공하고 소유자와 예치금을 공동 소유하는 것으로 변경하여 소유자가 예치금을 인출하지 못하도록 한다. Escrow.exchangePwReward(xpw)함수 수행을 통해 소유자가 비밀번호가 제공되었음을 알 수 있도록 PasswordGranted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소유자는 이벤트에 기록된 비밀번호를 웹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공된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보관함을 해제하고 분실물을 습득한다. 분실물을 습득한 후, 소유자는 불완전 상태로 습득자에게 전달된 보상을 풀어주어 습득자에게 완전한 형태의 보상을 제공한다. 보상 전달은 습득자가 별도의 행동을 하지 않아도 전달되며 보상을 완전하게 제공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Withdraw() 트랜잭션을 발생시켜 RewardGranted 이벤트를 생성한다. 위의 이벤트까지 전달함으로써 소유자와 습득자는 안전하게 분실물을 교환하고 보상을 지급받을 수 있다. 소유자가 RewardGranted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을 경우, 습득자는 실제 시간으로 약 보름이 경과한 시점에서 강제성을 띈 함수를 통해 보상을 습득할 수 있다.
이때, 소유자가 비밀번호를 받고 물건을 수취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물건이 아니라고 부인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소유자가 보관함으로 이동하고 보관함에서 물건을 수취하는 과정과, 물건에 부착된 QR 코드를 스캔하는 과정까지 일련의 동영상으로 증거를 수집할 수 있다. 이후 분쟁의 여지가 있는 부분을 해소하기 위한 장치인데, 동영상으로 연속성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증거능력을 인정받는다면 이후 민형사상 소송에서 증거능력(민사에서는 증거능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지만 증거능력이라는 용어로 통일하여 정의한다)을 인정받아 증거로 채택될 수 있다.
알림부(330)는 수집된 증거가 증거능력을 가지는 증거로 인정받기 위하여 디지털 증거 수집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다. 알림부(330)는, 수집된 디지털 증거 데이터의 증거의 진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수집 당시의 상태 및 환경을 기록할 수 있는 메타 데이터 정보와 함께 묶어 패키지의 형태로 보관할 수 있다. 이때, 기 구축된 디지털 증거 확보체계에는 사법기관에 제출할 수 있는 디지털증거데이터팩의 형태가 이미 표준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디지털증거데이터팩을 통해서 디지털 증거의 원본동일성, 무결성, 신뢰성 그리고 보관연속성을 확인하여 증거능력을 판단할 수 있다.
알림부(330)는, 추후 증거팩을 표준화된 디지털증거데이터팩의 형태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채증 정보로서 증거 수집 당시의 PC 정보, 타임스탬프 정보와, 해시 목록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알림부(330)는, 생성된 증거팩에 대한 해시는 시스템 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증거 수집 시점과 증거 제출 시점 사이에 변조되지 않았음을 보일 수 있다. 시스템 내 해시 정보는 디지털 증거 파기 시점에 함께 삭제할 수 있다. 해시 정보의 저장은 추후 더 나아가 공격자와 관리자에 의한 위변조 위험성을 낮추고, 시스템 해킹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블록체인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는 후술하므로 이 단락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알림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촬영하는 화면을 그대로, 즉 영상 자체로 보관할 수도 있다. 이때, 무결성 확인 정보를 가역 정보 은닉 방식을 이용하여 삽입하여 무결성 확인 정보가 은닉된 상태로도 왜곡이 최소화된 상태로 상품을 확인할 수 있고, 필요시 영상 정보에서 무결성 확인 정보를 추출하여 무결성을 검증하는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정보에 대해서 비밀키를 이용하여 무결성 검증용 해시값(HMAC)을 생성하고 삽입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알림부(330)는, 가역 정보 은닉(Reversible Data Hiding, RDH)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비밀 데이터를 삽입하여도 약간의 왜곡이 있는 상태로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고, 비밀 데이터를 추출하고 나면 원래의 콘텐츠 값을 그대로 복원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그리고, H.264/AVC (Advanced Video Coding)은 동영상 압축 표준의 하나이며, 표준과 비교했을 때 절반 이하의 비트레이트(Bitrate)에서 비슷하거나 더 좋은 화질을 얻을 수 있다. 우선, 사진, 이미지 및 동영상으로 촬영된 증빙자료는 표준 H.264/AVC 코덱에 의해서 압축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동영상 압축은 기본적으로 손실코딩이다. H.264의 동영상 압축 과정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입력되는 동영상은 16×16크기의 매크로 블록으로 나뉘게 되고 각각의 매크로 블록은 공간 영역의 값을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시켜주는 변환과정을 거치고 양자화 과정을 거쳐 중간 출력 값으로 양자화 계수를 생성한다. 이 양자화 계수는 복원할 경우 원래의 값으로 복원되지 않아 양자화 손실이 발생한다. 이후의 단계인 엔트로피 코딩 과정에서는 양자화 계수를 통계적인 기법을 이용하여 압축하기 때문에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양자화 계수를 입력으로 받는 해쉬 함수를 SHA-2를 이용하여 해쉬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RDH 방식을 이용하여 다시 양자화 계수에 숨기는 방식으로 사진, 이미지 및 동영상 자체에 무결성 정보를 혼재시켜 영상의 왜곡을 최소화하면서 무결성 검증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과 동시에 무결성 확인 데이터가 생성되고, 헤더 정보의 변경과 무관하면서 사진, 이미지 및 영상 콘텐츠 자체의 무결성만 검증하는 방식이다. 히스토그램 쉬프팅(Histogram Shifting), 차이값 확장 기법(Difference Expansion, DE), 추정 에러값 확장 기법(Prediction Expansion) 등 다양한 RDH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양자화 계수(Quantized DCT Coefficient)는 정보 은닉으로 인한 왜곡에 취약하다는 점과 실시간 계산이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QDC 값에 최적화된 DE 기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QDC의 변형으로 인한 현재 프레임의 왜곡은 다음 프레임에 그대로 전파될 수 있어 이를 고려한 최적화 알고리즘 설계가 필요하다. RDH 방식으로 해시 이미지를 영상 내부에 삽입하므로, 직접 접근에 노출되지 않는 보안효과를 얻을 수 있고 영상 정보와 무결성 확인 정보의 정확한 동기화로 인해 전방, 후방, 중간 삭제 등의 다양한 공격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무결성 정보를 제출하지 않는 무력화 우려도 제거될 수 있다.
인코딩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 우선, 알림부(330)는 사용자 단말(100) 및 습득자 단말(400)로부터 동영상을 취득하여 압축과 동시에 무결성 검증을 위한 데이터를 생성 및 은닉할 수 있는데, 첫째, H.264 인코딩 과정에서 휘도(Luminance) 성분의 I-frame을 대상으로 가역 정보 은닉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이는, SHA-256으로 생성된 해쉬 이미지의 크기가 256비트에 불과하여 통상적으로 화질이 HD급인 영상 정보의 휘도 성분에만 은닉하기에 문제가 없으며 사람의 눈에 보다 민감한 색도(Chrominace) 성분이 정보 은닉에 따른 왜곡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또한, P-frame에 정보를 은닉하게 되면 같은 양의 은닉 정보에 대해 I-frame 보다 왜곡이 심해진다는 사실도 고려할 수 있다. 둘째, 원본과 화면 내 예측영상의 차이영상 값을 계산한다. 차이영상 값을 입력으로 스케일링(Scaling), 정수 DCT(Integer DCT), 양자화의 과정을 거쳐 QDC 값을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 레이트 왜곡(Rate Distortion)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최종 QDC 값을 이용한다.
셋째, 크기가 16x16인 매크로 블록 안에서 지그재그 스캐닝(Zigzag Scanning) 방식으로 QDC 값을 순차적으로 나열한다. 이런 방식으로 모든 매크로 블록의 QDC를 나열하고 모두 연결해서 하나의 스트림으로 완성시킨다. 이것을 SHA-256 해시 함수의 입력으로 사용하여 HMAC(The Keyed-Hash Message Authentication Code)를 구한다. 여기서, 키는 개인키를 그대로 해쉬 이미지의 앞뒤에 단순히 붙이는 방식이기 때문에 계산량이 적고 부인방지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넷째, DE기법을 사용하여 하나의 매크로 블록에 1 비트를 숨긴다. 지그재그 스캔 순서의 중간에 위치한 두 개의 양자화 계수값을 이용하여 이들의 차이 값에 HMAC중 1 비트를 순차적으로 숨긴다. 여기서, 원래의 QDC 값은 차이값과 숨긴 비트 값에 의존적으로 왜곡되어 QDC'로 수정된다. 또, 디코딩은 인코딩의 역순이므로 이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 습득 사실에 대한 증명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이 처리할 수 있다. 분실물 습득은 소유자에게 가장 큰 관심사이며 보상을 통해 습득자에게 분실물을 돌려받고자 한다. 보상은 회수를 전제로 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습득자는 분실물 소유를 증명할 수 있어야 한다. 습득자는 분실물의 QR 코드를 읽고 QR 코드에 포함된 비밀 값을 이용하여 소유자만 생성할 수 있는 h(h(secret))를 동일하게 생성할 수 있음을 보임으로써 습득 사실을 증명한다. 공격자는 실제로 QR 코드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h(h(secret))를 만들기 위해 필요로 하는 비밀 값을 임의로 무작위 대입해야 한다. 무작위로 생성한 h(h(secret))를 트랜잭션으로 이더리움에 전파해야 하는데, 해시 함수는 단방향성(One-wayness, Preimage Resistance)와 충돌 저항성(Collision Resistance)을 지니기 때문에 이를 위한 공격이 어렵다. 단방향성은 출력으로부터 입력을 예측할 수 없음을 의미하며 해시의 결과로 나온 Digest를 아는 것으로 Digest의 원본값을 아는 것이 불가함을 뜻한다. 충돌 저항성은 하나의 값을 해시로 만들 때 다른 값을 이용하여 동일한 해시를 만들어내기 어렵고 모든 값들에 대하여 해시값이 균등하게 분포한다. Keccak256 함수는 상기한 특성들을 만족하므로 공격자는 Secret 없이 hhsecret을 만들 수 없으며 hsecret으로 Secret을 유추할 수 없다
전달부(340)는, 습득자 단말(400)에서 정보제공동의를 하는 경우 GPS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할 수 있다. 습득자 단말(400)은, QR 코드를 스캔하여 QR 코드의 식별자를 전송하는 경우, 식별자에 기 저장된 사용자 단말(100)의 기본정보를 출력하고, 현위치에 대응하는 GPS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공부(350)는, 습득자 단말(400)에서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습득자 단말(400)의 IP, 통신사명 및 모델명을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100)로 습득자 단말(400)의 스캔 이벤트를 IP, 통신사명 및 모델명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때, IP 기반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출원인의 한국등록특허 제10-2036301호(2019년10월24일 공고)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연결부(360)는, QR 코드의 콜백 주소 및 식별자를 암호화하여 저장하고, 습득자 단말(400)에서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QR 코드에 포함된 콜백 주소를 통하여 습득자 단말(400)에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도록 하고, 습득자 단말(400)의 IP, 통신사 및 모델명이 전송되면, 식별자를 복호화한 후 식별자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객체 데이터를 확인하고, 객체 데이터를 등록한 사용자 단말(100)로 습득자 단말(400)에서 호(Call), 문자 및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다.
IP위치부(370)는, 습득자 단말(400)의 IP에 기반하여 기 구축된 통신사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확인한 후, 통신사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복호화부(380)는, 사용자 단말(100)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개인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하고, IP위치부(37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 위치 정보를 전송할 때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복호화한 후 사용자 단말(100)로 연결되도록 한다.
QR 코드는 NFC 태그 또는 RFID 태그로 대체가능하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QR 코드는 시설 관리 또는 물류 관리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객체에 부착될 수 있고, QR 코드를 스캔한 습득자 단말(400)의 GPS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객체의 위치 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설을 관리한다고 가정하면, QR 코드와 스마트폰(사용자 단말(100) 또는 습득자 단말(400))을 이용하는데, 각 시설물에 QR 코드를 부착해두고 이를 스캔하는 스마트폰의 GPS 위치(XY좌표, 주소) 및 이력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지도를 통한 위치확인 및 현장사진, 도면사진 등이 확인 가능하도록 하고, 관리 담당자의 정보도 알 수 있도록 한다. 또 [QR 코드-시설물(객체)]가 이미 저장되어 있다면, 여기에 연결 및 매핑될 데이터는 이후에 얼마든지 링크(Link) 방식을 통하여 내용의 갱신이 가능하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QR 코드- QR 코드를 스캔하는 습득자 단말(400)의 GPS 좌표를 연동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QR 코드 뿐만 아니라, RFID나 NFC 등 현재 스마트폰을 기준으로 리딩 또는 스캔가능한 모든 코드나 태그와 GPS를 연동시킴으로써 별도의 통신사 요금을 지불하지 않고도 객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3b와 같이 QR 코드-GPS 연동을 적용하거나, 도 3c와 같이 NFC 태그-GPS 연동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는, 각 사용자의 선택에 따를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본 출원인의 선등록특허인 IP 기반의 위치 확인 시스템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위치확인 정확도를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으로 성능개선을 이루면서도 통신사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비용은 낮췄다. 도 3e와 같이 이를 이용하면 집단감염위험시설에 QR 코드 출입 시스템도 적용이 가능하다. 위치까지 함께 제공됨으로써 동선 파악이 가능해지고 IP 저장 기능을 더하여 출입, 위치 및 매장을 한 번에 확인할 수도 있다.
<QR 코드 & NFC 태그 공통 매뉴얼>
도 4a를 참조하면, QR 코드는 스캔 또는 NFC 태그는 NFC 리더를 활성화시켜 웹 페이지에 가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 등록을 위한 화면인데,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도 4c와 같이 태그등록완료(QR 코드 및 NFC 태그를 모두 태그로 명명함)를 한 후, 도 4d와 같이 물품 정보(객체 데이터)를 등록할 수 있다. 사진을 등록할 수도 있고 분실 시 습득자에게 보여질 메세지를 텍스트로 등록할 수도 있다. 도 4e와 같이 서비스 정보의 내용을 귀중품, 패밀리, 펫, 차량 등 카테고리를 나누어 등록할 수도 있다.
<습득자 매뉴얼>
도 4f를 참조하면, 습득자가 귀중품이나 가족 또는 강아지를 발견하여 QR 코드를 스캔하거나 NFC 태그를 해주는 경우, 도 4g와 같은 화면이 도시된다. 전화, 문자 및 이메일을 통하여 연락이 가능하도록 채널을 형성하고, 이와 동시에 개인정보는 누출되지 않도록 연결만을 해주도록 구성된다. 또 가상번호를 부여하여 상대방의 전화를 알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4h를 참조하면, 주차모드에는 연락처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최근 주차된 차량에 붙어있는 전화번호로 개인정보노출의 위험이 있는데, 주차된 차량을 빼달라고 전화를 하지 않고 QR 코드만 스캔하면 바로 소유주(사용자)와 연결되는 형태이다. 이때, 도 4i를 참조하면, 주차장에 있어야 할 차량이 없어졌다면 도난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사용자 매뉴얼>
도 4j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에서 QR 코드를 등록하고 자신의 소지품 등에 QR 코드를 부착했다면, 습득자 단말(400)에서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스캔 이벤트를 받을 수 있게 되므로 누군가가 소지, 보관 또는 보호하고 있는 것인지 등을 알 수 있고, 습득자의 정보를 일부 알 수 있게 된다. 도 4k를 참조하면, 카카오톡을 이용하여 스캔 이벤트가 수신된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인데, 스캔 및 태그 정보를 즉시 확인할 수 있고, 도 4l를 참조하면, 스캔된 최근 위치(IP)가 저장이 되고, 구글지도에 GPS를 연동시켜 지도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도 4m을 참조하면, WIFI 상태에서 스캔 및 태깅시 구글지도에서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도 4n와 같이 표시가 될 수도 있다.
<GPS 기반 위치 표시>
도 4o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명함에 QR 코드를 붙여놓은 경우인데, 습득자 단말(400)에서 QR 코드를 스캔하면 도 4p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에서는 알림톡이 수신되어 스캔 이벤트가 출력되며, 도 4q를 참조하면, 습득자 단말(400)의 GPS 까지 정보제공에 동의를 받는 경우 추출이 가능하고, 도 4r 및 도 4s와 같이 IP 기반으로 표시도 가능하다. GPS로 표시하는 경우 기지국 위치를 기준으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도가 높아 도 4t와 같이 정확하게 표시된다. 현재 습득자 단말(400)의 습득자는 석촌호수로 근처 엔젤리너스 커피숍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는, QR 코드에 콜백 주소 및 식별자를 매핑하여 저장하고(S5100), 사용자 단말에서 QR 코드를 등록하는 경우 객체 데이터와 QR 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한다(S5200).
또,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습득자 단말에서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스캔 이벤트를 알리고(S5300), 습득자 단말에서 정보제공동의를 하는 경우 GPS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달한다(S5400).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객체에 부착된 QR 코드의 등록을 위해 스캔하는 경우 객체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QR 코드의 식별자 및 상기 객체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QR 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QR 코드의 식별자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식별자에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기본정보를 출력하고,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GPS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습득자 단말; 및
    상기 QR 코드에 콜백 주소 및 식별자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QR 코드를 등록하는 경우 상기 객체 데이터와 상기 QR 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매핑부, 상기 습득자 단말에서 상기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캔 이벤트를 알려주는 알림부, 상기 습득자 단말에서 정보제공을 동의하는 경우 상기 GPS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분실 가능한 객체에 대한 보상 금액을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록하며, 상기 습득자 단말에 의해 분실된 객체가 확인되면 스마트 컨트랙트을 통해 보상금을 예치하고,
    상기 습득자 단말은,
    소유자의 분실된 객체를 습득하기 위한 보관함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는,
    예치된 보상금을 소유자가 인출하지 못하도록 예치된 보상금을 소유자와 습득자의 공동 소유로 설정하고, 상기 보관함에 상기 보관함 비밀번호가 보관함에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예치된 보상금을 습득자의 전자지갑 계정으로 지급하여 분실물 습득에 대한 보상을 수행하고,
    상기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습득자 단말에서 상기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상기 습득자 단말의IP, 통신사명 및 모델명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습득자 단말의 스캔 이벤트를 상기 IP, 통신사명 및 모델명과 함께 전송하는 제공부; 및
    습득자 단말의 IP에 기반하여 통신사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확인한 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IP 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부는 디지털 증거의 무결성을 인정받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촬영하는 화면을 영상 자체로 보관 시, 무결성 확인 정보를 가역 정보 은닉(Reversible Data Hiding, RDH) 방법을 이용하여 삽입하고,
    상기 가역 정보 은닉(RDH)에 양자화 계수(Quantized DCT Coefficient) 값에 대응되는 차이값 확장 기법(Difference Expansion, DE)이 적용되는 것,
    상기 습득자 단말은 QR 코드에 포함된 비밀값을 이용해 h(h(secret))을 생성하여 습득 사실을 증명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QR 코드의 콜백 주소 및 식별자를 암호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습득자 단말에서 상기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상기 QR 코드에 포함된 콜백 주소를 통하여 상기 습득자 단말에서 상기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도록 하고, 상기 습득자 단말의 IP, 통신사 및 모델명이 전송되면, 상기 식별자를 복호화한 후 상기 식별자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상기 객체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객체 데이터를 등록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습득자 단말에서 호(Call), 문자 및 메세지를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개인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IP위치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위치 정보를 전송할 때 상기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복호화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연결되도록 하는 복호화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QR 코드는 NFC 태그 또는 RFID 태그로 대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QR 코드는 시설 관리 또는 물류 관리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객체에 부착되고,
    상기 QR 코드를 스캔한 상기 습득자 단말의 GPS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객체의 위치 데이터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00155561A 2020-11-19 2020-11-19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13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561A KR102513921B1 (ko) 2020-11-19 2020-11-19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561A KR102513921B1 (ko) 2020-11-19 2020-11-19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613A KR20220068613A (ko) 2022-05-26
KR102513921B1 true KR102513921B1 (ko) 2023-03-23

Family

ID=81808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561A KR102513921B1 (ko) 2020-11-19 2020-11-19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9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33491B (zh) * 2023-03-29 2023-07-04 至控科技(湖州)创新研究院有限公司 实时定位系统中的数据压缩缓存上传方法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580B1 (ko) 2005-08-18 2006-12-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Gps 및 ip 주소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rfid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1595548B1 (ko) 2015-05-06 2016-02-18 임성우 분실 및 습득 대상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770795B1 (ko) 2016-09-13 2017-08-25 전우수 분실 방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KR102036301B1 (ko) * 2018-11-07 2019-10-24 주식회사 휴먼펫 Ip 기반의 위치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144B1 (ko) * 1999-12-04 2002-12-16 (주)화이브 캣츠 태그를 이용한 분실물 처리 방법
KR101504979B1 (ko) * 2013-02-01 2015-03-24 선병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분실물 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013390A (ko) * 2014-07-25 2016-02-04 김대환 분실폰과 습득자의 모바일기기의 nfc 및 블루투스를 이용한 분실폰 찾아주기 방법과 그 시스템
KR20180114286A (ko) * 2017-04-10 2018-10-18 김대환 분실된 모바일 단말기의 조기 회수 및 유기견 찾아주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4871A (ko) * 2017-10-23 2019-05-02 신창호 스티커칩을 이용한 분실물 관리 시스템, 및 분실물 발견 방법
KR20200133605A (ko) * 2019-05-20 2020-11-30 강하승 위치 스티커
KR20200133618A (ko) * 2019-05-20 2020-11-30 강하승 위치 스티커
KR20210068839A (ko) * 2019-12-02 2021-06-10 신창호 분실물 반환 장치 및 분실물 반환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580B1 (ko) 2005-08-18 2006-12-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Gps 및 ip 주소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rfid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1595548B1 (ko) 2015-05-06 2016-02-18 임성우 분실 및 습득 대상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770795B1 (ko) 2016-09-13 2017-08-25 전우수 분실 방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KR102036301B1 (ko) * 2018-11-07 2019-10-24 주식회사 휴먼펫 Ip 기반의 위치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홍성호 외, "블록체인 기반의 분실물 보상 및 회수 모델", 한국정보기술학회 논문지(KIIT) Vol.18, No. 4, 89쪽~99쪽(2020. 4. 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613A (ko)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4277B2 (en) System for communication from a user to the publisher of a scannable label
KR101583206B1 (ko) 인터넷 사이트에 업로드되는 멀티미디어에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8589372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document registration with cloud computing
US9167428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entities by means of terminals
US8914351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automated document registration from social media networks
US8341141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document registration
US20200387859A1 (en) Methods, Application Server, Block Chain Node and Media For Logistics Tracking and Source Tracing
US201901975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 authentication
US200901001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Storing Wirelessly Transmitted Text, Images and Video
KR102197293B1 (ko) 스마트 도어락 기반 임시출입키를 이용한 출입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30130298A1 (en) Personal security monitoring
KR102513921B1 (ko) Gps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Jinsong et al. 5G network and security
CN104168362A (zh) 终端、二维码管理装置和电子名片管理方法
KR102442796B1 (ko) 온라인 중고거래 기반 오프라인 검증을 이용한 인증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140531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ly authenticating entities
CN109218320B (zh) 网站链路安全性验证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090116681A (ko) 개인정보 유출을 최소화 하면서 분실된 대상물의 원소유자를 찾아주는 시스템
KR20130020667A (ko) 통신망을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방법, 회원정보 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기술분야
JP7038584B2 (ja) 人などを含む現物管理システム
KR100699575B1 (ko) 이동 화상 전화를 이용한 신원 조회 방법 및 시스템
KR101574242B1 (ko) 체크인 엔진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Piramuthu RFID-based non-repudiation protocols for supply chains
Kumar et al. Automated check-post on cloud using bigdata analysis with web service security
CN104537312A (zh) 网络通信数据保全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