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663B1 -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 - Google Patents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663B1
KR102513663B1 KR1020210173014A KR20210173014A KR102513663B1 KR 102513663 B1 KR102513663 B1 KR 102513663B1 KR 1020210173014 A KR1020210173014 A KR 1020210173014A KR 20210173014 A KR20210173014 A KR 20210173014A KR 102513663 B1 KR102513663 B1 KR 102513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lighting
plate
light
vege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노
김미영
이승해
이승아
Original Assignee
이병노
김미영
이승해
이승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노, 김미영, 이승해, 이승아 filed Critical 이병노
Priority to KR1020210173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6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간에도 옹벽에 구비되는 식생식물을 인지하여 감상할 수 있게 광을 조사하되, 광원(光源)에서 조사되는 빛을 벽면을 통해 반사시켜 부드럽게 만든 간접조명을 이용하여 식생식물 주변을 은은하게 비춰주어 감미로운 무드등 기능을 제공하는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에 관한 것으로, 고도가 다른 두 지면 간에 보강을 위해, 고도가 높은 지면의 절개면에 설치되는 옹벽(100)과; 상기 옹벽(100)에 고정배치되는 것으로, 발광이 이루어지는 조명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조명부(200)는, 상기 옹벽(100)의 외측면에 노출되는 상측노출판(210)과; 일측이 상기 상측노출판(210)의 하부 내측면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내측 수납용 수평판(221) 및 상기 내측 수납용 수평판(221)의 타측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내측 수납용 수직판(223)으로 이루어져, 수납공간(225)을 형성하는 수납용 판부(220)와; 상기 수납용 판부(220)에 위치되는 것으로, 빛을 발광하는 조명(230)과; 광원(光源)에서 조사되는 빛을 벽면을 통해 반사시켜 부드럽게 만든 간접조명을 이용하여 식생식물 주변을 은은하게 비춰주는 광안내용 판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Vegetation wall with lights}
본 발명은 야간에도 옹벽에 구비되는 식생식물을 인지하여 감상할 수 있게 광을 조사하되, 광원(光源)에서 조사되는 빛을 벽면을 통해 반사시켜 부드럽게 만든 간접조명을 이용하여 식생식물 주변을 은은하게 비춰주어 감미로운 무드등 기능을 제공하는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에 관한 것이다.
토목 또는 건축 현장은 일반적으로 암반부 또는 대지를 절개함에 따라 형성되는 절토부의 절개면이나, 지반을 성토하는 과정에서 고도가 다른 영역 간에 발생되는 절토부에 대한 성토부의 경사면에 대한 보강이 고려되어야 한다.
여기서, 절토부는 임의적인 절개에 의하여 형성된 경사를 갖는 절개면에 대한 구조물이며, 성토부는 성토 하는 과정에서 고도차로 형성되는 경사면에 대한 구조물이다.
우리나라는 70% 이상이 산지로 구성되어 있어 도로, 철도건설 및 산업단지, 주택지 확충 등 토목구조물의 건설 에 따른 절토사면의 발생은 필연적이기에, 토양의 붕괴를 방지할 목적으로 옹벽이 설치제공되고 있다.
이처럼, 제공되는 옹벽은 최근 들어, 녹색성장 및 녹색환경의 기조에서 식생옹벽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식생옹벽은 사면보강, 부지활용 등 사용목적상 대부분 수직에 가까운 경사를 유지하게 되며, 대부분 금 속철망과 틈이 좁은 매쉬 그리고 식물매트를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식물의 뿌리가 활착되어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주변지역과 어울리는 녹색환경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식생옹벽은 주간에는 태양광으로 인해 옹벽에 구비되는 식생식물을 인지하여 감상할 수 있으나, 야간에는 옹벽에 구비되는 식생식물의 인지가 어려워 감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KR 10-1233647 B1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야간에도 옹벽에 구비되는 식생식물을 인지하여 감상할 수 있게 안내하는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은, 고도가 다른 두 지면 간에 보강을 위해, 고도가 높은 지면의 절개면에 설치되는 옹벽(100)과; 상기 옹벽(100)에 고정배치되는 것으로, 발광이 이루어지는 조명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부(200)는, 상기 옹벽(100)의 외측면에 노출되는 상측노출판(210)과; 일측이 상기 상측노출판(210)의 하부 내측면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내측 수납용 수평판(221) 및 상기 내측 수납용 수평판(221)의 타측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내측 수납용 수직판(223)으로 이루어져, 수납공간(225)을 형성하는 수납용 판부(220)와; 상기 수납용 판부(220)에 위치되는 것으로, 빛을 발광하는 조명(230)과; 일측이 상기 상측노출판(210)의 상부 내측면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조명(230)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후방으로 안내하는 내측 광안내용 수평판(241), 일측이 상기 내측 광안내용 수평판(241)의 타측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내측 광안내용 수평판(241)을 통해 후방으로 안내된 빛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내측 광안내용 수직판(243) 및 일측이 상기 내측 광안내용 수평판(241)의 타측과 사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내측 광안내용 수직판(243)을 통해 하방으로 안내된 빛을 전방으로 안내하는 내측 광안내용 사선판(245)으로 이루어진 광안내용 판부(2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에는, 일측이 상기 상측노출판(210)의 상단 내측면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상기 옹벽(100)에 고정배치되게 안내하는 내측 상부고정용 수평판(250)과; 일측이 상기 내측 광안내용 사선판(245)의 타측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옹벽(100)의 외측면에 노출되는 하측노출판(260)과; 일측이 상기 하측노출판(260)의 하단 내측면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상기 옹벽(100)에 고정배치되게 안내하는 내측 하부고정용 수평판(27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내측 상부고정용 수평판(250)의 타측에는, 상기 조명부(200)의 상측부가 상기 옹벽(10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측 빠짐방지용 확장구(251)가 연결되고, 상기 내측 하부고정용 수평판(270)의 타측에는, 상기 조명부(200)의 하측부가 상기 옹벽(10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측 빠짐방지용 확장구(271)가 연결되어진다.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에는, 상기 조명(230)을 포함하는 구성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10)와; 상기 옹벽(100)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여 조도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조도센서(320)와; 상기 조도센서(320)로부터 입력되는 조도감지신호의 조도세기가 상기 조명(230)의 구동을 요청하는 조명 구동용 기준정보의 조도세기 값보다 이하이면, 상기 조명(230)이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원공급부(310)는 축전지이고,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에는,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하는 태양전지패널(340);를 더 포함하며, 과충전 방지부(3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30)는, 기설정주기마다 상기 전원공급부(310)의 충전잔량을 확인하여 상기 전원공급부(310)의 충전이 완충된 경우 상기 과충전 방지부(350)를 제어하여, 상기 태양전지패널(34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에는,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인터페이스인 무선통신부(260);를 더 포함하고, 일출시간 및 일몰시간이 일자 별로 구분되는 일별 태양출몰시간정보를 기지정주기마다 전송하는 기상청서버(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30)는, 기설정주기마다 상기 무선통신부(260)를 통해, 일별 태양출몰시간정보를 전송받고, 그 전송된 일별 태양출몰시간정보를 토대로 일별 조명점등시간을 연산하여, 일별 조명구동시간을 예측하며, 그 예측된 일별 조명구동시간 및 상기 전원공급부(310)에 충전된 충전잔량을 참조하여 일별 태양전지패널 구동시간을 예측하여, 일별로 상기 태양전지패널(340)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상측노출판(210)은, 투광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에는, 상기 상측노출판(210)의 전면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숫자, 문자, 심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안내문구(141)가 관통형성된 홍보판넬(14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야간에도 옹벽에 구비되는 식생식물을 인지하여 감상할 수 있게 광을 조사하되, 광원(光源)에서 조사되는 빛을 벽면을 통해 반사시켜 부드럽게 만든 간접조명을 이용하여 식생식물 주변을 은은하게 비춰주어 감미로운 무드등 기능을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접조명방식을 통해 광고 홍보도 수행가능하게 안내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날씨 인자에 따른 식생옹벽의 주변 밝기가 어두워질 경우 이를 인지하여 조명을 점등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여 줌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에서는 계절 별로 상이한 일출시간 및 일몰시간에 따라 점등되는 조명구동시간을 토대로 태양광의 충전시간을 예측하여 태양광 충전 효율을 향상시켜주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을 이루는 구성 중 조명을 점등하는데 필요한 각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을 이루는 구성 중 조명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을 이루는 구성 중 조명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을 이루는 구성 중 조명부에 홍보판넬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을 이루는 구성 중 폭 가변형 옹벽관통 식생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을 이루는 구성 중 폭 가변형 옹벽관통 식생블록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을 이루는 구성 중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통체고정부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을 이루는 구성 중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통체고정부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을 이루는 구성 중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통체고정부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12은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을 통해, 옹벽의 폭의 길이에 따라 폭 가변형 옹벽관통 식생블록의 수평길이가 조절된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언급된 것일 뿐이지,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표현하거나, 또는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를 명기하기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하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은 야간에도 옹벽에 구비되는 식생식물을 인지하여 감상할 수 있게 안내하도록, 옹벽(100) 및 조명부(2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옹벽(100)은 고도가 다른 두 지면 간에 보강을 위해, 고도가 높은 지면의 절개면에 설치되는 부재이다.
이처럼, 토양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옹벽(100)은 전도, 미끄럼, 침하 등에 안전하도록 설계되어지며, 그 종류로는 중력식 옹벽, 캔틸레버 옹벽, 부벽식 옹벽 등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다.
중력식 옹벽은 무근콘크리트, 조적조, 석재 등을 쌓아 만든 것이고, 캔틸레버 옹벽은 벽체, 앞굽판, 뒷굽판의 요소를 가지고 제작되어 역 T형 옹벽, L형 옹벽 형 식이 있고, 부벽식 옹벽은 캔틸레버식 옹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벽을 설치하여 보강한 옹벽이다.
이러한 옹벽(100)의 시공은 바닥에 기초 거푸집 설치, 기초 거푸집에 철근 배근, 옹벽(벽체) 거푸집의 설치, 옹벽철근 배근, 기초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옹벽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거푸집 제거, 옹벽 마감, 되메우기의 순으로 이루어질수 있으며, 시공사정에 따라 그 과정이 생략되거나 변경되어질 수 있다.
한편, 옹벽(100)의 시공 중 옹벽철근의 배근은 옹벽(100) 내부에, 수직철근(110)들 및 수평철근(120)들이 격자형태로 배치되고, 그 배치되는 철근들 중 수직철근(110)들의 하단에는 수직으로 절곡연장되는 지지강화용 보강철근(111)이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시공 후 옹벽(100)의 보강지지성능을 향상시켜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 조명부(200)는 옹벽(100)에 고정배치되는 것으로, 발광을 하되, 광원(光源)에서 조사되는 빛을 벽면을 통해 반사시켜 부드럽게 만든 간접조명을 이용하여 식생식물 주변을 은은하게 비추어 조명성능을 향상시켜주는 부재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조명부(200)의 세부구성은 상측노출판(210), 수납용 판부(220), 조명(230) 및 광안내용 판부(24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측노출판(210)은 시공 후 옹벽(100)의 외측면에 노출되는 부재로서, 직접조명방식을 통해 광고 홍보도 수행하는 부재로서, 광고 홍보는 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상기 수납용 판부(220)는 후술되는 조명(230)이 수납되도록, 일측이 상측노출판(210)의 하부 내측면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내측 수납용 수평판(221) 및 내측 수납용 수평판(221)의 타측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내측 수납용 수직판(223)으로 이루어져, 조명(230)이 수납되는 수납공간(225)을 형성하는 부재이다.
상기 조명(230)은 수납용 판부(220)에 위치되는 것으로, 빛을 발광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조명(230)에는 LED 조합, 논네온 LED, 트리전구 LED, 백열전구, 할로겐 램프, 삼파장 램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명(230)에 논네온 LED를 적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처럼, 조명(230)에 적용되는 논네온 LED는 LED가 원구형 구조체로 구현되도록, 봉체 내부에 여러 가닥의 LED 미니 램프가 장착되어 제공됨으로써, 360° 전방으로 광이 조사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를 통해, 간접조명을 통한 식생식물 주변의 무드등의 기능과 직접조명을 통한 광고 홍보 등 광을 이용한 이중의 기능으로 활용가능한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 광안내용 판부(240)는 광원(光源)에서 조사되는 빛을 벽면을 통해 반사시켜 부드럽게 만든 간접조명을 이용하여 식생식물 주변을 은은하게 비추도록, 일측이 상측노출판(210)의 상부 내측면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조명(230)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후방으로 안내하는 내측 광안내용 수평판(241), 일측이 내측 광안내용 수평판(241)의 타측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내측 광안내용 수평판(241)을 통해 후방으로 안내된 빛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내측 광안내용 수직판(243) 및 일측이 내측 광안내용 수평판(241)의 타측과 사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내측 광안내용 수직판(243)을 통해 하방으로 안내된 빛을 전방으로 안내하는 내측 광안내용 사선판(24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내측 광안내용 사선판(245)은 완곡한 호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광의 반사 효율을 향상시켜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조명부(200)에는 일측이 상측노출판(210)의 상단 내측면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옹벽(100)에 고정배치되게 안내하는 내측 상부고정용 수평판(250), 일측이 내측 광안내용 사선판(245)의 타측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옹벽(100)의 외측면에 노출되는 하측노출판(260) 및 일측이 하측노출판(260)의 하단 내측면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옹벽(100)에 고정배치되게 안내하는 내측 하부고정용 수평판(270)을 더 포함한다.
한편 내측 상부고정용 수평판(250)의 타측에는 조명부(200)의 상측부가 옹벽(10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측 빠짐방지용 확장구(251)가 연결되고, 내측 하부고정용 수평판(270)의 타측에는 조명부(200)의 하측부가 옹벽(10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측 빠짐방지용 확장구(271)가 연결되어진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조명부(200)의 재질은 탄소강,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PVC, FRP, 폴리카보네이트(PC) 등 다양한 재질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에서는 직접조명방식을 통해 광고 홍보도 수행가능하도록, 상측노출판(210)은 투광성을 갖는 재질{일예로 투광성재질의 폴리카보네이트(PC)}로 이루어지고, 상측노출판(210)의 전면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숫자, 문자, 심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안내문구(141)가 관통형성된 홍보판넬(140)을 더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측노출판(210)의 재질이 불투명일 경우 상측노출판(210)에 투광공간을 관통형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측노출판(210)과 홍보판넬(140) 간의 탈부착은 상측노출판(210)에 고정홀(211)을 관통형성하고, 홍보판넬(140)에 고정돌기(282)를 돌출형성하여, 돌기홈 결합으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에서는 날씨 인자에 따른 식생옹벽의 주변 밝기가 어두워질 경우 이를 인지하여 조명을 점등하여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에는 조명(230)을 포함하는 구성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10), 옹벽(100)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여 조도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조도센서(320) 및 조도센서(320)로부터 입력되는 조도감지신호의 조도세기가 조명(230)의 구동을 요청하는 조명 구동용 기준정보의 조도세기 값보다 이하이면, 조명(230)이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30)가 구비되어진다.
여기서, 조도센서(320)는 옹벽(100) 주변에 설치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310)는 상용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310) 및 제어부(330)은 별도의 제어패널에 탑재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에서는 태양광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여 줌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 유지관리가 용이한 이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에는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하는 태양전지패널(340)를 더 포함하며, 과충전 방지부(350)를 더 포함하고, 전원공급부(310)는 축전지이다.
이를 통해, 제어부(330)는 기설정주기마다 전원공급부(310)의 충전잔량을 확인하여 전원공급부(310)의 충전이 완충된 경우 과충전 방지부(350)를 제어하여, 태양전지패널(34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과충전 방지기능가지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에서는 계절 별로 상이한 일출시간 및 일몰시간에 따라 점등되는 조명구동시간을 토대로 태양광의 충전시간을 예측하여 태양광 충전 효율을 향상시켜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에는정보를 전송하는 통신인터페이스인 무선통신부(260);를 더 포함하고, 일출시간 및 일몰시간이 일자 별로 구분되는 일별 태양출몰시간정보를 기지정주기마다 전송하는 기상청서버(400);를 더 포함한다.
이를 통해, 제어부(330)는 기설정주기마다 무선통신부(260)를 통해, 일별 태양출몰시간정보를 전송받고, 그 전송된 일별 태양출몰시간정보를 토대로 일별 조명점등시간을 연산하여, 일별 조명구동시간을 예측하며, 그 예측된 일별 조명구동시간 및 전원공급부(310)에 충전된 충전잔량을 참조하여 일별 태양전지패널 구동시간을 예측하여, 일별로 태양전지패널(340)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통신부(360)는 이더넷(Ethernet)을 포함하는 유선통신 또는 WLAN(Wireless LAN)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을 포함하는 무선통신과 같은 유무선 통신방식 중 선택적용 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기상청서버(400)로부터 전송되는 일별 태양출몰시간정보는 정보저장부(370)에 저장관리되어지며, 일별 태양전지패널 구동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도 함께 저장관리되어진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저장부(3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 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에는 앞에서 언급한 조명부(200)로 인해, 식생식물이 식생된 식생블록이 야간에도 옹벽에 구비되는 식생식물을 인지하여 감상할 수 있게 안내함과 더불어 별도의 관수장치가 없어도 식생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여 주도록, 폭 가변형 옹벽관통 식생블록(500)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폭 가변형 옹벽관통 식생블록(500)은 옹벽(100)에 고정배치되되, 양단이 개구된 통체로서, 개구된 양단 중 일단이 옹벽(100)의 외측면에 고정배치되고, 타단이 옹벽(100)의 내측면에 고정배치되어, 식생식물이 개구된 일단을 통해 외부로 성장하고, 개구된 타단의 토양을 통해 수분을 공급받는 부재이다.
즉, 옹벽(100)의 시공 중 되메우기 공정을 통해, 토양이 개구된 타단을 통해 유입되어 식생식물을 심을 수 있게 제공한다. 한편, 유입되는 토양의 양이 적을 경우 개구된 일단을 통해 별도로 토양을 유입하여 식생식물을 심을 수 있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폭 가변형 옹벽관통 식생블록(500)을 이루는 양단이 개구된 통체는 개구된 일단에서 개구된 타단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함으로써, 토양이 개구된 일단을 통해 유실되지 않게 제공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폭 가변형 옹벽관통 식생블록(500)은 고무재질, 연질플라스틱, PVC, PE, PP의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에서는 절개면의 높이 또는 토양의 종류에 따라 옹벽의 폭이 길어지거나 작아진다 하더라도 단 하나의 식생블록으로 시공이 가능하여 옹벽의 가변되는 폭의 길이 별로 개개의 식생블록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시공비용을 절감시켜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에는 시공 중 거푸집의 설치 시 거푸집의 내측에 폭 가변형 옹벽관통 식생블록(500)을 고정시키는데, 절개면의 높이 또는 토양의 종류에 따라 가변되는 옹벽(100) 폭(W)의 길이에 비례하여, 폭 가변형 옹벽관통 식생블록(500)의 수평길이(L)를 단축 또는 연장되게 조절하여 조절한 상태에서 옹벽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그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고정위치되게 제공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폭 가변형 옹벽관통 식생블록(500)은 개구측 연장부(510) 및 토양측 연장부(560)로 이루어진다.
먼저, 개구측 연장부(510)는 식생식물이 성장가능하게 전면이 개구된 개구측 개구프레임(511) 및 개구측 개구프레임(511) 쪽에 연결되는 개구측 슬라이딩 통체(51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개구측 개구프레임(511)은 도면 상에 그 형상을 직육면의 사각 프레임으로 표현하였으나,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상, 원형, 타원과 더불어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되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개구측 개구프레임(511)에는 기지정된 간격으로 고정홀(511a)을 형성하여, 거푸집에 고정 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개구측 개구프레임(511)은 시공에 따라 외관이 훼손되거나 이물질이 묻어 심미감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를 해소하고자, 개구측 개구프레임(511)의 외면에는 마감용 띠장(130)이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되, 마감용 띠장(130)의 폭이 개구측 개구프레임(511)의 폭 보다 더 넓게 하여, 마감용 띠장(130)이 개구측 개구프레임(511)을 덮는 구조로 특정함으로써, 심미감을 유지할 수 있게 제공하여 준다.
더욱이, 마감용 띠장(130)의 외면에는 싯구나 그림을 인쇄하여 제공하여 심미감을 향상시켜 주거나 또는, 광고문구나 광고이미지를 인쇄하여 홍보기능도 수행가능하게 제공하여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마감용 띠장(130)의 배면에는 결합돌기(131b)가 구비되어, 개구측 개구프레임(511)의 고정홀(511a)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131a는 식생식물이 성장가능하게 관통형성된 식생공간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개구측 개구프레임(511)과 개구측 슬라이딩 통체(515)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여 주는 개구측 수평연결대(513)가 구비되어진다.
상기 토양측 연장부(560)는 식생식물이 뿌리를 통해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게 전면이 개구된 토양측 개구프레임(561) 및 개구측 슬라이딩 통체(515)의 내측 또는 외측을 따라 끼워지는 것으로 토양측 개구프레임(561) 쪽에 연결되는 토양측 슬라이딩 통체(565)를 포함함으로써, 옹벽(100)의 폭(W)이 길어지거나 작아질 경우 개구측 슬라이딩 통체(515)에 끼워진 토양측 슬라이딩 통체(565)를 옹벽(100)의 폭(W) 길이에 맞게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에 시공과정을 수행하면 된다.
이와 더불어, 개구측 연장부(510)의 개구측 슬라이딩 통체(515)에 수용되는 토양이 개구측 개구프레임(511)을 통해 유실되지 않도록, 개구측 슬라이딩 통체(515)는 개구측 개구프레임(511)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기울어지고, 토양측 슬라이딩 통체(565)는 토양측 개구프레임(561)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토양측 개구프레임(561)과 토양측 슬라이딩 통체(565)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여 주는 토양측 수평연결대(563)가 구비되어진다.
한편, 시공과정 중 옹벽 콘크리트 타설로 인해, 거푸집에 고정된 폭 가변형 옹벽관통 식생블록(500)을 이루는 개구측 연장부(510)의 개구측 슬라이딩 통체(515)와 토양측 연장부(560)의 토양측 슬라이딩 통체(565)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수평길이(L)가 달라질 수 있다.
이 때문에, 개구측 연장부(510) 및 토양측 연장부(560) 간을 고정시켜주는 통체고정부(6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개구측 연장부(510) 및 토양측 연장부(560) 간을 고정시켜주는 통체고정부(600)는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먼저,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통체고정부(600)는 개구측 슬라이딩 통체(515)의 외면에 돌출연결되는 것으로, 중앙에 외측 체결구멍(611a)이 관통형성된 외측 보강용 돌출턱(611), 토양측 슬라이딩 통체(565)의 내면에 돌출연결되는 것으로, 중앙에 내측 체결구멍(613a)이 관통형성된 내측 보강용 돌출턱(615) 및 외측 체결구멍(611a) 및 내측 체결구멍(613a)에 나선체결되는 나선봉(613a) 및 나선봉(613a)의 일단에 고정연결되는 것으로, 나선봉(613a)을 나선조임방향 또는 나선풀림방향으로 회전되게 안내하는 손잡이(613b)로 이루어진 고정나사(61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내측 보강용 돌출턱(615)은 기지정된 간격마다 구비함으로써, 단계별로 수평길이(L)를 연장 또는 단축하여 사용할 수 있게 제공한다.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통체고정부(600)는 개구측 슬라이딩 통체(515)의 외면에 돌출연결되는 것으로, 중앙에 외측 체결구멍(621a)이 관통형성된 외측 보강용 돌출턱(621) 및 외측 체결구멍(611a)에 나선체결되는 나선봉(613a) 및 나선봉(613a)의 일단에 고정연결되는 것으로, 나선봉(613a)을 나선조임방향 또는 나선풀림방향으로 회전되게 안내하여, 나선봉(613a)의 선단이 내측 보강용 돌출턱(615)의 접촉면에 가압접촉 또는 가압접촉해제시키는 손잡이(613b)로 이루어진 고정나사(6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개구측 연장부(510) 및 토양측 연장부(560) 간의 수평길이(L) 조절 시 ㎜단위로 미세하게 조절이 가능하여 정밀하게 수평길이(L)를 조절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통체고정부(600)는 개구측 슬라이딩 통체(515)에 관통형성되되, 기지정된 간격마다 관통형성되는 복수의 외측 결합구멍(631), 토양측 슬라이딩 통체(565)에 관통형성되는 내측 결합구멍(633), 내측 결합구멍(633)이 관통형성된 토양측 슬라이딩 통체(565)의 내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이동공간이 형성된 이송공간(641a)이 형성된 수용함(641), 수용함(641)의 이송공간(641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으로, 배면에 거치핀(643a)이 형성되고, 전면에 고정돌기(643b)가 돌출형성되는 슬라이딩 몸체(643) 및 거치핀(643a)에 끼워지는 것으로, 일단이 수용함(641)의 바닥에 접촉되고, 타단이 슬라이딩 몸체(643)의 배면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45)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스프링(645)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 몸체(643)가 전진되면서 고정돌기(643b)가 외측 결합구멍(631) 및 내측 결합구멍(633)을 관통하여 개구측 슬라이딩 통체(515) 및 토양측 슬라이딩 통체(565)가 고정되게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옹벽 110 : 수직철근
111 : 지지강화용 보강철근 120 : 수평철근
130 : 마감용 띠장 131a : 식생공간
131b : 결합돌기 140 : 홍보판넬
141 : 안내문구 142 : 고정돌기
200 : 조명부 210 : 상측노출판
211 : 고정홀 220 : 수납용 판부
221 : 내측 수납용 수평판 223 : 내측 수납용 수직판
225 : 수납공간 240 : 광안내용 판부
241 : 내측 광안내용 수평판 243 : 내측 광안내용 수직판
245 : 내측 광안내용 사선판 250 : 내측 상부고정용 수평판
251 : 상측 빠짐방지용 확장구 260 : 하측노출판
270 : 내측 하부고정용 수평판 271 : 하측 빠짐방지용 확장구
310 : 전원공급부 320 : 조도센서
330 : 제어부 340 : 태양전지패널
350 : 과충전 방지부 360 : 정보통신부
370 : 정보저장부 400 : 기상청서버
500 : 폭 가변형 옹벽관통 식생블록
510 : 개구측 연장부 511 : 개구측 개구프레임
511a : 고정홀 513 : 개구측 수평연결대
515 : 개구측 슬라이딩 몸체 560 : 토양측 연장부
561 : 토양측 개구프레임 563 : 토양측 수평연결대
565 : 토양측 슬라이딩 몸체 600 : 통체고정부
611 : 외측 보강용 돌출턱 611a,621a : 외측 체결구멍
615,623 : 고정나사 615a,623a : 나선봉
615b,623b : 손잡이 631 : 외측 결합구멍
633 : 내측 결합구멍 641 : 수용함
643 : 슬라이딩 몸체 643a : 거치핀
643b : 고정돌기 645 : 스프링

Claims (8)

  1. 고도가 다른 두 지면 간에 보강을 위해, 고도가 높은 지면의 절개면에 설치되는 옹벽(100)과;
    상기 옹벽(100)에 고정배치되는 것으로, 발광이 이루어지는 조명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200)는, 상기 옹벽(100)의 외측면에 노출되는 상측노출판(210)과; 일측이 상기 상측노출판(210)의 하부 내측면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내측 수납용 수평판(221) 및 상기 내측 수납용 수평판(221)의 타측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내측 수납용 수직판(223)으로 이루어져, 수납공간(225)을 형성하는 수납용 판부(220)와; 상기 수납용 판부(220)에 위치되는 것으로, 빛을 발광하는 조명(230)과; 일측이 상기 상측노출판(210)의 상부 내측면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조명(230)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후방으로 안내하는 내측 광안내용 수평판(241), 일측이 상기 내측 광안내용 수평판(241)의 타측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내측 광안내용 수평판(241)을 통해 후방으로 안내된 빛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내측 광안내용 수직판(243) 및 일측이 상기 내측 광안내용 수평판(241)의 타측과 사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내측 광안내용 수직판(243)을 통해 하방으로 안내된 빛을 전방으로 안내하는 내측 광안내용 사선판(245)으로 이루어진 광안내용 판부(240);를 포함하며,
    일측이 상기 상측노출판(210)의 상단 내측면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상기 옹벽(100)에 고정배치되게 안내하는 내측 상부고정용 수평판(250)과;
    일측이 상기 내측 광안내용 사선판(245)의 타측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옹벽(100)의 외측면에 노출되는 하측노출판(260)과;
    일측이 상기 하측노출판(260)의 하단 내측면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상기 옹벽(100)에 고정배치되게 안내하는 내측 하부고정용 수평판(2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상부고정용 수평판(250)의 타측에는, 상기 조명부(200)의 상측부가 상기 옹벽(10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측 빠짐방지용 확장구(251)가 연결되고,
    상기 내측 하부고정용 수평판(270)의 타측에는, 상기 조명부(200)의 하측부가 상기 옹벽(10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측 빠짐방지용 확장구(271)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230)을 포함하는 구성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10)와;
    상기 옹벽(100)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여 조도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조도센서(320)와;
    상기 조도센서(320)로부터 입력되는 조도감지신호의 조도세기가 상기 조명(230)의 구동을 요청하는 조명 구동용 기준정보의 조도세기 값보다 이하이면, 상기 조명(230)이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310)는 축전지이고,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하는 태양전지패널(340);를 더 포함하며,
    과충전 방지부(3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30)는, 기설정주기마다 상기 전원공급부(310)의 충전잔량을 확인하여 상기 전원공급부(310)의 충전이 완충된 경우 상기 과충전 방지부(350)를 제어하여, 상기 태양전지패널(34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310)는 축전지이고,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하는 태양전지패널(340);를 더 포함하며,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인터페이스인 무선통신부(260);를 더 포함하고,
    일출시간 및 일몰시간이 일자 별로 구분되는 일별 태양출몰시간정보를 기지정주기마다 전송하는 기상청서버(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30)는, 기설정주기마다 상기 무선통신부(260)를 통해, 일별 태양출몰시간정보를 전송받고, 그 전송된 일별 태양출몰시간정보를 토대로 일별 조명점등시간을 연산하여, 일별 조명구동시간을 예측하며, 그 예측된 일별 조명구동시간 및 상기 전원공급부(310)에 충전된 충전잔량을 참조하여 일별 태양전지패널 구동시간을 예측하여, 일별로 상기 태양전지패널(34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노출판(210)은, 투광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측노출판(210)의 전면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숫자, 문자, 심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안내문구(141)가 관통형성된 홍보판넬(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
KR1020210173014A 2021-12-06 2021-12-06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 KR102513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014A KR102513663B1 (ko) 2021-12-06 2021-12-06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014A KR102513663B1 (ko) 2021-12-06 2021-12-06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3663B1 true KR102513663B1 (ko) 2023-03-24

Family

ID=85872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014A KR102513663B1 (ko) 2021-12-06 2021-12-06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66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0700A (ko) * 2011-03-30 2012-10-10 에프씨산업 주식회사 태양광을 이용한 엘이디 가로등 시스템
KR101233647B1 (ko) 2012-09-25 2013-02-15 정길수 관수장치를 구비한 식생옹벽구조
KR101385726B1 (ko) * 2013-11-07 2014-04-15 안신철 옹벽 일체형 조명블록
KR20140055062A (ko) * 2012-10-30 2014-05-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태양전지 조명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906932B1 (ko) * 2018-04-04 2018-10-11 효성종합(주) 광섬유 led 발광모듈을 가지는 도로경계석
KR200491220Y1 (ko) * 2019-01-03 2020-03-05 한기찬 조명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0700A (ko) * 2011-03-30 2012-10-10 에프씨산업 주식회사 태양광을 이용한 엘이디 가로등 시스템
KR101233647B1 (ko) 2012-09-25 2013-02-15 정길수 관수장치를 구비한 식생옹벽구조
KR20140055062A (ko) * 2012-10-30 2014-05-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태양전지 조명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385726B1 (ko) * 2013-11-07 2014-04-15 안신철 옹벽 일체형 조명블록
KR101906932B1 (ko) * 2018-04-04 2018-10-11 효성종합(주) 광섬유 led 발광모듈을 가지는 도로경계석
KR200491220Y1 (ko) * 2019-01-03 2020-03-05 한기찬 조명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54092B1 (en) Solar stepping stone
JP2007077706A (ja) 潅水機構付き移動垣根
CN101677512A (zh) 用于街道的花盆
KR100982194B1 (ko) 태양전지와 led 램프가 구비된 지주용 캡
KR102513663B1 (ko) 조명이 구비된 식생옹벽
CN210537601U (zh) 一种园林绿植修剪设备
JP2005235513A (ja) 照明装置
KR100938977B1 (ko) 도로 표지 장치
KR101385726B1 (ko) 옹벽 일체형 조명블록
KR100922627B1 (ko) 도로소음 방지용 v자형 조경방음벽
KR100990245B1 (ko) 식물 생육 구조체
KR101268645B1 (ko) 데코레이션 기능을 갖는 화분
KR101768701B1 (ko) 조명 설치가 용이한 옹벽블록 구조물
CN211646096U (zh) 一种园林绿化工程施工用警示装置
CN201081135Y (zh) 太阳能闪灯护栏
KR200449498Y1 (ko) 조명 보도블럭
CN212108151U (zh) 一种市政园林夜间照明用园林灯
CN112344272A (zh) 一种可调节照射角度的新型路灯
CN109539087A (zh) 一种防雾防水路灯
CN109539118B (zh) 社区边缘led照明设备
CN213150171U (zh) 一种园林引路用指路牌
KR102457716B1 (ko) 상용전원과 태양전지에 의한 충전용 배터리전원의 사용이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채널간판
CN113217869B (zh) 一种建筑室内绿色照明一体化系统
CN211048259U (zh) 一种市政微光蓄能路灯
CN218411353U (zh) 水位监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