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562B1 -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562B1
KR102513562B1 KR1020160048339A KR20160048339A KR102513562B1 KR 102513562 B1 KR102513562 B1 KR 102513562B1 KR 1020160048339 A KR1020160048339 A KR 1020160048339A KR 20160048339 A KR20160048339 A KR 20160048339A KR 102513562 B1 KR102513562 B1 KR 102513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ransmission method
frame
data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968A (ko
Inventor
이종민
장현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8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562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1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for merging a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e.g. in a VOD application, when a client served by unicast channel catches up a multicast channel to save bandwid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0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transcoding between formats or standards, e.g. from MPEG-2 to MPEG-4 or from Quicktime to Real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컨텐츠 제공 장치가 단말장치에 전송할 컨텐츠 데이터를 프레임 타입을 기반으로 B 프레임 및 P 프레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제1 프레임 그룹을 분류하고, I 프레임 데이터를 제2 프레임 그룹으로 분류하여, 제1 프레임 그룹의 데이터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하고, 제2 프레임 그룹의 데이터는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함으로써, 컨텐츠 전송에 있어서 네트워크 전송 효율을 증가 시키고 사용자의 QoE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ents}
본 발명은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기반으로 컨텐츠 제공 시, 프레임 타입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를 유니캐스트(Unicast) 및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을 혼용하여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 전송 효율을 증대 시키고, 사용자의 QoE(Quality of Experience)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 방식 중 하나로, 음성 및 영상의 컨텐츠를 재생 또는 소비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서비스의 형태에 따라 대화형 서비스, 인터랙티브 서비스, 스트리밍 서비스로 나눌 수 있고, 이 중 스트리밍 서비스는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부 다운로드 하지 않고, 현재 재생하려고 하는 일부 데이터만 수신되면 즉시 실시간으로 재생이 가능하다.
이러한 스트리밍 서비스로 인하여, 생중계, 생방송과 같은 라이브 방송의 실시간성을 더욱 보장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이 점점 증가하게 됨에 따라, 스트리밍 서비스의 트래픽이 큰 폭으로 증가되고 있는데, 이를 수용하는 네트워크 자원의 한계로 인하여 다양한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스트리밍 서비스는 스트리밍 컨텐츠를 유니캐스트 방식을 이용하여 각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는 네트워크 자원은 한정적이며, 이러한 네트워크 자원의 한계로 인하여 다수의 사용자를 수용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따라서 제한된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보다 많은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해 최대 전송 효율 제공이 가능한 전송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97439호 (명칭: 유니캐스트 통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2014.08.06.)
본 발명은 상술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스트리밍 컨텐츠를 제공하는 중에, 사용자의 접속이 많아져서, 유니캐스트 전송을 위한 세션이 일정 수 이상으로 증가하면, 동일 방송 채널을 수신하는 사용자들에게, 해당 컨텐츠의 I 프레임을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하고, B 프레임 및 P 프레임을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하는 멀티캐스트/유니캐스트 하이브리드 전송 기법을 통해 네트워크 전송 효율을 증가시키고, 사용자의 QoE를 향상시킬 수 있는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방법은 단말장치에 스트리밍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의 컨텐츠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할 컨텐츠 데이터를 프레임 타입에 따라서 둘 이상의 프레임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된 둘 이상의 프레임 그룹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그룹에 속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제1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나머지 프레임 그룹에 속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제2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최소 디코딩 단위인 적어도 하나의 MFU(Media Fragment Unit)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MFU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MPU(Media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MMT(MPEG Media Transport) 패킷일 수 있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그룹에 속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제1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에 따라 나머지 프레임 그룹에 속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제2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컨텐츠 데이터를 구성하는 프레임 타입을 기반으로 B 프레임 및 P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타입을 가지는 데이터를 제1 프레임 그룹으로 분류하고, I 프레임 타입을 가지는 데이터를 제2 프레임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고, 상기 제1 전송 방식은 유니캐스트(Unicast) 전송 방식이고, 상기 제2 전송 방식은 멀티캐스트(Multicast) 전송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류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제1 전송 방식으로 전송한 컨텐츠 데이터와 상기 제2 전송 방식으로 전송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단말장치에서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재생하기 위한 컨텐츠 데이터의 시퀀스 넘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각 컨텐츠 데이터가 속한 화면 그룹(GOP) 순서 및 상기 화면 그룹 내에서의 컨텐츠 데이터 배열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시퀀스 넘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 타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설정된 시퀀스 넘버와 매핑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류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장치에 제1 전송 방식을 기반으로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송 방식으로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제1 세션이 일정 수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 상기 단말장치에 제2 전송 방식으로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제2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가 위치한 지역의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세션을 생성하기 위한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세션이 일정 수 이상 증가한 경우, 상기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세션이 일정 수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제2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제1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방법은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스트리밍 컨텐츠를 제공 받는 단말장치에서의 컨텐츠 전송 방법에 있어서, 프레임 타입을 기반으로 둘 이상의 프레임 그룹으로 분류된 컨텐츠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그룹에 속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제1 전송 방식으로 수신하고, 나머지 프레임 그룹에 속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제2 전송 방식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시퀀스 넘버를 기준으로 상기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컨텐츠 전송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 제공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는 단말장치에 스트리밍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할 컨텐츠 데이터를 프레임 타입에 따라서 둘 이상의 프레임 그룹으로 분류하여, 상기 분류된 둘 이상의 프레임 그룹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그룹에 속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제1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나머지 프레임 그룹에 속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제2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그룹에 속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제1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제1 전송 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나머지 프레임 그룹에 속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제2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제2 전송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 장치가 단말장치에 전송할 컨텐츠 데이터를 프레임 타입을 기반으로 B 프레임 및 P 프레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제1 프레임 그룹을 분류하고, I 프레임 데이터를 제2 프레임 그룹으로 분류하여, 제1 프레임 그룹의 데이터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하고, 제2 프레임 그룹의 데이터는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함으로써, 컨텐츠 전송에 있어서 네트워크 전송 효율을 증가 시키고 사용자의 QoE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효과 이외의 다양한 효과들이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MT 패킷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용어들 이외에,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본 발명에 따른 패킷 전송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적인 배경은 MMT(MPEG Media Transport) 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되는 컨텐츠 데이터는 MMT 패킷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MMT 패킷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편의상 예시일 뿐, 본 발명이 반드시 MMT 기술에만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면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은, 단말장치(200) 및 컨텐츠 제공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말장치(200)와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통신망(미도시)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컨텐츠를 전송하는 전송 방식에 따라 유니캐스트 정송 방식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1 컨텐츠 제공 장치와 멀티캐스트 전송 방식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2 컨텐츠 제공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더 추가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이 때, 제2 컨텐츠 제공 장치는 BMSC(Broadcast Multicast Service Center)일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장치(300)는 프레임 타입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를 분류하여, 제1, 2 컨텐츠 제공 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장치일 수 있고, 컨텐츠 제공 장치(300) 내에 유니캐스트 전송을 위한 전송 모듈이 포함되어 일부 컨텐츠 데이터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자체적으로 전송하고, 나머지 데이터는 제 2 컨텐츠 제공 장치, 즉, BMSC 를 통해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컨텐츠 제공장치(300) 내에 유니캐스트 전송 및 멀티캐스트 전송을 위한 2 이상의 전송 모듈이 포함되어 컨텐츠 제공장치(300) 자체적으로 일부 컨텐츠 데이터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나머지 데이터는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송 방법이 모두 하나의 컨텐츠 제공 장치(300)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가정하고 설명하며, 제1 컨텐츠 제공 장치와 제2 컨텐츠 제공 장치로 구분되어 구현됨으로써, 발생하는 차이점에 대해서만 부가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면 도1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있어서, 단말 장치(200)와 컨텐츠 제공 장치(300)를 연결하는 통신망(미도시)은 단말장치(200)와 컨텐츠 제공 서버(300)간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고,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 (Long Term Evolution Advanced)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은, 기지국(100) 등에 의해 구축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접속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100)은 무선통신 서비스를 위해 네트워크와 단말 장치(200)를 연결하는 무선 통신 설비이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등의 이동통신 액세스 네트워크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하는 기지국이 대표적이다. 이 외에도 Wi-Fi, WiMAX, WAN 과 같은 무선 통신에서 기지국이 사용된다.
이러한 기지국(100)은 안테나부, 무선신호처리부,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부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전자파를 공간으로 보내거나 받기 위한 장치로서, SISO(Single Input Single Output), SIMO(Single Input Multiple Output), MISO(Multiple Input Single Output),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신호 처리부는 외부 통신 장비(무선 단말기, 중계기 등)와 송수신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이다. 무선신호 처리부는 eNodeB의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부분으로서 서비스 영역, 즉 셀 내에 설치된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로 송수신하는 변환 장치와 RF 증폭기로 구성된다. 무선신호 처리부는 하나의 주파수 대역(Band)을 하나 이상의 오퍼레이터가 공유하도록 처리한다.
디지털신호 처리부는 eNodeB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부분으로서, 무선 신호를 암호화, 복호화하는 채널 카드로 구성되며, DU(Digital Unit; 디지털 신호 처리부) 집중 센터로 운영될 수 있다. 즉,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서비스 영역 별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무선신호 처리부와 달리 주로 통신국사에 집중화되어 설치되는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가상화된 기지국이다.
이와 같이, 단말 장치(200)가 기지국(100)을 통해서 컨텐츠 제공 장치(300)에 연결되는 경우, 본 발명은, 멀티캐스트 방식 및 유니캐스트 방식을 혼용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단말 장치(200)와 기지국(100) 간의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보다 많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단말 장치(200)와 컨텐츠 제공 장치(300) 사이를 연결하는 다양한 네트워크 자원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단말장치(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기지국(100)을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300)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단말장치(200)는 기지국(100)의 중계를 통해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송수신 및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단말장치(2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장치(2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고,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200)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2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 컨텐츠 전송 요청을 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는 패킷 단위로 수신할 수 있으며, 패킷은 MMT 패킷일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2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부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장치(200)는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부터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컨텐츠 데이터 전부를 제공 받을 수 있고, 컨텐츠 데이터의 일부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제공 받고, 나머지는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제공 받을 수도 있다.
유니캐스트 방식과 멀티캐스트 방식을 혼용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 받는 경우, 단말장치(200)는 시퀀스 넘버를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를 결합하여 재생하는데, 상기 시퀀스 넘버는 화면 그룹(GOP)의 순번을 나타내는 번호와 화면 그룹 내에서 해당 데이터의 순번을 나타내는 번호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단말장치(200)는 이러한 화면 그룹 순번과 화면 그룹 내에서 해당 데이터의 순번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결합하여 재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컨텐츠 제공 장치(30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등의 컨텐츠 데이터를 기지국(100)을 통해서 단말장치(200)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컨텐츠 데이터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프레임 타입을 기반으로 컨텐츠 데이터를 분류하여, 데이터의 일부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하고, 나머지 데이터를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하게 되는데, 상기 분류의 기준이 되는 프레임 타입에 대하여, 도2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2를 참조하면,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되는 컨텐츠 데이터는 소정의 압축 방식에 따라서 인코딩된 후 전송되며, 예를 들어, MPEG 규격에 따른 동영상인 경우, 컨텐츠 데이터는 압축 방식에 따라서 I, B, P 프레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우선, I 프레임(Intra Frame)은 일반적으로 GOP(화면 그룹; Group Of Pictures) 간격을 결정할 때 기준이 되는 키프레임으로서, 하나의 완전한 이미지를 구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어, 다른 프레임을 참조하여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하는 예측을 사용하지 않고, 독립적인 인코딩 및 디코딩이 가능하다.
원본 소스에 가장 근접하고 화질이 좋다는 장점이 있지만, 용량이 큰 단점이 있다. 데이터 스트림의 어느 위치에도 올 수 있으며, 데이터의 임의 접근(키프레임 탐색)을 위해 사용된다.
P 프레임(Prediction Frame)은 순방향 예측을 사용하는 프레임으로서, 해당 P 프레임 전에 위치한 I 프레임 또는 P 프레임을 참조하여 변화가 발생한 부분의 데이터만을 포함한다. 따라서 I 프레임 보다 용량이 작고 압축률은 높지만, 화질은 I 프레임 보다 떨어지며, 순방향 예측을 위해 참조하는 I 프레임 또는 P 프레임의 데이터가 손실되면, 해당 P 프레임이 함께 손실되는 단점이 있다.
B 프레임(Bi-Directionally Frame)은 양방향 예측을 사용하는 프레임으로서, 해당 B 프레임 이전의 I 프레임과 다음 P 프레임 또는 해당 B 프레임 이전의 P 프레임과 다음 P 프레임을 참조해서 변화가 발생한 부분의 데이터만을 포함한다. 따라서 프레임 중에 가장 용량이 작고 압축률이 높은 장점이 있지만, 화질은 가장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B 프레임을 많이 포함할수록 용량은 줄지만, 화질이 떨어지고, 디코딩에 더 많은 부담을 준다. 또한, B 프레임도 P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참조하는 I 프레임 또는 P 프레임의 데이터가 손실되면 해당 B 프레임 또한 손실된다.
한편, 상기의 I, B, P 프레임의 집합을 GOP(화면 그룹; Group Of Pictures)라고 한다. 즉, GOP는 여러 장의 이미지를 하나로 그룹화하여 압축하는 영상데이터 단위를 말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키프레임으로부터 다음 키프레임까지를 하나의 GOP로 그룹화 하는데, 보통 키프레임을 I 프레임으로 사용하므로, I 프레임과 I 프레임 사이의 프레임들을 하나의 GOP로 묶는다.
이러한 컨텐츠 데이터는 소정의 전송 규격에 따라서 패킷화되어 전송될 수 있는데, 그 대표적인 전송 규격으로 MMT를 들 수 있다.
MMT에서는 하나의 GOP가 하나의 MPU(Media Processing Unit)를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MPU는 하나 이상의 MFU(Media Fragment Unit)로 구성될 수 있다. 즉, GOP를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이 MMT에서 각각의 MFU로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MFU와 MPU는 패킷 단위로 묶여, 컨텐츠 제공 장치(300)에서 단말장치(200)로 전송되는데, 이하, 도3을 참조하여, MFU와 MPU를 포함하는 MMT 패킷 및 그 구조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3을 참조하면, MMT 패키지(10)는 MMT 기능 영역에서 정의하는 데이터 모델 중 논리적으로 구조화된 가장 큰 MMT 개체(entity)로서 영화 한편과 같은 하나의 독립적인 컨텐츠를 의미한다. 동영상 등의 스트리밍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이러한 MMT 패키지를 생성하여 단말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는데, MMT 패키지(10)는 여러 개체들의 모음으로 구성되는 논리적으로 구조화된 컬렉션이 될 수 있다. 이러한 MMT 패키지(10)는 하나 이상의 애셋(20), 프리젠테이션 정보(11), 트랜스포트 특성(13) 및 설명적인(descriptive) 정보, 예컨대, 패키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프리젠테이션 정보(Presentation Information, 11)은 복수의 애셋(20)들 사이의 관계(relationship), 즉 공간적 및 시간적 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하나의 컨텐츠(content)가 복수개의 MMT 패키지로 이루어질 경우 복수의 MMT 패키지간의 관계(relationship)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리젠테이션 정보(11)는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와 구성 정보(Composition Information) 도큐먼트들의 조합이 프리젠테이션 정보(11)의 예라 할 수 있다.
트랜스포트 특성(ADC; Asset Delivery Characteristics, 13)은 애셋(20)의 전달을 위한 QoS(Quality of Service) 요구 및 통계를 나타낸다. 복수의 애셋(20)은 하나의 트랜스포트 특성(13)에 관련될 수 있다. 이때의 트랜스포트 특성(전송 특성)(13)은 애셋(20)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 패키지를 캡슐화하는 개체에 의해 MMT 페이로드 및 MMT 프로토콜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트랜스포트 특성(13)은 MMT 애셋(20) 또는 MMT 패킷의 전달 조건(delivery condition)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전달 특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트래픽 기술 파라미터(traffic description parameter) 및 QoS 기술자(QoS descrip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달 특성 정보는 통신망 환경에 무관한 파라미터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애셋(20)은 타임드 또는 넌 타임드 성질을 가진 오디오, 비디오 또는 웹페이지 데이터와 같은 부호화된 미디어 데이터를 캡슐화하는 패키지의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장 큰 논리적 데이터 단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애셋(20)은 동일한 전달 특성으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개체를 의미한다. 예컨대, MMT 패키지(10)는 MMT 기능 영역에서 정의하는 데이터 모델 중 가장 큰 개체(entity)로서 영화 한편과 같은 하나의 독립적인 컨텐츠를 의미한다면, 애셋(20)은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스크립트 데이터와 같은 MMT 패키지(10)를 구성하는 데이터 단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애셋(20)은 동일한 애셋 ID를 공유하는 MPU들을 논리적으로 그룹화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MMT 패킷은 실질적으로는 MMT 패킷 헤더와 MMT 페이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이제 본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이에 따른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4은 단말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200)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4를 살펴보면 단말장치(200)는 통신모듈(210), 저장모듈(230) 및 제어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 요소만을 나타내었으며, 물론 단말장치(200)는 도시는 구성 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 예를 들어, 출력부, 입력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210)은 통신망(미도시)을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컨텐츠 요청에 따른 스트리밍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모듈(230)은 통신모듈(210)을 통해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모듈(250)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200)의 동작과정 전반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어모듈(250)이 제어하는 단말장치(200) 동작 과정 전반에 대하여 도5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5를 보면, 단말장치(200)는 스트리밍 컨텐츠 전송을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 요청하면(S101), 상기 컨텐츠를 제1 전송 방식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세션인 제1 세션을 통해 컨텐츠를 수신한다(S103).
이후, 제2 전송 방식으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세션이 수립되면(S105), 프레임 타입을 기반으로 둘 이상의 프레임 그룹으로 분류된 컨텐츠 데이터 중 제1 프레임 그룹에 속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제1 전송방식으로 수신하고(S107), 제2 프레임 그룹에 속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제2 전송방식으로 수신한다(S109).
단말장치(200)는 서로 다른 전송 방식에 의해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시퀀스 넘버를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재생하는데(S111), 상기 시퀀스 넘버는 해당 컨텐츠 데이터가 속한 화면 그룹의 순번과 상기 화면 그룹 내에서 해당 컨텐츠 데이터의 순번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상기 화면 그룹의 순번과 상기 화면 그룹 내에서의 해당 컨텐츠 데이터 순번을 참조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결합하고 재생한다.
상술한 방법으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단말장치(200)는 컨텐츠 재생이 종료되면 상기 과정을 종료하며(S113), 재생이 종료되지 않으면 S115 단계로 진행하여 제2 세션이 해제 되었는지를 확인 후(S115), 해제되었다면, S103 단계로 돌아가 제1 전송 방식으로 모든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세션이 해제되지 않았다면, S107단계로 돌아가 제1 프레임 그룹에 속하는 컨텐츠 데이터는 제1 전송 방식으로 수신하고, 제2 프레임 그룹에 속하는 컨텐츠 데이터는 제2 전송 방식으로 수신한다.
이때, 제1 전송 방식은 유니캐스트(Unicast) 방식이고, 제2 전송 방식은 멀티캐스트(Multicast)방식일 수 있고, 제1 프레임 그룹은 B 프레임 및 P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타입을 가지는 프레임 데이터가 속한 그룹이고, 제2 프레임 그룹은 I 프레임 타입을 가지는 데이터가 속한 그룹일 수 있다.
이를 대입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면, 단말장치(200)는 컨텐츠 제공 장치(300)에 스트리밍 컨텐츠 전송을 요청하고,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요청한 컨텐츠를 수신한다.
이후, 멀티캐스트 세션이 수립되면, B 프레임 및 P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타입을 가지는 데이터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수신하고, I 프레임 타입을 가지는 데이터는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수신하여, 각 데이터가 속한 화면 그룹의 순번 및 화면 그룹 내에서의 각 데이터의 순번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결합한 후 재생한다.
그리고 이후, 컨텐츠 재생이 완료되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컨텐츠 재생이 중단되면, 즉, 컨텐츠 재생이 종료되면, 상기 과정을 종료하고, 컨텐츠 재생이 종료되지 않으면, 지속하여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데, 데이터 수신 중, 멀티캐스트 세션이 해제되면, 도5의 S103 단계로 돌아가 모든 데이터를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수신하고, 멀티캐스트 세션이 해제되지 않으면, 도5의 S107 단계로 돌아가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다만, 상술한 예시는 하나의 실시 예에 지나지 아니하며, 제1 프레임 그룹 및 제2 프레임 그룹에 속하는 데이터의 프레임 타입은 달라질 수 있으며, 제1 전송방식과 제2 전송방식 또한 달리질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 그룹에 B 프레임 타입을 가지는 데이터가 속하고, 제2 프레임 그룹에 P 프레임 및 I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타입을 가지는 데이터가 속할 수도 있고, 제1 프레임 그룹에 P 프레임만 속하고, 제 2프레임 그룹에 B, I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타입을 가지는 데이터가 속할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I, B, P 프레임을 다양한 방식의 그룹으로 묶을 수 있다.
여기서는, MPEG 표준에 따른 압축 방식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다른 압축 방식이 적용된 경우, 압축 방식에 따른 프레임 타입에 대한 표현이 달라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전송방식이 멀티캐스트 방식일 수 있고, 제2 전송방식이 유니캐스트 방식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 상황 등 여러 전송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제1 전송 방식 또는 제2 전송 방식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이 될 수 있다. 즉, I, B, P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타입을 가지는 데이터가 유니캐스트나 멀티캐스트 이외의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전송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송 시스템 중 단말장치(200)의 구성 및 동작과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300)의 구성 및 동작과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6은 컨텐츠 제공 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7은 컨텐츠 제공 장치(3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8은 컨텐츠 제공 장치(300)가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할 때, 컨텐츠 데이터에 부여되는 시퀀스 넘버 및 전송 방식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하나의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 구현될 수 있으나, 전송 방식을 기준으로 그 역할을 나눠 2개의 컨텐츠 제공 장치, 즉, 제1 컨텐츠 제공 장치(400) 및 제2 컨텐츠 제공 장치(500)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2 컨텐츠 제공 장치(400, 500)로 구현되는 경우에도 제1, 2 컨텐츠 제공 장치(400, 500)가 포함하는 주요 구성은 컨텐츠 제공 장치(300)와 대부분이 동일하며, 제1, 2 컨텐츠 제공 장치(400, 500)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적인 통신모듈(미도시)이 더 들어갈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컨텐츠 제공 장치(300)에 의해 본 발명이 구현됨을 가정하고 설명하며, 제1, 2 컨테츠 제공 장치(400, 500)로 구현됨에 의해 달라지는 점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부가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6을 살펴보면,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제1 전송모듈(311), 제2 전송모듈(313), 저장모듈(330) 및 제어모듈(3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6의 주요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컨텐츠 제공 장치(300) 이외에도 제1, 2 컨텐츠 제공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추가되어 구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저장모듈(330) 및 제어모듈(350)의 주요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제1 전송모듈(311)의 기능을 제1 컨텐츠 제공 장치가 수행하게 되며, 제2 전송모듈(313)의 기능을 제2 컨텐츠 제공 장치가 수행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300)가 제1 컨텐츠 제공 장치와 제2 컨텐츠 제공 장치가 각각 제1, 2 전송 모듈(311, 313)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1, 2 컨텐츠 제공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제공 장치(300)가 제1, 2 전송 모듈(311, 313) 중 어느 하나의 모듈만을 포함하고, 나머지 모듈의 기능은 제1, 2 컨텐츠 제공 장치 중 어느 하나로 분리하여, 분리된 컨텐츠 제공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의 구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컨텐츠 제공 장치(300)가 제1 전송 모듈(311)만을 포함하여, 컨텐츠 데이터 중 일부를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하고, 나머지 컨텐츠 데이터를 제2 컨텐츠 전송 장치를 통해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제 본격적으로 컨텐츠 제공 장치(300)의 주요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제1, 2 전송 모듈(311, 313)은 통신망(미도시)을 통해 단말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레임 타입을 기반으로 분류한 컨텐츠 데이터를 유니캐스트 방식, 멀티캐스트 방식 또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단말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제공 장치(300)가 제1 컨텐츠 제공 장치(400)와 제2 컨텐츠 제공 장치(500)로 분리되어 구현되는 경우, 제1 컨텐츠 제공 장치(400)와 제2 컨텐츠 제공 장치(500)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추가적인 통신모듈(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모듈(330)은 통신모듈(310)을 통해 단말장치(200)에 전송할 다양한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모듈(350)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300)의 동작과정 전반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이하, 도7을 통해 제어모듈(350)에 의해 제어되는 컨텐츠 제공 장치(300)의 동작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7을 참조하면, 단말장치(200)로부터 컨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S201), 단말장치(200)에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재생하기 위한 각 컨텐츠 데이터 별 시퀀스 넘버를 설정하고(S203), 제1 전송방식으로 컨텐츠를 단말장치(200)에 제공한다(S205).
이때, 각 컨텐츠 데이터 별 시퀀스 넘버는 각 컨텐츠 데이터가 속한 화면 그룹 순서 및 화면 그룹 내에서의 컨텐츠 데이터 배열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300)가 MMT 기술을 기반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시퀀스 넘버는 MFU 헤더에 포함될 수 있다.
이후, 다수 사용자의 접속으로 인하여, 제1 전송 방식으로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제1 세션이 일정 수 이상으로 증가하면(S207),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전송하는 경우, 그 후,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단말장치(200)와 컨텐츠 제공 장치(300) 간에 제2 전송 방식으로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제2 세션을 생성한다(S209).
이때, 제2 세션은 단말장치(200)가 위치한 지역의 기지국(100)으로부터 상기 제2 세션을 생성하기 위한 채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세션을 생성하기 위한 채널 정보는 기지국(100)으로부터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제공 장치(300)의 기능이 제1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제2 컨텐츠 제공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분리되어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100)으로부터 채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채널 정보와 함께 제1, 2 컨텐츠 제공 장치의 주소 정보 등 제1, 2 컨텐츠 제공 장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S207단계에서 상기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제1, 2 컨텐츠 제공 장치에 제1 전송 방식 또는 제2 전송방식으로 프레임 타입을 기반으로 분류된 컨텐츠 데이터 중 일부를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고, 제2 전송 방식으로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측(이하, 제2컨텐츠 제공장치)에서 상기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자신과 단말장치(200) 간에 제2 세션을 생성할 수 있다.
S209 단계에서 제2 세션을 생성한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컨텐츠 데이터를 프레임 타입을 기반으로 둘 이상의 프레임 그룹으로 분류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그룹에 속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제1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고(S211), 나머지 프레임 그룹에 속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제2 전송 방식으로 전송한다(S213).
한편, 제1, 2 전송 모듈(311, 313)의 기능이 제1, 2컨텐츠 제공 장치로 구분되어 구현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제1, 2 컨텐츠 제공 장치가 각각의 장치가 담당하는 전송방식으로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이때, 각 컨텐츠 제공장치가 전송할 컨텐츠 데이터 각각에 설정된 시퀀스 넘버를 매핑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2 컨텐츠 제공 장치에 각 컨텐츠 제공장치가 전송할 컨텐츠 데이터의 시퀀스 넘버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재생 종료 요청이 있거나, 컨텐츠 재생이 완료되어, 컨텐츠 재생이 종료되면(S215), 상기 동작과정을 종료하고, 컨텐츠 재생이 종료되지 않으면, 제1 세션이 일정 수 미만인지를 확인하여, 일정 수 미만이면, 제2 세션을 해제한 후, S203 단계로 돌아가 이후 단계를 반복하고, 여전히 일정 수 이상인 경우, S211 단계로 돌아가 이후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한편, 제1, 2전송 모듈(311, 313)의 기능이 제1, 2 컨텐츠 제공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되는 경우, 제1 세션이 일정 수 미만이 되면, 컨텐츠 제공 장치(300)가 제2 컨텐츠 제공 장치로 제2 세션 해제 요청을 하고, 이에 따라 제2 컨텐츠 제공 장치가 제2 세션을 해제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컨텐츠 제공 장치(300)의 동작과정에 있어서, 제1 전송 방식은 유니캐스트 방식이고, 제2 전송 방식은 멀티캐스트 방식일 수 있으며, 프레임 타입을 기반으로 둘 이상의 프레임 그룹으로 분류하는 경우, B 프레임 및 P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타입을 가지는 데이터를 제1 프레임 그룹으로 분류하고, I 프레임 타입을 가지는 데이터를 제2 프레임 그룹으로 분류하여 제1 프레임 그룹을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하고, 제2 프레임 그룹을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대입하여 상술한 컨텐츠 제공 장치(300)의 동작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단말장치(200)로부터 컨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한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컨텐츠 데이터 별 시퀀스 넘버를 설정하여,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컨텐츠 데이터를 단말장치(200)에 제공한다.
이후, 사용자의 접속 증가로 컨텐츠 요청이 증가하여 유니캐스트 세션이 일정 수 이상으로 증가하면, 단말장치(200)와 컨텐츠 제공 장치(300) 간의 멀티캐스트 세션을 생성하는데, 멀티캐스트 세션을 생성하기 위한 채널 정보는 단말장치(200)가 위치한 지역의 기지국(100)으로부터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도7의 S209 단계 이후,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B 프레임 및 P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타입을 가지는 데이터를 제1 프레임 그룹으로 분류하고, I 프레임 타입을 가지는 데이터를 제2 프레임 그룹으로 분류하여, 제1 프레임 그룹을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하고, 제2 프레임 그룹을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한다.
이후, 사용자의 컨텐츠 재생 종료 요청이 있거나, 컨텐츠 재생이 완료되어, 컨텐츠 재생이 종료되면, 상기 과정을 종료하고, 컨텐츠 재생이 종료되지 않으면, 유니캐스트 세션이 일정 수 미만인지를 확인하여, 미만인 경우, 도7의 S205 단계로 돌아가 상기 과정을 반복하고, 여전히 일정 수 이상인 경우, 도7의 S211 단계로 돌아가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다만, 상술한 예시는 하나의 실시 예에 지나지 아니하며, 제1 프레임 그룹 및 제2 프레임 그룹에 속하는 데이터의 프레임 타입은 달라질 수 있으며, 제1 전송방식과 제2 전송방식 또한 달리질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제1 프레임 그룹에 B 프레임 타입을 가지는 데이터가 속하고, 제2 프레임 그룹에 P 프레임 및 I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타입을 가지는 데이터가 속할 수도 있고, 제1 프레임 그룹에 P 프레임만 속하고, 제 2프레임 그룹에 B, I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타입을 가지는 데이터가 속할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I, B, P 프레임을 다양한 방식의 그룹으로 묶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전송방식이 멀티캐스트 방식일 수 있고, 제2 전송방식이 유니캐스트 방식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 상황 등 여러 전송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제1 전송 방식 또는 제2 전송 방식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이 될 수 있다. 즉, I, B, P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타입을 가지는 데이터가 유니캐스트나 멀티캐스트 이외의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전송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S203 단계에서 시퀀스 넘버를 설정하는 경우, 각 컨텐츠 데이터가 속한 화면 그룹(GOP) 순서 및 화면 그룹 내에서의 컨텐츠 데이터 배열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시퀀스 넘버를 설정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해 살펴보면, 시퀀스 넘버는 '#a-b'의 형태로 두 가지 일련번호를 사용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a 자리의 일련번호는 해당 프레임이 속하는 프레임 그룹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화면 그룹(GOP)을 기준으로 한 일련번호이며, b 자리의 일련번호는 화면 그룹 내에서의 컨텐츠 데이터 배열 순서를 기준으로 한 일련번호일 수 있다.
즉, 도8에서는 30개의 프레임 데이터가 하나의 화면 그룹을 구성하는데, 이때, 시퀀스 넘버가 '#1-1'이라면, 해당 데이터는 1번 화면 그룹의 첫번째 데이터를 의미하며, 시퀀스 넘버가 '#3-29' 라면, 해당 데이터는 3번 화면 그룹의 29번째 데이터임을 의미한다.
한편, 도8을 보면, 시퀀스 넘버가 '#x-1' 인 데이터는 멀티캐스트 채널을 통해 전송되고, '#x-2' 부터 '#x-30'까지의 데이터는 유니캐스트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화면 그룹의 첫번째 데이터가 I 프레임 데이터이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I 프레임 데이터는 멀티캐스트 채널로 전송되고, B, P 프레임 데이터는 유니캐스트 채널로 전송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도8에서 시퀀스 넘버가 '#x-1'인 데이터는 멀티캐스트 채널로 전송되고, '#x-2'부터 '#x-30'까지는 유니캐스트 채널로 전송되는 것이다.
그리고 단말장치(200)는 유니캐스트 채널 및 멀티캐스트 채널을 통해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시퀀스 넘버를 기준으로 '#1-1'부터 '#1-30'까지 순차적으로 재생한 이후, '#2-1'부터 시퀀스 넘버 순으로 순차적으로 재생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기반으로 컨텐츠 제공 시, 프레임 타입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를 유니캐스트(Unicast) 혹은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으로 구분하여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 전송 효율을 증대 시키고, 사용자의 QoE(Quality of Experience)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 장치가 단말장치에 전송할 컨텐츠 데이터를 프레임 타입을 기반으로 B 프레임 및 P 프레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제1 프레임 그룹을 분류하고, I 프레임 데이터를 제2 프레임 그룹으로 분류하여, 제1 프레임 그룹의 데이터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하고, 제2 프레임 그룹의 데이터는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함으로써, 컨텐츠 전송에 있어서 네트워크 전송 효율을 증가 시키고 사용자의 QoE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컨텐츠 전송 방법을 통해 스트리밍 서비스 산업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고, 더불어,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기지국 200: 단말장치 300: 컨텐츠 제공 장치
400: 제1 컨텐츠 제공 장치 500: 제2 컨텐츠 제공 장치
210: 단말장치의 통신모듈 230: 단말장치의 저장모듈
250: 단말장치의 제어모듈 310: 컨텐츠 제공 장치의 통신모듈
330: 컨텐츠 제공 장치의 저장모듈
350: 컨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모듈

Claims (17)

  1. 단말장치에 스트리밍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의 컨텐츠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컨텐츠를 제공하는 세션의 수가 일정 수 미만이면,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할 컨텐츠 데이터를 유니캐스트 방식에 대응하는 제1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세션의 수가 일정 수 이상이면,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할 컨텐츠 데이터를 프레임 타입에 따라서 둘 이상의 프레임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둘 이상의 프레임 그룹 중에서 B(Bi-Directionally) 프레임 및 P(Prediction)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 그룹을 제1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나머지 I(Intra)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 프레임 그룹을 멀티캐스트 방식에 대응하는 제2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제1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상기 제1 전송 방식을 기반으로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세션이 일정 수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 상기 단말장치에 상기 제2 전송 방식으로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제2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세션이 일정 수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제2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제1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최소 디코딩 단위인 적어도 하나의 MFU(Media Fragment Unit)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MFU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MPU(Media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MMT(MPEG Media Transport) 패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제1 전송 모듈이 상기 제1 프레임 그룹을 상기 제1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의 제2 전송 모듈이 상기 제2 프레임 그룹을 상기 제2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제1 전송 방식으로 전송한 컨텐츠 데이터와 상기 제2 전송 방식으로 전송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단말장치에서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재생하기 위한 컨텐츠 데이터의 시퀀스 넘버를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각 컨텐츠 데이터가 속한 화면 그룹(GOP) 순서 및 상기 화면 그룹 내에서의 컨텐츠 데이터 배열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시퀀스 넘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 타입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설정된 시퀀스 넘버와 매핑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가 위치한 지역의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세션을 생성하기 위한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세션이 일정 수 이상 증가한 경우, 상기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1-4항, 내지 제7-9, 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5. 제1-4항, 내지 제7-9, 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6. 단말장치에 스트리밍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스트리밍 컨텐츠를 제공하는 세션의 수가 일정 수 미만이면,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할 컨텐츠 데이터를 유니캐스트에 방식에 대응하는 제1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세션의 수가 일정 수 이상이면,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할 컨텐츠 데이터를 프레임 타입에 따라서 둘 이상의 프레임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둘 이상의 프레임 그룹 중에서 B(Bi-Directionally) 프레임 및 P(Prediction)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 그룹을 상기 제1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나머지 I(Intra)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 프레임 그룹을 멀티캐스트 방식에 대응하는 제2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컨텐츠 데이터 전송과 관련하여, 제1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상기 제1 전송 방식을 기반으로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면서, 상기 제1 세션이 일정 수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 상기 단말장치에 상기 제2 전송 방식으로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제2 세션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세션이 일정 수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제2 세션을 해제하고,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제1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제1 프레임 그룹을 상기 제1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제1 전송 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나머지 제2 프레임 그룹을 상기 제2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제2 전송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KR1020160048339A 2016-04-20 2016-04-20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513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339A KR102513562B1 (ko) 2016-04-20 2016-04-20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339A KR102513562B1 (ko) 2016-04-20 2016-04-20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968A KR20170119968A (ko) 2017-10-30
KR102513562B1 true KR102513562B1 (ko) 2023-03-22

Family

ID=60301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339A KR102513562B1 (ko) 2016-04-20 2016-04-20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5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6079A (ja) * 2004-03-26 2005-10-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配信サーバおよびデータ配信システム
US20100138478A1 (en) * 2007-05-08 2010-06-03 Zhiping Meng Method of using information set in video resour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52124B (zh) 2011-12-07 2017-06-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单播通信方法、装置及系统
HUE063722T2 (hu) * 2012-04-25 2024-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járás adatok átvitelére multimédia átviteli rendszerb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6079A (ja) * 2004-03-26 2005-10-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配信サーバおよびデータ配信システム
US20100138478A1 (en) * 2007-05-08 2010-06-03 Zhiping Meng Method of using information set in video resou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968A (ko) 2017-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22075A1 (en) Method, terminal, and server for implementing fast playout
CN108063769B (zh) 一种内容服务的实现方法、装置及内容分发网络节点
US20070286121A1 (en) Systems and techniques for selective point-to-multipoint retransmission of multicast frames in a wireless network
US9787999B2 (en) Method for decreasing the bit rate needed to transmit videos over a network by dropping video frames
US9356985B2 (en) Streaming video to cellular phones
CN102474517A (zh) 转换移动装置媒体内容的方法
US201401890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video transmission
CN110113306B (zh) 分发数据的方法和网络设备
KR101766696B1 (ko) 적응 스트리밍에서의 레프리젠테이션 연계
US11743535B2 (en) Video fragment file processing
US105605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oud streaming service
CN110557230A (zh) 一种用于单向广播和双向网络的数据传输方法及系统
EP2453652B1 (en) Transmission method, receiving method and device for scalable video coding files
CN112243158B (zh) 媒体文件处理方法、装置、计算机可读介质及电子设备
JP7029218B2 (ja) 再生データ取得方法、装置、機器及び記憶媒体
WO20171834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gnaling of an identifier of a data channel
CN102412921A (zh) 多媒体广播业务的实现方法以及数据卡
WO2012041039A1 (zh) 数字电视终端访问互联网视频的方法及相关设备和系统
KR102513562B1 (ko)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4333765A (zh) 一种视频直播流的处理方法及处理装置
RU2671940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и способ приема данных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CN111200562B (zh) 导流方法、静态父节点、边缘节点以及cdn网络
KR20160033027A (ko) 멀티미디어의 전송 또는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US20230222725A1 (en) Random access of scene description in iso base media file format (isobmff) files
KR102209782B1 (ko)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