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468B1 -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비접촉식 장문인식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비접촉식 장문인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468B1
KR102513468B1 KR1020210172096A KR20210172096A KR102513468B1 KR 102513468 B1 KR102513468 B1 KR 102513468B1 KR 1020210172096 A KR1020210172096 A KR 1020210172096A KR 20210172096 A KR20210172096 A KR 20210172096A KR 102513468 B1 KR102513468 B1 KR 102513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m
palm print
recognition
mobile device
referenc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이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훈 filed Critical 이상훈
Priority to KR1020210172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6Image preprocessing
    • G06V30/1613Interactive preprocessing or shape modelling, e.g. assignment of feature points by a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비접촉식 장문인식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장문을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비접촉식 장문인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비접촉식 장문인식방법에 의하면, 손바닥의 융선이 형성된 영역을 전체적으로 촬영하고, 손가락과 손바닥의 연결부분에 발생하는 음영이 짙은부분을 기준점들로 선정하고 이 기준점들로부터 일정영역을 유효영역으로 선정하여 인식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고, 촬영된 손바닥의 영역중에서 유효영역을 선정하고 다수개의 블록으로 나누어, 블록별로 특징점들을 추출하여 다시 결합하기 때문에 빠르게 장문을 인식할 수 있으며, 기준점을 중심으로 유효영역을 손쉽게 확정할 수 있고, 촬영할 때 마다 손바닥의 방향이 달라지더라도 기준점으로부터 형성되는 유효영역은 동일하기 때문에 인식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비접촉식 장문인식방법{NON CONTACTTYPE PALM PRINT RECOGNITION METHOD USING MOBILE DEVICE INSTALLED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비접촉식 장문인식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장문을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비접촉식 장문인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체인식(Biometrics)이란 인간의 신체특성 또는 행동적 특징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파악하는 본인 인증기술을 말하며, 국내의 생체인식포럼에서는 '행동적, 생물학적(해부학적, 생리학적) 특징의 관찰에 기반을 둔 본인인증기술로 정의하고 있다.
상기 생체인식기술에 사용되는 인간의 신체적 특징에 관한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은 지문인식(Fingerprint), 홍채인식(Iris-scan), 망막인식(Retina-scan), 손모양(Hand geo-metry), 안면인식(Facial recognition)의 방법이 있고, 행동적 특징에 관한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으로는 음성인식(Voice recognition), 서명(Signaturescan), 걸음걸이인식 등의 방법이 있다.
또한, 지문인식방법과 비슷한 방법으로 손바닥에 형성되는 융선의 패턴을 이용하는 장문인식방법이 있다.
종래의 장문인식방법은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61374호(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 및 제2021-0073741호(이하, '종래기술2'라 함)에 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1은 '장문 및 정맥 패턴 인식을 이용한 보안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접촉식으로 접촉면에 손바닥을 대면, 화상데이터를 입력받아서 장문의 패턴을 인식하는 기술이고,
종래기술2는 '손바닥융선을 이용한 운전자 생체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어스틱의 내부에 카메라와 조명이 설치되어 운전자가 손으로 기어스틱을 잡을 때 장문을 인식하여 생체인증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상기 종래기술1,2는 접촉식으로 장문을 인식하는 기술이고, 비접촉식으로 장문을 인식하는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94933호(이하, '종래기술3' 이라 함) 및 등록특허공보 제2166333호(이하, '종래기술4'라 함)에 개시된 바있다.
종래기술3은 '비-접촉식 장문 인증 방법, 장치 및 이동 단말'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와 조명이 내장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비접촉식으로 장문을 인식하도록 하되, 파라미터세트를 획득하고, 콘트라스트를 조절하여 장문이미지를 출력하고, 벤치마크 장문이미지와 매칭하도록 형성되는 기술이며,
종래기술4는 '장문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손모양의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정해진 영역에서의 칼라정보 및 영상 신호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가이드 정보에 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입력된 영상을 캡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손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가이드 정보에서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과정; 상기 관심영역 내의 평균 픽셀값이 미리 설정된 1차 바운더리에 포함되는 가를 판별하는 과정, 상기 설정된 관심영역 내의 모든 픽셀들 중 미리 결정된 2차 바운더리에 포함되는 픽셀비율을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픽셀비율에 기반하여 입력영상 내에 손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종래의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비접촉식 장문인식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손바닥의 융선이 형성된 영역(장문)은 지문의 50배 이상 넓기 때문에 인식을 위한 영역을 선정하기 어렵고, 인식을 위한 데이터 처리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2) 손바닥 전체를 촬영하여 장문을 인식하기 때문에 손바닥의 회전이나 위치를 감지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3) 장문인식을 위한 매칭영역이 촬영할 때 마다 다르게 설정되기 때문에 장문의 인식률이 떨어진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로 피사체인 손바닥을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장문인식을 위한 UI화면이 형성되는 장문인식프로그램이 형성되되,
상기 UI화면에 사용자의 손바닥이 나타나도록 하고, 손날과 엄지방향을 인식하여 오른손 또는 왼손을 인식하는 손방향인식단계와;
상기 손방향인식단계 후에 손바닥 전체를 촬영하여 전체장문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단계와;
상기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전체장문이미지를 손날과 엄지방향으로 손바닥의 자세를 선정하고, 콘트라스트와 색상을 보정하여 보정장문이미지를 획득하는 보정단계와;
상기 보정장문이미지에서 손가락과 손바닥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음영이 짙은부분을 기준점들로 선정하는 기준점추적단계와;
상기 기준점추적단계에서 정해진 기준점들을 연결하여 기준선을 형성하고, 상기 기준선에서부터 손바닥방향으로 손바닥에서 손목까지 길이의 10~50%까지 인식영역을 선정하고, 인식영역에서 장문유효이미지를 획득하는 인식영역설정단계와;
상기 인식영역에서 인식된 장문유효이미지를 적어도 2개의 블록으로 설정하고 블록별로 빠르게 융선들의 특징점들을 추출하여 최적의 인식장문데이터로 변환하는 인식장문데이터생성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비접촉식 장문인식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손바닥의 융선이 형성된 영역을 전체적으로 촬영하고, 손가락과 손바닥의 연결부분에 발생하는 음영이 짙은부분을 기준점들로 선정하고 이 기준점들로부터 일정영역을 유효영역으로 선정하여 인식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2) 촬영된 손바닥의 영역중에서 유효영역을 선정하고 다수개의 블록으로 나누어, 블록별로 특징점들을 추출하여 다시 결합하기 때문에 빠르게 장문을 인식할 수 있다.
(3) 기준점을 중심으로 유효영역을 손쉽게 확정할 수 있고, 촬영할 때 마다 손바닥의 방향이 달라지더라도 기준점으로부터 형성되는 유효영역은 동일하기 때문에 인식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장문인식 영역별 인식영역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비접촉식 장문인식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비접촉식 장문인식방법에서 기준점들 및 유효영역의 선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비접촉식 장문인식방법의 유효영역을 블록별로 인식하기 위한 블록별 융선의 사진을 나타낸 개념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그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을 다소 과장되거나 단순화시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는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고,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서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 및 부호들은 사용자, 운용자 및 작성자에 의해서 임의로 정의되거나, 선택적으로 사용된 용어이기 때문에,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의 전체적인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용어자체의 의미로 한정하여서는 안된다.
본 발명은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로 피사체인 손바닥(100)을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장문인식을 위한 UI화면이 형성되는 장문인식프로그램이 형성되되,
상기 UI화면에 사용자의 손바닥(100)이 나타나도록 하고, 손날과 엄지방향을 인식하여 오른손 또는 왼손을 인식하는 손방향인식단계와;
상기 손방향인식단계 후에 손바닥(100) 전체를 촬영하여 전체장문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단계와;
상기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전체장문이미지를 손날과 엄지방향으로 손바닥(100)의 자세를 선정하고, 콘트라스트와 색상을 보정하여 보정장문이미지를 획득하는 보정단계와;
상기 보정장문이미지에서 손가락과 손바닥(100)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음영이 짙은부분을 기준점(120)들로 선정하는 기준점추적단계와;
상기 기준점추적단계에서 정해진 기준점(120)들을 연결하여 기준선(130)을 형성하고, 상기 기준선(130)에서부터 손바닥(100)방향으로 손바닥(100)에서 손목까지 길이의 10~50%까지 인식영역(200)을 선정하고, 인식영역(200)에서 장문유효이미지를 획득하는 인식영역설정단계와;
상기 인식영역(200)에서 인식된 장문유효이미지를 적어도 2개의 블록(210)으로 설정하고 블록(210)별로 빠르게 융선들의 특징점들을 추출하여 최적의 인식장문데이터로 변환하는 인식장문데이터생성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는 카메라의 주연부에 조명이 형성되고, 촬영할 때 조명이 자동으로 켜져서 촬영된다.
상기 장문인식프로그램은 장문의 특징점들을 최적의 인식장문데이터로 변환하여 장문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상기 장문인식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의 UI화면이 제시되고, 실시간으로 카메라에 보여지는 손바닥(100)이 UI화면에 나타난다.
상기 손방향인식단계는 오른손 손바닥(100)인지, 왼손 손바닥(100)인지를 구별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만약, 기존에 저장된 장문데이터가 오른손 또는 왼손 중 하나만 등록된 상태라면, 음성 또는 UI화면에 텍스트로 안내문이 송출된다.
상기 촬영단계는 카메라가 손바닥(100)전체를 촬영하는데, 조명이 켜지면서 촬영이 되고, 손바닥(100)부분이 잘 드러나도록 촬영하여 전체장문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상기 보정단계는 촬영된 전체장문이미지를 손날과 엄지방향으로 손바닥(100)의 자세를 선정하고, 콘트라스트와 색상을 보정하여 보정장문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상기 기준점추적단계는 손가락과 손바닥(100)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음영이 짙은부분을 기준점(120)들로 추적하여 기준점(120)들을 선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기준점(120)들은 음영이 짙어지는 부분의 면적을 평균하여 동일한 크기의 원형의 점들로 선정한다.
상기 인식영역설정단계는 기준점추적단계에서 정해진 기준점(120)들을 연결하여 기준선(130)을 형성하고, 상기 기준선(130)에서부터 손바닥(100)방향으로 손바닥(100)에서 손목까지 길이의 10~50%까지 인식영역(200)을 선정하며, 상기 인식영역(200)에서 장문유효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상기 기준점(120)을 엄지손가락 가까운 부분부터 제1기준점(121), 제2기준점(122), 제3기준점(123)이라고 한다면, 제1기준점(121)과 제3기준점(123)의 가운데를 관통하는 직선으로 기준선(130)을 형성한다.
상기 기준선(130)의 길이는 제3기준점(123)의 가운데에서 손날까지의 길이, 제1기준점(121)과 제3기준점(123)의 가운데의 길이 및 제1기준점(121)에서 제3기준점(123)의 가운데에서 손날까지의 길이를 합한 길이로 선정되고, 상기 기준선(130)의 각각의 끝단에 수직하게 내려오면서 사각형을 형성하여 인식영역(200)을 선정하고, 이 부분을 장문유효이미지로 형성한다.
상기 기준선(130)으로부터 하단으로 내려오는 인식영역(200)의 높이는 기준선(130)으로부터 손목부분까지 길이의 10~50%까지의 길이를 인식영역(200)으로 선정한다.
상기 인식장문데이터생성단계는 장문유효이미지를 적어도 2개의 블록(210)으로 설정하고 블록(210)별로 융선들로부터 특징점들을 추출하여 이들을 서로 모아서 최적의 인식장문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이다.
상기 블록(210)은 장문유효이미지를 도 4와 같이 작은 사각형으로 나누어서 각각 특징점들을 인식하는 단계로, 2~5개의 블록(210)으로 나누어서 각각의 블록(210)들에 존재하는 특징점들을 추출하여 이러한 추출점들을 모아서 최적의 인식장문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와 같이 멀티블록(MULTI BLOCK)으로 주요 장문부분을 나누어서 인식하기 때문에 처리속도가 빠르면서도 정확하게 장문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비접촉식 장문인식방법에 의하면, 손바닥의 융선이 형성된 영역을 전체적으로 촬영하고, 손가락과 손바닥의 연결부분에 발생하는 음영이 짙은부분을 기준점들로 선정하고 이 기준점들로부터 일정영역을 유효영역으로 선정하여 인식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고, 촬영된 손바닥의 영역중에서 유효영역을 선정하고 다수개의 블록으로 나누어, 블록별로 특징점들을 추출하여 다시 결합하기 때문에 빠르게 장문을 인식할 수 있으며, 기준점을 중심으로 유효영역을 손쉽게 확정할 수 있고, 촬영할 때 마다 손바닥의 방향이 달라지더라도 기준점으로부터 형성되는 유효영역은 동일하기 때문에 인식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100 : 손바닥 120 : 기준점
121 : 제1기준점 122 : 제2기준점
123 : 제3기준점 130 : 기준선
200 : 인식영역 210 : 블록

Claims (4)

  1. 삭제
  2.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로 피사체인 손바닥을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장문인식을 위한 UI화면이 형성되는 장문인식프로그램이 형성되되,
    상기 UI화면에 사용자의 손바닥이 나타나도록 하고, 손날과 엄지방향을 인식하여 오른손 또는 왼손을 인식하는 손방향인식단계와;
    상기 손방향인식단계 후에 손바닥 전체를 촬영하여 전체장문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단계와;
    상기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전체장문이미지를 손날과 엄지방향으로 손바닥의 자세를 선정하고, 콘트라스트와 색상을 보정하여 보정장문이미지를 획득하는 보정단계와;
    상기 보정장문이미지에서 손가락과 손바닥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음영이 짙은부분을 기준점들로 선정하는 기준점추적단계와;
    상기 기준점추적단계에서 정해진 기준점들을 연결하여 기준선을 형성하고, 상기 기준선에서부터 인식영역을 선정하여 인식영역으로부터 장문유효이미지를 획득하는 인식영역설정단계와;
    상기 인식영역에서 인식된 장문유효이미지를 적어도 2개의 블록으로 설정하고 블록별로 빠르게 융선들의 특징점들을 추출하여 최적의 인식장문데이터로 변환하는 인식장문데이터생성단계로 구성되되,
    상기 기준점들은 음영이 짙어지는 부분의 면적을 평균하여 동일한 크기의 원형의 점들로 형성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비접촉식 장문인식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영역은 기준점들을 연결하여 기준선을 형성하고, 상기 기준선에서부터 손바닥방향으로 손바닥에서 손목까지 길이의 10~50%까지 인식영역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비접촉식 장문인식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을 엄지손가락 가까운 부분부터 제1기준점, 제2기준점, 제3기준점이라고 하고, 제1기준점과 제3기준점의 가운데를 관통하는 직선으로 기준선을 형성하되,
    상기 기준선의 길이는 제3기준점의 가운데에서 손날까지의 길이, 제1기준점과 제3기준점의 가운데의 길이 및 제1기준점에서 제3기준점의 가운데에서 손날까지의 길이를 합한 길이로 선정되고, 상기 기준선의 각각의 끝단에 수직하게 내려오면서 사각형을 형성하여 인식영역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비접촉식 장문인식방법
KR1020210172096A 2021-12-03 2021-12-03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비접촉식 장문인식방법 KR102513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096A KR102513468B1 (ko) 2021-12-03 2021-12-03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비접촉식 장문인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096A KR102513468B1 (ko) 2021-12-03 2021-12-03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비접촉식 장문인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3468B1 true KR102513468B1 (ko) 2023-03-24

Family

ID=85872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096A KR102513468B1 (ko) 2021-12-03 2021-12-03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비접촉식 장문인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4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9213A (ko) * 2013-11-21 201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장문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101596298B1 (ko) * 2015-03-20 2016-02-24 이상훈 스마트폰을 활용한 비접촉식 지문인식방법
JP2018026012A (ja) * 2016-08-10 2018-02-15 Kddi株式会社 手のひら検知装置、掌紋認証装置、手のひら検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9213A (ko) * 2013-11-21 201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장문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101596298B1 (ko) * 2015-03-20 2016-02-24 이상훈 스마트폰을 활용한 비접촉식 지문인식방법
JP2018026012A (ja) * 2016-08-10 2018-02-15 Kddi株式会社 手のひら検知装置、掌紋認証装置、手のひら検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42528B2 (ja) モバイルデバイスを用いてキャプチャした画像を使用する、指紋によるユーザ認証を実施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1887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fingerprint based user authentication using imagery captured using mobile devices
US103393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fingerprint based user authentication using imagery captured using mobile devices
US1126343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fingerprint based user authentication using imagery captured using mobile devices
US20180276487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long-distance person identification
WO2020071008A1 (ja) 生体認証システム、生体認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556663B2 (ja) 照合装置、照合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211938A (ja) 生体情報処理装置、生体情報処理方法および生体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12949365A (zh) 活体脸部辨识系统与方法
JP5254897B2 (ja) 手画像認識装置
GB2598016A (en) Biometric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
US8325991B2 (en) Device and method for biometrics authentication
KR102151474B1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비접촉 지문인증 방법
KR102513468B1 (ko)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비접촉식 장문인식방법
KR20110119214A (ko) 얼굴 변화에 강인한 얼굴 인식 방법
KR20230083770A (ko) 카메라가 내장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비접촉식 장문인식방법
WO2023028947A1 (zh) 掌静脉非接触式三维建模方法、装置及认证方法
JP719098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2389066B1 (ko) 얼굴 인식을 위한 얼굴영상 생성 방법
Nakazaki et al. Fingerphoto recognition using cross-reference-matching multi-layer features
Oude Elferink Fingerprint acquisition with a smartphone camera
JP2005141678A (ja) 顔画像照合システム及びicカード
JP2020030619A (ja) 掌紋認証装置及び掌紋認証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