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433B1 - 영상전송을 위한 다중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QoS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전송을 위한 다중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QoS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433B1
KR102513433B1 KR1020180109477A KR20180109477A KR102513433B1 KR 102513433 B1 KR102513433 B1 KR 102513433B1 KR 1020180109477 A KR1020180109477 A KR 1020180109477A KR 20180109477 A KR20180109477 A KR 20180109477A KR 102513433 B1 KR102513433 B1 KR 102513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sub
data
electronic device
exter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0795A (ko
Inventor
박선호
박정현
이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9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433B1/ko
Priority to PCT/KR2019/010345 priority patent/WO2020054983A1/en
Priority to EP19860044.7A priority patent/EP3804345A4/en
Priority to US16/545,087 priority patent/US11212061B2/en
Publication of KR20200030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9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additional or different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5Buffer management
    • H04L1/1838Buffer management for semi-reliable protocols, e.g. for less sensitive applications such as streaming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04L5/0046Determination of how many bits are transmitted on different sub-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3Channel coding or modulation of digital bit-stream, e.g. QPSK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1Recovering the multiplex stream from a specific network, e.g. recovering MPEG packets from ATM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0Negotiating bandwid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04L1/0017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where the mode-switching is based on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3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다중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영상전송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전자장치는, 버퍼, 통신부,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해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원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상태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고, 원본 데이터의 누락 여부 및 상기 버퍼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전송을 위한 다중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QoS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QOS CONTROL DEVICE IN MUTI-WIRELESS NETWORK ENVIRONMENT FOR VIDEO TRANSMISSION AND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다중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영상전송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에서는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한 영상전송 시스템에서 두 종류 이상의 서로 다른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영상을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고화질 영상의 끊김없는 재생을 경험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Wi-Fi 및 WiGig 등의 무선 네트워크, QoS 및 scalable encoding 등의 영상 전송에 필요한 네트워크 기술 등을 필요로 한다.
Wi-Fi는 2.4GHz대역과 5GHz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무선으로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기반 기술을 의미한다. 보통의 Wi-Fi 네트워크는 유선망에 연결되고 커버리지 내의 접속 단말들을 관리하고 인터넷 등을 제공하는 access point와 네트워크에 연결하고자 하는 단말로 구성이 된다.
WiGig (802.11ad)는 비교적 최근에 정의된 표준으로 60GHz 대역의 밀리미터 웨이브(mmWave)를 쓰는 특징이 있다. mmWave의 특징으로는 직진성이 강하여 AP와 단말의 안테나가 서로 장애물 없이 마주보고 있어야 하는 LOS (line of sight) 환경이 충족되어야 한다. 60GHz 대역은 상대적으로 공동으로 사용하는 기술의 수가 적기 때문에 비교적 간섭의 영향을 덜 받고 넓은 대역폭을 사용하여 높은 전송률(약 4.3Gbps)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LOS가 보장되지 않는 환경(NLOS)에서는 정상적으로 통신이 되지 않거나 전송율이 매우 저조하게 된다.
종래의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2.4GHz 주파수 대역(802.11n)과 5GHz 주파수 대역(802.11ac)을 사용하는 Wi-Fi 와 60GHz 대역을 사용하는 WiGig가 별도의 네트워크로 구분되어 독립적으로 구축되고 실제 영상 전송시스템을 구축하여 활용하는 경우 한 종류의 네트워크만 사용된다.
Wi-Fi의 경우 multiple antenna를 사용하여 비교적 높은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으나 2.4GHz와 5GHz 대역은 허가 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대역이기 때문에 최근 여러 AP가 존재하거나 Bluetooth 등의 같은 무선 주파수 대역을 쓰는 기술에 의해 간섭의 영향을 받게 되어 전송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WiGig의 경우 상대적으로 간섭의 영향을 덜 받지만 송수신 안테나 간 장애물이 존재하는 non-line of sight (NLOS) 환경에서는 극단적으로 통신이 되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WiGig 표준에서는 이러한 NLOS 환경에 대응하기 위하여 Fast Session Transfer (FST) 기법을 정의하였다. FST 기법에서는 동일한 AP와 단말에서 WiGig와 5GHz 대역 또는 2.4GHz 대역의 Wi-Fi 연결을 지원하는 경우, WiGig가 연결되어 있는 동안 NLOS 상황이 발생하여 인하여 패킷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 이를 인지하고 Wi-Fi로의 연결을 전환하게 된다.
무선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영상 전송 환경을 구축할 때 종래의 Wi-Fi는 다른 AP 및 블루투스 등으로 인하여 간섭의 영향으로 인하여 고화질 컨텐츠를 전송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WiGig를 활용한 경우 상대적으로 전송률이 높아서 고화질 컨텐츠 전송이 용이한 반면에 송신부와 수신부의 안테나 사이에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는 제약이 발생한다. FST 기술을 활용한 경우 WiGig와 Wi-Fi를 상호보완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이는 연결성 유지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영상 전송에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결국, WiGig에서 NLOS 상황을 인지하고 Wi-Fi 연결로 전환하는 데까지 걸리는 지연으로 인하여 영상 스트리밍에 끊어짐이나 화질저하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WiGig와 Wi-Fi가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WiGig에서는 Wi-Fi의 네트워크 상황을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FST를 통해 네트워크 패킷 흐름을 넘기게 되기 때문에 QoS 제어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송신부에서는 수신부의 영상 수신 상황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끊어짐에 대비한 traffic 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네트워크를 활용한 사용한 영상 전송 시스템에서 저속 및 고속 무선 네트워크를 통합하여 구성하고 효율적으로 QoS 및 흐름 제어를 하여 영상 전송 시스템에서의 고화질 영상을 끊김없이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전자장치 제어방법은,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해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원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상태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결 상태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된 원본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원본 데이터의 수신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고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 및 저화질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본 데이터의 누락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제1 응답 신호를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것이고, 상기 원본 데이터의 일부가 누락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 데이터의 누락된 부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응답 신호를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하여 상기 제2 응답 신호를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한 경우,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고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저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브 주파수 대역 중 제1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서브 주파수 대역 중 제2 서브 밴드를 통하여 상기 원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 데이터가 버퍼에 저장된 버퍼량을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퍼량을 판단한 결과, 상기 버퍼량이 기설정된 양 미만인 경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고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저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 데이터가 버퍼에 저장된 버퍼량을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버퍼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것 일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량을 판단한 결과, 상기 버퍼량이 기설정된 양 미만인 경우,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버퍼량이 부족함을 알리기 위한 제3 응답 신호를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것이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고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저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전자장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및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가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의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고, 상기 원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상태 신호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면, 상기 연결 상태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된 원본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원본 데이터의 수신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본 데이터의 누락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원본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제1 응답 신호를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원본 데이터의 일부가 누락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원본 데이터의 누락된 부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응답 신호를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하여 상기 제2 응답 신호를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한 경우,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고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저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브 주파수 대역 중 제1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원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서브 주파수 대역 중 제2 서브 밴드를 통하여 상기 원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상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본 데이터가 버퍼에 저장된 버퍼량을 판단하고, 상기 버퍼량이 기설정된 양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고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하고, 상기 제2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저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본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저장된 버퍼량을 판단하고, 상기 버퍼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퍼량을 판단하고, 상기 버퍼량이 기설정된 양 미만인 경우, 상기 버퍼량이 부족함을 알리기 위한 제3 응답 신호를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고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저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를 송신하는 전자장치 제어방법은,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해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원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상태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 장치가 수신한 상기 원본 데이터의 수신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컨텐츠의 고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 및 저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응답 신호가 상기 외부 장치 내의 원본 데이터가 버퍼에 저장된 버퍼량이 부족함을 알리기 위한 응답 신호인 경우,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고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저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만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원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를 송신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해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원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상태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장치가 수신한 상기 원본 데이터의 수신 상태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응답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컨텐츠의 고화질 데이터 및 저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응답 신호가 상기 외부 장치 내의 원본 데이터가 버퍼에 저장된 버퍼량이 부족함을 알리기 위한 응답 신호인 경우,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고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저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만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원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서 고속 및 저속의 다중 무선 네트워크가 혼재하는 상황에서 다중 네트워크를 통합 관리하여 영상 전송에 효율적인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각 네트워크의 상황을 미리 예측하여 네트워크 상황에 맞는 화질의 영상을 송신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끊김이 없는 고화질 영상을 시청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전자장치 간의 전반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자장치 및 수신 전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자장치와 수신 전자장치 간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a 내지 5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한 통신이 원활한 경우에 수신 전자장치에서 데이터와 관련하여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6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의 버퍼량이 부족한 경우 전자장치 간에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주파수 대역이 단절된 경우 전자장치 간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밴드가 단절된 상태에서 수신 전자장치 내의 버퍼량이 부족한 경우 전자장치 간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상황에 따라 전자장치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상황에 따라 전자장치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전자장치 간의 전반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송신 전자장치(200)는 외부의 기지국(10)으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송신 전자장치(200)는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수신 전자장치(100)로 영상 컨텐츠를 무선 통신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 송신 전자장치(200)는 일반적인 셋탑박스의 형태로 구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스마트폰, AP(access point), TV 등 전송할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유형의 전자장치일 수 있다. 또한, 수신 전자장치(100)는 TV의 형태로 구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스마트폰, TV, PC 등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모든 유형의 전자장치 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무선 통신은 메인(main) 주파수 대역과 서브(sub)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여 통신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메인 주파수 대역은 메인 밴드(main band)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서브 주파수 대역은 서브 밴드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메인 밴드는 WiGig와 같이 60GHz 대역의 밀리미터 웨이브(mmWave)를 사용하여 직진성이 강한 네트워크일 수 있다. 60GHz 대역은 상대적으로 공동으로 사용하는 기술의 수가 적기 때문에 비교적 간섭의 영향을 덜 받고 넓은 대역폭을 사용하여 높은 전송율(약 4.3Gbps)을 달성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WiGig는 AP(access point)와 전자장치의 안테나가 서로 장애물 없이 마주보고 있어야 하는 LOS (line of sight) 환경이 충족되어야 한다. 즉, 수신 전자장치(100)와 송신 전자장치(200) 사이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NLOS), 송신 전자장치(200)로부터 직진성이 강하게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 전자장치(100)가 수신할 때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서브 밴드는 WiFi와 같이 4GHz 주파수 대역(802.11n)과 5GHz 주파수 대역(802.11ac)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이러한 WiFi는 multiple antenna를 사용하여 비교적 높은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으나 2.4GHz와 5GHz 대역은 허가 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대역이다. 따라서, 메인 밴드가 NLOS인 경우에, 송신 전자장치(200)는 상대적으로 회절이 용이한 서브 밴드를 통해 수신 전자장치(1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메인 밴드의 예로 고속 네트워크인 WiGig를, 서브 밴드의 예로 저속 네트워크인 Wi-Fi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메인 밴드 및 서브 밴드는 Wi-Fi와 WiGig, LTE나 5G 통신 등을 포함하여 두 가지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 환경이 혼재하는 모든 경우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송신 전자장치(200)는 외부 기지국(10)에서 수신한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메인 밴드 및 서브 밴드를 통해 수신 전자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수신 전자장치(100)는 수신한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 데이터의 일부가 누락되었는지 여부 및 수신한 데이터가 전자장치(100) 내의 버퍼에 저장된 버퍼량의 상태 여부 등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수신 전자장치(100)는 데이터의 수신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메인 밴드 및 서브 밴드 모두를 이용하여 송신 전자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수신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는 원본 데이터의 수신 여부, 데이터 누락 여부 및 데이터의 잔존 버퍼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일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전자장치(200)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송신 전자장치(200)는 수신한 응답 신호를 바탕으로 수신 전자장치(100)로 전송할 데이터 및 무선 네트워크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 전자장치(100)로부터 데이터 누락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송신 전자장치(100)는 누락된 데이터를 메인 밴드 및 서브 밴드를 통하여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수신 전자장치(100)로부터 데이터의 버퍼량이 부족하다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메인 밴드의 통신 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판단하고 메인 밴드 및 서브 밴드를 통하여 컨텐츠에 대한 원본 데이터가 아닌 트랜스 코딩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송신 전자장치(200)는 서브 밴드에서만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메인 밴드를 통해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메인 밴드가 단절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밴드가 단절된 상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밴드의 네트워크가 NLOS 상태인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 송신 전자장치(200)는 데이터 전송의 끊김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브 밴드를 통해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 전자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을 통해, 송신 전자장치(200)는 NLOS가 되기 전에 메인 밴드의 통신 상태가 불량하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고, 메인 밴드의 단절을 예측하고 미리 서브 밴드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기존의 Fast Session Transfer (FST) 기법을 통한 통신과 달리, 끊김 없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추후에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 및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자장치 및 수신 전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수신 전자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수신 전자장치(100)는 통신부(110), 메모리(120), 디스플레이(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송신 전자장치(200), 외부 기지국(10), 외부 장치(미도시) 및 외부 서버(미도시)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송신 전자장치(200)로부터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 받을 수 있다.
통신부(110)는 송신 전자장치(210)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10)는 컨텐츠에 대한 원본 데이터를 메인 밴드를 통해 수신할 수 있고, 원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상태신호(CSS, connection status signal)를 서브 밴드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때, CSS에는 전송할 원본 데이터에 대한 time stamp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통신부(110)는 원본 데이터를 서브 밴드를 통하여 송신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고, 원본 데이터를 트랜스 코딩한 고화질 데이터 및 저화질 데이터를 메인 밴드 및 서브 밴드를 통하여 송신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송신 전자장치(200)로 데이터 수신에 대한 응답 신호(ACK 신호), 데이터 누락에 대한 응답 신호(Drop 신호), 데이터 버퍼량에 대한 응답 신호(BSS 신호) 등 다양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ACK 신호는 수신 전자장치(100)가 송신 전자장치(200)로부터 데이터 누락 없이 데이터를 전송받았음을 알리기 위한 신호일 수 있으며, Drop 신호는 통신 과정에서 누락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으며, BSS 신호는 수신 전자장치(100) 내의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버퍼량이 기설정된 양 미만임을 알리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송신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20)는 수신한 컨텐츠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버퍼는 하나의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 양자 간의 데이터의 전송속도나 처리속도의 차를 보상하여 양호하게 결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억영역을 의미한다. 버퍼는 입출력 영역으로서 중앙처리장치와 단말이나 다른 입출력 장치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의 사이에 고속으로 동작하는 소용량의 버퍼 메모리(로컬 메모리라고도 한다)를 통해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프로세서(140)의 제어명령에 따라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영상을 재생하고 사용자에게 다양한 UI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디스플레이(130)는 전자장치 내의 버퍼에 버퍼량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면, 버퍼량이 부족하다는 알림을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30)는 원본 데이터를 수신하던 중,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를 트랜스 코딩한 고화질/저화질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하는 데이터가 변경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130)는 트랜스 코딩된 데이터를 수신하던 중 원본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하는 데이터가 변경되었음을 알라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30)는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0)는 3인치, 4인치, 4.65인치, 5인치, 6.5인치, 8.4인치, 32인치, 45인치 등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복수의 픽셀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픽셀들의 가로 개수 X 새로 개수는 해상도(resolution)로 표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또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형태로 전자장치(100)의 전면 영역 및, 측면 영역 및 후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터치 감지부(미도시)와 결합하여 레이어 구조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기능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위치, 터치된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실질적인 터치(real-touch)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전자장치(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프로세서(140)는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해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원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상태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연결 상태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된 원본 데이터의 누락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원본 데이터가 버퍼에 저장된 버퍼량을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원본 데이터의 누락 여부 및 버퍼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추후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b는 본 개시의 송신 전자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송신 전자장치(200)는 통신부(210), 메모리(220), 프로세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수신 전자장치(200), 외부 기지국(10), 외부 장치(미도시) 및 외부 서버(미도시)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수신 전자장치(200)로부터 특정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특정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외부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외부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한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210)는 컨텐츠에 대한 원본 데이터를 메인 밴드를 통해 송신할 수 있고, 원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상태신호(CSS, connection state signal)를 서브 밴드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통신부(210)는 원본 데이터를 서브 밴드를 통하여 수신 전자장치(100)로 송신할 수도 있고, 원본 데이터를 트랜스 코딩한 고화질 데이터 및 저화질 데이터를 메인 밴드 및 서브 밴드를 통하여 수신 전자장치(1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수신 전자장치(100)로부터 데이터 수신에 대한 응답 신호(ACK 신호), 데이터 누락에 대한 응답 신호(Drop 신호), 데이터 버퍼량에 대한 응답 신호(BSS 신호) 등 다양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ACK 신호는 수신 전자장치(100)가 송신 전자장치(200)로부터 데이터 누락 없이 데이터를 전송받았음을 알리기 위한 신호일 수 있으며, Drop 신호는 통신 과정에서 누락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으며, BSS 신호는 수신 전자장치(100) 내의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버퍼량이 기설정된 양 미만임을 알리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메모리(220)는 외부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한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220)는 송신한 컨텐츠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20)는 수신 전자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응답 신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응답 신호에 대응하여 수신 전자장치(100)로 전송할 데이터를 판단하기 위해 기송신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220)는 수신 전자장치(100)로 송신한 데이터의 메타 데이터 정보, 데이터를 송신한 시간에 대한 정보, 송신한 데이터 프레임 수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해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원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상태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외부 장치가 수신한 원본 데이터의 누락 여부 및 외부 장치 내의 원본 데이터가 버퍼에 저장된 버퍼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응답 신호를 바탕으로 송신할 데이터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른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추후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통신부(110, 2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일 수 있다. 통신부(110, 210)는 와이기그(WiGig) 칩, 와이파이(WiFi)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 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와이기그 칩,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각각은 WiGIg방식, WiFi 방식, Bluetooth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기그 칩,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칩은 IEEE, 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또한 통신부(110, 210)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통신하도록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다중 대역 안테나일 수 있다. 다중 대역 안테나는 서로 배수 관계에 있는 주파수를 1개의 안테나 송신하여 수신되도록 소자의 길이를 설계한 안테나일 수 있고, 예를 들면. 5MHz, 7MHz를 송신할 경우, 3.5MHz로는 반 파장, 7MHz로는 1파장의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메모리(120, 220)는 프로세서(140, 23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전자장치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 220) 는 전자장치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전자장치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전자장치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전자장치상에 존재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20, 22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40, 230)에 의하여 전자장치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120, 22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0, 220)는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 되며, 프로세서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메모리라는 용어는 메모리(120, 220), 프로세서(140, 230) 내 ROM(미도시), RAM(미도시)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 230)는 CPU, 램(RAM), 롬(ROM), 시스템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롬은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가 저장되는 구성이고, CPU는 롬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전자장치(100, 200)의 메모리에 저장된 운영체제를 램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는 메모리(120, 220) 에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램에 복사하고,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프로세서(140, 230)가 하나의 CPU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 시에는 복수의 CPU(또는 DSP, So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 23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자장치와 수신 전자장치 간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송신 전자장치(200)는 QOS 제어부(231), CSS 생성부(232), 트랜스코더(233)을 포함할 수 있다. QOS 제어부(232), CSS 생성부(232), 트랜스코더(233)는 프로세서(230)에 포함된 구성일 수도 있고, 프로세서(230)와 별도로 구성되어 프로세서(230)의 명령에 따라 구동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CSS 생성부(232)는 수신 전자장치(100)와의 통신 상황 감지를 위한 연결상태신호(CSS, connection status signal)를 생성할 수 있다. CSS에는 수신 전자장치(100)로 송신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SS에는 송신할 데이터에 대한 타임 스탬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수신 전자장치(100)는 전송 받은 원본 데이터와 CSS에 포함된 타임 스탬프에 대한 정보를 체크하여 프레임의 끊김없이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트랜스코더(233)는 단일 환경을 목표로 제작된 음성, 데이터, 영상 등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 전자장치(100)의 환경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가공, 선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스코더(233)는 20Mbps 속도의 MPEG 2로 제작된 HDTV 컨텐츠 신호가 PDA나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수신 전자장치(100)에서 수신될 수 있도록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트랜스코더(233)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정의, 유통, 소비하기 위한 MPEG-21로 표준화된 범용의 프레임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랜스코더(233)는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복수의 밴드를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고화질(high quality) 데이터 및 저화질(low quality)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저화질 데이터는 scalable encoding을 사용하여 저화질 데이터 단독으로도 저화질 영상 재생 가능할 수 있으나, 고화질 데이터는 저화질 데이터 없이 단독으로는 재생 불가능한 것일 수 있다.
QOS 제어부(231)는 네트워크 연결 관리 및 모니터링 하여 각 밴드에서 송신할 데이터를 선별하고, 트래픽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QOS 제어부(231)는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누락된 데이터 프레임을 재전송 하기 위해 메모리(220)의 버퍼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수신 전자장치(100)는 버퍼(121), 연결상태확인부(141), 디코더(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버퍼(121)는 메모리(120)에 포함된 구성일 수도 있고, 메모리(120)와 별도의 구성일 수도 있다. 연결상태확인부(141), 디코더(142)는 프로세서(140)에 포함된 구성일 수도 있고, 프로세서(140)와 별도의 구성으로써 프로세서(140)로부터 제어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연결상태확인부(141)는 송신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조합하여 네트워크 상황을 인지할 수 있고, 신호 간의 비교를 통하여 누락된 데이터를 판단할 수도 있고, 버퍼(121)로부터 수신한 버퍼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디코더(142)는 송신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포함된 컨텐츠를 수신 전자장치(100)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버퍼(121)는 송신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30)에 재생하기 위해 데이터를 인출할 수도 있다. 또한 버퍼(121)는 데이터의 저장된 버퍼량이 기설정된 양 미만인 경우, 이를 송신 전자장치(200)에 경고하기 위한 응답 신호(BSS, Buffer status signal)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송신 전자장치(200)의 통신부(210)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또는 복수의 밴드)을 이용하기 위한 복수의 안테나(210-1, 210-2 내지 210-n)를 통해 수신 전자장치(100)의 복수의 안테나(110-1, 110-2 내지 110-n)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안테나(210-1, 210-2 내지 210-n) 및 복수의 안테나(110-1, 110-2 내지 110-n)는 각각의 통신부(110, 210) 내에서 멀티 밴드를 이용하기 위한 하나의 구성일 수도 있으며, 통신부(110, 210)와는 별도의 모듈로 구성된 것일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송신 전자장치(20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메인 밴드를 통해 원본 데이터(original data), 고화질 데이터(HQ source)를 수신 전자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고, ACK 신호, DROP 신호, BSS 신호를 메인 밴드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전자장치(20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통해 서브 밴드를 통해 저화질 데이터(LQ source), CSS 신호를 수신 전자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고, ACK 신호, DROP 신호, BSS 신호를 메인 밴드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전자장치들은 메인 밴드와 서브 밴드를 통해 다양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들이 메인 밴드와 서브 밴드를 통해 다양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은 추후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 및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a는 수신 전자장치(100)가 송신 전자장치(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수신 전자장치(100)는 송신 전자장치(200)로부터 메인 밴드(또는 메인 주파수 대역)를 통해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서브 밴드(또는 서브 주파수 대역)를 통해 CSS(연결상태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410). 이후 수신 전자장치(100)는 수신한 원본 데이터와 CSS를 바탕으로, 원본 데이터의 데이터 누락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수신 전자장치(100) 내의 버퍼(121)에 저장된 데이터의 버퍼량을 판단할 수 있다(S411). 수신 전자장치(100)는 원본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된 경우 ACK 신호를 메인 밴드와 서브 밴드를 모두 사용하여 송신 전자장치(200)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원본 데이터가 누락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수신 전자장치(100)는 Drop 신호를 송신 전자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의 버퍼량이 기설정된 양 미만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수신 전자장치(100)는 BSS(버퍼상태신호)를 송신 전자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S412).
도 4b는 송신 전자장치(100)가 수신 전자장치(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송신 전자장치(200)는 수신 전자장치(100)로 메인 밴드를 통해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서브 밴드를 통해 CSS를 송신할 수 있다(S420). 송신 전자장치(200)는 수신 전자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로 송신한 원본 데이터의 누락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Drop 신호, 수신 전자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의 버퍼에 저장된 버퍼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BSS 신호, 수신 전자장치(100)가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였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ACK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메인 밴드 및 서브 밴드를 통해 수신 전자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421). 송신 전자장치(200)는 수신 전자장치(100)로부터 수신한 Drop 신호, BSS 신호 및 ACK 신호를 바탕으로 추가적으로 송신할 데이터 및 주파수 대역을 판단할 수 있다(S422). 송신 전자장치(200)는 판단한 결과를 바탕으로 메인 밴드 및 서브 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 전자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S423).
상술한 실시 예와 같이, 본 개시에서는 송신 전자장치(200)와 수신 전자장치(100) 가 메인 밴드를 통한 원본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다양한 신호를 송수신함에 따라, 메인 밴드의 통신 상태를 예측하고 필요에 따라 서브밴드를 적절히 사용하여 끊김없는 데이터 전송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한 통신이 원활한 경우에 수신 전자장치에서 데이터와 관련하여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전자장치가 데이터의 일부가 누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수신 전자장치(100)는 컨텐츠를 스트리밍 하거나 다운로드 받는 경우에 외부로부터 해당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수신 전자장치(100)는 송신 전자장치(200)로부터 메인 밴드(또는 메인 주파수 대역)를 통해 컨텐츠에 대한 원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서브 밴드(또는 서브 주파수 대역)를 통해 CSS(연결상태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510). 수신 전자장치(100)는 수신한 원본 데이터와 CSS에 포함된 원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조합 및 비교할 수 있고(S511), 수신한 원본 데이터의 일부가 누락되었는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할 수 있다(S512). 구체적으로 수신 전자장치(100)는 전송받은 원본 데이터와 CSS에 포함된 타임스탬프에 대한 정보를 체크하여 프레임의 끊김 없이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수신 전자장치(100)는 원본 데이터의 일부가 누락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S512-Y), 원본 데이터의 일부가 누락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응답 신호(Drop 신호)를 송신 전자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S513). 특히, 수신 전자장치(100)는 메인 밴드와 서브 밴드 모두를 통해 송신 전자장치(200)로 Drop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송신 전자장치(200)는 서브 밴드에서만 Drop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메인 밴드가 단절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추후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Drop 신호는 수신된 원본 데이터 중 누락된 부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수신 전자장치(100)는 Drop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 누락 부분에 대하여 송신 전자장치(200)로부터 재전송 받을 수 있다(S514). 이때, 수신 전자장치(100)는 메인 밴드 및 서브 밴드 모두를 통해 누락된 데이터 부분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 전자장치(100)는 현재 디스플레이(130)를 통한 컨텐츠 스트리밍 재생 또는 다운로드가 종료된 경우(S515-Y), 추가적인 데이터 수신을 중지할 수 있고, 컨텐츠 스트리밍 재생 또는 다운로드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S515-N) 다시 메인 밴드와 주파수 밴드를 통해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510).
한편, 수신 전자장치(100)는 컨텐츠에 대한 원본 데이터가 누락 없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S512-N), 컨텐츠 데이터 수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됨을 알리기 위한 응답 신호(ACK 신호)를 송신 전자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수신 전자장치(100)는 ACK 신호를 메인 밴드 및 서브 밴드 모두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S516). 송신 전자장치(200)는 서브 밴드에서만 ACK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메인 밴드가 단절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추후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송신 전자장치(200)는 ACK 신호를 메인 밴드 및 서브 밴드를 통해 수신한 경우, 메인 밴드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이 원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전자장치(100)에서의 컨텐츠 스트리밍 재생이 종료되거나 컨텐츠 다운로드가 종료되지 않는 경우라면(S515-N), 수신 전자장치(100)는 이전과 마찬가지로 메인 밴드 및 서브 밴드를 통해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510).
도 5b는 수신 전자장치가 수신한 데이터의 일부가 누락된 경우, 수신 전자장치와 송신 전자장치 간에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스퀀스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송신 전자장치(200)는 수신 전자장치(100)로 메인 밴드를 통해 컨텐츠에 대한 원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서브 밴드를 통해 원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CSS를 전송할 수 있다(S520). 수신 전자장치(100)는 수신한 원본 데이터 및 CSS를 조합하고 비교하여 원본 데이터의 일부가 누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21). 원본 데이터의 일부가 누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수신 전자장치(100)는 송신 전자장치(200)로 메인 밴드 및 서브밴드 모두를 이용하여 Drop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522). Drop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송신 전자장치(200)는 메인 밴드를 통한 데이터 전송이 일시적으로 원활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반복적이지 않은 Drop 신호에 대해서는 송신 전자장치(200)는 메인 밴드의 통신 장애가 단순히 일시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수신된 Drop 신호에 포함된 누락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누락된 데이터 부분을 기존의 데이터 전송 방법과 같이 메인 밴드 및 서브 밴드를 통해 수신 전자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523).
한편, 반복적인 Drop 신호를 수신하게 되는 경우, 송신 전자장치(200)는 메인 밴드의 통신 상황이 지속적으로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송신 전자장치(200)는 메인 밴드를 통한 통신 전송률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송신 전자장치(200)는 컨텐츠의 재생이 끊김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브 밴드를 통하여 컨텐츠에 대한 저화질 데이터를 수신 전자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전자장치(200)는 저화질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화질 영상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고화질 데이터를 메인 밴드를 통해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수신 전자장치(100)는 서브 밴드를 통해 전송받은 저화질 데이터만으로도 컨텐츠의 재생을 유지할 수 있으며, 메인 밴드를 통해 고화질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된다면, 고화질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도 5c 및 5d는, 수신 전자장치와 송신 전자장치 간에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불록도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송신 전자장치(200)는 외부 기지국(10)으로부터 컨텐츠(도면에서는 video source)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c에서는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7, 6, 5, 4, 3, 2, 1의 순서를 가진 비트열로 표현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CSS 생성부(232)를 통해 원본(Original) 데이터에 대한 CSS(connection status signal)를 생성할 수 있다. CSS에는 원본 데이터에 포함된 비트열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도 5c에서와 같이 CSS에는 원본 데이터의 비트열 7, 6, 5, 4, 3, 2, 1 각각에 대해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서브 밴드는 메인 밴드의 통신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한 밴드이며 도면에서와같이 서브 밴드는 복수 개의 밴드를 사용한 것일 수 있다. 원본(Original) 데이터는 메인 밴드(110-1)를 통해 전송될 수 있고, CSS는 서브 밴드(110-2 내지 110-n)를 통해 수신 전자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통신연결확인 부(141)는 수신한 원본 데이터와 CSS를 조합하여 원본 데이터의 누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통신연결확인부(141)는 도 5c와 같이, 원본 데이터 7, 6, 5, 4, 3, 2, 1 비트열이 누락 없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메인 밴드(110-1)를 통해 원본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ACK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수신 전자장치(100)는 생성된 ACK 신호를 메인 밴드(110-1) 및 서브밴드(110-2 내지 110-n)을 통해 송신 전자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송신 전자장치(200)는 메인 밴드(110-1)를 통해 ACK 신호를 수신하면, 메인 밴드(110-1)의 통신 연결이 다시 원활하게 되어 전송률이 상승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고, 기송신한 원본(Original) 데이터 외의 다음 부분의 데이터를 메인 밴드(110-1)를 통해 전송할 수 있고, 서브 밴드(110-2 내지 110-n)를 통해 메인 밴드를 통해 송신될 원본 데이터에 대한 CSS를 수신 전자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통신연결확인부(141)는 메인 밴드(110-1)를 통해 수신한 원본 데이터와 서브 밴드(110-2 내지 110-n)를 통해 수신한 CCS를 비교할 수 있고, 원본 데이터(7, 6, 5, 4, 3, 2, 1) 중 3에 해당하는 일부 데이터가 누락되어 수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전자장치(100)는 원본 데이터의 일부가 누락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Drop 신호를 메인 밴드와 서브 밴드 모두를 이용하여 송신 전자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d에서와같이 Drop 신호는 누락된 원본 데이터 부분인 3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며, 송신 전자장치(200)는 Drop 신호를 바탕으로 누락 데이터 3을 메인 밴드와 서브 밴드를 통해 수신 전자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e를 참조하면, Drop 신호를 수신한 송신 전자장치(200)는 Drop 신호에 포함된 원본 데이터(Original)의 누락부분에 대한 데이터를 메인 밴드 및 서브 밴드 모두를 통하여 수신 전자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의해, 송신 전자장치(200)는 원본 데이터가 일부 누락됨을 인지하고 재전송하는 것뿐만 아니라, 메인 밴드에 대한 통신 연결 상태에 대해 지속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6a 내지 6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의 버퍼량이 부족한 경우 전자장치 간에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데이터의 버퍼량이 부족한 경우 수신 전자장치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수신 전자장치(100)는 컨텐츠를 스트리밍 하거나 다운로드 받는 경우에 외부로부터 해당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수신 전자장치(100)는 송신 전자장치(200)로부터 메인 밴드(또는 메인 주파수 대역)를 통해 컨텐츠에 대한 원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서브 밴드(또는 서브 주파수 대역)를 통해 CSS(연결상태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610).
한편, 수신 전자장치(100)는 버퍼(121)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버퍼량을 판단할 수 있다(S611). 버퍼(121)에 저장된 데이터 버퍼량이 기설정된 양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612-Y), 수신 전자장치(100)는 버퍼량이 부족함을 알리는 BSS(Buffer Status signal)를 메인 밴드 및 서브 밴드 모두를 통해 송신 전자장치(200, 또는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613).
이후, 수신 전자장치(100)는 메인 밴드를 통해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를 트랜스 코딩(또는 인코딩)한 고화질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서브 밴드를 통해 원본 데이터를 트랜스 코딩한 저화질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614). 이때 고화질 데이터는 저화질 데이터 없이 단독으로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으며, 저화질 데이터를 기반으로 화질 개선을 통해 고화질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밴드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이 불안정한 경우에도, 수신 전자장치(100)는 서브 밴드를 통해 저화질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버퍼 내의 버퍼량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여 끊김없는 스트리밍 재생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의 스트리밍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S615-N), 수신 전자장치(100)는 버퍼 내에 컨텐츠의 데이터에 대한 버퍼량에 대해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컨텐츠의 버퍼량이 기설정된 양보다 많다고 판단되는 경우(S616-N), 수신 전자장치(100)는 송신 전자장치(100)로 ACK 신호를 송신하고(S617), 다시 송신 전자장치(200)로부터 메인 밴드(또는 메인 주파수 대역)를 통해 컨텐츠에 대한 원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서브 밴드(또는 서브 주파수 대역)를 통해 CSS(연결상태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610).
도 6b는 버퍼량이 부족한 경우 전자장치 간에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도이다.
송신 전자장치(200)는 수신 전자장치(100)로 메인 밴드를 통해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서브 밴드를 통해 원본 데이터와 관련된 CSS를 송신할 수 있다(S620). 한편, 수신 전자장치(100)는 버퍼에 저장된 버퍼량이 기설정된 양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버퍼량이 기설정된 양 미만인 경우에는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의 버퍼량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621). 수신 전자장치(100)는 버퍼에 저장된 버퍼량이 부족한 것을 알리기 위한 BSS 신호를 메인 밴드 및 서브 밴드 모두를 통해 송신 전자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BSS 신호를 수신한 송신 전자장치(200)는 메인 밴드를 통한 원본 데이터의 송신이 지속적으로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신 전자장치(200)는 높은 전송률을 요구하는 원본 데이터 대신에 원본 데이터를 트랜스 코딩한 고화질 데이터를 메인 밴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고화질 데이터는 독립적으로 컨텐츠에 대한 재생을 수행할 수 없으며, 저화질 데이터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에 송신 전자장치(200)는 원본 데이터를 트랜스 코딩한 저화질 데이터를 서브 밴드를 통해 수신 전자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623). 서브 밴드는 전송률은 메인 밴드에 비해 낮으나, 직진성이 강한 메인 밴드에 비하여 연결의 원활성 측면에서 뛰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밴드의 무선 네트워크가 불안정한 경우에도, 서브 밴드를 통해 지속적으로 저화질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전자장치(100)는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버퍼량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끊김 없는 스트리밍 재생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수신 전자장치(100)는 서브 밴드를 통해 전송받은 저화질 데이터만으로도 컨텐츠의 재생을 유지할 수 있으며, 메인 밴드를 통해 고화질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된다면, 고화질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도 6c는 버퍼량이 부족한 경우 전자장치 간에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수신 전자장치(100)는 송신 전자장치(200)로부터 메인 밴드를 통해 원본(Original)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서브 밴드를 통해 CSS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c에서는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e, d, c, b, a, 9, 8의 비트열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다.
한편, 수신 전자장치(100)는 버퍼(121)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버퍼량이 기설정된 양보다 적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버퍼량이 기설정된 양 미만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수신 전자장치(100)는 메인 밴드 및 서브 밴드 모두를 이용하여 송신 전자장치(200)로 BSS를 전송할 수 있다.
BSS를 수신한 송신 전자장치(200)는 메인 밴드를 통한 원본 데이터 전송이 지속적으로 원활하게 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끊김 없는 스트리밍 재생을 위해, 도 6c와 같이 송신 전자장치(200)는 트랜스코더(233)를 통해 원본 데이터(e, d, c, b, a, 9, 8) 를 고화질 데이터 및 저화질 데이터로 트랜스 코딩할 수 있고, 수신 전자장치(100)로 서브 밴드를 통해 저화질 데이터를 전송하고 메인 밴드를 통해 고화질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 송신 전자장치(200)는 수신 전자장치(100)로 전송한 저화질 데이터 및 고화질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CSS(connection status signal)을 특정 서브 밴드(210-n)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CSS를 수신한 수신 전자장치(100)는 수신된 컨텐츠의 데이터와 CSS를 조합하여 데이터가 누락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의 일부가 누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도 5a 내지 5d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수신 전자장치(100)는 Drop 신호를 통해 누락된 데이터 부분에 대해서 송신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d를 참조하면, 메인 밴드를 통한 송신이 지속적으로 원활하지 않은 경우, BSS를 수신한 송신 전자장치(200)는 끊김 없는 스트리밍 재생을 위해 송신 전자장치(200)는 원본 데이터를 트랜스 코딩하여 획득한 고화질 데이터 및 저화질 데이터를 수신 전자장치(100)로 서브 밴드를 통해 저화질 데이터(LQ)를 전송하고 메인 밴드를 통해 고화질 데이터(HQ)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의해, 송신 전자장치(200)는 수신 전자장치(100) 내의 버퍼량 부족에 따른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메인 밴드에 대해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적절하게 서브 밴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스트리밍 끊김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a 및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주파수 대역이 단절된 경우 전자장치 간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메인 밴드가 단절된 경우 전자장치 간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스퀀스도이다.
송신 전자장치(200)는 수신 전자장치(100)로 메인 밴드를 통해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서브 밴드를 통해 원본 데이터와 관련된 CSS를 송신할 수 있다(S710). 수신 전자장치(100)는 수신한 원본 데이터 및 CSS를 조합하고 비교하여 원본 데이터의 일부가 누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원본 데이터의 일부가 누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수신 전자장치(100)는 송신 전자장치(200)로 메인 밴드 및 서브밴드 모두를 이용하여 Drop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711). 수신 전자장치(100)는 컨텐츠에 대한 원본 데이터가 누락 없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컨텐츠 데이터 수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됨을 알리기 위한 응답 신호(ACK 신호)를 송신 전자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711). 이때, 수신 전자장치(100)는 ACK 신호를 메인 밴드 및 서브 밴드 모두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송신 전자장치(200)는 수신 전자장치(100)로부터 ACK 또는 DROP 신호가 메인 밴드에서는 수신되지 않고 서브 밴드에서만 수신되는 경우에는, 메인 밴드를 통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이 단절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712). 이 경우, 송신 전자장치(200)는 끊김 없는 컨텐츠 스트리밍을 제공하기 위해 서브 밴드를 통해 컨텐츠 원본 데이터를 수신 전자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713).
한편, 송신 전자장치(200)는 메인 밴드가 단절된 것으로 판단하고 서브 밴드를 통해 원본 데이터를 전송하던 중, 서브 밴드를 통해 수신 전자장치(100)로부터 버퍼량이 부족하다는 BS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전자장치(200)는 서브 밴드를 통한 전송률이 원본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송신하기에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고, 서브 밴드를 통해 컨텐츠에 대한 저화질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밴드를 통해 컨텐츠에 대한 저화질 데이터를 전송하던 중 수신 전자장치(100)로부터 ACK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송신 전자장치(200)는 더 이상 수신 전자장치(100) 내의 버퍼량이 부족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ACK 신호가 서브 밴드만을 통해 수신된 경우, 송신 전자장치(200)는 여전히 메인 밴드가 단절된 것으로 판단하고, 서브 밴드를 통해서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반면, ACK 신호가 메인 밴드 및 서브 밴드 모두를 통하여 수신된 경우, 송신 전자장치(200)는 메인 밴드의 통신이 재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전자장치(200)는 메인 밴드를 통해 원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서브 밴드를 통해 CSS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메인 밴드와 서브 밴드를 통해 BSS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송신 전자장치(200)는 메인 밴드의 통신이 재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나, 메인 밴드를 통한 전송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전자장치(200)는 메인 밴드를 통해 원본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전송할 수 없으며, 현재 수신 전자장치(100) 내의 버퍼량이 부족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신 전자장치(200)는 서브 밴드를 통해 저화질 데이터를 전송하고, 메인 밴드를 통해 고화질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를 통해, 송신 전자장치(200)는 수신 전자장치(100)와의 메인 밴드 연결이 단절되거나, 추가적으로 서브 밴드의 전송률이 충분히 크지 않더라도 유기적으로 메인 밴드와 서브 밴드를 활용하기 위해 QOS를 제어함으로써, 컨텐츠 스트리밍을 끊김없이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원본 데이터를 수신한 수신 전자장치(100)는 도 5a 내지 5d 및 도 6a 내지 6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ACK, DROP)를 메인 밴드와 서브 밴드 모두를 통해 송신 전자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송신 전자장치(200)는 서브 밴드를 통해서만 원본 데이터를 송신하던 중, 메인 밴드를 통해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메인 밴드의 무선 네트워크가 재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전자장치(200)는 다시 메인 밴드를 통해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서브 밴드를 통해 원본 데이터와 관련된 CSS를 송신할 수 있다.
도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밴드가 단절된 경우 전자장치 간 수행되는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송신 전자장치(200)가 메인 밴드를 통해 컨텐츠에 대한 원본 데이터를 송신하고 서브 밴드를 통해 CCS를 송신할 수 있다. 이후 수신 전자장치(100)가 수신한 데이터 및 버퍼량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ACK, BSS, DROP)를 메인 밴드 및 서브 밴드 모두를 통해 송신 전자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송신 전자장치(200)는 수신 전자장치(100)가 송신한 응답 신호를 메인 밴드에서는 수신하지 못하고 서브 밴드에서만 수신한 경우, 메인 밴드가 단절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송신 전자장치(200)의 QOS 제어부(231)는 컨텐츠의 끊김 없는 스트리밍을 위해 서브 밴드를 통해 수신 전자장치(100)로 원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c를 참조하면, WiGig와 같이 직진성이 강한 주파수를 이용하는 메인 밴드가 사람 등과 같은 장애물에 의해 통신이 단절된 경우, 송신 전자장치(200)는 컨텐츠의 끊김 없는 스트리밍을 위해 서브 밴드를 통해 수신 전자장치(100)로 원본 데이터(Original)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서브 밴드 중 일 서브 밴드를 통해서 다른 서브 밴드를 통해 전송되는 원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CSS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전자장치(100)는 서브 밴드를 통해 수신한 원본 데이터와 CSS를 조합 및 비교하여 원본 데이터의 누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8a 및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밴드가 단절된 상태에서 수신 전자장치 내의 버퍼량이 부족한 경우 전자장치 간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송신 전자장치(200)는 수신 전자장치(100)로 메인 밴드를 통해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서브 밴드를 통해 CSS를 전송할 수 있다(S810).
한편, 수신 전자장치(100)는 버퍼(121) 내의 데이터에 대한 버퍼량이 기설정된 양 미만인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할 수 있다. 수신 전자장치(100)가 데이터의 버퍼량이 기설정된 양 미만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S811), 수신 전자장치(100)는 송신 전자장치(200)로 BSS를 메인 밴드 및 서브 밴드 모두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S812).
송신 전자장치(200)는 BSS를 메인 밴드를 통해서는 수신되지 않고, 서브 밴드로만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S813), 메인 밴드가 단절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전자장치(200)는 끊김 없는 스트리밍을 위해 서브 밴드를 통하여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현재 수신 전자장치(100) 내의 버퍼량이 부족한 상태로써, 수신 전자장치(100)로 데이터 전송이 느린 경우에는 스트리밍에 끊김이 발생할 수 있다. 서브 밴드는 메인 밴드에 비하여 전송 속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대역인 것을 고려하면, 송신 전자장치(200)가 서브 밴드를 통해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를 전송 시에 수신 전자장치(100) 내의 데이터 버퍼량을 기설정된 양 이상으로 전환시킬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도 8a와 같이 메인 밴드가 단절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고 수신 전자장치(100) 내의 버퍼량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송신 전자장치(200)는 서브 밴드를 통해 컨텐츠의 저화질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814).
도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밴드가 단절된 상황에서 수신 전자장치 내의 버퍼량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자장치 간 수행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수신 전자장치(100)는 송신 전자장치(200)로부터 메인 밴드 및 서브 밴드를 통해 원본 데이터와 CSS를 전송받고, 버퍼(121) 내의 버퍼량이 충분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의 버퍼량이 기설정된 양 미만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수신 전자장치(100)는 BSS(buffer status signal)를 메인 밴드 및 서브 밴드 모두를 이용하여 송신 전자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송신 전자장치(200)는 BSS 신호가 서브 밴드에서만 수신되는 경우, 메인 밴드를 통한 통신 연결이 단절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전자장치(200)는 수신 전자장치(100) 내의 버퍼량이 부족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컨텐츠 스트리밍의 끊김 없는 제어를 위해 QOS 제어부(233)를 제어하여 서브 밴드만을 통해 컨텐츠의 저화질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송신 전자장치(200)가 메인 밴드의 전송률이 저하된 것을 이유로 서브 밴드를 통해 저화질 데이터를 전송하고, 메인 밴드를 통해 고화질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던 중, 상술한 바와 같이 BSS 신호가 서브 밴드에서만 수신되는 경우, 메인 밴드를 통한 통신 연결이 단절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송신 전자장치(200)는 수신 전자장치(100) 내의 버퍼량이 부족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컨텐츠 스트리밍의 끊김 없는 제어를 위해 QOS 제어부(233)를 제어하여 서브 밴드만을 통해 컨텐츠의 저화질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c를 참조하면, WiGig와 같이 직진성이 강한 주파수를 이용하는 메인 밴드가 사람 등과 같은 장애물에 의해 통신이 단절되고, 서브 밴드를 통한 통신 연결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BBS 신호를 수신한 송신 전자장치(200)는 수신 전자장치(100) 내의 버퍼량이 부족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서브 밴드만을 통해 컨텐츠의 저화질 데이터(LQ)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송신 전자장치(200)는 서브 밴드를 통해 저화질 데이터를 전송함과 동시에 복수의 서브 밴드 중 일 서브 밴드를 통해 컨텐츠에 대한 고화질 데이터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송신 전자장치(200)는 서브 밴드를 통해 저화질 데이터를 전송함과 동시에 복수의 서브 밴드 중 일 서브 밴드를 통해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의 정보를 포함하는 CSS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브 밴드를 통해 컨텐츠에 대한 저화질 데이터를 전송하던 중 수신 전자장치(100)로부터 ACK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송신 전자장치(200)는 더 이상 수신 전자장치(100) 내의 버퍼량이 부족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ACK 신호가 서브 밴드만을 통해 수신된 경우, 송신 전자장치(200)는 여전히 메인 밴드가 단절된 것으로 판단하고, 서브 밴드를 통해서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반면, ACK 신호가 메인 밴드 및 서브 밴드 모두를 통하여 수신된 경우, 송신 전자장치(200)는 메인 밴드의 통신이 재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전자장치(200)는 메인 밴드를 통해 원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서브 밴드를 통해 CSS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를 통해, 송신 전자장치(200)는 메인 밴드가 단절된 상황을 빠르게 인지하고, 서브 밴드의 전송률을 고려한 저화질 데이터 등을 서브 밴드를 통해 전송함에 따라 끊김 없는 데이터 전송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상황에 따라 전자장치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송신 전자장치(200)는 수신 전자장치(100)로 메인 밴드를 통해 원본 데이터를 전송하고, 서브 밴드를 통해 CSS를 전송할 수 있다(S910). 수신 전자장치(100)는 수신한 원본 데이터와 CSS를 조합하여, 누락된 데이터가 없는 경우 ACK 신호를 전송하고, 누락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DROP 신호를 전송하여 도 5에서 상술한 방법으로 누락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911).
한편, 송신 전자장치(200)는 수신 전자장치(100)가 전송한 응답신호에 대해서 메인 밴드를 통해서는 수신되지 않고 서브 밴드를 통해서만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메인 밴드가 단절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912). 이 경우, 송신 전자장치(200)는 수신 전자장치(100)에서 컨텐츠의 재생이 끊기지 않도록 서브 밴드를 통해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S913).
수신 전자장치(100)는 서브 밴드를 통해 원본 데이터를 전송받는 중, 서브 밴드의 전송률이 저하되는 등의 다양한 이유로 버퍼 내의 데이터 버퍼량이 기설정된 양 미만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914), 버퍼량이 부족하다는 BSS 신호를 메인 밴드 및 서브 밴드를 통해 송신 전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915).
이 경우에도 여전히 메인 밴드가 단절되어 서브 밴드만을 통해 BSS 신호를 수신한 송신 전자장치(200)는 서브 밴드를 통해 원본 데이터 대신에 원본 데이터를 트랜스 코딩한 저화질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916).
서브 밴드를 통해 저화질 데이터를 충분한 속도로 전송받은 결과, 수신 전자장치(100)는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버퍼량이 기설정된 양 이상이 된 경우, 송신 전자장치(200)로 ACK 신호 또는 DROP 신호를 메인 밴드와 서브 밴드 모두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S917).
송신 전자장치(200)는 수신 전자장치(100)로부터 전송된 ACK 신호 또는 DROP 신호를 메인 밴드를 통해 수신하게 되면, 메인 밴드가 재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918). 이 경우 송신 전자장치(200)는 처음 단계와 같이 메인 밴드를 통해 원본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서브 밴드를 통해 CSS를 수신 전자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919).
한편, 도 9에서 설명한 상황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전자장치는 도 10에서와같이 다양한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전송 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장치들은 1) 메인 밴드를 통해 원본 데이터를 전송하고 서브 밴드를 통해 CSS를 전송하는 방법(S1000), 2) 메인 밴드의 DROP 신호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반복되거나, 버퍼 내의 버퍼량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는 등의 다양한 이유로 메인 밴드의 전송률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메인 밴드를 통해 고화질 데이터를 전송하고 서브 밴드를 통해 저화질 데이터를 전송하는 Adaptive streaming 방법(S1010), 3) 메인 밴드가 단절되어 서브 밴드를 통해 원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S1020) 및 4) 메인 밴드가 단절되고. 버퍼 내의 버퍼량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는 등의 다양한 이유로 서브 밴드의 전송률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서브 밴드를 통해 저화질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S1030)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 전자장치(100)로부터 수신한 ACK, BSS, DROP 신호들을 통해 메인 밴드와 서브 밴드의 통신 연결 상태를 판단하고 적절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송신 전자장치(200)가 QOS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미 설명한 것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장치들은 메인 밴드의 연결 상태, 수신 전자장치(100) 내의 데이터 버퍼량 등의 전반적인 상황에 맞게 데이터 전송 방법을 유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장치들은 메인 밴드와 서브 밴드를 독립적이지 않고 유기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FST 방법에 의한 것과 달리 메인 밴드의 통신 상태를 예측하고 서브 밴드를 적절한 시점에 컨텐츠 재생을 끊김 없이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수신 전자장치 200: 송신 전자장치
110: 통신부 210: 통신부
120: 메모리 220: 메모리
130: 디스플레이 230: 프로세서
140: 프로세서

Claims (20)

  1.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전자장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해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원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상태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결 상태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된 원본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원본 데이터의 수신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고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 및 저화질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데이터의 누락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제1 응답 신호를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것이고,
    상기 원본 데이터의 일부가 누락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 데이터의 누락된 부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응답 신호를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것인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하여 상기 제2 응답 신호를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한 경우,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고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저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브 주파수 대역 중 제1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서브 주파수 대역 중 제2 서브 밴드를 통하여 상기 원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 데이터가 버퍼에 저장된 버퍼량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퍼량을 판단한 결과, 상기 버퍼량이 기설정된 양 미만인 경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고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저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인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 데이터가 버퍼에 저장된 버퍼량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버퍼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것인 전자장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량을 판단한 결과, 상기 버퍼량이 기설정된 양 미만인 경우,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버퍼량이 부족함을 알리기 위한 제3 응답 신호를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것이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고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저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인 제어방법.
  8.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및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가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의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고, 상기 원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상태 신호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면,
    상기 연결 상태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된 원본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원본 데이터의 수신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본 데이터의 누락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원본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제1 응답 신호를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원본 데이터의 일부가 누락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원본 데이터의 누락된 부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응답 신호를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하여 상기 제2 응답 신호를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한 경우,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고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저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전자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브 주파수 대역 중 제1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원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서브 주파수 대역 중 제2 서브 밴드를 통하여 상기 원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전자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본 데이터가 버퍼에 저장된 버퍼량을 판단하고,
    상기 버퍼량이 기설정된 양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고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하고, 상기 제2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저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전자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본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저장된 버퍼량을 판단하고, 상기 버퍼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퍼량을 판단하고, 상기 버퍼량이 기설정된 양 미만인 경우, 상기 버퍼량이 부족함을 알리기 위한 제3 응답 신호를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고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저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전자장치.
  15. 컨텐츠를 송신하는 전자장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해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원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상태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 장치가 수신한 상기 원본 데이터의 수신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컨텐츠의 고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 및 저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제어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응답 신호가 상기 외부 장치 내의 원본 데이터가 버퍼에 저장된 버퍼량이 부족함을 알리기 위한 응답 신호인 경우,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고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저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전자장치 제어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만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원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제어방법.
  18. 컨텐츠를 송신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해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원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상태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장치가 수신한 상기 원본 데이터의 수신 상태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응답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컨텐츠의 고화질 데이터 및 저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응답 신호가 상기 외부 장치 내의 원본 데이터가 버퍼에 저장된 버퍼량이 부족함을 알리기 위한 응답 신호인 경우,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메인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고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의 저화질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만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원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KR1020180109477A 2018-09-13 2018-09-13 영상전송을 위한 다중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QoS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513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477A KR102513433B1 (ko) 2018-09-13 2018-09-13 영상전송을 위한 다중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QoS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CT/KR2019/010345 WO2020054983A1 (en) 2018-09-13 2019-08-14 Qos control device in multi-wireless network environment for video transmission and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9860044.7A EP3804345A4 (en) 2018-09-13 2019-08-14 QOS REGULATION DEVICE IN A MULTIPLE HERTZIAN NETWORK ENVIRONMENT FOR VIDEO TRANSMISSION AND ITS CONTROL PROCEDURE
US16/545,087 US11212061B2 (en) 2018-09-13 2019-08-20 QoS control device in multi-wireless network environment for video transmission and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477A KR102513433B1 (ko) 2018-09-13 2018-09-13 영상전송을 위한 다중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QoS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795A KR20200030795A (ko) 2020-03-23
KR102513433B1 true KR102513433B1 (ko) 2023-03-24

Family

ID=69773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477A KR102513433B1 (ko) 2018-09-13 2018-09-13 영상전송을 위한 다중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QoS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12061B2 (ko)
EP (1) EP3804345A4 (ko)
KR (1) KR102513433B1 (ko)
WO (1) WO20200549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3327A (ko) * 2021-05-24 202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A/v 수신 장치 및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00644A1 (en) 2011-11-30 2013-06-05 Broadcom Corporation Audio-Visual Data Transmission over Internet Protocol at Higher Rates
EP3076609A1 (en) 2013-12-24 2016-10-05 Huawei Device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media data
US20170105216A1 (en) 2015-10-07 2017-04-13 Samsung Electronics Co .. Ltd. Adaptive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70111244A1 (en) 2015-10-20 2017-04-20 Arris Enterprises, Inc. Band steering using deep packet insp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7657B2 (ja) * 2005-07-04 2011-03-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送信装置
US8849289B2 (en) * 2009-09-23 2014-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and transfer in multiband communication system
KR101063410B1 (ko) * 2010-07-19 2011-09-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홈 디지털 인터페이스용 채널 밴드 폭 선택 시스템
KR20120010089A (ko) 2010-07-20 2012-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Http 기반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243737B1 (ko) 2011-09-15 2013-03-13 주식회사에어플러그 버퍼링된 데이터량에 따라 이종망(異種網)들간에 사용망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면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
US9584573B2 (en) * 2012-08-29 2017-02-28 Ericsson Ab Streaming polic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40269763A1 (en) 2013-03-15 2014-09-18 Qualcomm Incorporated Switching a network connection from a first network protocol to a second network protocol
KR20150045639A (ko) 2013-10-21 2015-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BR112016010481B1 (pt) * 2013-11-25 2022-06-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Sistema de comunicações, equipamento de usuário, estação base de onda milimétrica e método de comunicações
JP6285750B2 (ja) 2014-02-26 2018-02-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ータ転送装置、ホスト装置、データ転送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式設定方法
US10820242B2 (en) * 2017-08-31 2020-10-27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Reroute network traffic from millimeter-wave link to WLAN transmission
US20190373439A1 (en) * 2018-05-30 2019-12-05 Sony Corporation Scheduled and triggered mmw discovery assistance by lower band signal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00644A1 (en) 2011-11-30 2013-06-05 Broadcom Corporation Audio-Visual Data Transmission over Internet Protocol at Higher Rates
EP3076609A1 (en) 2013-12-24 2016-10-05 Huawei Device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media data
US20170105216A1 (en) 2015-10-07 2017-04-13 Samsung Electronics Co .. Ltd. Adaptive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70111244A1 (en) 2015-10-20 2017-04-20 Arris Enterprises, Inc. Band steering using deep packet insp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92074A1 (en) 2020-03-19
KR20200030795A (ko) 2020-03-23
EP3804345A1 (en) 2021-04-14
WO2020054983A1 (en) 2020-03-19
EP3804345A4 (en) 2021-08-18
US11212061B2 (en) 202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9646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reproduction device, and image reproduction system
CN105493508B (zh)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US9167296B2 (en) Customized playback at sink device in wireless display system
US9986579B2 (en) Split miracast transmission over multiple frequency bands
US10575047B2 (en) Decoding apparatus, decoding method, encoding apparatus, and encoding method
AU201431629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6406249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TWI504214B (zh) 用於無線通訊的設備及其方法
CN105556977A (zh) 动态及自动控制音频/视频流送的等待时间缓冲
CN105263066A (zh) 移动设备视频流传输控制方法及系统
US1008506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9860901B2 (en) Transmission of data to reception devices
CN104115498A (zh) 增强的无线显示
CN105530283A (zh) 点对点多媒体数据分享方法、电子装置及非易失可读式电脑媒体
KR102513433B1 (ko) 영상전송을 위한 다중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QoS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14972B1 (ko) Rui 시스템, rui 서버, rui 단말장치 및 제어 방법
US2022025560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channel selection in wireless av system
BR102016030687A2 (pt) Método, e, mídia legível por computador não transitó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