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141B1 - A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unit type of heating duct - Google Patents

A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unit type of heating du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141B1
KR102513141B1 KR1020220076040A KR20220076040A KR102513141B1 KR 102513141 B1 KR102513141 B1 KR 102513141B1 KR 1020220076040 A KR1020220076040 A KR 1020220076040A KR 20220076040 A KR20220076040 A KR 20220076040A KR 102513141 B1 KR102513141 B1 KR 102513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upstream
downstream
cold
green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60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정환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바우어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바우어에너지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바우어에너지
Priority to KR1020220076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14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1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8Mechanical apparatus for circulating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45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aight cold dual duct, which can provide uniform heat transfer indoors, comprising: a hollow upstream side pipe (20) which is provided in a hot/cold air blower (10) and is connected to an outlet of a blower for blowing hot air or cold air generated by the hot/cold air blower (10) from an outlet to an outside; a hollow downstream side pipe (40) which has an internal space shielded at a downstream end portion by a downstream end surface (42a) and is dispos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upstream side pipe (20) at a remote position; and a straight duct (30)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upstream side pipe (20) and the downstream side pipe (40) to communicate with the upstream side pipe (20) and the downstream side pipe (40) so as to form a first passage where the hot air or the cold air flows while being supplied by the hot/cold air blower (10), and to form first side discharge portions at both sides thereof, wherein the number of the first side discharge portions increases one by one in upstream and downstream sectors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mong a plurality of sectors so that the heat emission for each sector becomes the same in a greenhouse (60), which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ors (V1, V2, V3, V4) having the same lengths (L1, L2, L3, L4) from upstream to downstream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side discharge portions are formed in one or more forms of first discharge ports (30h1, 30h2, 30h3, 30h4) and first branch ducts (31a1, 31a2, 31a3, 31a4).

Description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A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unit type of heating duct}A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unit type of heating duct}

본 발명은 냉온풍기(10)에 구비되어 상기 냉온풍기(10)에 의해 생성된 온풍 또는 냉풍을 출구로부터 외부로 송풍하는 송풍기의 상기 출구에 연결된 중공의 상류측 관(20);과 하류측 단부면(42a)에 의해 내부 공간이 하류측 단부에서 차폐되어 있으며, 상기 상류측 관(20)과 원격한 위치에 이격되어 배치된 중공의 하류측 관(40);과 상기 상류측 관(20)과 하류측 관(40)과 연통하도록 상기 상류측 관(20)과 하류측 관(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온풍 또는 냉풍이 상기 냉온풍기(10)에 의해 공급되어 흐르는 제1 통로를 형성하고 양 측방에 제1 측방 토출부를 형성하고 있는 직조필름 재질의 일자형 덕트(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방 토출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류에서 하류로 가면서 동일한 길이(L1, L2, L3, L4)를 가지는 복수의 섹터(V1, V2, V3, V4)로 구획되는 온실(60) 내에서 각 섹터별 방출 열량이 동일해지도록 복수의 상기 섹터 중 서로 접하는 상류 및 하류의 섹터에서 상류의 섹터보다 하류의 섹터에서 개수가 하나씩 증가하며, 제1 토출구(30h1, 30h2, 30h3, 30h4)와 제1 분기 덕트(31a1, 31a2, 31a3, 31a4) 중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upstream side pipe 20 provided in a cooling/heating fan 10 and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blower for blowing warm air or cold air generated by the cooling/heating fan 10 to the outside from the outlet; and a downstream end The inner space is shielded at the downstream end by the side surface 42a, and the hollow downstream pipe 40 is disposed remotely from the upstream pipe 20; and the upstream pipe 20 and a first passage disposed between the upstream pipe 20 and the downstream pipe 4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downstream pipe 40, through which the warm air or cold air is supplied by the cold and warm air fan 10 and flows and a straight duct 30 made of a woven film material having first side discharge portions formed on both sides, wherein the first side discharge portion has the same length (L1, L2, L3) from upstream to downstream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In a greenho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increases by one in the sector downstream of the sector,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one or more of the first outlets (30h1, 30h2, 30h3, 30h4) and the first branch ducts (31a1, 31a2, 31a3, 31a4). It relates to a cold/hot air branch duct with reduced temperature deviation.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와 같은 작물재배 시설에서 여름이나 겨울에 재배작물이 자라기 최적화된 온도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냉온풍 장치가 설치되고, 냉온풍 장치에서 나오는 온풍 또는 냉풍을 실내에 고르게 전달하기 위하여 덕트가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in crop cultivation facilities such as greenhouses, cooling and warming air devices are installed to provide an environment of optimum temperature for growing crops in summer or winter, and ducts are installed to evenly deliver warm or cold air from the cooling and heating device to the room. is being used

온풍 또는 냉풍이 덕트를 통하여 지나가게 되면 냉온풍 장치와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덕트 표면을 통해 열손실이 발생하여, 덕트 내에서 냉온풍 장치와 가까운 곳과 먼 곳의 온도차가 커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작물생육의 불균형이 발생하여 품질이 저하되고 생산성이 낮아지며, 냉온풍 장치로부터 먼 곳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냉온풍 장치의 출력을 올려야 하므로 유지비용도 증가하게 된다.When warm air or cold air passes through the duct, heat loss occurs through the surface of the duct as the distance from the cold and hot air device increases, and a phenomenon in which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a place near and a place far from the cold and warm air device in the duct increases. However, the imbalance in crop growth occurs, resulting in deterioration in quality and low productivity, and maintenance costs increase because the output of the cooling and warming air devices must be increas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far away from the cold and hot air devices.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3820호(2018.10.25.) "육묘 재배 하우스"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913820 (2018.10.25.) "Raising seedling cultivation house" is disclosed.

헤당 기술은 "돔 구조물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지붕부와 측벽부를 덮게되는 보온방충성 덮개; 상기 보온방충성 덮개를 펼쳐지게 하거나 걷히도록 하는 개폐기; 상기 프레임 내부의 바닥면에 마련되되, 하부면에 복수의 바퀴가 장착되고, 배수를 위한 하나 이상의 배수구멍이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 베드; 상기 하부 베드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서포트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배수구멍이 형성되되, 하나 이상의 입수구가 마련되는 상부 베드; 상기 배수구멍에 탈부착될 수 있으며, 거름망을 갖춘 거름바스켓과 상기 거름바스켓 상부를 밀폐시키는 마개로 이루어지는 배수구 제어모듈; 상기 상부 베드 상측 또는 상기 상부 베드 하측에 설치되어 냉풍 또는 온풍을 송풍시킬 수 있는 냉온풍기; 상기 냉온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유동하게 되며, 상기 상부 베드에 의해 구분되는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을 따라 배치되고, 복수의 에어홀을 통해 냉풍 또는 온풍을 배출시키는 송풍튜브; 상기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에 빛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전조등; 및 상기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구비되되, 상기 개폐기와 연결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보온방충성 덮개를 감기게 하거나 풀리게 하는 샤프트의 양단을 지지하여 이동경로를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개폐기 이동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기 이동 가이드는, 상기 프레임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마련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되, 상기 샤프트에 관통 결합되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 재배 하우스."를 제시하였다.Hedang technology is "a frame forming a dome structure; a heat-insulating and insect-repellent cover covering the roof and side walls of the frame;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unfolding or opening the heat-repellent and insect-proof cover;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but lower One or more lower bed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on the surface and provided with one or more drainage holes for drainag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ed and supported and installed by a support, one or more drainage holes are formed, and one or more An upper bed equipped with an inlet; Detachable from the drain hole, a drain control module composed of a filter basket equipped with a filter net and a stopper sealing the top of the filter basket;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r lower side of the upper bed to generate cold air or Cooling and warming fans capable of blowing warm air; The air blown by the cold and warming fans flows, is disposed along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separated by the upper bed, and discharges cold or warm air through a plurality of air holes A ventilation tube for providing light to the upper and lower spaces; and a plurality of headlamps for providing light to the upper and lower spaces; and shafts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frame, which are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parts to rotate, thereby winding or unwinding the heat-insulating insect-repellent cover. and an open/closer movement guide provided to provide a movement path by supporting both ends of the open/closer movement guide, wherein the open/close switch movement guide is engaged with rack gears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rame and the rack gear, the shaft A seedling cultivation hous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inion coupled through."

하지만, 해당 기술은 냉풍 혹은 온풍을 배출하는 송풍튜브(800)의 에어홀(810)의 개수가 냉온풍장치와 가까운 곳과 먼곳을 가리지 않고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냉풍 또는 온풍이 송풍튜브(800)의 상류로부터 하류로 감에 따라 방출되는 열량이 불균일해짐으로써, 배출되는 냉풍 또는 온풍의 배출되는 열량이 육묘 재배 하우스 내에서 송풍튜브(800)의 상류로부터 하류로 감에 따라 배출 열량이 불균일해짐에 따라 실내에 고른 열전달이 되지 않을 우려 점이 있다.However, in this technology, the number of air holes 810 of the blowing tube 800 for discharging cold or warm air is irregularly formed regardless of whether it is near or far from the cold or hot air device, and therefore cold or warm air is blown through the blowing tube 800. ) The amount of heat emitted becomes non-uniform as it goes from the upstream to the downstream of the discharged heat, so that the amount of heat discharged from the cool air or warm air becomes non-uniform as the amount of heat discharged goes from the upstream to the downstream of the blowing tube 800 in the seedling cultivation house. Accordingly, there is a concern that even heat transfer to the room may not be achieved.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7140호(2008.12.26.)에서도 "물이 공급되는 냉온수조(11)의 하부 일측으로 온수가열수단(13)으로 가열되는 온수보일러(12)를 형성하고, 냉온수조(11)의 하부 타측으로 냉각시키는 냉각수단(14)을 형성하며, 냉온수조(11)의 일측으로 냉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공급관(15)을 형성한 냉온수공급부(10)와, 상기 냉온수공급부(10)의 냉온수공급관(15)을 교환몸체(21)의 내부에 복수로 굴곡된 교환배관(22)의 일측의 냉온수공급구(24)에 연결하고, 교환배관(22)의 외측으로 교환몸체(21)에 고정되어 냉온기를 방사하는 냉온기방사판(23)을 형성한 열교환부(20)와, 상기 열교환부(20)의 교환몸체(21)를 복수로 삽입 설치하도록 교환공간(32)을 구비한 교환몸체(21)의 일측으로 흡기팬(34)이 구비된 공기공급구(33)를 형성하고, 교환몸체(21)의 타측으로 냉온기를 공급하는 냉온기공급구(36)를 형성한 냉온교환부(30)와, 상기 냉온교환부(30)의 냉온기공급구(36)에 연결되어 냉온기를 공급하도록 냉온풍공급관(41)를 형성하고, 냉온풍공급관(41)에 복수의 통공으로 냉온풍공급공(42)을 형성하여 냉온풍을 공급하도록 형성한 냉온풍공급부(4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를 제안하고 있다.In addition,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77140 (2008.12.26.), "the hot water boiler 12 heated by the hot water heating means 1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cold and hot water tank 11 to which water is supplied, and cold and hot water A cold and hot water supply unit 10 having a cooling means 14 for cooling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tank 11 and a cold and hot water supply pipe 15 for supplying cold and hot water to one side of the cold and hot water tank 11, and the cold and hot water supply unit ( The cold and hot water supply pipe 15 of 10) is connected to the cold and hot water supply port 24 on one side of the exchange pipe 22 bent in plurality inside the exchange body 21, and the exchange pipe 22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exchange body ( 21) is provided with a heat exchange unit 20 in which a cold/warm air radiating plate 23 for radiating cold and warm air is formed, and an exchange space 32 for inserting and installing a plurality of exchange bodies 21 of the heat exchange unit 20 A hot/cold exchange unit having an air supply port 33 equipped with an intake fan 34 formed on one side of one exchange body 21 and a cold/warm air supply port 36 supplying cold/warm air to the other side of the exchange body 21. 30 and the cold and warm air supply port 36 of the cold and hot exchange unit 30 to form a cold and hot air supply pipe 41 to supply cold and warm air, and supply cold and hot air to the cold and hot air supply pipe 41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 warm air and cold ai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ld and hot air supply unit 40 formed with a ball 42 to supply cold and hot air."

위 종래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7140호의 온풍 및 냉풍 공급장치 역시 냉온풍공급공(42)의 개수가 냉온교환부(30)와 가까운 곳과 먼곳을 가리지 않고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냉풍 또는 온풍이 냉온풍공급부(40)의 상류로부터 하류로 감에 따라 열 손실이 발생함으로써, 배출되는 냉풍 또는 온풍의 배출되는 열량이 육묘 재배 하우스 내에서 냉온풍공급부(40)의 상류로부터 하류로 감에 따라 배출 열량이 적어짐에 따라 실내에 고른 열전달이 되지 않을 우려 점이 있다.The above conventional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77140 hot air and cold air supply device also has the same number of cold and hot air supply holes 42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near or far from the cold/hot exchange unit 30, and thus cold air or As the warm air flows from the upstream to the downstream of the cold and warm air supply unit 40, heat loss occurs, so that the amount of heat discharged from the cold or warm air discharged goes from the upstream to the downstream of the cold and warm air supply unit 40 in the seedling cultivation house. As the amount of heat emitted decreases, there is a concern that even heat transfer to the room may not be achiev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3820호(2018.10.25.)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913820 (2018.10.2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7140호(2008.12.26.)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877140 (2008.12.26.)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온실과 같은 작물재배시설의 분배식 온풍 또는 냉풍 덕트에 있어서, 냉온풍장치에 연통되게 연결된 일자형 덕트 중 온실의 상류측 섹터와 하류측 섹터에 위치하는 일자형 덕트에서 방출되는 열량을 동일하게 하여 온실 내 온도편차를 저감하여 실내에 고른 열전달이 되게 할 수 있는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를 제공하는 것이 주된 해결과제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more actively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 a distribution type warm air or cold air duct of a crop cultivation facility such as a greenhouse, the upstream sector of the greenhouse The main problem to solve is to provide a branch duct for cold and hot air with reduced temperature variation in the greenhouse that can reduce the temperature variation within the greenhouse by equalizing the amount of heat emitted from straight ducts located in the downstream sector, thereby enabling even heat transfer to the room. am.

또한, 본 발명은, 일자형의 이중덕트와 함께 'U'자 형태로 온실 내에 배치되어 있는 지팡이형 덕트를 더 구비하여 실내에 더욱 고르게 열을 배출하는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ld and hot wind branch duct with reduced temperature variation in the greenhouse which further includes a wand-type duct disposed in the greenhouse in a 'U' shape together with the straight double duct to discharge heat more evenly into the room. Providing is another challenge.

또한, 본 발명은, 냉온풍장치에 연통되게 연결된 일자형 덕트의 제1 측방 토출부 또는 일자형 덕트에 연통되게 연결된 지팡이형 덕트의 제2 측방 토출부를 각각 토출구와 분기 덕트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하여 온실의 상류측 섹터와 하류측 섹터에 위치하는 일자형 덕트에서 방출되는 열량을 동일하게 함과 동시에 분기 덕트를 통해서는 온실 내 재배 작물을 향해 냉풍 또는 온풍이 송풍되게 하여 온실 내 재배 작물에 닿아 이상고온시 재배 작물의 돌방병해충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이상저온시 재배 작물의 냉해 피해를 예방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ide discharge part of the straight duct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ooling and warm air device or the second lateral discharge part of the wand-shaped duct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straight duct is constituted by at least one of the discharge port and the branch duct, respectively, so as to provide a greenhouse The amount of heat emitted from the straight ducts located i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sectors is equalized, and at the same time, cool or warm air is blown toward the crops grown in the greenhouse through the branch duct, so that it touches the crops grown in the greenhouse and grows at abnormally high temperatures. Another challenge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burst pests in crops or to prevent damage from cold damage to cultivated crops at abnormally low temperatures.

또한, 본 발명은 상류측 관의 상류측 단부에 연결되어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젖혀질 수 있는 복수의 사각형 절편을 구성하여 상류측 관 입구의 개방 정도가 조절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송풍기로부터 상류측 관의 안으로 공급되는 냉풍 도는 온풍의 공급량이 조절될 수 있게 하여 온실 내로 방출되는 열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추가의 해결과제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a plurality of rectangular segments that are connected to the upstream end of the upstream pipe and can be bent around the connection portion, so that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upstream pipe inlet can be adjusted, and accordingly, the upstream pipe from the blower can be controlled. It is a further challenge to be able to control the amount of heat emitted into the greenhouse by allowing the supply of cold air or warm air supplied into the greenhouse to be regulated.

또한, 본 발명은, 냉온풍장치에 연통되게 연결된 일자형 덕트의 제1 측방 토출부 또는 일자형 덕트에 연통되게 연결된 지팡이형 덕트의 제2 측방 토출부로부터 온실 내로 방출되는 냉풍 또는 온풍의 풍향을 상하로 조절되게 하여 온실 내 재배 작물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도 재배 작물의 원하는 부위로 냉풍 또는 온풍을 향하게 하여 재배 작물의 피해 예방 및 생육 촉진을 이룰 수 있게 하는 것이 다른 추가의 해결과제이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 direction of the cool air or warm air discharged into the greenhouse from the first side discharge portion of the straight duct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ooling and warm air device or the second lateral discharge portion of the cane-shaped duct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straight duct is directed upward and downward. It is another additional challenge to control and direct cold or warm air to a desired part of the cultivated crop even when the height of the cultivated crop in the greenhouse is high,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cultivated crop and promoting growth.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ld/hot air branch duct for reducing the temperature deviation in the greenhous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냉온풍기(10)에 구비되어 상기 냉온풍기(10)에 의해 생성된 온풍 또는 냉풍을 출구로부터 외부로 송풍하는 송풍기의 상기 출구에 연결된 중공의 상류측 관(20);과 하류측 단부면(42a)에 의해 내부 공간이 하류측 단부에서 차폐되어 있으며, 상기 상류측 관(20)과 원격한 위치에 이격되어 배치된 중공의 하류측 관(40);과 상기 상류측 관(20)과 하류측 관(40)과 연통하도록 상기 상류측 관(20)과 하류측 관(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온풍 또는 냉풍이 상기 냉온풍기(10)에 의해 공급되어 흐르는 제1 통로를 형성하고 양 측방에 제1 측방 토출부를 형성하고 있는 직조필름 재질의 일자형 덕트(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방 토출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류에서 하류로 가면서 동일한 길이(L1, L2, L3, L4)를 가지는 복수의 섹터(V1, V2, V3, V4)로 구획되는 온실(60) 내에서 각 섹터별 방출 열량이 동일해지도록 복수의 상기 섹터 중 서로 접하는 상류 및 하류의 섹터에서 상류의 섹터보다 하류의 섹터에서 개수가 하나씩 증가하며, 제1 토출구(30h1, 30h2, 30h3, 30h4)와 제1 분기 덕트(31a1, 31a2, 31a3, 31a4) 중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upstream side pipe 20 provided in a cooling/heating fan 10 and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blower for blowing warm air or cold air generated by the cooling/heating fan 10 to the outside from the outlet; and a downstream end The inner space is shielded at the downstream end by the side surface 42a, and the hollow downstream pipe 40 is disposed remotely from the upstream pipe 20; and the upstream pipe 20 and a first passage disposed between the upstream pipe 20 and the downstream pipe 4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downstream pipe 40, through which the warm air or cold air is supplied by the cold and warm air fan 10 and flows and a straight duct 30 made of a woven film material having first side discharge portions formed on both sides, wherein the first side discharge portion has the same length (L1, L2, L3) from upstream to downstream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number increases by one in the sector downstream from the sector,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form of one or more of the first outlets 30h1, 30h2, 30h3, and 30h4 and the first branch ducts 31a1, 31a2, 31a3, and 31a4.

상기 상류측 관(20)은 상류측 단부에 연결되어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젖혀질 수 있는 복수의 사각형 절편(20c)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stream pipe 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rectangular segments 20c connected to the upstream end and capable of being bent around the connection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는, 단일의 덕트로서 일단부가 상기 하류측 관(40)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일자형 덕트(30)와 함께 'U'자 형태로 상기 온실(60) 내에 배치되고, 상기 온풍 또는 냉풍이 상기 송풍기에 의해 공급되어 흐르는 제2 송풍 통로를 형성하는 직조필름 재질의 지팡이형 덕트(30');와 상기 지팡이형 덕트(30')의 일자형 부분의 양 측방에 형성된 제2 측방 토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방 토출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류에서 하류로 가면서 동일한 길이(L1, L2, L3, L4)를 가지는 복수의 섹터(V1, V2, V3, V4)로 구획되는 온실(60) 내에서 각 섹터별 방출 열량이 동일해지도록 복수의 상기 섹터 중 서로 접하는 상류 및 하류의 섹터에서 하류의 섹터보다 상류의 섹터에서 개수가 하나씩 증가하며, 제2 토출구(30h1', 30h2', 30h3', 30h4')와 제2 분기 덕트(30b1, 30b2, 30b3, 30b4) 중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ld and hot air branch duct of the greenhouse temperature variation reduction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ngle duct,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downstream pipe 40 in communication with the straight duct 30 in a 'U' shape. A cane-shaped duct 30' made of a woven film disposed in the greenhouse 60 and forming a second blowing passage through which the warm air or cold air is supplied by the blower and flows; and the cane-shaped duct 30' A plurality of sectors (V1) having the same length (L1, L2, L3, L4) from upstream to downstream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urther comprising second side discharge uni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raight portion. , V2, V3, V4), the number of upstream and downstream sector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sectors is increased by one in the upstream sector rather than the downstream sector so that the amount of heat emitted by each sector is the same in the greenhouse 60 partitioned into sectors.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t least one form of the second discharge ports (30h1', 30h2', 30h3', 30h4') and the second branch ducts (30b1, 30b2, 30b3, 30b4).

상기 제1 토출구(30h1, 30h2, 30h3, 30h4)와 제1 분기 덕트(31a1, 31a2, 31a3, 31a4)와 제2 토출구(30h1', 30h2', 30h3', 30h4')와 제2 분기 덕트(30b1, 30b2, 30b3, 30b4)는, 각각, 외측 단부 인접부의 하측 정점부에 접하는 부분 또는 외측 단부면의 하측 부분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수평으로 배치되는 직조필름 재질의 날개(30W);와 상기 제1, 2 토출구의 상측 정점부의 위쪽에 위치하는 일자형 덕트(30) 또는 지팡이형 덕트(30')의 외주면 또는 제1, 2 분기덕트의 자유단부 인접부의 상측 정점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고리(30r);와 일단부가 상기 날개(30W)의 자유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고리(30r)에 끼워져 묶여질 수 있는 끈(3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outlets 30h1, 30h2, 30h3, and 30h4, the first branch ducts 31a1, 31a2, 31a3, and 31a4, the second outlets 30h1', 30h2', 30h3', and 30h4', and the second branch duct ( 30b1, 30b2, 30b3, 30b4) are, respectively, a wing (30W) made of a woven film material that is horizontally disposed with one end connected to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ower apex of the outer end adjacent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end surface; and A ring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aight duct 30 or wand-type duct 30 'located above the upper apex of the 1st and 2nd discharge ports or the upper apex adjacent to the fre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ranch ducts ( 30r); and a string 3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ree end of the wing 30W and the other end inserted into the ring 30r to be tied.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첫째, 냉온풍장치에 연통되게 연결된 일자형 덕트 중 온실의 상류측 섹터와 하류측 섹터에 위치하는 일자형 덕트에서 방출되는 열량을 동일하게 하여 온실 내 온도편차를 저감하여 실내에 고른 열전달이 되게 할 수 있는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First, the amount of heat emitted from the straight ducts located i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sectors of the greenhouse among the straight duct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ooling and warming air devices is equalized to reduce the temperature deviation in the greenhouse, thereby enabling even heat transfer to the room.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cold and hot wind branch duct for reducing the temperature deviation in the greenhouse.

둘째, 일자형의 이중덕트와 함께 'U'자 형태로 온실 내에 배치되어 있는 지팡이형 덕트를 더 구비하여 실내에 더욱 고르게 열을 배출하는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Second, the effect of providing a branch duct for cold and hot air in the greenhouse reducing temperature variation in the greenhouse by further providing a cane-type duct disposed in the greenhouse in a 'U' shape along with the straight double duct. have

셋째, 냉온풍장치에 연통되게 연결된 일자형 덕트의 제1 측방 토출부 또는 일자형 덕트에 연통되게 연결된 지팡이형 덕트의 제2 측방 토출부를 각각 토출구와 분기 덕트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하여 온실의 상류측 섹터와 하류측 섹터에 위치하는 일자형 덕트에서 방출되는 열량을 동일하게 함과 동시에 분기 덕트를 통해서는 온실 내 재배 작물을 향해 냉풍 또는 온풍이 송풍되게 하여 온실 내 재배 작물에 닿아 이상고온시 재배 작물의 돌방병해충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이상저온시 재배 작물의 냉해 피해를 예방하는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Third, the first lateral discharge part of the straight duct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ooling and warm air device or the second lateral discharge part of the wand-shaped duct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straight duct is constituted by at least one of the discharge port and the branch duct, respectively, so that the upstream sector of the greenhouse and The amount of heat emitted from the straight duct located in the downstream sector is equalized, and at the same time, cold or warm air is blown toward the crops grown in the greenhouse through the branch duct, so that it touches the crops grown in the greenhouse and prevents outbreaks of crops at abnormally high temperatures.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cold and hot wind branch duct of a type reducing the temperature deviation in the greenhouse that prevents the occurrence of cold damage or damage to cultivated crops at abnormally low temperatures.

넷째, 상류측 관의 상류측 단부에 연결되어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젖혀질 수 있는 복수의 사각형 절편을 구성하여 상류측 관 입구의 개방 정도가 조절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송풍기로부터 상류측 관의 안으로 공급되는 냉풍 도는 온풍의 공급량이 조절될 수 있게 하여 온실 내로 방출되는 열량을 조절할 수 있는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Fourth, it is connected to the upstream end of the upstream pipe to form a plurality of rectangular segments that can be bent around the connection portion, so that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upstream pipe inlet can be adjusted, and accordingly, the blower is supplied into the upstream pipe. It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cold/hot air branch duct of a type reducing temperature deviation in the greenhouse capable of adjusting the amount of heat emitted into the greenhouse by controlling the supply amount of cold air or warm air.

다섯째, 냉온풍장치에 연통되게 연결된 일자형 덕트의 제1 측방 토출부 또는 일자형 덕트에 연통되게 연결된 지팡이형 덕트의 제2 측방 토출부로부터 온실 내로 방출되는 냉풍 또는 온풍의 풍향을 상하로 조절되게 하여 온실 내 재배 작물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도 재배 작물의 원하는 부위로 냉풍 또는 온풍을 향하게 하여 재배 작물의 피해 예방 및 생육 촉진을 이룰 수 있게 하는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Fifth, the wind direction of the cold or warm air discharged into the greenhouse from the first side discharge part of the straight duct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old and warm air device or the second lateral discharge part of the cane-shaped duct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straight duct is adjusted upward and downward to the greenhouse. Even when the height of the cultivated crops is high, cold or warm air is directed to the desired part of the cultivated crops to prevent damage to cultivated crops and promote growth.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의 온실내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의 횡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의 구성요소 중 상류측 관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상류측 관의 상류측 단부에 연결되어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젖혀질 수 있는 복수의 사각형 절편을 더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류측 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로서 상류측 관의 내부관의 상류측 단부에 연결되어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젖혀질 수 있는 복수의 사각형 절편이 젖혀지기 전의 A 상태와 젖혀진 후의 B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의 구성요소 중 하류측 관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에 지팡이형 덕트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9와 10은 도 1의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의 구성요소 중 일자형 이중 덕트와 덕트의 상측 정점부 인접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구비된 와이어 수용부에 수용되어 온실의 프레임에 연결된 와이어와 온실의 프레임과 와이어 수용부 사이의 와이어의 부분에 설치된 턴버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in a greenhouse of a cold/hot air branch duct for reducing temperature variation in a green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ld/hot air branch duct for reducing temperature deviation in the greenhouse of FIG. 1 .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stream pipe among components of the cold/hot air branch duct for reducing temperature variation in the greenhouse of FIG. 1 .
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stream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urther including a plurality of rectangular segments connected to the upstream end of the upstream tube of Figure 3a and capable of being bent around the connection por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3, in which a plurality of rectangular segments connected to the upstream end of the inner tube of the upstream tube and capable of being bent around the connection portion are in a state A before being bent and a state B after being bent. It is a cross-section representing the state.
FIG.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downstream pipe among components of the cold/hot air branch duct for reducing temperature deviation in the greenhouse of FIG. 1 .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ld/hot air branch duct for reducing temperature deviation in a greenhou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wand-type duct is additionally provided to the cold/warm air branch duct for reducing temperature deviation in a greenhouse of FIG. 1 .
7 is a BB′ line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6;
9 and 10 are accommodated in the wire accommodating part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ear double duct and the adjacent part of the upper apex of the duct, among the components of the cold and hot air branch duct of the greenhouse temperature variation reduction type of FIG. 1, to frame the greenhouse. It is a view showing the wire connected to and the turnbuckle installed on the portion of the wire between the frame and the wire receiving portion of the greenhouse.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sulting actions and effects will be collectively describ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의 온실내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의 횡단면도이며, 도 3a는 도 1의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의 구성요소 중 상류측 관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상류측 관의 상류측 단부에 연결되어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젖혀질 수 있는 복수의 사각형 절편을 더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류측 관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로서 상류측 관의 내부관의 상류측 단부에 연결되어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젖혀질 수 있는 복수의 사각형 절편이 젖혀지기 전의 A 상태와 젖혀진 후의 B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의 구성요소 중 하류측 관의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에 지팡이형 덕트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의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9와 10은 도 1의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의 구성요소 중 일자형 이중 덕트와 덕트의 상측 정점부 인접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구비된 와이어 수용부에 수용되어 온실의 프레임에 연결된 와이어와 온실의 프레임과 와이어 수용부 사이의 와이어의 부분에 설치된 턴버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greenhouse temperature deviation reduction type cold/warm air branch duct in a green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emperature deviation reduction type cold/warm air branch duct in the greenhouse of FIG. 1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stream tube among the components of the cold/warm air branch duct of the greenhouse temperature variation reduction type in FIG. 1, and Figure 3b is connected to the upstream end of the upstream tube of Figure 3a It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stream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urther including a plurality of rectangular segments that can be bent to the center,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AA' of FIG. 3 at the upstream end of the inner pipe of the upstream pipe.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 before a plurality of rectangular segments that can be connected and bent around the connection portion are bent and a state B after being bent, and FIG.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downstream pipe among components, and FIG. 6 is a temperature deviation in a greenhou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wand-type duct is additionally provided to the cold and hot air branch duct for reducing temperature deviation in the greenhouse of FIG. 1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2,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6, and FIGS. 9 and 10 a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greenhouse of FIG. 1 Among the components of the variation-reducing type of cold and hot air branch duct, the straight double duct and the wire received in the wire accommodating part provid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adjacent part of the upper apex of the duct and connected to the frame of the greenhouse, and the frame and the wire accommodating part of the greenhouse It is a drawing showing the turnbuckle installed on the part of the wire between.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자형의 이중덕트는, 상류측 관(20), 하류측 관(40), 일자형 덕트(30)를 포함한다.1 to 5, the straight double 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stream pipe 20, a downstream pipe 40, and a straight duct 30.

중공의 상기 상류측 관(20)은, 냉온풍기(10)에 구비되어 상기 냉온풍기(10)에 의해 생성된 온풍 또는 냉풍을 출구로부터 외부로 송풍하는 송풍기의 상기 출구에 연결되어 있어, 냉온풍기(10)에 의해 생성된 온풍 또는 냉풍을 출구로부터 외부로 송풍할 수 있다.The hollow upstream pipe 20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blower provided in the cold/heat fan 10 and blowing the warm air or cold air generated by the cold/heat fan 10 from the outlet to the outside. The warm air or cold air generated by (10) can be blown out from the outlet.

중공의 상기 하류측 관(40)은, 하류측 단부면(42a)에 의해 내부 공간이 하류측 단부에서 차폐되어 있으며, 상기 상류측 관(20)과 원격한 위치에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직조필름 재질의 상기 일자형 덕트(30)는, 상기 상류측 관(20)과 하류측 관(40)과 연통하도록 상기 상류측 관(20)과 하류측 관(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온풍 또는 냉풍이 상기 냉온풍기(10)에 의해 공급되어 흐르는 제1 통로를 형성하고 양 측방에 제1 측방 토출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냉온풍기(10)로부터 송풍되는 온풍 또는 냉풍이 일자형 덕트(30)의 제1 송풍 통로를 따라 흐른 후 하류측 관(40)으로 송풍되되, 하류측 관(40)이 하류측 단부면(42a)에 의해 내부 공간이 하류측 단부에서 차폐되어 있기 때문에 차폐된 상기 내부 공간을 통해서는 냉온풍기(10)로부터 송풍되는 온풍 또는 냉풍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한다.The hollow downstream pipe 40 has an inner space shielded at the downstream end by a downstream end surface 42a,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upstream pipe 20, and is woven The straight duct 30 made of a film material is disposed between the upstream pipe 20 and the downstream pipe 4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upstream pipe 20 and the downstream pipe 40, and the warm air Alternatively, a first passage through which cold air is supplied by the cold and warm air fan 10 is formed, and first side discharge units are formed at both sides.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warm air or cold air blown from the cold/heat fan 10 flows along the first blowing passage of the straight duct 30 and then blows to the downstream pipe 40, while the downstream pipe 40 flows through the downstream pipe 40. Since the inner space is shielded at the downstream end by the end surface 42a, the warm air or cold air blown from the cold/heat fan 10 canno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hielded inner space.

상기 제1 측방 토출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류에서 하류로 가면서 동일한 길이(L1, L2, L3, L4)를 가지는 복수의 섹터(V1, V2, V3, V4)로 구획되는 온실(60) 내에서 각 섹터별 방출 열량이 동일해지도록 복수의 상기 섹터 중 서로 접하는 상류 및 하류의 섹터에서 상류의 섹터보다 하류의 섹터에서 개수가 하나씩 증가하며, 제1 토출구(30h1, 30h2, 30h3, 30h4)와 제1 분기 덕트(31a1, 31a2, 31a3, 31a4) 중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온실(60) 내로 방출되는 온풍 또는 냉풍의 양도 상류의 섹터보다 하류의 섹터에서 더 많이 방출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온풍 또는 냉풍이 상기 일자형 덕트(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냉온풍기(10)로부터 원격한 위치로 갈수록 어느 정도의 열 손실 또는 열 증가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위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류에서 하류로 가면서 동일한 길이(L1, L2, L3, L4)를 가지는 복수의 섹터(V1, V2, V3, V4)로 구획되는 온실(60) 내에서 각 섹터별 방출 열량이 동일해지도록 복수의 상기 섹터 중 서로 접하는 상류 및 하류의 섹터에서 상류의 섹터보다 하류의 섹터에서 제1 측방 토출부의 개수가 하나씩 증가하게 되면 제1 측방 토출부를 통한 온풍의 온실(60) 내로의 방출시 온실(60)의 각 섹터별 방출되는 열량(Q1(Q1'+Q1"), Q2(Q2'+Q2"), Q3(Q3'+Q3"), Q4(Q4'+Q4"))은 동일하게 유지(Q1 = Q2 = Q3 = Q4)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 섹터 내의 제1 토출부(예, 제1 분기 덕트(31a1))의 개수는 1개이고 제2 섹터 내의 제1 토출부(예, 제1 토출구(31h2)와 제1 분기 덕트(31a2))의 개수의 합은 2개이며, 제3 섹터 내의 제1 토출부(예, 제1 토출구(31h3)와 제1 분기 덕트(31a3))의 개수의 합은 3개이고, 제4 섹터 내의 제1 토출부(예, 제1 토출구(31h4)와 제1 분기 덕트(31a4)의 개수의 합은 4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1 토출부의 개수가 아래 표 1과 같이 구성되고 그때 온실길이, 섹터 체적(이때 섹터 체적의 길이), 제1 토출부 간격은 아래 표 1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side discharge uni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ors (V1, V2, V3, V4) having the same length (L1, L2, L3, L4) while going from upstream to downstream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greenhouse 60 The number of upstream and downstream sectors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creases by one in the downstream sector than the upstream sector so that the amount of heat released for each sector is the same, and the first discharge ports 30h1, 30h2, 30h3, and 30h4 It is made in the form of one or more of the first branch ducts 31a1, 31a2, 31a3, and 31a4. With this configuration, the amount of warm air or cold air discharged into the greenhouse 60 is greater in the downstream sector than in the upstream sector. In this regard, since a certain degree of heat loss or heat increase occurs as the warm air or cold air moves toward a location remote from the cold/heat fan 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ight duct 30, as described above,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greenhouse 60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ors (V1, V2, V3, V4) having the same length (L1, L2, L3, L4) from upstream to downstream along If the number of first side discharge parts increases by one i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sectors contacting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sectors lower than the upstream sector, when warm air is discharged into the greenhouse 60 through the first side discharge parts, the greenhouse ( 60), the amount of heat emitted by each sector (Q1(Q1'+Q1"), Q2(Q2'+Q2"), Q3(Q3'+Q3"), Q4(Q4'+Q4")) remains the same. (Q1 = Q2 = Q3 = Q4). In FIG. 1 , the number of first discharge units (eg, the first branch duct 31a1) in the first sector is one, and the number of first discharge units (eg, the first discharge port 31h2) and the first branch duct ( 31a2)) is 2, the sum of the numbers of the first discharge parts (eg, the first outlet 31h3 and the first branch duct 31a3) in the third sector is 3, and the number in the fourth sector is 3. Although the sum of the numbers of the first discharge unit (eg, the first discharge port 31h4 and the first branch duct 31a4) is illustrated as fou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first discharge unit It is configured as shown in Table 1 below, and then the greenhouse length, the sector volume (the length of the sector volume in this case), and the first discharge part interval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Table 1 below.

온실길이(m)Greenhouse length (m) 섹터 체적sector volume
(섹터 체적의 (sector volume of
길이)length)
제1 토출부 개수Number of first discharge parts 제1 토출부간Between the first discharge part
간격(m)Interval (m)
5050 V1(10m)V1(10m) 1818 0.550.55 V2(10m)V2(10m) 1919 0.520.52 V3(10m)V3 (10m) 2020 0.500.50 V4(10m)V4 (10m) 2121 0.470.47 V5(10m)V5 (10m) 2222 0.450.45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제2 실시예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구성 외에, 상기 상류측 관(20)은 상류측 단부에 연결되어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젖혀질 수 있는 복수의 사각형 절편(20c)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구성이 동일하다.In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3B,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the upstream pipe 20 is connected to the upstream end and a plurality of rectangular segments 20c that can be bent around the connection portion. )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further including.

이러한 복수의 사각형 절편(20c)을 상류측 관(20)의 상류측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젖히면 복수의 사각형 절편(20c)의 젖힌 방향과 젖힘 정도에 따라 상류측 관(20)의 입구의 개방 정도가 조절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냉온풍기(10)로부터 상류측 관(20)의 입구로 공급되는 온풍의 공급량이 조절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작물 재배 환경에 맞추어 온실(60) 내로 공급되는 냉풍 또는 온풍의 열량을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plurality of rectangular segments 20c are bent around the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upstream end of the upstream tube 20, the upstream tube 20 is form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degree of bending of the plurality of rectangular segments 20c. The opening degree of the inlet can be adjusted, and accordingly, the supply amount of warm air supplied from the cold and warm air fan 10 to the inlet of the upstream pipe 20 can be adjusted, and accordingly supplied into the greenhouse 60 according to the crop growing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mount of heat of cold or warm air.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제3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는, 단일의 덕트로서 일단부가 상기 하류측 관(40)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일자형 덕트(30)와 함께 'U'자 형태로 상기 온실(60) 내에 배치되고, 상기 온풍 또는 냉풍이 상기 송풍기에 의해 공급되어 흐르는 제2 송풍 통로를 형성하는 직조필름 재질의 지팡이형 덕트(30');와 상기 지팡이형 덕트(30')의 일자형 부분의 양 측방에 형성된 제2 측방 토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방 토출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류에서 하류로 가면서 동일한 길이(L1, L2, L3, L4)를 가지는 복수의 섹터(V1, V2, V3, V4)로 구획되는 온실(60) 내에서 각 섹터별 방출 열량이 동일해지도록 복수의 상기 섹터 중 서로 접하는 상류 및 하류의 섹터에서 하류의 섹터보다 상류의 섹터에서 개수가 하나씩 증가하며, 제2 토출구(30h1', 30h2', 30h3', 30h4')와 제2 분기 덕트(30b1, 30b2, 30b3, 30b4) 중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2 실시예와 구성이 동일하다.As shown in FIG. 6, in the third embodiment, the cold and hot air branch duct of the type reducing the temperature deviation in the greenhouse is a single duct,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downstream pipe 40 in communication with the straight duct 30 ) is disposed in the greenhouse 60 in a 'U' shape together with a wand-shaped duct 30' made of a woven film material to form a second blowing passage through which the warm air or cold air is supplied by the blower and flows; A second side discharge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raight portion of the wand-shaped duct 30' is further included, and the second side discharge portion has the same length (L1, L2, L3, In the greenhouse 60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sectors V1, V2, V3, and V4 having L4, the upstream and downstream sector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sectors are located in the downstream sector so that the amount of heat released by each sector is the same. The number increases by one in the more upstream sector, except that it is formed in the form of one or more of the second outlets 30h1', 30h2', 30h3', and 30h4' and the second branch ducts 30b1, 30b2, 30b3, and 30b4.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상기 구성에 따르면 지팡이형 덕트(30')에서는 온풍 또는 냉풍의 흐름이 하류의 섹터에서 상류의 섹터로 유동하는 구조이므로 하류의 섹터보다 상류의 섹터에서 제2 측방 토출부(예, 제2 토출구(30h1', 30h2', 30h3', 30h4')와 제2 분기 덕트(30b1, 30b2, 30b3, 30b4) 중 하나 이상의 합)의 개수가 하나씩 증가하게 되면 지팡이형 덕트(30')를 통해서도 제2 측방 토출부(예, 제2 토출구(30h1', 30h2', 30h3', 30h4')와 제2 분기 덕트(30b1, 30b2, 30b3, 30b4) 중 하나 이상)를 통한 온풍의 온실(60) 내로의 방출시 온실(60)의 각 섹터별 방출되는 열량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flow of warm air or cold air flows from the downstream sector to the upstream sector in the wand-shaped duct 30', the second side discharge unit (eg, the second discharge port (eg, the second discharge port) is located in the upstream sector rather than the downstream sector 30h1', 30h2', 30h3', 30h4') and the second branch duct (30b1, 30b2, 30b3, 30b4) when the number of the sum of one or more) increases by one, the second side through the cane-type duct (30') The warm air is discharged into the greenhouse 60 through the discharge unit (eg, one or more of the second outlets 30h1', 30h2', 30h3', and 30h4' and the second branch ducts 30b1, 30b2, 30b3, and 30b4). The amount of heat emitted by each sector of the city greenhouse 60 may be maintained the same.

(제4 실시예)(Fourth embodiment)

제4 실시예는,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토출구(30h1, 30h2, 30h3, 30h4)와 제1 분기 덕트(31a1, 31a2, 31a3, 31a4)와 제2 토출구(30h1', 30h2', 30h3', 30h4')와 제2 분기 덕트(30b1, 30b2, 30b3, 30b4)는, 각각, 외측 단부 인접부의 하측 정점부에 접하는 부분 또는 외측 단부면의 하측 부분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수평으로 배치되는 직조필름 재질의 날개(30W);와 상기 제1, 2 토출구의 상측 정점부의 위쪽에 위치하는 일자형 덕트(30) 또는 지팡이형 덕트(30')의 외주면 또는 제1, 2 분기덕트의 자유단부 인접부의 상측 정점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고리(30r);와 일단부가 상기 날개(30W)의 자유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고리(30r)에 끼워져 묶여질 수 있는 끈(32)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3 실시예와 구성이 동일하다.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outlets 30h1, 30h2, 30h3, and 30h4, the first branch ducts 31a1, 31a2, 31a3, and 31a4, and the second outlets 30h1'. , 30h2', 30h3', 30h4' and the second branch ducts 30b1, 30b2, 30b3, 30b4 are each connected at one end to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ower apex of the outer end adjacent portion or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end surface, respectively. Wings (30W) of woven film material disposed horizontally;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aight duct 30 or wand-type duct 30' located above the upper apex of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or the first and second branch ducts A ring 30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apex of the adjacent portion of the free end of the ring 30r; and a string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ree end of the wing 30W and the other end inserted into the ring 30r to be tied ( 32) is the same as that of the third embodiment except for further including.

상기 구성에 따르면, 끈(32)을 각각 고리(30r)에 끼워 묶을 때 날개(30W)와 고리(30r) 사이의 길이를 조절하여 끈(32)을 고리(30r)에 끼워 묶으면 날개(30W)와 고리(30r) 사이의 길이에 따라 날개(30W)의 수평에 대한 경사진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1 토출구(30h1, 30h2, 30h3, 30h4)와 제1 분기 덕트(31a1, 31a2, 31a3, 31a4)와 제2 토출구(30h1', 30h2', 30h3', 30h4')와 제2 분기 덕트(30b1, 30b2, 30b3, 30b4)로부터 방출되는 온풍 또는 냉풍의 풍향을 상하로 조절되게 하여 온실 내 재배 작물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도 재배 작물의 원하는 부위로 냉풍 또는 온풍을 향하게 하여 재배 작물의 피해 예방 및 생육 촉진을 이룰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string 32 is inserted into the ring 30r and tied, the length between the wing 30W and the ring 30r is adjusted so that the string 32 is inserted into the ring 30r and tied to the wing 30W. ) and the ring 30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ing 30W to the horizontal can be adjusted, and accordingly, the first discharge ports 30h1, 30h2, 30h3, 30h4 and the first branch duct 31a1, 31a2, 31a3, 31a4, the second discharge port (30h1', 30h2', 30h3', 30h4') and the second branch duct (30b1, 30b2, 30b3, 30b4) to adjust the wind direction of the warm air or cool air discharged from the up and down Thus, even when the height of the cultivated crops in the greenhouse is high,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cultivated crops and promote growth by directing cold or warm air to a desired part of the cultivated crops.

(제5 실시예)(Fifth embodiment)

제5 실시예는, 상기 일자형 덕트(30)와 지팡이형 덕트(30')는, 상기 일자형 덕트(30)와 지팡이형 덕트(30')의 상측 정점부 인접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구비된 와이어 수용부(30c, 30c')에 수용되어 온실(60)의 프레임(61)에 연결된 와이어(W);와 상기 프레임(61)과 와이어 수용부(30c, 30c') 사이의 와이어(W, W')의 부분에 설치된 턴버클(31)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내지 4 실시예와 구성이 동일하다.In the fifth embodiment, the straight duct 30 and the wand-shaped duct 30' a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apex adjacent portions of the straight duct 30 and the wand-shaped duct 30', respectively. A wire (W) receiv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s (30c, 30c') and connected to the frame (61) of the greenhouse (60); and a wire (W, W) between the frame (61) and the wire accommodating portions (30c, 30c') ')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except that it further includes a turnbuckle 31 installed in the portion.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일자형 덕트(30)와 지팡이형 덕트(30')의 상측 정점부 인접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구비된 와이어 수용부(30c, 30c')에 수용되어 온실(60)의 프레임(61)에 연결된 와이어(W)의 텐션이 턴버클(31)에 의해 조절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일자형 덕트(30)와 지팡이형 덕트(30')가 냉풍 또는 온풍의 내부 유동시 그 형태를 찌그러지게 하지 않고 원형 단면을 가지는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the frame of the greenhouse 60 is accommodated in the wire accommodating portions 30c and 30c' respectively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djacent portions of the upper vertices of the straight duct 30 and the wand-shaped duct 30'. The tension of the wire (W) connected to (61) can be adjusted by the turnbuckle (31), and accordingly, the straight duct (30) and the wand-type duct (30') do not distort their shapes when cold or warm air flows insid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ha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without sagging.

(제6 실시예)(Example 6)

제6 실시예는, 상기 상류측 관(20)은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비드(20b)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류측 관(40)은 각각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비드(40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일자형 덕트(30)의 상류측 단부의 인접부를 하나 이상의 비드(20b) 중 선택된 하나의 비드보다 더 상류의 위치에서 스텐밴드(50)로 상류측 관(20)에 고정시키고 다른 하나의 스텐밴드(50)로 상기 일자형 덕트(30)의 하류측 단부의 인접부를 하나 이상의 비드(40b) 중 선택된 하나의 비드보다 더 하류의 위치에서 하류측 관(40)에 고정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내지 5 실시예와 구성이 동일하다.In the sixth embodiment, the upstream tube 20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beads 20b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each of the downstream tubes 40 protrud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beads 40b formed to be formed, and the adjacent portion of the upstream end of the straight duct 30 is upstream to the stainless band 50 at a position more upstream than the selected one of the one or more beads 20b. It is fixed to the side pipe 20 and the adjacent part of the downstream end of the straight duct 30 is fixed to the other stainless band 50 at a position further downstream than the selected one bead among one or more beads 40b. Except for being fixed to (40),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상기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스텐밴드(50)로 상기 일자형 덕트(30)의 상류측 단부의 인접부를 상기 비드(20b) 중 선택된 하나의 비드보다 더 상류의 위치에서 상류측 관(20)에 고정시키고 다른 하나의 스텐밴드(50)로 상기 일자형 덕트(30)의 하류측 단부의 인접부를 상기 비드(41b, 42b) 중 선택된 하나의 비드보다 더 하류의 위치에서 하류측 관(40)에 고정시켜 선택된 비드가 스텐밴드(50)의 이동에 대한 방지 턱의 역할을 하게 함으로써 상기 일자형 덕트(30)는 상류측 관(20)과 하류측 관(4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the adjacent portion of the upstream end of the straight duct 30 is fixed to the upstream pipe 20 at a position more upstream than the selected one of the beads 20b with one stainless band 50 and fix the adjacent part of the downstream end of the straight duct 30 to the downstream pipe 40 with another stainless band 50 at a position further downstream than the selected one of the beads 41b and 42b Since the selected bead serves as a barrier against the movement of the stainless band 50, the straight duct 30 is not separated from the upstream pipe 20 and the downstream pipe 4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therefrom. will have to be clarifie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냉온풍기
20. 상류측 관
20b. 비드
20c. 사각형 절편
30. 일자형 덕트
30b1, 30b2, 30b3, 30b4. 제2 분기 덕트
30c, 30c'. 와이어 수용부
30h1, 30h2, 30h3, 30h4. 제1 토출구
30h1', 30h2', 30h3', 30h4'. 제2 토출구
30'. 지팡이형 덕트
30r. 고리
30W. 날개
31. 턴버클
31a1, 31a2, 31a3, 31a4. 제1 분기 덕트
32. 끈
40. 하류측 관
40b. 비드
42a. 하류측 단부면
50. 스텐밴드
60. 온실
61. 프레임
W. 와이어
10. Cold and hot air blower
20. Upstream pipe
20 b. bead
20c. square intercept
30. Straight duct
30b1, 30b2, 30b3, 30b4. 2nd branch duct
30c, 30c'. wire receptacle
30h1, 30h2, 30h3, 30h4. 1st outlet
30h1', 30h2', 30h3', 30h4'. 2nd outlet
30'. wand duct
30 r. ring
30 W. wing
31. Turnbuckle
31a1, 31a2, 31a3, 31a4. First branch duct
32. Lanyard
40. Downstream pipe
40 b. bead
42a. downstream end face
50. Sten Band
60. Greenhouse
61. Frame
W. wire

Claims (4)

삭제delete 삭제delete 냉온풍기(10)에 구비되어 상기 냉온풍기(10)에 의해 생성된 온풍 또는 냉풍을 출구로부터 외부로 송풍하는 송풍기의 상기 출구에 연결된 중공의 상류측 관(20);과
하류측 단부면(42a)에 의해 내부 공간이 하류측 단부에서 차폐되어 있으며, 상기 상류측 관(20)과 원격한 위치에 이격되어 배치된 중공의 하류측 관(40);과
상기 상류측 관(20)과 하류측 관(40)과 연통하도록 상기 상류측 관(20)과 하류측 관(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온풍 또는 냉풍이 상기 냉온풍기(10)에 의해 공급되어 흐르는 제1 통로를 형성하고 양 측방에 제1 측방 토출부를 형성하고 있는 직조필름 재질의 일자형 덕트(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방 토출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류에서 하류로 가면서 동일한 길이(L1, L2, L3, L4)를 가지는 복수의 섹터(V1, V2, V3, V4)로 구획되는 온실(60) 내에서 각 섹터별 방출 열량이 동일해지도록 복수의 상기 섹터 중 서로 접하는 상류 및 하류의 섹터에서 상류의 섹터보다 하류의 섹터에서 개수가 하나씩 증가하며, 제1 토출구(30h1, 30h2, 30h3, 30h4)와 제1 분기 덕트(31a1, 31a2, 31a3, 31a4) 중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류측 관(20)은 상류측 단부에 연결되어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젖혀질 수 있는 복수의 사각형 절편(20c)을 더 포함하고,
단일의 덕트로서 일단부가 상기 하류측 관(40)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일자형 덕트(30)와 함께 'U'자 형태로 상기 온실(60) 내에 배치되고, 상기 온풍 또는 냉풍이 상기 송풍기에 의해 공급되어 흐르는 제2 송풍 통로를 형성하는 직조필름 재질의 지팡이형 덕트(30');와
상기 지팡이형 덕트(30')의 일자형 부분의 양 측방에 형성된 제2 측방 토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방 토출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류에서 하류로 가면서 동일한 길이(L1, L2, L3, L4)를 가지는 복수의 섹터(V1, V2, V3, V4)로 구획되는 온실(60) 내에서 각 섹터별 방출 열량이 동일해지도록 복수의 상기 섹터 중 서로 접하는 상류 및 하류의 섹터에서 하류의 섹터보다 상류의 섹터에서 개수가 하나씩 증가하며, 제2 토출구(30h1', 30h2', 30h3', 30h4')와 제2 분기 덕트(30b1, 30b2, 30b3, 30b4) 중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일자형 덕트(30)와 지팡이형 덕트(30')는, 상기 일자형 덕트(30)와 지팡이형 덕트(30')의 상측 정점부 인접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구비된 와이어 수용부(30c, 30c')에 수용되어 온실(60)의 프레임(61)에 연결된 와이어(W);와 상기 프레임(61)과 와이어 수용부(30c, 30c') 사이의 와이어(W, W')의 부분에 설치된 턴버클(3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
a hollow upstream pipe 20 provided in the cold/warm fan 10 and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blower for blowing warm air or cold air generated by the cold/heat fan 10 to the outside from the outlet; and
A hollow downstream pipe (40), the inner space of which is shielded at the downstream end by the downstream end surface (42a), and disposed remotely from the upstream pipe (20);
It is disposed between the upstream pipe 20 and the downstream pipe 4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upstream pipe 20 and the downstream pipe 40, and the warm air or cold air is blown by the cold/heat fan 10. A straight duct 30 made of a woven film forming a first passage through which supply is flowing and forming a first side discharge part on both sides,
The first side discharge part,
In the greenhouse 60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ors (V1, V2, V3, V4) having the same length (L1, L2, L3, L4) from upstream to downstream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eat released by each sector is the same The number increases by one in the downstream sector than the upstream sector i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sectors contacting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outlets 30h1, 30h2, 30h3, and 30h4 and the first branch ducts 31a1 and 31a2 , 31a3, 31a4) in the form of one or more,
The upstream pipe 20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rectangular segments 20c connected to the upstream end and capable of being bent around the connection portion,
As a single duct, one end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downstream pipe 40 and disposed in the greenhouse 60 in a 'U' shape together with the straight duct 30, and the warm air or cold air is blown by the blower. A wand-shaped duct 30 'made of a woven film forming a second blowing passage supplied and flowing; and
Further comprising second side discharge par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raight portion of the wand-shaped duct 30',
The second side discharge part,
In the greenhouse 60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ors (V1, V2, V3, V4) having the same length (L1, L2, L3, L4) from upstream to downstream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eat released by each sector is the same The number of upstream and downstream sectors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creases by one in the upstream sector than in the downstream sector, and the second outlets 30h1', 30h2', 30h3', 30h4' and the second branch duct It is made in the form of one or more of (30b1, 30b2, 30b3, 30b4),
The straight duct 30 and the wand-shaped duct 30' are wire receiving portions 30c and 30c respectively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apex adjacent portion of the straight duct 30 and the wand-shaped duct 30'. ') and connected to the frame 61 of the greenhouse 60; and installed in the portions of the wires W and W' between the frame 61 and the wire receiving portions 30c and 30c'. A cold and hot wind branch duct for reducing temperature deviation in the greenhous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urnbuckle (31)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출구(30h1, 30h2, 30h3, 30h4)와 제1 분기 덕트(31a1, 31a2, 31a3, 31a4)와 제2 토출구(30h1', 30h2', 30h3', 30h4')와 제2 분기 덕트(30b1, 30b2, 30b3, 30b4)는, 각각,
외측 단부 인접부의 하측 정점부에 접하는 부분 또는 외측 단부면의 하측 부분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수평으로 배치되는 직조필름 재질의 날개(30W);와
상기 제1, 2 토출구의 상측 정점부의 위쪽에 위치하는 일자형 덕트(30) 또는 지팡이형 덕트(30')의 외주면 또는 제1, 2 분기덕트의 자유단부 인접부의 상측 정점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고리(30r);와
일단부가 상기 날개(30W)의 자유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고리(30r)에 끼워져 묶여질 수 있는 끈(3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내 온도편차 저감형의 냉온풍 분기덕트.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outlets 30h1, 30h2, 30h3, and 30h4, the first branch ducts 31a1, 31a2, 31a3, and 31a4, the second outlets 30h1', 30h2', 30h3', and 30h4', and the second branch duct ( 30b1, 30b2, 30b3, 30b4), respectively,
A wing (30W) made of a woven film material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ower apex of the outer end adjacent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end surface and disposed horizontally;
One end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aight duct 30 or wand-type duct 30 'located above the upper apex of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or the upper apex of the free end adjacent to the first and second branch ducts ring (30r);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ree end of the wing (30W)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ring (30r) and further comprises a string (32) that can be tied. duct.


KR1020220076040A 2022-06-22 2022-06-22 A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unit type of heating duct KR1025131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040A KR102513141B1 (en) 2022-06-22 2022-06-22 A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unit type of heating du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040A KR102513141B1 (en) 2022-06-22 2022-06-22 A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unit type of heating du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3141B1 true KR102513141B1 (en) 2023-03-27

Family

ID=85799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040A KR102513141B1 (en) 2022-06-22 2022-06-22 A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unit type of heating du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14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140B1 (en) 2007-12-03 2009-01-07 김만규 Hot and cool air supply apparatus
KR20130049790A (en) * 2013-04-24 2013-05-14 황익현 Air-conditioner and heater using electric vent type
KR20140121611A (en) * 2013-04-08 2014-10-16 곽웅기 Vinyl Duct and Cooling/Heating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150006598A (en) * 2013-07-09 2015-01-19 (주)봄내이엔씨 Ventilation apparatus for growing of crops under cover
KR101913820B1 (en) 2017-03-14 2018-10-31 이재순 Seedling cultivation hous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140B1 (en) 2007-12-03 2009-01-07 김만규 Hot and cool air supply apparatus
KR20140121611A (en) * 2013-04-08 2014-10-16 곽웅기 Vinyl Duct and Cooling/Heating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130049790A (en) * 2013-04-24 2013-05-14 황익현 Air-conditioner and heater using electric vent type
KR20150006598A (en) * 2013-07-09 2015-01-19 (주)봄내이엔씨 Ventilation apparatus for growing of crops under cover
KR101913820B1 (en) 2017-03-14 2018-10-31 이재순 Seedling cultivation ho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0090B2 (en) Greenhouse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ES2436111T5 (en) Greenhouse an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procedure
KR102513141B1 (en) A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unit type of heating duct
KR102151951B1 (en) Water supplying apparatus for cultivating mushroom
KR102141718B1 (en) Ventilation Apparatus for cultivating mushroom
KR200263476Y1 (en) Cool and heat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house
JP2013188190A (en) Agricultural greenhouse heating system
NL2027656B1 (en) Greenhouse having an air treatment unit with perforated air tubes
KR102302273B1 (en) Plant cultivation system
JPH1175573A (en) Greenhouse for agriculture
RU2801702C1 (en) Multilevel duct system for creating favourable conditions for growing plants in a greenhouse
KR102327622B1 (en) Greenhouse of Plant cultivation system
KR102327620B1 (en) Support plate of Plant cultivation system
KR890007967Y1 (en) Hot-air heater for vinyl house
MX2007008107A (en) Greenhouse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
JP3179938U (en) Air conditioning equipment for agricultural production facilities
WO2009125973A2 (en) Vinyl green house with cool/hot air circulation cha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