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978B1 - 변기용 안전손잡이 - Google Patents

변기용 안전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978B1
KR102512978B1 KR1020210071438A KR20210071438A KR102512978B1 KR 102512978 B1 KR102512978 B1 KR 102512978B1 KR 1020210071438 A KR1020210071438 A KR 1020210071438A KR 20210071438 A KR20210071438 A KR 20210071438A KR 102512978 B1 KR102512978 B1 KR 102512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guide hole
grip part
shaft portion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3048A (ko
Inventor
이상용
Original Assignee
(주)엠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씨텍 filed Critical (주)엠씨텍
Priority to KR1020210071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978B1/ko
Publication of KR20220163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6Armrests mounted on or around the toil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2017/006Defecation help for disabled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에 인접되게 설치하여 노약자, 장애인, 고령자 등이 변기에 착좌 및 기립 시에 안전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낙상으로 인한 부상을 미연에 방지토록 한 변기용 안전손잡이의 그립부가 수평 폴딩(folding) 상태에서 자동 록킹이 되어 안전하고, 휠체어 등이 변기로 진출입 시에는 그립부가 원터치로 간단히 상부로 각운동 전개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움직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변기용 안전손잡이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변기용 안전손잡이(1)를 구성하는 좌우 프레임(2) 상단에 고정된 브라켓(5)에 핀볼트(6)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립부(4)와; 상기 그립부(4)가 축 설치되는 브라켓(5)에 그립부(4)의 각도조절을 위해 형성되는 수평스토핑부(7) 및 수직스토핑부(8)와; 상기 브라켓(5)의 좌우로 후측 상방에서 전방 하부로 형성되는 원호형의 안내공(9)과; 상기 안내공(9)을 따라 안내되면서 각운동될 수 있도록 그립부(4)의 후측에 스프링(11)에 의해 탄력설치 상태로 축결합되는 스톱핑볼트(10)와; 상기 스톱핑볼트(10)는 안내공(9)의 내경치수와 같은 유동축부(10a)와 안내공(9)의 내경치수 보다 큰 고정축부(10b) 및 푸시노브(10c)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9)의 후측 상부는 스톱핑볼트(10)의 고정축부(10b)가 통과할 수 있는 고정축부결합공(9a)이 안내공(9)과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기용 안전손잡이{Safety handle for toilet}
본 발명은 변기용 안전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변기에 인접되게 설치하여 노약자, 장애인, 고령자 등이 변기에 착좌 및 기립 시에 안전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낙상으로 인한 부상을 미연에 방지토록 한 변기용 안전손잡이의 그립부가 수평 폴딩(folding) 상태에서 자동 록킹이 되어 안전하고, 휠체어 등이 변기로 진출입 시에는 그립부가 원터치로 간단히 상부로 각운동 전개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움직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변기용 안전손잡이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 외측으로 설치되는 변기용 안전손잡이는 노약자 등이 휠체어를 타고 변기에 진출입, 착좌, 기립을 할 시에 사용자가 손잡이를 지지토록 하여 낙상 등을 방지토록 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에 알려진 변기용 안전손잡이 그립부는 고정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휠체어를 타고 변기로 진출입 시 사용자가 공간적인 제한을 받게 되어 변기에 인접하게 사용자가 접근을 할 수가 없었고, 그로 인해 변기로부터 거리를 두고 휠체어를 정지시킨 후 내려 변기에 착좌 및 휠체어로 옮겨 타야 하므로 그 과정에서 낙상 등 안전사고를 당할 우려가 높았던 것이다.
또한, 기존에 알려진 변기용 안전손잡이의 경우 낙상 감지 및 고지 등의 기능을 갖는 기술이 알려져 있으나, 이는 그 구성이 복잡하고 그로 인해 단가가 앙등되어 실 적용되는 사례가 극히 적었으며, 고장률 또한 높은 등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던 것이다.
KR 등록특허 10-1217875호 KR 등록실용신안 20-0210880호 KR 등록특허 10-2220045호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변기용 안전손잡이의 그립부가 노약자, 장애인, 고령자 등이 휠체어를 타고 변기에 접근 후 착좌 또는 변기에서 일어나 이동할 시에는 상부로 90도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착좌 상태 및 기립코자 할 시에는 90도 수평으로 폴딩 및 록킹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낙상과 같은 안전사고 위험성을 극소화하고, 사용 편의성은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 변기용 안전손잡이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변기용 안전손잡이를 구성하는 좌우 프레임 상단에 고정된 브라켓에 핀볼트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가 축 설치되는 브라켓에 그립부의 각도조절을 위해 형성되는 수평스토핑부 및 수직스토핑부와;
상기 브라켓의 좌우로 후측 상방에서 전방 하부로 형성되는 원호형의 안내공과;
상기 안내공을 따라 안내되면서 각운동될 수 있도록 그립부의 후측에 스프링에 의해 탄력설치 상태로 축결합되는 스톱핑볼트와;
상기 스톱핑볼트는 안내공의 내경치수와 같은 유동축부와 안내공의 내경치수 보다 큰 고정축부 및 외측단부에는 푸시노브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의 후측 상부는 스톱핑볼트의 고정축부가 통과할 수 있는 고정축부결합공이 안내공과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변기용 안전손잡이는 사용자가 변기에 착좌 및 기립, 이동을 할 시에 지지하는 변기 안전손잡이의 그립부를 수평 록킹 상태에서 스톱핑볼트의 푸시노브를 눌러 간단히 수직방향으로 각운동 전개시켜 휠체어 등을 변기에 인접하게 이동시키는데 유리하고, 그로 인해 사용자의 낙상과 같은 안전 사고 등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그립부를 단순히 수직 전개 상태에서 수평으로 각운동 폴딩되면 록킹 상태가 유지되어 사용자가 간단히 조작으로 안정적인 지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등 사용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변기용 안전손잡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변기용 안전손잡이의 주요부인 그립부를 발췌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변기용 안전손잡이의 주요부인 그립부를 발췌한 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변기용 안전손잡이의 주요부인 그립부를 발췌한 A-A선 절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변기용 안전손잡이의 주요부인 그립부가 수직으로 전개된 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변기용 안전손잡이에 있어서 주요부인 그립부를 발췌한 B-B선 절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변기용 안전손잡이(1)는 노약자, 고령자, 장애인 등(이하 '사용자'라 통칭한다.)이 변기를 이용할 시에 휠체어 등에서 변기에 착좌 시에는 그립부가 원터치 작동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90도 전개되도록 하여 공간 장애가 없도록 하고, 변기에 착좌 하여 용변을 볼 때, 그리고 용변을 본 후 기립 및 휠체어에 옮겨 탈 때에는 그립부가 수평 록킹 상태로 간단하게 폴딩이 될 수 있도록 하여 낙상과 같은 안전사고 예방 및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변기용 안전손잡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전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기용 안전손잡이(1)는 변기의 전방 및 후방 좌우로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좌우 프레임(2)과, 상기 좌우 프레임(2)의 중간 높이에서 이를 상호 연결하는 개략 U형의 연결프레임(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 프레임(2)의 상단부에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그립부(4)가 설치되는 브라켓(5)이 나사식 피이스 등으로 각각 고정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변기용 안전손잡이의 주요부인 그립부를 발췌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변기용 안전손잡이의 그립부를 발췌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5)의 상부 전방으로는 핀볼트(6)에 의해 그립부(4)가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축설치되는데, 상기 그립부(4)의 각도조절 범위는 수평에서 수직으로 약 90도 정도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수평스토핑부(7) 및 수직스토핑부(8)가 각각 브라켓(5)의 대응면에 형성된다. 도시한 예는 그립부(4)가 원형의 파이프 단면을 갖고 있으므로 원호형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핀볼트(6)가 고정되는 브라켓(5)의 후측에서 하방 전측으로 원호형의 안내공(9)이 좌우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공(9)에는 그립부(4)의 후측과 연결되는 스톱핑볼트(10)가 스프링(11)에 탄력지지되도록 축결합된다.
상기 스톱핑볼트(10)는 안내공(9)의 내경치수와 같은 유동축부(10a)와 안내공(9)의 내경치수 보다 큰 고정축부(10b)를 갖도록 하고, 일측 단부에는 푸시노브(10c)가 형성되어 푸시노브(10c)를 안내공(9) 방향으로 밀게 되면 고정축부(10b)가 안내공(9)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축부결합공(9a)에서 브라켓(5)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유동축부(10a)가 안내공(9)의 고정축부결합공(9a)에 위치할 시에 원호형 안내공(9)을 따라 하단부로 원호형 각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그립부(4)가 수평 록킹 상태에서 수직상으로 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스톱핑볼트(10)는 안내공(9)의 외측으로 스프링(11)에 탄력지지되어 있으므로 그립부(4)가 수직방향으로 전개 상태에서 수평으로 원호형 운동을 하면서 폴딩되었을 때는 스프링(11)의 탄성에 의해 고정축부(10b)가 안내공(9)의 상단부 고정축부결합공(9a)에 위치시 외측으로 자동으로 탄성에 의해 밀어내게 되어 수평 상태에서는 자동으로 록킹 상태로 전환되어 안정적인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면중의 부호 6a는 핀볼트(6)를 나사조임하는 너트이며, 10d는 스톱핑볼트(10)를 나사조임하는 너트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실시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변기용 안전손잡이(1)는 사용자가 휠체어를 타고 용변을 보고자 변기에 접근 또는 이탈 시 그립부(4)가 수평 록킹 상태에서 상부로 90도 전개되거나 전개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90도 폴딩, 록킹 상태로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인 바, 이의 작용 등을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코자 할 시 그립부(4)는 수평 폴딩 록킹 상태 또는 수직으로 전개된 상태 중 하나를 유지하고 있을 것이고, 수직으로 그립부(4)가 전개된 상태에서는 휠체어 등을 타고 사용자가 변기로 접근 시 방해가 되지 않아 변기에 보다 근접하게 휠체어가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변기에 착좌 시 도 5와 같이 90도로 수직 전개된 그립부(4)를 잡고 전방으로 도 3과 같이 수평으로 각운동시키면 그립부(4)가 핀볼트(6)를 축으로 하여 하향 각운동하게 되며, 이때 안내공(9)에 결합된 스톱핑볼트(10)의 유동축부(10a)가 안내공(9)을 따라 상향 각운동하다가 안내공(9)의 후방 상측에 이르면 스톱핑볼트(10)에 형성된 고정축부(10b)가 스프링(11)의 탄성에 의해 안내공(9)의 고정축부결합공(9a)으로 진입하게 되어 그립부(4)는 수평 록킹 상태로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그립부(4)는 브라켓(5)에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스토핑부(8)에 하측면 일부가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 후 기립할 시에는 그립부(4)를 잡고 안정적으로 기립을 한 후 휠체어를 타고자 할 시에는 그립부(4)가 사용자가 이동하는 공간을 방해하게 되므로 이때는 그립부(4)를 수직으로 90도 전개시키게 되는 바, 사용자는 스톱핑볼트(10)의 푸시노브(10c)를 누르면 스프링(11)이 압축되며 그립부(4)를 수직전개 시키도록 한다.
이때 스톱핑볼트(10)의 고정축부(10b)는 안내공(9)의 고정축부결합공(9a)에서 록킹 상태에서 벗어나고 스톱핑볼트(10)의 안내공(9)을 따라 유동축부(10a)가 안내되면서 수직으로 전개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그립부(4)의 후측면은 브라켓(5) 수직면에 형성된 수직스토핑부(8)에 이르면 수직전개 상태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변기용 안전손잡이(1)는 수평 상태에서 그립부(4)를 90도로 수직 전개코자 할 시에만 스톱핑볼트(10)의 푸시노브(10c)를 누르면서 90도 수직 전개시킬 수 있고, 수직전개된 그립부(4)를 수평으로 폴딩코자 할 시에는 그립부(4)를 잡고 수평방향으로 각운동 폴딩하면 록킹 상태로 전환되어 작동이 용이하고, 수평스토핑부(7)와 수직스토핑부(8)에 의해 정확한 각운동 전개 및 폴딩, 록킹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 변기용 안전손잡이 2: 좌우 프레임 3: 연결프레임 4: 그립부 5: 브라켓 6: 핀볼트 7: 수평스토핑부 8: 수직스토핑부 9: 안내공 9a: 고정축부결합공 10: 스톱핑볼트 10a: 유동축부 10b: 고정축부 10c: 푸시노브 11: 스프링

Claims (1)

  1. 좌변기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좌우 프레임(2)과, 상기 좌우 프레임(2)의 중간 높이에서 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프레임(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 프레임(2)의 상단에 고정된 브라켓(5)에 핀볼트(6)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립부(4)와, 상기 그립부(4)가 축 설치되는 브라켓(5)에 그립부(4)의 각도조절을 위해 형성되는 수평스토핑부(7) 및 수직스토핑부(8)와, 상기 브라켓(5)의 좌우로 후측 상방에서 전방 하부로 형성되는 원호형의 안내공(9)을 구비한 변기용 안전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안내공(9)을 따라 안내되면서 각운동될 수 있도록 그립부(4)의 후측에 스프링(11)에 의해 탄력설치 상태로 축결합되는 스톱핑볼트(10)와;
    상기 스톱핑볼트(10)는 안내공(9)의 내경치수와 같은 유동축부(10a)와 안내공(9)의 내경치수 보다 큰 고정축부(10b) 및 푸시노브(10c)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9)의 후측 상부는 스톱핑볼트(10)의 고정축부(10b)가 통과할 수 있는 고정축부결합공(9a)이 안내공(9)과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안전손잡이.
KR1020210071438A 2021-06-02 2021-06-02 변기용 안전손잡이 KR102512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438A KR102512978B1 (ko) 2021-06-02 2021-06-02 변기용 안전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438A KR102512978B1 (ko) 2021-06-02 2021-06-02 변기용 안전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048A KR20220163048A (ko) 2022-12-09
KR102512978B1 true KR102512978B1 (ko) 2023-03-22

Family

ID=84440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438A KR102512978B1 (ko) 2021-06-02 2021-06-02 변기용 안전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9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42503A (ja) * 2015-08-28 2017-03-02 協立工業株式会社 便器用手摺
KR101875910B1 (ko) * 2017-01-26 2018-07-12 이환희 좌변기용 안전손잡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880Y1 (ko) 2000-07-21 2001-01-15 이기종 환자용 변기의 안전손잡이
KR101217875B1 (ko) 2011-07-06 2013-01-0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감지 및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기립보조 안전손잡이
KR102220045B1 (ko) 2019-11-11 2021-02-25 (주)포에버헬스케어 좌변기용 안전 손잡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42503A (ja) * 2015-08-28 2017-03-02 協立工業株式会社 便器用手摺
KR101875910B1 (ko) * 2017-01-26 2018-07-12 이환희 좌변기용 안전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048A (ko) 2022-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4242B2 (en) Folding stroller
US2866495A (en) Invalid folding walker and chair
US9103368B2 (en) Locking hinge mechanism for a collapsible play yard frame
US8578531B2 (en) Assist handle assemblies and beds with an assist handle assembly
US8291526B2 (en) Portable and adjustable multipurpose toilet training device
US20070235966A1 (en) Stroller with Removable Arm Bar
US20200172142A1 (en) Z-foldable stroller and accessories
US9073459B2 (en) Collapsible support device and child safety seat therewith
US7007771B2 (en) Collapsible stool
WO2018009971A1 (en) Z-foldable stroller and accessories
US20050098982A1 (en) Stroller frame
KR102512978B1 (ko) 변기용 안전손잡이
US6152477A (en) Locking device for a foldable stroller
GB2404649A (en) A bathing device having a reclinable backrest for use by a disabled person
US20060053547A1 (en) Grab bar
JP2011019805A (ja) トイレ用手摺り装置
KR101500465B1 (ko) 침대의 사이드 프레임 겸용 안전 손잡이
CN209826511U (zh) 一种多功能轻便助行架马桶椅
JP6074175B2 (ja) 便器用手摺
EP3813620B1 (en) Portable potty
JP2012217718A (ja) 便器用手摺
KR101045526B1 (ko) 접철식 목발
KR200425324Y1 (ko) 욕실 부착형 접이식 의자
US20070130682A1 (en) Grab Bar
KR102507623B1 (ko)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