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504B1 -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 - Google Patents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504B1
KR102512504B1 KR1020210003728A KR20210003728A KR102512504B1 KR 102512504 B1 KR102512504 B1 KR 102512504B1 KR 1020210003728 A KR1020210003728 A KR 1020210003728A KR 20210003728 A KR20210003728 A KR 20210003728A KR 102512504 B1 KR102512504 B1 KR 102512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terminal
current
fusible
voltage
fu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1805A (ko
Inventor
이율우
Original Assignee
이율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율우 filed Critical 이율우
Priority to KR1020210003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504B1/ko
Publication of KR20220101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74Switches in which only the opening movement or only the closing movement of a contact is effected by heating or cooling
    • H01H37/76Contact member actuated by melting of fusible material, actuated due to burning of combustible material or due to explosion of explos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 DC 전류가 인가되는 회로 상에 배치되어 주변부가 이상 과열되면 회로를 단선하여 고압 DC 전류에 의한 회로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Temperature fuse for high voltage DC current}
본 발명은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 DC 전류가 인가되는 회로 상에 배치되어 주변부가 이상 과열되면 회로를 단선하여 고압 DC 전류에 의한 회로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온도 퓨즈는, 온도 용융성 차단기(cutout)라고도 하며, 보통 열을 발생하는 경향의 전자 기기에 탑재된다.
상기 기기의 고장, 열의 발생 그리고 이상 온도를 초과할 때, 상기 온도 퓨즈는 자동으로 용융되어 화재로부터 전자 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전원 공급 장치를 차단한다.
최근에, 상기 온도 퓨즈는 전기밥솥, 전기다리미, 전기난로 등 가열을 주요 기능으로 하는 대부분의 가전제품에 탑재되는데, 내부 부품(internal parts)이 동작하지 않을때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기기의 더 심각한 손상을 방지하는 온도 퓨즈에 의해 제때 차단될 수 있어, 화재원인이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상기 온도 퓨즈는 온도범위가 온도 퓨즈 위치에서 온도 퓨즈 내부의 가용(可鎔, fusible) 합금 와이어의 용융온도에 도달했을 때 전원 공급 회로의 내에서 과열 보호의 역할을 하고, 용융 에이전트에 의해 상기 가용 합금와이어는 양쪽 단부의 리드를 향해 수축되어 비정상적인 온도에 의해 회로의 다른 요소들이 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온도 퓨즈는 과열 방지가 필요한 많은 회로들에 적용된다.
최근에는 전기 자동차 등 고압 DC 전류를 인가하는 전기·전자장치들이 급속히 보급되고 있으며, 상기 장치들은 고압 DC 전류를 통해 히터 등의 각종 전기 전자부품들을 동작하도록 구성된 관계로, 전기 안전성에 있어 온도퓨즈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예컨대, 주변부의 과열이 발생된 상태에서 상기 전기·전자부품에 지속적으로 고압의 DC 전류가 인가될 경우에 해당 전자 전자부품의 전기적인 손상이 야기되고, 또 심화될 경우에 화재 등의 안전사고가 야기될 수도 있다.
그런데, 종래 단순히 이격된 리드단자와 리드단자 사이에 가용 합금선을 배치한 형태의 온도퓨즈는 AC 전류나 저압의 DC 전류를 통전할 경우에, 주변부의 과열에 의해 이격된 리드단자 사이에 형성된 가용 합금선이 단선되어서 가용 합금선을 따라 통전하는 해당 전류가 더 이상 회로에 인가되지 아니하므로, 주변부의 이상 과열시 회로의 전기적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400V 이상 고압 DC 전류인 경우에, 주변부의 과열에 의해 리드단자와 리드단자 사이에 형성된 가용 합금선이 폭발하면서 화염이나 파편을 발생하면서 단선하는 현상이 발생되고, 특히 가용 합금선이 용융하여 단선된 후에도 400V 이상의 고압 DC 전류가 단선된 리드 단자와 리드 단자 사이에 아크 형태로 방전하여 통전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즉, 전압 레벨이 400V 또는 그 이상인 DC전류 회로에서, 종래 온도 퓨즈의 가용 합금선의 용융 과정 동안에 상기 용융 합금선의 수축 속도는 느리고, 두 리드의 사이 간격은 매우 짧으며, 아크가 발생되어 결과적으로 제시간 내에 회로를 차단할 수 없다. 상기 회로는 고온 연소와 함께 아크의 발생에 기인하여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전압 레벨이 400V 또는 그 이상인 DC전류 회로에 사용되는 현존하는 온도 퓨즈는 제시간 내에 보호 회로를 차단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문제들을 유발한다.
그리고, 상기 단선된 리드단자 사이로 아크 방전 형태로 통전되는 고압의 DC 전류에 의해 회로나 전자·전기 부품의 전기적 손상이 지속적으로 야기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당분야에서는 주변부의 가열에 의해 저압 뿐 아니라 고압의 DC 전류를 안전하게 차폐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온도퓨즈의 개발 및 보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1825866 B1 KR 10-1116087 B1 US 04948828 A US 04952900 A CN 2513223 Y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의 DC 전류가 통전되는 회로 상에 배치되어, 주변부의 온도가 설정 용융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면 회로를 단선하여 고압의 DC 전류가 회로에 인가되는 현상을 차단함에 있어, 가용 합금선의 단선과정에 순간적인 폭발과 화염과 파편의 발산을 억제하고, 특히 단선된 리드단자 사이에 고압의 DC 전류가 코로나 방전 형태로 통전되는 현상을 차단하여 고압의 DC전류에 의한 회로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는,
이격된 입력선과 출력선 사이에 배치되어 이격된 입력선과 출력선 사이의 통전경로를 형성하며, 설정 용융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용융 단선되어 입력선과 출력선 사이를 통전을 차폐하는 하나 이상의 가용 퓨즈셀을 포함하고,
상기 가용 퓨즈셀은,
제 1 리드단자가 접속되며, 일편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는 도전성 재질의 실린더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일편에 설치되며 실린더형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제 2 리드단자의 접점단를 절연상태로 배치하는 절연부시와;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 타편에 설치되며, 설정 용융온도에서는 고상체를 형성하고 설정 용융온도에 도달하는 용융하여 액상체로 상변화되는 가용물; 및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 접점상태를 이루어 절연부시와 가용물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진퇴구조로 설치되어, 일편으로 이동시에는 케이스와 제 2 리드단자의 접점단 사이에 통전상태를 형성하고 타편으로 이동시에는 케이스와 제 2 리드단자 사이의 단선상태를 형성하는 가동 통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실린더형의 주가용 퓨즈부와,
상기 제 1 리드단자와 제 2 리드단자 사이에 통전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가용물의 설정 용융온도 보다 상대적으로 용융온도가 높은 가용 합금선을 갖는 보조 퓨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부시와 가동 통전체 사이에는 가동 통전체를 타측으로 탄지하는 제 1 스프링이 설치되고 가용물과 가동 통전체 사이에는 가동 통전체를 일측으로 탄지하는 제 2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가용물이 고체상태이면 제 2 스프링은 탄성 신장하여 가동 통전체를 일측으로 이동하여서 리드단자의 접점단과 가동 통전체의 접점단이 접촉하여 통전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용물이 용융되어 제 2 스프링의 탄지력이 소실되면 가동 통전체는 1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타측으로 이동하여 리드단자의 접점단에서 이격하여 단선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퓨즈부는 실린더형 케이스의 외부에 절연구조를 형성하여 배치되는 가용 합금선과; 상기 실린더형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된 가용 합금선을 절연구조로 고정하는 절연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퓨즈부는 주가용 퓨즈부의 통전용량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통전 용량을 갖도록 구성되어, 가용 퓨즈부의 단선이 이루어지면 가용 합금선은 저항 발열되어 용융 단선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격된 고압 DC회로의 입력선과 출력선 사이에 주변부의 이상 과열에 의해 설정 용융온도에 용융 단선되는 주가용 퓨즈부와, 상기 주가용 퓨즈부의 단선에 의해 우회하는 고압 DC전류에 의해 용융 단선되는 보조 가용 퓨즈부를 포함하는 가용 퓨즈셀을 갖는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를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용융온도와 통전용량이 다른 주가용 퓨즈부와 보조 가용 합금선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는, 주변부의 이상 과열에 의해 주가용 퓨즈부의 가열에 의한 단선과, 주가용 퓨즈부의 단선에 의한 과전류에 의해 저항 발열하여 용융 단선되는 보조 가용 퓨즈부의 순차적인 단선이 이룩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대용량의 고압 DC전류가 통전되는 주가용 퓨즈부의 단선과정에 제 2 리드단자와 가동 통전체 사이에 고압의 DC 전류가 방전되는 현상이 예방되고, 결과적으로 주변부의 이상 과열에 의한 온도 퓨즈셀이 단선되는 과정에 고압의 방전현상에 의해 고압 DC 온도퓨즈가 폭발하거나 단선이 지연되는 현상이 예방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의 세부 구성과, 상기 온도퓨즈를 구성하는 주가용 퓨즈부와 보조 가용 퓨즈부의 순차적인 단선과정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의 세부 구성과, 상기 온도퓨즈를 구성하는 주가용 퓨즈부와 보조 가용 퓨즈부의 순차적인 단선과정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1)는, 주로 전기 자동차 등 500V 이상의 고압의 DC 전류가 인가되는 히터 회로 등에 배치되어 전열히터 등에 의해 주변부의 온도가 설정 용융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면 회로를 단선하여 고압 DC 전류의 인가를 차폐하여서, 주변부의 이상 과열과 회로의 손상을 방지하는 회로 안전부품이다.
상기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1)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DC 회로상에 이격하여 형성된 입력선(10)과 출력선(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입력선(10)과 출력선(20) 사이에 DC전류의 통전경로를 형성하고, 주변부의 이상 과열에 의해 설정 용융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용융하여 단선되는 가용 퓨즈셀(1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용 퓨즈셀(10)은, 입력선(10)과 출력선(20)과 연결되는 제 1 리드단자(130)와 제 2 리드단자(140)가 각각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격된 입력선(10)과 출력선(20) 사이에 주가용 퓨즈부(110)와 보조 가용 퓨즈부(120)가 병렬구조로 연결된 가용 퓨즈셀(100)을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주가용 퓨즈부(110)의 통전용량은 보조 가용 퓨즈부(120)의 통전용량 보다 상대적으로 크도록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이격된 한 쌍의 리드단자(130, 140)는 주가용 퓨즈부(110)를 통해 대용량의 통전경로로 하고, 보조 가용 퓨즈부(120)를 소용량의 통전경로로 하여 통전한다.
이때, 상기 보조 가용 퓨즈부(120)는 DC 회로의 통전용량 보다 작은 통전용량을 갖도록 구성되어, 후술되는 바와 같이 주가용 퓨즈부의 가용 단선이 이루어지면 과전류의 인가에 의해 자체 발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주가용 퓨즈부(110)는, 제 1 리드단자(130)가 접속되며, 일편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는 도전성 재질의 실린더형 케이스(111)와; 상기 케이스(111)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일편에 설치되며 실린더형 케이스(111)의 수용공간에 제 2 리드단자(130)의 접점단를 절연상태로 배치하는 절연부시(112)와; 상기 케이스(111)의 수용공간 타편에 설치되며, 설정 용융온도에서는 고상체를 형성하고 설정 용융온도에 도달하는 용융하여 액상체로 상변화되는 가용물(113)과; 및 상기 케이스(111)의 내벽과 접점상태를 이루어 절연부시(112)와 가용물(113)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진퇴구조로 설치되어, 일편으로 이동시에는 케이스(111)와 제 2 리드단자(140)의 접점단 사이에 통전상태를 형성하고 타편으로 이동시에는 케이스(111)와 제 2 리드단자(140) 사이의 단선상태를 형성하는 가동 통전체(114)를 포함하여 구성된 실린더형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부시(112)와 가동 통전체(114) 사이에는 제 1 스프링(115)이 설치되고 가용물(113)과 가동 통전체(114) 사이에는 제 2 스프링(116)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 1 스프링(115)은 절연부시(112)에 일단을 지지하고 타단을 가동 통전체(114)의 일면에 지지하여서 케이스(111)와 절연상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스프링(116)은 가용물(113)에 일단을 지지하고 타단은 가동 통전체(114)의 이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주변부의 온도가 가용물(113)의 용융온도인 설정 용융보다 낮은 평상시에는 상기 가동 통전체(114)는 제 1 스프링(115)과 제 2 스프링(116)의 탄성 중립작용에 의해 제 2 리드단자(140)의 접점단과 접촉하여 통전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주변부의 온도가 가용물(113)의 용융 온도인 설정 용융온도 보다 낮은 경우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용물(113)은 고체상태를 형성하므로, 상기 제 1 스프링(115)은 제 2 스프링(116)의 탄발력에 의해 압축되어 가동 통전체(114)는 제 2 리드단자(140)의 접점단에 접촉하여 연결된다.
이와 반대로, 도 4와 같이 주변부가 설정 용융온도 이상으로 과열되어 가용물(113)이 용융되면 제 2 스프링(116)의 탄발력이 소실되므로, 상기 제 1 스프링(115)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신장되어 가동 통전체(114)가 제 2 리드단자(140)의 접점단에서 이격하여 단선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가용 퓨즈셀(100)을 구성하는 주가용 퓨즈부(110)는 평상시에는 제 2 리드단자(140)의 접점단과 케이스(111)가 가동 통전체(114)에 의해 상호 접촉 연결되어서 DC회로에 형성된 입력선(10)과 출력선(20) 사이의 주통전 경로를 확보하고, 주변부가 설정 용융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어 가용물(113)이 용융되면 가동 통전체(114)는 제 2 리드단자(140)의 접점단에서 이격되어서, 입력선(10)과 출력선(20) 사이의 주통전 경로를 단선한다.
그리고, 상기 주가용 퓨즈부(110)와 함께 입력선(10)과 출력선(20)을 병렬구조로 연결하는 보조 가용 퓨즈부(120)는 주가용 퓨즈부(110)를 구성하는 가용물(113)의 설정 용융온도 보다 상대적으로 용융온도가 높은 가용 합금선(121)과, 상기 가용 합금선(121)을 주가용 퓨즈부(10)의 외벽에 절연구조로 고정하는 절연층(12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절연층(122)은 절연 몰드나 절연 튜브, 세라믹 케이스 등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를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 예정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와 같이 상기 절연층(122)을 주변부의 가열에 의해 열수축하여 축관되는 열수축 절연튜브로 구성하여서, 과전류의 인가에 의해 용융단선되는 용융 합금선(121)은 축관되는 열수축 절연튜브에 의해 물리적으로 환형 압박되어 용융에 의해 생성된 용융단부(121a)가 보다 신속히 이격하여 단선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층을 형성하는 열수축 절연튜브의 열수축 온도는 가용물의 용융온도(130℃)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120℃)로 구성함으로써, 과전류에 의해 용융하여 단선되는 가용 합금선(121)이 보다 신속하게 용융하여 단선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용 합금선(121)을 주가용 퓨즈부(10)의 외부에 절연구조로 고정하는 열수축 절연튜브 내에, 용융된 가용 합금선(121)의 유동성을 증대되도록 하는 플럭스(123)를 더 충진하여서, 용융에 의해 생성된 가용 합금선(121)의 용융단부(121a)가 보다 신속하고 안정되게 단선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가용 퓨즈부(110)에, 용융온도가 130℃인 가용물(113)을 배치하고, 보조 가용 퓨즈부(120)에는 용융온도가 180℃인 가용 합금선(121)을 배치하여서, 상기 가용 합금선(121)은 주변부가 설정 용융온도인 130℃에 도달하더라도 용융하여 단선되지 아니하고 입력선(10)과 출력선(20) 사이에 통전되는 고압 DC전류의 우회 통전경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가용 합금선(121)은 주가용 퓨즈부(110)의 제 2 리드단자(140)의 접점단과 가동 통전체(114)의 접전단이 이격되는 동안, 입력선(10)과 출력선(120) 사이에 통전되는 고압 DC전류의 우회 통전경로를 제공함으로써, 단선되는 제 2 리드단자(140)와 가동 통전체(114) 사이에 고압의 DC전류가 고압 방전되는 현상을 예방하고, 결과적으로 종래 제 2 리드단자(140)와 가동 통전체(114) 사이에 고압의 DC전류가 방전되고 고압 방전에 의해 제 2 리드단자(140)와 가동 통전체(114)의 단선이 지연되거나 단선되지 아니하거나, 가용 퓨즈셀(100) 자체가 폭발하는 현상이 예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리드단자(140)와 가동 통전체(114) 사이의 단선이 완료되면, 가용 합금선(121)에는 가용 합금선(121) 자체의 통전용량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전류량의 고압 DC전류가 인가 및 통전되고, 상기 가용 합금선(121)은 주변부의 온도가 자체 용융온도(180℃)에 도달하지 않더라도 주가용 퓨즈부(110)가 단선됨에 따라 인가되는 과전류에 의해 자체 발열하여서, 순간적으로 융융온도(180℃)에 도달 및 용융하여 입력선(10)과 출력선(20)을 단선한다.
이때, 상기 가용 합금선(121)은 주가용 퓨즈부(110) 보다 상대적으로 통전용량이 작은 관계로, 용융단부(121a)들의 단선과정에 용융단부(121a)들 사이에 고압 방전 현상이 최소화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주가용 퓨즈부(110)와 보조 가용 퓨즈부(120)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1)는 고압 방전에 의한 폭발 등의 발생없이 신속하고 안전한 단선이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1.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
10. 입력선 20. 출력선
100. 가용 퓨즈셀
110. 실린더형 주가용 퓨즈부
111 실린더형 케이스 112. 절연부시
113. 가용물 114. 가동 통전체
115. 제 1 스프링 116. 제 2 스프링
120. 보조 가용 퓨즈부 121. 가용 합금선
121a. 용융단부
122. 절연층 123. 플럭스
130. 제 1 리드단자 140. 제 2 리드단자

Claims (4)

  1. 이격된 입력선과 출력선 사이에 배치되어 이격된 입력선과 출력선 사이의 통전경로를 형성하며, 설정 용융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용융 단선되어 입력선과 출력선 사이를 통전을 차폐하는 하나 이상의 가용 퓨즈셀을 포함하고,
    상기 가용 퓨즈셀은,
    제 1 리드단자가 접속되며, 일편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는 도전성 재질의 실린더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일편에 설치되며 실린더형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제 2 리드단자의 접점단를 절연상태로 배치하는 절연부시와;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 타편에 설치되며, 설정 용융온도에서는 고상체를 형성하고 설정 용융온도에 도달하는 용융하여 액상체로 상변화되는 가용물; 및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 접점상태를 이루어 절연부시와 가용물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진퇴구조로 설치되어, 일편으로 이동시에는 케이스와 제 2 리드단자의 접점단 사이에 통전상태를 형성하고 타편으로 이동시에는 케이스와 제 2 리드단자 사이의 단선상태를 형성하는 가동 통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실린더형의 주가용 퓨즈부와,
    상기 제 1 리드단자와 제 2 리드단자 사이에 통전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가용물의 설정 용융온도 보다 상대적으로 용융온도가 높은 가용 합금선을 갖는 보조 퓨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조 퓨즈부는 실린더형 케이스의 외부에 절연구조를 형성하여 배치되는 가용 합금선과; 상기 실린더형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된 가용 합금선을 절연구조로 고정하는 절연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시와 가동 통전체 사이에는 가동 통전체를 타측으로 탄지하는 제 1 스프링이 설치되고 가용물과 가동 통전체 사이에는 가동 통전체를 일측으로 탄지하는 제 2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가용물이 고체상태이면 제 2 스프링은 탄성 신장하여 가동 통전체를 일측으로 이동하여서 리드단자의 접점단과 가동 통전체의 접점단이 접촉하여 통전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용물이 용융되어 제 2 스프링의 탄지력이 소실되면 가동 통전체는 1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타측으로 이동하여 리드단자의 접점단에서 이격하여 단선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퓨즈부는 주가용 퓨즈부의 통전용량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통전 용량을 갖도록 구성되어, 주가용 퓨즈부의 단선이 이루어지면 가용 합금선은 저항 발열되어 용융 단선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
KR1020210003728A 2021-01-12 2021-01-12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 KR102512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728A KR102512504B1 (ko) 2021-01-12 2021-01-12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728A KR102512504B1 (ko) 2021-01-12 2021-01-12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805A KR20220101805A (ko) 2022-07-19
KR102512504B1 true KR102512504B1 (ko) 2023-03-20

Family

ID=82607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728A KR102512504B1 (ko) 2021-01-12 2021-01-12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5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335Y1 (ko) * 2000-03-15 2000-08-16 주식회사에스비휴즈 퓨즈 구조
KR100936232B1 (ko) * 2007-10-15 2010-01-11 이종호 전류퓨즈 기능을 겸비한 용융형 온도퓨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8828A (en) 1989-01-31 1990-08-14 Cooper Industries, Inc. Asbestos free material for gassing current limiting fuses
US4952900A (en) 1989-12-04 1990-08-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Controlled seal for an expulsion fus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CN2513223Y (zh) 2001-12-05 2002-09-25 倪学锋 封闭式高压熔断器
JP4514669B2 (ja) 2005-07-29 2010-07-28 エヌイーシー ショット 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温度ヒューズを用いた保護装置
CN203839326U (zh) 2014-05-07 2014-09-17 厦门赛尔特电子有限公司 一种高压直流温度保险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335Y1 (ko) * 2000-03-15 2000-08-16 주식회사에스비휴즈 퓨즈 구조
KR100936232B1 (ko) * 2007-10-15 2010-01-11 이종호 전류퓨즈 기능을 겸비한 용융형 온도퓨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805A (ko) 202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866B1 (ko) 고전압 직류전류 온도 퓨즈
KR101116087B1 (ko) 보호 장치
US9449778B2 (en) Combined surge protection device with integrated spark gap
KR910008686B1 (ko) 전류차단기
JPH11317144A (ja) 自動車技術用ヒュ―ズ
KR102500622B1 (ko) 고전압 퓨즈
KR20160029082A (ko) 보호 디바이스
KR20160137571A (ko) 보호 디바이스
US3354282A (en) Thermal fuse with capillary action
KR102554819B1 (ko) 고전압 퓨즈 장치
US20140266563A1 (en) Medium voltage controllable fuse
KR102512504B1 (ko)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
US2964604A (en) Current-limiting fuses having compound arc-voltage generating means
KR102281423B1 (ko) 차폐 안정성이 확보된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 및 이를 이용한 온도퓨즈 모듈
KR102512501B1 (ko)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 및 이를 이용한 온도퓨즈 모듈
JP3742502B2 (ja) 電源端子台
RU196396U1 (ru) Термопредохранитель для трубчатого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нагревателя
KR102244234B1 (ko) 방폭 기능을 갖는 온도 퓨즈 저항기
US3246105A (en) Protector for electric circuits
US3294936A (en) Current limiting fuse
KR102661886B1 (ko) 개량된 단선구조를 갖는 전류퓨즈와, 이를 이용한 고압 퓨즈성형체
CN112289656B (zh) 一种熔断电流可调的熔断器
CN117334542B (zh) 一种分隔腔体带隔离灭弧的熔断器
US20230223665A1 (en) Thermally Disconnecting High Power Busbars For Battery System Propagation Control
US1685958A (en) Thermal cut-o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