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148B1 - Distribution line ground fault location estimation apparatus and method - Google Patents

Distribution line ground fault location estimation apparatus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148B1
KR102512148B1 KR1020210052238A KR20210052238A KR102512148B1 KR 102512148 B1 KR102512148 B1 KR 102512148B1 KR 1020210052238 A KR1020210052238 A KR 1020210052238A KR 20210052238 A KR20210052238 A KR 20210052238A KR 102512148 B1 KR102512148 B1 KR 102512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fault
voltage
ground fault
distribu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2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45544A (en
Inventor
여상욱
백원길
오영직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2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148B1/en
Publication of KR20220145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5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1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2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using digital techniques or performing arithmetic ope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8Measuring resistance by measuring both voltage and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8Testing of lines, cables or condu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ating Fault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르면,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에 배치되는 제1단말 장치로부터 제1 전압 및 제1전류를 수집하고, 지락 고장 지점으로부터 상기 변전소 인출단 측으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단말 장치로부터 제2전압 및 제2전류를 수집하고, 상기 지락 고장 지점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3단말 장치로부터 제3전압 및 제3전류를 수집하는 통신부; 상기 제2전류 및 상기 제3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전류를 연산하는 제1연산부; 상기 고장 전류 및 상기 제2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지락 고장 지점의 고장 저항을 연산하는 제2연산부; 및 상기 고장 전류, 상기 고장 저항 및 상기 제1전압, 상기 제1전류 및 상기 배전선로의 단위 길이당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상기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으로부터 상기 지락 고장 지점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제3연산부를 포함하는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first voltage and a first current are collected from a first terminal device disposed at a drawing end of a substation of a distribution line, and a first voltage and a first current are collected from a second terminal device disposed most adjacent to the drawing end side of the substation from a ground fault point. a communication unit that collects two voltages and a second current, and collects a third voltage and a third current from a third terminal device disposed closest to the load side from the ground fault point; a first calc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a fault current using the second current and the third current; a second calculation unit calculating a fault resistance at the ground fault point using the fault current and the second voltage; and a third calculation unit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ground fault point from the lead end of the distribution line substation using the fault current, the fault resistance, the first voltage, the first current, and the impedance per unit length of the distribution line. It provides a distribution line ground fault location estimating device comprising a.

Description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Distribution line ground fault location estimation apparatus and method} Distribution line ground fault location estimation apparatus and method {Distribution line ground fault location estimation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a ground fault location in a distribution line.

지락 고장이란 지락에 의하여 선로의 외부로 전류가 유출되어 화재, 인축의 감전 또는 전로나 기기의 손상 등 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 것을 말한다. 지락고장의 원인은 절연체의 경년열화, 기계적 충격이나 절연펑크에 의한 물리적 손상, 극심한 과도전압 충격이나 정상전압에 의한 열화, 단락사고의 확대로 인한 지락 등을 들 수 있다.A ground fault refers to a situation in which electric current leaks out of a line due to a ground fault and may cause an accident such as fire, electric shock to people, or damage to electric circuits or equipment. Causes of ground faults include age-related deterioration of insulators, physical damage due to mechanical shock or insulation puncture, deterioration due to extreme transient voltage shock or normal voltage, and ground faults due to the expansion of short-circuit accidents.

지락고장이 발생한 경우 해당 지점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찾아내어 이를 복구하는 것이 필요하다.When a ground fault occurs, it is necessary to quickly and accurately find the point and restore it.

현재, 송배전 선로 상에서 지락 고장발생시 고장 점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고장점 검출 방법은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송전계통은 3상 평형회로이므로 여기서 고장점 검출 방법으로는 진행파를 이용하는 방법, 전압과 전류의 고조파 성분을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전압과 전류의 기본파 성분을 사용한 겉보기 임피던스 법 등 정확한 고장점 검출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으며 현재 송전계통은 고장점 검출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Currently, a fault point detection method that calculates the distance to the fault point when a ground fault occurs on a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 is being actively researched recently. Since the transmission system is a three-phase balanced circuit, the fault point detection method here is a method using traveling waves, Accurate fault point detection methods such as a method using harmonic components and an apparent impedance method using fundamental wave components of voltage and current have been proposed, and currently, fault point detection devices are widely used in power transmission system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전선로 지락 고장 지점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a ground fault location of a distribution line capable of accurately determining a ground fault point of a distribution line.

실시예에 따르면,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에 배치되는 제1단말 장치로부터 제1 전압 및 제1전류를 수집하고, 지락 고장 지점으로부터 상기 변전소 인출단 측으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단말 장치로부터 제2전압 및 제2전류를 수집하고, 상기 지락 고장 지점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3단말 장치로부터 제3전압 및 제3전류를 수집하는 통신부; 상기 제2전류 및 상기 제3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전류를 연산하는 제1연산부; 상기 고장 전류 및 상기 제2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지락 고장 지점의 고장 저항을 연산하는 제2연산부; 및 상기 고장 전류, 상기 고장 저항 및 상기 제1전압, 상기 제1전류 및 상기 배전선로의 단위 길이당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상기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으로부터 상기 지락 고장 지점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제3연산부를 포함하는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first voltage and a first current are collected from a first terminal device disposed at a drawing end of a substation of a distribution line, and a first voltage and a first current are collected from a second terminal device disposed most adjacent to the drawing end side of the substation from a ground fault point. a communication unit that collects two voltages and a second current, and collects a third voltage and a third current from a third terminal device disposed closest to the load side from the ground fault point; a first calc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a fault current using the second current and the third current; a second calculation unit calculating a fault resistance at the ground fault point using the fault current and the second voltage; and a third calculation unit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ground fault point from the lead end of the distribution line substation using the fault current, the fault resistance, the first voltage, the first current, and the impedance per unit length of the distribution line. It provides a distribution line ground fault location estimating device comprising a.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가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에 배치되는 제1단말 장치로부터 제1 전압 및 제1전류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가 지락 고장 지점으로부터 상기 변전소 인출단 측으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단말 장치로부터 제2전압 및 제2전류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가 상기 지락 고장 지점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3단말 장치로부터 제3전압 및 제3전류를 수집하는 단계; 제1연산부가 상기 제2전류 및 상기 제3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전류를 연산하는 단계; 제2연산부가 상기 고장 전류 및 상기 제2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지락 고장 지점의 고장 저항을 연산하는 단계; 및 제3연산부가 상기 고장 전류 및 상기 고장 저항을 이용하여 상기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으로부터 상기 지락 고장 지점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ep of collecting the first voltage and the first current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disposed at the drawing end of the distribution line substation by the communication unit; collecting, by the communication unit, a second voltage and a second current from a second terminal device disposed closest to the substation lead-out side from the ground fault point; collecting, by the communication unit, a third voltage and a third current from a third terminal device disposed closest to the load side from the ground fault point; calculating a fault current by a first calculation unit using the second current and the third current; calculating, by a second calculator, a fault resistance of the ground fault point using the fault current and the second voltage; and calculating, by a third operation unit, a distance between the ground fault point from a lead end of the distribution line substation using the fault current and the fault resistance.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recorded on a computer is provided.

본 발명인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은 배전선로 지락 고장 지점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The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the ground fault location of the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ground fault location of the distribution line.

도1은 실시예에 따른 배전 자동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는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3은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는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ower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estimating a ground fault location of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istribution line ground fault location estim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estimating a ground fault location in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if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among the embodiments can be selectively implemented. can be used by combining and substitut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and described, can b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can be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contextual meanings of related technologi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Also,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may also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nd when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A and (and) B and C", A, B, and C are combined. may include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term is not limited to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to, combined with,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with the component. It may also include the case of being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due to another component between the other components.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on the "top (above) or bottom (bottom)" of each component, the top (top) or bottom (bottom) is not only a case where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lso one A case in which another component above is formed or disposed between two components is also included.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 (up) or down (down)", it may include the meaning of not only an upward direction but also a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1은 실시예에 따른 배전 자동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배전 자동화 시스템(1)은 배전선로를 종합적으로 감시하여 전력공급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시스템이다. 배전 자동화 시스템(1)은 배전선로에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개폐장치 및 배전설비의 현장 정보들을 배전 자동화용 단말 장치를 통해 감시 및 계측하여 실시간으로 주 장치(10)에 제공할 수 있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ower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1 is a system for improving power supply reliability by comprehensively monitoring distribution lines. The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1 may monitor and measure field information of various switchgear and distribution facilities installed in a distribution line through a terminal device for distribution automation, and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 main device 10 in real time.

도1을 참조하면, 배전 자동화 시스템(1)은 배전선로에 설치되는 차단기, 개폐기, 리클로저 등과 같은 설비(30), 배전 자동화용 단말 장치(20)와 운영실에서 배전 자동화 설비(30)를 원격 감시 제어하기 위한 주 장치(10)로 구성될 수 있다. 배전 자동화 시스템(1)은 주 장치(10)와 통신장치(미도시)간의 데이터 통신에 의해 현장에 설치된 배전 자동화용 단말 장치(20)로부터 배전선로의 각종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배전 계통을 감시 관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1 remotely controls equipment 30 such as a circuit breaker, switchgear, recloser, etc. installed in a distribution line, a terminal device 20 for distribution automation, and a distribution automation equipment 30 in an operating room. It may be configured as a main device 10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1 acquires various data of distribution lines from the terminal device 20 for distribution automation installed in the field by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main device 10 and a communication device (not shown) and uses it to control the distribution system. can be supervised.

배전 자동화용 단말 장치(20)는 배전선로에 흐르는 전류 및 전압을 계측하고 배전선로 사고 시 상태를 감지하여 주 장치(10)로 전송하거나, 주 장치(10)로부터 수신한 명령에 따라 설비의 제어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배전 자동화용 단말 장치(20)에서 전송된 데이터는 중간계층인 전처리 프로세서(FEP, Front-end Processor)를 거쳐 주 장치(10)로 전달될 수 있다. 배전 자동화 단말 장치(20)는 데이터 계측 및 배전 자동화 시스템(1)의 주 장치(10)로의 데이터 전송 기능과 이벤트 발생시 보고 기능, 그리고 설비(30)의 개폐 감지기능 및 제어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배전 자동화 단말 장치(2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는 단말측 통신장치(미도시)와 주 장치측 통신장치(미도시)를 거쳐 주 장치(10)로 전송될 수 있다.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20 measures the current and voltage flowing in the distribution line, detects the state in the event of a distribution line accident, transmits it to the main device 10, or controls the facility according to a command received from the main device 10. functions can be performed. At this time, data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20 for distribution auto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main device 10 through a front-end processor (FEP), which is a middle layer.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20 may perform a data measurement and data transmission function of the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1 to the main device 10, a reporting function when an event occurs, and a function of detecting and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acility 30. . Data collected from the distribution automation terminal device 20 may be transmitted to the main device 10 via a terminal side communication device (not shown) and a main device side communication device (not shown).

도2는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100)는 주장치 내에 구현되거나 또는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2 is a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estimating a ground fault location of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stribution line ground fault location estim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a main unit or as a separate device.

도2를 참조하면, 실시예예 따른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100)는 통신부(110), 제1연산부(120), 제2연산부(130) 및 제3연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distribution line ground fault location estim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a first operation unit 120, a second operation unit 130, and a third operation unit 140. .

통신부(110)는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에 배치되는 제1단말 장치로부터 제1 전압 및 제1전류를 수집하고, 지락 고장 지점으로부터 변전소 인출단 측으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단말 장치로부터 제2전압 및 제2전류를 수집하고, 지락 고장 지점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3단말 장치로부터 제3전압 및 제3전류를 수집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collects a first voltage and a first current from a first terminal device disposed at a drawing end of a substation of a distribution line, and collects a first voltage and a first current from a second terminal device disposed most adjacent to a drawing end side of a substation from a ground fault point. The voltage and the second current may be collected, and the third voltage and the third current may be collected from a third terminal device disposed closest to the load side from the ground fault point.

통신부(110)는 배전선로에 배치된 각 단말장치와 주기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배전선로에 지락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변전소의 인출단에 배치되는 제1단말 장치, 지락 고장 지점에 가장 인접하여 변전소 인출단 측으로 배치되는 제2단말 장치, 지락 고장 지점에 가장 인접하여 부하측으로 배치되는 제3단말 장치로부터 전압 및 전류 계측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periodically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terminal device disposed on the distribution lin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ground fault has occurred in the distribution line, the communication unit 110 includes a first terminal device disposed at the outgoing end of the substation, a second terminal device disposed closest to the ground fault point and disposed toward the substation outgoing end, and the closest to the ground fault point.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 data may be collected from a third terminal device disposed adjacent to the load side.

통신부(110)는 주장치 또는 단말 장치로부터 지락 고장 발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ground fault occurrence information from a main device or a terminal device.

제1연산부(120)는 제2전류 및 제3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전류를 연산할 수 있다. 고장 전류는 지락 고장 지점을 통하여 그라운드로 흐르는 전류를 의미할 수 있다.The first calculation unit 120 may calculate the fault current using the second current and the third current. The fault current may refer to a current flowing to the ground through a ground fault point.

제1연산부(120)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고장 전류를 연산할 수 있다.The first calculation unit 120 may calculate the fault current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Figure 112021047051802-pat00001
Figure 112021047051802-pat00001

수학식 1에서, If는 고장 전류이고, I1는 제1전류이고, I3은 제3전류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I1는 A상에 대한 제1전류를 의미하고, I3은 A상에 대한 제3전류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A상의 전류 및 전압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지락 고장 발생 상황에 따라 B상 또는 C상의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고장 전류, 고장 저항을 연산할 수 있다.In Equation 1, I f is a fault current, I 1 is a first current, and I 3 may mean a third current. In the embodiment, I 1 may mean the first current for the A phase, and I 3 may mean the third current for the A phase. In the embodiment, the description is based on the current and voltage of phase A, but the fault current and fault resistance can be calculated using the current and voltage of phase B or C according to the ground fault occurrence situation.

제2연산부(130)는 고장 전류 및 제2전압을 이용하여 지락 고장 지점의 고장 저항을 연산할 수 있다. 고장 저항은 지락 고장이 발생한 지점부터 그라운드까지 지락 고장 선로 전체에 걸려있는 저항을 의미할 수 있다.The second calculator 130 may calculate the fault resistance of the ground fault point using the fault current and the second voltage. The fault resistance may refer to resistance across the entire ground fault line from the point where the ground fault occurs to the ground.

제2연산부(130)는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고장 저항을 연산할 수 있다.The second calculator 130 may calculate the fault resistance according to Equation 2 below.

Figure 112021047051802-pat00002
Figure 112021047051802-pat00002

수학식 2에서, Rf는 고장 저항이고, V2는 제2전압이고, If는 고장 전류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V2는 A상에 대한 제2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In Equation 2, R f is a fault resistance, V 2 is a second voltage, and I f may mean a fault current. In an embodiment, V 2 may mean the second voltage for the A phase.

제3연산부(140)는 고장 전류, 고장 저항 및 제1전압, 제1전류 및 배전선로의 단위 길이당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으로부터 지락 고장 지점간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The third arithmetic unit 140 may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ground fault point from the lead end of the distribution line substation using the fault current, fault resistance, first voltage, first current, and impedance per unit length of the distribution line.

제3연산부(140)는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으로부터 지락 고장 지점간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The third calculation unit 140 may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ground fault points from the draw end of the distribution line substation according to Equation 3 below.

Figure 112021047051802-pat00003
Figure 112021047051802-pat00003

수학식 3에서, d는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에서 지락 고장 지점까지의 거리이고, z는 배전선로의 단위 길이당 임피던스이고, V1은 제1전압이고, I1는 제1전류이고, If는 고장 전류이고, Rf는 고장 저항을 의미할 수 있다. In Equation 3, d is the distance from the lead end of the distribution substation to the ground fault point, z is the impedance per unit length of the distribution line, V 1 is the first voltage, I 1 is the first current, and I f is a fault current, and R f may mean a fault resistance.

도3은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istribution line ground fault location estim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제2단말 장치(G1)와 제3단말 장치(G2) 사이에 지락 고장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변전소 인출단의 제1단말 장치(G0) 및 지락 고장 발생 지점(F)에 인접 배치된 제2단말 장치(G1) 및 제3단말 장치(G2)로부터 전압 및 전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it can be confirmed that a ground fault has occurred between the second terminal device G1 and the third terminal device G2. The communication unit 110 collects voltage and current data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G0 of the substation draw-out and the second terminal device G1 and the third terminal device G2 disposed adjacent to the ground fault point F. can do.

제1연산부(120)는 제1단말 장치(G0) 및 제2단말 장치(G1)를 흐르는 제2전류에서 제3단말 장치에 흐르는 제3전류를 감산하여 고장 전류를 연산할 수 있다.The first operation unit 120 may calculate the fault current by subtracting the third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hird terminal device from the second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terminal device G0 and the second terminal device G1.

또한, 제2연산부(130)는 제1연산부(120)에서 연산한 고장 전류 및 제2단말장치(G1)에 인가되는 제2전압을 이용하여 지락 고장 지점의 고장 저항을 연산할 수 있다.Also, the second arithmetic unit 130 may calculate the fault resistance of the ground fault point using the fault current calculated by the first arithmetic unit 120 and the second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G1.

또한, 제3연산부(140)는 제1연산부(120)에서 연산한 고장 전류 및 제2연산부(130)에서 연산한 고장 저항을 이용하여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으로부터 지락 고장 지점(F)간의 거리(d)를 연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arithmetic unit 140 uses the fault current calculated by the first arithmetic unit 120 and the fault resistance calculated by the second arithmetic unit 130 to determine the distance between the ground fault point F from the draw end of the substation of the distribution line. (d) can be computed.

도4는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방법의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estimating a ground fault location in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4를 참조하면, 먼저, 통신부는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에 배치되는 제1단말 장치로부터 제1 전압 및 제1전류를 수집할 수 있다(S401).Referring to FIG. 4 , first, the communication unit may collect a first voltage and a first current from a first terminal device disposed at a drawing terminal of a distribution line substation (S401).

다음으로, 통신부는 지락 고장 지점으로부터 변전소 인출단 측으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단말 장치로부터 제2전압 및 제2전류를 수집할 수 있다(S402).Next, the communication unit may collect the second voltage and the second current from the second terminal device disposed most adjacent to the substation draw-out side from the ground fault point (S402).

다음으로, 통신부는 지락 고장 지점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3단말 장치로부터 제3전압 및 제3전류를 수집할 수 있다(S403).Next, the communication unit may collect a third voltage and a third current from a third terminal device disposed closest to the load side from the ground fault point (S403).

통신부가 제1단말 장치 내지 제3단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은 선후 관계가 바뀌어 수행되거나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The process of collecting data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to the third terminal device by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performed in a sequential relationship or concurrently.

다음으로, 제1연산부는 제2전류 및 제3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전류를 연산할 수 있다(S404).Next, the first calculation unit may calculate the fault current using the second current and the third current (S404).

다음으로, 제2연산부는 고장 전류 및 제2전압을 이용하여 지락 고장 지점의 고장 저항을 연산할 수 있다(S405).Next, the second calculation unit may calculate the fault resistance of the ground fault point using the fault current and the second voltage (S405).

다음으로, 제3연산부는 고장 전류, 고장 저항 및 제1전압, 제1전류 및 배전선로의 단위 길이당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으로부터 지락 고장 지점간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S406).Next, the third operation unit may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ground fault point and the lead end of the distribution substation using the fault current, fault resistance, first voltage, first current, and impedance per unit length of the distribution line (S406 ).

지락 고장 발생시, 지락 고장 발생 지점을 정확하게 연산하기 위하여서는 정확한 고장 전류와 고장 저항을 알고 있어야 한다. 기존에는 단순히 배전선로의 고장전류만 사용하여 지락 고장 발생 지점을 추정하거나 또는 고장 저항을 0 내지 30[Ω]으로 추정하여 지락 고장 발생 지점을 판단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정확한 지락 고장 지점을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When a ground fault occurs, the exact fault current and fault resistance must be known in order to accurately calculate the ground fault occurrence point. Conventionally, a method of estimating a ground fault occurrence point using only a fault current of a distribution line or determining a ground fault occurrence point by estimating a fault resistance of 0 to 30 [Ω] has been used. 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an exact ground fault point cannot be determined.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은 변전소 인출단의 전압, 전류와 지락 고장 발생 지점의 인접 전압 및 전류를 수집하여 정확한 고장 전류 및 고장 저항을 연산하고 이로부터 정확한 고장 지점을 판단할 수 있다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A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the ground fault location of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llects the voltage and current of a substation draw-out terminal and the voltage and current adjacent to a ground fault occurrence point, calculates an accurate fault current and fault resistance, and determines an accurate fault point therefrom. There is a technical effect that can be done.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 this case, the medium may continuously store a program executable by a computer or temporarily store the program for execution or download. In addition, the medium may be various recording means or storage means in the form of a single or combined hardware, but is not limited to a medium directly connected to a certain computer system, and may be distributed on a network. Examples of the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 and DVD,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and ROM, RAM, flash memory, etc. configured to store program instructions. In addition, examples of other media include “recording media” or storage media managed by an app store that distributes applications, a site that supplies or distributes various other software, and a server.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The term '~unit' used in this embodiment means software or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SIC, and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bu'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erefore, as an example, '~uni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Functions provided withi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combined into smaller numbers of components and '~uni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units'. In additio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 배전 자동화 시스템
10: 주장치
20: 배전 자동화용 단말 장치
30: 배전 자동화 설비
100: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
110: 통신부
120: 제1연산부
130: 제2연산부
140: 제3연산부
1: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10: main unit
20: terminal device for distribution automation
30: distribution automation equipment
100: distribution line ground fault location estimation device
110: communication department
120: first calculation unit
130: second calculation unit
140: third operation unit

Claims (9)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에 배치되는 제1단말 장치로부터 제1 전압 및 제1전류를 수집하고, 지락 고장 지점으로부터 상기 변전소 인출단 측으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단말 장치로부터 제2전압 및 제2전류를 수집하고, 상기 지락 고장 지점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3단말 장치로부터 제3전압 및 제3전류를 수집하는 통신부;
상기 제2전류 및 상기 제3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전류를 연산하는 제1연산부;
상기 고장 전류 및 상기 제2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지락 고장 지점의 고장 저항을 연산하는 제2연산부; 및
상기 고장 전류, 상기 고장 저항 및 상기 제1전압, 상기 제1전류 및 배전선로의 단위 길이당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상기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으로부터 상기 지락 고장 지점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제3연산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단말 장치, 상기 제2단말 장치, 및 상기 제3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로부터 지락 고장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
A first voltage and a first current are collected from a first terminal device disposed at a lead end of a substation of a distribution line, and a second voltage and a second current are collected from a second terminal device disposed most adjacent from a ground fault point toward the lead end side of the substation. a communication unit that collects current and collects a third voltage and a third current from a third terminal device disposed most adjacent to the load side from the ground fault point;
a first calc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a fault current using the second current and the third current;
a second calculation unit calculating a fault resistance at the ground fault point using the fault current and the second voltage; and
And a third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ground fault point from the lead end of the distribution line substation using the fault current, the fault resistance, the first voltage, the first current, and the impedance per unit length of the distribution line. but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ground fault occurrence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the second terminal device, and the third termi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산부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상기 고장 전류를 연산하는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
[수학식 1]
Figure 112021047051802-pat00004

(수학식 1에서, If는 고장 전류이고, I1는 제1전류이고, I3은 제3전류이다)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fault current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Equation 1]
Figure 112021047051802-pat00004

(In Equation 1, I f is the fault current, I 1 is the first current, and I 3 is the third curr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산부는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상기 고장 저항을 연산하는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
[수학식 2]
Figure 112021047051802-pat00005

(수학식 2에서, Rf는 고장 저항이고, V2는 제2전압이고, If는 고장 전류이다)
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fault resistance according to Equation 2 below.
[Equation 2]
Figure 112021047051802-pat00005

(In Equation 2, R f is the fault resistance, V 2 is the second voltage, and I f is the fault curr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산부는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상기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으로부터 상기 지락 고장 지점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
[수학식 3]
Figure 112021047051802-pat00006

(수학식 3에서, d는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에서 지락 고장 지점까지의 거리이고, z는 배전선로의 단위 길이당 임피던스이고, V1은 제1전압이고, I1는 제1전류이고, If는 고장 전류이고, Rf는 고장 저항이다)
According to claim 3,
The third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ground fault points from the lead end of the distribution line substation according to Equation 3 below.
[Equation 3]
Figure 112021047051802-pat00006

(In Equation 3, d is the distance from the lead end of the distribution substation to the ground fault point, z is the impedance per unit length of the distribution line, V 1 is the first voltage, I 1 is the first current, I f is the fault current and R f is the fault resistance)
통신부가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에 배치되는 제1단말 장치로부터 제1 전압 및 제1전류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가 지락 고장 지점으로부터 상기 변전소 인출단 측으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단말 장치로부터 제2전압 및 제2전류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가 상기 지락 고장 지점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3단말 장치로부터 제3전압 및 제3전류를 수집하는 단계;
제1연산부가 상기 제2전류 및 상기 제3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전류를 연산하는 단계;
제2연산부가 상기 고장 전류 및 상기 제2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지락 고장 지점의 고장 저항을 연산하는 단계; 및
제3연산부가 상기 고장 전류, 상기 고장 저항 및 상기 제1전압, 상기 제1전류 및 배전선로의 단위 길이당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상기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으로부터 상기 지락 고장 지점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1단말 장치, 상기 제2단말 장치, 및 상기 제3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로부터 지락 고장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방법.
Collecting, by a communication unit, a first voltage and a first current from a first terminal device disposed at a drawing end of a substation of a distribution line;
collecting, by the communication unit, a second voltage and a second current from a second terminal device disposed closest to the substation lead-out side from the ground fault point;
collecting, by the communication unit, a third voltage and a third current from a third terminal device disposed closest to the load side from the ground fault point;
calculating a fault current by a first calculation unit using the second current and the third current;
calculating, by a second calculator, a fault resistance of the ground fault point using the fault current and the second voltage; and
Calculating, by a third operation unit, a distance between the ground fault point from the lead end of the distribution line substation using the fault current, the fault resistance, the first voltage, the first current, and the impedance per unit length of the distribution line Including,
receiving, by the communication unit, ground fault occurrence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the second terminal device, and the third terminal device;
Distribution line ground fault location estima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산부는 하기 수학식 4에 따라 상기 고장 전류를 연산하는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방법.
[수학식 4]
Figure 112021047051802-pat00007

(수학식 4에서, If는 고장 전류이고, I1은 제1전류이고, I3은 제3전류이다)
According to claim 5,
The first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fault current according to Equation 4 below.
[Equation 4]
Figure 112021047051802-pat00007

(In Equation 4, I f is the fault current, I 1 is the first current, and I 3 is the third curre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산부는 하기 수학식 5에 따라 상기 고장 저항을 연산하는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방법.
[수학식 5]
Figure 112021047051802-pat00008

(수학식 5에서, Rf는 고장 저항이고, V2는 제2전압이고, If는 고장 전류이다)
According to claim 6,
The second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fault resistance according to Equation 5 below.
[Equation 5]
Figure 112021047051802-pat00008

(In Equation 5, R f is the fault resistance, V 2 is the second voltage, and I f is the fault curr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산부는 하기 수학식 7에 따라 상기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으로부터 상기 지락 고장 지점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방법.
[수학식 6]
Figure 112021047051802-pat00009

(수학식 6에서, d는 배전선로 변전소의 인출단에서 지락 고장 지점까지의 거리이고, z는 배전선로의 단위 길이당 임피던스이고, V1은 제1전압이고, I1는 제1전류이고, If는 고장 전류이고, Rf는 고장 저항이다)
According to claim 7,
The third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ground fault points from the draw end of the distribution line substation according to Equation 7 below.
[Equation 6]
Figure 112021047051802-pat00009

(In Equation 6, d is the distance from the draw end of the distribution substation to the ground fault point, z is the impedance per unit length of the distribution line, V 1 is the first voltage, I 1 is the first current, I f is the fault current and R f is the fault resistance)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5 to 8 is recorded on a computer.
KR1020210052238A 2021-04-22 2021-04-22 Distribution line ground fault location estim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25121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238A KR102512148B1 (en) 2021-04-22 2021-04-22 Distribution line ground fault location estimation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238A KR102512148B1 (en) 2021-04-22 2021-04-22 Distribution line ground fault location estimation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544A KR20220145544A (en) 2022-10-31
KR102512148B1 true KR102512148B1 (en) 2023-03-21

Family

ID=83803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238A KR102512148B1 (en) 2021-04-22 2021-04-22 Distribution line ground fault location estimation apparatus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148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798B1 (en) * 2002-02-20 2005-03-08 명지대학교 Method for detecting line to ground fault location for power systems
KR100425417B1 (en) * 2002-05-06 2004-03-30 명지대학교 Method for detecting line to line fault location for power systems
KR20120136952A (en) * 2011-06-10 2012-12-20 한국전력공사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ground fault of high resist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544A (en) 202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86691B1 (en) A method for detecting earth faults
EP2940483B1 (en) Evaluation method for determining of the probability of an asymmetrical fault location in a distribution network and a monitoring system for performing such method
CN106199329B (en) Fault location for DC distribution systems
US9874593B2 (en) Decision support system for outage management and automated crew dispatch
US6397156B1 (en) Impedance measurement system for power system transmission lines
US101620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fault location in a three-phase series-compensated power transmission line
Chavez et al. PMU-voltage drop based fault locator for transmission backup protection
CN111512168B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fault data of a power transmission network
CN111095728B (en) Method and power distribution network management system for assessing power distribution network assets based on downstream events
US11953534B2 (en) Detection of lightning and related control strategies in electric power systems
KR102512148B1 (en) Distribution line ground fault location estimation apparatus and method
Chatterjee et al. Dual use line relays to improve power swing deblocking function
KR2018000898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fault in gas insulated switchgear system
CN111007357B (en) Sag domain identification method considering load voltage sag tolerance capacity curve
US11921170B2 (en) Protection of low-voltage distribution networks
WO2020026069A1 (en) Traveling wave based auto-reclosing and fault location method for multi-terminal mixed lines
KR102556433B1 (en) Distribution protection coordin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edge computer and micro PMU
KR102404065B1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ng degradation of a underground cable
US20230236235A1 (en) Method of determining line fault of power system
JP4641262B2 (en) Fault location device and method for gas insulated switchgear
JP31728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the life of a segmented switch
Dantas et al. Transient current protection for transmission lines based on the Kalman filter measurement residual
Hassan et al. Threshold-free localized scheme for DC fault identification in multiterminal HVDC systems
CN114252720B (en) Bus fault diagnosis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572982B1 (en)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ground fault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