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603B1 -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 - Google Patents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603B1
KR102511603B1 KR1020210125185A KR20210125185A KR102511603B1 KR 102511603 B1 KR102511603 B1 KR 102511603B1 KR 1020210125185 A KR1020210125185 A KR 1020210125185A KR 20210125185 A KR20210125185 A KR 20210125185A KR 102511603 B1 KR102511603 B1 KR 102511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uning
pruning shears
water storage
storage space
disinf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기
정원권
임양숙
김종수
남효훈
류정아
신용습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농업기술원) filed Critical 경상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210125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6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2003/007Using spr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수의 전정작업을 요하는 작업자가 복수의 전정가위를 소지하면, 전정작업 과정 중에 사용을 마친 전정가위를 소독액에 함침 처리하여 소독함으로써, 전정가위 등을 통해 전염되는 과수 화상병 등의 전염을 예방하는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Portable disinfection port for pruning shears}
본 발명은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수의 전정작업을 요하는 작업자가 복수의 전정가위를 소지하고 전정작업 과정 중에 사용을 마친 휴번기의 전정가위를 소독액에 함침 처리하여 소독함으로써, 전정가위 등을 통해 전염되는 과수 화상병 등의 전염을 예방하는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과수의 생장과정에 접목, 정식 및 순자르기 등의 전정 작업을 통하여 식물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특히, 과실수는 상기와 같은 전정 작업에 따라 과실의 품질과 수확량이 크게 좌우되므로 필수적으로 하는 작업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식물은 즙액전염성 병원균(세균, 바이러스, 사상균 등)에 의한 감염이 쉽게 되므로, 감염된 식물에 전정 작업을 실시한 후, 인접한 다른 식물에 동일한 가위로 전정 작업을 실시할 경우 인접한 다른 식물들도 감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식물이 병원균에 감염되면, 성숙기 등의 생육후기에 100% 발병되므로 농작물의 수확량이 감소하고, 상품성이 저하됨은 물론, 감염된 식물을 제거해야 되므로 엄청난 비용손실이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전정용 가위를 소독하게 되는데, 한 그루의 식물에 전정 작업을 실시한후, 소독을 일일이 실시해야 되므로 소독액을 별도로 준비하여 소지해야 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 시,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소독을 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여 작물에 피해를 입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이후 수입이 늘어난 외국산 농산물에 병원균이 묻어 국내에 유입됐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는 과수 화상병은 병 발생국에 대해서는 관련 과수 및 농산물의 수출입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발병 과수 농가의 경우, 기주 식물 제거 및 인근 발생지역의 범위 매몰, 과수원 폐원 등 농가에 경제적 손실을 야기함으로서 국가적으로 농업 및 경제에 파급효과를 야기할 수 있는 식물 병해이다.
국내 화상병의 경우 2015년도 안성의 한 배 과수원의 신고배 품종에서 처음 발견되어 2018년에는 4개도 6개 시·군으로 확산되었고 2019년에는 전국 180개 농가에서 발생하여 127ha의 과수원이 매몰 처리 되었으며, 시군별로 안성(13), 파주(1), 이천(5), 용인(1), 원주(2), 제천(62), 충주(76), 음성(7), 천안(10)에서 발생하여 발생지역이 점차 넓어지는 경향이 있어 향후 발생 농가수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상기 과수 화상병(fire blight)은 대표적인 세균성 식물 검역병 중의 하나로,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Erwinia amylovora)가 그 원인균으로 밝혀져 있으며, 마치 화상을 입은 것처럼 배 또는 사과나무의 꽃, 가지, 열매 등을 까맣게 고사한다.
상기 과수 화상병은 꽃, 꿀샘, 기공, 피목, 상처 등을 통해 기주체로 침입하기 때문에 전염성이 높고 배나무, 사과나무, 살구나무 등 70여종의 식물을 침해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어, 당해 수확을 망칠 뿐만 아니라 장기간 타격도 줄 수 있다.
즉, 꽃의 감염은 과일을 말려 죽여 당해의 수확을 감소시키고 어린가지의 화상은 다음해의 과수가 열릴 가능성을 감소하고, 많은 과수 품종의 뿌리와 줄기에 있어서 화상은 큰 가지나 나무 전체마저도 파괴할 수 있다.
따라서, 전정가위를 통해 과수에 전정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상기 전정가위를 소독액에 함침하여 실시간으로 소독하여 상기 전정가위를 통해 과수와 과수 사이에 과수 화상병들의 전염병이 전염되는 현상을 예방하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KR 10-0804208 KR 20-0227442 KR 20-0436595 KR 10-0804208 JP 03161212
상기한 요구에 의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정가위의 교번 사용을 통해 전정작업을 실시함에 있어, 휴번기의 전정가위를 소독액에 함침 소독하여서 전정가위 등을 통해 전염되는 과수 화상병 등의 과수 전염병의 과수간 전염을 예방하는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는,
적어도 한 쌍의 시저부재가 힌지핀을 통해 교차되게 조립되어, 전반부에는 교차하는 전정날부가 형성되고 후반부에는 협지부가 형성된 전정가위의 전정날부를 직립되게 실장하여, 실장된 전정날부를 저수된 소독액을 통해 함침 소독하는 전정가위의 소독구에 있어서,
상기 전정가위의 소독구는, 소독액을 저수하는 상부 개방형의 저수공간이 형성된 휴대용 소독조와; 상기 휴대용 소독조의 저수공간에 배치되며, 중앙부에 소독을 요하는 전정가위의 전정날부가 진입되는 가위 진입로가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재의 외측면과 내접하는 저수공간의 내벽에는 다단의 걸림부들이 상하 이격하여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재는 다단의 걸림부들을 통해 저수공간에 저수된 소독액의 수면에 저면을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소독액의 상부에 유동공간의 생성을 억제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위 진입로는 좌우방향으로는 폭이 긴 장공형 진입구간이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는 폭이 짧은 단공형 구속구간이 형성되어, 상기 전정가위는 장공형 진입구간을 따라 한 쌍의 시저부재가 전개된 상태로 진입한 다음, 상기 전정가위를 90°수평 회전하면 상기 전정가위를 구성하는 한 쌍의 시저부재는 전정날부를 교차된 상태로 단공형 구속구간에 견착하여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소독조에 소독액을 저수하여, 활번기의 전정가위를 통해 과수의 전정작업을 수행하면서, 휴번기의 전정가위를 소독액에 저수하여 소독함으로써, 교번된 전정가위의 사용을 통해 과수 화상병 등의 과수 전염병의 과수간 전염을 예방하도록 하는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를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정작업에 따른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휴번기 전정가위의 안정적인 소독을 통해, 전정가위를 통한 과수간 과수 전염병의 전염을 안정되게 예방할 수 있는 특이성을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에 있어, 저수공간에 소독액을 저수한 단면 구성을 세부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에 휴번기의 전정가위를 구속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에 전정가위의 소독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에 있어, 저수공간에 소독액을 저수한 단면 구성을 세부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에 휴번기의 전정가위를 구속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에 전정가위의 소독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적어도 둘 이상의 전정가위(100)를 소지하면서 과수별로 전정가위(100)를 교번(활번기, 휴번기)되게 사용하여 과수들의 전정작업을 수행하되, 활번기의 전정가위(100)를 통해 과수의 전정작업을 실시하고 휴번기의 전정가위(100)를 소독액(L)에 함침 소독하여서, 과수별로 교번하여 사용되는 전정가위(100)들을 통해 과수간 과수 화상병 등 과수 전염병이 전염되는 것을 예방한다.
상기 전정가위(100)는, 적어도 한 쌍의 시저부재(101, 102)가 힌지핀(103)을 통해 교차되게 형성되어 전반부에는 상호 교차하는 전정날부(110)가 형성되고, 후반부에는 협지부(120)가 형성된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협지부(120) 사이에 협지 스프링(130)이 배치되어 힌지핀(103)을 통해 힌지구조로 교차하여 조립된 한 쌍의 시저부재(101, 102)의 탄력적인 전개를 도모하여, 평상시에는 전정날부(110)와 협지부(120)는 상호 간격이 벌려진 상태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휴대용 소독구(1)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독액을 저수하는 상부 개방형의 저수공간(11)이 형성된 휴대용 소독조(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소독조(10)의 외측에는 작업자의 허리를 휘감은 허리띠(B)와의 결속을 위한 밴드 고정부재(12)가 형성되어 작업자는 밴드 고정부재(12)에 허리띠를 관통하여 허리부위에 휴대용 소독조(10)를 고정한 상태로 착용하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밴드 고정부재(12)를 통해 휴대용 소독조(10)를 허리부위에 착용한 다음, 상기 휴대용 소독조(10)의 저수공간(11) 내에 소독액을 설정수위로 저수한다.
그리고, 상기 저수공간(11)에 과수의 전정작업을 마친 휴번기의 전정가위(100)를 수직으로 수납하여, 적어도 저수공간(11)에 저수된 소독액에 전정가위(100)의 전정날부(110)가 함침되어, 작업자가 활번기의 전정가위(100)를 통해 과수의 전정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휴번기의 전정가위(100)의 전정날부(110)가 소독되도록 한다.
즉, 한 쌍의 전정가위(100)를 소지한 작업자는 사용을 마친 휴번기의 전정가위(100)를 휴대용 소독조(10)의 저수공간(11)에 직립되게 수납하여 저수공간(11) 내에 저수된 소독액에 의해 함침된 전정가위(100)의 소독을 도모하고, 소독을 마친 나머지 활번기의 전정가위(100)를 통해 과수의 전정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교번 반복함으로써, 전정가위(100)에 의한 과수간 과수 전염병의 전염을 예방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휴대용 소독구(1)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휴대용 소독조(10)의 저수공간(11) 내에 소독을 요하는 전정가위를 구속하여 고정하는 개량된 전정가위 고정구조를 부가하여, 상기 저수공간(11) 내에 전정날부(110)를 함침한 전정가위(100)의 정형화된 고정과 저수공간(11) 내에 저수된 소독액의 과도한 유동과 외부 유출을 방지한다.
이를 상술하자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휴대용 소독조(10)의 저수공간(11)에 커버부재(20)를 배치하여, 상기 저수공간(11) 내에 저수된 소독액은 수면을 커버부재(20)의 저면에 당접한 상태로 전체적으로 차폐되어 전정 작업 과정에 발생되는 충격이나 흔들림에 의해 저수공간(11)에 저수된 소독액이 과도하게 유동하거나 외부로 누수되는 현상을 예방한다.
상기 커버부재(20)는 중앙부에 소독을 요하는 전정가위(100)의 전정날부(110)가 진입되는 가위 진입로(21)가 상하 관통된 커버몸체로 구성되고, 도 4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20)의 외측면과 내접하는 저수공간(11)의 내벽에는 다단의 걸림부(11a)들이 상하 이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다단의 걸림부(11a)들을 통해 저수공간(11) 내에 저수된 소독액의 수면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커버부재(20)를 배치하여 상기 커버부재(20)의 저면에 저수공간(11) 내에 저수된 소독액의 수면이 당접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저수공간(11)에 저수된 소독액의 상부에 유동공간의 발생이 최소화되므로, 상기 저수공간(11) 내에 저수된 소독액의 유동 발생이 억제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20)는 가위 진입로(21)가 형성된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소독을 요하는 전정가위(100)의 전정날부(110)는 경사면을 통해 가위 진입로(21)에 유도하여 진입되고, 또 소독액을 보충시에도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커버부재(20)에 의해 소독액은 가위 진입로(21)를 통해 유도하여 저수공간(11) 내에 보충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부재(20)의 중앙부에 형성된 가위 진입로(21)를 개량하여, 한 쌍의 시저부재(101, 102)가 전개된 상태로 진입되는 장공형 진입구간(22)과, 한 쌍의 시저부재(101, 102)가 교차되어 구속되는 단공형 구속구간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소독을 요하는 전정가위의 안정적인 진입과, 진입된 전정가위의 정형화된 구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위 진입로(21)는 좌우방향으로는 폭이 긴 장공형 진입구간(22)이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는 폭이 짧은 단공형 구속구간(23)이 형성된다.
따라서, 최초 작업자는 도 5a와 같이 가위 진입로(21)의 장공형 진입구간(22)을 통해 협지 스프링(130)을 통하여 한 쌍의 시저부재(101, 102)가 전개된 전정가위(100)의 전정날부(110)를 수직으로 진입한 다음 도 5b와 같이 상기 전정가위(100)를 90°수평 회전하면, 도 5c와 같이 상기 전정가위(1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시저부재(101, 102)는 전정날부(110)를 교차된 상태로 단공형 구속구간(23)에 견착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시저부재(101, 102)의 전정날부(110)가 가위 진입로(21)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단공형 구속구간(23)에 견착하여 구속되면, 전정 작업과정에 발생되는 충격이나 진동, 및 흔들림 등에 의해 전정가위(100)가 휴대용 소독조(10)에서 이탈하는 현상이 예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소독구(1)는 진입된 전정가위(100)의 회동 구속을 통해 전정가위의 정형화된 고정을 도모하고, 또 상기 저수공간(11) 내에 저수된 소독액의 수위에 따라 커버부재(20)의 높이를 조절하여 저수된 저수공간(11) 내에 저수된 소독액 상부에 유동공간의 발생을 억제하고, 결과적으로 휴대용 소독조(10) 내에 저수된 소독액의 유동 발생을 억제하면서 소독액의 외부 누출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밴드 고정부재(12)를 통해 허리부위에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소독구(1)를 착용한 상태로 전정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활번기의 전정가위(100)를 통해 과수의 전정작업을 수행하더라도, 상기 휴대용 소독조(10)의 저수공간(11) 내에 저수된 소독액의 유동 및 누출, 그리고 소독액에 함침된 전정가위(100)의 흔들림 등에 의해 착용상, 및 작업상의 장애가 초래되는 현상이 예방된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휴대용 소독조(10)에, 소독액을 함침된 전정가위(100)의 전정날부(110)에 고압으로 분출하는 분출형 세정 소독구조를 마련하여서, 소독액에 함침된 전정가위(100)의 보다 안정적인 소독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분출형 세정 소독구조는, 복수의 분출공(31)들이 형성된 승강 분출편(30)을 포함하여, 상기 승강 분출편(30)은 저수공간(11) 내에 진입된 전정가위(100)에 의해 반복적으로 가압되어서, 저수공간(11)의 하반부에 저수된 소독액을 하강하는 승강 분출편(30)에 형성된 분출공(31)을 통해 상향 분출하여서, 상기 전정가위(100)의 전정날부(110)를 고압 수세하면서 소독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승강 분출편(30)의 중앙부에는 분출공(31)이 형성되지 아니한 차폐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차폐부(32)는 실리콘, 우레탄, 고무 등의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져, 도 4와 같이 가위 진입로(21)에 탄력적으로 밀착하여 가위 진입로(21)를 안정되게 밀폐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승강 분출편(30)은 전정가위(100)가 저수공간(11) 내에 진입하지 아니하면 도 4와 같이 저수공간(11)을 따라 상향 이동하여 커버부재(20)에 형성된 가위 진입로(21)를 완전히 폐쇄함으로써, 가위 진입로(21)를 통해 소독액이 증발하거나 누출되는 현상을 예방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 분출편(30)은 소독액 보다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은 재질로 제작하여, 가위 진입로(21)를 통해 저수공간(11) 내에 진입된 전정가위(100)를 통해 제공되는 가압력과, 소독액과의 비중편차에 의한 부력에 의해 저수공간(11) 내에서 승강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 분출편(30)을 상향 탄지하는 거상 스프링(33)을 배치하여, 상기 거상 스프링(33)을 통해 제공되는 탄발력에 의해 승강 분출편(30)은 저수공간(11)을 따라 탄력적으로 상승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작업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독을 요하는 휴번기의 전정가위(100)를 가위 진입로(21)의 장공형 진입구간(22)을 따라 진입한 다음, 상기 전정가위(100)를 수직으로 반복하여 가력하면 상기 진입된 전정가위의 전정날부에 지지된 승강 분출편(30)은 저수공간(11)을 따라 상하로 승강한다.
이러한 과정에 소독액은 승강 분출편(30)에 형성된 분출공(31)들을 통해 상향 분출되면서, 전정가위(100)의 전정날부(110)에 침투하여 전정날부(110) 각 부위의 안정적인 소독을 도모한다.
그리하여, 상기 승강 분출편(30)의 분출공(31)을 통해 분출되는 소독액에 의해 전정가위(100)의 전정날부(110)에는 소독액이 깊숙히 침투하여 소독을 요하는 전정날부(110)의 안정적인 세정과 소독을 도모되므로, 전정날부(110)에 잔류된 전염균이나 바이러스의 신속한 소독과 안정된 제거가 가능하다.
1.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
10. 휴대용 소독조 11. 저수공간
11a. 걸림부 12. 밴드 고정부재
20. 커버부재 21. 가위 진입로
22. 장공형 진입구간 23. 단공형 구속구간
30. 승강 분출편 31. 분출공
32. 차폐부 33. 거상 스프링
100. 전정가위 101, 102. 시저부재
103. 힌지핀 110. 전정날부
120. 협지부 130. 협지 스프링

Claims (3)

  1. 적어도 한 쌍의 시저부재가 힌지핀을 통해 교차되게 조립되어 전반부에는 교차하는 전정날부가 형성되고 후반부에는 협지부가 형성된 전정가위의 전정날부를 직립되게 실장하여, 실장된 전정날부를 저수된 소독액을 통해 함침 소독하는 전정가위의 소독구에 있어서,
    상기 전정가위의 소독구는, 소독액을 저수하는 상부 개방형의 저수공간이 형성된 휴대용 소독조와; 상기 휴대용 소독조의 저수공간에 배치되며, 중앙부에 소독을 요하는 전정가위의 전정날부가 진입되는 가위 진입로가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소독조에, 함침된 전정가위의 전정날부에 소독액을 고압으로 분출하는 분출형 세정 소독구조를 마련하고,
    상기 분출형 세정 소독구조는, 복수의 분출공들이 형성된 승강 분출편을 포함하여, 상기 승강 분출편은 저수공간 내에 진입된 전정가위에 의해 반복적으로 가압되어서, 저수공간의 하반부에 저수된 소독액이 하강하는 상기 승강 분출편에 형성된 분출공을 통해 상향 분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승강 분출편을 상향 탄지하는 거상 스프링을 배치하여, 상기 거상 스프링을 통해 제공되는 탄발력에 의해 상기 승강 분출편이 저수공간을 따라 탄력적으로 상승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외측면과 내접하는 저수공간의 내벽에는 다단의 걸림부들이 상하 이격하여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재는 다단의 걸림부들을 통해 저수공간에 저수된 소독액의 수면에 저면을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소독액의 상부에 유동공간의 생성을 억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위 진입로는 좌우방향으로는 폭이 긴 장공형 진입구간이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는 폭이 짧은 단공형 구속구간이 형성되어, 상기 전정가위는 장공형 진입구간을 따라 한 쌍의 시저부재가 전개된 상태로 진입한 다음, 상기 전정가위를 90°수평 회전하면 상기 전정가위를 구성하는 한 쌍의 시저부재는 전정날부를 교차된 상태로 단공형 구속구간에 견착하여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
KR1020210125185A 2021-09-17 2021-09-17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 KR102511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185A KR102511603B1 (ko) 2021-09-17 2021-09-17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185A KR102511603B1 (ko) 2021-09-17 2021-09-17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1603B1 true KR102511603B1 (ko) 2023-03-20

Family

ID=85796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185A KR102511603B1 (ko) 2021-09-17 2021-09-17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60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3931U (ko) * 1987-09-11 1989-03-16
JPH03161212A (ja) 1989-11-17 1991-07-11 Nkk Corp 丸刃剪断装置
KR200227442Y1 (ko) 2001-01-12 2001-06-15 임홍우 식칼 소독기
KR200436595Y1 (ko) 2007-05-14 2007-09-10 주식회사 이솔루션 나이프 살균기
KR100804208B1 (ko) 2006-10-30 2008-02-18 홍혜선 전정가위
KR100903775B1 (ko) * 2009-02-27 2009-06-18 주식회사 인성하우스필 칼전용 자외선살균기
KR101507039B1 (ko) * 2013-07-08 2015-03-30 대한민국 야외 작업용 수목 전정 소독장치
KR101658647B1 (ko) * 2014-12-24 2016-09-22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주방용 칼 가위 소독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3931U (ko) * 1987-09-11 1989-03-16
JPH03161212A (ja) 1989-11-17 1991-07-11 Nkk Corp 丸刃剪断装置
KR200227442Y1 (ko) 2001-01-12 2001-06-15 임홍우 식칼 소독기
KR100804208B1 (ko) 2006-10-30 2008-02-18 홍혜선 전정가위
KR200436595Y1 (ko) 2007-05-14 2007-09-10 주식회사 이솔루션 나이프 살균기
KR100903775B1 (ko) * 2009-02-27 2009-06-18 주식회사 인성하우스필 칼전용 자외선살균기
KR101507039B1 (ko) * 2013-07-08 2015-03-30 대한민국 야외 작업용 수목 전정 소독장치
KR101658647B1 (ko) * 2014-12-24 2016-09-22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주방용 칼 가위 소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ll The fungus Chondrostereum purpureum as a silvicide to control stump sprouting in hardwoods
US5723406A (en) Method for control of horticulture diseases, and decontamination of plant tissue
Jamadar et al. Status of pomegranate diseases of Northern Karnataka in India
CN105961095A (zh) 一种用茼蒿防控茄果类蔬菜上蚜虫的方法
KR102511603B1 (ko)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
KR100663334B1 (ko) 사과자근대목 생산 방법
Caraglio et al. Observations on the links between the architecture of a tree (Dicorynia guianensis Amshoff) and Cerambycidae activity in French Guiana
Yeboah et al. Influence of selected fungicides and hormone on the rooting success of Shea (Vitellaria paradoxa gaernt) stem cuttings
Cornelius The effectiveness of pruning in mitigating Hypsipyla grandella attack on young mahogany (Swietenia macrophylla King) trees
Ayres et al. A rapid technique for evaluating treatments for Eutypa dieback control
Smith et al. Grapevine propagation best practices, part 2
Copes et al. Chemical and hot water treatments to control Rhizoctonia AG P infesting stem cuttings of azalea
Masood et al. Fungicide injection, an efficient management technique of mango sudden death disease in Punjab, Pakistan
Jain et al. Bio-efficacy of novel insecticides against chilli aphid, Aphis gossypii Glover and thrips, Scirtothrips dorsalis Hood in Malwa Region of Madhya Pradesh
Brownbridge et al. Prevention is better than cure: Early-season intervention to control whitefly on poinsettia
Uchida et al. Burrowing nematode on anthurium: recognizing symptoms, understanding the pathogen, and preventing disease
Peng et al. Biological control of Amblypelta spp (Hemiptera: Coreidae) using Oecophylla smaragdina (Hymenoptera: Formicidae)-progress, prospects and challenges
Singh et al. Bioefficacy of Spinetoram 12% SC against thrips and boll worm complex on Cotton
Elliott et al. Effects of selective logging and regeneration treatments on mortality of retained trees in Tasmanian cool temperate rainforest
CN206078724U (zh) 一种油橄榄种植用昆虫诱捕装置
Firman Crop protection problems of bananas in Fiji
Schoevaerts et al. Complementary strategy based on flupyradifurone (Sivanto prime®) and Spirotetramat (Movento®) for integrated Cacopsylla pyri control in IPM pears with focus on the temporal discrimination towards beneficials
Leyva-Mir et al. Effectiveness of fungicides and Trichorderma spp. for the control of Lasiodiplodia spp. in ‘Persian’lemon orchards in Veracruz
Sofi Delayed dormant spray (Bal-Spray oil) for the management of two major sucking pests of apple in Kashmir
CN112970441A (zh) 一种无性系扩繁温室高标准无菌无病毒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