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565B1 - 고효율 전동기 - Google Patents

고효율 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565B1
KR102511565B1 KR1020210075346A KR20210075346A KR102511565B1 KR 102511565 B1 KR102511565 B1 KR 102511565B1 KR 1020210075346 A KR1020210075346 A KR 1020210075346A KR 20210075346 A KR20210075346 A KR 20210075346A KR 102511565 B1 KR102511565 B1 KR 102511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magnetic flux
magnets
motor
suppor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6512A (ko
Inventor
이승권
Original Assignee
이승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권 filed Critical 이승권
Priority to KR1020210075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565B1/ko
Priority to PCT/KR2022/008174 priority patent/WO2022260461A1/ko
Publication of KR20220166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 H01F1/0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0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053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7Sta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4Ro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Variable reluctance rotors
    • H02K1/246Variable reluctance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3/00D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Universal AC/DC commutator motors
    • H02K23/02D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Universal AC/DC commutator motor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for exciting
    • H02K23/04D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Universal AC/DC commutator motor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for exciting having permanent magnet exci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ermanent Field Magnets Of Synchronous Machinery (AREA)

Abstract

고효율 전동기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고효율 전동기는 전기자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되 복수 개의 자석 삽입슬롯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 지지모듈; 및 상기 자석 지지모듈의 자석 삽입슬롯들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결합하는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자석은 상기 자석 삽입슬롯들에 개별적으로 슬라이딩 삽입 결합하는 복수 개의 개별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효율 전동기{High Efficiency Motor}
본 발명은, 고효율 전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유효자속량 제어를 통해 전동기(motor)의 특성이 안정되도록 자석의 효율적인 로트(lot) 관리가 가능하고, 전동기의 특성을 불안정하게 하는 요인인 로트(lot)에 따라 편차가 발생할 수 있는 자석의 특성 및 잔류자속밀도(Br)의 변화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일정한 유효자속량을 예측 관리할 수 있어 전동기의 효율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제작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고효율 전동기에 관한 것이다.
유효자속량(Total flux)이란 자석의 한 극에서 나온 많은 자력선 중에서 전기자의 해당 슬롯에 감겨 있는 코일을 통과해 반대 극으로 돌아가는 자력선의 총합계를 의미한다.
자석에서 방출되는 자속량이 아무리 많아도 전기자의 해당 슬롯 내의 코일을 통과해 반대 극으로 돌아가는 유효자속량이 적으면 나머지 자속량은 손실된다.
따라서, 되도록 자석이 방출하는 모든 자속량을 유효자속량화 하는 것이 모터, 즉 전동기 내에서의 자석을 경제적이며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한편, 전동기(motor)에 있어서 유효자속량이 미달상태가 되면 무부하 시 전동기 회전수(rpm)가 상승하고 전동기의 회전력(torque)이 떨어지며 전류치(ampere)가 상승하고 전동기의 코일에서 열 발생이 심해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방법으로서 ①자석의 두께를 크게 하는 방법, ②자석의 재질을 현재의 재질보다 잔류자속밀도(Br)를 한 단계 높은 재질로 변경시키는 방법, ③자석의 길이와 폭을 크게 하는 방법을 사용한 바 있다.
하지만, 이들 방법은 금형 비용 등이 추가로 발생한다는 점에서 비경제적인 대안일 수밖에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외면 착자를 시키거나 포화(Full) 착자를 시킬 수도 있지만, 내면 착자에서 일어날 수 있는 퍼미언스 계수의 일시 하락으로 인한 감자 문제와 착자 전원 및 착자기의 업그레이드(upgrade) 문제가 있어 좋은 대안이 될 수 없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그뿐만 아니라 통상의 전동기기는 여러 면에서 관리되어야 할 부분이 상당하다. 이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전동기의 통상적인 구조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통상의 전동기에서 고정되는 부분을 고정자(Stator)라고 부르고 회전하는 부분을 회전자(Rotor)라고 한다. 계자(10)가 고정자이고 전기자(20)가 회전자인 것이 일반적이다.
전동기의 주요 부분으로서 도 1에 도면 참조부호로 나타낸 것처럼 계자(10), 전기자(20), 정류자(30), 브러시(40, Brush) 등이 있다.
계자(10)는 필드 마그넷(Field Magnet)이라고도 하며, 주 자속의 생성을 담당한다. 계자(10)는 전기자(20)와 상호작용하여 자기회로를 구성하는데 계자(10)가 만들어준 자속을 전기자(20)가 받아 회전력을 얻는다.
이러한 계자(10)는 필요한 자속만 생성해주기만 하면 되기에 전기자(20)보다는 전류가 비교적 적게 흐르며 자속을 만들기 위해 자석을 이용하거나 전자석을 이용한다. 도 1은 자석을 이용한 예이다.
이때, 도 1처럼 자석으로 계자(10)를 적용하면 별도의 권선없이 자속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자속을 제어하지 못하여 속도 조절이 어렵다는 문제점도 내포한다.
전기자(20)는 아마츄어(Armature)라고도 하며 계자(10)가 만들어낸 자속을 끊어내어 플레밍의 왼손 법칙을 통해 토크를 생성한다.
전동기에 전원을 공급해주면 전동기가 회전하는데 이때 전원의 전류가 흐르는 곳이 바로 이 전기자(20)인 것이다.
전기자(20)는 공급하는 전류가 직접 흐르는 곳이기 때문에 대용량일수록 선이 굵고 복잡하게 설계된다.
정류자(30)는 코뮤테이터(Commutator)라고도 하며,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직류전류를 교류전류로 바꾸어 회전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직류전류를 교류전류로 바꾸어주는 이유는 전동기는 전류의 방향이 수시로 바뀌면서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한 힘도 수시로 바뀌어야 회전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바뀐 교류전류를 전기자(20)에 공급한다. 정류자(30)는 전기자(2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기자(20)가 회전하면 같이 회전한다.
회전하는 정류자(30)는 정지된 상태의 브러시(40)와 접촉한다. 브러시(40)는 정류자(30)와 접촉하여 전동기 내부회로와 외부회로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브러시(40)의 종류에는 탄소 브러시, 흑연 브러시, 전기 흑연 브러시, 금속 흑연 브러시 등이 있다.
한편, 도 1과 같은 전동기에 형성되는 자속량은 유효자속량과 누설자속량을 합한 양을 의미한다. 유효자속량에 의해 계자(1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유효자속량은 자석의 한 극에서 나온 많은 자력선 중에서 전기자(20)의 해당 슬롯에 감겨 있는 코일을 통과해 반대 극으로 돌아가는 자력선의 총합계를 의미한다.
계자(10)인 자석에서 방출되는 자속량이 아무리 많아도 전기자(20)의 해당 슬롯 내의 코일을 통과해 반대 극으로 돌아가는 유효자속량이 적으면 나머지 자속량은 손실되는데, 되도록 자석이 방출하는 모든 자속량을 유효자속량화 하는 것이 전동기 내에서의 자석을 경제적이며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전동기의 설계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전동기 설계 시 유효자속량에 대한 치밀한 계산과 더불어 누설방지를 고려하여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전동기에서 회전력(Torque)이나 회전수(RPM) 또는 전류(Ampere)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각 특성의 관리를 위해서는 자석의 특성 중 잔류자속밀도(Br), 보자력(iHc, bHc), 최대에너지적(BHmax) 등을 자세히 검토하고 관리하여야 하는데, 현존 기술로는 이에 부합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신개념의 전동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2510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유효자속량 제어를 통해 전동기(motor)의 특성이 안정되도록 자석의 효율적인 로트(lot) 관리가 가능하고, 전동기의 특성을 불안정하게 하는 요인인 로트(lot)에 따라 편차가 발생할 수 있는 자석의 특성 및 잔류자속밀도(Br)의 변화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일정한 유효자속량을 예측 관리할 수 있어 전동기의 효율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제작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고효율 전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전기자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되 복수 개의 자석 삽입슬롯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 지지모듈; 및 상기 자석 지지모듈의 자석 삽입슬롯들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결합하는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자석은 상기 자석 삽입슬롯들에 개별적으로 슬라이딩 삽입 결합하는 복수 개의 개별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전동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자석들의 양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자석들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대응하면서 상기 자석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자석 삽입슬롯들에 자석 지지용 경사 벽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석은 막대형 아크(arc) 형상을 이루며, 상기 자석이 페라이트 자석, Sm-Co계 자석, Nd-Fe-B계 자석, Sm2Fe17Nx계 자석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자석 삽입슬롯은 상기 자석을 클러스팅하고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자석 지지모듈이 2극형 이상의 다극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전기자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되 복수 개의 자석 삽입슬롯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 지지모듈; 및 상기 자석 지지모듈의 자석 삽입슬롯들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결합하는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자석은, 상기 자석 삽입슬롯들에 개별적으로 슬라이딩 삽입 결합하는 복수 개의 막대형 자석부; 및 상기 복수 개의 막대형 자석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자석 연결부를 포함하는 일체형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전동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막대형 자석부들의 양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막대형 자석부들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대응하면서 상기 막대형 자석부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자석 삽입슬롯들에 자석 지지용 경사 벽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석 삽입슬롯의 단부에는 상기 자석의 자석 연결부가 자리 배치되는 연결부 자리 배치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석이 페라이트 자석, Sm-Co계 자석, Nd-Fe-B계 자석, Sm2Fe17Nx계 자석 등에서 선택되며, 상기 자석 삽입슬롯은 상기 자석을 클러스팅하고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자석 지지모듈이 2극형 이상의 다극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효자속량 제어를 통해 전동기(motor)의 특성이 안정되도록 자석의 효율적인 로트(lot) 관리가 가능하고, 전동기의 특성을 불안정하게 하는 요인인 로트(lot)에 따라 편차가 발생할 수 있는 자석의 특성 및 잔류자속밀도(Br)의 변화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일정한 유효자속량을 예측 관리할 수 있어 전동기의 효율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제작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전동기의 통상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전동기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석 지지모듈과 자석의 분해도이다.
도 4는 자석 지지모듈의 확대 구조도이다.
도 5는 자석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자석의 내면을 부위별로 나누어 가우스 메타(gauss meter)로써 표면자속량을 측정한 데이터이다.
도 7은 2개의 자석을 시료로 하여 각각 N극과 S극의 9개 지점(a,b,c,d,e,f,g,h,i)의 표면자속량을 측정한 것이다.
도 8은 퍼미언스 계수를 산출하기 위한 B-H 곡선과 측정 부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전동기의 구조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자석 지지모듈과 자석의 분해도이다.
도 11은 자석 지지모듈의 확대 구조도이다.
도 12는 자석의 정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전동기의 구조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석 지지모듈과 자석의 분해도, 도 4는 자석 지지모듈의 확대 구조도, 도 5는 자석의 정면도, 도 6은 자석의 내면을 부위별로 나누어 가우스 메타(gauss meter)로써 표면자속량을 측정한 데이터, 도 7은 2개의 자석을 시료로 하여 각각 N극과 S극의 9개 지점(a,b,c,d,e,f,g,h,i)의 표면자속량을 측정한 것, 도 8은 퍼미언스 계수를 산출하기 위한 B-H 곡선과 측정 부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전동기에 의하면 유효자속량 제어를 통해 전동기(motor)의 특성이 안정되도록 자석의 효율적인 로트(lot) 관리가 가능하고, 전동기의 특성을 불안정하게 하는 요인인 로트(lot)에 따라 편차가 발생할 수 있는 자석의 특성 및 잔류자속밀도(Br)의 변화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일정한 유효자속량을 예측 관리할 수 있어 전동기의 효율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제작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전동기는 전기자(111)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되 복수 개의 자석 삽입슬롯(141)을 구비하는 자석 지지모듈(140)과, 자석 지지모듈(140)의 자석 삽입슬롯(141)들에 삽입되게 결합하는 자석(130), 즉 영구자석(1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자석(130)은 막대형 아크(arc)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이러한 자석(130)들이 결합하는 자석 지지모듈(140) 역시, 자석(130)에 대응하게 환형, 즉 아크형상을 이룬다. 자석 지지모듈(140)에 형성되는 자석 삽입슬롯(141)은 자석(130)을 지지하되 자석(130)을 슬롯 형태로 삽입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한다. 자석 지지모듈(140)은 유효자속량 측정에 의한 예측 관리가 가능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2에서 전기자(111), 정류자(113) 및 브러시(115)의 구성, 설명은 부호는 다르지만 도 1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전동기에 적용되는 자석(130)은 막대형 아크(arc)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자석 지지모듈(140)에 형성되는 자석 삽입슬롯(141)들에 삽입되는 형태로 자석 지지모듈(140)에 결합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자석(130)을 제작함에 있어서 그 테두리 부분의 퍼미언스 계수는 높고 중앙부위는 상대적으로 퍼미언스 계수가 낮은 구조로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럴 경우, 유효자속량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영구자석인 자석(130)은 페라이트 자석, Sm-Co계 자석, Nd-Fe-B계 자석, Sm2Fe17Nx계 자석 등에서 선택될 수 있는데, 특히 잔류자속 밀도가 높은 Nd-Fe-B계 자석 등을 사용하여 자석(130)을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퍼미언스 계수는 자속량과 유사한 의미로서, 자석의 중앙보다 주변 측의 자속량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퍼미언스 계수를 높이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전동기 내의 에어 갭(air gap)을 최대한 줄이거나, 전동기의 전기자 및 하우징의 재질을 되도록 자기저항이 적은 재질을 사용하거나, 하우징(yoke)의 두께를 증가시켜 누설자속을 없애거나, 자석 길이의 80%까지 전기자의 적층 길이를 늘이는 방법이다.
자석 지지모듈(140)은 자석(130)을 지지한다. 이러한 자석 지지모듈(140)은 통상의 고정자 혹은 회전자와 같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석 지지모듈(140)은 자석(130)의 누설자속을 막기 위해 자석 지지모듈(140) 밖으로 누설자속이 발생하지 않도록 자기저항이 적은 순철(純鐵)에 가까운 재질 또는 비자성 재질로 제작되거나 자체 두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자석 지지모듈(140)이 2극형 이상의 다극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자석 지지모듈(140)에 복수 개의 자석 삽입슬롯(141)이 형성된다. 이러한 자석 삽입슬롯(141)에 자석(130)이 슬라이딩 삽입 결합하면서 자석 지지모듈(140)에 결합한다.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자석 삽입슬롯(141)은 복수의 자석(130)을 클러스팅하고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자석(13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빠지지 않는 구조, 예컨대 테이퍼 구조라든지 혹은 후크 구조 등으로 자석 삽입슬롯(141)이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자석(130)은 자석 지지모듈(140)의 자석 삽입슬롯(141)들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결합하는데, 이때의 자석(130)은 자석 삽입슬롯(141)들에 개별적으로 슬라이딩 삽입 결합하는 복수 개의 개별 자석(130)으로 적용된다.
예컨대, 도면처럼 자석 지지모듈(140)에 총 5개의 자석 삽입슬롯(141)이 형성된 경우라면, 자석 삽입슬롯(141)들에 개수만큼 즉 총 5개의 막대형 개별 자석(130)이 적용된다. 이럴 경우, 총 5개의 막대형 개별 자석(130)을 자석 삽입슬롯(141)들에 끼우기만 하면 되므로 전동기의 제작이 매우 쉽고 편리해질 수 있다.
이때, 자석(130)들의 양측면에는 경사면(131)이 형성되며, 자석(130)들에 형성되는 경사면(131)에 대응하면서 자석(130)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자석 삽입슬롯(141)들에 자석 지지용 경사 벽체부(142)가 형성된다. 따라서, 자석(130)들이 자석 지지모듈(140)의 앞뒤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자석(130)들을 용이하게 자석 지지모듈(140)의 자석 삽입슬롯(141)들에 결합할 수 있다.
유효자속량 측정에 의한 예측 관리는 자석 사용자나 자석 공급자에게 모두 매우 편리한 방법이다. 전동기의 특성이 안정되면 자석의 효율적인 로트(lot) 관리가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참고로, 자석의 특성은 로트(lot)에 따라 편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잔류자속밀도(Br)의 경우 3∼4% 정도의 특성 변화가 있을 수 있는데 수축률의 변화까지 생각하면 유효자속량을 타이트하게 관리할 때 유효자속량의 편차는 매우 크므로 결과적으로 전동기의 특성을 불안정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동기의 제반 특성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려면 항상 일정한 유효자속량이 나올 수 있도록 관리하여야 하는데 자속량과 전기자(111)와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될 수 있으면 여유 있게 규정해야만 유효자속량의 예측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자석(130)이 삽입된 자석 지지모듈(140)은 전동기 설계시부터 수리 또는 유지 시 플러스 메타(flux meter)를 통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일례로 만일 자속량 공차를 0.10과 같이 타이트하게 관리하면 유효자속량에 의한 전동기 성능 관리는 포기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이렇게 타이트한 공차 범위 안에서 자석 공급업체가 두께(에어 갭(air gap)에 의한 퍼미언스 계수)를 변화시켜 유효자속량을 맞추기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작용에 대해 부연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자석의 중앙보다 주변 측의 자속량이 더 높게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측정 부위에서 반대 극까지의 최단거리가 짧을수록 높게 나타나는 것이다. 이것은 퍼미언스 계수의 차이에서 오는 현상으로 퍼미언스 계수가 큰 부위에서는 더 많은 자속량이 나오게 되며, 퍼미언스 계수는 측정 부위에서 반대 극까지의 최단거리가 짧을수록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퍼미언스 계수는 자석의 재질, 형상, 크기, 자장 방향에 따라서 결정되는 값으로 같은 자석이라도 자석 표면의 위치에 따라 표면가우스는 일정하지 않은데 이것은 반대 극과의 최단거리의 차 때문에 발생한다.
퍼미언스 계수가 큰 부위에서는 더 많은 자속량이 나오게 되며, 퍼미언스 계수는 측정 부위에서 반대극까지의 최단거리가 짧을수록 크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자석(130)은 퍼미언스 계수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퍼미언스 계수는 자속밀도 B를 보자력 Hc로 나눈 값을 말한다. 퍼미언스 계수는 매우 중요한 팩터(Factor)로, 자석의 재질, 형상, 크기, 자장 방향에 따라서 결정되는 값이다.
이 수치는 동작점을 산출해서 동작점 자속밀도(Bd)를 구하고, 자속량(Φ : Maxwell)을 산출한다.
동작점(퍼미언스 계수)은 Pc = √π . √S/2 x Lm/Am로 그 값을 구하며, 동작점 표면자속밀도는 Bd = Br x Pc/ ( Pc + μr ) (Gauss)로 그 값을 구한다. 총자속량은 Φo = Bd x Am(Maxwell)로 그 값을 구한다.
여기서, S는 전 표면적을, Am은 자화방향에 직교한 자석단면적을, Lm은 자화 방향의 길이를, μr 은 가역 투자율을 말한다. 즉, 퍼미언스 계수가 높을수록 총 자속량은 증가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가)의 a처럼 착자된 자석에서 가우스 메타(gauss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점 A에서는 1,200gauss, 점 B에서는 1300gauss였다고 가정하면, 실제로 점 B에서 나온 자력선이 점 A에서 나온 자력선보다 반대편 S극으로 돌아가는 에어 갭(air gap)의 최단거리가 L1만큼 짧기 때문에 당연히 가우스 측정치는 반대 극이 가까운 점 B가 점 A보다 크게 나온다.
이때, 점 A의 퍼미언스 계수(자속밀도 B / 보자력 Hc)는 (나)에서 B-H곡선이 1,200gauss와 만나는 점 A의 B/Hc가 된다.
원점과 A점을 연결한 직선이 자석 점 A에서의 퍼미언스선이 되며, A점에서 수직으로 내려 만난 Hc값이 2750oe였다면, 이때의 퍼미언스 계수는 B/Hc이므로 1,200 gauss / 2,750 oe=0.436이 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자석 점 B에서의 퍼미언스 계수도 계산해보면 1,300gauss / 2,600oe=0.50이 된다.
도 8의 (가)와 같이 서로 면이 평행하게 마주 보도록 아주 가깝게 하면 점 A나 점 B에서 반대 극까지의 거리(air gap)가 동일하게 된다(L3).
그뿐만 아니라 아주 짧기 때문에 점 A나 점 B의 표면가우스는 동일하면서도 크게 나타나게 된다.
두 점에서의 측정치가 모두 2,500G로 되었다고 하면 이때의 점 A 및 점 B의 퍼미언스(B/Hc) PA와 PB는 같게 나타나며, 그 값은 2,500 G / 1,450 oe로 1.72가 된다.
같은 자석이라도 자석 표면의 위치에 따라 표면가우스는 일정하지 않은데 이것은 반대 극과의 최단거리의 차 때문에 발생한다. 바꾸어 말하면 퍼미언스 계수를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단순히 반대 극과의 극간거리(air gap)를 줄이는 것으로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자석(130)은 앞서 기술한 것처럼 퍼미언스 계수를 높이기 위한 구조로써, 복수의 자석(130)을 적층 등의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클러스팅 하여 전동기의 부피 또는 구조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서도 퍼미언스 계수를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유효자속량 제어를 통해 전동기(motor)의 특성이 안정되도록 자석의 효율적인 로트(lot) 관리가 가능하고, 전동기의 특성을 불안정하게 하는 요인인 로트(lot)에 따라 편차가 발생할 수 있는 자석의 특성 및 잔류자속밀도(Br)의 변화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일정한 유효자속량을 예측 관리할 수 있어 전동기의 효율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제작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르면, 퍼미언스 계수를 극대화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전동기의 구조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자석 지지모듈과 자석의 분해도, 도 11은 자석 지지모듈의 확대 구조도, 도 12는 자석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전동기 역시, 전기자(111)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되 복수 개의 자석 삽입슬롯(241)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자석 지지모듈(240)과, 자석 지지모듈(240)의 자석 삽입슬롯(241)들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결합하는 자석(230)을 포함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의 자석(130)은 아크 형상을 이루는 막대형 구조로써 개별적인 자석(130)인 반면, 본 실시예의 자석(230)은 일체형 구조를 이룬다.
즉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자석(230)은 자석 삽입슬롯(241)들에 개별적으로 슬라이딩 삽입 결합하는 복수 개의 막대형 자석부(231)와, 복수 개의 막대형 자석부(231)를 일체로 연결하는 자석 연결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막대형 자석부(231)들의 양측면에는 경사면(23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막대형 자석부(231)들에 형성되는 경사면(231a)에 대응하면서 막대형 자석부(231)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자석 삽입슬롯(241)들에 자석 지지용 경사 벽체부(242)가 형성된다.
또한, 자석 삽입슬롯(241)의 단부에는 자석(230)의 자석 연결부(232)가 자리 배치되는 연결부 자리 배치부(243)가 더 형성된다. 연결부 자리 배치부(243)가 형성되기 때문에 자석(230)을 자석 삽입슬롯(241)에 꼽으면 자석(230)의 튀어나오는 부분이 없이 깔끔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일체형 구조를 이루는 자석(230)을 제작한 후, 이를 자석 삽입슬롯(241)에 슬라이딩 삽입 결합하면 한 번의 작업으로 자석(230)을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유효자속량 제어를 통해 전동기의 특성이 안정되도록 자석의 효율적인 로트(lot) 관리가 가능하고, 전동기의 특성을 불안정하게 하는 요인인 로트에 따라 편차가 발생할 수 있는 자석의 특성 및 잔류자속밀도(Br)의 변화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일정한 유효자속량을 예측 관리할 수 있어 전동기의 효율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제작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11 : 전기자 113 : 정류자
115 : 브러시 130 : 자석
131 : 경사면 140 : 자석 지지모듈
141 : 자석 삽입슬롯 142 : 자석 지지용 경사 벽체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전기자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되 전기자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자석 삽입슬롯이 이격하여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 지지모듈; 및
    상기 자석 지지모듈의 자석 삽입슬롯들에 전기자의 원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결합하는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자석은,
    상기 자석 삽입슬롯들에 개별적으로 슬라이딩 삽입 결합하는 복수 개의 막대형 자석부; 및
    상기 복수 개의 막대형 자석부를 일측에서 일체로 연결하는 자석 연결부를 포함하는 일체형 자석이며,
    상기 막대형 자석부들의 축 방향의 양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막대형 자석부들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대응하면서 상기 막대형 자석부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자석 삽입슬롯들에 자석 지지용 경사 벽체부가 형성되며,
    상기 자석 삽입슬롯의 단부에는 상기 자석의 자석 연결부가 자리 배치되는 연결부 자리 배치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전동기.
  7. 삭제
KR1020210075346A 2021-06-10 2021-06-10 고효율 전동기 KR102511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346A KR102511565B1 (ko) 2021-06-10 2021-06-10 고효율 전동기
PCT/KR2022/008174 WO2022260461A1 (ko) 2021-06-10 2022-06-09 고효율 전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346A KR102511565B1 (ko) 2021-06-10 2021-06-10 고효율 전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512A KR20220166512A (ko) 2022-12-19
KR102511565B1 true KR102511565B1 (ko) 2023-03-17

Family

ID=8442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346A KR102511565B1 (ko) 2021-06-10 2021-06-10 고효율 전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11565B1 (ko)
WO (1) WO202226046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2896A (ja) * 2008-04-19 2008-08-07 Minebea Motor Manufacturing Corp マグネットホルダおよびそれを用いたdcモータ
JP2014121267A (ja) 2012-12-17 2014-06-30 Robert Bosch Gmbh 電気機械のステータを製造する方法、ステータおよび電気機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1154U (ja) * 1991-05-24 1992-12-02 株式会社三ツ葉電機製作所 モータにおける永久磁石の止着構造
JP2795572B2 (ja) * 1992-01-20 1998-09-1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同期機のロータとその製造方法
JP2548233Y2 (ja) * 1992-12-24 1997-09-17 マブチモーター株式会社 小型モータ
JPH09275645A (ja) * 1996-03-31 1997-10-21 Sanyo Electric Co Ltd マグネットモータのステータ
JP5544130B2 (ja) 2009-09-01 2014-07-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感活性光線性または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KR20180052167A (ko) * 2016-11-09 2018-05-18 주식회사 만도 직류 모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2896A (ja) * 2008-04-19 2008-08-07 Minebea Motor Manufacturing Corp マグネットホルダおよびそれを用いたdcモータ
JP2014121267A (ja) 2012-12-17 2014-06-30 Robert Bosch Gmbh 電気機械のステータを製造する方法、ステータおよび電気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0461A1 (ko) 2022-12-15
KR20220166512A (ko) 202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0319B1 (en) Axial gap motor
Hao et al. Novel dual-rotor axial field flux-switching permanent magnet machine
US20060087186A1 (en) Rotor-stator structure for electrodynamic machines
US20110163618A1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CN109921600A (zh) 直线电机
EP1744437B1 (en) Self magnetizing motor and stator thereof
Zhu et al. Cogging torque minimization in flux-switching permanent magnet machines by tooth chamfering
Hao et al. Static characteristics of a novel axial field flux-switching permanent magnet motor with three stator structures
CN104184234A (zh) 一种混合励磁双气隙爪极电机
Luo et al. Analysis and design of ironless toroidal winding of tubular linear voice coil motor for minimum copper loss
CN204103628U (zh) 一种混合励磁双气隙爪极电机
US20150097458A1 (en) Permanent Magnet Electric Machine
KR102511565B1 (ko) 고효율 전동기
Jung-Seob et al. Proposal and design of short armature core double-sided transverse flux type linear synchronous motor
Yang et al. Novel switched-flux hybrid permanent magnet memory machines for EV/HEV applications
Imada et al. Magnet arrangement of linear PM vernier machine
KR102416020B1 (ko) 영구자석의 클러스팅을 통한 유효자속량 제어가 가능한 고효율 전동기
Zeng et al. Design and optimization of a less-rare earth permanent magnet brushless motor considering cost effective
US20220109339A1 (en) Electric motor having stacked different rotor segments and method for designing the same
KR102416033B1 (ko) 영구자석의 클러스팅을 통한 유효자속량 제어가 가능한 고효율 전동기
Almoraya et al. An investigation of a linear flux switching machine with tapered ferromagnetic poles
KR102415968B1 (ko) 영구자석의 클러스팅을 통한 유효자속량 제어가 가능한 고효율 전동기
KR102416029B1 (ko) 영구자석의 클러스팅을 통한 유효자속량 제어가 가능한 고효율 전동기
KR102416026B1 (ko) 영구자석의 클러스팅을 통한 유효자속량 제어가 가능한 고효율 전동기
JP5740250B2 (ja) 永久磁石式回転電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