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563B1 - 센싱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식품 전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센싱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식품 전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563B1
KR102511563B1 KR1020220073508A KR20220073508A KR102511563B1 KR 102511563 B1 KR102511563 B1 KR 102511563B1 KR 1020220073508 A KR1020220073508 A KR 1020220073508A KR 20220073508 A KR20220073508 A KR 20220073508A KR 102511563 B1 KR102511563 B1 KR 102511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sensing accuracy
filter paper
filter unit
buffer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우
Original Assignee
(주) 제타푸드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제타푸드랩 filed Critical (주) 제타푸드랩
Priority to KR1020220073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563B1/ko
Priority to KR1020230031412A priority patent/KR102594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77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8Diluting, dispersing or mixing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77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 G01N2001/4088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싱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식품 전처리 방법(M)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센싱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식품 전처리 방법(M)은, 채취한 시료를 완충용액에 혼합하여 균질화하는 단계(S10); 완충용액과 혼합된 시료를 포어(pore)의 직경이 1 내지 20mm인 제1 필터지로 통과시켜 물리적 거름을 수행하는 단계(S20); 및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1차 처리된 시료를 포어(pore)의 직경이 0.1 내지 0.8㎛인 제2 필터지로 통과시켜 시료를 농축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이로써, 부피가 큰 불순물을 제거하고, 시료의 균질화와 동시에 효과적인 농축이 구현될 수 있으며, 센싱의 정확도를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센싱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식품 전처리 방법{Pretreatment Method to Improve Sensing Accuracy}
본 발명은 센싱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식품 전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린더 형상의 용기부에 1차 필터유닛이 선택적으로 위치하여 물리적 거름을 수행하고, 하단에 구비되는 2차 필터유닛이 정제된 시료를 농축시키고 잔여물을 배출시키는 센싱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식품 전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학 기술의 발달로 기본적 삶의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인류는 의식주와 같은 1차원적 욕구에서 더 나아가 건강이나 행복 그리고 환경과 같은 삶의 질과 관련된 이슈를 더욱 중시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식품, 연구, 산업 현장, 의약품, 환경, 방위 분야에 걸쳐 삶의 질을 저해시키는 유해물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주거나 산업 현장에서 즉각적인 시료의 채취가 가능한 기체와는 달리 식품, 혈액, 산업 용수와 같은 대부분의 시료들은 시료의 양이 제한적이고, 분순물이 없는 정제된 시료를 채취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어 즉각적인 유해물질 검출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바이오 센싱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시료들은 일차적으로 시료를 균질화함과 동시에 농축하고,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전처리 공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전처리 공정은 센싱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시료의 종류와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물리적인 부피가 큰 불순물을 제거하여 센싱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거나, 기름 성분에 의한 계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서 기름제거공정을 통하여 화학 반응의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처리 과정에서 펌프 등을 이용하여 시료를 희석하고 다시 농축시키는 과정을 통화여 센싱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들이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전처리 공정은 부피가 큰 펌프를 이용하여 시료를 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하나의 시료를 정제함에 있어서 규격이 상이한 필터를 수차례 통과시키기 위하여 시료를 옮기거나 용기를 변경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그 과정에서 다른 유해물질에 노출되거나 변질되어 센싱의 정확도가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희석된 시료를 농축하거나 정제가 완료된 시료를 장치나 용기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유해물질에 노출될 우려가 있었다.
한편, 일본 공개특허 제2020-0146653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020. 09. 17. 공개)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생물학적 입자를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농축할 수 있는 농축 디바이스와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단지 시료의 농축에 대한 기술사상만을 제시하고 있을 뿐, 센싱의 정확도 저하의 원인이 되는 불순물의 제거나, 시료 균질화, 계 분리에 의한 센싱 정확도 저하 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시료를 옮기거나 장치를 변경하지 않더라도 하나의 키트로 전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편리하며, 시료가 유해물질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센싱의 정확도가 향상되고, 시료의 농축 과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터를 쉽게 교체할 수 있고, 정제된 시료를 키트로부터 오염 없이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센싱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식품 전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식품 전처리 방법은, 채취한 시료를 완충용액(buffer solution)에 혼합하여 균질화하는 단계(S10); 완충용액과 혼합된 시료를 포어(pore)의 직경이 1 내지 20mm인 제1 필터지로 통과시켜 물리적 거름을 수행하는 단계(S20);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1차 처리된 시료를 미생물이 농축될 수 있도록 포어(pore)의 직경이 0.1 내지 0.8㎛로 형성된 제2 필터지로 통과시켜 완충용액을 포함한 잔여물을 배출하고, 검출하고자 하는 미생물이 포함된 시료를 제2 필터지상에 농축하는 단계(S30); 및 센싱 정확도를 위하여 농축된 시료를 완충용액과 재혼합하여 균질화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농축된 시료에 유화제를 첨가하여 에멀전화하는 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20 단계는,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개방부(11)가 마련되고, 하단에 배출구(12)가 형성되는 용기부(10)에 제1 필터지가 마련된 1차 필터유닛(20)이 구비되어 수행되고, 상기 S30 단계는, 상기 용기부(10)에 제2 필터지(33)가 마련된 2차 필터유닛(30)이 구비되어 수행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센싱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식품 전처리 방법(M)에 의하면, 용기부의 상부에 1차 필터유닛으로 물리적 거름을 수행한 후, 시료를 다른 용기나 장치로 옮기지 않고 연속적으로 2차 필터유닛을 이용하여 시료를 농축시킬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편리한 전처리 공정을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용기나 장치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유해물질에 의하여 시료가 오염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센싱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압 피스톤에 의하여 1차 처리된 시료가 제2 필터지를 통과하도록 가압되므로, 시료의 농축 과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압 피스톤의 하방 가압을 보조하는 탄성 가압부를 이용하여 농축 과정이 보다 균질하고 세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1,2차 필터유닛은 필터몸체와 체결블록 사이에 필터지가 구비되어 체결블록을 분리함으로써 사용된 필터를 새로운 필터로 쉽게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 로드가 2차 필터유닛을 용기부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2차 필터유닛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어 정제된 시료를 키트로부터 오염 없이 쉽게 분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식품 전처리 방법(M)에 의하면 부피가 큰 불순물을 제거하고, 시료의 균질화와 동시에 효과적인 농축이 구현될 수 있으며, 기름성분에 의한 계 분리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센싱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전처리 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전처리 키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필터유닛을 (a) 위에서 바라 본 사시도 및 (b) 아래에서 바라 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필터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필터유닛을 (a) 위에서 바라 본 사시도 및 (b) 아래에서 바라 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필터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전처리 키트의 가압 피스톤을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전처리 키트의 가압 피스톤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전처리 키트의 체결 로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전처리 키트의 체결 로드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전처리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기재하는 '시료'는 피검물로부터 채취된 시료는 물론 전처리 방법(M)에서 후술할 완충용액이나 유화제와 같은 첨가제가 혼합된 상태의 시료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정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센싱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식품 전처리 키트(PK)는 용기부(10), 1차 필터유닛(20) 및 2차 필터유닛(30)을 포함하는 것으로, 실시형태에 따라 가압 피스톤(40), 탄성 가압부(50) 또는 체결 로드(6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부(10)는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에 개방부(11)가 마련되고, 하단에 배출구(12)가 형성된다. 상기 용기부(10)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지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개방부(11)는 1차 필터유닛(20) 및 2차 필터유닛(30)이 삽입되거나 분리되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12)는 잔여물 등이 배출되도록 기능하는 것으로, 단순히 개구된 형상을 형성될 수 있으나 축관된 형상의 노즐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1차 필터유닛(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부(10)의 개방부(11)에 안착되도록 위치하여 내측에 구비된 제1 필터지(23)로 물리적 거름을 수행하여 1차 처리된 시료를 통과시킨다. 상기 제1 필터지(23)는 포어(pore) 직경이 1 내지 20mm의 범위를 지니도록 형성되어 물리적으로 직경이 큰 입자가 걸러지도록 기능하며, 그 외의 시료는 1차 처리되어 용기부(10)의 하부로 이동한다. 상기 1차 필터유닛(20)은 시료의 1차 처리가 완료되면 용기부(10)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1차 처리된 시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부(10)의 하단에 구비되는 2차 필터유닛(30)의 제2 필터지(33)를 통과하여 정제되고, 상기 제2 필터지(33)를 통과하지 못한 시료는 농축된다. 이때, 상기 제2 필터지(33)를 통과한 잔여물은 배출구(12)로 배출되는 것으로, 상기 제2 필터지(33)는 포어(pore) 직경이 0.1 내지 0.8㎛의 범위를 지니도록 형성되어 센싱을 위한 목적 시료를 농축시키고, 직경이 작은 잔여물은 통과시킨다. 상기 2차 필터지(33)의 포어(pore) 직경은 검출하고자 하는 미생물의 크기와 관련되며, 미생물은 통상적으로 1㎛ 내외의 크기를 지닌다.
본 발명의 센싱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식품 전처리 키트(PK)에 의하면, 용기부(10)의 상부에 위치하는 1차 필터유닛(20)으로 시료의 물리적 거름을 수행한 후, 시료를 다른 용기나 장치로 옮기지 않고 연속적으로 2차 필터유닛(30)을 이용하여 시료를 농축시킬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편리한 전처리 공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시료를 옮기는 과정에서 유해물질에 의하여 시료가 오염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센싱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필터유닛(20)은, 용기부(10)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필터몸체(21)의 중심에 상부유로(21a)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필터몸체(21)의 하부에는 체결슬리브(21b)가 형성되어 중심에 하부유로(22a)가 형성된 체결블록(22)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블록(22)의 하방에는 하부유로(22a)와 연통된 체결공(22b)이 형성되어 렌치와 같은 체결공구가 삽입됨으로써 체결블록(22)의 분리과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하부유로(21a)(22a) 사이에는 제1 필터지(23)가 구비되어 시료의 물리적 거름을 수행하는바, 사용이 완료된 제1 필터지(23)를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블록(22)를 분리할 수 있으며, 교체가 완료되면, 재차 체결블록(22)를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지(23) 상하부로 링형상의 실링편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실링편은 실리콘 소재나 바이톤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몸체(21)의 외주면에는 용기부(10)의 내주면과의 실링을 위하여 오링(24)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몸체(21)의 상부유로(21a) 상측은 하부로 축관되는 테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몸체(21)의 상부에는 주입 가이드부(25)와 걸림 플랜지(26)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 가이드부(25)는 직경이 큰 주입공(25a)을 제공하여 시료의 주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며, 상기 걸림 플랜지(26)는 용기부(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2 필터유닛(20)이 개방부(11)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주입 가이드부(25)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분리 및 결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돌출된 파지부(27)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차 필터유닛(30)은, 용기부(10)의 하단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필터몸체(31)의 중심에 상부유로(31a)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필터몸체(31)의 하부에는 체결슬리브(31b)가 형성되어 중심에 하부유로(32a)가 형성된 체결블록(32)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블록(32)의 하방에는 하부유로(32a)와 연통된 체결공(32b)이 형성되어 렌치와 같은 체결공구가 삽입됨으로써 체결블록(32)의 분리과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하부유로(31a)(32a) 사이에는 제2 필터지(33)가 구비되어 1차 처리된 시료를 정제하여 농축함과 동시에 잔여물을 배출하며, 사용이 완료된 제2 필터지(33)를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블록(32)를 분리할 수 있으며, 교체가 완료되면, 재차 체결블록(32)를 체결할 수 있다.
상기 2차 필터지(33)의 상하부로 링형상의 실링편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실링편은 실리콘 소재나 바이톤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몸체(31)의 외주면에는 용기부(10)의 내주면과의 실링을 위하여 오링(34)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몸체(31)의 상부유로(31a) 상측은 하부로 축관되는 테이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필터유닛(20)에 의하여 1차 처리된 시료는 용기부(10)의 내측 2차 필터유닛(3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2차 필터유닛(30)은 포어(pore)의 직경이 매우 작으므로, 1차 처리된 시료가 제2 필터지(33)를 통과할 수 있도록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용기부(10)에는 가압 피스톤(40)이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1차 처리된 시료가 제2 필터지(33)를 통과하도록 가압함으로써 시료의 농축 과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가압 피스톤(40)은 피스톤 로드(41)의 하부에 실리콘 소재의 가압패킹(42)이 결합되어 1차 처리된 시료를 밀실된 상태 가압할 수 있으며, 상기 피스톤 로드(41)의 상단에는 누름편(4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가압 피스톤(40)의 하방 가압을 보조하기 위하여 탄성 가압부(50)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 가압부(50)는 탄성로프(51)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가압 피스톤(40)에 일정한 하방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 가압부(50)는, 상기 탄성로프(51)의 일측이 결속된 걸림편(52)이 용기부(10)의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13)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탄성로프(51)의 타측가 결속된 가압편(53)이 탄성력으로 가압 피스톤(40)을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로프(51)는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압편(53)에 대칭되게 형성된 걸림공(53a)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양 단부가 걸림편(52)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52a)에 걸림 구비되어 하방으로 소정의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2차 필터유닛(30)을 이용한 농축 과정이 수작업에 의한 가압과정 보다 균질하고 세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2차 필터유닛(30)을 통과한 잔여물은 배출구(12)로 배출되고, 상기 2차 필터유닛(30)에 걸려진 농축된 시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2차 필터유닛(30)은 용기부(10)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2차 필터유닛(30)을 용기부(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2차 필터유닛(30)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체결 로드(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로드(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부(62)의 일단에 체결부(61)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부(62)의 상단에 작업을 위한 파지부(6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 로드(60)의 체결부(61)는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2차 필터유닛(30)의 필터몸체(31)의 상부유로(31a)의 상단에는 내주면에 암나사산(31c)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61)와 나사 체결됨으로써 용기부(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 로드(60)가 2차 필터유닛(30)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어 정제된 시료를 키트로부터 오염 없이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역으로 2차 필터유닛(30)을 용기부(10)의 내측에 손쉽게 삽입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센싱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식품 전처리 방법(M)에 대하여 도 11에 도시된 사항을 바탕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식품이나 하수 등과 같은 피검물로부터 10 내지 200g 정도 소량의 시료를 채취한다(S00). 다음으로 채취된 시료를 PBS 등과 같은 완충용액을 이용하여 혼합한다(S10). 이때, 상기 완충용액은 채취된 시료의 양에 따라 90 내지 1,800mL의 범위로 혼합할 수 있다.
완충용액과 시료를 혼합하여 균질화가 진행되면, 완충용액과 혼합된 시료를 1차 필터유닛(20)의 제1 필터지(23)로 통과시켜 물리적 거름을 수행한다(S20). 상기 제1 필터지(23)의 포어(pore) 직경은 1 내지 20mm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전처리 키트(PK)를 이용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용기부(10)의 개방부(11)에 1차 필터유닛(20)을 구비하는 단계가 추가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S15).
상기 1차 필터유닛(20)는 필터몸체(21)의 상부 외주면에 걸림 플랜지(26)가 용기부(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2 필터유닛(20)이 개방부(11)에 안착될 수 있으며, 파지부(27)가 형성되어 1차 필터유닛(20)의 삽입과 분리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필터유닛(20)의 의한 완충용액과 혼합된 시료의 1차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1차 필터유닛(20)을 용기부(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S25).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1차 필터유닛(20)의 주입 가이드부(25)의 외주면에는 파지부(27)가 형성되어 1차 필터유닛(20)의 분리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가압 피스톤(40)을 가압하여 1차 처리된 시료를 2차 필터유닛(30)의 제2 필터지(33)로 통과시킴으로써 배출구(12)로 잔여물을 배출하고 시료를 농축한다(S30). 이때, 상기 제2 필터지(33)의 포어(pore) 직경은 0.1 내지 0.8㎛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2차 필터지(33)의 포어(pore) 직경은 검출하고자 하는 미생물의 크기와 관련되며, 미생물은 통상적으로 1㎛ 내외의 크기를 지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가압 피스톤(40)의 하방 가압을 보조하기 위하여 탄성 가압부(50)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균질하고 세밀한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필터유닛(30)에 농축된 시료를 PBS 등의 완충용액과 재혼합하여 균질화할 수 있다(S40). 이때, 주입되는 완충용액의 양은 시료의 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나, 1mL 내외로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S30 단계 이후에는 체결 로드(60)의 일단을 2차 필터유닛(30)에 체결하여 용기부(1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제2 필터지(33)의 상부에 농축된 시료를 확보할 수 있다(S35).
또한, 소량의 완충용액과 혼합된 농축된 시료에 유화제를 첨가하여 에멀전화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S50). 상기 유화제는 레시틴, 폴리소르베이트,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등의 계면활성제일 수 있으며, 상기 유화제는 0.001 내지 0.1mg/mL 농도를 기준으로 0.01 내지 0.1mL의 용량으로 주입하여 에멀전화함으로, 하나의 계로 만들어서 바이오 센싱의 화학적 반응이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유화제는 각 단계에서 완충용액과 함께 또는 그 이전에 미리 혼합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센싱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식품 전처리 방법(M)에 의하면 부피가 큰 불순물을 제거하고, 시료의 균질화와 동시에 효과적인 농축이 구현될 수 있으며, 기름성분에 의한 계 분리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센싱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센싱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식품 전처리 방법(M)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 기술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그리고,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K:전처리 키트
10:용기부 11:개방부
12:배출구 13:플랜지
20:1차 필터유닛 21:필터몸체
22:체결블록 23:제1 필터지
30:2차 필터유닛 31:필터몸체
32:체결블록 33:제2 필터지
40:가압 피스톤 50:탄성 가압부
51:탄성로프 52:걸림편
53:가압편 60:체결로드
M:전처리 방법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채취한 시료를 완충용액(buffer solution)에 혼합하여 균질화하는 단계(S10);
    완충용액과 혼합된 시료를 포어(pore)의 직경이 1 내지 20mm인 제1 필터지로 통과시켜 물리적 거름을 수행하는 단계(S20);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1차 처리된 시료를 미생물이 농축될 수 있도록 포어(pore)의 직경이 0.1 내지 0.8㎛로 형성된 제2 필터지로 통과시켜 완충용액을 포함한 잔여물을 배출하고, 검출하고자 하는 미생물이 포함된 시료를 제2 필터지상에 농축하는 단계(S30); 및
    센싱 정확도를 위하여 농축된 시료를 완충용액과 재혼합하여 균질화하는 단계(S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식품 전처리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축된 시료에 유화제를 첨가하여 에멀전화하는 단계(S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식품 전처리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S20 단계는,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개방부(11)가 마련되고, 하단에 배출구(12)가 형성되는 용기부(10)에 제1 필터지가 마련된 1차 필터유닛(20)이 구비되어 수행되고,
    상기 S30 단계는, 상기 용기부(10)에 제2 필터지(33)가 마련된 2차 필터유닛(30)이 구비되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식품 전처리 방법.
KR1020220073508A 2021-12-07 2022-06-16 센싱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식품 전처리 방법 KR102511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508A KR102511563B1 (ko) 2021-12-07 2022-06-16 센싱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식품 전처리 방법
KR1020230031412A KR102594975B1 (ko) 2021-12-07 2023-03-09 센싱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식품 전처리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700A KR102436854B1 (ko) 2021-12-07 2021-12-07 바이오 센싱 전처리 방법
KR1020220073508A KR102511563B1 (ko) 2021-12-07 2022-06-16 센싱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식품 전처리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700A Division KR102436854B1 (ko) 2021-12-07 2021-12-07 바이오 센싱 전처리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1412A Division KR102594975B1 (ko) 2021-12-07 2023-03-09 센싱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식품 전처리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1563B1 true KR102511563B1 (ko) 2023-03-20

Family

ID=8311348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700A KR102436854B1 (ko) 2021-12-07 2021-12-07 바이오 센싱 전처리 방법
KR1020220073508A KR102511563B1 (ko) 2021-12-07 2022-06-16 센싱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식품 전처리 방법
KR1020230031412A KR102594975B1 (ko) 2021-12-07 2023-03-09 센싱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식품 전처리 키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700A KR102436854B1 (ko) 2021-12-07 2021-12-07 바이오 센싱 전처리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1412A KR102594975B1 (ko) 2021-12-07 2023-03-09 센싱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식품 전처리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368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7040A (ja) * 1995-10-30 1997-05-16 Anritsu Corp 油脂濃度測定方法及び装置
JP6075519B1 (ja) * 2015-05-29 2017-02-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抽出方法、分析方法、抽出装置および分析装置
KR102274063B1 (ko) * 2021-02-15 2021-07-08 최성민 시료의 전처리용 캐쳐스 정제 키트 및 이 정제 키트를 이용한 시료의 전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46367A4 (en) * 2002-07-24 2006-08-16 Univ Texas INFLUENCE AND DETECTION OF MICROBES WITH MEMBRANE PROCESSES
WO2016028834A1 (en) * 2014-08-20 2016-02-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evices and methods for sample partitioning and analysi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7040A (ja) * 1995-10-30 1997-05-16 Anritsu Corp 油脂濃度測定方法及び装置
JP6075519B1 (ja) * 2015-05-29 2017-02-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抽出方法、分析方法、抽出装置および分析装置
KR102274063B1 (ko) * 2021-02-15 2021-07-08 최성민 시료의 전처리용 캐쳐스 정제 키트 및 이 정제 키트를 이용한 시료의 전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975B1 (ko) 2023-10-30
KR102436854B1 (ko) 2022-08-26
KR20230085896A (ko) 2023-06-14
KR102594975B9 (ko)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74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pathogens from biological samples
US5882943A (en) Filtration apparatus, kit and method for processing parasite samples
DE69804239T2 (de) Verfahren und apparat zur durchmischung und abscheidung von partikel-material aus einer flüssigen probe
CN1144609C (zh) 过滤和萃取装置及使用该装置的方法
KR100738100B1 (ko) 액체 시편의 예비 처리 및 주입 장치 및 방법
EP0849584A2 (de) Vorrichtung (Küvette) zur Aufnahme und Speicherung von Flüssigkeiten und zur Durchführung optischer Messungen
FR2357898A1 (fr) Appareil de preparation d'echantillons de liquide pour analyse dans des analyseurs automatiques
EP0123316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zeugung bzw. Freisetzung und Abtrennung von Substanzen oder partikulären Gebilden aus flüssiger, plastischer oder fester Materie und Verwendung der Vorrichtung
JP2009085898A (ja) 生物検査装置
EP0734768B1 (de) Verfahren zur Bindung eines biologischen Materials
US6830935B1 (en) Method for mixing and processing specimen samples
KR102511563B1 (ko) 센싱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식품 전처리 방법
AU758047B2 (en) Improved method for mixing and processing specimen samples
JP2002519692A5 (ko)
CN106680061B (zh) 一种寄生虫虫卵的检测装置及方法
CN105181922A (zh) 一种测量动植物油的装置
US20110079556A1 (en) Separation of solids from liquids by filtration and centrifugation
CN210198828U (zh) 基于磁分离的全自动QuEChERS前处理一体机
KR102179635B1 (ko) 카트리지 방식의 잔류농약 검출을 위한 현장형 시료 전처리 장치
US84968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homogeneous mixture of chromatography media in a vessel
US11143635B2 (en) Liquid delivery device and liquid chromatograph
CN213933291U (zh) 样品前处理装置
CN211987210U (zh) 一种高通量防交叉污染型固相萃取装置
DE102009022353A1 (de) Automatische Abtrennung von Partikeln aus einer Suspension
CH715826A2 (de) Tragbares Gerät für die automatische Präparation von MALDI-TOF Prob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