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498B1 -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 Google Patents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498B1
KR102511498B1 KR1020210013648A KR20210013648A KR102511498B1 KR 102511498 B1 KR102511498 B1 KR 102511498B1 KR 1020210013648 A KR1020210013648 A KR 1020210013648A KR 20210013648 A KR20210013648 A KR 20210013648A KR 102511498 B1 KR102511498 B1 KR 102511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pprentice
body characteristic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9981A (ko
Inventor
김진호
임한나
강보경
오성빈
김영섭
심준수
Original Assignee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3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498B1/ko
Publication of KR20220109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4Use of too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는 가상훈련(Virtual Reality) 컨텐츠를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훈련 시뮬레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하고자 하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컨텐츠 수행 정보를 생성하는 훈련 장치; 및 상기 훈련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수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전문가인지 또는 견습생인지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수행 정보를 기반으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 및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VIRTUAL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APPRENTICES EVALUATION AND COMPUTING DEVICE FOR EXECUTING THE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기술과 관련된다.
실제 도구를 이용한 기존의 훈련 방법은 소모성 재료의 사용, 제한된 훈련 공간, 부대 시설 관리 문제, 전압, 전류, 열방출, 스패터(불꽃)에 의한 견습생의 안전사고 위험 및 훈련에 대한 소극적 대응 등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즉, 현장에서는 고도의 숙련된 전문가를 요구하고 있지만, 상기에서 열거한 문제점들은 효율적인 훈련 과정 수행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실제 작업 환경과 동일한 가상의 환경을 조성하고, 조성된 가상의 환경에서 발생된 문제점들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최소화하며 견습생이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기반 훈련 시뮬레이터들이 개발되고 있다.
가상현실 기반 훈련, 즉, 가상훈련(Virtual Training)은, 의학적(Medical training), 산업적(industrial training) 및 항공 안전 훈련(Aviation safety training)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가상환경(Virtual Environment)을 이용한 훈련은 안전, 비용감소, 계획의 유연성 및 훈련의 반복성 등의 측면에서 큰 장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상현실 기반 훈련 시뮬레이터들은 견습생의 숙련도에 따라 교육을 제공하기 때문에, 견습생의 신체적 조건을 고려하지 않아 훈련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상훈련에 대한 평가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가상훈련을 수행한 견습생의 실력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01656호 (2014.06.02.)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견습생의 훈련 결과를 정량적으로 비교하여 견습생의 실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견습생의 신체적 조건을 고려한 가상훈련(Virtual Training)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훈련(Virtual Reality) 컨텐츠를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훈련 시뮬레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하고자하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컨텐츠 수행 정보를 생성하는 훈련 장치; 및 상기 훈련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수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전문가인지 또는 견습생인지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수행 정보를 기반으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 및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훈련 장치는 상기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하고자 하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저장부;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가상현실 방식으로 상기 가상훈련 컨텐츠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평가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컨텐츠 수행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경력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전문가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수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견습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수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에 포함된 신체 정보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에 포함된 신체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의 각 평가 요소와 그에 대응하는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의 각 평가 요소를 비교하고, 상기 각 평가 요소의 유사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여 상기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평가 요소는 상기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소요 시간, 동선 및 완성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완성도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완성도를 비교하고, 상기 완성도의 유사도에 따라 기 설정된 제1 점수를 부여하며, 상기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소요 시간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소요 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소요 시간의 유사도에 따라 기 설정된 제2 점수를 부여하며, 상기 제1 점수 및 제2 점수를 기반으로 상기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완성도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완성도를 비교하여 상기 견습생의 완성도를 판단하며, 상기 견습생의 완성도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소요 시간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소요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기 저장된 가상훈련 컨텐츠에 반영하여 상기 가상훈련 컨텐츠에 대한 업데이트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신체 특징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 저장된 가상훈련 컨텐츠에 대한 업데이트를 각각 실시하며, 상기 업데이트된 가상훈련 컨텐츠를 신체 특징에 따라 신체 특성별 가상훈련 컨텐츠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상기 견습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로부터 상기 견습생의 신체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견습생의 신체 특징과 상기 신체 특성별 가상훈련 컨텐츠를 매칭하여 상기 견습생의 신체 특징에 대응하는 신체 특성별 가상훈련 컨텐츠를 상기 훈련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로서, 훈련 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컨텐츠 수행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전문가인지 또는 견습생인지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수행 정보를 기반으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 및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분석 모듈; 및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가상훈련 평가 모듈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경력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분석 모듈은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전문가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수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견습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수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가상훈련 평가 모듈은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에 포함된 신체 정보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에 포함된 신체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가상훈련 평가 모듈은 상기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의 각 평가 요소와 그에 대응하는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의 각 평가 요소를 비교하고, 상기 각 평가 요소의 유사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여 상기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평가 요소는 상기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소요 시간, 동선 및 완성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훈련 평가 모듈은 상기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완성도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완성도를 비교하여 상기 견습생의 완성도를 판단하며, 상기 견습생의 완성도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소요 시간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소요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기 저장된 가상훈련 컨텐츠에 반영하여 상기 가상훈련 컨텐츠에 대한 업데이트를 실시하는 컨텐츠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관리 모듈은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신체 특징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 저장된 가상훈련 컨텐츠에 대한 업데이트를 각각 실시하며, 상기 업데이트된 가상훈련 컨텐츠를 신체 특징에 따라 신체 특성별 가상훈련 컨텐츠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견습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로부터 상기 견습생의 신체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견습생의 신체 특징과 상기 신체 특성별 가상훈련 컨텐츠를 매칭하여 상기 견습생의 신체 특징에 대응하는 신체 특성별 가상훈련 컨텐츠를 상기 훈련 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문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훈련 컨텐츠를 제작함으로써,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견습생의 훈련 결과를 정략적으로 비교하여 견습생의 실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견습생의 신체적 조건과 가상훈련 컨텐츠의 조건을 비교하여 견습생의 신체적 조건에 대응하는 가상훈련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신체적 특성에 알맞은 훈련을 진행하여 훈련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시스템의 훈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시스템의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방법들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시스템의 훈련 장치(1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시스템의 관리 서버(12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시스템은 복수의 훈련 장치(110) 및 관리 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훈련 장치(110) 및 관리 서버(12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몇몇 실시 예들에서, 통신 네트워크는 인터넷, 하나 이상의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s), 광역 네트워크(wire area networks), 셀룰러 네트워크, 모바일 네트워크, 그 밖에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들, 또는 이러한 네트워크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훈련 장치(110)는 가상훈련 컨텐츠를 실행하여 사용자(예를 들어, 견습생(apprentice), 전문가(master) 등)에게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기반 훈련 시뮬레이터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통신부(111), 사용자 저장부(112), 디스플레이부(113) 및 동작 감지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1)는 사용자 정보 및 컨텐츠 수행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1)는 관리 서버(120)로부터 평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1)는 관리 서버(120)로부터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수행 정보는 사용자가 훈련 장치(110)를 통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행하는 동안 동작 감지부(114)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모션 정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시선 정보,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저장부(112)는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저장부(112)는 입력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다수의 메뉴 중 선택)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성별, 연령, 키, 몸무게, 경력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가상훈련 컨텐츠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3)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방식으로 가상훈련 컨텐츠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구글 글라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HMD 형태란, 두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영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방식을 말한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3)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13)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3)는 평가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3)는 가상훈련 컨텐츠가 완료되면, 관리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평가 정보(예를 들어, 점수, 등급 등)를 사용자의 눈 앞에 제공할 수 있다.
동작 감지부(114)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컨텐츠 수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감지부(114)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작 감지부(114)는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는 시선 추적 센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 및 사용자 음성을 녹취하는 소리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120)는 통신 모듈(121), 저장 모듈(122), 사용자 분석 모듈(123), 가상훈련 평가 모듈(124), 컨텐츠 관리 모듈(125) 및 컨텐츠 제공 모듈(126)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1)은 훈련 장치(110)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훈련 장치(110)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컨텐츠 수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1)은 가상훈련 평가 모듈(124)로부터 생성된 평가 정보를 훈련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1)은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가상훈련 컨텐츠를 훈련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121)은 외부 서버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가상훈련 컨텐츠(가상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시물레이션 모델들)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 모듈(122)은 통신 모듈(121)을 통하여 수신한 사용자 정보 및 컨텐츠 수행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모듈(122)은 통신 모듈(121)을 통하여 수신한 가상훈련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분석 모듈(123)은 사용자 정보 및 컨텐츠 수행 정보를 기반으로 신체 특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분석 모듈(123)은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전문가(제1 사용자)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정보 및 컨텐츠 수행 정보에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제1 신체 특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분석 모듈(123)은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견습생(제2 사용자)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정보 및 컨텐츠 수행 정보에서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제2 신체 특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분석 모듈(123)은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경력을 기초로 사용자가 전문가인지 또는 견습생인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는 전문가의 신체 정보 및 전문가의 모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는 견습생의 신체 정보 및 견습생의 모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훈련 평가 모듈(124)은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제1 신체 특성 정보)와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제2 신체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견습생(제2 사용자)의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상훈련 평가 모듈(124)은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에 포함된 신체 정보와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에 포함된 신체 정보를 매칭하여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가상훈련 평가 모듈(124)은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와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견습생의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상훈련 평가 모듈(124)은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의 신체 정보(연령, 키, 몸무게 등)에 대응하는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의 각 평가 요소와 그에 대응하는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의 각 평가 요소를 비교하여 견습생별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평가 요소는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소요 시간, 동선, 완성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훈련 평가 모듈(124)은 평가 요소에 따라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의 각 평가 요소와 그에 대응하는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의 각 평가 요소를 비교하고, 유사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여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가상훈련 평가 모듈(124)은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완성도와 그에 대응하는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완성도를 비교하고, 완성도의 유사도에 따라 기 설정된 제1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가상훈련 평가 모듈(124)은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소요 시간와 그에 대응하는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소요 시간을 비교하고, 소요 시간의 유사도에 따라 기 설정된 제2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가상훈련 평가 모듈(124)은 제1 점수 및 제2 점수를 기반으로 해당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평가 요소의 유사도가 높을수록 해당 견습생의 실력이 높다고 판단하여 높은 점수(또는 등급)를 부여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상훈련 평가 모듈(124)은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의 신체 정보(연령, 키, 몸무게 등)에 대응하는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가상훈련 평가 모듈(124)은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완성도와 그에 대응하는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완성도를 비교하여 견습생의 완성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가상훈련 평가 모듈(124)은 견습생의 완성도를 기반으로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소요 시간과 그에 대응하는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소요 시간을 비교하여 해당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 모듈(125)은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기 저장된 가상훈련 컨텐츠에 반영하여 가상훈련 컨텐츠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컨텐츠 관리 모듈(125)은 사용자 분석 모듈(123)로부터 생성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신체 특징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가상훈련 컨텐츠에 대한 업데이트를 각각 실시하여 기 저장된 가상훈련 컨텐츠를 신체 특성별 가상훈련 컨텐츠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신체 특징은 신체 정보를 일정 범위로 분류한 것으로, 예를 들어, 구간별 연령, 키, 몸무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상훈련 컨텐츠에 대한 업데이트는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에 포함된 전문가의 모션 정보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가상훈련 컨텐츠의 기 정의된 시나리오, 행동 지침, 신체 재현 정보 등을 최적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관리 모듈(125)은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에 포함된 전문가의 신체 정보를 구간별 연령, 키, 몸무게로 각각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관리 모듈(125)은 구간별 연령, 키, 몸무게로 각각 분류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기 저장된 가상훈련 컨텐츠에 반영하여 기 저장된 가상훈련 컨텐츠에 대한 업데이트를 실시하고, 신체 특징에 따라 신체 특성별 가상훈련 컨텐츠로 분류(갱신)할 수 있다. 즉, 컨텐츠 관리 모듈(125)은 기 저장된 가상훈련 컨텐츠에 신체 특징에 따라 분류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각각 반영하여 신체 특성별 가상훈련 컨텐츠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컨텐츠 관리 모듈(125)은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기반 기술을 사용하여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입력받고,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 및 가상훈련 컨텐츠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를 실시하도록 학습된 머신러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머신러닝 모델은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가상훈련 컨텐츠에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반영하여 가상훈련 컨텐츠를 업데이트하도록 학습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모듈(126)은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훈련 컨텐츠를 훈련 장치(110)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제공 모듈(126)은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전문가로 판단되는 경우, 기 저장된 가상훈련 컨텐츠를 훈련 장치(1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모듈(126)은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견습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컨텐츠 관리 모듈(125)로부터 생성된 신체 특성별 가상훈련 컨텐츠를 훈련 장치(110)로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모듈(126)은 사용자 정보로부터 견습생의 신체 특징을 추출하고, 견습생의 신체 특징과 신체 특징에 따라 분류된 신체 특성별 가상훈련 컨텐츠를 매칭하여 해당 견습생에 대응하는 신체 특성별 가상훈련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방법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내지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메모리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2)는 훈련 장치(110)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컨텐츠 수행 정보를 획득한다(S401).
다음으로, 컴퓨팅 장치(12)는 사용자가 전문가인지 또는 견습생인지 판단하고(S402), 사용자 정보 및 컨텐츠 수행 정보를 기반으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 및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를 생성한다(S403).
다음으로, 컴퓨팅 장치(12)는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와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한다(S404).
다음으로, 컴퓨팅 장치(12)는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기 저장된 가상훈련 컨텐츠에 반영하여 가상훈련 컨텐츠에 대한 업데이트를 실시하고(S405), 업데이트된 가상훈련 컨텐츠를 신체 특징에 따라 신체 특성별 가상훈련 컨텐츠로 분류한다(S406).
마지막으로, 컴퓨팅 장치(12)는 사용자 정보로부터 견습생의 신체 특징을 추출하고, 해당 견습생의 신체 특징에 대응하는 신체 특성별 가상훈련 컨텐츠를 훈련 장치(110)로 제공한다(S407).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1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훈련 장치(110)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2)는 관리 서버(120)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훈련 장치
111 : 통신부
112 : 사용자 저장부
113 : 디스플레이부
114 : 동작 감지부
120 : 관리 서버
121 : 통신 모듈
122 : 저장 모듈
123 : 사용자 분석 모듈
124 : 가상훈련 평가 모듈
125 : 컨텐츠 관리 모듈
126 : 컨텐츠 제공 모듈

Claims (26)

  1. 가상훈련(Virtual Reality) 컨텐츠를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훈련 시뮬레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하고자하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컨텐츠 수행 정보를 생성하는 훈련 장치; 및
    상기 훈련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수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전문가인지 또는 견습생인지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수행 정보를 기반으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 및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경력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전문가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수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견습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수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에 포함된 신체 정보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에 포함된 신체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기 저장된 가상훈련 컨텐츠에 반영하여 상기 가상훈련 컨텐츠에 대한 업데이트를 실시하며,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신체 특징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 저장된 가상훈련 컨텐츠에 대한 업데이트를 각각 실시하며, 상기 업데이트된 가상훈련 컨텐츠를 신체 특징에 따라 신체 특성별 가상훈련 컨텐츠로 분류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상기 견습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로부터 상기 견습생의 신체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견습생의 신체 특징과 상기 신체 특성별 가상훈련 컨텐츠를 매칭하여 상기 견습생의 신체 특징에 대응하는 신체 특성별 가상훈련 컨텐츠를 상기 훈련 장치로 제공하는,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훈련 장치는,
    상기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하고자 하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저장부;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가상현실 방식으로 상기 가상훈련 컨텐츠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평가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컨텐츠 수행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감지부를 포함하는,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의 각 평가 요소와 그에 대응하는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의 각 평가 요소를 비교하고, 상기 각 평가 요소의 유사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여 상기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평가 요소는, 상기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소요 시간, 동선 및 완성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완성도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완성도를 비교하고, 상기 완성도의 유사도에 따라 기 설정된 제1 점수를 부여하며,
    상기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소요 시간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소요 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소요 시간의 유사도에 따라 기 설정된 제2 점수를 부여하며,
    상기 제1 점수 및 제2 점수를 기반으로 상기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완성도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완성도를 비교하여 상기 견습생의 완성도를 판단하며,
    상기 견습생의 완성도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소요 시간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소요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로서,
    훈련 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컨텐츠 수행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전문가인지 또는 견습생인지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수행 정보를 기반으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 및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분석 모듈; 및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가상훈련 평가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경력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분석 모듈은,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전문가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수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견습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수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가상훈련 평가 모듈은,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에 포함된 신체 정보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에 포함된 신체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기 저장된 가상훈련 컨텐츠에 반영하여 상기 가상훈련 컨텐츠에 대한 업데이트를 실시하는 컨텐츠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관리 모듈은,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신체 특징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 저장된 가상훈련 컨텐츠에 대한 업데이트를 각각 실시하며, 상기 업데이트된 가상훈련 컨텐츠를 신체 특징에 따라 신체 특성별 가상훈련 컨텐츠로 분류하며,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견습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로부터 상기 견습생의 신체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견습생의 신체 특징과 상기 신체 특성별 가상훈련 컨텐츠를 매칭하여 상기 견습생의 신체 특징에 대응하는 신체 특성별 가상훈련 컨텐츠를 상기 훈련 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모듈을 더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상훈련 평가 모듈은,
    상기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의 각 평가 요소와 그에 대응하는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의 각 평가 요소를 비교하고, 상기 각 평가 요소의 유사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여 상기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평가 요소는, 상기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소요 시간, 동선 및 완성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가상훈련 평가 모듈은,
    상기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완성도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완성도를 비교하여 상기 견습생의 완성도를 판단하며,
    상기 견습생의 완성도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소요 시간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소요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컴퓨팅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방법으로서,
    관리 서버가 훈련 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컨텐츠 수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전문가인지 또는 견습생인지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수행 정보를 기반으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 및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경력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 및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전문가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수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견습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수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에 포함된 신체 정보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에 포함된 신체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방법은,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기 저장된 가상훈련 컨텐츠에 반영하여 상기 가상훈련 컨텐츠에 대한 업데이트를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상훈련 컨텐츠에 대한 업데이트를 실시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신체 특징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 저장된 가상훈련 컨텐츠에 대한 업데이트를 각각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업데이트된 가상훈련 컨텐츠를 신체 특징에 따라 신체 특성별 가상훈련 컨텐츠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방법은,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견습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로부터 상기 견습생의 신체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추출한 견습생의 신체 특징과 상기 신체 특성별 가상훈련 컨텐츠를 매칭하여 상기 견습생의 신체 특징에 대응하는 신체 특성별 가상훈련 컨텐츠를 상기 훈련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방법.
  20. 삭제
  21. 삭제
  22.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의 각 평가 요소와 그에 대응하는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의 각 평가 요소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각 평가 요소의 유사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여 상기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평가 요소는, 상기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소요 시간, 동선 및 완성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완성도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완성도를 비교하여 상기 견습생의 완성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견습생의 완성도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한 전문가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소요 시간와 상기 견습생 신체 특성 정보의 가상훈련 컨텐츠를 수행한 소요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견습생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방법.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210013648A 2021-01-29 2021-01-29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102511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648A KR102511498B1 (ko) 2021-01-29 2021-01-29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648A KR102511498B1 (ko) 2021-01-29 2021-01-29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981A KR20220109981A (ko) 2022-08-05
KR102511498B1 true KR102511498B1 (ko) 2023-03-16

Family

ID=82826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648A KR102511498B1 (ko) 2021-01-29 2021-01-29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4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488B1 (ko) * 2015-01-28 2017-03-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작 기반 인터랙티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17115887A1 (ko) 2015-12-29 2017-07-06 경일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작 인식 기반의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656B1 (ko) 2012-12-27 2014-06-02 전자부품연구원 동작인식 기반의 가상훈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09339A (ko) * 2017-03-27 2018-10-08 임진국 3차원 형상정보와 가상현실시스템을 이용한 정비교육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95566A (ko) * 2017-12-11 2019-08-16 주식회사 테크인모션 Vr 교육 시스템
KR102109942B1 (ko) * 2018-05-17 2020-06-11 주식회사 패러렐월드 가상현실을 이용한 공존 직업 체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488B1 (ko) * 2015-01-28 2017-03-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작 기반 인터랙티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17115887A1 (ko) 2015-12-29 2017-07-06 경일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작 인식 기반의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981A (ko) 2022-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41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ummarized information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US11367434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determining utterance intention of user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117543B1 (ko) 컴퓨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지능 기반 영상 처리 서비스 시스템
KR102443654B1 (ko) 소스 코드에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 도구를 위한 기계 학습 모델 자동 생성
JP2022017446A (ja) 自動運転車両の道路テスト方法、装置、機器及び記憶媒体
KR102656620B1 (ko) 전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7316453B2 (ja) オブジェクト推薦方法及び装置、コンピュータ機器並びに媒体
US10521723B2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providing guid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EP4109347A2 (en) Method for processing multimodal data using neural network, device, and medium
WO2017165071A1 (en) Visual regression analysis
US11373120B2 (en) Attention mechanism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KR20180105133A (ko) 자동차 보험 답사 임무의 발표 시스템, 기기, 방법 및 판독 가능 저장매체
CN105264555A (zh) 评估控制
JP6983118B2 (ja) 対話システムの制御方法、対話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11520556B2 (en) Application replication platform
EP4125029A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of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5094292A (zh) 评价用户关注度的方法和设备
CN111522982A (zh) 使用基于学习者模型的对话模板的图像对象消歧解决方案
KR20200031006A (ko)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KR102511498B1 (ko) 견습생 평가를 위한 가상 교육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20200063886A (ko) 자연어 처리 기반 콜센터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48008A (ko) 질의의도를 분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Bianconi et al. Immersive wayfinding: virtual reconstruction and eye-tracking for orientation studies inside complex architecture
US11776059B1 (en) Voice analysis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digital sound data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Bevan et al. Benefiting from ISO standa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