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406B1 -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 - Google Patents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406B1
KR102511406B1 KR1020200073362A KR20200073362A KR102511406B1 KR 102511406 B1 KR102511406 B1 KR 102511406B1 KR 1020200073362 A KR1020200073362 A KR 1020200073362A KR 20200073362 A KR20200073362 A KR 20200073362A KR 102511406 B1 KR102511406 B1 KR 102511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gear
fuse
motor
rotor memb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5894A (ko
Inventor
박영훈
이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방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방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방산
Priority to KR1020200073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406B1/ko
Publication of KR20210155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5/00Arming-means in fuzes; Safety means for preventing premature detonation of fuzes or charges
    • F42C15/24Arming-means in fuzes; Safety means for preventing premature detonation of fuzes or charges wherein the safety or arming action is effected by inertia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5/00Arming-means in fuzes; Safety means for preventing premature detonation of fuzes or charges
    • F42C15/40Arming-means in fuzes; Safety means for preventing premature detonation of fuzes or charges wherein the safety or arming action is effected elec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9/00Details of fuzes
    • F42C19/08Primers; Detonators
    • F42C19/0838Primers or igniters for the initiation or the explosive charge in a war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며 폭발을 위한 화공품이 내장된 연결관부가 위치된 로터부재, 내부에 웜기어 및 웜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웜휠이 내장되고 출력축이 상기 로터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로터부재를 회전시키는 웜기어 박스체, 상기 웜기어 박스의 입력축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웜기어 박스체의 출력축에 연결된 상기 로터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를 포함하여 신관 내에서 전자부 공간을 침범하지 않고 신관 내부 공간활용도를 높여 신관을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고, 웜기어 구조를 이용하여 신관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고충격으로부터 로터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신관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안정적인 무기 운용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SAFETY ARMING DEVICE FOR FUSE USING WORM GEAR AND MOTOR}
본 발명은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공중폭발탄 등의 탄약에 결합되는 신관에는 발사 전 또는 발사 후 기설정된 시간 내에서 장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장전 장치가 구비된다.
안전 장전 장치는 탄약을 발사하기 전과 발사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는 장전될 수 없도록 하여 취급과정이나 발사 후 근접거리에서의 폭발 등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기존의 안전장전장치는 관성력 또는 스프링과 같은 별도의 외력에 의해 슬라이더 이동 또는 로타가 회전하여 장전되는 메커니즘으로, 안전상태 또는 장전상태의 유지를 위해 별도의 위치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기존의 신관 안전장전장치는 기어모터에 로터를 직접 조립하여 회전시키는 방식을 채택하여 기어모터의 기어 감속비를 크게 하여 고충격 환경시 로터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신관용 안전장치는 기어모터에 로터를 직접 조립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신관의 내부 공간에 대한 활용성이 떨어지고 신관 전체 형상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세히 기술하면, 기어모터의 기어 감속비를 크게 하려면 부득이 기어를 추가해야 하는데, 이로 인해 기어모터가 길어져, 신관 전자부 공간을 침범하여 기판 형상이 기이해지고 기판수가 늘어나 신관의 전체 크기가 커지고, 전자부의 집적도도 낮아지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신관용 안전장치는 폭발계열의 안전상태와 장전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접점 및 접점 기판과 전기배선 등을 이용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는데, 이는 외부 충격 및 진동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0001)한국특허등록 제1700291호 "이중 안전장전장치"(2017.01.20.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를 웜기어 박스에 직접 연결하고 웜기어 박스의 출력축에 로터를 조립하여, 전자부 공간을 침범하지 않고 신관 내부 공간활용도를 높이는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웜기어 구조를 이용하여 신관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고충격으로부터 로터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이크로 스위치를 이용하여 폭발계열의 안전 및 장전상태를 유지하고, 배선처리를 간소화하여 제작시 조립공수를 절감하는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의 일 실시예는 신관 내에 장착되어 화공품이 신관 내의 기폭관과 어긋나게 위치되는 비장전 위치에서 신관 내의 기폭관과 마주보는 장전 위치로 화공품을 이동시키는 신관용 안전 장전 장치이며, 신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며 폭발을 위한 화공품이 내장된 연결관부가 위치된 로터부재, 내부에 웜기어 및 웜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웜휠이 내장되고 출력축이 상기 로터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로터부재를 회전시키는 웜기어 박스체, 상기 웜기어 박스의 입력축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웜기어 박스체의 출력축에 연결된 상기 로터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웜기어 박스체는 상기 회전모터의 모터 샤프트가 직접 입력축이되고,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위치된 웜휠의 휠 기어축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로터부재가 장착되는 출력축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터부재의 외주면에는 비장전 위치 및 장전 위치에서 로터부재의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 돌기부가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신관의 내부에는 상기 스토퍼 돌기부가 걸려 상기 로터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복수의 스토퍼 걸림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토퍼 걸림부는 상기 로터부재가 지정된 비장전 위치에서 상기 스토퍼 돌기부가 걸려 상기 로터부재를 지정된 비장전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비장전용 스토퍼 걸림부와 상기 로터부재가 지정된 장전 위치에서 상기 스토퍼 돌기부가 걸려 상기 로터부재를 지정된 장전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장전용 스토퍼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의 일 실시예는 신관 내에 위치되고 상기 로터부재가 장전위치로 회전되면 기폭 신호를 인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부는 상기 스토퍼 돌기부와 접촉되는 접촉 스위치가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로터부재가 회전되어 장전 위치에서 정지될 때 상기 스토퍼 돌기부는 상기 접촉 스위치에 접촉되거나 상기 접촉 스위치를 눌러 장전 완료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웜기어는 모터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웜기어 박스체의 내부에는 상기 웜기어의 양단부 측을 각각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웜기어는 상기 모터 샤프트가 관통되어 위치되는 샤프트 관통구멍이 위치되고, 상기 샤프트 관통구멍의 내주면에 축걸림홈이 위치되며, 상기 모터 샤프트는 외주면에 상기 축걸림홈에 삽입되는 축돌기부가 길이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 지지부는 모터 샤프트가 관통되어 모터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탄성 지지부재, 탄성 지지부재와 웜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돌출되고 회전 가능하게 위치된 회전 안내 볼체, 탄성 지지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탄성 지지부재의 탄성체 지지면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위치를 지지하는 링형태의 스프링 지지부가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회전모터로 인가되는 전류가 기설정된 전류치 이상인 경우 상기 회전모터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전류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토퍼 돌기부가 상기 스토퍼 걸림부에 걸려 상기 로터부재의 회전이 제한되면서 상기 회전모터의 전류치가 증가할 때 상기 전류 차단부는 상기 회전모터로 인가되는 전류가 기설정된 전류치 이상인 경우 상기 회전모터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웜기어와 상기 웜휠의 기어 맞물림에 강한 구속력이 발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터를 웜기어 박스에 직접 연결하고 웜기어 박스의 출력축에 로터를 조립하여, 신관 내에서 전자부 공간을 침범하지 않고 신관 내부 공간활용도를 높여 신관을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웜기어 구조를 이용하여 신관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고충격으로부터 로터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신관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안정적인 무기 운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 스위치를 이용하여 폭발계열의 안전 및 장전상태를 유지하고, 배선처리를 간소화하여 제작시 조립공수를 절감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의 작동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의 웜기어 박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의 웜기어 박스의 일 실시예에서 웜기어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의 작동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신관의 비장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로터부재(100)가 회전되어 신관의 장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의 일 실시예는 신관(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웜기어 박스체(200)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출력축의 회전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로터부재(100)를 포함한다.
로터부재(100)는 폭발을 위한 화공품이 내장된 연결관부(110)가 내부에 위치되고, 연결관부(110)는 로터부재(100)의 외주면으로 화공품이 노출되게 위치된다.
신관(10) 내에는 연결관부(110)로 화염을 전달하여 신관(10)을 작동하기 위한 기폭관부(11)가 위치되고, 기폭관부(11)는 신관(10) 내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고, 로터부재(100)의 회전에 의해 연결관부(110)가 비장전 상태에서 장전상태로 위치되어 신관(10)이 장전되고, 장전된 상태에서 신관(10)이 작동된다.
기폭관부(11)와 연결관부(110)는 각각 복수로 구비되어 안정적인 기폭을 구현할 수 있다.
로터부재(100)는 기본적으로 비장전 상태 즉, 연결관부(110)가 기폭관부(11)와 어긋나게 위치된 상태로 위치되고, 회전모터(300)의 작동에 의해 웜기어 박스체(2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연결관부(110)가 기폭관부(11)와 마주보게 위치됨으로써 장전 상태로 위치된다.
연결관부(110)는 기폭 장치에 의해 기폭되어 신관(10)을 작동시키는 것이고, 기폭 장치에 의해 기폭되는 기폭관부(11)로부터 화염을 전달받아 신관(10)을 작동시키며, 신관(10)이 작동되는 구성은 공지의 신관에서 공지된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로터부재(100)는 웜기어 박스체(200)의 출력축에 장착되어 출력축과 함께 회전되며 로터부재(100)의 회전축, 즉, 웜기어 박스체(200)의 출력축은 수직방향 즉, 탄의 발사 방향과 일치되게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웜기어 박스체(200)는 기어박스 하우징(230)을 포함하고, 기어박스 하우징(230)의 측면에 입력축 즉, 회전모터(300)의 모터 샤프트(310)가 관통되어 위치되고, 기어박스 하우징(230)의 내부에는 회전모터(300)의 모터 샤프트(310)에 장착되는 웜기어(210) 및 웜기어(210)에 맞물려 회전되며 출력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웜휠(220)이 위치된다.
웜기어 박스체(200)는 회전모터(300)의 모터 샤프트(310)가 직접 입력축이되고,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위치된 웜휠(220)의 휠 기어축(221)이 외부로 돌출되어 출력축이 된다.
로터부재(100)는 기어박스 하우징(230)의 외측으로 돌출된 출력축에 장착되어 웜휠(220)과 함께 일체로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로터부재(100)의 외주면에는 비장전 위치 및 장전 위치에서 로터부재(100)의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 돌기부(120)가 돌출되게 위치되고, 신관(10)의 내부에는 스토퍼 돌기부(120)가 걸려 로터부재(100)의 회전을 제한하는 복수의 스토퍼 걸림부(130)가 위치된다.
스토퍼 걸림부(130)는 로터부재(100)가 지정된 비장전 위치에서 스토퍼 돌기부(120)가 걸려 로터부재(100)를 지정된 비장전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장전용 스토퍼 걸림부(131)와 로터부재(100)가 지정된 장전 위치에서 스토퍼 돌기부(120)가 걸려 로터부재(100)를 지정된 장전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장전용 스토퍼 걸림부(132)를 포함한다.
스토퍼 돌기부(120)는 로터부재(100)의 외주면에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1스토퍼 돌기(121)와 제2스토퍼 돌기(122)를 포함하고, 장전용 스토퍼 걸림부(131)는 제1스토퍼 돌기(121)와 제2스토퍼 돌기(122)가 각각 걸려 로터부재(100)의 위치를 제한하도록 복수로 구비되고, 장전용 스토퍼 걸림부(132)는 제1스토퍼 돌기(121)와 제2스토퍼 돌기(122)가 각각 걸려 로터부재(100)의 위치를 제한하도록 복수로 구비된다.
로터부재(100)는 제1스토퍼 돌기(121)와 제2스토퍼 돌기(122)가 각각 장전용 스토퍼 걸림부(131)에 걸려 기설정된 비장전 위치 즉, 연결관부(110)가 기폭관부(11)와 어긋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로터부재(100)는 회전모터(300)의 작동에 의해 웜기어 박스체(200)의 출력축과 함께 일체로 회전되어 장전 위치 즉, 연결관부(110)를 기폭관부(11)와 마주보도록 위치시키고, 장전 위치에서 제1스토퍼 돌기(121)와 제2스토퍼 돌기(122)가 각각 장전용 스토퍼 걸림부(132)에 걸려 기설정된 장전 위치 즉, 연결관부(110)가 기폭관부(11)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정확하게 정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의 일 실시예는 신관(10) 내에 위치되고 로터부재(100)가 장전위치로 회전되면 기폭 신호를 인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부(400)는 신관(10)의 기폭 제어부와 연결되고 로터부재(100)가 장전위치로 회전된 것을 감지하여 기폭 신호를 인가하여 기폭관부(11)를 기폭시켜 신관(10)이 작동될 수 있게 한다.
마이크로 스위치부(400)는 로터부재(100)가 회전되어 장전 위치로 전환될 때 스토퍼 돌기부(120)와 접촉되어 로터부재(100)가 장전 위치에서 정지된 것을 확인하고, 장전 신호를 신관(10)의 기폭 제어부로 인가한다.
스토퍼 돌기부(120)는 단부 측 외주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로터부재(100)가 회전되어 장전 위치에서 정지될 때 마이크로 스위치부(400)의 접촉 스위치(410)를 눌러 장전 완료 신호를 인가한다.
마이크로 스위치부(400)는 스토퍼 돌기부(120)와 접촉되는 접촉 스위치(410)가 돌출되게 위치되고, 로터부재(100)가 회전되어 장전 위치에서 정지될 때스토퍼 돌기부(120)는 마이크로 스위치부(400)의 접촉 스위치(410)에 접촉되거나 접촉 스위치(410)를 눌러 장전 완료 신호를 인가한다.
기폭 제어부는 마이크로 스위치부(400)로부터 장전 신호를 인가받아 기폭관부(11)를 기폭시켜 신관(10)을 작동시키는 것으로 공지의 신관(10)에서 공지된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의 웜기어 박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의 웜기어 박스의 일 실시예에서 웜기어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에서 웜기어 박스체(200)는 기어박스 하우징(230), 기어박스 하우징(2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웜기어(210), 웜기어(210)에 맞물려 회전되는 웜휠(220)을 포함한다.
또한, 회전모터(300)의 모터 샤프트(310)는 기어박스 하우징(230)의 측면을 관통하여 기어박스 하우징(230) 내에 위치되고, 웜기어(210)는 기어박스 하우징(230) 내에 위치된 모터 샤프트(310)에 장착되어 모터 샤프트(310)와 일체로 회전된다.
그리고, 웜휠(220)은 기어박스 하우징(23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웜기어(210)에 맞물려 회전되고, 휠 기어축(221)이 기어박스 하우징(230)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기어 박스 하우징의 외측으로 단부 측이 돌출되게 위치되어 웜기어 박스체(200)의 출력축이 된다.
로터부재(100)는 웜기어 박스체(200)의 출력축 즉, 웜휠(220)의 휠 기어축(221)에 장착되어 웜휠(220)과 함께 일체로 회전된다.
웜기어(210)는 모터 샤프트(3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웜기어 박스체(200)의 내부에는 웜기어(210)의 양단부 측을 각각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500)가 위치된다.
탄성 지지부(500)는 모터 샤프트(3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된 웜기어(210)의 양 단부 측을 지지하여 웜기어(210)가 웜휠(220)에 안정적으로 맞물려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웜기어(210)는 모터 샤프트(310)가 관통되어 위치되는 샤프트 관통구멍(211)이 위치되고, 샤프트 관통구멍(211)의 내주면에 축걸림홈(212)이 위치된다.
그리고, 모터 샤프트(310)는 외주면에 축걸림홈(212)에 삽입되는 축돌기부(311)가 길이방향으로 위치되고, 축돌기부(311)는 적어도 웜기어(210)의 이동 범위 만큼 형성되어 웜기어(210)가 안정적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축돌기부(311)는 모터 샤프트(310)의 외주면에 복수로 돌출되어 회전모터(300)의 회전력을 웜기어(210)로 안정적으로 전달하고, 외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분산 지지하여 충격에 의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웜기어(210)는 탄성 지지부(500)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스토퍼 돌기부(120)가 스토퍼 걸림부(130)에 걸리면서 로터부재(100)의 회전이 정지될 때 기어 맞물림에 의한 구속력을 낮추게 된다.
웜기어(210) 및 웜휠(220)을 이용하여 로터부재(100)가 비장전 위치에서 장전 위치로 전환될 때 스토퍼 돌기부(120)는 장전용 스토퍼 걸림부(132)에 걸리게 되고, 비장전 위치에서 장전 위치로 복귀될 때 스토퍼 돌기부(120)는 장전용 스토퍼 걸림부(131)에 걸리게 된다.
스토퍼 돌기부(120)가 장전용 스토퍼 걸림부(132)에 걸리거나 장전용 스토퍼 걸림부(131)에 걸려 로터부재(100)의 회전이 제한될 때 회전모터(300)의 작동이 정지되면서 회전모터(300)에 걸리는 부하가 증대되고 이에 회전모터(300)에 인가되는 전류치가 갑자기 증가됨과 아울러 웜기어(210)와 웜휠(220)의 기어 맞물림에 강한 구속력이 발생되며, 이는 웜기어(210)의 특성이다.
웜기어(210)의 특성에 의해 회전모터(300)의 회전이 스토퍼 구조에 의해 제한되면서 회전모터(300)에 인가되는 전류치가 갑자기 증가됨과 아울러 웜기어(210)와 웜휠(220)의 기어 맞물림에 강한 구속력이 발생된다.
웜기어(210)는 모터 샤프트(3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자유도를 가지고 탄성 지지부(500)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회전모터(300)의 회전이 스토퍼 구조에 의해 제한될 때 웜휠(220)과의 기어 맞물림에 의한 강한 구속력이 발생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회전모터(300)에 가해지는 부하가 점차 증가되도록 하여 회전모터(300)에 인가되는 전류치가 서서히 증가되도록 한다.
한편, 탄성 지지부(500)는 모터 샤프트(310)가 관통되어 모터 샤프트(3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탄성 지지부재(510), 탄성 지지부재(510)와 웜기어(210)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돌출되고 회전 가능하게 위치된 회전 안내 볼체(520), 탄성 지지부재(51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530)를 포함한다.
탄성 지지부재(510)는 웜기어(210)와 마주보는 제1면과 기어박스 하우징(230)을 마주보는 제2면을 포함하고, 제1면에 웜기어(210)의 단부 측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회전 안내 볼체(520)가 위치되고, 제2면에 탄성체(530)가 지지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탄성체(530)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일 예로 하고, 탄성 지지부재(510)의 제2면 즉, 탄성체(530)를 지지하는 탄성체 지지면에는 코일 스프링의 위치를 지지하는 링형태의 스프링 지지부(511)가 돌출되게 위치된다.
스프링 지지부(511)는 링형상으로 돌출되어 코일 스프링의 위치를 지지하여 코일 스프링이 안정적으로 압축되고,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회전 안내 볼체(520)는 웜기어(210)가 탄성 지지부(500)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웜기어(210)는 탄성체(530)에 의해 탄성 지지된 상태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고, 회전 시 탄성 지지부(500)와의 마찰을 최소화함으로써 회전모터(300)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회전모터(300)로 인가되는 전류가 기설정된 전류치 이상인 경우 회전모터(300)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전류 차단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전류 차단부는 공지의 전류 차단 회로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류 차단부는 회전모터(300)로 인가되는 전류가 기설정된 전류치 이상인 경우 회전모터(300)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웜기어(210)와 웜휠(220)이 맞물려 강한 구속력 즉, 정상 전압으로 회복이 불가능한 기어 맞물림이 발생되기 전에 회전모터(300)의 작동을 정지한다.
신관(10)이 탄에 장착되기 전 안전 장전장치의 작동을 점검하고 있고, 안전 장전장치의 작동을 점검하는 중에 로터부재(100)의 회전이 제한되면서 회전모터(300)의 전류치가 급격하게 증대되는 경우 웜기어(210)와 웜휠(220)의 강한 구속력으로 정상적인 전압으로 복귀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는 웜기어(210)가 모터 샤프트(3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탄성 지지부(500)에 의해 탄성 지지됨으로써 로터부재(100)가 장전 위치와 비장전 위치에서 스토퍼 구조에 의해 회전이 제함될 때 웜기어(210)와 웜휠(220)의 기어 맞물림에 강한 구속력이 발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모터(300)에 인가되는 전류치가 갑자기 증가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는 웜기어(210)의 길이 방향 이동 구조에 의해 회전모터(300)의 인가되는 전류가 서서히 증가함에 따라 전류 차단부로 회전모터(300)로 인가되는 전류가 기설정된 전류치 이상인 경우 회전모터(300)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어 웜기어(210)와 웜휠(220)이 맞물려 강한 구속력 즉, 정상 전압으로 회복이 불가능한 기어 맞물림이 발생되기 전에 회전모터(300)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웜기어(210)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는 점검 중 장전 위치와 비장전 위치로 로터부재(100)가 회전될 때 스토퍼 구조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면서 웜기어(210)와 웜휠(220)의 기어 맞물림에 강한 구속력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어 점검 중 웜기어(210)와 웜휠(220)의 기어 맞물림에 의한 강한 구속력으로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실제 작동 중 작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회전모터(300)를 웜기어 박스체(200)에 직접 연결하고 웜기어 박스체(200)의 출력축에 로터부재(100)를 조립하여, 신관 내에서 전자부 공간을 침범하지 않고 신관(10) 내부 공간활용도를 높여 신관(10)을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웜기어 구조를 이용하여 신관(10)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고충격으로부터 로터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신관(10)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안정적인 무기 운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 스위치를 이용하여 폭발계열의 안전 및 장전상태를 유지하고, 배선처리를 간소화하여 제작시 조립공수를 절감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신관 11 : 기폭관부
100 : 로터부재 110 : 연결관부
120 : 스토퍼 돌기부 121 : 제1스토퍼 돌기
122 : 제2스토퍼 돌기 130 : 스토퍼 걸림부
131 : 비장전용 스토퍼 걸림부 132 : 장전용 스토퍼 걸림부
200 : 웜기어 박스체 210 : 웜기어
211 : 샤프트 관통구멍 212 : 축걸림홈
220 : 웜휠 221 : 휠 기어축
230 : 기어박스 하우징 300 : 회전모터
310 : 모터 샤프트 311 : 축돌기부
400 : 마이크로 스위치부 500 : 탄성 지지부
510 : 탄성 지지부재 511 : 스프링 지지부
520 : 회전 안내 볼체 530 : 탄성체

Claims (13)

  1. 신관 내에 장착되어 화공품이 신관 내의 기폭관과 어긋나게 위치되는 비장전 위치에서 신관 내의 기폭관과 마주보는 장전 위치로 화공품을 이동시키는 신관용 안전 장전 장치이며,
    신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며 폭발을 위한 화공품이 내장된 연결관부가 위치된 로터부재;
    내부에 웜기어 및 웜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웜휠이 내장되고 출력축이 상기 로터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로터부재를 회전시키는 웜기어 박스체; 및
    상기 웜기어 박스의 입력축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웜기어 박스체의 출력축에 연결된 상기 로터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부재의 외주면에는 비장전 위치 및 장전 위치에서 로터부재의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 돌기부가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신관의 내부에는 상기 스토퍼 돌기부가 걸려 상기 로터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복수의 스토퍼 걸림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웜기어 박스체는 상기 회전모터의 모터 샤프트가 직접 입력축이되고,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위치된 웜휠의 휠 기어축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로터부재가 장착되는 출력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걸림부는,
    상기 로터부재가 지정된 비장전 위치에서 상기 스토퍼 돌기부가 걸려 상기 로터부재를 지정된 비장전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비장전용 스토퍼 걸림부; 및
    상기 로터부재가 지정된 장전 위치에서 상기 스토퍼 돌기부가 걸려 상기 로터부재를 지정된 장전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장전용 스토퍼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신관 내에 위치되고 상기 로터부재가 장전위치로 회전되면 기폭 신호를 인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부는 상기 스토퍼 돌기부와 접촉되는 접촉 스위치가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로터부재가 회전되어 장전 위치에서 정지될 때 상기 스토퍼 돌기부는 상기 접촉 스위치에 접촉되거나 상기 접촉 스위치를 눌러 장전 완료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
  7. 삭제
  8. 신관 내에 장착되어 화공품이 신관 내의 기폭관과 어긋나게 위치되는 비장전 위치에서 신관 내의 기폭관과 마주보는 장전 위치로 화공품을 이동시키는 신관용 안전 장전 장치이며,
    신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며 폭발을 위한 화공품이 내장된 연결관부가 위치된 로터부재;
    내부에 웜기어 및 웜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웜휠이 내장되고 출력축이 상기 로터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로터부재를 회전시키는 웜기어 박스체; 및
    상기 웜기어 박스의 입력축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웜기어 박스체의 출력축에 연결된 상기 로터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웜기어 박스체의 내부에는 상기 웜기어의 양단부 측을 각각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가 위치되어 상기 웜기어는 모터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
  9. 신관 내에 장착되어 화공품이 신관 내의 기폭관과 어긋나게 위치되는 비장전 위치에서 신관 내의 기폭관과 마주보는 장전 위치로 화공품을 이동시키는 신관용 안전 장전 장치이며,
    신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며 폭발을 위한 화공품이 내장된 연결관부가 위치된 로터부재;
    내부에 웜기어 및 웜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웜휠이 내장되고 출력축이 상기 로터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로터부재를 회전시키는 웜기어 박스체; 및
    상기 웜기어 박스의 입력축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웜기어 박스체의 출력축에 연결된 상기 로터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웜기어는 모터 샤프트가 관통되어 위치되는 샤프트 관통구멍이 위치되고, 상기 샤프트 관통구멍의 내주면에 축걸림홈이 위치되고, 상기 모터 샤프트는 외주면에 상기 축걸림홈에 삽입되는 축돌기부가 길이방향으로 위치되어 상기 웜기어는 모터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부는,
    모터 샤프트가 관통되어 모터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탄성 지지부재;
    상기 탄성 지지부재와 웜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돌출되고 회전 가능하게 위치된 회전 안내 볼체; 및
    상기 탄성 지지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탄성 지지부재의 탄성체 지지면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위치를 지지하는 링형태의 스프링 지지부가 돌출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터로 인가되는 전류가 기설정된 전류치 이상인 경우 상기 회전모터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전류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돌기부가 상기 스토퍼 걸림부에 걸려 상기 로터부재의 회전이 제한되면서 상기 회전모터의 전류치가 증가할 때 상기 전류 차단부는 상기 회전모터로 인가되는 전류가 기설정된 전류치 이상인 경우 상기 회전모터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웜기어와 상기 웜휠의 기어 맞물림에 강한 구속력이 발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
KR1020200073362A 2020-06-17 2020-06-17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 KR102511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362A KR102511406B1 (ko) 2020-06-17 2020-06-17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362A KR102511406B1 (ko) 2020-06-17 2020-06-17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894A KR20210155894A (ko) 2021-12-24
KR102511406B1 true KR102511406B1 (ko) 2023-03-16

Family

ID=79176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362A KR102511406B1 (ko) 2020-06-17 2020-06-17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4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68451B (zh) * 2022-08-29 2023-08-29 山西华洋吉禄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模拟导弹快速离舱的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259B1 (ko) * 2018-12-21 2020-04-24 국방과학연구소 유도무기용 조종날개 전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도무기용 조종날개 전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291B1 (ko) * 2014-12-30 2017-01-26 국방과학연구소 이중 안전장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259B1 (ko) * 2018-12-21 2020-04-24 국방과학연구소 유도무기용 조종날개 전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도무기용 조종날개 전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894A (ko) 202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3906A (en) Electro-mechanical safety and arming device
EP0686825B1 (en) Shock tolerant fuze
KR102511406B1 (ko) 웜기어와 모터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
US3417700A (en) Fuze arming system
KR101695357B1 (ko) 신관의 안전장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포탄
JP2019090589A (ja) 水中爆弾用安全装置
CN113587749A (zh) 一种采用空间隔爆原理的安全型点火引信
US7258068B2 (en) Safety and a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munition
KR101205246B1 (ko) 조립신뢰성이 개선된 안전장전부 및 상기 안전장전부를 구비한 신관 및 폭발형 탄
US3985079A (en) Self-destruct fuze for spinning artillery projectile
CN114111460B (zh) 保证爆炸物处理安全的旋转弹引信垂直转子阻爆机构
RU2249176C1 (ru) Взрыватель для снарядов
CN113405415B (zh) 一种具有恢复保险和不敏感特性的旋转弹引信阻爆机构
KR101199883B1 (ko) Mems를 이용한 로켓점화안전장치
US2913984A (en) Safety and arming device having remotely located rotor actuating means
US3252417A (en) Arming and firing mechanism
US4047485A (en) Compact electrical fuze
US3326131A (en) Self-dudding arming system for spun ammunition
US3146714A (en) Delay fuze for rotating munition
RU2186335C1 (ru) Контактное взры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яемых ракет
US3323460A (en) Thermo-torque motor
KR102511582B1 (ko) 홀센서를 이용한 신관용 안전 장전장치
KR102645669B1 (ko) 슬라이더형 안전 장전 장치
US2826992A (en) Safety device for low spin projectiles
CN114719691B (zh) 一种超音速非旋转弹弹头引信安全和解除保险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