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153B1 - Escape guiding net for marine creature of non-operation target - Google Patents

Escape guiding net for marine creature of non-operation targ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153B1
KR102511153B1 KR1020220167326A KR20220167326A KR102511153B1 KR 102511153 B1 KR102511153 B1 KR 102511153B1 KR 1020220167326 A KR1020220167326 A KR 1020220167326A KR 20220167326 A KR20220167326 A KR 20220167326A KR 102511153 B1 KR102511153 B1 KR 102511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bag
type
cover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73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봉진
최규석
강다영
조삼광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20167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15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1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05Net structures, e.g. structural arrangements of net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scape guiding net which is a bag-type net in which an upper and lower back plate are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ide plates are integrally connected to both sides to form an end shank at the rear end part, such that target fish are guided to the end shank and non-target marine organisms escape out of the bag-type net. More specifically, a cover net allowing target fish and non-target marine organisms to pass therethrough and a blocking net allowing the target fish to pass therethrough and blocking the non-target marine organisms from passing therethrough are sequentially placed in the form of a partition net inside a net passage on the front side of an end bag in the escape guiding net. The cover net is installed so that only the lower side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bag-type net and is installed to float at an angle inside the net passage due to the buoyancy of the upper floats and a net pulling force of a fishing vessel. An escape route for the non-target marine organisms is formed as an opening on the bottom plate of the bag-type net immediately on the front side of the blocking net. Accordingly, the target fish are first guided along the cover net to the blocking net and enter the end bag through the blocking net and the non-target marine organisms climb over the cover net and exit through an escape hole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blocking net, thereby simplifying the overall arrangement of the net and effectively preventing protected marine species such as jellyfish, dolphins, and sharks from being caught as bycatch with the target fish.

Description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망{Escape guiding net for marine creature of non-operation target}Escape guiding net for marine creature of non-operation target}

본 발명은 등판과 밑판이 상,하로 구비되고 양측으로 옆판이 일체로 연결되어 후단부에서 끝자루를 형성하는 자루형 그물에 있어, 조업대상어류는 끝자루로 유도시키는 한편, 조업대상이 아닌 해양생물은 자루형 그물의 외부로 탈출시키도록 한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ag-type net in which a back plate and a bottom plate are provided up and down and side plates are integrally connected on both sides to form an end bag at the rear end. Organisms relate to escape guidance nets for non-fishing marine organisms that allow them to escape to the outside of bag-type nets.

일반적으로 트롤어업이나 저인망어업과 같이 자루형 그물을 사용하는 조업방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3)과 밑판 및 옆판(4)이 일체로 형성된 자루형 그물(2)을 조업대상어류의 어군이 밀집된 수역(水域)으로 풀어낸 다음, 조업선박(1)을 이용하여 자루형 그물(2)을 한 쌍의 전개판과 함께 어군측으로 예망(曳網)함으로서, 각각의 전개판에 의하여 넓게 펼쳐진 자루형 그물(2)의 입구측으로부터 자루형 그물(2) 내부의 그물통로를 따라 후단부의 끝자루(6)에 조업대상어류가 갇히도록 하는 방식이 적용된다.In general, as shown in FIG. 1, the operation method using bag-type nets such as trawl fishing or trawl fishing uses bag-type nets 2 integrally formed with a back plate 3, a bottom plate, and a side plate 4 as a target for operation. After the school of fish is released into a densely populated water area, the fishing vessel (1) is used to seize the bag-type net (2) along with a pair of development plates to the side of the school, A method is applied so that the target fish is trapped in the end bag 6 at the rear end along the net passage inside the bag-type net 2 from the entrance side of the bag-type net 2 that is widely spread.

그러나, 최근에 들어서는 해양환경의 변화에 따라 수온이 높은 하절기에 해파리가 연안해역에 대량으로 출현하여 어업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으며, 해파리로 인한 어업 피해의 유형은 자루형 그물(2)을 사용하는 트롤, 저인망, 안강망, 권현망, 낭장망, 주목망과 같은 조업방식 뿐만 아니라 함정어구인 정치망, 걸어구인 자망 등을 포함한 거의 모든 조업방식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지만, 자루형 그물(2)을 이용한 조업방식은 대량의 해파리가 조업대상어류와 매우 쉽게 혼획(混獲)되기 때문에 가장 많은 피해가 초래되고 있다.However, in recent years, due to changes in the marine environment, jellyfish appear in large quantities in coastal waters in the summer when the water temperature is high, causing enormous damage to the fishery. It appears in various forms across almost all fishing methods, including not only fishing methods such as trawl, trawl net, eye net, gauntlet net, gill net, and attention net, but also trap fishing such as fixed net and hanging gill net. The fishing method causes the most damage because a large amount of jellyfish are very easily mixed with fish to be fished.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자루형 그물(2)을 이용한 조업시 해파리가 조업대상어류와 함께 대량으로 혼획될 경우, 조업선박(1)으로 자루형 그물(2)을 예망하는 과정에서 수력저항이 크게 증가하여 자루형 그물(2)이 포함된 어구가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됨은 물론이고, 다량의 해파리가 끝자루(6)의 그물 구멍을 막아 해수의 원활한 소통을 방해하므로 어획량의 감소를 유발시키며, 해파리 촉수와의 접촉으로 인한 어류의 폐사 및 어체의 훼손으로 그 수익성과 상품성이 크게 저하되는 등의 많은 피해가 발생한다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when jellyfish are caught in large quantities together with fishing target fish during fishing using the bag-type net (2), hydraulic resistance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fishing the bag-type net (2) with the fishing vessel (1). It greatly increases, so that the fishing gear including the bag-type net (2) is easily damaged or damaged, and a large amount of jellyfish blocks the net hole of the end bag (6), interfering with the smooth flow of seawater,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catch. It is said that a lot of damage occurs, such as the mortality of fish and damage to fish bodies due to contact with jellyfish tentacles, greatly reducing their profitability and marketability.

이와 더불어, 자루형 그물(2)로 어획한 어획물을 조업선박(1)의 갑판으로 쏟아낸 다음 조업대상어류를 해파리와 일일이 분리시켜야 하는 바, 해당 작업에 상당한 시간과 인력이 투입됨에 따라 조업환경이 더욱 열악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조업대상어류를 해파리와 분리시키는 도중에 작업자가 독성을 가지는 해파리의 촉수에 쏘여 상해를 입는 등의 추가적인 문제점이 야기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해파리가 많은 개체수로 광범위하게 출현한 경우에는 조업 자체를 포기하는 상황도 빈번하게 발생하였다.In addition, the fish caught by the bag-type net 2 is poured onto the deck of the fishing vessel 1, and then the fish to be fished is separated from the jellyfish one by one, which requires considerable time and manpower for the opera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is became worse, and additional problems such as the operator getting injured by being stung by the tentacles of the toxic jellyfish while separating the fish to be fished from the jellyfish caused additional problems. In some cases, the situation of giving up the operation itself occurred frequently.

상기와 같이 자루형 그물(2)을 이용한 조업과정에서 해파리의 혼획으로 야기되는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루형 그물(2)의 끝자루(6) 전방측에 조업대상어류의 통과는 가능한 반면 해파리의 통과는 불가능한 유도망(8)과 차단망(9)을 상,하로 경사지게 각각 설치하고, 상기 유도망(8)의 상단측과 등판(3)의 사이에 해파리의 유입공간(11)을 제공하는 한편, 상기 차단망(9)의 하단측은 밑판(5)과 근접한 상태로 연장되어 해파리의 배출공간(13)을 제공하는 차단망 연장부(12)를 이루도록 하며, 상기 배출공간(13)의 후단부측 배출구(14)에는 해파리의 절단기(15)를 설치한 분리배출망(10')이 2007년 특허출원 제73922호로 선출원 및 특허등록(제 10-0779591호) 되어 알려져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olve various problems caused by the catch of jellyfish in the operation process using the bag-type net 2, as shown in FIG. Guide nets (8) and blocking nets (9), which allow fish to fish to pass through but cannot pass jellyfish, are installed at an upward and downward slope, respectively, and are plac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guide net (8) and the back plate (3). While providing an inlet space 11 for jellyfish, the lower end of the blocking net 9 extends close to the bottom plate 5 to form a blocking net extension 12 providing a jellyfish discharge space 13. In the discharge port 14 at the rear end of the discharge space 13, a separate discharge network 10 ' with a jellyfish cutter 15 installed has been previously filed and patented as Patent Application No. 73922 in 2007 (No. 10-0779591 Ho) is known.

상기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된 분리배출망(10')을 자루형 그물(2)의 그물통로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업대상어류와 함께 자루형 그물(2)의 내부로 혼획된 해파리는 유도망(8)과 유입공간(11) 및 차단망(9)을 거쳐 밑판(5)측까지 일차 유도된 다음, 차단망 연장부(12)와 밑판(5) 사이의 좁은 배출공간(13)을 따라 자루형 그물(2)의 외부로 밀려 나가게 되고, 조업대상어류는 유도망(8)과 차단망(9)을 통과하여 끝자루(6)로 들어가게 됨으로서, 조업대상어류를 해파리와 분리하여 어획할 수 있는 동시에 절단기(15)를 이용하여 해파리의 절단 및 구제작업까지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parate discharge network (10 ' ) previously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is installed and used inside the net passage of the bag-type net (2), as shown in FIG. 3, the bag-type net (2 ) is primarily guided to the bottom plate (5) through the guide net (8), the inlet space (11), and the block net (9), and then the block net extension (12) and the bottom plate (5). It is pushed out of the bag-type net (2) along the narrow discharge space (13) between them, and the fishing target fish passes through the guide net (8) and the blocking net (9) and enters the end bag (6), The fishing target fish can be separated from the jellyfish, and at the same time, the cutter 15 can be used to cut and rescue the jellyfish.

그러나, 선출원된 분리배출망(10')의 경우 유영능력이 없는 해파리를 조업대상어류와 분리시키는 측면에서는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하지만, 유영능력이 뛰어난 돌고래나 상괭이 등의 해양보호생물이 조업대상어류와 함께 자루형 그물(2)의 입구를 거쳐 분리배출망(10')이 설치된 위치까지 들어올 경우에는 유도망(8)의 전방측에 해당하는 자루형 그물(2)의 그물통로 내부에서 유도망(8)을 회피하는 상태로 머물러 있거나, 유도망(8)과 차단망(9) 사이의 공간에 갇힌 상태로 조업대상어류와 함께 혼획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viously filed separate discharge network (10 ' ), it can be usefully used in terms of separating jellyfish that do not have swimming ability from target fish, but marine protection organisms such as dolphins and porpoises with excellent swimming ability In the case of entering through the entrance of the bag-type net (2) to the location where the separate discharge network (10 ' ) is installed, the guide net inside the net passage of the bag-type net (2) corresponding to the front side of the guide net (8) There was a problem of staying in a state of avoiding (8) or being caught together with fish to be operated while being trapped in the space between the guidance network (8) and the blocking network (9).

다시 말해서, 선출원된 분리배출망(10')의 경우는 차단망 연장부(12)와 밑판(5) 사이에 제공된 매우 좁은 배출공간(13)만이 유일한 출구가 되므로, 유영능력이 없는 해파리는 해당 배출공간(13)으로 밀려 들어가 자루형 그물(2)의 외부로 빠져 나갈 수 있지만, 돌고래나 상괭이 등의 해양보호생물이 해당 배출공간(13)을 거쳐 자루형 그물(2)의 외부로 탈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조업선박(1)에 의하여 자루형 그물(2)이 예망되고 있는 상황에서 해양보호생물이 자루형 그물(2)의 입구로 다시 거슬러 올라가 탈출하는 것도 매우 어렵기 때문에, 결국에는 유도망(8)의 전방측 공간이나 유도망(8)과 차단망(9) 사이의 공간에 해양보호생물이 갇혀 있게 된다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previously filed separate discharge network (10 ' ), only the very narrow discharge space 13 provided between the blocking net extension 12 and the bottom plate 5 is the only exit, so jellyfish without swimming ability It is pushed into the discharge space 13 and can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bag-type net 2, but marine protection creatures such as dolphins and porpoises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bag-type net 2 through the discharge space 13 It is virtually impossible, and it is very difficult for marine protection creatures to escape by going back to the entrance of the bag net (2) in a situation where the bag net (2) is being projected by the fishing vessel (1), so eventually Marine protection organisms are confined in the space on the front side of the guide net 8 or the space between the guide net 8 and the blocking net 9.

상기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자루형 그물(2)의 입구측으로 들어온 조업대상어류가 분리배출망(10') 부근에서 유영하는 돌고래나 상괭이 등의 해양보호생물을 천적으로 인식하여 회피하게 됨으로서, 끝자루(6)의 내부까지 조업대상어류가 원활하게 유도되지 못하여 어획량이 크게 줄어들 뿐만 아니라, 유도망(8)과 차단망(9)의 사이에 해양보호생물이 갇힌 경우에는 자루형 그물(2)을 조업선박(1)의 갑판으로 들어 올려 해양보호생물을 외부로 빼내는 작업 또한 매우 까다롭게 되며, 이 과정에서 자루형 그물(2)의 손상이 불가피하게 됨은 물론이고, 해양보호생물도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아 폐사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When the above situation occurs, the fishing target fish entering the entrance side of the bag-type net 2 recognizes marine protection creatures such as dolphins and porpoises swimming near the separate discharge network 10 ' as natural enemies and avoids them. , The fish to be fished is not smoothly induced to the inside of the tip sack (6), so the catch is greatly reduced, and when marine protection organisms are trapped between the guiding net (8) and the blocking net (9), the bag-type net ( 2) is lifted to the deck of the fishing vessel (1) to remove the marine protection organisms to the outside, which is also very difficult. A number of problems occurred, such as receiving and dying.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779591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77959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업대상어류와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모두 통과할 수 없는 커버망과, 조업대상어류는 통과가 가능한 반면,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은 통과할 수 없는 차단망을 끝자루 전방측의 그물통로 내부에 칸막이 그물 형태로 순차 배치하고, 상기 커버망은 그 하단측만이 자루형 그물의 밑판과 연결되게 하는 한편, 상단측 부자의 부력과 조업선박의 예망력에 의하여 그물통로 내부로 비스듬히 부상(浮上)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차단망의 직전방에 해당하는 자루형 그물의 밑판상에는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구를 개구부 형태로 형성시킴으로서, 조업대상어류는 커버망을 따라 차단망까지 일차 유도된 다음 차단망을 통과하여 끝자루로 들어가게 하고,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은 커버망을 타고 넘은 다음 차단망의 전방면을 따라 탈출구로 빠져 나가게 하며, 이를 통하여 그물망의 전체적인 배치 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하면서도 해파리 뿐만 아니라 돌고래나 상괭이 등의 해양보호생물이 조업대상어류와 함께 혼획되는 현상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망을 제공하는 것을 그 주된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and a cover net through which both fishing target fish and non-fishing marine life cannot pass, and fishing target fish can pass through, while non-fishing marine life The impassable blocking net is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form of a partition net inside the net passage on the front side of the end handle, and the cover net connects only the lower side to the bottom plate of the bag net, while the buoyancy of the upper side float and It is installed so that it rises obliquely into the net passage by the fishing vessel's seismic force, and on the bottom plate of the bag-type net corresponding to the front side of the blocking net, the escape of non-fishing marine life is formed in the form of an opening, The target fish are first induced to the blocking net along the cover net, and then pass through the blocking net to enter the end bag, and the non-fishing marine life is allowed to climb over the cover net and then escape through the escape port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blocking net, Through this, the overall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net is very simple, but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phenomenon of marine protection organisms such as dolphins and porpoises being caught together with fish to be fished as well as jellyfish. Its main technical task is to provid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등판과 밑판이 상,하로 구비되고 양측으로 옆판이 일체로 연결되어 후단부에서 끝자루를 형성하는 자루형 그물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서, 조업대상어류는 끝자루로 유도시키는 한편, 조업대상이 아닌 해양생물은 자루형 그물의 외부로 탈출시키도록 한 탈출유도망에 있어서, 상기 탈출유도망은 끝자루의 전방측에 해당하는 자루형 그물의 그물통로 내부에 커버망과 차단망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칸막이 그물 형태로 순차 배치되고, 상기 커버망과 차단망의 사이에 해당하는 자루형 그물의 밑판에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구가 개구부 형태로 제공된 구성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망은 조업대상어류와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모두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망목 치수를 가지는 그물망으로 제작되고, 상기 차단망은 조업대상어류의 통과는 가능한 반면,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통과는 불가능한 크기의 망목 치수를 가지는 그물망으로 제작되며, 상기 커버망은 해당 그물망의 하단측만이 자루형 그물의 밑판과 연결되는 한편, 해당 그물망의 좌,우측과 상단측은 자루형 그물의 옆판과 등판에 각각 연결되지 아니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차단망은 해당 그물망의 상,하단측과 좌,우측이 자루형 그물의 등판과 밑판 및 옆판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상기 커버망의 상단측에는 해당 그물망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부자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부자의 부력에 의하여 부상되는 커버망의 상단측과 자루형 그물의 등판 사이에 조업대상어류와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유입공간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installed inside a bag-type net having a back plate and a bottom plate provided up and down and integrally connected with side plates on both sides to form an end bag at the rear end, In the escape guidance network that guides fish to the end handle while allowing marine life that is not a target for fishing to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bag-type net, the escape guidance network is a net of bag-type nets corresponding to the front side of the end bag. A cover net and a block net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form of a partition net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side the passage, and an escape route for non-fishing marine life is formed in the form of an opening on the bottom plate of the bag-type net between the cover net and the block net. Including the provided configuration, the cover net is made of a net having a mesh dimension of a size that cannot pass both target fish and non-fishing marine life, while the blocking net allows fish to be operated , It is made of a net having a mesh size that is impossible for non-fishing marine life to pass through, and the cover net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bag-type net only at the lower end of the net, while the left, right and upper ends of the net are It is installed in a state where it is not connected to the side plate and back plate of the bag-type net, respectively, and the blocking net is installed connected to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net, respectively, to the back plate, bottom plate, and side plate of the bag-type net, and the cover On the upper side of the net, floats are connect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net, and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cover net and the back of the bag-type net, which are floated by the buoyancy of the float, fish for fishing and marine life for non-fish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space is provided.

이와 더불어, 상기 커버망의 상단 좌,우측에는 부자의 부력에 의한 커버망의 부상 높이를 제한하는 홀딩로프가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홀딩로프 하단측이 자루형 그물의 밑판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커버망은 부자의 부력에 의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후방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부상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차단망은 자루형 그물의 등판으로부터 자루형 그물의 밑판에 이르기까지 소정의 각도만큼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자루형 그물의 밑판 하측에는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구를 커버하는 플랩망이 배치되고, 상기 플랩망은 해당 그물망의 선단측 부분만이 자루형 그물의 밑판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커버망의 상측부는 해당 그물망을 이루는 그물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최소 2개 이상의 셔터그물로 분할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셔터그물은 그물본체의 상측부에서 서로간의 구속없이 자유롭게 유동되는 그물망 부분이 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홀딩로프는 각각의 셔터그물마다 하나씩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부자는 소정 높이의 원기둥형 몸통을 가지도록 제작되며, 상기 부자의 하측 단부는 원기둥형 몸통과 연이어지는 반구형 또는 깔때기형 돌출부로 형성되고, 상기 반구형 또는 깔때기형 돌출부의 하단측에는 커버망 상단측과의 힌지식 연결고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차단망의 하측부에는 끝자루의 내부로 유도된 조업대상어류가 탈출구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하는 차폐망이 차단망의 폭 방향에 걸쳐 소정의 높이만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holding ropes are connected to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ver net to limit the floating height of the cover net by the buoyancy of the float, and the lower side of each holding rope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bag-type 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net is installed so as to be inclined up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rear side by the buoyancy of the float, and the blocking net is rear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back plate of the bag-type net to the bottom plate of the bag-type n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bliquely downward to the side, and a flap net covering the exit of non-fishing marine life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ttom plate of the bag-type net, and the flap net is installed only at the front end of the bag-type n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and the upper part of the cover net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shutter net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net main body constituting the net, and each of the shutter nets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net main body.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 mesh part that freely flows without restraint to each other, and the holding rop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and installed one by one for each shutter net, and the rich is manufactured to have a cylindrical body of a predetermined height, The lower end of is formed of a hemispherical or funnel-shaped protrusion that is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body, and a hinged connection ring with the upper end of the cover net is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hemispherical or funnel-shaped protrusion, and of the blocking n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hielding net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by a predetermined height across the width direction of the blocking net to prevent fish to be fished from escaping through the escape por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조업대상어류는 커버망을 따라 차단망까지 일차 유도된 다음 차단망을 통과하여 끝자루로 들어가게 하고,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은 커버망을 타고 넘은 다음 차단망의 전방면을 따라 탈출구로 빠져 나가게 하는 방식을 적용시킴으로서, 그물망의 전체적인 배치 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하면서도 해파리 뿐만 아니라 돌고래나 상괭이 등의 해양보호생물이 조업대상어류와 함께 혼획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를 통하여 자루형 그물에 의한 조업대상어류의 어획량을 충분히 확보토록 하면서도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혼획에 따른 자루형 그물 어구의 손상이나 파손 및 조업대상어류와의 불필요한 선별작업과 해양보호생물의 폐사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sh to be fished are first induced to the blocking net along the cover net, and then pass through the blocking net to enter the end sack, and the non-fishing marine life goes over the cover net, and then passes through the blocking net. By applying the method of exiting through the exit along the direction, the overall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net is very simple, while providing the effect of preventing not only jellyfish but also marine protection creatures such as dolphins and porpoises from being caught together with fish to be fish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fficient amount of fish to be caught by the bag-type net, while preventing damage or damage to the bag-type fishing gear due to bycatch of non-fishing marine life, unnecessary sorting with the fish to be fished, and the death of marine protection organisms.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이와 더불어, 상기 홀딩로프를 이용하여 커버망이 부상되는 높이를 제한시킴에 따라 커버망의 상단측과 자루형 그물의 등판 사이에 조업대상어류의 유입공간이 확실하게 확보되도록 하고, 상기 탈출구의 하부와 차단망의 하측부에는 끝자루로 유도된 조업대상어류의 불필요한 유출을 차단하는 플랩망과 차폐망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서, 자루형 그물을 이용한 조업대상어류의 어획량을 보다 더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상기 차단망을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하고, 상기 차단망의 하단측 직전방에 탈출구를 제공함으로서,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탈출구측으로 용이하게 유도되어 안전하게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by limiting the height at which the cover net floats using the holding rope, the inflow space for fish to be fished is ensur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cover net and the back of the bag-type net, and the lower part of the escape port By additionally installing a flap net and a shielding net to block the unnecessary outflow of target fish induced by the end stalk at the lower part of the net, the effect of further increasing the catch of target fish using bag-type nets Provided, by installing the blocking net at a downward inclination to the rear side and providing an exit right in front of the lower end of the blocking net, the effect of allowing non-fishing marine life to be easily guided toward the exit and safely escape do.

특히, 상기 커버망의 상측부를 다수 개의 셔터그물로 분할시켜 각각의 셔터그물이 서로간의 구속없이 자유롭게 유동되도록 한 경우에는, 돌고래 또는 상괭이와 같이 몸집이 비교적 큰 개체가 커버망의 상측부를 밀고 들어갈 시, 해당 위치의 셔터그물만이 젖혀지고 나머지 셔터그물은 고유의 커버링 자세를 유지토록 함으로서, 커버망의 상측부가 과도하게 젖혀져(개방되어) 조업대상어류가 탈출구측으로 몰리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상기 부자를 원기둥 형태로 하여 차단망의 상단측에 힌지식으로 연결시킴으로서 부자에 가해지는 수력저항 및 이에 따른 그물망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where the upper part of the cover ne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hutter nets so that each shutter net can flow freely without being constrained to each other, when a relatively large body such as a dolphin or a porpoise pushes into the upper part of the cover net , By allowing only the shutter net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to be flipped and the rest of the shutter net to maintain its own covering posture, the upper part of the cover net is excessively flipped (opened) to prevent fish from being driven to the exit side, By connecting the float to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net in a hinged manner in the form of a cylinder, it provides very useful effects such as minimizing hydraulic resistance applied to the float and thus damage to the net.

도 1은 자루형 그물을 이용한 조업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자루형 그물에 설치되는 선출원의 분리배출망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조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리배출망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망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조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탈출유도망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출유도망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커버망의 다른 적용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도 7의 "A"부 확대도.
도 9 및 도 10은 해양생물에 의한 도 4 및 도 7의 커버망 개방상태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부자의 다른 적용례를 나타내는 일부 정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부자의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차단망의 다른 적용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1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using a bag-type net.
Figure 2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showing the separation network of the prior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bag-type net.
Figure 3 is a state of use of the separated discharge network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showing the escape guidance network of non-operational marine organis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escape guidance network shown in Figure 4;
6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escape guidance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the cover ne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7;
9 and 10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a comparison of open states of the cover networks of FIGS. 4 and 7 by marine organisms.
Figure 11 is a partial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the floa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state of use of the richer shown in Figure 11;
13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the blocking network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그물이 가지는 구조적인 특성상 자루형 그물(2)도 어떤 고정된 형상을 이루기는 어려우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자루형 그물(2)의 그물통로 부분이 고정된 형상(도면상 사각 통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하고, 본 발명에 따른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망 역시 자루형 그물(2)의 고정된 그물통로 형상에 맞추어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et, it is difficult for the bag-type net 2 to form any fixed shape, but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help, the net passage part of the bag-type net 2 has a fixed shape (square passage shape in the drawing), and the escape guidance network for non-fishing marine lif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of bag-type net 2 It will be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ixed net passage.

본 발명에 따른 탈출유도망의 경우에도 등판(3)과 밑판(5)이 상,하로 구비되고 그 양측으로 옆판(4)이 일체로 연결되어 후단부에서 끝자루(6)를 형성하는 자루형 그물(2)에 있어, 상기 끝자루(6)의 전방측에 해당하는 그물통로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것이며,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그물통로의 내부공간을 따라 커버망(16)과 차단망(9)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칸막이 그물 형태로 순차 배치되고, 상기 커버망(16)과 차단망(9)의 사이에 해당하는 자루형 그물(2)의 밑판(5)상에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구(18)가 개구부 형태로 제공된 구성을 베이스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Even in the case of the escape guidance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 plate 3 and the base plate 5 are provided up and down, and the side plates 4 are integrally connected to both sides to form the end handle 6 at the rear end. In the net 2, it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net passage corresponding to the front side of the end handle 6, and the cover net 16 along the inner space of the net passage as shown in FIGS. 4 and 5 and the blocking net (9)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form of a partition ne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on the bottom plate (5) of the bag-type net (2) corresponding to the gap between the cover net (16) and the blocking net (9) It is made based o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xit 18 of non-manipulating marine lif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n opening.

상기 커버망(16)은 조업대상어류와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모두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망목(網目: 그물눈) 치수, 예를 들어 그 직경이나 대각선의 길이가 2~5cm 정도인 망목 치수를 가지는 그물망으로 제작되고, 상기 차단망(9)은 조업대상어류의 통과는 가능한 반면,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통과는 불가능한 크기의 망목 치수, 예를 들어 그 직경이나 대각선의 길이가 15~35cm 정도인 망목 치수를 가지는 그물망으로 제작된다.The cover net 16 is a net size of a size that cannot pass both fish and non-fishing target marine life, for example, a net size of about 2 to 5 cm in diameter or diagonal length. It is made of a net, and the blocking net (9) is a net size of a size that allows fish to be operated, while non-fishing marine life cannot pass, for example, its diameter or diagonal length is about 15 to 35 cm. It is made of a mesh having a mesh size of .

상기와 같이 커버망(16)과 차단망(9)을 제공하는 각 그물망의 망목 치수는 조업대상어류와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종류에 맞추어 임의대로 조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조업선박(1)을 이용한 자루형 그물(2)의 예망시 수력저항을 최소화시키면서도 어종별 차단 및 통과기능은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최적의 치수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외에 자루형 그물(2)을 이루는 나머지 그물망(등판과 밑판과 옆판 및 끝자루 등)은 조업대상어류별로 규격화된 망목 치수를 적용시키면 무방하다.As described above, the net size of each net providing the cover net 16 and the blocking net 9 can be arbitrar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s of fish and non-fishing target fish, and the fishing vessel (1) It is preferable to manufacture the bag-type net (2) with the optimal size that can reliably perform the blocking and passing function for each fish species while minimizing the hydraulic resistance when fishing the bag-type net (2) using the bag. Netting (backboard, bottomboard, sideboard, end handle, etc.) can be done by applying the standardized mesh size for each fish to be fished.

이와 더불어, 상기 커버망(16)의 경우는 해당 그물망의 하단측만이 자루형 그물(2)의 밑판(5)과 연결 설치되고, 해당 그물망의 좌,우측과 상단측은 자루형 그물(2)의 옆판(4)과 등판(3)에 각각 연결되지 아니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커버망(16)을 이루는 그물망의 상단측에는 해당 그물망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한 배치간격을 두고 부자(浮子)(17)가 연결 설치됨으로서, 커버망(16)의 상단측이 부자(17)의 부력에 의하여 도 5의 일점쇄선 화살표 방향(도면상 반시계 방향)을 따라 그물통로의 내부로 부상(浮上)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ver net 16, only the bottom side of the net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5 of the bag-type net 2, and the left, right and top sides of the net are connected to the bag-type net 2. It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it is not connected to the side plate 4 and the back plate 3, respectively, and at the upper end of the net constituting the cover net 16, floats 17 are plac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net. As the connection is installed, the upper side of the cover net 16 is floated into the net passage along the direction of the one-dotted line arrow in FIG. 5 (counterclockwise direction on the drawing) by the buoyancy of the float 17.

상기와 같이 커버망(16)의 상단측이 부자(17)의 부력에 의하여 그물통로의 내부로 부상됨에 따라 커버망(16) 전체가 그물통로의 공간을 칸막이 형태로 차단시키는 한편, 밑판(5)에 제공된 탈출구(18)를 그물망으로 가려 조업대상어류가 탈출구(18)를 쉽게 인지하지 못하도록 하게 되며, 상기 커버망(16)의 상단측과 자루형 그물(2)의 등판(3) 사이에 걸쳐 조업대상어류의 유입공간(11)을 제공함으로서, 조업대상어류가 차단망(9)을 거쳐 끝자루(6)로 유도되는 경로를 밑판(5)의 탈출구(18)와 최대한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As described above, as the upper end of the cover net 16 floats into the net passage by the buoyancy of the float 17, the entire cover net 16 blocks the space of the net passage in the form of a partition, while the bottom plate 5 ) The escape port 18 provided in the net is covered with a net so that the target fish does not easily recognize the exit 18, and between the top side of the cover net 16 and the back plate 3 of the bag-type net 2 By providing the inflow space 11 of the fish to be fished over, the path through which the fish to be fished is guided to the tip 6 through the blocking net 9 is separated from the exit 18 of the bottom plate 5 as much as possible did

앞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상기 유입공간(11)은 조업대상어류가 커버망(16)으로부터 차단망(9)을 거쳐 끝자루(6)로 유도되게 하는 경로를 탈출구(18)와 이격시키는 것이 그 주된 기능이기는 하지만,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커버망(16)을 넘어 차단망(9)을 따라 탈출구(18)로 유도되게 하는 기능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며, 이러한 관점에서 부자(17)의 부력에 의하여 커버망(16)의 상단측이 등판(3)과 밀착되는 수준까지 부상할 경우, 조업대상어류와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커버망(16)을 넘어 끝자루(6)와 탈출구(18)측으로 원활히 유도되게 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상황이 유발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purpose of the inlet space 11 is to separate the path through which fish to be fished from the cover net 16 through the blocking net 9 to the end sack 6 away from the escape port 18. Although it is a function, it also provides a function that allows non-fishing marine life to cross the cover net 16 and guide it to the escape port 18 along the blocking net 9, and from this point of view, by the buoyancy of the float 17 When the upper side of the cover net 16 rises to the level where it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ck plate 3, the target fish and non-fishing marine life go beyond the cover net 16 to the end sack 6 and the escape port 18. An undesirable situation is caused in terms of smooth induction.

상기와 같은 상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망(16)의 상단 좌,우측에는 부자(17)의 부력에 의한 커버망(16) 상단측의 부상 높이를 제한하는 홀딩로프(Holding rope)(19)가 각각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홀딩로프(19) 하단측이 자루형 그물(2)의 밑판(5)과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홀딩로프(19)는 그물망에 사용되는 힘줄(7) 정도의 로프로 하여 커버망(16)과 밑판(5)을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prevent the above situation, holding ropes (19)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ver net (16) limit the floating height of the upper part of the cover net (16) by the buoyancy of the float (17). ) are connected and installed, and the lower side of each holding rope 19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5 of the bag-type net 2, and the holding rope 19 is the tendon 7 used for the net. )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rope to connect the cover network 16 and the bottom plate 5 in the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자루형 그물(2)을 이용한 조업작업의 준비 과정이나 자루형 그물(2)을 조업선박(1)의 갑판으로 걷어 들인 상황과 같이, 부자(17)의 부력에 의하여 커버망(16)이 부상되지 아니하는 조업작업 이외의 상황에서는 상기 홀딩로프(19)가 커버망(16)과 함께 자루형 그물(2)의 밑판(5)상에 놓여질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각각의 홀딩로프(19) 하단측을 밑판(5)이 아닌 옆판(4)의 하측부에 연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Therefore, the cover net 16 is prevented by the buoyancy of the float 17, as in the preparation process for the operation using the bag-type net 2 or the situation in which the bag-type net 2 is rolled up to the deck of the fishing vessel 1. In situations other than this non-floating operation, the holding rope 19 will be placed on the bottom plate 5 of the bag net 2 together with the cover net 16, and if necessary, each holding rope (19)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 low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side plate 4 instead of the bottom plate 5.

그리고, 상기 차단망(9)의 경우에는 해당 그물망의 상,하단측과 좌,우측이 자루형 그물(2)의 등판(3)과 밑판(5) 및 옆판(4)에 걸쳐 모두 연결 설치됨으로서, 그물통로의 내부공간 전체를 칸막이 형태로 완전히 커버하도록 이루어지며, 돌고래나 상괭이와 같이 몸집이 비교적 큰 개체가 끝자루(6)로 들어가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시킬 수 있도록 커버망(16)이나 자루형 그물(2)을 이루는 여타 그물망과는 달리 힘줄(7) 정도의 로프를 그물망 형태로 엮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n the case of the blocking net (9), the top and bottom sides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net are all connected and installed over the back plate (3), bottom plate (5) and side plate (4) of the bag-type net (2). , It is made to completely cover the entire inner space of the net passage in the form of a partition, and the cover net (16) or bag-type to reliably block relatively large individuals such as dolphins or porpoises from entering the end handle (6). Unlike other nets constituting the net (2), it is preferable to weave and use a rope of about tendon (7) in the form of a net.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상기 커버망(16)은 조업선박(1)에 의한 자루형 그물(2)의 예망력과 부자(17)의 부력에 의하여 소정의 각도, 예를 들어 30도 정도의 경사각도로 후방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부상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차단망(9)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루형 그물(2)의 등판(3)으로부터 자루형 그물(2)의 밑판(5)에 이르기까지 소정의 각도, 예를 들어 45도 정도의 경사각도로 후방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탈출구(18)는 차단망(9)의 하단측 직전방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n additional matter, the cover net 16 is rear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an inclination angle of about 30 degrees, by the fishing force of the bag-type net 2 by the fishing vessel 1 and the buoyancy of the float 17. It is preferable to install it so that it rises inclined upward toward the side, and the blocking net 9 moves from the back plate 3 of the bag-type net 2 to the bottom plate 5 of the bag-type net 2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o install it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side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an inclination angle of about 45 degrees until reaching .

상기와 같은 커버망(16)과 차단망(9)의 경사진 배치구조를 통하여 조업대상어류와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자루형 그물(2)의 예망 방향(도 5에서 좌측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따라 커버망(16)을 타고 유입공간(11)측으로 용이하게 유도될 수 있는 동시에, 유입공간(11)을 넘어 차단망(9)에 이른 조업대상어류는 차단망(9)을 거쳐 끝자루(6)로 어획되는 한편,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은 차단망(9)을 따라 자연스럽게 밑판(5)측으로 유도된 다음, 탈출구(18)를 거쳐 자루형 그물(2)의 외부로 빠져 나갈 수 있는 것이다.Through the inclined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cover net 16 and the blocking net 9 as described above, the fishing target fish and non-fishing target marine life are opposite to the seine direction of the bag-type net 2 (left direction in FIG. 5). Along the direction, it can be easily guided to the inlet space 11 along the cover net 16, and at the same time, the target fish that has crossed the inlet space 11 and reached the blocking net 9 passes through the blocking net 9 While being caught with the bag (6), non-fishing marine life is naturally guided to the bottom plate (5) along the blocking net (9), and then can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bag-type net (2) through the escape port (18). There is.

상기 탈출구(18)는 도 4에서 타원형의 개구부(구멍)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외에도 원형이나 (직)사각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개구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크기는 돌고래나 상괭이와 같이 몸집이 비교적 큰 개체까지 무리없이 빠져 나갈 수 있을 정도의 치수, 예를 들어 타원형의 경우 장축 2m 내외, 단축 1m 내외 정도면 충분하고, 이보다 큰 치수의 탈출구(18)는 조업대상어류까지 불필요하게 빠져 나갈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The escape port 18 is formed as an elliptical opening (hole) in FIG. 4, but may also be formed as an opening of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or a (rectangular) rectangle, and its size is relatively small, such as a dolphin or a porpoise. Dimensions sufficient to allow even large individuals to escape unreasonably,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oval shape, a long axis of about 2 m and a minor axis of about 1 m is sufficient, and an escape port (18) with a larger dimension than this is not afraid of unnecessarily escaping fish to be fished. so it is not desirable

또한, 상기 탈출구(18)의 내주연부에 로프식 힘줄(7)이나 얇은 직경의 연질 플라스틱 테두리 등을 설치함으로서, 자루형 그물(2)의 예망시에도 탈출구(18)의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6에서와 같이 자루형 그물(2)의 예망시 수력저항에 의하여 탈출구(18)를 임시적으로 커버하는 플랩망(Flap net)(21)을 추가로 적용시킴으로서, 조업대상어류가 탈출구(18)를 거쳐 자루형 그물(2)의 외부로 불필요하게 빠져 나가는 것을 보다 더 확실하게 방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rope-type tendon 7 or a thin-diameter soft plastic rim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escape port 18, the shape of the escape port 18 is stably maintained even when the bag-type net 2 is snared. As shown in FIG. 6, by additionally applying a flap net (21) that temporarily covers the escape port (18) due to hydraulic resistance when the bag-type net (2) is forecasted, fish to be operated It is preferable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unnecessarily escaping out of the bag-like net 2 through the escape port 18.

상기 플랩망(21)은 해당 그물망의 선단측 부분만이 자루형 그물의 밑판(5)과 연결 설치됨으로서, 조업선박(1)에 의한 자루형 그물(2)의 예망시 밑판(5)의 하부측에서 탈출구(18)측으로 나부끼는 방식으로 탈출구(18)를 임시 커버하게 되는 것이며, 돌고래나 상괭이와 같이 비교적 큰 몸집을 가지는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은 이러한 플랩망(21)에 거부감을 거의 느끼지 않고 탈출구(18)로 빠져 나가게 되지만, 그 크기가 비교적 작은 조업대상어류는 플랩망(21)에 거부감을 느껴 탈출구(18)로 빠져 나가지 않는 것이다.The flap net 21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bottom plate 5 of the bag-type net only at the front side of the net,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plate 5 when fishing the bag-type net 2 by the fishing vessel 1 The escape port 18 is temporarily covered by fluttering from the side to the escape port 18, and non-fishing marine life having a relatively large body such as dolphins or porpoises hardly feel resistance to the flap net 21 and escape Although it escapes through (18), the fish to be fished with a relatively small size does not escape through the escape port (18) because it feels rejected by the flap net (21).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커버망(16)의 다른 적용례로서, 상기 커버망(16)의 상측부가 해당 그물망을 이루는 그물본체(22)의 폭 방향을 따라 최소 2개 이상(도 7 기준 3개)의 셔터그물(Shutter net)(23)로 분할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각각의 셔터그물(23) 둘레 방향을 따라 힘줄(7)이 개별적으로 적용되어 있고, 상기 부자(17)의 경우에도 각각의 셔터그물(23)마다 개별적으로 제공되어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각각의 셔터그물(23)은 커버망(16)의 그물본체(22) 상측부에서 서로간의 구속없이 자유롭게 유동되도록 이루어진다.7 and 8 are other application examples of the cover net 16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upper portions of the cover net 16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net main body 22 constituting the net. It is divided into the shutter nets 23 above (three based on FIG. 7), and the tendons 7 are individually appli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each shutter net 23, and the rich ( In the case of 17), each shutter net 23 is individually provided, so that each shutter net 23 flows freely without restraint from each other in the upper part of the net main body 22 of the cover net 16 It is done.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커버망(16)의 상측부를 다수 개의 셔터그물(23)로 분할시켜 놓게 되면, 돌고래나 상괭이와 같이 몸집이 비교적 큰 개체가 도 5의 시계 방향 화살표를 따라 커버망(16)의 상측부를 밀고 들어갈 경우, 도 10에서와 같이 해당 위치의 셔터그물(23)만이 젖혀지고 나머지 셔터그물(23)은 고유의 커버링(Covering) 자세를 유지하게 되는 바, 이는 동일한 조건하에서 도 4의 커버망(16) 상측부 전체가 연이어 젖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 9와 비교하여 해양생물(20)에 의한 커버망(16) 상측부의 개방공간(25)을 보다 더 축소시킬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한다.When the upper part of the cover net 16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hutter nets 23 in the same way as above, a relatively large body such as a dolphin or a porpoise moves through the cover net 16 along the clockwise arrow in FIG. When pushing the upper side of the, as shown in FIG. 10, only the shutter net 23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s flipped, and the remaining shutter net 23 maintains its own covering posture, which is the same as that of FIG. 4 under the same conditions. Compared to FIG. 9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tire upper part of the cover net 16 is continuously folded, the open space 25 of the upper part of the cover net 16 by the marine organisms 20 can be further reduced. do.

상기와 같이 돌고래나 상괭이 등의 해양생물(20)에 의하여 커버망(16)의 상측부가 과도하게 젖혀져 개방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해당 개방공간(25)을 따라 조업대상어류가 탈출구(18)측으로 몰리면서 자루형 그물(2)의 외부로 빠져 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셔터그물(23)은 커버망(16)의 상단측으로부터 커버망(16) 전체 높이의 최소 1/5에서 최대 1/3에 해당하는 범위내로 형성시키는 한편, 그 개수는 커버망(16)의 폭 방향에 걸쳐 최소 2개에서 최대 5개의 범위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by preventing the upper part of the cover net 16 from being excessively bent and opened by the marine organisms 20 such as dolphins or porpoises, the target fish are driven toward the exit 18 along the corresponding open space 25.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bag-type net (2), and from this point of view, the shutter net (23) is at least 1/2 of the total height of the cover net (16) from the top side of the cover net (16). While forming within a range corresponding to 5 to a maximum of 1/3, the number is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at least 2 to a maximum of 5 across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ver net 16.

또한, 상기 홀딩로프(19)는 각각의 셔터그물(23)마다 한 개씩 설치하되, 해당 셔터그물(23)의 중앙부측에서 셔터그물(23) 상단의 힘줄(7) 부분과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커버망(16)의 상측 중앙부에 위치하는 셔터그물(23)의 홀딩로프(19)는 그 하단부가 탈출구(18)의 주변에 해당하는 밑판(5)상의 적절한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좌,우 외곽측 셔터그물(23)을 제외한 중앙부측 셔터그물(23)에는 홀딩로프(19)를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olding rope 19 is installed one by one for each shutter net 23, but it is preferable to connect to the tendon 7 portion of the top of the shutter net 23 at the center of the shutter net 23 ,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of the holding rope 19 of the shutter net 23 located in the upper central part of the cover net 16 is placed in an appropriate position on the bottom plate 5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y of the exit 18, , If necessary, the holding rope 19 may not be installed on the central shutter net 23 except for the left and right outer shutter nets 23.

도 11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커버망(16)용 부자(17)의 다른 적용례로서, 상기 부자(17)는 소정 높이의 원기둥형 몸통을 가지도록 제작되어 있고, 상기 부자(17)의 하측 단부는 원기둥형 몸통과 연이어지는 반구형 또는 깔때기형 돌출부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반구형 또는 깔때기형 돌출부의 하단측에는 커버망(16) 상단측 힘줄(7)과의 힌지식 연결고리(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연결고리(24)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커버망(16)의 상단측 힘줄(7)이 부자(17)의 각운동에 필요한 회전축을 제공하게 된다.11 is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the float 17 for the cover net 16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at 17 is manufactured to have a cylindrical body of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float 17 The lower end of the is preferably formed as a hemispherical or funnel-shaped protrusion that is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body, and on the lower end of the hemispherical or funnel-shaped protrusion, a hinged connection ring (24) with the upper tendon (7) of the cover network (16) ) is integrally formed, the upper end tendon 7 of the cover net 16 passing through the link 24 in the axial direction provides a rotation axis necessary for the angular movement of the float 17.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커버망(16)용 부자(17)를 원기둥 형태로 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구형(球形) 부자(17)의 경우 어떠한 자세에서도 자루형 그물(2)의 예망시에 비교적 큰 수력저항이 작용하지만, 원기둥형 부자(17)의 경우에는 도 12에서와 같이 자루형 그물(2)의 예망시 발생하는 수압에 의하여 커버망(16)과의 힌지식 연결고리(24)를 중심으로 후방측(도면상 우측)으로 각운동됨에 따라, 정해진 부력을 유지하면서 수력저항이 가장 적게 작용하는 수평 자세로 전환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커버망(16)과 부자(17) 사이의 연결방식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방식 이외에도 매우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ason why the float 17 for the cover net 16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 cylinder is that, in the case of a general spherical float 17, when the bag-type net 2 is drawn in any posture, Although a relatively large hydraulic resistance acts, in the case of the columnar float 17, as shown in FIG. 12, the hinged link 24 with the cover net 16 This is because it can be converted to a horizontal posture in which hydraulic resistance acts the least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buoyancy as it is angularly moved to the rear side (right side in the drawing) centered on, and if this condition can be satisfied, the cover net (16) As a connection method between the parent and child 17, various methods other than the methods shown in FIGS. 11 and 12 may be applied.

상기와 같은 개선방안을 통하여 커버망(16)용 부자(17)에 가해지는 수력저항을 최소화시키게 되면, 자루형 그물(2)의 예망에 필요한 조업선박(1)의 동력을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각의 부자(17)가 커버망(16)을 강하게 당김으로 인한 자루형 그물(2)의 불필요한 그물망 손상도 방지할 수 있으며, 해당 부자(17)는 공지된 바와 같이 그 자체가 부력을 가지는 소재로 하여 원기둥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내부에 빈 공간으로서의 부력공간(26)을 가지는 원기둥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When the hydraulic resistance applied to the float 17 for the cover net 16 is minimized through the above improvement measures, the power of the fishing vessel 1 required for the seine of the bag-type net 2 can be reduced a little In addition to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net damage of the bag-type net 2 due to each of the rich 17 strongly pulling the cover net 16, and the rich 17 itself as known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buoyancy in a cylindrical shape, or may be made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buoyancy space 26 as an empty space therein.

도 13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차단망(9)의 다른 적용례로서, 상기 차단망(9)의 하측부에 조업대상어류의 통과가 불가능한 치수의 망목을 가지는 차폐망(27)이 차단망(9)의 폭 방향에 걸쳐 소정의 높이만큼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통하여 조업대상어류가 커버망(16) 상단측의 유입공간(11)을 거쳐 끝자루(6)로 원활히 유도되게 하면서도 끝자루(6)의 내부로 어획된 조업대상어류가 차단망(9)의 하단측 직전방에 위치한 탈출구(18)로 쉽게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13 is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the blocking net 9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ielding net 27 having a mesh size that prevents the fish to pass through is blocked at the lower part of the blocking net 9 It is connected and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cross the width direction of the net (9), through which fish to be fished are smoothly guided to the end sack (6) through the inlet space (11) on the upper side of the cover net (16).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shing target fish caught inside the bag (6) from easily escaping through the escape port (18) located in front of the lower end of the blocking net (9).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차폐망(27)은 차단망(9)의 전체 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해당 높이의 최소 1/5에서 최대 1/2에 해당하는 높이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차단망(9)을 이루는 그물망을 힘줄(7)로 하여 차단망(9)의 전방면이나 후방면 어느 위치에라도 차폐망(27)을 설치할 수 있지만, 자루형 그물(2)의 예망시 발생하는 수력저항을 보다 더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차단망(9)의 전방면에 차폐망(27)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shielding network 27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a minimum of 1/5 to a maximum of 1/2 of the height based on the total height of the blocking network 9, and the blocking network 9 Although the shielding net 27 can be installed at any position on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blocking net 9 by using the net forming the tendon 7, the hydraulic resistance generated during the netting of the bag-type net 2 is mor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shielding net 27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locking net 9 so that it can withstand stabl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탈출유도망(10)을 자루형 그물(2)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면, 도 5에서와 같이 조업대상어류는 커버망(16)을 따라 차단망(9)까지 일차 유도된 다음 차단망(9)을 통과하여 끝자루(6)로 들어가게 되고,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은 커버망(16)을 타고 넘은 다음 차단망(9)의 전방면을 따라 탈출구(18)로 빠져 나가게 됨으로서, 그물망의 전체적인 배치 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하면서도 해파리 뿐만 아니라 돌고래나 상괭이 등의 해양보호생물이 조업대상어류와 함께 혼획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자루형 그물(2)에 의한 조업대상어류의 어획량을 충분히 확보토록 하면서도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혼획에 따른 자루형 그물(2) 어구의 손상이나 파손 및 조업대상어류와의 불필요한 선별작업과 해양보호생물의 폐사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escape guidance network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and used in the bag-type net 2, as shown in FIG. 5, the target fish is guided along the cover net 16 to the blocking net 9 Then, it passes through the blocking net (9) and enters the end sack (6), and the non-fishing marine life climbs over the cover net (16) and then exits through the escape port (18)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blocking net (9). By going out,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overall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net and prevent marine protection organisms such as dolphins and porpoises as well as jellyfish from being caught together with target fish.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or damage to the fishing gear of the bag-type net (2) due to bycatch of non-fishing marine life, unnecessary sorting work with fish to be fished, and the death of marine protection organisms, etc. .

이와 더불어, 상기 홀딩로프(19)를 이용하여 커버망(16)이 부상되는 높이를 제한시킴에 따라 커버망(16)의 상단측과 자루형 그물(2)의 등판(3) 사이에 조업대상어류의 유입공간(11)이 확실하게 확보되도록 하고, 상기 탈출구(18)의 하부와 차단망(9)의 하측부에는 끝자루(6)로 유도된 조업대상어류의 불필요한 유출을 차단하는 플랩망(21)과 차폐망(27)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서, 자루형 그물(2)을 이용한 조업대상어류의 어획량을 보다 더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차단망(9)을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하고, 상기 차단망(9)의 하단측 직전방에 탈출구(18)를 제공함으로서,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탈출구(18)측으로 용이하게 유도되어 안전하게 빠져 나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limiting the height at which the cover net 16 floats using the holding rope 19, the upper side of the cover net 16 and the back plate 3 of the bag-type net 2 are operated. A flap net to ensure that the inflow space 11 of the fish is secured, and to block unnecessary outflow of the target fish induced by the end handle 6 at the lower part of the escape port 18 and the lower part of the blocking net 9 By additionally installing the 21 and the shielding net 27,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catch of fish to be fished using the bag-type net 2, and install the blocking net 9 inclined downward to the rear side, By providing the exit 18 immediately in front of the lower end of the blocking net 9, non-fishing marine organisms can be easily guided toward the exit 18 and safely escaped.

특히, 상기 커버망(16)의 상측부를 다수 개의 셔터그물(23)로 분할시켜 각각의 셔터그물(23)이 서로간의 구속없이 자유롭게 유동되도록 한 경우에는, 돌고래 또는 상괭이와 같이 몸집이 비교적 큰 개체가 커버망(16)의 상측부를 밀고 들어갈 시, 해당 위치의 셔터그물(23)만이 젖혀지고 나머지 셔터그물(23)은 고유의 커버링 자세를 유지토록 함으로서, 커버망(16)의 상측부가 과도하게 젖혀져(개방되어) 조업대상어류가 탈출구(18)측으로 몰리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부자(17)를 원기둥 형태로 하여 차단망(16)의 상단측에 힌지식으로 연결시킴으로서, 부자(17)에 가해지는 수력저항 및 이에 따른 자루형 그물(2)의 그물망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when the upper part of the cover net 16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hutter nets 23 so that each shutter net 23 flows freely without restraint between each other, a relatively large body such as a dolphin or a porpoise When the upper part of the cover net 16 is pushed in, only the shutter net 23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s flipped and the remaining shutter nets 23 maintain their own covering posture,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cover net 16 is excessively It can be bent (opened) to prevent fish to be fished from being driven to the exit 18, and the float 17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net 16 in a hinged manner, so that the float 17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hydraulic resistance applied to the net and consequent damage to the net of the bag-type net (2).

1 : 조업선박 2 : 자루형 그물 3 : 등판
4 : 옆판 5 : 밑판 6 : 끝자루
7 : 힘줄 8 : 유도망 9 : 차단망
10 : 탈출유도망 10' : 분리배출망 11 : 유입공간
12 : 차단망 연장부 13 : 배출공간 14 : 배출구
15 : 절단기 16 : 커버망 17 : 부자
18 : 탈출구 19 : 홀딩로프 20 : 해양생물
21 : 플랩망 22 : 그물본체 23 : 셔터그물
24 : 연결고리 25 : 개방공간 26 : 부력공간
27 : 차폐망
1: fishing vessel 2: bag-type net 3: backing
4: side plate 5: bottom plate 6: end sack
7: Tendon 8: Guiding net 9: Blocking net
10: escape guidance network 10 ' : separation discharge network 11: inflow space
12: blocking net extension 13: discharge space 14: discharge port
15: cutter 16: cover net 17: rich
18: Escape 19: Holding rope 20: Marine life
21: flap net 22: net body 23: shutter net
24: linkage 25: open space 26: buoyancy space
27: shielding network

Claims (8)

등판과 밑판이 상,하로 구비되고 양측으로 옆판이 일체로 연결되어 후단부에서 끝자루를 형성하는 자루형 그물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서, 조업대상어류는 끝자루로 유도시키는 한편, 조업대상이 아닌 해양생물은 자루형 그물의 외부로 탈출시키도록 한 탈출유도망에 있어서,
상기 탈출유도망은 끝자루의 전방측에 해당하는 자루형 그물의 그물통로 내부에 커버망과 차단망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칸막이 그물 형태로 순차 배치되고, 상기 커버망과 차단망의 사이에 해당하는 자루형 그물의 밑판에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구가 개구부 형태로 제공된 구성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망은 조업대상어류와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모두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망목 치수를 가지는 그물망으로 제작되고, 상기 차단망은 조업대상어류의 통과는 가능한 반면,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통과는 불가능한 크기의 망목 치수를 가지는 그물망으로 제작되며,
상기 커버망은 해당 그물망의 하단측만이 자루형 그물의 밑판과 연결되는 한편, 해당 그물망의 좌,우측과 상단측은 자루형 그물의 옆판과 등판에 각각 연결되지 아니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차단망은 해당 그물망의 상,하단측과 좌,우측이 자루형 그물의 등판과 밑판 및 옆판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상기 커버망의 상단측에는 해당 그물망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부자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부자의 부력에 의하여 부상되는 커버망의 상단측과 자루형 그물의 등판 사이에 조업대상어류와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유입공간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망.
The back plate and bottom plate are provided up and down, and the side plates are integrally connected on both sides to form an end bag at the rear end. It is installed inside the bag-type net, which guides fish to be fished to the end bag, while not being a target for fishing. In the escape guidance network that allows organisms to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bag-type net,
In the escape guidance network, a cover net and a blocking net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form of a partition ne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side the net passage of the bag-type net corresponding to the front side of the end handle, and correspond between the cover net and the blocking net. It is made by includ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xit of non-fishing marine lif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n opening on the bottom plate of the sack-type net,
The cover net is made of a net having a size that prevents fish and non-fishing marine life from passing through, and the blocking net allows fish to pass through, while non-fishing marine life can pass through. is made of a mesh having an impossible size mesh size,
The cover net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only the lower side of the net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bag-type net, while the left, right and top sides of the net are not connected to the side plate and back plate of the bag-type net, respectively. The top, bottom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net are connected to the back plate, bottom plate and side plate of the bag-type net, respectively.
On the upper side of the cover net, floats are connect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net, and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cover net floating by the buoyancy of the float and the back of the bag-type net, the target fish and the non-fishing target An escape guidance network for non-fishing marine organisms, characterized in that an inflow space for marine organisms is provid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망의 상단 좌,우측에는 부자의 부력에 의한 커버망의 부상 높이를 제한하는 홀딩로프가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홀딩로프 하단측이 자루형 그물의 밑판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망.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holding ropes for limiting the floating height of the cover net by the buoyancy of the float are connected to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ver net, and the lower side of each holding rope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bag-type net. An escape guidance network for non-fishing marine organisms,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connected and installed.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망은 부자의 부력에 의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후방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부상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차단망은 자루형 그물의 등판으로부터 자루형 그물의 밑판에 이르기까지 소정의 각도만큼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망.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cover net is installed so as to be inclined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rear by the buoyancy of the float, and the blocking net extends from the back of the bag-type net to the bottom plate of the bag-type net. An escape guidance network for non-fishing marine organism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clined downward to the rear side by a predetermined angl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형 그물의 밑판 하측에는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구를 커버하는 플랩망이 배치되고, 상기 플랩망은 해당 그물망의 선단측 부분만이 자루형 그물의 밑판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망. The bag-type ne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flap net covering an exit of non-fishing marine life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ttom plate of the bag-type net, and the flap net has only the front end of the bag-type net. An escape guidance network for non-fishing marine organism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bottom plat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망의 상측부는 해당 그물망을 이루는 그물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최소 2개 이상의 셔터그물로 분할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셔터그물은 그물본체의 상측부에서 서로간의 구속없이 자유롭게 유동되는 그물망 부분이 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망.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upper part of the cover net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shutter net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net body constituting the net, and each shutter ne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net body. An escape guidance network for non-fishing marine organisms, characterized in that it becomes a part of the net that freely flows without restraint between each oth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로프는 각각의 셔터그물마다 하나씩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망.[Claim 6] The escape guidance network for non-fishing marine organism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holding ropes are connected and installed one by one for each shutter ne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자는 소정 높이의 원기둥형 몸통을 가지도록 제작되고, 상기 부자의 하측 단부는 원기둥형 몸통과 연이어지는 반구형 또는 깔때기형 돌출부로 형성되며, 상기 반구형 또는 깔때기형 돌출부의 하단측에는 커버망 상단측과의 힌지식 연결고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망.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float is manufactured to have a cylindrical body of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lower end of the float is formed as a hemispherical or funnel-shaped protrusion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body, and the hemispherical or funnel An escape guidance network for non-fishing marine organisms, characterized in that a hinged connection ring with the upper side of the cover net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old protrusion.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망의 하측부에는 끝자루의 내부로 유도된 조업대상어류가 탈출구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하는 차폐망이 차단망의 폭 방향에 걸쳐 소정의 높이만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망.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a shielding net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cross the width of the net to prevent the fish to be fished from escaping through the exit at the lower part of the net. Escape guidance network of non-fishing marine organisms, characterized in that.
KR1020220167326A 2022-12-05 2022-12-05 Escape guiding net for marine creature of non-operation target KR1025111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7326A KR102511153B1 (en) 2022-12-05 2022-12-05 Escape guiding net for marine creature of non-operation targ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7326A KR102511153B1 (en) 2022-12-05 2022-12-05 Escape guiding net for marine creature of non-operation targ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1153B1 true KR102511153B1 (en) 2023-03-17

Family

ID=85872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7326A KR102511153B1 (en) 2022-12-05 2022-12-05 Escape guiding net for marine creature of non-operation targ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153B1 (en)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3576A (en) * 2005-05-16 2005-06-08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Jellyfish separation system
KR100646453B1 (en) * 2006-06-02 2006-11-23 대한민국 Separating and cutting-off system of jellyfish
KR200436112Y1 (en) * 2007-02-01 2007-05-28 (주)신한디엠 fishing net for inflow prevention marine life
KR100779591B1 (en) 2007-07-24 2007-11-30 대한민국 Jellyfish separation and extermination net
KR100868526B1 (en) * 2008-06-02 2008-11-14 대한민국 Jellyfish separation net
KR100878839B1 (en) * 2008-09-04 2009-01-14 대한민국 Bycatch reduction device for shrimp trawl
KR100925880B1 (en) * 2009-07-01 2009-11-09 대한민국 Jellyfish separation net for reducing fisheries damage
KR101039552B1 (en) * 2010-12-09 2011-06-10 대한민국 Jellyfish separated discharging and removal net for reducing fisheries damage
KR20130007941A (en) * 2011-07-11 2013-01-21 이종호 Fishing net for separating and emitting jellyfish
JP2018076133A (en) * 2016-11-07 2018-05-17 日油技研工業株式会社 Lifting device of fishing gear and lifting method of fishing gear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3576A (en) * 2005-05-16 2005-06-08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Jellyfish separation system
KR100646453B1 (en) * 2006-06-02 2006-11-23 대한민국 Separating and cutting-off system of jellyfish
KR200436112Y1 (en) * 2007-02-01 2007-05-28 (주)신한디엠 fishing net for inflow prevention marine life
KR100779591B1 (en) 2007-07-24 2007-11-30 대한민국 Jellyfish separation and extermination net
KR100868526B1 (en) * 2008-06-02 2008-11-14 대한민국 Jellyfish separation net
KR100878839B1 (en) * 2008-09-04 2009-01-14 대한민국 Bycatch reduction device for shrimp trawl
KR100925880B1 (en) * 2009-07-01 2009-11-09 대한민국 Jellyfish separation net for reducing fisheries damage
KR101039552B1 (en) * 2010-12-09 2011-06-10 대한민국 Jellyfish separated discharging and removal net for reducing fisheries damage
KR20130007941A (en) * 2011-07-11 2013-01-21 이종호 Fishing net for separating and emitting jellyfish
JP2018076133A (en) * 2016-11-07 2018-05-17 日油技研工業株式会社 Lifting device of fishing gear and lifting method of fishing ge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20371C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pping aquatic animals
Eayrs A guide to bycatch reduction in tropical shrimp-trawl fisheries
US5259809A (en) Apparatus for harvesting shrimp
ES2738217T3 (en) Floating element and method of formation of a buoyancy system
KR100646453B1 (en) Separating and cutting-off system of jellyfish
KR100868526B1 (en) Jellyfish separation net
KR101728120B1 (en) Jellyfish capture device
KR100518361B1 (en) Jellyfish separation system
JP4481251B2 (en) Jellyfish catching prevention method and jellyfish catching fishnet
KR101096750B1 (en) Fishing net for stow net fishery
KR100925880B1 (en) Jellyfish separation net for reducing fisheries damage
KR101695979B1 (en) A trap for animals that live in water surface
US5943812A (en) Crab trap
KR102511153B1 (en) Escape guiding net for marine creature of non-operation target
KR100779591B1 (en) Jellyfish separation and extermination net
KR101374175B1 (en) Beach net for preventing jelly-fish
JP7058424B2 (en) Aquatic animal escape device and set net
JP2008048630A (en)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carnivorous fish
KR101039552B1 (en) Jellyfish separated discharging and removal net for reducing fisheries damage
KR101298310B1 (en) Fishing net for separating and emitting jellyfish
JP7261126B2 (en) Flappers in surface and middle layer trawl nets
JP2008263919A (en) Seining method and seining system
RU2171573C2 (en) Sorting system for trawl
KR100424286B1 (en) Red tide intercepting apparatus for nursery
JPS5837820B2 (en) Fixed 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