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979B1 - A trap for animals that live in water surface - Google Patents

A trap for animals that live in water sur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979B1
KR101695979B1 KR1020160023872A KR20160023872A KR101695979B1 KR 101695979 B1 KR101695979 B1 KR 101695979B1 KR 1020160023872 A KR1020160023872 A KR 1020160023872A KR 20160023872 A KR20160023872 A KR 20160023872A KR 101695979 B1 KR101695979 B1 KR 101695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leeping
capturing
water surface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8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영한
노선호
박재훈
이응필
이승연
이수인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3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9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9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 trap for capturing neuston, which comprises: a first structure including a first frame to which a plurality of supporting bars are connected, a mesh covering an outer side of the first frame, and an attracting object formed on an upper part of the mesh; a triangular frame connected to the attracting object so as to attract neuston; a second structure positioned on an upper part of the triangular frame and including a radial second frame and a light-blocking film covering the second frame. The first structure includes a buoyant body generating buoyancy, so that some portions of the first structure protrude out on the water surface.

Description

수면생물 포획용 통발{A trap for animals that live in water surface}{A trap for animals that live in water surface}

본 발명은 수면부에서 활동하는 수면생물을 포획하기 위한 수면생물 포획용 통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p for capturing sleeping creatures for capturing sleeping creatures active in the sleeping part.

세계화로 국가간 인적, 물적 교류가 확대됨에 따라, 침입종(생태계 위해 외래종)의 유입이 증가하고 생태적 안정성 훼손과 경제적 손실 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심화되고 있다. 특히, 강이나 저수지 또는 호수와 같은 습지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겉잡을 수 없이 가속화되고 있다.With the expansion of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between countries due to globalization, inflow of invasive species (ecosystem exotic species) is increasing, ecological stability deterioration and economic loss problems are getting worse around the world. In particular, the impact on wetland ecosystems such as rivers, reservoirs or lakes is accelerating.

근래에 들어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침입종에 의한 수생태계 훼손 및 생물다양성감소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reports of problems such as degradation of aquatic ecosystem and reduction of biodiversity caused by invasive species in Korea.

보다 구체적으로, 황소개구리, 붉은귀거북, 뉴트리아 등의 침입종들은 토종의 어류, 양서류, 파충류, 수서곤충, 심지어는 포유류까지 잡아먹으며, 개체수가 점차 증가하는 실정으로, 이와 같은 외래종에 의한 토종생물의 고갈화를 막기 위한 수단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침입종 만을 포획할 수 있는 방법이나 수단이 강구되지 않아 날이 갈수록 토종 생물자원의 고갈현상은 심화되고, 그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More specifically, invasive species such as bull frogs, red-eared turtles, and nephrites eat native species of fish, amphibians, reptiles, aquatic insects, and even mammals, and their popul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There is a great need for measures to prevent depletion. However, since methods and means for capturing only invasive species are not available, depletion of native biomass is getting worse and it is urgent to prepare countermeasures.

상기와 같이 토종생물을 위협하는 침입종들의 경우, 대부분 육지와 수계를 오가며 서식하며, 주로 해양, 호소, 하천의 수표면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서 생활하는 생태특성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intruding species threatening native species inhabit most of the land and water system, and have an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living directly above or below the water surface of the ocean, lake, and river.

한편, 기존에 내수면의 바닥부분에 서식하고 있는 수생물을 포획하기 위하여 코일스프링으로된 물체를 외부에 그물을 씌우고 양측에는 내측으로 점차 좁아지는 유도구가 있는 통발이 다수 공지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apture the living organisms living on the bottom part of the inner surface, there have been known a plurality of catches with a netting on the outside of the object made of coil springs and a tapering tool which gradually narrows inward on both sides.

그러나, 이들은 수중에 설치하여 수중 생물을 포획하기 위한 통발로서, 수면부에서 활동하는 생물의 포획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또한, 통발을 일정기간 수거하지 않고 방치시킬 경우 포획된 생물이 질식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However, these are trapped for capturing aquatic organisms by being installed in water, and are not suitable for capture of living organisms in the water surface portion. Also, when the trap is left without being colle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 captured organisms may suffocate Respectively.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면생물을 포획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capable of capturing sleeping creatures capable of solving such problems.

KR 등록 제10-0674446호KR Registration No. 10-0674446

본 발명은 수면부에서 활동하는 수면생물을 포획할 수 있는 통발로서 살아있는 상태로 대상 생물을 포획할 수 있는 수면생물 포획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eeping organ capturing apparatus capable of capturing a living creature in a living state as a catch capable of capturing sleeping organisms that are active in the sleeping area.

본 발명은 다수의 지지바가 연결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외측을 감싸는 그물망 및 상기 그물망의 상부에 형성되는 유인구를 포함하는 제1구조물; 상기 유인구와 연결되어, 수면생물을 유인하는 삼각프레임; 및 상기 삼각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며, 방사형의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을 감싸는 차광막으로 이루어진 제2구조물; 을 포함하며, 상기 제1구조물은 부력을 발생하는 부력체를 포함하여, 상기 제1구조물은 소정부분 또는 전체가 수면 밖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생물 포획용 통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st structure including a first frame to which a plurality of supporting bars are connected, a mesh network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first frame, and an attracting port formed on the mesh network; A triangular frame connected to the attraction port to attract sleeping creatures; And a second structur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iangular frame, the second structure including a radial second frame and a light shielding film surrounding the second frame; Wherein the first structure includes a buoyant body that generates buoyancy, and the first structure protrudes out of a predetermined part or the whole of the water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수면생물 포획용 통발은 부력을 발생하는 부력체를 포함하여, 제1구조물의 소정부분 또는 전체가 수면 밖으로 돌출됨으로써, 수면부에서 활동하는 수면생물을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으며, 포획된 수면생물이 질식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atching of water for capturing a sleeping crea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oyant force generating buoyancy so that a predetermined portion or the whole of the first structure protrudes out of the water surface to thereby easily capture sleeping creatures active in the water surface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leeping creature from suffocating.

또한, 차광막으로 이루어진 제2구조물에 의해서, 수면생물을 상기 제2구조물 내부로 유인하여 수면생물을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다.Further, the sleeping organism can be attract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structure by the second structure made of the light-shielding film to easily capture the sleeping organis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생물 포획용 통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생물 포획용 통발의 분해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rap for capturing a sleeping org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a trap for sleeping biological crea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수면부에서 활동하는 수면생물을 포획할 수 있는 수면생물 포획용 통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p for capturing sleeping organisms capable of capturing sleeping creatures active in the sleeping part.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수면생물 포획용 통발은 다수의 지지바가 연결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외측을 감싸는 그물망 및 상기 그물망의 상부에 형성되는 유인구를 포함하는 제1구조물, 상기 유인구와 연결되어, 수면생물을 유인하는 삼각프레임 및 상기 삼각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며, 방사형의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을 감싸는 차광막으로 이루어진 제2구조물; 을 포함하며, 상기 제1구조물은 부력을 발생하는 부력체를 포함하여, 상기 제1구조물은 소정부분 또는 전체가 수면 밖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trap for capturing a sleeping org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 bars connected thereto, a first structure including a mesh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first frame and an attracting port formed on the mesh, A second structure formed on the triangular frame to attract sleeping creatures and a light shielding film which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iangular frame and surrounds the radial second frame and the second frame; Wherein the first structure includes a buoyant body that generates buoyancy, and the first structure protrudes out of a predetermined part or the whole of the water surface.

한편, 상기 제1프레임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테이퍼 지도록 형성되며, 측단면이 사다리꼴 형태일 수 있따다. 또한, 상기 삼각프레임은 상기 유인구에 형성되는 원형 프레임 및 상기 원형 프레임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는 꼭지점을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frame may be tapered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and the side end face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The triangular frame may include a circular frame formed on the inlet port and a plurality of supports connecting vertices spaced apart from the circular fram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생물 포획용 통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생물 포획용 통발의 분해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trap for capturing a sleeping org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a trap for capturing a sleeping org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2와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수면생물 포획용 통발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rapping of water for capturing sleeping organis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 and Examples.

본 발명은 수면부에서 활동하는 수면생물을 포획할 수 있는 수면생물 포획용 통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생물 포획용 통발은 부력을 발생하는 부력체를 포함하여, 제1구조물의 소정부분 또는 전체가 수면 밖으로 돌출됨으로써, 수면부에서 활동하는 수면생물을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으며, 포획된 수면생물이 질식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p for capturing a sleeping organism capable of capturing a sleeping organism that is active in a sleeping part, and a spout for capturing a sleeping org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oyancy generating buoyancy, A predetermined portion or the whole of the structure protrudes out of the water surface, thereby easily capturing sleeping creatures active in the water surface portion,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suffocated sleeping creatures from being caught.

이에 더하여, 차광막으로 이루어진 제2구조물에 의해서, 수면생물을 유인할 수 있어, 용이하게 수면생물을 포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o this, the second structure made of the light-shielding film can attract sleeping creatures and can easily capture sleeping creatures.

여기서, 수면생물이라 함은 해양, 호소, 하천의 수역 생물 중 수표면의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서 생활하는 생물의 총칭을 의미한다.Here, the term "sleeping creature" refers to a collective term of living organisms that live just above or below the water surface in marine, lake, and river water organisms.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수면생물 포획용 통발(10)은 제1구조물(100), 제2구조물(200) 및 삼각프레임(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leeping organ capturing pot 10 includes a first structure 100, a second structure 200, and a triangular frame 300.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면생물 포획용 통발(10)은 하부구조물을 이루는 제1구조물(100)과 상부구조물을 이루는 제2구조물(2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구조물(100)과 제2구조물(200)은 삼각프레임(300)에 의해서 연결된다.The sleeping organ capture trap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tructure 100 constituting a lower structure and a second structure 200 constituting an upper structure and the first structure 100 and the second structure 200 constituting the upper structure, The second structure 200 is connected by a triangular frame 300.

특히, 상기 삼각프레임(300)은 후술하게되는 유인구(130)와 연통되어 수면생물을 제1구조물(100)로 입/출입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triangular frame 300 can communicate with the inlet por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leeping organism can enter and exit the first structure 100.

보다 구체적으로, 제1구조물(100)은 다수의 지지바가 연결되는 제1프레임(110), 상기 제1프레임(110)의 외측을 감싸는 그물망(120) 및 상기 그물망(1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유인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structure 100 includes a first frame 110 to which a plurality of support bars are connected, a mesh network 120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first frame 110, And includes an attraction port 130.

상기 유인구(130)는 제1구조물(10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기 위한 것으로, 포획하고자 하는 수면생물을 제1구조물(100)의 내부로 유인하는 통로가 되며, 제1구조물(100)의 상측에 형성된다.The attraction port 130 is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first structure 100 and is a passage for attracting the sleeping creature to be captur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structure 100, Respectively.

이에 더하여, 제1프레임(110)은 제1구조물(100)의 외관을 유지하는 프레임으로 상기 유인구(130)로 다수의 지지바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다수의 지지바는 상기 유인구(130)로부터 방사상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되며, 제1프레임(110)의 측단면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프레임(110)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테이퍼 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rame 110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upport bars with the pull-tab 130 as a frame that maintains the appearance of the first structure 100. In particular,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may be formed to extend radially from the inlet port 130,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frame 110 may b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More specifically, the first frame 110 may be tapered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여기서, 테이퍼라 함은 서로 상대하는 양측면이 대칭으로 경사가 져 있을 때를 의미하며, 제1구조물의 측단면은 사다리꼴 형태일 수 있다.Here, the taper means that both side surfaces opposed to each other are inclined symmetrically,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structure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특정 양태로서, 그물망(120)은 상기 유인구(130)를 제외한 제1프레임(110)의 외측을 감쌀 수 있으며, 상기 그물망(120)은 통상적인 그물망(120)일 수 있다.In a particular embodiment, the network 120 may cover the outside of the first frame 110 except for the inlet port 130, and the network 120 may be a conventional network 120.

한편, 상기 제1구조물(100)은 부력을 발생하는 부력체(140)를 포함하여, 상기 제1구조물(100)의 소정부분 또는 전체가 수면 밖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tructure 100 includes a buoyant body 140 that generates buoyancy, so that a predetermined portion or the entirety of the first structure 100 protrudes out of the water surface.

이에 따라, 유인구(130)가 수면 밖으로 돌출될 수 있어, 수면부에 서식하는 수면생물을 상기 유인구(130)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부력체(140)에 의해서, 제1구조물(100)의 소정부분 또는 전체가 수면 밖으로 돌출됨으로써, 포획된 수면생물이 질식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ttraction port 130 can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water, so that the water creature living in the water surface portion can be easily moved to the attraction port 130. Particularly, the buoyant member 140 protrudes a predetermined portion or the whole of the first structure 100 out of the water surface, thereby preventing trapped sleeping creatures from suffocation.

여기서, 부력이라 함은 중력이 작용할 때 유체 속에 있는 물체가 유체로부터 받는 중력과 반대 방향의 힘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부력체(140)라 함은 수면생물 포획용 통발(10)이 수중으로 가라앉지 않게 하기 위하여 물 위에 뜨게 하는 부재를 의미한다.Here, the buoyancy means the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gravity of the object in the fluid when the gravity acts, and the buoyancy body 140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at the trapping water for capturing the sleeping creature (10) Means a member that floats on water to prevent sinking.

상기 부력체(140)는 스티로폼, 플라스틱, 고무 등의 발포성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한편, 소정의 무게를 유지하기 위하여 무게추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oyant body 140 may be made of a foamable synthetic resin such as styrofoam, plastic, or rubber, and may include a weight to maintain a predetermined weight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제2구조물(200)은 상기 제1구조물(1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삼각프레임(3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구조물(200)은 제2프레임(210)과 차광막(22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2프레임(210)은 복수개의 프레임이 방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tructur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op of the first structure 100 and may be located on top of the triangular frame 300.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structure 200 may include the second frame 210 and the light shielding film 220, and the second frame 210 may have a plurality of frames radially.

여기서, 방사형이라 함은 통상적으로 방사상이라 할 수 있으며, 중앙의 한 점에서 사방으로 거미줄이나 바퀴살처럼 뻗어 나간 모양을 의미한다.Here, the radial type is usually radial, and means a shape extending from a central point to a four-side spider or a spoke.

특정 양태로서, 상기 제2프레임(210)은 상부가 돌출되도록 아치형을 이룰 수 있다. 제1구조물(100) 상부에 형성된 제2구조물(200)은 인공섬 형태의 구조물로서, 바위나 섬에 올라 휴식하는 수면생물의 특성을 이용하여 해당 생물을 유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In a particular aspect, the second frame 210 may be arcuate so that the upper portion thereof protrudes. The second structure 200 formed on the first structure 100 is an artificial island-like structure, and can play a role of attracting the creature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sleeping creatures resting on rocks or islands.

한편, 상기 제2프레임(210)의 외측을 차광막(220)으로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제2구조물(200)의 하부는 차광막(220)에 의해서 그늘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면생물이 스스로 차광막(220)의 안쪽으로 이동하여 유인구(130)를 통하여 제1구조물(100) 내부로 포획될 수 있다.The second frame 21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second frame 210 with the light shielding film 220. Particularly,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structure 200 can be formed with a shade by the light shielding film 220, so that the sleeping creatures themselves move to the inside of the light shielding film 220, 100). ≪ / RTI >

이에 더하여, 제1구조물(100)과 제2구조물(200)은 삼각프레임(300)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인구(130)와 상기 삼각프레임(300)이 연결되며, 상기 삼각프레임(300)의 상측에 제2구조물(200)이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tructure 100 and the second structure 200 can be connected by the triangular frame 300, and more specifically, the triangular frame 300 is connected to the triangular frame 130, The second structure 20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frame 300.

여기서, 삼각프레임(300)은 유인구(130)에 형성되는 원형 프레임(300)과 상기 원형 프레임(300)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는 꼭지점을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riangular frame 300 includes a circular frame 300 formed at the entrance port 130 and a plurality of supports 320 connecting vertices spaced apart from the circular frame 3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특정 양태로서, 상기 삼각프레임(300)에 의해서, 제2구조물(200)이 아치형상을 이루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유인구(130)와 연통되도록 삼각프레임(300)을 연결함으로써, 수면생물이 제1구조물(100) 내부로 유인하는 장소를 마련할 수 있다.The triangular frame 300 can be used to make the second structure 200 into an arch shape and by connecting the triangular frame 300 in such a manner as to communicate with the entrance port 13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ace to attract the inside of the structure 100.

일 예로, 본 발명의 통발(10)의 높이는 대략 0.3m 내지 1.5m정도의 크기로 제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생물 포획용 통발(10)을 강이나 저수지 또는 호수나 댐 등의 수면에 소정부분(대략 0.1m 내지 1m정도) 또는 전체가 부상토록 설치한 상태에서, 제1구조물(100)과 제2구조물(200)을 포함하는 통발(10)은 각각 부력체(140)에 의해 수면 위에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eight of the po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roximately 0.3 to 1.5 m, and the pot 10 for bio-catc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on a surface of a river, a reservoir, (10) including the first structure (100) and the second structure (200) are float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by the buoyant body (140), respectively, Can be maintained.

이렇게 하여 수면 위에 뜨도록 설치된 생물 포획용 통발(10)에는 주로 수면에서 서식하고 있는 황소개구리, 붉은귀거묵, 뉴트리아 등의 외래어종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일차적으로 제1구조물(100)의 그물 또는 제1프레임(110) 위로 오르며, 이차적으로 제2구조물(200)에 차광막(22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그 후에 유인구(130)를 통하여 제1구조물(100) 내부로 자연스럽게 진입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제1구조물(100) 내부로 진입된 생물들은 제1구조물(100) 외부로 다시 빠져 나올 수 없게 되므로 간단하게 수면생물을 포획할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process of moving foreign fish such as a bull frog, a red ears silk, and a neutrophil, which are mainly living in the water surface, the net or the first net of the first structure (100) The second structure 200 can move to the inside of the light shielding film 220 while climbing over the frame 110. The first structure 100 can naturally enter the interior of the first structure 100 through the attraction hole 130 and the organisms entering the first structure 100 can not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tructure 100 You can simply capture sleep creatures.

다른 양태로서, 상기 제1구조물(100) 및 제2구조물(200)의 내부에 무인카메라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포획되는 수면생물을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어, 모니터링 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n unmanned camera may be installed inside the first structure 100 and the second structure 200, and the captured sleeping creatures can be photographed and monitored in real time.

10: 통발
100: 제1구조물 110: 제1프레임
120: 그물망 130: 유인구
140: 부력체
200: 제2구조물 210: 제2프레임
220: 차광막
300: 삼각프레임 310: 원형프레임
320: 지지대
10: Trick
100: first structure 110: first frame
120: mesh 130:
140: Buoyancy
200: second structure 210: second frame
220:
300: triangular frame 310: circular frame
320: Support

Claims (3)

다수의 지지바가 연결되며,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테이퍼 지도록 형성되어 측단면이 사다리꼴 형태인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외측을 감싸는 그물망 및 상기 그물망의 상부에 형성되는 유인구를 포함하는 제1구조물;
상기 유인구와 연결되어, 수면생물을 유인하는 삼각프레임; 및
상기 삼각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며, 방사형의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을 감싸는 차광막으로 이루어진 제2구조물; 을 포함하며,
상기 제1구조물은 부력을 발생하는 부력체를 포함하여, 상기 제1구조물은 소정부분 또는 전체가 수면 밖으로 돌출되며,
상기 그물망은 상기 유인구를 제외한 상기 제1프레임의 외측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생물 포획용 통발.
A first structure including a first frame having a trapezoidal cross section and tapered from an upper end to a lower end, a first structure including a mesh enclosing an outer side of the first frame, and an attracting opening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esh, ;
A triangular frame connected to the attraction port to attract sleeping creatures; And
A second structure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iangular frame and including a radial second frame and a light shielding film surrounding the second frame; / RTI >
Wherein the first structure includes a buoyant member that generates buoyancy, and the first structure protrudes out of a predetermined part or the whole of the water surface,
Wherein the mesh encloses the outer side of the first frame except for the attraction por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프레임은
상기 유인구에 형성되는 원형 프레임 및
상기 원형 프레임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는 꼭지점을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대; 를 포함하는 수면생물 포획용 통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iangular frame
A circular frame formed on the inlet port
A plurality of supports connecting vertexes spaced apart from the circular fram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water trap for capturing a sleeping creature including.

KR1020160023872A 2016-02-29 2016-02-29 A trap for animals that live in water surface KR1016959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872A KR101695979B1 (en) 2016-02-29 2016-02-29 A trap for animals that live in water su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872A KR101695979B1 (en) 2016-02-29 2016-02-29 A trap for animals that live in water surf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5979B1 true KR101695979B1 (en) 2017-01-13

Family

ID=5783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872A KR101695979B1 (en) 2016-02-29 2016-02-29 A trap for animals that live in water sur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97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1395A (en) * 2018-06-27 2018-10-16 广州千江水生态科技有限公司 A kind of remove device of alien species
CN110432233A (en) * 2019-09-02 2019-11-12 浙江海洋大学 A kind of elasticity aperture film Cod-ends of Trawl
KR20200021801A (en) 2018-08-21 2020-03-02 국립생태원 trap for semiaquatic mammal
KR20220046758A (en) * 2020-10-08 2022-04-15 공명식 Floating capture apparatus of bird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7734A (en) * 1994-10-11 1996-04-30 Kuninori Hidaka Net device for catching fish or the like and culture of squid using the same net device
KR19990064503A (en) * 1999-03-22 1999-08-05 명고봉 Frog catcher
KR100674446B1 (en) 2005-10-31 2007-01-30 하영수 A fish trap for fishing
KR20110085184A (en) * 2010-01-19 2011-07-2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Bait trap for catching freshwater turtles
KR101309632B1 (en) * 2013-03-04 2013-09-17 심재한 Amphibian or reptile of endangered species inducing and captur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7734A (en) * 1994-10-11 1996-04-30 Kuninori Hidaka Net device for catching fish or the like and culture of squid using the same net device
KR19990064503A (en) * 1999-03-22 1999-08-05 명고봉 Frog catcher
KR100674446B1 (en) 2005-10-31 2007-01-30 하영수 A fish trap for fishing
KR20110085184A (en) * 2010-01-19 2011-07-2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Bait trap for catching freshwater turtles
KR101309632B1 (en) * 2013-03-04 2013-09-17 심재한 Amphibian or reptile of endangered species inducing and capturing apparatu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1395A (en) * 2018-06-27 2018-10-16 广州千江水生态科技有限公司 A kind of remove device of alien species
KR20200021801A (en) 2018-08-21 2020-03-02 국립생태원 trap for semiaquatic mammal
CN110432233A (en) * 2019-09-02 2019-11-12 浙江海洋大学 A kind of elasticity aperture film Cod-ends of Trawl
CN110432233B (en) * 2019-09-02 2021-06-08 浙江海洋大学 Elastic small-hole film trawl net bag
KR20220046758A (en) * 2020-10-08 2022-04-15 공명식 Floating capture apparatus of birds
KR102504606B1 (en) 2020-10-08 2023-02-27 공명식 Floating capture apparatus of bir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979B1 (en) A trap for animals that live in water surface
JP4871955B2 (en) Bow Fragment Container
JP4673645B2 (en) Bow-fla removal container
Rosell et al. Methods of aquatic and terrestrial netting to capture Eurasian beavers
US8950362B2 (en) Complex floating wetland equipment
KR101784306B1 (en) Artificial reef to provide spawn space
JP3185114U (en) Floating island type turtle capture device
KR101453990B1 (en) Apparatus for attracting the sea urchin
JP2012039992A (en) Container for exterminating mosquito larva
KR20130006396U (en) Multi-Function Complex Artificaial Fishing Reef For Restoring Marine Ecosystem
Burger Beach recreation and nesting birds
JP7058424B2 (en) Aquatic animal escape device and set net
JP2012152126A (en) Method for protecting rhizome of aquatic plant in vegetated floating island, and vegetated floating island used therein
KR100948399B1 (en) A maze type artificial fishing reef
JP2018113954A (en) Fish catching device and fish catching method
US8042491B2 (en) Weedless fish structure
KR101900395B1 (en) Lair of the Octopus for laying eggs and inhabitation for Octopus in the Water
KR101395461B1 (en) Underwater stucture
KR102125946B1 (en) trap for Nutria
KR20170006474A (en) fish reef for native fish protection
JPH08317747A (en) Container for spawning, hatching and fry protection of aquatic organism
KR200207856Y1 (en) Artificial fish frame
KR102571580B1 (en) Apparatus for capturing american freshwater crayfish having bycatch prevention structure
JP6649835B2 (en) Firefly larva rearing system and firefly larva rearing method
KR102261401B1 (en) Non-native species elimination device ahd eli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