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904B1 - Control apparatus and operating apparatus for ship - Google Patents

Control apparatus and operating apparatus for sh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904B1
KR102510904B1 KR1020200094927A KR20200094927A KR102510904B1 KR 102510904 B1 KR102510904 B1 KR 102510904B1 KR 1020200094927 A KR1020200094927 A KR 1020200094927A KR 20200094927 A KR20200094927 A KR 20200094927A KR 102510904 B1 KR102510904 B1 KR 102510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perator
predetermined position
handle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9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15694A (en
Inventor
다이주 가네시로
다케시 오카모토
마코토 다코오다
겐타 니시무라
다케시 나카오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23245A external-priority patent/JP7460472B2/en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15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6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9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3Means for enhancing the operator's awareness of arrival of the controlling member at a command or datum position; Providing feel, e.g. means for creating a counter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9/00Arrangements of nautical instruments or navigational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propulsion power units being controlled from exterior of engine room, e.g. from navigation bridge; Arrangements of order telegraph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15Arrangements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a controlling memb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66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providing feel, e.g. indexing means, means to create counterforce
    • G05G2009/047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providing feel, e.g. indexing means, means to create counterforce holding the member in a number of definite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메커니컬한 기구에 의존하는 일 없이 조작부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한 것을 조작자에게 통보하는 조작 장치를 실현한다.
조작 장치(1)는, 조작부(10)와, 조작부(10)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11)와, 통보부(12)를 구비한다. 통보부(12)는, 조작부(10)가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센서(11)가 검출하면, 조작자의 역각, 청각 및 후각 중 적어도 하나를 자극하여 조작자에게 통보한다.
An operating device that notifies an operator that an operating unit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out relying on a mechanical mechanism is realized.
The operating device 1 includes an operating unit 10 , a sensor 11 that detects an operating position of the operating unit 10 , and a notification unit 12 . When the sensor 11 detects that the manipulation unit 10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notification unit 12 notifies the operator by stimulating at least one of the operator's sense of force, hearing, and smell.

Description

조작 장치 및 선박용 조종 장치{CONTROL APPARATUS AND OPERATING APPARATUS FOR SHIP}Control device and control device for ships {CONTROL APPARATUS AND OPERATING APPARATUS FOR SHIP}

본 발명은 조작 장치 및 선박용 조종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device and a steering device for a ship.

선박용 추진기의 원격 조종 장치에는, 추진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핸들(이하, 「핸들」이라 약칭함)이 마련되어 있다. 조작자는 이 핸들을 움직임으로써 추진기의 출력이나 회전 방향을 제어한다.A control handle (hereinafter, abbreviated as "handle") for controlling the thruster is provided in a remote control device of a ship propulsion machine. The operator controls the output or rotational direction of the thruster by moving the handle.

일본 특허 공개 제2018-203216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8-203216

이하, 핸들이 조작 가능한 범위 내에 있어서, 현재 있는 위치를 「조작 위치」라 칭한다. 전술한 원격 조종 장치에서는, 조작자는 핸들의 지침과 패널의 눈금을 보아 조작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Hereinafter, a current position within a range in which the handle can be operated is referred to as an "operation position". In the above-described remote control device, the operator can grasp the operation position by looking at the pointer on the handle and the scale on the panel.

한편, 핸들에는, 조작 위치가 소정의 위치(이하, 「노치 포지션」이라 칭함)에 도달하면 조작자의 역각을 자극하여 감각을 생기게 하기 위한 메커니컬한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 핸들이 노치 포지션에 도달한 때 조작자가 느끼는 감각을 「노치감」이라 칭한다.On the other hand, the handle is provided with a mechanical mechanism for stimulating the force of the operator to create a sense when the manipulation position rea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notch position"). Hereinafter, the sensation felt by the operator when the handle reaches the notch position is referred to as "notch feeling".

노치 포지션은, 예를 들어 핸들의 지침이 각 눈금의 중앙 위치에 있을 때에 상당한다. 이러한 메커니컬한 기구는, 예를 들어 스프링력으로 눌린 강구와, V자형 또는 U자형의 홈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조작자는 손의 감각만으로 조작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자는 핸들을 보는 일 없이 배의 주위의 상황 등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핸들을 조작할 수 있다. 즉, 상기 핸들은, 메커니컬한 기구에 의하여 생성된 노치감을 이용하여, 조작부가 소정의 조작 위치에 도달한 것을 조작자에게 통보하고 있다.The notch position corresponds to, for example, when the pointer of the handle is at the center position of each scale. Such a mechanical mechanism can be constructed using, for example, a steel ball pressed by a spring force and a V-shaped or U-shaped groove. In this way, the operator can grasp the operation position only by the sense of the hand. Therefore, the operator can operate the steering wheel while visually checking the situation around the ship and the like without looking at the steering wheel. That is, the handle notifies the operator that the operation unit has reached a predetermined operation position by using a notch feeling generated by a mechanical mechanism.

다음으로, 현행의 일렉트릭 샤프트 기능을 갖는 원격 조종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은 원격 조종 장치에서 사용되는 핸들은, 예를 들어 브리지 센터, 좌현 윙 및 우현 윙의 3개소와 같이, 선내의 복수의 장소에 각각 배치된다. 조작자는 이들 중 어느 장소로부터도 배를 조종할 수 있다.Next, a remote control device having a current electric shaft function will be described. Handles used in such a remote control device are respectively arranged in a plurality of places in the ship, such as three places of a bridge center, a port wing and a starboard wing, for example. The operator can steer the boat from any of these places.

조종 시에는 이들 복수의 핸들 중 어느 하나가, 조작자의 조작을 접수하는 핸들로서 선택된다. 이하, 조작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핸들을 「마스터 핸들」이라 칭한다. 나머지 핸들은 마스터 핸들의 움직임에 동기하여 움직인다. 이하, 마스터 핸들에 동기하여 움직이는 핸들을 「슬레이브 핸들」이라 칭한다. 이들 복수의 핸들에는 각각, 자신이 슬레이브 핸들일 때 마스터 핸들에 동기하여 움직이기 위한 모터가 내장되어 있다.At the time of manipulation, any one of these handles is selected as a handle that accepts the operator's operation. Hereinafter, a handle operated by an operator is referred to as a "master handle". The remaining handles move synchronously with the movement of the master handle. Hereinafter, a handle that move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aster handle is referred to as a "slave handle". Each of these plurality of handles has a built-in motor for moving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aster handle when the handle itself is a slave handle.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에는 동기용의 모터가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이대로라면 조작자가 마스터 핸들을 수동 조작할 때 모터축도 함께 돌려야만 한다. 이 모터축을 돌리기 위한 부하는 크기 때문에, 조작자는 핸들을 원활히 움직일 수 없게 되어 버린다.As described above, the handle has a built-in motor for synchronization. Therefore, as it is, when the operator manually operates the master handle, the motor shaft must also be turned. Since the load for turning this motor shaft is large, the operator cannot move the handle smoothly.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모터의 동력을 핸들에 전달하는 전달 계통에는 이하와 같은 슬립 클러치가 내장되어 있다. 즉, 이 슬립 클러치는, 핸들에 가해지는 힘이 소정의 크기보다 작을 때는 슬립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때, 핸들과 모터 사이에서 힘이 전달된다(이하, 이 소정의 크기의 힘을 「슬립 한계력」이라 칭함). 핸들에 가해지는 힘이 증가하여 슬립 한계력 이상으로 되면 슬립 클러치는 슬립한다. 따라서 이때, 핸들과 모터 사이의 힘의 전달은 차단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자는 슬립 한계력 이상의 힘을 핸들에 가함으로써, 동기용 모터축을 돌리는 일 없이 핸들을 움직일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following slip clutch is built into the transmission system that transmits the power of the motor to the steering wheel. That is, this slip clutch does not slip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handle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magnitude. Therefore, at this time, force is transmitted between the handle and the motor (hereinafter, this forc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is referred to as "slip limit force").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handle increases and exceeds the slip limit force, the slip clutch slips. Therefore, at this time, transmission of force between the handle and the motor is blocked. In this way, the operator can move the handle without turning the synchronous motor shaft by applying a forc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lip limit force to the handle.

그런데 전술한 노치감을 생성하는 메커니컬한 기구는, 핸들이 노치 포인트에 도달한 때, 핸들에 가해지는 힘과 반대 방향의 힘을 부여한다(이하, 이 반대 방향의 힘을 「노치력」이라 칭함). 여기서 핸들에 가해지는 힘은, 핸들이 마스터 핸들일 때는 조작자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이다. 조작자는, 이 노치력에 의하여 생성되는 노치감을 느낌으로써 핸들이 노치 포인트에 도달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핸들이 슬레이브 핸들일 때는, 핸들에 가해지는 힘은 동기용의 모터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이다. 이 경우, 노치력은, 당해 핸들을 마스터 핸들에 동기시키고자 하는 힘과 반대 방향의 힘으로 된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mechanical mechanism for generating the notch feeling applies a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orce applied to the handle when the handle reaches the notch point (hereinafter, the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notch force") . Here, the force applied to the handle is the force applied by the operator when the handle is the master handle. The operator can grasp that the handle has reached the notch point by feeling the notch feeling generated by this notch for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handle is a slave handle, the force applied to the handle is the force applied by the synchronous motor. In this case, the notch force is a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orce for synchronizing the handle with the master handle.

상술한 메커니컬한 기구에서 생성된 노치감을 이용하여 조작자에게 조작 위치를 통보하는 기술에는, 이하와 같은 과제가 있다. 예를 들어 그리스 고갈 등이 원인으로 상기의 메커니컬한 기구의 움직임이 매끄럽지 않게 된 경우, 노치력은 정상 시보다 커진다. 이때, 핸들이 마스터 핸들일 때는, 조작자는 노치감이 강해졌다고 느낀다. 한편, 이 핸들이 슬레이브 핸들일 때는, 증가한 노치력을 능가해서 당해 핸들을 구동하여 마스터 핸들에 동기시키기 위해서는, 동기용 모터의 출력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이때, 만약 노치력이 슬립 한계력 이상이면 동기용 모터의 힘도 슬립 한계력 이상으로 해야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면 슬립 클러치가 슬립하여 모터는 공회전해 버린다. 즉, 메커니컬한 기구가 원인으로 되어서 슬레이브 핸들을 마스터 핸들에 동기시킬 수 없게 되어 버린다.A technique for notifying an operator of an operation position using a notched feeling generated by the mechanical mechanism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For example, when the motion of the above mechanical mechanism is not smooth due to depletion of grease or the like, the notch force becomes larger than normal. At this time, when the handle is the master handle, the operator feels that the notch feeling has become stronger. On the other hand, when this handle is a slave handl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output of the motor for synchronization in order to exceed the increased notch force and drive the handle to synchronize with the master handle. At this time, if the notch force is greater than the slip limit force, the power of the synchronous motor must also be greater than the slip limit force. However, in this way, the slip clutch slips and the motor runs idle. That is, the slave handle cannot be synchronized with the master handle due to a mechanical mechanism.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메커니컬한 기구에 의존하는 일 없이 조작부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한 것을 조작자에게 통보하는 조작 장치를 실현하는 것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se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realize an operating device that notifies an operator that an operating unit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out relying on a mechanical mechanism.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조작 장치는, 조작부와, 조작부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와, 조작부가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센서가 검출하면 역각, 청각 및 후각 중 적어도 하나를 자극하여 조작자에게 통보하는 통보부를 구비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perating device of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ng unit, a sensor for detecting an operating position of the operating unit, and when the sensor detects that the operating unit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at least one of force, hearing, and smell A notification unit is provided that notifies the operator by stimulating the user.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선박용 조종 장치이다. 이 장치는, 조작자에 의하여 조작되어 추진 기관에 대한 출력 지시가 입력되는 조작부와, 조작부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와, 조작자의 조작에 의하여 조작부가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센서가 검출하면 역각, 청각 및 후각 중 적어도 하나를 자극하여 조작자에게 통보하는 통보부를 구비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ering device for a ship. This device includes an operating unit to which an output instruction for a propulsion engine is input by being operated by an operator, a sensor that detects an operating position of the operating unit, and a force when the sensor detects that the operating unit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operator's operation. and a notification unit that notifies the operator by stimulating at least one of hearing and smell.

또한 이상의 구성 요소의 임의의 조합이나, 본 발명의 구성 요소나 표현을, 방법, 장치, 프로그램, 프로그램을 기록한 일시적인 또는 일시적이지 않은 기억 매체, 시스템 등의 사이에서 상호 치환한 것도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유효하다.In addition, any combination of the above constituent elements or the mutual substitution of the constituent elements or express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methods, apparatuses, programs, temporary or non-temporary storage media, systems, etc. in which the programs are recorded are also covered by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ffective as an aspect.

본 발명에 따르면, 메커니컬한 기구에 의존하는 일 없이 조작부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한 것을 조작자에게 통보하는 조작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operating device that notifies the operator that the operating unit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out relying on a mechanical mechanism.

도 1은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용 조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9는 제11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은 제12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device according to first to third embodiments.
Fig.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Fig. 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Fig. 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Fig. 5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eering system for a ship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Fig. 6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Fig. 7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Fig. 8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Fig. 9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Fig. 10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을, 적합한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되는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요소, 부재, 처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는 것으로 하며, 적당히,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referring drawings based on preferred embodiment. The same number is given to the same or equivalent components, members, and processes shown in each drawing, and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as appropriat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조작 장치(1)는 조작부(10)와 센서(11)와 통보부(12)를 구비한다.Fig.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device 1 includes an operating unit 10, a sensor 11, and a notification unit 12.

[제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이하, 도 1을 참조하면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조작부(10)는, 조작자의 조작을 접수하는 부분이며, 예를 들어 핸들이나 레버 등이다. 조작부(10)는 소정의 조작 위치에 세트된다. 예를 들어 조작부(10)가 선박용의 조종 핸들인 경우, 조작부(10)가 세트된 조작 위치에 대응하여 추진기의 출력이나 스크루의 회전 방향이 정해진다.The operation unit 10 is a portion that receives an operator's operation, and is, for example, a handle or a lever. The operating unit 10 is set at a predetermined operating position.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unit 10 is a steering wheel for a ship, the output of the thruster or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crew is determined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position at which the operation unit 10 is set.

센서(11)는 조작부(10)의 조작 위치를 검출한다. 센서(11)는, 검출한 조작 위치를 통보부(12)에 통지한다.The sensor 11 detects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operation unit 10 . The sensor 11 notifies the notification unit 12 of the detected operation position.

통보부(12)는, 조작 위치가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센서(11)로부터 통지받으면 조작자의 역각, 청각 및 후각 중 적어도 하나를 자극한다. 이것에 의하여 통보부(12)는, 조작 위치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한 것을 조작자에게 통보한다.When the notification unit 12 receives notification from the sensor 11 that the manipulation position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it stimulates at least one of force, hearing, and smell of the operator. In this way, the notification unit 12 notifies the operator that the operation position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역각은, 오감 중 촉각에 관계되는 감각이며, 사람이 물체와 접촉한 때 느끼는 역감각이다. 예를 들어 통보부(12)는, 조작부(10)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조작부(10)를 조작하는 손에 노치감이나 저항감 등을 느끼게 해도 된다. 이하, 조작자가 조작부를 움직일 때 당해 조작부로부터 받는 저항감 또는 반응을 「조작 저항」이라 칭한다.Force is a sense related to touch among the five senses, and is a sense of inverse that a person feels when contacting an object.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unit 10 rea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notification unit 12 may feel a notch feeling or resistance feeling in the hand that operates the operation unit 10 . Hereinafter, a feeling of resistance or reaction received from the operation unit when the operator moves the operation unit is referred to as "operation resistance".

청각은, 음파의 자극에 의하여 사람에게 생기는 감각이다. 통보부(12)는, 조작부(10)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조작자가 클릭음이나 전자음 등을 들려 줘도 된다.Hearing is a sensation that occurs in humans by stimulation of sound waves. In the notification unit 12, when the operation unit 10 rea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operator may hear a click sound, an electronic sound, or the like.

후각은 냄새의 감각이다. 통보부(12)는, 조작부(10)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조작자에게 소정의 냄새를 맡게 해도 된다.Smell is the sense of smell. The notification unit 12 may have the operator smell a predetermined smell when the operation unit 10 rea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메커니컬한 기구를 이용하는 일 없이 조작부(10)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한 것을 조작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operator that the operation unit 10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out using a mechanical mechanism.

[제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역시 도 1을 참조하면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장치(1)와 공통되는 부분은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한다(이하 마찬가지).Next,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also to FIG. 1 . Descriptions of portions common to the opera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omitted, and description is made focusing on different portions (similarly below).

통보부(12)는, 조작 위치가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센서(11)로부터 통지받으면, 조작부(10)의 조작 저항을, 당해 소정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비해 증가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통보부(12)는, 조작 위치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한 것을 조작자에게 통보한다.When the notification unit 12 receives notification from the sensor 11 that the operation position has reached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e operation resistance of the operation unit 10 is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reaching the predetermined position. In this way, the notification unit 12 notifies the operator that the operation position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조작 저항은 모터 등에 의하여 생성해도 되고, 조작 저항의 강약의 제어는, 모터 등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행해도 된다.The operating resistance may be generated by a motor or the like, and control of the intensity of the operating resistance may be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motor or the like.

조작자는, 조작부(10)를 조작하는 손에 느끼는 조작 저항이 강해진 것에 의하여, 조작부(10)가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메커니컬한 기구를 이용하는 일 없이 조작자가 손에 느끼는 조작감을 창출할 수 있다.The operator can grasp that the operation unit 10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because the operation resistance felt by the hand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10 has become stronger.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create an operating feeling felt by the operator in the hand without using a mechanical mechanism.

[제3 실시 형태][Third Embodiment]

다음으로, 역시 도 1을 참조하면서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also to FIG. 1 .

통보부(12)는, 조작 위치가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센서(11)로부터 통지받으면, 복수의 소정 위치마다 다른 크기로 조작부(10)의 조작 저항을, 각각의 소정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비해 증가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통보부(12)는, 조작부(10)가 복수의 소정 위치 중 하나에 도달한 것을, 각 소정 위치에 따른 크기의 조작 저항으로 조작자에게 통보한다.When the notification unit 12 receives notification from the sensor 11 that the operation position has reached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e operation resistance of the operation unit 10 is compared by a different magnitude for each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positions before reaching each predetermined position. increase In this way, the notification unit 12 notifies the operator that the operation unit 10 has reached one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positions with an operation resistance corresponding to each predetermined position.

이하, 조작부(10)가 선박용의 핸들인 경우를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선박용의 핸들에서는, 조작 위치는 복수의 소정의 조작 위치(노치 포지션)를 구비하며, 핸들은 이들 중 어느 곳에 세트된다. 예를 들어 노치 포지션은, 중앙의 STOP 위치, STOP 위치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AHEAD 위치, 및 STOP 위치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ASTERN 위치를 구비한다. 핸들이 STOP 위치일 때 추진기의 출력은 정지한다. 핸들이 AHEAD 위치일 때 추진기는 배를 전진시킨다. 핸들이 ASTERN 위치일 때 추진기는 배를 후진시킨다.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operation unit 10 is a handle for a shi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an example. In the steering wheel for a ship, the operating position has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ng positions (notch positions), and the handle is set at any one of them. For example, the notch position includes a central STOP position, a plurality of AHEAD positions disposed forward of the STOP position, and a plurality of ASTERN positions disposed backward from the STOP position. When the handle is in the STOP position, the thruster's output stops. When the steering wheel is in the AHEAD position, the thrusters propel the boat forward. When the steering wheel is in the ASTERN position, the thrusters propel the boat backwards.

AHEAD 위치는, 예를 들어 STOP 위치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차례로 DEAD SLOW 위치, SLOW 위치, HALF 위치, FULL 위치 및 NAV.FULL 위치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ASTERN 위치도, 예를 들어 STOP 위치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차례로 DEAD SLOW 위치, SLOW 위치, HALF 위치 및 FULL 위치를 구비한다. AHEAD 위치, ASTERN 위치 모두, 노치 포지션이 STOP 위치로부터 떨어질수록 추진기의 출력은 강해진다.The AHEAD position includes, for example, a DEAD SLOW position, a SLOW position, a HALF position, a FULL position, and a NAV.FULL position in order from a position close to the STOP position toward the front. Similarly, the ASTERN position also includes, for example, a DEAD SLOW position, a SLOW position, a HALF position, and a FULL position in order from a position close to the STOP position toward the rear. In both the AHEAD position and the ASTERN position, the thruster output becomes stronger as the notch position is further away from the STOP position.

예를 들어 통보부(12)는, 핸들이 STOP 위치에 도달한 때, 가장 약한 조작 저항을 부여하여 조작자에게 통보해도 된다. 또한 핸들이 STOP 위치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일 방향으로 움직여져서 DEAD SLOW 위치, SLOW 위치, HALF 위치, FULL 위치, NAV.FULL 위치에 도달할 때마다 점차 조작 저항을 강하게 하여 조작자에게 통지해도 된다. 즉, 추진기의 출력이 강할수록 조작자가 손에 느끼는 조작 저항은 강한 것이어도 된다.For example, when the handle reaches the STOP position, the notification unit 12 may apply the weakest operation resistance to notify the operator. In addition, each time the handle moves in one direction from the STOP position toward the front or rear and reaches the DEAD SLOW position, SLOW position, HALF position, FULL position, or NAV.FULL position, the operator may be notified by gradually strengthening the operation resistance. That is, the stronger the output of the thruster, the stronger the operating resistance felt by the operator in the hand.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작 위치가 복수의 노치 포지션을 구비하는 경우, 조작자는, 각 노치 포지션에 따른 크기의 조작 저항을 느끼기 때문에, 조작부가 어느 노치 포지션에 도달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n operating position includes a plurality of notch positions, the operator feels an operating resistance corresponding to each notch position, and therefore can grasp which notch position the operating unit has reached.

[제4 실시 형태][Fourth Embodiment]

도 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장치(2)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의 조작 장치(2)는, 도 1의 조작 장치(1)의 구성 요소에 더해 모터(13)를 구비한다.Fig.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device 2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device 2 of FIG. 2 includes a motor 13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of the operating device 1 of FIG. 1 .

모터(13)는 조작부(10)에 접속되어 조작부(10)를 구동한다.The motor 13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10 and drives the operation unit 10 .

센서(11)는, 조작부(10)의 조작 위치와, 조작부(10)가 조작된 방향을 검출한다. 센서(11)는, 검출한 조작 위치와, 조작된 방향을 통보부(12)에 통지한다.The sensor 11 detects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operation unit 10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on unit 10 was operated. The sensor 11 notifies the notification unit 12 of the detected operation position and the direction of operation.

통보부(12)는, 조작 위치가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센서(11)로부터 통지받으면, 조작부(10)가 조작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이 생기도록 모터(13)를 구동 제어한다. 이것에 의하여 통보부(12)는, 조작 위치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한 것을 조작자에게 통보한다.When the notification unit 12 receives notification from the sensor 11 that the operation position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it drives and controls the motor 13 so that force is genera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on unit 10 is operated. In this way, the notification unit 12 notifies the operator that the operation position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조작자는, 조작부(10)를 조작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힘에 의하여 생기는 조작 저항을 느낌으로써, 노치감과 비슷한 감각으로 조작부(10)가 노치 포지션에 도달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메커니컬한 기구 대신 모터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조작 장치의 노치감에 상당하는 조작감을 창출할 수 있다.The operator can grasp that the control unit 10 has reached the notch position with a feeling similar to that of the notch by feeling the operation resistance generated by the forc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trol unit 10 is operated.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y using a motor instead of a mechanical mechanism, it is possible to create a feeling of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feeling of notch of a conventional operating device.

[제5 실시 형태][Fifth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장치(3)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의 조작부(10)는 제1 핸들(14a)과 제2 핸들(14b)과 제3 핸들(14c)과 제1 모터(13a)와 제2 모터(13b)와 제3 모터(13c)를 구비한다.Fig. 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device 3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0 of FIG. 3 includes a first handle 14a, a second handle 14b, a third handle 14c, a first motor 13a, a second motor 13b, and a third motor 13c. provide

제1 모터(13a)는 제1 핸들(14a)에 접속되어 제1 핸들(14a)을 구동한다. 제2 모터(13b)는 제2 핸들(14b)에 접속되어 제2 핸들(14b)을 구동한다. 제3 모터(13c)는 제3 핸들(14c)에 접속되어 제3 핸들(14c)을 구동한다.The first motor 13a is connected to the first handle 14a and drives the first handle 14a. The second motor 13b is connected to the second handle 14b and drives the second handle 14b. The third motor 13c is connected to the third handle 14c and drives the third handle 14c.

제1 핸들(14a), 제2 핸들(14b) 및 제3 핸들(14c)은 선내의 복수의 장소에 각각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 핸들(14a)은 브리지 센터에 배치되고, 제2 핸들(14b)은 좌현 윙에 배치되며, 제3 핸들(14c)은 우현 윙에 배치되는 것과 같은 상태이다.The first handle 14a, the second handle 14b, and the third handle 14c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a plurality of places in the ship. For example, the first handle 14a is positioned at the bridge center, the second handle 14b is positioned on the port wing, the third handle 14c is positioned on the starboard wing, and so forth.

제1 핸들(14a), 제2 핸들(14b) 및 제3 핸들(14c)은, 이들 중 어느 하나가 마스터 핸들로 되고 나머지 2개가 슬레이브 핸들로 되도록 전환 가능하다. 마스터 핸들은 조작자에 의하여 조작된다. 슬레이브 핸들은, 당해 핸들에 접속된 모터로 구동되어 마스터 핸들에 동기된다.The first handle 14a, the second handle 14b, and the third handle 14c can be switched such that one of them becomes a master handle and the other two become slave handles. The master handle is manipulated by the operator. The slave handle is driven by a motor connected to the handle and synchronized with the master handle.

이하, 제1 핸들(14a)이 마스터 핸들이고 제2 핸들(14b) 및 제3 핸들(14c)이 슬레이브 핸들일 때를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핸들(14a)은 조작자에 의하여 조작된다. 제2 핸들(14b) 및 제3 핸들(14c)은 각각 제2 모터(13b) 및 제3 모터(13c)로 구동되어 제1 핸들(14a)에 동기된다.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first handle 14a is a master handle and the second handle 14b and the third handle 14c are slave handl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an example. The first handle 14a is operated by an operator. The second handle 14b and the third handle 14c are driven by the second motor 13b and the third motor 13c, respectively, and synchronized with the first handle 14a.

센서(11)는, 마스터 핸들인 제1 핸들(14a)의 조작 위치를 검출한다. 센서(11)는, 검출한 조작 위치를 통보부(12)에 통지한다.The sensor 11 detects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1st handle 14a which is a master handle. The sensor 11 notifies the notification unit 12 of the detected operation position.

통보부(12)는, 제1 핸들(14a)이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센서(11)로부터 통지받으면, 조작자의 역각, 청각 및 후각 중 적어도 하나를 자극한다. 이것에 의하여 통보부(12)는, 조작 위치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한 것을 조작자에게 통보한다.When the notification unit 12 receives notification from the sensor 11 that the first handle 14a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it stimulates at least one of force, hearing, and smell of the operator. In this way, the notification unit 12 notifies the operator that the operation position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구체예에서는, 제1 핸들(14a)이 마스터 핸들이고 제2 핸들(14b) 및 제3 핸들(14c)이 슬레이브 핸들이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으며, 제2 핸들(14b)이 마스터 핸들이고 제3 핸들(14c) 및 제1 핸들(14a)이 슬레이브 핸들이어도 된다. 혹은 제3 핸들(14c)이 마스터 핸들이고 제1 핸들(14a) 및 제2 핸들(14b)이 슬레이브 핸들이어도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handle 14a is the master handle and the second handle 14b and the third handle 14c are the slave handles.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handle 14b may be a master handle, and the third handle 14c and the first handle 14a may be slave handles. Alternatively, the third handle 14c may be a master handle, and the first handle 14a and the second handle 14b may be slave handles.

도 3의 조작부(10)는 3조의 핸들과 모터를 구비하지만 이들은 3조에 한하지 않으며, 임의의 수의 조여도 된다.The control unit 10 of FIG. 3 includes three sets of handles and motors, but these are not limited to three sets, and any number of sets may be used.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마스터 핸들과 슬레이브 핸들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복수의 핸들로 구성되는 조작 장치에 관하여, 메커니컬한 기구를 이용하는 일 없이 마스터 핸들이 소정의 위치에 도달한 것을 조작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th respect to an operating devi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handles switchable between a master handle and a slave handle, the operator can be notified that the master handle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out using a mechanical mechanism.

[제6 실시 형태][Sixth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장치(4)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의 통보부(12)는 제1 모터(13a), 제2 모터(13b) 및 제3 모터(13c)를 구동 제어한다. 도 4의 조작 장치(4)의 그 외의 구성은, 도 3의 조작 장치(3)의 구성과 공통이다.Fig. 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device 4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tification unit 12 of FIG. 4 drives and controls the first motor 13a, the second motor 13b, and the third motor 13c. Other configurations of the operating device 4 of FIG. 4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operating device 3 of FIG. 3 .

제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핸들(14a)이 마스터 핸들이고 제2 핸들(14b) 및 제3 핸들(14c)이 슬레이브 핸들일 때를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Similar to the fifth embodiment, a case where the first handle 14a is a master handle and the second handle 14b and the third handle 14c are slave handl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an example.

센서(11)는, 마스터 핸들인 제1 핸들(14a)의 조작 위치와 제1 핸들(14a)이 조작된 방향을 검출한다. 센서(11)는, 검출한 조작 위치와, 조작된 방향을 통보부(12)에 통지한다.The sensor 11 detects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first handle 14a, which is a master handle,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handle 14a is operated. The sensor 11 notifies the notification unit 12 of the detected operation position and the direction of operation.

통보부(12)는, 제1 핸들(14a)이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센서(11)로부터 통지받으면, 제1 핸들(14a)이 조작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이 생기도록 제1 모터(13a)를 구동 제어한다. 이것에 의하여 통보부(12)는, 조작 위치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한 것을 조작자에게 통보한다.When the notification unit 12 receives notification from the sensor 11 that the first handle 14a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a first motor ( 13a) is driven and controlled. In this way, the notification unit 12 notifies the operator that the operation position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각 핸들에 접속된 모터는, 당해 핸들이 마스터 핸들일 때는, 종래의 조작 장치의 노치감에 상당하는 조작감을 창출하는 것에 사용된다. 한편, 당해 핸들이 슬레이브 핸들일 때는, 모터는, 당해 핸들을 마스터 핸들에 동기시키기 위하여 구동하는 것에 사용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핸들이 마스터 핸들인지 슬레이브 핸들인지에 따라 하나의 모터에 2개의 역할을 겸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용 모터를 구비한 현행의 원격 조종 장치에 본 실시 형태를 적용함으로써, 새로이 모터를 추가하는 일 없이 메커니컬한 기구 대신 모터를 이용하여 노치감에 상당하는 조작감을 창출할 수 있다.A motor connected to each handle is used to create an operating feeling equivalent to the notch feeling of a conventional operating device when the handle is a master handle. On the other hand, when the handle is a slave handle, the motor is used to drive the handle to synchronize with the master handle.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ne motor can have two roles depending on whether each handle is a master handle or a slave handle. For example, by applying the present embodiment to an existing remote controller equipped with a synchronous motor, it is possible to create a feeling of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notch feeling by using a motor instead of a mechanical mechanism without adding a new motor.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마스터 핸들과 슬레이브 핸들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복수의 핸들로 구성되는 조작 장치에 관하여, 메커니컬한 기구 대신에 모터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조작 장치의 노치감에 상당하는 조작감을 창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th respect to an operating devi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handles switchable between a master handle and a slave handle, by using a motor instead of a mechanical mechanism, it is possible to create a feeling of operation equivalent to the notch of a conventional operating device. there is.

[제7 실시 형태][Seventh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용 조종 장치(5)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선박용 조종 장치(5)는 조작부(15)와 센서(11)와 통보부(12)를 구비한다.Fig. 5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hip steering system 5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p steering device 5 includes a control unit 15, a sensor 11, and a notification unit 12.

조작부(15)는, 조작자에 의하여 조작되어 추진 기관에 대한 출력 지시가 입력된다. 조작부(15)는 복수의 소정의 조작 위치(노치 포지션) 중 어느 곳에 세트된다. 예를 들어 노치 포지션은, 중앙의 STOP 위치, STOP 위치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AHEAD 위치, 및 STOP 위치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ASTERN 위치를 구비한다. 조작부(15)가 STOP 위치에 세트된 때 추진기의 출력은 정지한다. 핸들이 AHEAD 위치일 때 추진기는 배를 전진시킨다. 조작부(15)가 ASTERN 위치에 세트된 때 추진기는 배를 후진시킨다.The operation unit 15 is operated by an operator to input an output instruction to the propulsion engine. The operating portion 15 is set at any one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ng positions (notch positions). For example, the notch position includes a central STOP position, a plurality of AHEAD positions disposed forward of the STOP position, and a plurality of ASTERN positions disposed backward from the STOP position. When the operation unit 15 is set to the STOP position, the output of the thruster stops. When the steering wheel is in the AHEAD position, the thrusters propel the boat forward. When the control unit 15 is set to the ASTERN position, the thruster moves the ship backward.

센서(11)는 핸들(15)의 조작 위치를 검출한다. 센서(11)는, 검출한 조작 위치를 통보부(12)에 통지한다.The sensor 11 detects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handle 15 . The sensor 11 notifies the notification unit 12 of the detected operation position.

통보부(12)는, 조작 위치가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센서(11)로부터 통지받으면, 조작자의 역각, 청각 및 후각 중 적어도 하나를 자극한다. 이것에 의하여 통보부(12)는, 조작 위치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한 것을 조작자에게 통보한다.When the notification unit 12 receives notification from the sensor 11 that the manipulation position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it stimulates at least one of force, hearing, and smell of the operator. In this way, the notification unit 12 notifies the operator that the operation position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제어 대상으로 되는 추진 기관은 일반적으로 선박용의 추진 기관이다. 이러한 선박은, 예를 들어 워터 제트선, 전기 추진선, 하이브리드 추진선, 가스 엔진선, 디젤 엔진선 등을 포함한다.A propulsion engine to be controlled is generally a propulsion engine for ships. Such ships include, for example, water jet ships, electric propulsion ships, hybrid propulsion ships, gas engine ships, diesel engine ships and the like.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메커니컬한 기구를 이용하는 일 없이 핸들(15)이 소정의 위치에 도달한 것을 조작자에게 통보할 수 있는 선박 조종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realize a ship steering device capable of notifying an operator that the steering wheel 15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out using a mechanical mechanism.

[제8 실시 형태][Eighth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장치(6)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조작 장치(6)는 조작부(10)와 센서(11)와 통보부(12)와 설정부(16)를 구비한다.Fig. 6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device 6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device 6 includes an operating unit 10, a sensor 11, a notification unit 12, and a setting unit 16.

설정부(16)는, 전술한 소정 위치, 즉, 조작 위치가 이 위치에 도달한 것을 센서(11)로부터 통지받은 통보부(12)가 조작자의 역각, 청각 및 후각 중 적어도 하나를 자극할 위치를 설정한다. 일례로서 통보부(12)는, 설정부(16)가 설정한 소정 위치에 조작부(10)가 도달하면, 조작자의 손에 노치감을 느끼게 한다. 이것에 의하여 조작자는, 미리 설정된 메커니컬한 기구에 의한 노치 포지션에 더해, 새로이 설정부(16)가 설정한 소정 위치에서도 노치감을 느껴서 조작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통보부(12)가 통보하기 위한 소정의 위치(예를 들어 노치 포지션)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The setting unit 16 is a predetermined position, that is, a position where the notification unit 12, notified by the sensor 11 that the manipulation position has reached this position, will stimulate at least one of the operator's sense of force, hearing, and smell. set As an example, the notification unit 12 causes the operator's hand to feel a notch when the operation unit 10 rea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set by the setting unit 16. In this way, in addition to the notch position by the previously set mechanical mechanism, the operator can grasp the operation position by feeling the notch feeling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newly set by the setting unit 16. That i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flexibly set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example, a notch position) for the notification unit 12 to notify.

일 실시 형태에서는, 설정부(16)는 조작자의 설정 동작에 의하여 소정 위치를 설정해도 된다. 이 경우, 설정부(16)는, 핸들과, 조작 저항에 의하여 조작자에게 노치감을 부여하는 모터와, 노치 포지션을 설정하기 위한 누름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조작자는 핸들을 조작하여, 핸들이, 원하는 위치에 도달한 때 설정용의 누름 버튼을 누른다. 이것에 의하여 당해 원하는 위치에 노치 포지션이 설정된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작자는 자신의 선호나 배의 항로에 따라, 통보부(12)가 통보하기 위한 소정의 위치(예를 들어 노치 포지션)를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tting unit 16 may set a predetermined position by an operator's setting operation. In this case, the setting unit 16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andle, a motor that imparts a notch feeling to the operator by operating resistance, and a push button for setting the notch position. The operator operates the handle, and when the handle reaches a desired position, presses a push button for setting. In this way, the notch position is set at the desired posi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operator can freely set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example, a notch position) for the notification unit 12 to notify according to his/her own preference or the route of the ship.

[제9 실시 형태][Ninth Embodiment]

도 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장치(7)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조작 장치(7)는 조작부(10)와 센서(11)와 통보부(12)와 설정부(16)와 해제부(17)를 구비한다.Fig. 7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device 7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device 7 includes an operating unit 10, a sensor 11, a notification unit 12, a setting unit 16, and a release unit 17.

해제부(17)는, 설정부(16)에 의하여 설정된 소정 위치를 해제한다. 조작 장치(7)는 다양한 조작자에 의하여 사용되고, 또한 다양한 항로를 항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때, 통보부(12)가 통보하기 위한 소정의 위치(예를 들어 노치 포지션)는 조작자나 항로에 따라 바뀔 수 있다. 따라서 설정부(16)에 의하여 설정된 소정 위치는, 자유로이 해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일단 설정한 소정의 위치(예를 들어 노치 포지션)를 유연하게 해제할 수 있다.The release unit 17 releases the predetermined position set by the setting unit 16 . The operating device 7 is used by various operators and is also used for navigating various sea routes. At this time,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example, a notch position) for notification by the notification unit 12 may change depending on the operator or rout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set by the setting unit 16 can be freely released. That i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flexibly cancel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example, a notch position) once set.

일 실시 형태에서는, 해제부(17)는 조작자의 해제 동작에 의하여, 설정된 소정 위치를 해제해도 된다. 이 경우 해제부(17)는, 핸들과, 조작 저항에 의하여 조작자에게 노치감을 부여하는 모터와, 노치 포지션을 해제하기 위한 누름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조작자는, 핸들이, 해제하고자 하는 소정의 위치에 있을 때, 해제용의 누름 버튼을 누른다. 이것에 의하여, 당해 원하는 위치에 설정된 노치 포지션이 해제된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작자는 자신의 선호나 배의 항로에 따라, 통보부(12)가 통보하기 위한 소정의 위치(예를 들어 노치 포지션)를 자유로이 해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lease unit 17 may release the set predetermined position by an operator's release operation. In this case, the release unit 17 may include a handle, a motor that gives the operator a notch feeling by operating resistance, and a push button for releasing the notch position. The operator presses the release push button when the handle i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o be released. In this way, the notch position set at the desired position is release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operator can freely release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example, a notch position) for the notification unit 12 to notify according to his/her own preference or the route of the ship.

[제10 실시 형태][Tenth Embodiment]

도 8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장치(8)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조작 장치(8)는 조작부(10)와 센서(11)와 통보부(12)와 설정부(16)와 이력 정보 기억부(18)를 구비한다.Fig. 8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device 8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device 8 includes an operating unit 10, a sensor 11, a reporting unit 12, a setting unit 16, and a history information storage unit 18.

이력 정보 기억부(18)는, 조작자에 의하여 설정된 조작 위치의 이력 정보를 기억한다. 설정부(16)는 이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위치를 설정한다.The history information storage unit 18 stores history information of an operation position set by an operator. The setting unit 16 sets a predetermined position based on this history information.

본 명세서에 있어서 「조작 위치의 이력 정보」란, 항해 중인 조작자의 조작에 의한, 조작부(10)의 조작 위치의 시간적 변화에 관한 정보를 말한다. 예를 들어 이력 정보는, 조작부(10)가 정지해 있을 때의 조작 위치, 조작부(10)의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 조작 위치마다의 정지 횟수, 조작 위치의 전환 속도 등이어도 된다. 이력 정보는 또한, 배가 출항지를 이안하고 나서의 일정 시간대, 외양을 항행 중인 시간대, 입항지에 착안하기까지의 일정 시간대와 같이, 항행의 시간대별로 분류하여 기억되어도 된다. 또한 이력 정보는 1회의 항해에 관한 것이어도 되고, 며칠이나 몇 개월과 같은 복수 횟수의 항해를 집적한 것이어도 된다.In this specification, "history information of an operation position" refers to information about temporal changes in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operation unit 10 due to the operation of an operator on a voyage. For example, the history information may include an operation position when the operation unit 10 is stopped, a time period during which the operation unit 10 is stopped, the number of stops for each operation position, a switching speed of the operation position, and the like. The history information may also be classifi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time period of the voyage, such as a certain time period after the ship leaves the port of departure, a time period during which it is navigating the open sea, and a certain time period until it arrives at the port of arrival. Further, the history information may be about one voyage or may be an accumulation of plural number of voyages such as days or months.

설정부(16)는 이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위치를 자동적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이력 정보 기억부(18)는, 조작부(10)가 정지한 횟수를 조작 위치마다 기억하고, 설정부(16)는, 정지 횟수가 일정값보다 많았던 위치를 소정 위치로 설정해도 된다. 이 경우, 조작자가 더 빈번히 설정한 조작 위치가 소정의 위치로서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혹은 이력 정보 기억부(18)는 조작 위치의 전환 속도를 기억하고, 설정부(16)는, 당해 위치로의 전환 속도가 일정값보다 빨랐던 위치를 소정 위치로 설정해도 된다. 이 경우, 조작자가 더 신속히 설정한 조작 위치가 소정의 위치로서 자동적으로 설정된다.The setting unit 16 automatically sets a predetermined position based on this history information. For example, the history information storage unit 18 may store the number of times the operation unit 10 has been stopped for each operation position, and the setting unit 16 may set a position where the number of stops is greater than a certain value as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is case, the manipulation position set more frequently by the operator is automatically set as the predetermined position. Alternatively, the history information storage unit 18 may store the switching speed of the operating position, and the setting unit 16 may set a position where the switching speed to the position was fas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s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is case, the manipulation position set more quickly by the operator is automatically set as the predetermined position.

이력 정보 기억부(18)는 이력 정보를 항행의 시간대별로 분류하여 기억해도 된다. 이때 설정부(16)는 항행의 시간대별로 다른 기준으로 소정 위치를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이안 시나 접안 시에는 배는 더 저속으로 항행한다. 반대로 외양을 항행 중에는 배는 더 고속으로 항행한다. 이 점에서 설정부(16)는, 이안 시 및 접안 시에는 저속측에서 더 세세하게 소정 위치를 설정하고, 외양을 항행 중에는 고속측에서 더 세세하게 소정 위치를 설정하면 유리하다. 이것에 의하여 더 실용적인 소정 위치의 설정이 가능해진다.The history information storage unit 18 may classify and store the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time period of navigation. At this time, the setting unit 16 may set the predetermined position based on different standards for each time period of the navigation. For example, the ship travels at a slower speed when waning or berthing. Conversely, while sailing in the open sea, the ship travels at a higher speed. In this regard, it is advantageous for the setting unit 16 to set the predetermined position more precisely on the low-speed side during unloading and berthing, and to set the predetermined position more precisely on the high-speed side during sea naviga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set a more practical predetermined position.

일 실시 형태에서는, 이력 정보는, 조작부(10)가 정지해 있을 때의 조작 위치, 및 이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을 포함한다. 그리고 설정부(16)는,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이 소정의 시간보다 길 때 당해 조작 위치를 소정 위치로 설정한다.In one embodiment, the history information includes an operation position when the operation unit 10 is stopped, and a time period during which this stop is continued. And the setting part 16 sets the said operation position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hen the time for which the stop continues is longer than predetermined time.

조작부(10)의 조작 위치는, 조작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일수록, 혹은 사용할 필요가 있는 위치일수록, 당해 위치에 정지해 있는 시간이 길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이 소정의 시간보다 긴 조작 위치를 소정 위치로 설정함으로써, 유저에게 있어서 사용하기 쉽고 유용한 것으로 된다. 즉,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더 실용적이고 사용 편의성이 좋은 조작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As for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operation unit 10, it is thought that the time at which the operation unit 10 is stopped at the position becomes longer as the position is desired to be used by the operator or a position that needs to be used. Therefore, by setting the operating position for which the time during which the stop is continued is longer than the predetermined time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it becomes easy to use and useful for the user. That i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more practical and usable operating device can be realized.

[제11 실시 형태][Eleventh Embodiment]

도 9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장치(9)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조작 장치(9)는 조작부(10)와 센서(11)와 통보부(12)와 설정부(16)와 해제부(17)와 이력 정보 기억부(18)를 구비한다.Fig. 9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device 9 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device 9 includes an operating unit 10, a sensor 11, a notification unit 12, a setting unit 16, a release unit 17, and a history information storage unit 18.

이력 정보 기억부(18)는, 조작자에 의하여 설정된 조작 위치의 이력 정보를 기억한다. 해제부(17)는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부(16)가 설정한 소정 위치를 자동적으로 해제한다.The history information storage unit 18 stores history information of an operation position set by an operator. The releasing unit 17 automatically cancels the predetermined position set by the setting unit 16 based on the history information.

예를 들어 이력 정보 기억부(18)는, 조작부(10)가 정지한 횟수를 조작 위치마다 기억하고, 해제부(17)는, 정지 횟수가 일정값보다 적어진 소정 위치를 해제해도 된다. 이 경우, 조작자가 그다지 빈번히 사용하지 않게 된 조작 위치가 소정 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해제된다. 혹은 이력 정보 기억부(18)는 조작 위치의 전환 속도를 기억하고, 해제부(17)는, 당해 위치로의 전환 속도가 일정값보다 느려진 소정 위치를 해제해도 된다. 이 경우, 조작자가 그다지 신속한 설정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 조작 위치가 소정 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해제된다.For example, the history information storage unit 18 may store the number of times the operation unit 10 is stopped for each operation position, and the release unit 17 may cancel a predetermined position where the number of stops is less than a fixed value. In this case, an operating position that the operator has not used very often is automatically released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Alternatively, the history information storage unit 18 may store the switching speed of the operating position, and the release unit 17 may release a predetermined position at which the switching speed to the position is slower than a fixed value. In this case, the operating position, which does not require a very quick setting by the operator, is automatically released from the predetermined position.

일 실시 형태에서는, 이력 정보는, 조작부(10)가 정지해 있을 때의 조작 위치, 및 이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을 포함한다. 그리고 해제부(17)는, 설정된 소정 위치에서 조작부(10)의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이 소정의 시간보다 짧을 때 당해 소정 위치를 해제한다.In one embodiment, the history information includes an operation position when the operation unit 10 is stopped, and a time period during which this stop is continued. And the release part 17 releases the said predetermined position when the time for which the stop of the operation part 10 continues at the set predetermined position is shorter than a predetermined time.

조작부(10)의 조작 위치는, 조작자가 사용하고자 하지 않는 위치일수록, 혹은 사용할 필요가 없는 위치일수록, 당해 위치에 정지해 있는 시간이 짧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이 소정의 시간보다 짧아진 조작 위치를 소정 위치로부터 해제함으로써, 불필요한 소정 위치가 제거되어 유저에게 있어서의 번거로움이 줄어든다. 즉,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더 실용적이고 사용 편의성이 좋은 조작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As for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operation unit 10, it is thought that the time at which the operation unit 10 is stopped at the position becomes shorter as the operator does not intend to use the position or the position where it is not necessary to be used. Therefore, by releasing the operation position where the time for which the stop is continued is shorter than the predetermined time from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e unnecessary predetermined position is removed and the user's trouble is reduced. That i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more practical and usable operating device can be realized.

[제12 실시 형태][Twelfth Embodiment]

도 10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장치(92)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조작 장치(92)는 조작부(10)와 센서(11)와 통보부(12)와 설정부(16)와 표시부(19)를 구비한다.Fig. 10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device 92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device 92 includes an operating unit 10, a sensor 11, a reporting unit 12, a setting unit 16, and a display unit 19.

표시부(19)는, 설정부(16)가 설정한 소정 위치를 표시한다. 표시부(19)는 임의의 수단으로 실현해도 된다. 예를 들어 표시부(19)는, 조작부(10)의 조작 위치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LED에 의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혹은 표시부(19)는 액정 등의 디스플레이에 의하여 구성되어도 된다.The display unit 19 displays the predetermined position set by the setting unit 16. The display unit 19 may be realized by any means. For example, the display part 19 may be comprised by the some LED arrange|positioned along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operation part 10. Alternatively, the display unit 19 may be configured with a display such as a liquid crystal.

일반적으로 조작자는, 현재 몇 개의 소정 위치가 어디에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 경우, LED나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한 표시부(19)로, 설정된 소정 위치를 표시시킴으로써, 현재 설정되어 있는 소정 위치를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즉,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저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소정 위치를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In general, the operator wants to ascertain how many predetermined positions are currently set. In this case, the currently set predetermined position can be easily recognized by displaying the set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display unit 19 constituted by LEDs, displays, or the like. That i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user can recognize the currently set predetermined position in real time.

이상, 본 발명을 몇몇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하였다. 이들 실시 형태는 예시이며,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본 발명의 특허 청구의 범위 내에서 가능한 것, 또한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도 본 발명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기술 및 도면은 한정적이 아니라 예증적으로 취급되어야만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several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examples, and it is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also with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escription and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treat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변형예)(modified example)

이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변형예의 설명에서는,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요소,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인다. 실시 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을 적당히 생략하고, 실시 형태와 상이한 구성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한다.Modifications will be described below. In the description of the modified example, the same number is attached to the same or equivalent components and members as those of the embodiment.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embodiment will be appropriately omitted, and a description will focus on a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변형예 1][Modification 1]

실제의 선박 운용에서는, 배가 전진 중에 핸들이 ASTERN 위치의 FULL 위치에 들어가면, 엔진에 과대한 부하가 걸려서 엔진이 파손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ASTERN 위치의 FULL 위치는 비상 시에만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통상 시에는 스토퍼 등으로 이 위치를 차단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모의할 목적으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ASTERN 위치의 FULL 위치에 도달할 때의 조작 저항을 극단적으로 강한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더 안전한 조작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In actual ship operation, when the handle enters the FULL position of the ASTERN position while the ship is advancing, there is a risk of damaging the engine due to an excessive load on the engine.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full position of the ASTERN position is used only in case of emergency, and in normal cases, this position may be blocked with a stopper. For the purpose of simulating this, in the third embodiment, the operation resistance when reaching the FULL position of the ASTERN position may be extremely strong. According to this modified example, a safer operating device can be realized.

[변형예 2][Modification 2]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보부(12)는, 조작부(10)가 노치 포지션에 소정의 거리 접근한 때, 조작부(10)가 조작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힘이 생기도록 모터(13)를 구동 제어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조작자는, 조작부(10)가 노치 포지션으로 끌려들어가는 것 같은 감각을 얻는다. 그리고 통보부(12)는, 조작부(10)가 노치 포지션에 도달함과 동시에, 조작부(10)가 조작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이 생기도록 모터(13)를 구동 제어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조작자는 노치감을 얻는다. 또한 통보부(12)는, 조작부(10)가 노치 포지션을 통과한 후에는 모터를 오프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조작자는 조작부(10)를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메커니컬한 기구에 가까운 리얼한 조작감을 얻을 수 있다.In the fourth embodiment, the notification unit 12 operates the motor 13 so that a force is gener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on unit 10 was operated when the operation unit 10 approaches the notch posi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rive control. By this, the operator gets a feeling that the operation unit 10 is pulled into the notch position. And the notification unit 12 may drive and control the motor 13 so that a force is genera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on unit 10 was operated at the same time that the operation unit 10 reaches the notch position. By this, the operator gets a notch feeling. In addition, the notification unit 12 may turn off the motor after the operation unit 10 passes the notch position. As a result, the operator can move the control unit 10 freely. According to this modified example, a realistic operation feeling close to a mechanical mechanism can be obtained.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변형예의 임의의 조합도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 유용하다. 조합에 의하여 생기는 새로운 실시 형태는, 조합되는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 각각의 효과를 겸비한다.Any combination of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odified examples is also useful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w embodiment produced by the combination has both the effects of each combined embodiment and each modified example.

1: 조작 장치
2: 조작 장치
3: 조작 장치
4: 조작 장치
5: 선박용 조종 장치
10: 조작부
11: 센서
12: 통보부
13: 모터
13a: 제1 모터
13b: 제2 모터
13c: 제3 모터
14a: 제1 핸들
14b: 제2 핸들
14c: 제3 핸들
15: 조작부
16: 설정부
17: 해제부
18: 이력 정보 기억부
19: 표시부
1: operating device
2: operating device
3: operating device
4: operating device
5: Marine steering gear
10: control panel
11: sensor
12: notification department
13: motor
13a: first motor
13b: second motor
13c: third motor
14a: first handle
14b: second handle
14c: third handle
15: control panel
16: setting unit
17: release part
18: history information storage unit
19: display part

Claims (16)

조작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조작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조작부가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상기 센서가 검출하면, 역각, 청각 및 후각 중 적어도 하나를 자극하여 상기 조작자에게 통보하는 통보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보부는, 상기 조작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조작부가 복수의 소정 위치 중 하나에 도달한 것을 상기 센서가 검출하면, 상기 복수의 소정 위치마다 다른 크기로 상기 조작부의 조작 저항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조작자에게 통보하고,
상기 통보부는, 추진기의 출력이 강할수록, 조작자가 손에 느끼는 조작 저항을 강하게 하여 조작자에게 통지하는, 조작 장치.
A control unit operated by an operator;
A sensor for detecting an operation position of the operation unit;
When the sensor detects that the control unit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operator's operation, a notification unit that notifies the operator by stimulating at least one of force, hearing, and smell
equipped,
When the sensor detects that the operation unit has reached one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positions by the operator's operation, the notification unit notifies the operator by increasing the operation resistance of the operation unit by a different siz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redetermined positions. do,
The oper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notification unit notifies the operator of an operation resistance felt by the operator in the hand as the output of the thruster is stron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위치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구비하는, 조작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operating device comprising a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predetermined posi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조작자의 설정 동작에 의하여 상기 소정 위치를 설정하는, 조작 장치.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etting unit sets the predetermined position by a setting operation of the opera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에 의하여 설정된 상기 조작 위치의 이력 정보를 기억하는 이력 정보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설정부는, 상기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위치를 설정하는, 조작 장치.
According to claim 2,
a history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history information of the operation position set by the operator;
The operating device, wherein the setting unit sets the predetermined position based on the history inform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정보는, 상기 조작부가 정지해 있을 때의 상기 조작 위치, 및 상기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부는, 상기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이 소정의 시간보다 길 때 당해 조작 위치를 상기 소정 위치로 설정하는, 조작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history information includes the operation position when the operation unit is stopped, and a time period during which the stop is continued,
The operating device, wherein the setting unit sets the operation position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when a time period during which the stop is continued is longer tha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제4항에 있어서,
설정된 상기 소정 위치를 해제하는 해제부를 구비하고,
상기 해제부는 상기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위치를 해제하는, 조작 장치.
According to claim 4,
A release unit for releasing the set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release unit releases the predetermined position based on the history inform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는, 설정된 상기 소정 위치에서 상기 조작부의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이 소정의 시간보다 짧을 때 당해 소정 위치를 해제하는, 조작 장치.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release unit releases the predetermined position when a time for which the operation unit continues to stop at the set predetermined position is shorter than a predetermined time.
조작자에 의하여 조작되어, 추진 기관에 대한 출력 지시가 입력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조작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조작부가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상기 센서가 검출하면, 역각, 청각 및 후각 중 적어도 하나를 자극하여 상기 조작자에게 통보하는 통보부와,
상기 소정 위치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설정된 상기 소정 위치를 해제하는 해제부와,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 위치와 상기 조작부가 조작된 방향을 검출하고,
상기 통보부는, 상기 센서가 상기 조작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조작부가 상기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면, 상기 조작부가 조작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토크가 생기도록 상기 모터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상기 조작자에게 통보하고,
상기 소정 위치는 노치 포지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종 장치.
a control unit that is operated by an operator and inputs an output instruction to the propulsion engine;
A sensor for detecting an operation position of the operation unit;
a notification unit that notifies the operator by stimulating at least one of force, hearing, and smell when the sensor detects that the control unit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operator's operation;
a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predetermined position;
a release unit for releasing the set predetermined position;
motor
equipped,
The sensor detects an operating position of the operating unit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ng unit is operated;
When the sensor detects that the operation unit has reached the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the notification unit notifies the operator by driving and controlling the motor so that torque is gener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on unit was operated. do,
The predetermined position is a ship stee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notch posi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는, 상기 조작자의 해제 동작에 의하여 설정된 상기 소정 위치를 해제하는, 선박용 조종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release unit releases the predetermined position set by the operator's release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 위치와, 상기 조작부가 조작된 방향을 검출하고,
상기 통보부는, 상기 센서가, 상기 조작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조작부가 상기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면, 상기 조작부가 조작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토크가 생기도록 상기 모터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상기 조작자에게 통보하는, 조작 장치.
According to claim 1,
Equipped with a motor,
The sensor detects an operating position of the operating unit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ng unit is operated;
The notification unit, when the sensor detects that the operation unit has reached the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drives and controls the motor so that torque is gener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on unit was operated, thereby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operator. Informing, operating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조작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마스터 핸들과 모터로 마스터 핸들에 동기되는 슬레이브 핸들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복수의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통보부는, 상기 조작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마스터 핸들이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상기 센서가 검출하면, 역각, 청각 및 후각 중 적어도 하나를 자극하여 상기 조작자에게 통보하는, 선박용 조종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opera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handles switchable between a master handle operated by an operator and a slave handle synchronized with the master handle by a motor,
Wherein the notification unit notifies the operator by stimulating at least one of force, hearing, and smell when the sensor detects that the master handle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by manipulation of the operato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마스터 핸들의 조작 위치와, 상기 마스터 핸들이 조작된 방향을 검출하고,
상기 통보부는, 상기 조작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마스터 핸들이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상기 센서가 검출하면, 상기 조작부가 조작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토크가 생기도록 상기 모터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상기 조작자에게 통보하는, 선박용 조종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sensor detects an operating position of the master handle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master handle is operated;
When the sensor detects that the master handle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due to the manipulator's manipulation, the notification unit notifies the manipulator by driving and controlling the motor so that torque is gener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nipulator was operated. , a steering device for ships.
제2항에 있어서,
설정된 상기 소정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조작 장치.
According to claim 2,
An operating device comprising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set predetermined position.
조작자에 의하여 조작되어, 추진 기관에 대한 출력 지시가 입력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조작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조작부가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상기 센서가 검출하면, 역각, 청각 및 후각 중 적어도 하나를 자극하여 상기 조작자에게 통보하는 통보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보부는, 상기 조작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조작부가 복수의 소정 위치 중 하나에 도달한 것을 상기 센서가 검출하면, 상기 복수의 소정 위치마다 다른 크기로 상기 조작부의 조작 저항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조작자에게 통보하고,
상기 통보부는, 추진기의 출력이 강할수록, 조작자가 손에 느끼는 조작 저항을 강하게 하여 조작자에게 통지하는, 선박용 조종 장치.
a control unit that is operated by an operator and inputs an output instruction to the propulsion engine;
A sensor for detecting an operation position of the operation unit;
When the sensor detects that the control unit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operator's operation, a notification unit that notifies the operator by stimulating at least one of force, hearing, and smell
equipped,
When the sensor detects that the operation unit has reached one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positions by the operator's operation, the notification unit notifies the operator by increasing the operation resistance of the operation unit by a different siz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redetermined positions. do,
The notification unit, as the output of the propeller is stronger, the operation resistance felt by the operator in the hand becomes stronger and notifies the opera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94927A 2019-07-31 2020-07-30 Control apparatus and operating apparatus for ship KR10251090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41426 2019-07-31
JP2019141426 2019-07-31
JPJP-P-2020-123245 2020-07-17
JP2020123245A JP7460472B2 (en) 2019-07-31 2020-07-17 Ship contro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694A KR20210015694A (en) 2021-02-10
KR102510904B1 true KR102510904B1 (en) 2023-03-16

Family

ID=7448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927A KR102510904B1 (en) 2019-07-31 2020-07-30 Control apparatus and operating apparatus for ship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10904B1 (en)
CN (1) CN112298511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8782A (en) * 2003-02-24 2004-09-16 Alps Electric Co Ltd Haptic force imparting type input device
JP2009142905A (en) * 2007-12-11 2009-07-02 Yamatake Corp Teaching device
WO2015063894A1 (en) * 2013-10-30 2015-05-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Pedal reactive force contro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3100B2 (en) * 1993-12-28 1997-10-15 栄通信工業株式会社 Joystick controller
JP3962236B2 (en) * 2001-10-25 2007-08-22 ヤマハマリン株式会社 Ship control system, ship control input system, ship control device
JP2013086668A (en) * 2011-10-19 2013-05-13 Yamaha Motor Co Ltd Watercraft
WO2013150662A1 (en) * 2012-04-02 2013-10-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Driving assistance device
CN103754348B (en) * 2014-01-10 2016-06-01 上海瑞华(集团)有限公司 The hand operation control device of a kind of pure electronic ship
JP6427694B1 (en) * 2017-03-31 2018-11-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Navigation assistance system for ships
JP2018203216A (en) 2017-06-09 2018-12-27 スズキ株式会社 Remote control system for ship propuls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8782A (en) * 2003-02-24 2004-09-16 Alps Electric Co Ltd Haptic force imparting type input device
JP2009142905A (en) * 2007-12-11 2009-07-02 Yamatake Corp Teaching device
WO2015063894A1 (en) * 2013-10-30 2015-05-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Pedal reactive force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694A (en) 2021-02-10
CN112298511A (en)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9794B2 (en) Maneuvering equipment
US9067664B2 (en) Automatic thruster control of a marine vessel during sport fishing mode
US5031561A (en) Steering and manoeuvering system for water-born vessels
EP3770061B1 (en) A steering system for a marine vessel
JP5203145B2 (en) Marine propulsion system
JP2016074250A (en) Maneuvering system
US8684776B2 (en) Outboard motor
JP2008174173A (en) Thrust control method of twin-propeller twin-rudder vessel having bow thruster and apparatus
JP2022179145A (en) Ship propulsion control system and ship
KR102510904B1 (en) Control apparatus and operating apparatus for ship
JP7460472B2 (en) Ship control device
JP6830253B2 (en) Emergency response processing equipment for single-axis, two-rudder vessels
EP4089004A3 (en) Marine vessel maneuvering system
JP5972201B2 (en) Maneuvering system
JP5147461B2 (en) Stop device for small vessels
JP2021146797A (en) Control system of small vessel
JP2016159805A (en) Ship
JP2510391B2 (en) Ship handling control device for two 2-axle 2-rudder vessels
JP3615985B2 (en) Maneuvering equipment
CN104881024A (en) Ship manual and remote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JP7171684B2 (en) Ship steering systems and vessels
EP4201804A1 (en) Steering mechanism for marine vessel, and marine vessel
JP3260265B2 (en) Emergency ship maneuvering method
KR101482659B1 (en) Joystick remote controller for ship and ship sailing control method thereof
JP2848761B2 (en) Main engine start interlock method for ship with two high lift rud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