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512B1 -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 - Google Patents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512B1
KR102510512B1 KR1020210012384A KR20210012384A KR102510512B1 KR 102510512 B1 KR102510512 B1 KR 102510512B1 KR 1020210012384 A KR1020210012384 A KR 1020210012384A KR 20210012384 A KR20210012384 A KR 20210012384A KR 102510512 B1 KR102510512 B1 KR 102510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oreign matter
fitting
matter filtering
filte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9107A (ko
Inventor
김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엠
Priority to KR1020210012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51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9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5Tracheostomy tubes; Devices for performing a tracheostomy; Accessories therefor, e.g. masks, filters
    • A61M16/0468Tracheostomy tubes; Devices for performing a tracheostomy; Accessories therefor, e.g. masks, filters with valves at the proximal end limiting exhalation, e.g. during speaking or coug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5Tracheostomy tubes; Devices for performing a tracheostomy; Accessories therefor, e.g. masks, filters
    • A61M16/047Masks, filters, surgical pads, devices for absorbing secre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61M2205/7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liquophilic, hydrophil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는: 양측이 개구된 밸브 하우징부; 밸브 하우징부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복수의 연통홀부가 형성되는 크로스부재; 및 크로스부재에 의해 지지되도록 밸브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물질 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VOICE REHABILITATION VALVE FOR TRACHEOSTOMY PATIENT}
본 발명은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관 절개 환자의 스피킹밸브 사용시 외부 오염물질로부터 환자를 보호할 수 있는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관절개술은 경부의 앞 부분을 절개하여 기관에 구멍을 만들고 그곳에 기관절개술 튜브를 삽입하여 기관강과 외기를 연결한다. 기관절개술은 상부 기도, 특히 인두 후두의 협착 또는 폐색 때문에 호흡곤란이 발생할 때에 시술한다. 최근에는 기관지 내의 분비물이 객출되지 않는 경우나, 장기간의 인공호흡이 필요한 경우에도 기관절개술을 시술한다. 기관절개술을 행한 후 절개된 부분에 기관절개술 튜브를 삽입하여 기도를 유지하게 된다.
기관절개술 튜브는 언어치료실이나 병동에서는 거즈, 반창고, 혈액 샘플 뚜껑 및 주사 바늘 보호대 등 다양한 방법으로 폐색구의 기능을 대신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환자에게 발성(vocalization)을 유도하는데 있어서 체계적이지 못한 방법인 것뿐만 아니라 국제의료기관평가위원회(JCI: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의 인증 과정에서 요구하는 환자 안전성과 감염관리 문제를 유발할 수 있어 개선이 시급한 부분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19208호(2012. 10. 30 공개, 발명의 명칭: 기관절개술 튜브용 폐색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관 절개 환자의 스피킹밸브 사용시 외부 오염물질로부터 환자를 보호할 수 있는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는: 양측이 개구된 밸브 하우징부; 상기 밸브 하우징부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복수의 연통홀부가 형성되는 크로스부재; 및 상기 크로스부재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물질 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 하우징부는 상기 이물질 여과부가 배치되고, 스피킹밸브가 결합되는 피팅부; 상기 스피킹밸브의 외측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피팅부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홀더부; 및 상기 피팅부에서 연장되고, 기관절개 튜브가 끼워지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팅부는 상기 스피킹밸브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홀더부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피팅홈부를 형성하는 피팅 바디부; 상기 피팅 바디부의 외측면에 환형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구속홈부; 및 상기 피팅 바디부의 단부에 환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속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로스부재는 상기 밸브 하우징부의 내부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크로스 리브; 복수의 상기 크로스 리브의 중심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물질 여과부가 끼워지도록 축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결합축부; 및 상기 이물질 여과부를 구속하도록 상기 결합축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구속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여과부는 상기 피팅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친수성 멤브레인필터; 및 상기 친수성 멤브레인필터에 적층되는 열수분교환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수분교환폼은 배기 공기에서 열과 수분을 흡수하여 보유하고, 보유된 열과 수분을 흡기 공기에 공급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크로스 리브는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여과부는 외측의 두께가 중심부 측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여과부의 둘레부에는 하나 이상의 밀봉홈부가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여과부의 둘레부를 구속하도록 상기 피팅부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구속링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여과부는 상기 이물질 여과부의 내측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물질 여과부가 크로스부재에 의해 지지되도록 밸브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 세균, 바이러스 등의 외부 이물질을 여과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호흡을 들이쉴 때에 외부 이물질이 기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환자의 안전성 및 감염 위험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국제의료기관평가위원회의 인증 과정에서 요구되는 환자 안전성과 감염관리에 관한 요구 사항을 담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친수성 멤브레인필터와 열수분교환폼이 외부 공기에 혼합된 이물질이 기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기관 내부의 습기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가 외부의 이물질에 의한 안전성을 확보하고 감염 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기관 내부가 건조해지거나 기관 내부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의 밸브 하우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의 밸브 하우징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의 제1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의 제1변형예에서 이물질 여과부의 열수분교환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의 제2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의 제2변형예에서 이물질 여과부의 열수분교환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의 제3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의 제4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의 밸브 하우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의 밸브 하우징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120)는 밸브 하우징부(130), 크로스부재(140) 및 이물질 여과부(150)를 포함한다.
기관절개 튜브장치(100)는 스피킹밸브(110), 재활밸브(120) 및 기관절개 튜브(160)를 포함한다.
밸브 하우징부(130)의 일측에는 스피킹밸브(110)가 결합된다. 스피킹밸브(110)는 언어치료실이나 병동에서 환자의 발성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된다. 스피킹밸브(110)는 내부에 폐쇄부재(미도시)가 탄성에 의해 밸브 통로(미도시)를 개폐시키는 구조로 형성된다. 스피킹밸브(110)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흡배기부(112)가 형성된다. 따라서, 호흡을 들이쉴 때에는 폐쇄부재가 밸브 통로를 개방시키고, 호흡을 내쉴 때에는 폐쇄부재가 밸브 통로를 폐쇄시킴에 따라 발성 훈련을 유도한다. 이러한 스피킹밸브(110)는 호흡을 할 때에 밸브 통로를 개폐시키는 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밸브 하우징부(130)의 타측에는 기관절개 튜브(160)가 결합된다. 기관절개 튜브(160)는 경부의 앞 부분을 절개하여 기관에 구멍을 만들고 그곳에 기관절개 튜브(160)를 삽입하여 기관강과 외기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기관절개 튜브(160)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밸브 하우징부(130)는 양측이 개구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밸브 하우징부(13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밸브 하우징부(130)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스피킹밸브(110)의 밸브 통로와 기관절개 튜브(160)의 통로를 연통시킨다.
크로스부재(140)는 밸브 하우징부(130)의 내부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복수의 연통홀부(142)가 형성된다. 스피킹밸브(11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밸브 하우징부(130)의 연통홀부(142)를 통해 기관절개 튜브(160)에 유입된다.
이물질 여과부(150)는 크로스부재(140)에 의해 지지되도록 밸브 하우징부(13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물질 여과부(150)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 세균, 바이러스 등의 외부 이물질을 여과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호흡을 들이쉴 때에 외부 이물질이 기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환자의 안전성 및 감염 위험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국제의료기관평가위원회(JCI: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의 인증 과정에서 요구되는 환자 안전성과 감염관리에 관한 요구 사항을 담보할 수 있다.
밸브 하우징은 피팅부(131), 홀더부(135) 및 결합부(137)를 포함한다.
피팅부(131)는 이물질 여과부(150)가 배치되고, 스피킹밸브(110)가 결합된다. 스피킹밸브(110)가 피팅부(131)에 압입된 후 구속되므로, 스피킹밸브(110)를 피팅부(131)에 압입하여 용이하게 결합시키고, 스피킹밸브(110)가 피팅부(13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홀더부(135)는 스피킹밸브(110)의 외측면을 가압하도록 피팅부(131)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홀더부(135)는 원형링 형태로 형성된다. 스피킹밸브(110)가 홀더부(135)와 피팅부(131)에 의해 압착된 상태로 밸브 하우징부(130)에 구속되므로, 스피킹밸브(110), 홀더부(135)와 피팅부(131) 사이의 틈새를 긴밀하게 밀봉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이물질이 스피킹밸브(110), 홀더부(135) 및 피팅부(131) 사이의 틈새를 통해 기관절개 튜브장치(100)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부(137)는 피팅부(131)에서 연장되고, 기관절개 튜브(160)가 끼워진다. 결합부(137)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결합부(137)는 기관절개 튜브(160)를 압착한 상태로 결합되므로, 결합부(137)와 기관절개 튜브(16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피팅부(131)는 피팅 바디부(132), 구속홈부(133) 및 구속돌기부(134)를 포함한다.
피팅 바디부(132)는 스피킹밸브(110)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홀더부(135)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피팅홈부(132a)를 형성한다. 피팅 바디부(13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피팅홈부(132a)는 원형링 형태로 형성된다. 구속홈부(133)는 피팅 바디부(132)의 외측면에 환형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구속돌기부(134)는 피팅 바디부(132)의 단부에 환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스피킹밸브(110)의 단부가 피팅 바디부(132)에 결합되면, 구속홈부(133)와 구속돌기부(134)에 걸려 구속된다. 따라서, 피팅 바디부(132), 구속홈부(133) 및 구속돌기부(134)에 의해 스피킹밸브(1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피킹밸브(110)가 구속돌기부(134)와 구속홈부(133)에 결합되는 상태를 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므로, 스피킹밸브(110)의 조립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크로스부재(140)는 복수의 크로스 리브(141), 결합축부(143) 및 복수의 구속 리브(145)를 포함한다.
복수의 크로스 리브(141)는 밸브 하우징부(130)의 내부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크로스 리브(141) 사이에는 연통홀부(142)가 형성된다. 따라서, 크로스 리브(141) 사이의 연통홀부(142)를 통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복수의 크로스 리브(141)는 환자가 들숨을 쉴 때에 이물질 여과부(150)가 기관절개 튜브(160) 측으로 분리되어 기관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크로스 리브(141)의 개수는 밸브 하우징부(130)의 크기 및 크로스 리브(141)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결합축부(143)는 복수의 크로스 리브(141)의 중심부에 연결되고, 이물질 여과부(150)가 끼워지도록 축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결합축부(143)는 크로스 리브(141)와 수직하게 배치된다.
복수의 구속 리브(145)는 이물질 여과부(150)를 구속하도록 결합축부(143)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복수의 구속 리브(145)는 결합축부(143)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구속 리브(145)는 환자가 날숨을 쉴 때에 이물질 여과부(150)가 결합축부(143)에서 스피킹밸브(110) 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복수의 구속 리브(145)는 이물질 여과부(150)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구속 단차부(146)와, 구속 단차부(146)에서 결합축부(143)의 중심부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테이퍼부(147)를 포함한다. 구속 단차부(146)는 이물질 여과부(150)에 밀착됨에 따라 이물질 여과부(150)가 결합축부(143)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테이퍼부(147)는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이물질 여과부(150)가 테이퍼부(147)에서 미끄러지면서 결합축부(143)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여과부(150)가 결합축부(143)에 편심되게 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물질 여과부(150)는 친수성 멤브레인필터(151)(hydrophilic membrane filter)와 열수분교환폼(153)(HME: heat and moisture exchanger)을 포함한다. 친수성 멤브레인필터(151)와 열수분교환폼(153)의 중심부에는 결합축부(143)에 삽입되도록 삽입홀(미도시)이 각각 형성된다.
친수성 멤브레인필터(151)는 피팅부(13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한다. 친수성 멤브레인필터(151)는 피팅부(131)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원형 디스크 형태로 형성된다. 친수성 멤브레인필터(151)는 0.8㎛ 이상의 입자성 분진을 차단하는 직경 13mm 정도의 다공성 재질(porousness)로 형성된다. 멤브레인필터가 친수성 다공재질로 형성되므로, 공기 중에 포함되는 입자성 분진의 흡착 성능이 현저히 증대될 수 있다.
열수분교환폼(153)은 친수성 멤브레인필터(151)에 적층된다. 피팅부(131)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원형 디스크 형태로 형성된다. 열수분교환폼(153)은 환자의 사용시간 1-12시간을 기준으로 일회호흡량(Tidal volume)이 250mL에서 27.2mg/L을 유지하고, 500mL에서 31.2mg/L을 유지할 수 있다. 열수분교환폼(153)으로는 의료용 망상조직의 폴리우레탄폼(medical grade reticulated polyurethane foams)이 적용된다.
열수분교환폼(153)은 환자의 배기 공기에 포함된 수분의 열을 흡수하고, 재활밸브(120)로 유입되는 흡기 공기에 흡수된 열과 수분을 공급하여 기관 내부로 다시 회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친수성 멤브레인필터(151)와 열수분교환폼(153)은 직경방향으로 두께가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친수성 멤브레인필터(151)와 열수분교환폼(153)은 외부 공기에 혼합된 이물질이 기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기관 내부의 습기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환자가 외부의 이물질에 의한 안전성을 확보하고 감염 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기관 내부가 건조해지거나 기관 내부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의 제1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의 제1변형예에서 이물질 여과부의 열수분교환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크로스 리브(141)는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물질 여과부(150)는 외측의 두께가 중심부 측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이때, 크로스 리브(141)이 상면에는 경사부(141a)가 형성되고, 이물질 여과부(150)의 열수분교환폼(153)의 하면에는 경사면부(153a)가 형성된다. 이물질 여과부(150)의 외측 두께가 중심부 측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므로, 이물질 여과부(150)의 둘레부와 피팅 바디부(132)의 내측면의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 여과부(150)의 둘레부와 피팅 바디부(132)의 내측면 사이의 틈새가 긴밀하게 밀봉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여과부(150)의 둘레부가 두께 증가됨에 따라 강성이 증대되므로, 환자가 들숨과 날숨을 쉴 때에 이물질 여과부(150)의 둘레부가 축방향으로 유격 또는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이물질 여과부(150)의 둘레부 측으로 틈새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이물질 여과부(150)의 여과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의 제2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의 제2변형예에서 이물질 여과부의 열수분교환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이물질 여과부(150)의 둘레부에는 하나 이상의 밀봉홈부(154)가 환형으로 형성된다. 밀봉홈부(154)는 외측이 개구되는 환형홈 형태로 형성된다. 밀봉홈부(154)의 폭은 서로 다르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물질 여과부(150)는 직경방향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여과부(150)는 둘레부의 두께가 중심부 측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밀봉홈부(154)가 이물질 여과부(150)의 둘레부에 형성되므로, 이물질 여과부(150)의 둘레부와 피팅 바디부(132)의 내측면 사이에 밀봉공간이 형성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의 제3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물질 여과부(150)의 둘레부를 구속하도록 피팅부(131)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구속링부(155)가 설치된다. 구속링부(155)는 일부분이 절개된 스냅링(snap ring)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피팅 바디부(132)의 내측면에는 스냅링의 외측이 끼워지도록 홈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스냅링을 내측으로 가압하면, 스냅링의 직경이 축소됨에 따라 피팅 바디부(132)의 내측면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스냅링에 가해진 외력이 해제되면, 스냅링이 직경방향으로 팽창됨에 따라 피팅 바디부(132)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이물질 여과부(150)가 구속 리브(145)와 구속링부(155)에 의해 위치 고정되므로, 이물질 여과부(150)가 피팅 바디부(13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속링부(155)가 이물질 여과부(150)의 둘레부를 구속하므로, 환자가 들숨과 날숨을 쉴 때에 이물질 여과부(150)의 둘레부가 축방향으로 유격 또는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이물질 여과부(150)의 둘레부 측으로 틈새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이물질 여과부(150)의 여과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의 제4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물질 여과부(150)는 이물질 여과부(150)의 내측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보강부재(157)를 더 포함한다. 복수의 보강부재(157)는 금속재질이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보강부재(157)가 이물질 여과부(150)의 내측에 설치되어 이물질 여과부(150)의 강성을 보강하므로, 환자가 들숨과 날숨을 쉴 때에 이물질 여과부(15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이물질 여과부(150)의 둘레부 측으로 틈새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이물질 여과부(150)의 여과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기관절개 튜브장치 110: 스피킹밸브
112: 흡배기부 120: 재활밸브
130: 밸브 하우징부 131: 피팅부
132: 피팅 바디부 132a: 피팅홈부
133: 구속홈부 134: 구속돌기부
135: 홀더부 137: 결합부
140: 크로스부재 141: 크로스 리브
142: 연통홀부 143: 결합축부
145: 구속 리브 146: 구속 단차부
147: 테이퍼부 150: 이물질 여과부
151: 친수성 멤브레인필터 153: 열수분교환폼
154: 밀봉홈부 155: 구속링부
157: 보강부재 160: 기관절개 튜브

Claims (10)

  1. 양측이 개구된 밸브 하우징부;
    상기 밸브 하우징부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복수의 연통홀부가 형성되는 크로스부재; 및
    상기 크로스부재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물질 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하우징부는,
    상기 이물질 여과부가 배치되고, 스피킹밸브가 압입된 후 구속되는 피팅부;
    상기 스피킹밸브의 외측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피팅부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홀더부; 및
    상기 피팅부에서 연장되고, 기관절개 튜브가 끼워지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킹밸브는 상기 홀더부와 피팅부에 의해 압착된 상태로 상기 밸브 하우징부에 구속되고,
    상기 크로스부재는,
    상기 밸브 하우징부의 내부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크로스 리브;
    복수의 상기 크로스 리브의 중심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물질 여과부가 끼워지도록 축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결합축부; 및
    상기 이물질 여과부를 구속하도록 상기 결합축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구속 리브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크로스 리브는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여과부는 외측의 두께가 중심부 측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부는,
    상기 스피킹밸브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홀더부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피팅홈부를 형성하는 피팅 바디부;
    상기 피팅 바디부의 외측면에 환형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구속홈부; 및
    상기 피팅 바디부의 단부에 환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속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여과부는,
    상기 피팅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친수성 멤브레인필터; 및
    상기 친수성 멤브레인필터에 적층되는 열수분교환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분교환폼은 배기 공기에서 열과 수분을 흡수하여 보유하고, 보유된 열과 수분을 흡기 공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여과부의 둘레부에는 하나 이상의 밀봉홈부가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여과부의 둘레부를 구속하도록 상기 피팅부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구속링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여과부는 상기 이물질 여과부의 내측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
KR1020210012384A 2021-01-28 2021-01-28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 KR102510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384A KR102510512B1 (ko) 2021-01-28 2021-01-28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384A KR102510512B1 (ko) 2021-01-28 2021-01-28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107A KR20220109107A (ko) 2022-08-04
KR102510512B1 true KR102510512B1 (ko) 2023-03-21

Family

ID=82836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384A KR102510512B1 (ko) 2021-01-28 2021-01-28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5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2431A1 (en) 2001-03-19 2005-04-07 Inge Blomquist Breathing-speaking valve
CN107261286A (zh) * 2017-08-17 2017-10-20 天津美迪斯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辅助发声阀
KR102012029B1 (ko) 2017-11-06 2019-08-19 정화숙 후두 전적출 환자용 기능성 인공 코 대체기구
KR102044467B1 (ko) 2018-07-27 2019-11-14 김은석 수액 세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3267B2 (en) * 2018-12-18 2021-11-16 Freudenberg Medical, Llc Adjustable tracheostoma valve and heat and moisture exchang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2431A1 (en) 2001-03-19 2005-04-07 Inge Blomquist Breathing-speaking valve
CN107261286A (zh) * 2017-08-17 2017-10-20 天津美迪斯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辅助发声阀
KR102012029B1 (ko) 2017-11-06 2019-08-19 정화숙 후두 전적출 환자용 기능성 인공 코 대체기구
KR102044467B1 (ko) 2018-07-27 2019-11-14 김은석 수액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107A (ko)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8607A (en) Tracheostomy valve
JP3553955B2 (ja) 気管フィステル装置
US5848590A (en) Tracheostoma filter with HME properties
CN103189092B (zh) 呼吸阀装置
US5048518A (en) Stoma stent system
EP2155308B1 (en) Breathing protector
AU2014336976B2 (en) Improved oxygenating apparatus
JP5571687B2 (ja) 呼吸保護装置
JP5801827B2 (ja) ブリージングプロテクター
WO2000021595A1 (en) Apparatus for treating respiratory gases including liquid trap
JP4881377B2 (ja) 医療外科器具
US7066174B1 (en) Breathing assistance apparatus
JP6999632B2 (ja) 調節可能な気管瘻孔弁、及び熱湿交換器
KR102510512B1 (ko) 기관절개 환자의 발성재활밸브
US7363925B2 (en) Gas-treatment devices
US6739339B2 (en) Self-moistening tracheostomy device
JP2023509926A (ja) 安全弁シート、呼吸管、呼吸管ユニット及び呼吸マスク
WO2014193733A2 (en) Adjustable and biased-open unidirectional speaking valve
CN112089935A (zh) 一种中医内科护理诊断检测呼吸装置
KR100378223B1 (ko) 피흡연자용 휴대형 코마개
CN215875861U (zh) 一种新型气管套管遮盖保护器
CN110769886B (zh) 热湿交换器
US20230381437A1 (en) Tracheostomy inner cannula with integrated filter
CN213158750U (zh) 一种应用于气管切开患者的过滤加湿加温发音阀
CN113423449A (zh) 呼吸保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