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458B1 - 잔상 보상부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잔상 보상부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458B1
KR102510458B1 KR1020180109169A KR20180109169A KR102510458B1 KR 102510458 B1 KR102510458 B1 KR 102510458B1 KR 1020180109169 A KR1020180109169 A KR 1020180109169A KR 20180109169 A KR20180109169 A KR 20180109169A KR 102510458 B1 KR102510458 B1 KR 102510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go
area
image
downscaling
upsc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0711A (ko
Inventor
전병기
유영욱
이준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9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458B1/ko
Priority to US16/447,226 priority patent/US10984759B2/en
Priority to CN201910857130.XA priority patent/CN110895913B/zh
Publication of KR20200030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7Use of pixel shift techniques, e.g. by mechanical shift of the physical pixels or by optical shift of the perceived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3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odifying the size of the graphic patter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3Compensation electrodes or other additional electrodes in matrix displays related to distortions or compensation signals, e.g. for modifying TFT threshold voltage in column driv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잔상 보상부는 표시부의 메인(main) 영상을 시프트(shift)하기 위해 기 설정된 글로벌 시프트 경로에 대응하는 표시부의 업스케일링(upscaling) 영역과 다운스케일링(downscaling) 영역을 결정하는 글로벌(global) 시프트부; 로고(logo) 영상 및 로고 영상을 둘러싸는 기 설정된 로고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고, 로고 영상을 시프트하기 위해 로고 주변 영역에 포함되는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과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하는 로고 시프트부; 및 업스케일링 영역, 다운스케일링 영역,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 및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조합하여 조합된 스케일링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잔상 보상부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AFTERIMAGE COMPENSATOR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잔상 보상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장치, 액정 표시(Liquid Crystal Display: LCD) 장치, 플라즈마(plasma) 표시 장치 등과 같은 표시 장치는 구동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픽셀이 열화되어 잔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고휘도로 표시되는 로고나 자막 등은 표시 화면의 특정 영역에서 오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표시되므로 특정 픽셀의 열화가 가속되어 잔상이 발생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표시 패널 상에 일정 주기로 전체 영상을 이동시켜 표시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글로벌 시프트에 추가로 로고 시프트를 수행하는 잔상 보상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잔상 보상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잔상 보상부는 시프트 경로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의 업스케일링(upscaling) 영역과 다운스케일링(downscaling) 영역을 결정하는 글로벌(global) 시프트부; 로고(logo) 영상 및 상기 로고 영상을 둘러싸는 기 설정된 로고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로고 영상을 시프트하기 위해 상기 로고 주변 영역에 포함되는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과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하는 로고 시프트부; 및 상기 업스케일링 영역, 상기 다운스케일링 영역,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 및 상기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조합하여 조합된 스케일링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로고 영상이 상기 메인 영상의 상기 시프트에 대하여 상관적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메인 영상과 상기 로고 영상은 서로 다른 주기로 시프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로고 시프트부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로고 영상 및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을 결정하는 로고 검출부; 및 상기 로고 영역 및 상기 로고 주변 영역에 포함되는 윤곽선(contour line)을 검출하고, 상기 윤곽선과 기 설정된 임계 값을 비교하여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과 상기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하는 스케일링 영역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로고 영상은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으로부터 상기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 방향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로고 주변 영역에 상기 윤곽선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스케일링 영역 결정부는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과 상기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윤곽선의 가로 합이 제1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과 상기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은 각각 상기 로고 영상의 상측 로고 주변 영역 및 하측 로고 주변 영역 중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윤곽선의 세로 합이 제2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과 상기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은 각각 상기 로고 영상의 좌측 로고 주변 영역 및 우측 로고 주변 영역 중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윤곽선의 가로 합이 제1 임계 값 이상이고 상기 윤곽선의 세로 합이 제2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스케일링 영역 결정부는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 및 상기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로고 영상은 상기 글로벌 시프트 경로에 기초하여 시프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메인 영상은 상기 업스케일링 영역으로부터 상기 다운스케일링 영역 방향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업스케일링 영역과 상기 다운스케일링 영역에 따른 스케일링 비율과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과 상기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에 따른 스케일링 비율이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과 상기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에 따른 스케일링 비율이 상기 업스케일링 영역과 상기 다운스케일링 영역에 따른 스케일링 비율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로고 영상의 시프트 경로의 시프트량 및 시프트 방향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글로벌 시프트 경로와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업스케일링 영역 및 상기 다운스케일링 영역은 각각 상기 표시부의 최외곽 픽셀 열로부터 연속된 기 설정된 픽셀 열들 및 상기 상기 표시부의 최외곽 픽셀 행으로부터 연속된 기 설정된 픽셀 행들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로고(logo) 영상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로고 영상을 둘러싸는 기 설정된 로고 주변 영역에 포함되는 윤곽선(contour line)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윤곽선과 기 설정된 임계 값을 비교하여 로고 업스케일링(upscaling) 영역과 로고 다운스케일링(downscaling)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표시부의 메인(main) 영상을 시프트하기 위해 기 설정된 글로벌 시프트 경로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의 업스케일링 영역과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업스케일링 영역, 상기 다운스케일링 영역,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 및 상기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조합하여 조합된 스케일링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스케일링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일링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로고 영상 및 상기 메인 영상 중 적어도 하나가 시프트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과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윤곽선의 가로 합이 제1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과 상기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각각 상기 로고 영상의 상측 로고 주변 영역 및 하측 로고 주변 영역 중 하나에 포함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과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윤곽선의 세로 합이 제2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과 상기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각각 상기 로고 영상의 좌측 로고 주변 영역 및 우측 로고 주변 영역 중 하나에 포함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과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윤곽선의 가로 합이 제1 임계 값 이상이고 상기 윤곽선의 세로 합이 제2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 및 상기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로고 영상은 상기 글로벌 시프트 경로에 기초하여 시프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잔상 보상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보적인 영상 스케일링 기법을 이용하여 화면 가장자리의 영상 잘림 및/또는 영상 미출력 없이 화면 전체를 시프트할 수 있다. 또한, 글로벌 시프트에 추가적으로 로고 주변 영역을 업스케일링 /다운스케일링함으로써 로고 영상의 시프트 범위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로고 영상에 의한 픽셀의 스트레스가 더 넓은 면적으로 분산되며, 화면 가장자리의 영상 잘림 및/또는 영상 미출력 없이 로고 영상에 의한 픽셀 열화 및 잔상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잔상 보상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잔상 보상부에 포함되는 글로벌 시프트부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잔상 보상부에 포함되는 로고 시프트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로고 시프트부의 동작의 일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2의 잔상 보상부의 동작의 일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타이밍 제어부(10), 표시부(20), 스캔 구동부(30), 데이터 구동부(40), 및 잔상 보상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잔상 보상부(100)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은 타이밍 제어부(10) 및/또는 데이터 구동부(40)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는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표시 장치(1)는 액정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 퀀텀닷 표시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표시부(20)는 복수의 픽셀들(P)을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20)는 복수의 스캔 라인들(SL1 내지 SLn)을 통해 스캔 구동부(30)에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을 통해 데이터 구동부(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표시부(20)는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에 각각에 연결된 m개(m은 양의 정수) 픽셀 열들 및 스캔 라인들(SL1 내지 SLn) 각각에 연결된 n개(n은 양의 정수)의 픽셀 행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입력 영상 데이터(IDATA) 또는 잔상 보상부(100) 의해 스케일링된 영상 데이터(SDATA)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0)는 실질적인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메인 영상과 정지 영상인 로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고 영상은 방송사 로고, 자막, 날짜, 시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고 영상은 고휘도(고계조)로 일정 시간 이상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스캔 구동부(30)는 복수의 스캔 라인들(SL1 내지 SLn)을 통해 표시부(20)에 스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캔 라인들(SL1 내지 SLn) 각각은 표시부(20)의 각각의 픽셀 행에 위치하는 픽셀들(P)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40)는 스캔 신호에 따라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을 통해 표시부(20)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구동부(40)는 스케일링된 영상 데이터(SDATA)에 상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를 표시부(2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들 각각은 표시부(20)의 각각의 픽셀 열에 위치하는 픽셀들(P)에 연결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0)는 복수의 제어 신호들(SCS, DCS)을 생성하여 스캔 구동부(30) 및 데이터 구동부(40)에 제공하고, 스캔 구동부(30) 및 데이터 구동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0)는 외부의 그래픽 기기와 같은 화상 소스로부터 입력 제어 신호 및 입력 영상 데이터(IDATA)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제어 신호는 메인 클럭 신호,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0)는 입력 영상 데이터(IDATA)에 기초하여 표시부(20)의 동작 조건에 맞는 영상 데이터(도 2에 DATA로 표시됨)를 생성하여 데이터 구동부(4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1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스캔 구동부(30)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SCS), 데이터 구동부(40)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DCS)를 생성하여 각각 스캔 구동부(30) 및 데이터 구동부(4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잔상 보상부(100)는 타이밍 제어부(10)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잔상 보상부(100)는 타이밍 제어부(10)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오랜 시간 동안 동일한 픽셀(P)을 통해 표시되는 로고 등의 정지 영상에 의한 잔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표시부(20) 상에서 영상이 시프트되어 표시될 수 있다.
잔상 보상부(100)는 영상 데이터(DATA) 중 일부 영역(예를 들어, 업스케일링 영역)에 대응하는 일부를 업스케일링하고, 다른 일부 영역(예를 들어, 다운스케일링 영역)에 대응하는 일부를 다운스케일링하여 로고 영상 및 메인 영상을 시프트시키는 스케일링된 영상 데이터(SDATA)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잔상 보상부(100)는 메인 영상의 시프트 방향 및 시프트량을 결정하기 위한 글로벌 시프트부, 메인 영상과 별개로 로고 영상의 시프트 방향 및 시프트량을 결정하기 위한 로고 시프트부, 및 상기 글로벌 시프트부와 로고 시프트부의 출력 값들을 조합하여 영상 데이터에 대한 스케일링을 수행하는 스케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잔상 보상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잔상 보상부(100)는 글로벌 시프트부(120), 로고 시프트부(140), 및 스케일링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잔상 보상부(100)는 표시부(20)의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업스케일링하고 다른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업스케일링한 비율과 동일한 비율로 다운스케일링하여 소정의 영역에 대한 영상 시프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종래의 잔상 보상 기술은 일정 주기로 전체 영상을 이동시켜 표시하고, 특정 픽셀에 동일한 데이터가 오랜 시간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여 특정 픽셀이 열화되는 것을 개선한다. 그러나, 전체 영상이 일정 주기로 이동되는 경우, 원본 영상의 일부분이 화면에서 잘려나가고, 이와 반대되는 표시부(20)의 가장자리에 영상이 출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화면이 왜곡되는 문제점이 있다.
글로벌 시프트부(120)는 표시부(20)의 메인 영상을 시프트하기 위해 기 설정된 시프트 경로에 대응하는 표시부(20)의 업스케일링 영역(US)과 다운스케일링 영역(DS)을 결정할 수 있다. 업스케일링 영역(US)과 다운스케일링 영역(DS)은 표시부(20)의 기 설정된 영역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스케일링 영역(US) 및 다운스케일링 영역(DS)은 표시부(20)의 가장자리(최외곽 픽셀 행 및 최외곽 픽셀 열)로부터 연속되는 소정의 픽셀 행들 및/또는 픽셀 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업스케일링 영역(US)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는 업스케일링되고, 다운스케일링 영역(DS)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는 다운스케일링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영상은 업스케일링 영역 및 다운스케일링 영역에 중첩되지 않는 영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업스케일링 영역(US)은 표시부(20) 좌측 가장자리의 복수의 픽셀 열들에 대응하고, 다운스케일링 영역(DS)은 표시부(20)의 우측 가장자리의 복수의 픽셀 열들에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영상은 업스케일링 영역(US)으로부터 다운스케일링 영역(DS) 방향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글로벌 시프트부(120)는 프레임 카운트(FRC)에 기초하여 메인 영상의 시프트 방향 및 시프트량을 변경할 수 있다. 프레임 카운트(FRC)는 영상이 표시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포함하며, 이는 영상 표시 시간에 대응할 수 있다. 영상의 시프트 방향 및 시프트량은 미리 설정 또는 저장된 시프트 경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시프트부(120)는 약 4초 간격으로 시프트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글로벌 시프트부(120)는 결정된 업스케일링 영역(US) 및 다운스케일링 영역(DS)의 정보를 스케일링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글로벌 시프트부(120)는 영상 스케일링을 통해 영상 시프트를 구현함으로써 상술한 화면 가장자리의 영상 잘림/영상 미출력 등의 화면 왜곡이 제거될 수 있다. 다만, 로고 영상이 업스케일링 영역 또는 다운스케일링 영역에 중첩하는 경우에는, 로고 영상에 대한 영상 시프트 효과가 저감될 수 있다.
따라서, 로고 영상의 스트레스를 최대한 분산하고 영상 시프트를 극대화하기 위해 로고 시프트부(140)가 추가될 수 있다.
로고 시프트부(140)는 로고 영상 및 로고 영상을 둘러싸는 기 설정된 로고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DATA)를 분석할 수 있다. 로고 시프트부(140)는 로고 영상을 시프트하기 위해 상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과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을 결정할 수 있다. 로고 시프트부(140)는 결정된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과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을 스케일링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 및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은 로고 영상에 중첩하지 않으며, 로고 주변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 및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은 로고 주변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다.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는 업스케일링되고,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는 다운스케일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고 영상은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으로부터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 방향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고 시프트부(140)는 기 설정된 로고 시프트 경로에 따라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 및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로고 영상은 메인 영상과는 별개로 시프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영상이 시프트되는 시프트 경로와 로고 시프트 경로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영상과 로고 영상은 서로 다른 주기로 시프트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영상은 4초 간격으로 시프트 경로가 변경되고, 로고 영상은 3초 간격으로 시프트 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고 시프트부(140)는 로고 주변 영역에 포함되는 윤곽선을 검출하여 로고 시프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고 시프트부(140)는 상기 윤곽선과 기 설정된 임계 값을 비교하고, 윤곽선의 연장 방향에 따라 로고 시프트 여부 및 로고 시프트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로고 시프트부(14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스케일링부(160)는 업스케일링 영역(US), 다운스케일링 영역(DS),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 및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을 조합하여 최종 스케일링 영역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스케일링 영역(US)과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이 중첩되거나, 다운스케일링 영역(DS)과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이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로고 영상의 시프트량이 기 설정된 로고 시프트 경로에 의한 시프트량보다 클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다운스케일링 영역(DS)과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이 중첩되거나, 업스케일링 영역(US)과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이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로고 영상의 시프트량이 기 설정된 로고 시프트 경로에 의한 시프트량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로고 영상 및 로고 주변 영역을 제외한 메인 영상의 시프트는 로고 시프트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스케일링부(160)는 상기 조합된 스케일링 영역(즉, 최종 스케일링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고 영상이 메인 영상의 시프트에 대하여 상관적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스케일링부(160)는 최종 스케일링 영역들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중 업스케일링을 수행해야 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업스케일링을 수행하고, 다운스케일링을 수행해야 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다운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업/다운스케일링은 공지된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스케일러 구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잔상 보상부(100)는 상보적인 영상 스케일링 기법을 이용하여 화면 가장자리의 영상 잘림 및/또는 영상 미출력 없이 화면 전체를 시프트할 수 있다. 또한, 글로벌 시프트에 추가로 로고 주변 영역을 업스케일링 /다운스케일링함으로써 로고 영상의 시프트 범위가 증가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잔상 보상부에 포함되는 글로벌 시프트부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글로벌 시프트부(120)에 의해 메인 영상(MI)이 기 설정된 글로벌 시프트 경로(GS)를 따라 시프트될 수 있다.
표시부(20)는 가장자리에 4개의 스케일링 영역들(HSA1, HSA2, VSA1, VSA2)을 포함할 수 있다. 스케일링 영역들(HSA1, HSA2, VSA1, VSA2)에 포함되는 픽셀 열들 또는 픽셀 행들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업스케일링 또는 다운스케일링될 수 있다.
제1 수평 스케일링 영역(HSA1)과 제2 수평 스케일링 영역(HSA2)은 상보적인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수평 스케일링 영역(HSA1)의 적어도 일부가 업스케일링 영역(US)(또는 다운스케일링 영역(DS))으로 결정되는 경우, 제2 수평 스케일링 영역(HSA2)의 적어도 일부가 다운스케일링 영역(DS)(또는 업스케일링 영역(US))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평 스케일링 영역들(HSA1, HSA2)은 복수의 픽셀 열들에 대응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수직 스케일링 영역(VSA1)의 적어도 일부가 업스케일링 영역(US)(또는 다운스케일링 영역(DS))으로 결정되는 경우, 제2 수직 스케일링 영역(VSA2)의 적어도 일부가 다운스케일링 영역(DS)(또는 업스케일링 영역(US))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직 스케일링 영역들(VSA1, VSA2)은 복수의 픽셀 행들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영상(MI)은 업스케일링 영역(US)으로부터 다운스케일링 영역(DS)의 방향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평 스케일링 영역(HSA1)이 업스케일링 영역(US)이고 제2 수평 스케일링 영역(HSA2)이 다운스케일링 영역(DS)인 경우, 메인 영상(MI)은 제1 방향(DR1), 즉 오른쪽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스케일링 비율은 기 설정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영상(MI)의 1픽셀 시프트는 32개의 연속된 픽셀 행들 또는 32개의 연속된 픽셀 열들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메인 영상(MI)이 우측으로 시프트되는 경우, 제1 수평 스케일링 영역(HSA1)에 포함되며 최외곽으로부터 연속되는 33개의 픽셀 열들이 업스케일링 영역(US)으로 결정되고, 제2 수평 스케일링 영역(HSA2)에 포함되며 최외곽으로부터 연속되는 31개의 픽셀 열들이 다운스케일링 영역(DS)으로 결정될 수 있다.
업스케일링 영역(US)의 33개의 픽셀 열들은 기존의 제1 수평 스케일링 영역(HSA1)의 32개의 픽셀 열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따라서, 업스케일링 영역(US)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는 33:32의 비율로 업스케일링될 수 있다. 또한, 다운스케일링 영역(DS)의 31개의 픽셀 열들이 기존의 제2 수평 스케일링 영역(HSA2)의 32개의 픽셀 열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따라서, 다운스케일링 영역(DS)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는 31:32의 비율로 다운스케일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면 가장자리의 영상 잘림 및 영상 미출력 없이 메인 영상은 우측으로 1픽셀 시프트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업스케일링 영역(US)이 제2 수평 스케일링 영역(HSA2)에 포함되고 다운스케일링 영역(DS)이 제1 수평 스케일링 영역(HSA1)에 포함되는 경우, 메인 영상(MI)은 좌측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업스케일링 영역(US)이 제1 수직 스케일링 영역(VSA1)에 포함되고 다운스케일링 영역(DS)이 제2 수직 스케일링 영역(VSA2)에 포함되는 경우, 메인 영상(MI)은 제2 방향(DR2)(즉, 하측)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업스케일링 영역(US)이 제1 수직 스케일링 영역(VSA1) 및 제1 수평 스케일링 영역(HSA1)에 포함되는 경우, 메인 영상(MI)은 대각선 방향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메인 영상(MI)의 시프트(즉, 글로벌 시프트)는 시프트 경로(GS, 글로벌 시프트 경로))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상(MI)은 좌측으로 1픽셀 -> 상측으로 1픽셀 -> 우측으로 2픽셀 -> 하측으로 2픽셀 순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다시, 메인 영상(MI)은 상기 순서의 역순으로 시프트되며, 이러한 글로벌 시프트 경로(GS)를 주기적으로 왕복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글로벌 시프트 경로(GS)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글로벌 시프트 경로(GS)에 따라 수직 및 수평 스케일링 영역들(VSA1, VSA2, HSA1, HSA2)의 최대 사이즈가 결정될 수 있다. 픽셀의 최대 시프트량이 4픽셀로 설정되는 경우, 수직 및 수평 스케일링 영역들(VSA1, VSA2, HSA1, HSA2)은 132개의 픽셀 행들 또는 픽셀 열들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영상(MI)의 시프트량(예를 들어, 글로벌 시프트량)에 따라 업스케일링 영역(US)의 사이즈와 다운스케일링 영역(DS)의 사이즈가 결정될 수 있다. 영상의 4픽셀 이동의 경우, 업스케일링 영역(US)에는 132개의 픽셀들로 기존의 128개의 픽셀들에 대응하는 영상이 확장되어 표시되고, 132:128의 비율로 이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업스케일링될 수 있다. 다운스케일링 영역(DS)에는 124개의 픽셀들로 128개의 픽셀들에 대응하는 영상이 압축되어 표시되고, 이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다운스케일링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스케일링 비율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케일링 비율은 영상 스케일링에 의한 영상 왜곡이 시인되지 않을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잔상 보상부에 포함되는 로고 시프트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로고 시프트부의 동작의 일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로고 시프트부(140)는 로고 검출부(142) 및 스케일링 영역 결정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로고 검출부(142)는 영상 데이터(DATA)에 기초하여 로고 영상(LI,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됨) 및 로고 주변 영역(LPA)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고 검출부(142)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DATA)에 포함되는 각 방송사 로고, 시간 정보, 날짜 정보 등이 로고 영상(LI)으로 검출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로고 검출부(142)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로고 검출부(142)는 영상 데이터(DATA) 누적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표시되는 고휘도의 정지 영상을 로고 영상(LI)으로 검출할 수 있다.
로고 주변 영역(LPA)은 로고 영상(LI)을 둘러싸는 스케일링 영역일 수 있다. 로고 주변 영역(LPA)은 로고 영상(LI)의 기 설정된 최대 시프트량에 대응하는 스케일링 영역 범위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시프트량이 2픽셀이고 32개의 픽셀마다 스케일링(또는 영상 시프트)이 정의되는 경우, 로고 주변 영역(LPA)은 로고 영상(LI)의 상하좌우를 둘러싸는 66개의 픽셀 행들 및 픽셀 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고 주변 영역(LPA)은 제1 및 제2 수평 로고 주변 영역들(HLSA1, HLSA2) 및 제1 및 제2 수직 로고 주변 영역들(VLSA1, VLS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평 로고 주변 영역들(HLSA1, HLSA2) 및 제1 및 제2 수직 로고 주변 영역들(VLSA1, VLSA2)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업스케일링 또는 다운스케일링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로고 주변 영역(LPA)에 대응하는 일부 영상의 스케일링에 의해 로고 영상(LI)이 시프트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로고 영상(LI)은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로부터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 방향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스케일링 영역 결정부(144)는 로고 영상(LI) 및/또는 로고 주변 영역(LPA)에 포함되는 윤곽선(CL)을 검출하고, 윤곽선(CL)과 임계 값(TH1, TH2)을 비교하여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과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케일링 영역 결정부(144)는 윤곽선(CL)을 검출하는 윤곽선 검출부(1441) 및 윤곽선(CL)과 임계 값을 비교하는 비교부(1442)를 포함할 수 있다.
윤곽선(CL)은 영상의 계조가 급격히 바뀌는 경계 부분들일 수 있다. 즉, 주변과 기 설정된 계조 차를 갖는 윤곽선이 로고 주변 영역에서 일정 부분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 로고 주변 영역에 대한 영상 스케일링에 의해 윤곽선 및 주변 영상의 왜곡이 시인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로고 주변 영역에서 검출된 윤곽선이 기 설정된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에만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 및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이 결정될 수 있다.
윤곽선(CL)은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윤곽선 검출 필터 또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윤곽선(CL)은 소벨 마스크(sobel mask) 방식으로 검출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 및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은 각각 좌측 로고 주변 영역(HLSA1) 및 우측 로고 주변 영역(HLSA2) 중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로고 영상(LI)은 좌우측 방향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윤곽선(CL)의 세로 합이 제2 임계 값(TH2)보다 작은 경우, 로고 영상(LI)이 좌우측 방향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윤곽선(CL)의 세로 합은 제2 방향(DR2)(즉, 세로 방향)으로의 윤곽선(CL)의 길이, 또는 제2 방향(DR2)으로의 윤곽선(CL)의 총 계조 합일 수 있다. 즉, 세로 방향으로의 윤곽선(CL)이 제2 임계 값(TH2) 이상인 경우, 로고 영상(LI)의 가로 방향 시프트에 의해 윤곽선(CL)의 형태가 일그러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윤곽선(CL)의 세로 합이 제2 임계 값(TH2)보다 작은 경우에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 및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은 각각 좌측 로고 주변 영역(HLSA1) 및 우측 로고 주변 영역(HLSA2) 중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 및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은 각각 상측 로고 주변 영역(VLSA1) 및 하측 로고 주변 영역(VLSA2) 중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로고 영상(LI)은 상하측 방향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윤곽선(CL)의 가로 합이 제1 임계 값(TH1)보다 작은 경우, 로고 영상(LI)이 상하측 방향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윤곽선(CL)의 가로 합은 제1 방향(DR1)(즉, 가로 방향)으로의 윤곽선(CL)의 길이, 또는 제1 방향(DR1)으로의 윤곽선(CL)의 총 계조 합일 수 있다. 즉, 가로 방향으로의 윤곽선(CL)이 제1 임계 값(TH1) 이상인 경우, 로고 영상(LI)의 세로 방향 시프트에 의해 윤곽선(CL)의 형태가 일그러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윤곽선(CL)의 가로 합이 제1 임계 값(TH1)보다 작은 경우에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 및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은 각각 상측 로고 주변 영역(HLSA1) 및 하측 로고 주변 영역(HLSA2) 중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5a와 도 5b의 동작이 조합되어 시프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윤곽선(CL)의 가로 합이 제1 임계 값(TH1)보다 작고, 세로 합이 제2 임계 값(TH2)보다 작은 경우, 로고 영상(LI)은 대각선 방향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 경우, 로고 영상(LI)은 가로/세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시프트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고 주변 영역(LPA)에 윤곽선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스케일링 영역 결정부(144)는 기 설정된 주기로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과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을 변경할 수 있다. 즉, 로고 영상(LI)은 기 설정된 로고 시프트 경로로 시프트될 수 있다. 여기서, 로고 시프트 경로는 메인 영상의 시프트 경로(글로벌 시프트 경로)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스케일링 영역(US)과 다운스케일링 영역(DS)에 따른 제1 스케일링 비율과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과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에 따른 제2 스케일링 비율이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케일링 비율 및 제2 스케일링 비율은 각각 32개의 픽셀 당 1픽셀 시프트되는 비율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과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에 따른 제2 스케일링 비율이 업스케일링 영역(US)과 다운스케일링 영역(DS)에 따른 제1 스케일링 비율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케일링 비율은 32개의 픽셀 당 1픽셀 시프트되는 비율이고, 제2 스케일링 비율은 16개의 픽셀 당 1픽셀 시프트되는 비율일 수 있다. 이 경우, 로고 영상(LI)의 시프트량이 증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 및 이를 포함하는 잔상 보상부(100)는 글로벌 시프트와 별개로 로고 시프트를 위한 부분적인 영상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영상(MI)과 로고 영상(LI)의 시프트 방향 및 시프트량이 상이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도 2의 잔상 보상부의 동작의 일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잔상 보상부(100)는 메인 영상(MI)을 시프트하는 글로벌 시프트 및 로고 영상(LI)을 시프트하는 로고 시프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로벌 시프트 경로(GS)와 로고 시프트 경로(LS)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고 시프트 경로(LS)의 시프트 방향 및 시프트량 중 적어도 하나는 글로벌 시프트 경로(GS)와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과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에 따른 제2 스케일링 비율이 업스케일링 영역(US)과 다운스케일링 영역(DS)에 따른 제1 스케일링 비율보다 작을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영상에 따라, 로고 영상(LI)이 업스케일링 영역(US) 또는 다운스케일링 영역(DS)에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로고 영상(LI)에 영상 스케일링이 수행되며 로고 영상(LI)의 시프트량이 메인 영상(MI)보다 작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로고 주변 영역(LPA)에 영상 스케일링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로고 영상(LI)의 시프트량이 증가할 수 있다.
스케일링부(160)는 업스케일링 영역(US), 다운스케일링 영역(DS),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 및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을 조합하여 최종 스케일링 영역들을 결정할 수 있다. 스케일링부(160)는 상기 최종 스케일링 영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에 업스케일링 또는 다운스케일링을 적용하여 글로벌 시프트 및 로고 시프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윤곽선(CL)의 가로 합이 제1 임계 값(TH1) 이상이고 윤곽선(CL)의 세로 합이 제2 임계 값(TH2) 이상인 경우, 스케일링 영역 결정부(144)는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 및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을 설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고 주변 영역(LPA)에 제1 및 제2 윤곽선들(CL1, CL2)이 검출될 수 있다.
제1 윤곽선(CL1)의 가로 합은 제1 임계 값(TH1)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 및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은 상측 로고 주변 영역(VLSA1) 및 하측 로고 주변 영역(VLSA2)에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제2 윤곽선(CL2)의 세로 합은 제2 임계 값(TH2)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 및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은 좌측 로고 주변 영역(HLSA1) 및 우측 로고 주변 영역(HLSA2)에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로고 주변 영역(LPA)에는 추가적인 영상 스케일링이 수행되지 않으며, 로고 영상(LI)은 글로벌 시프트 경로(GS)에 기초하여 시프트될 수 있다. 즉, 로고 영상(LI)은 글로벌 시프트부(120)에 의해 결정된 업/다운스케일링 영역들(US, DS)의 영상 스케일링에 따라 시프트될 수 있다. 로고 영상(LI)이 업/다운스케일링 영역들(US, DS)에 중첩되지 않는 경우, 로고 영상(LI)과 메인 영상(MI)은 동일하게 시프트될 수 있다. 로고 영상(LI)의 적어도 일부가 업/다운스케일링 영역들(US, DS)에 중첩되는 경우, 로고 영상(LI)은 메인 영상(MI)보다 적게 시프트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잔상 보상부(100)는 상보적인 영상 스케일링 기법을 이용하여 화면 가장자리의 영상 잘림 및/또는 영상 미출력 없이 화면 전체를 시프트할 수 있다. 또한, 글로벌 시프트에 추가적으로 로고 주변 영역(LPA)을 업스케일링 /다운스케일링함으로써 로고 영상(LI)의 시프트 범위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로고 영상(LI)에 의한 픽셀의 스트레스가 더 넓은 면적으로 분산되며, 화면 가장자리의 영상 잘림 및/또는 영상 미출력 없이 로고 영상(LI)에 의한 픽셀 열화 및 잔상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의 구동 방법은 영상 데이터(DATA)에 기초하여 로고 영상(LI)을 검출(S100)하고, 로고 영상(LI)을 둘러싸는 기 설정된 로고 주변 영역(LPA)에 포함되는 윤곽선(CL)을 검출(S200)하며, 윤곽선(CL)과 기 설정된 임계 값(TH1, TH2)을 비교하여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과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을 결정(S320, S340, S360, S380)하고, 표시부(20)의 메인 영상(MI)을 시프트하기 위해 기 설정된 글로벌 시프트 경로(GS)에 대응하는 표시부(20)의 업스케일링 영역(US)과 다운스케일링 영역(DS)을 결정(S400)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의 구동 방법은 업스케일링 영역(US), 다운스케일링 영역(DS),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 및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을 조합하여 조합된 스케일링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스케일링(S500)한 후, 상기 스케일링된 영상 데이터(SDATA)에 기초하여 로고 영상(LI) 및 메인 영상(MI) 중 적어도 하나가 시프트된 영상을 표시(S600)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도 1 내지 도 6b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일부 생략한다.
영상 데이터(DATA)에 기초하여 로고 영상(LI)을 검출(S100)될 수 있다.
로고 주변 영역(LPA)에 포함되는 윤곽선(CL)을 검출(S200)될 수 있다. 로고 주변 영역(LPA)은 로고 영상(LI)을 둘러싸는 기 설정된 범위의 스케일링 영역일 수 있다. 윤곽선(CL)은 급격한 계조 변화가 발생되는 경계 부분일 수 있다.
윤곽선(CL)과 기 설정된 임계 값(TH1, TH2)을 비교하여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과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이 결정(S320, S340, S360, S380)될 수 있다.
윤곽선(CL)의 가로 합(SUM1)과 제1 임계 값(TH1)이 비교(S320)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윤곽선(CL)의 가로 합(SUM1)이 제1 임계 값(TH1)보다 작은 경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과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이 각각 로고 영상(LI)의 상측 로고 주변 영역(VLSA1) 및 하측 로고 주변 영역(VLSA2) 중 하나에 포함되도록 결정(S360)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윤곽선(CL)의 가로 합(SUM1)이 제1 임계 값(TH1) 이상인 경우, 상측 로고 주변 영역(VLSA1) 및 하측 로고 주변 영역(VLSA2)은 스케일링 영역에서 제외된다.
윤곽선(CL)의 세로 합(SUM2)과 제2 임계 값(TH2)이 비교(S340)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윤곽선(CL)의 세로 합(SUM2)이 제2 임계 값(TH2)보다 작은 경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과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이 각각 로고 영상(LI)의 좌측 로고 주변 영역(HLSA1) 및 우측 로고 주변 영역(HLSA2) 중 하나에 포함되도록 결정(S380)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윤곽선(CL)의 세로 합(SUM2)이 제2 임계 값(TH2) 이상인 경우, 좌측 로고 주변 영역(HLSA1) 및 우측 로고 주변 영역(HLSA2)은 스케일링 영역에서 제외된다.
즉, 윤곽선(CL)의 가로 합(SUM1)이 제1 임계 값(TH1) 이상이고 세로 합(SUM2)이 제2 임계 값(TH2) 이상인 경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 및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이 설정되지 않는다. 이 때, 로고 영상(LI)은 글로벌 시프트 경로(GS)만에 기초하여 시프트될 수 있다.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LUS) 및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LDS) 설정과 별개로, 프레임 카운트(FRC)에 기초하여 글로벌 시프트를 위한 업스케일링 영역(US) 및 다운스케일링 영역(DS)이 결정(S400)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S360 단계, S380 단계 및 S400 단계로부터 결정된 스케일링 영역들의 조합을 통해 최종적인 스케일링 대상 영역이 산출되고, 이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스케일링(S500)될 수 있다.
표시부(20)에는 스케일링된 영상 데이터(SDATA)에 기초하여 로고 영상(LI) 및 메인 영상(MI) 중 적어도 하나가 시프트된 영상이 표시(S600)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은 상보적인 영상 스케일링 기법을 이용하여 화면 가장자리의 영상 잘림 및/또는 영상 미출력 없이 화면 전체를 시프트할 수 있다. 또한, 글로벌 시프트에 추가적으로 로고 주변 영역(LPA)을 업스케일링 /다운스케일링함으로써 로고 영상(LI)의 시프트 범위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로고 영상(LI)에 의한 픽셀의 스트레스가 더 넓은 면적으로 분산되며, 화면 가장자리의 영상 잘림 및/또는 영상 미출력 없이 로고 영상(LI)에 의한 픽셀 열화 및 잔상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타이밍 제어부 20: 표시부
30: 스캔 구동부 40: 데이터 구동부
100: 잔상 보상부 120: 글로벌 시프트부
140: 로고 시프트부 142: 로고 검출부
144: 스케일링 영역 결정부 160: 스케일링부
1: 표시 장치

Claims (20)

  1. 표시부의 메인(main) 영상을 시프트(shift)하기 위해 기 설정된 글로벌 시프트 경로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의 업스케일링(upscaling) 영역과 다운스케일링(downscaling) 영역을 결정하는 글로벌(global) 시프트부;
    로고(logo) 영상 및 상기 로고 영상을 둘러싸는 기 설정된 로고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로고 영상을 시프트하기 위해 상기 로고 주변 영역에 포함되는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과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하는 로고 시프트부; 및
    상기 업스케일링 영역, 상기 다운스케일링 영역,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 및 상기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조합하여 조합된 스케일링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 보상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영상이 상기 메인 영상의 상기 시프트에 대하여 상관적으로 시프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 보상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영상과 상기 로고 영상은 서로 다른 주기로 시프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 보상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시프트부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로고 영상 및 상기 로고 주변 영역을 결정하는 로고 검출부; 및
    상기 로고 영역 및 상기 로고 주변 영역에 포함되는 윤곽선(contour line)을 검출하고, 상기 윤곽선과 기 설정된 임계 값을 비교하여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과 상기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하는 스케일링 영역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 보상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영상은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으로부터 상기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 방향으로 시프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 보상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주변 영역에 상기 윤곽선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스케일링 영역 결정부는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과 상기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 보상부.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선의 가로 합이 제1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과 상기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은 각각 상기 로고 영상의 상측 로고 주변 영역 및 하측 로고 주변 영역 중 하나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 보상부.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선의 세로 합이 제2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과 상기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은 각각 상기 로고 영상의 좌측 로고 주변 영역 및 우측 로고 주변 영역 중 하나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 보상부.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선의 가로 합이 제1 임계 값 이상이고 상기 윤곽선의 세로 합이 제2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스케일링 영역 결정부는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 및 상기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설정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 보상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영상은 상기 글로벌 시프트 경로에 기초하여 시프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 보상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영상은 상기 업스케일링 영역으로부터 상기 다운스케일링 영역 방향으로 시프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 보상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스케일링 영역과 상기 다운스케일링 영역에 따른 스케일링 비율과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과 상기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에 따른 스케일링 비율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 보상부.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과 상기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에 따른 스케일링 비율이 상기 업스케일링 영역과 상기 다운스케일링 영역에 따른 스케일링 비율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 보상부.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영상의 시프트 경로의 시프트량 및 시프트 방향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글로벌 시프트 경로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 보상부.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스케일링 영역 및 상기 다운스케일링 영역은 각각 상기 표시부의 최외곽 픽셀 열로부터 연속된 기 설정된 픽셀 열들 및 상기 상기 표시부의 최외곽 픽셀 행으로부터 연속된 기 설정된 픽셀 행들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 보상부.
  16.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로고(logo) 영상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로고 영상을 둘러싸는 기 설정된 로고 주변 영역에 포함되는 윤곽선(contour line)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윤곽선과 기 설정된 임계 값을 비교하여 로고 업스케일링(upscaling) 영역과 로고 다운스케일링(downscaling)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표시부의 메인(main) 영상을 시프트하기 위해 기 설정된 글로벌 시프트 경로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의 업스케일링 영역과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업스케일링 영역, 상기 다운스케일링 영역,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 및 상기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조합하여 조합된 스케일링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스케일링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일링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로고 영상 및 상기 메인 영상 중 적어도 하나가 시프트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과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윤곽선의 가로 합이 제1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과 상기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각각 상기 로고 영상의 상측 로고 주변 영역 및 하측 로고 주변 영역 중 하나에 포함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과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윤곽선의 세로 합이 제2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과 상기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각각 상기 로고 영상의 좌측 로고 주변 영역 및 우측 로고 주변 영역 중 하나에 포함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과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윤곽선의 가로 합이 제1 임계 값 이상이고 상기 윤곽선의 세로 합이 제2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로고 업스케일링 영역 및 상기 로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설정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영상은 상기 글로벌 시프트 경로에 기초하여 시프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80109169A 2018-09-12 2018-09-12 잔상 보상부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510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169A KR102510458B1 (ko) 2018-09-12 2018-09-12 잔상 보상부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16/447,226 US10984759B2 (en) 2018-09-12 2019-06-20 Afterimage compensator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CN201910857130.XA CN110895913B (zh) 2018-09-12 2019-09-11 余像补偿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169A KR102510458B1 (ko) 2018-09-12 2018-09-12 잔상 보상부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711A KR20200030711A (ko) 2020-03-23
KR102510458B1 true KR102510458B1 (ko) 2023-03-17

Family

ID=69719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169A KR102510458B1 (ko) 2018-09-12 2018-09-12 잔상 보상부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84759B2 (ko)
KR (1) KR102510458B1 (ko)
CN (1) CN1108959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151B1 (ko) 2019-10-07 2024-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 제어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CN112435633B (zh) * 2020-11-27 2022-07-29 福州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计算机存储介质和显示装置
KR20220085065A (ko) * 2020-12-14 2022-06-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220085082A (ko) * 2020-12-14 2022-06-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잔상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20089807A (ko) 2020-12-21 2022-06-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230089589A (ko) * 2021-12-13 2023-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018B1 (ko) * 1998-06-23 2006-08-0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 프로그램을기록한 매체
JP2003207762A (ja) * 2001-11-09 2003-07-25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EP1361558A1 (en) * 2002-05-07 2003-11-12 Deutsche Thomson Brandt Reducing image artifacts on a display caused by phosphor time response
JP2007221269A (ja) * 2006-02-14 2007-08-30 Canon Inc 表示信号制御装置、表示信号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20080041057A (ko) * 2006-11-06 2008-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TWI479891B (zh) * 2007-06-26 2015-04-01 Apple Inc 動態背光調適
WO2012154993A1 (en) * 2011-05-10 2012-11-15 Nvid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mages using a color field sequential display
KR20150047325A (ko) * 2013-10-24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비젼 및 그 제어방법
KR102139698B1 (ko) * 2013-11-14 2020-07-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영상 보정 방법
KR102222341B1 (ko) * 2014-08-08 2021-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KR102255299B1 (ko) * 2014-11-03 2021-05-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이밍 컨트롤러,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KR102286635B1 (ko) * 2014-12-29 2021-08-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22709B1 (ko) * 2015-04-29 2021-11-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영상 처리 회로와 그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102350097B1 (ko) * 2015-04-30 2022-0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KR102320207B1 (ko) 2015-05-06 2021-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KR102390980B1 (ko) * 2015-07-24 2022-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영상 처리 회로와, 그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102315691B1 (ko) * 2015-08-31 2021-10-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656059B1 (ko) * 2016-10-07 2024-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머리 장착형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95913B (zh) 2024-01-23
US10984759B2 (en) 2021-04-20
KR20200030711A (ko) 2020-03-23
US20200082796A1 (en) 2020-03-12
CN110895913A (zh) 2020-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0458B1 (ko) 잔상 보상부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521949B1 (ko) 영상 보정부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JP4984496B2 (ja) 自発光表示装置、発光条件制御装置、発光条件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648198B1 (ko) 잔상 보상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4004956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552299B1 (ko) 잔상 보상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200702578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ect correction in a display
US10546368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pensating the perceptual bias of edge boost in a display panel
US8830257B2 (en) Image displaying apparatus
KR102250449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영상 보정 방법
US20140368420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02169676A (zh) 影像处理电路、影像处理方法、液晶显示装置和电子设备
KR102337829B1 (ko) 로고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JP2006317660A (ja) 画像表示制御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10109254B2 (en) Video processing circuit, video processing method,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1025485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system,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image
US20160027370A1 (en) Gamma data generator,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apparatus
US10056051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70131806A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20180098006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head mounted display device
KR102674156B1 (ko) 잔상 보상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201820307A (zh) 顯示器的控制方法
JP5154208B2 (ja) 画像信号処理装置
KR20180031476A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TWI573114B (zh) 顯示系統與驅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